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034Y1 -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034Y1
KR200495034Y1 KR2020200002881U KR20200002881U KR200495034Y1 KR 200495034 Y1 KR200495034 Y1 KR 200495034Y1 KR 2020200002881 U KR2020200002881 U KR 2020200002881U KR 20200002881 U KR20200002881 U KR 20200002881U KR 200495034 Y1 KR200495034 Y1 KR 200495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body
core
terminal pin
terminal
connec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389U (ko
Inventor
남성진
Original Assignee
(주) 트랜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트랜스온 filed Critical (주) 트랜스온
Priority to KR2020200002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3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콩일이 권선되고 배선된 상태의 보빈과 단자 브라켓 간의 조립 및 PCB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뛰어난 조립성으로 제작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두 코어부 간의 갭(gap)을 최대화하여 파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부 외면에 코일이 권선되게 형성되는 보빈 본체; 상기 보빈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접속 단자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 상기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 간에 구성되어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수단; 상기 보빈 본체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 및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의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판형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FLAT TYPE TRANSFORMER}
본 고안은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이 권선되고 배선된 상태의 보빈과 단자 브라켓 간의 조립 및 PCB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뛰어난 조립성으로 제작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두 코어부 간의 갭(gap)을 최대화하여 파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며, 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25∼100KHz의 고주파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50∼60Hz의 주파수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트랜스포머는 상용 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과 상용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는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며, 1차측 권선에 교류 전류를 흘려주면 2차측 권선에 교류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된다. 트랜스포머는 2차측 권선에 연결되는 2개의 2차측 핀 단자들을 구비하며, 2차측 핀 단자들에 부하가 연결되는 바, 부하는 2차측 핀 단자들에 흐르는 전류를 받아서 동작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부인 보빈 및 접속 단자핀의 절곡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보빈 바디는 접속 단자핀이 인서트 몰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빈 바디에 코일을 자동 권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속 단자핀은 선형인 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코일이 권선된 다음, 접속 단자핀을 PCB에 조립하기 위하여 도 1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접속 단자핀의 휨 공정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는 접속 단자핀의 휨 공정 등 후공정을 반드시 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휨 공정 작업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며 상기 보빈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코어 간에, 갭을 최대한 확보하여 파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40645(2020.04.20.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0677(2018.03.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31481(2008.04.0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51653(2018.04.25.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코일이 권선되고 배선된 상태의 보빈과 단자 브라켓 간의 조립 및 PCB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뛰어난 조립성으로 제작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두 코어부 간의 갭(gap)을 최대화하여 파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중앙부 외면에 코일이 권선되게 형성되는 보빈 본체; 상기 보빈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접속 단자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 상기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 간에 구성되어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수단; 상기 보빈 본체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 및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의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판형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빈 본체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앙 바디; 상기 중앙 바디의 상단 및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및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하나의 양단부에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빈 본체에 구비되는 코일의 단부를 이격시켜 가이드하여 배선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선용 돌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는, 상면과 전후면이 개방되며, 양측벽을 갖고 형성되는 함체형 바디; 상기 함체형 바디의 일측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핀 고정블록; 및 상기 단자핀 고정블록에 형성되는 단자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핀은, 일단부는 수평하게 구비되어 코일 단부가 접속되는 코일 접속핀부, 및 타단부는 상기 함체형 바디의 바닥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PCB 접속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형 코어 부재는, 상기 PCB 접속핀부가 관통하는 접속핀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의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함체형 바디의 양측벽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 돌기와 상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하단 플랜지의 배면 양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고정 결합돌기, 및 상기 함체형 바디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고정 결합홈 또는 위치고정 결합구멍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 간의 양 접촉부에 개재되어 코어 부재 간에 갭(gap)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코어 갭 형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어 부재는 상기 보빈 본체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 각각은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판상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상기 보빈 본체의 중앙 관통부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그 중앙 관통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판상 베이스부의 대향하는 