KR200489787Y1 - 변압장치 - Google Patents

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87Y1
KR200489787Y1 KR2020160005026U KR20160005026U KR200489787Y1 KR 200489787 Y1 KR200489787 Y1 KR 200489787Y1 KR 2020160005026 U KR2020160005026 U KR 2020160005026U KR 20160005026 U KR20160005026 U KR 20160005026U KR 200489787 Y1 KR200489787 Y1 KR 200489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il
hollow
upper panel
safety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677U (ko
Inventor
권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2020160005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8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변압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변압장치는: 제1코일이 권선되는 제1베이스와 제1베이스에 결합되며 제2코일이 권선되는 제2베이스를 포함하는 보빈부와,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로 삽입되어 제1코일과 제2코일의 중심을 관통하는 코어부 및 보빈부 일측에 결합되며 연결핀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압장치{TRANSFORMER}
본 고안은 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외형을 슬림화하여 설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장치는, 전기를 각종 전기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부품이다.
이러한 변압장치는, 고속 스위칭시킬때 사용되는 변압장치와, 산업용으로 저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변압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변압장치의 양측에는 전기가 이동하는 연결핀가 설치되며, 연결핀를 통하여 전기가 입력되거나 출력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8-0031481호(2008.04.08 공개, 발명의 명칭: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의 외형을 슬림화하여 설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변압장치는: 제1코일이 권선되는 제1베이스와 제1베이스에 결합되며 제2코일이 권선되는 제2베이스를 포함하는 보빈부와,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로 삽입되어 제1코일과 제2코일의 중심을 관통하는 코어부 및 보빈부 일측에 결합되며 연결핀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베이스는, 내측에 제1중공이 구비되는 제1상부패널 및 제1상부패널에서 돌출되어 제1코일이 외측에 권선되는 제1핀부재를 포함하며, 제2베이스는, 제1상부패널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2중공이 구비되는 제2상부패널 및 제2상부패널에서 돌출되어 제2코일이 외측에 권선되는 제2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베이스는, 제1중공과 제1핀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코어부와 제1핀부재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제1안전거리확보부를 더 포함하며, 제2베이스는, 제2중공과 제2핀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코어부와 제2핀부재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제2안전거리확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안전거리확보부는 제1상부패널을 관통하는 장공의 홀을 형성하며, 제2안전거리확보부는 제2상부패널을 관통하는 장공의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부는, 제1중공과 제2중공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코어부재 및 제1코어부재와 대칭되며 제1중공과 제2중공의 타측으로 삽입되는 제2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는, 보빈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제1코일 또는 제2코일과 연결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핀은 제1핀부재 또는 제2핀부재와 각각 이격되어 고정부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변압장치는, 제1베이스의 측면에 고정부가 결합되어 제1코일과 연결핀 사이의 안전거리가 확보되며, 제2베이스의 측면에 제2고정부가 결합되어 제2코일과 제2연결핀 사이의 안전거리가 확보되므로 제품의 외형을 슬림화하여 설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코어부와 제1핀부재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제1안전거리확보부를 설치하므로 제품의 외형을 슬림화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에서 코어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와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에서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1)는, 제1코일(116)이 권선되는 제1베이스(110)와 제1베이스(110)에 결합되며 제2코일(126)이 권선되는 제2베이스(120)를 포함하는 보빈부(100)와,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20)로 삽입되어 제1코일(116)과 제2코일(126)의 중심을 관통하는 코어부(200) 및 보빈부(100) 일측에 결합되며 연결핀(310)을 구비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보빈부(100)는 제1베이스(110)와 제1코일(116)과 제2베이스(120)와 제2코일(126)과 내측결합부(130)와 외측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제1베이스(110)는 제1코일(116)의 권선이 이루어지며, 코어부(200)와 결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110)는, 제1상부패널(111)과 제1핀부재(113)와 제1안전거리확보부(114)를 포함한다.
제1상부패널(111)은 내측에 제1중공(115)이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상부패널(111)의 폭방향으로 장공 형상의 제1중공(115)이 구비되며, 제1중공(115)의 외측에는 제1코일(116)이 권선되기 위한 격벽이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핀부재(113)는 제1상부패널(11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코일(116)이 제1핀부재(113)의 외측에 권선된다. 제1핀부재(113)는 복수로 구비되며, 제1상부패널(111)의 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제1안전거리확보부(114)는 제1중공(115)과 제1핀부재(113)의 사이 또는 제1중공(115)과 제1코일(116) 사이에 위치하며, 코어부(200)와 제1핀부재(113) 사이의 안전거리 또는 코어부(200)와 제1코일(116)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홀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안전거리확보부(114)는, 제1상부패널(11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상부패널(111)을 관통하는 장공의 홀을 형성한다. 제1안전거리확보부(114)의 장공의 홀은 코어부(200)가 설치되는 제1중공(115)과 제1핀부재(113)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중공(115)에 삽입되는 제1코어부재(210)와 제1핀부재(113)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1안전거리확보부(114)는 코어부(200)가 설치되는 제1중공(115)과 제1코일(116)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코어부재(210)와 제1코일(116)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킨다.
코어부(200)와 제1핀부재(113) 사이의 안전거리는, 제1코어부재(210)에서 제1안전거리확보부(114)와 제1상부패널(111)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핀부재(113) 까지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또한 코어부(200)와 제1코일(116) 사이의 안전거리는, 제1코어부재(210)에서 제1안전거리확보부(114)와 제1상부패널(111)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코일(116) 까지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이러한 안전거리는 변압장치(1)의 설계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각 요소간의 안전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하부패널(112)은 제1베이스(110)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1상부패널(111)과 이격되어 제1상부패널(111)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1상부패널(111)과 제1하부패널(112)의 사이에는 고정부(3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제1상부패널(111)에는 고정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장착홀(150)이 구비된다.
제2베이스(120)는 제2코일(126)의 권선이 이루어지며, 코어부(200)와 결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스(120)는, 제2상부패널(121)과 제2핀부재(123)와 제2안전거리확보부(124)를 포함한다.
제2상부패널(121)은 내측에 제1중공(115)이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상부패널(121)의 폭방향으로 장공 형상의 제2중공(125)이 구비되며, 제2중공(125)의 외측에는 제2코일(126)이 권선되기 위한 격벽이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2핀부재(123)는 제2상부패널(12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코일(126)이 제2핀부재(123)의 외측에 권선된다. 제2핀부재(123)는 복수로 구비되며, 제2상부패널(121)의 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제2안전거리확보부(124)는 제2중공(125)과 제2핀부재(123)의 사이 또는 제2중공(125)과 제2코일(126) 사이에 위치하며, 코어부(200)와 제2핀부재(123) 사이의 안전거리 또는 코어부(200)와 제2코일(126)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홀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안전거리확보부(124)는, 제2상부패널(12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상부패널(121)을 관통하는 장공의 홀을 형성한다. 제2안전거리확보부(124)의 장공의 홀은 제2중공(125)과 제2핀부재(123)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2중공(125)에 삽입되는 제2코어부재(220)와 제2핀부재(123)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2안전거리확보부(124)는 코어부(200)가 설치되는 제2중공(125)과 제2코일(126)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2중공(125)에 삽입되는 제2코어부재(220)와 제2핀부재(123)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킨다.
제2코어부재(220)와 제2핀부재(123) 사이의 안전거리는, 제2코어부재(220)에서 제2안전거리확보부(124)와 제2상부패널(121)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2핀부재(123) 까지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내측결합부(130)는 제2베이스(120)와 마주하는 제1상부패널(111)의 일측 단부와 제1베이스(110)와 마주하는 제2상부패널(121)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끼움식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외측결합부(140)는 고정부(300)와 마주하는 제1상부패널(111)의 단부와 제2상부패널(121)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고정부(300)의 락부재(340)가 결합되기 위한 장착홀(150)을 포함한다.
제2하부패널(122)은 제2베이스(110)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2상부패널(121)과 이격되어 제2상부패널(121)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2상부패널(121)과 제2하부패널(122)의 사이에는 고정부(3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제2상부패널(121)에는 고정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장착홀(150)이 구비된다.