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는 절연성 재질의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끼음 결합 슬롯에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코어의 다리부와 하부 코어의 다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고안은 보빈에 코일이 자동 권선 방식으로 권선할 수 있어 권선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코일이 권선되고 배선된 보빈과 PCB 장착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접속 단자핀을 갖는 단자 브라켓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보빈과 단자 브라켓 간이 조립된 어셈블리를 PCB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두 코어부 간의 갭(gap)을 최대화하여 파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부인 보빈 및 접속 단자핀의 절곡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본체 및 단자핀 연결 브라켓 부재 간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본체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본체 및 단자핀 연결 브라켓 부재 간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본체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보빈 본체(100);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 결합 수단(300); 블록형 코어 부재(400: 410, 420); 및 판형 코어 부재(500);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코어 갭 형성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 외면에 코일(미도시)이 권선되게 구성되는 보빈 본체(100); 상기 보빈 본체(100)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접속 단자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 상기 보빈 본체(100)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 간에 구성되어 보빈 본체(100)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수단(300); 상기 보빈 본체(100)의 상부 측 및 하부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400: 410, 420); 및 상기 결합 수단(300)에 의해 결합된 보빈 본체(100)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판형 코어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는 상기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410, 420) 간에 갭(gap)을 형성시켜 파워 손실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코어 갭 형성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 본체(100)는 도 5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풀리(pulley)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의 외면에 코일(미도시)이 권선되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 본체(100)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 형태로 형성되는 통형의 중앙 바디(110)와, 상기 중앙 바디(1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상단 플랜지(121), 하단 플랜지(121)), 및 상기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 중 하나의 양단부에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어 보빈 본체에 구비되는 코일의 단부의 배선을 이격시켜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배선용 돌출 돌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배선용 돌출 돌기(130)는 코일단부를 아래 설명되는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접속 단자핀 측으로 가이드하면서 결선 크로스를 방지하고, 쇼트 방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선용 돌출 돌기(130)의 끝단부는 상향 돌출부(131)가 형성되어 코일단부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용 돌출 돌기(130)는 상단 플랜지(121)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돌출 블록(132)의 외측에 형성되며, 두 돌출 블록(132) 사이의 공간은 코어 부재(400)(상부 코어 부재(41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단 플랜지(122)의 외측을 향하는 면의 양 가장자리에는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결합 시 그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에 형성되는 위치고정 결합구멍 또는 위치고정 결합홈에 결합되는 위치고정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 결합돌기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 수단(300)의 일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단 플랜지(121)와 하단 플랜지(122) 각각의 양 가장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 수단(300)의 일 구성요소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빈 본체(100)는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는, 상기 보빈 본체(100)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단자 연결핀(2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는, 상면과 전후면(보빈 본체(100)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한 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함체형 바디(210)와, 상기 함체형 바디(210)의 일측 가장자리, 즉 보빈 본체(100)에 결합되는 측의 반대 측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핀 고정블록(220), 및 상기 단자핀 고정블록(220)에 형성되는 단자 연결핀(23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연결핀(230)은 상기 단자핀 고정블록(220)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수평하게 구비되어 코일 단부가 접속되는 코일 접속핀부(231), 및 타단부는 상기 함체형 바디(210)의 바닥측으로 연장되게, 다시 말해서 상기 코일 접속핀부(231)와 직교하게 형성되며 상기 함체형 바디(210)의 바닥 측으로 연장되어 PCB에 접속되는 PCB 접속핀부(23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는 고정블록(220)에 단자 연결핀(230)이 인서트 몰딩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는 아래의 결합 수단(300)을 통해 보빈 본체(100)에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보빈 본체(100)는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결합 전에 코일의 적층 권선을 자동 권선 장치로 권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단자 연결핀(230)은 코일 단부의 접속과 PCB로의 접속을 위한 방향성을 갖는 상태로 제작됨으로써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 수단(300)은 상기 보빈 본체(100)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 간에 구성되어 보빈 본체(100)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수단(300)은 상기 함체형 바디(210)의 양측벽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310), 및 상기 상단 플랜지(121)와 하단 플랜지(1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 돌기(310)와 상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320) 또는 결합구멍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300)은 상기 하단 플랜지(122)의 배면 양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고정 결합돌기(330), 및 상기 함체형 바디(100)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 본체(100)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 간의 결합 시 상기 위치고정 결합돌기(330)가 삽입되는 위치고정 결합홈(340) 또는 위치고정 결합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400; 410, 420)는, 상기 보빈 본체(100)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코어 부재(410)와 하부 코어 부재(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코어 부재(410)와 하부 코어 부재(420)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판상 