또한 제1안전거리확보부(114)와 제1중공(115)과 제2안전거리확보부(124)와 제2중공(125)은 각각 홀을 형성하므로, 보빈부(1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에서 코어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200)는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코일(116)과 제2코일(126)의 중심을 관통하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200)는, 제1중공(115)과 제2중공(125)의 일측(도 3기준 상측)으로 삽입되는 제1코어부재(210)와, 제1코어부재(210)와 대칭되는 형상이며 제1중공(115)과 제2중공(125)의 타측(도 3기준 하측)으로 삽입되는 제2코어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코어부재(210)와 제2코어부재(220)의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베이스(110)의 제1중공(115)과 제2베이스(120)의 제2중공(125)을 관통하여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고정부(300)는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연결핀(310)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는, 제1상부패널(111)과 제2상부패널(121)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제1코일(116)과 제2코일(126)에 연결되는 연결핀(310)을 구비하는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고정부(300)는 제1베이스(110)의 제2베이스(120)의 측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와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에서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는 연결핀(310)과 프레임(320)과 돌기(330)와 락부재(340)를 포함한다. 프레임(320)은 제1상부패널(111)의 외측에서 제1상부패널(11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제2상부패널(121)의 외측에서 제2상부패널(1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프레임(320)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320)의 측면에는 연결핀(310)이 구비된다.
프레임(320)의 양측에서 제1상부패널(111) 또는 제2상부패널(121)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돌기(330)는 제1상부패널(111)과 제1하부패널(11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제2상부패널(121)과 제2하부패널(12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락부재(340)는 돌기(33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장착홀(150)로 삽입되므로 고정부(300)가 보빈부(100)의 외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연결핀(310)은 보빈부(100)와 이격되어 고정부(3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고정부(300)가 제1상부패널(111)과 제2상부패널(121)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제1상부패널(111)과 제2상부패널(121)의 측방향에 위치하므로 변압장치(1)의 제품높이를 줄일 수 있다.
제1코일(116)은 제1중공(115)을 형성하는 제1상부패널(111)의 외측에 권선되며, 제1코일(116)의 일부는 제1핀부재(113)에 권선되거나, 제1핀부재(113)에 권선된 후 연결핀(310)에 권선될 수 있다.
제2코일(126)은 제2중공(125)을 형성하는 제2상부패널(121)의 외측에 권선되며, 제2코일(126)의 일부는 제2핀부재(123)에 권선되거나, 제2핀부재(123)에 권선된 후 제2연결핀(310)에 권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20)가 서로 결합되고, 제1중공(115)의 외측에는 제1코일(116)이 권선되며, 제2중공(125)의 외측에는 제2코일(126)이 권선된다. 또한 제1중공(115)과 제2중공(125)을 통하여 제1코어부재(210)와 제2코어부재(220)가 서로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20)의 측면에 연결핀(310)을 구비한 고정부(300)가 결합된다.
통상의 변압장치에서 연결핀은 보빈부에 구비되나, 본 고안은 별도의 고정부(300)에 연결핀(310)이 구비되므로, 연결핀(310)이 제거된 공간만큼 보빈부(100)의 슬림화가 가능하며, 제1,2코일(116,126)과 연결핀(310)과의 안전거리 또한 확보 된다.
또한 연결핀(310)이 제거된 상태로 제1,2코일(116,126)이 보빈부(100)에 권선되기 때문에 제1,2코일(116,126)의 권선 작업이 수월하여 작업 속도가 증대된다.
또한 코어부(200)와 제1핀부재(113)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제1안전거리확보부(114)와, 코어부(200)와 제2핀부재(123)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제2안전거리확보부(124)를 설치하므로 제품의 외형을 슬림화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변압장치 100: 보빈부
110: 제1베이스 111: 제1상부패널
112: 제1하부패널 113: 제1핀부재
114: 제1안전거리확보부 115: 제1중공
116: 제1코일 120: 제2베이스
121: 제2상부패널 122: 제2하부패널
123: 제2핀부재 124: 제2안전거리확보부
125: 제2중공 126: 제2코일
130: 내측결합부 140: 외측결합부
150: 장착홀 200: 코어부
210: 제1코어부재 220: 제2코어부재
300: 고정부 310: 연결핀
320: 프레임 330: 돌기
340: 락부재

Claims (7)

  1. 제1코일이 권선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에 결합되며 제2코일이 권선되는 제2베이스를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로 삽입되어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중심을 관통하는 코어부; 및
    상기 보빈부 일측에 결합되며 연결핀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는, 내측에 제1중공이 구비되는 제1상부패널; 및
    상기 제1상부패널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코일이 외측에 권선되는 제1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제1상부패널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2중공이 구비되는 제2상부패널; 및
    상기 제2상부패널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코일이 외측에 권선되는 제2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는, 상기 제1중공과 상기 제1핀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부와 상기 제1핀부재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제1안전거리확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제2중공과 상기 제2핀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부와 상기 제2핀부재 사이의 안전거리를 증가시키는 제2안전거리확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거리확보부는 상기 제1상부패널을 관통하는 장공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안전거리확보부는 상기 제2상부패널을 관통하는 장공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1중공과 상기 제2중공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코어부재; 및
    상기 제1코어부재와 대칭되며, 상기 제1중공과 상기 제2중공의 타측으로 삽입되는 제2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보빈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코일 또는 상기 제2코일과 연결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핀부재 또는 상기 제2핀부재와 각각 이격되어 상기 고정부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KR2020160005026U 2016-08-29 2016-08-29 변압장치 KR200489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26U KR200489787Y1 (ko) 2016-08-29 2016-08-29 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26U KR200489787Y1 (ko) 2016-08-29 2016-08-29 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77U KR20180000677U (ko) 2018-03-08
KR200489787Y1 true KR200489787Y1 (ko) 2019-08-07

Family

ID=6164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026U KR200489787Y1 (ko) 2016-08-29 2016-08-29 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172B1 (ko)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143868B1 (ko) 2019-07-04 2020-08-26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339024B1 (ko) * 2019-12-30 2021-12-16 한솔테크닉스(주) 변압장치 및 이의 보빈유닛
KR200495034Y1 (ko) 2020-08-06 2022-02-18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399391B1 (ko) 2020-08-19 2022-05-18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200495510Y1 (ko) 2020-10-16 2022-06-10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KR200496224Y1 (ko) 2020-11-25 2022-12-01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102642517B1 (ko) * 2021-10-06 2024-03-04 주식회사 솔루엠 평면 변압기, 및 이에 적용되는 보빈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003B1 (ko) 2011-12-19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161913A1 (en) * 2010-12-22 2012-06-28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structure
KR101240854B1 (ko) 2011-11-11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773A (ja) * 1994-10-21 1996-05-17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1913A1 (en) * 2010-12-22 2012-06-28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structure
KR101240854B1 (ko) 2011-11-11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KR101124003B1 (ko) 2011-12-19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77U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787Y1 (ko) 변압장치
KR102529820B1 (ko) 모터
JP6378385B1 (ja) 端子台を備えたacリアクトル
CN104638783B (zh) 定子结构及电机
CN204680522U (zh) 电感器
KR101732668B1 (ko) 변압장치
KR101852861B1 (ko) 트랜스포머
RU2016129062A (ru) Индукционн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479947B1 (ko) 변압장치
JP5229032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2019036434A (ja) 接続ユニット
KR102087569B1 (ko) 변압장치
KR101634114B1 (ko) 모터용 스테이터
TWI463507B (zh) Modular transformer
EP2624261B1 (en) Multi-inductor usable with slim flat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60293324A1 (en) Bobbin structure of transfomer
KR101779071B1 (ko) Llc 회로용 트랜스포머
KR101649350B1 (ko) 토로이달 코일의 결합형 베이스 및 그것을 사용한 토로이달 코일장치
KR101683981B1 (ko) 고전압 정션박스의 암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2014155362A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組立方法
KR200484131Y1 (ko) 조립형 이엠아이 필터
CN214588390U (zh) 一种变压器及其骨架单元
KR102074679B1 (ko) 변압장치
CN210489433U (zh) 可自动化绕线的骨架及变压器
CN216084584U (zh) 一种触头盒式电流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