베이스부(401)와, 상기 판상 베이스부(401)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상기 보빈 본체(100)의 중앙 관통부(101)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그 중앙 관통부(101)로 삽입되는 삽입부(402)와, 상기 판상 베이스부(401)의 대향하는 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리부(403), 및 상기 삽입부(401)와 다리부(403)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보빈 본체(100)의 테두리부와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빈 본체(100)의 중앙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40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코어 부재(410)와 하부 코어 부재(420)는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는 외측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보빈 본체(100)의 상하부 측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형 코어 부재(500)는,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PCB 접속핀부(232)가 관통하는 접속핀 관통구멍(51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결합 수단(300)에 의해 결합된 보빈 본체(100)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구(520)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는 상기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410, 420) 간에 갭(gap)을 형성시켜 파워 손실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코어 갭 형성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600)는 절연성 재질의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코어(410)의 다리부(403)와 하부 코어(420)의 다리부(403)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600)의 양단부는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측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 코어(410)의 다리부(403)와 하부 코어(420)의 다리부(403)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함체형 바디(210)의 양측벽 외면에는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600)의 양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 슬롯(240)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600)가 상기 상부 코어(410)의 다리부(403)와 하부 코어(420)의 다리부(403)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될 때 그 코어 갭 형성 부재(600)의 양단부가 상기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200)의 끼움 결합 슬롯(240)으로 끼움 결합되어 보다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의하면, 보빈에 코일이 자동 권선 방식으로 권선할 수 있어 권선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코일이 권선되고 배선된 보빈과 PCB 장착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접속 단자핀을 갖는 단자 브라켓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보빈과 단자 브라켓 간이 조립된 어셈블리를 PCB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 코어부 간의 갭(gap)을 최대화하여 파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보빈 본체
101: 중앙 관통부
110: 중앙 바디
120: 상하단 플랜지
121: 상단 플랜지
122: 하단 플랜지
130: 배선용 돌출 돌기
131: 상향 돌출부
132: 돌출 블록
200: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
210: 함체형 바디
220: 단자핀 고정블록
230: 단자 연결핀
231: 코일 접속핀부
232: PCB 접속핀부
240: 끼움 결합 슬롯
300: 결합 수단
310: 결합 돌기
320: 결합홈
330: 위치고정 결합돌기
340: 위치고정 결합홈
400: 상하부 코어 부재
401: 판상 베이스부
402: 삽입부
403: 다리부
404: 안착부
410: 상부 코어 부재
420: 하부 코어 부재
500: 판형 코어 부재
510: 접속핀 관통구멍
520: 장착구
600: 코어 갭 형성 부재

Claims (8)

  1. 중앙부 외면에 코일이 권선되게 형성되는 보빈 본체; 상기 보빈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접속 단자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 상기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 간에 구성되어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수단; 상기 보빈 본체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 및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의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판형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 본체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앙 바디; 상기 중앙 바디의 상단 및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및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하나의 양단부에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빈 본체에 구비되는 코일의 단부를 이격시켜 가이드하여 배선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선용 돌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는, 상면과 전후면이 개방되며, 양측벽을 갖고 형성되는 함체형 바디; 상기 함체형 바디의 일측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핀 고정블록; 및 상기 단자핀 고정블록에 형성되는 단자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함체형 바디의 양측벽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 돌기와 상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 플랜지의 배면 양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고정 결합돌기, 및 상기 함체형 바디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고정 결합홈 또는 위치고정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핀은, 일단부는 수평하게 구비되어 코일 단부가 접속되는 코일 접속핀부, 및 타단부는 상기 함체형 바디의 바닥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PCB 접속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형 코어 부재는, 상기 PCB 접속핀부가 관통하는 접속핀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보빈 본체와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의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블록형 코어 부재 간의 양 접촉부에 개재되어 코어 부재 간에 갭(gap)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코어 갭 형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어 부재는 상기 보빈 본체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 각각은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판상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상기 보빈 본체의 중앙 관통부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그 중앙 관통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판상 베이스부의 대향하는 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는 절연성 재질의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 갭 형성 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단자핀 연결브라켓 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끼음 결합 슬롯에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코어의 다리부와 하부 코어의 다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0200002881U 2020-08-06 2020-08-06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0495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881U KR200495034Y1 (ko) 2020-08-06 2020-08-06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881U KR200495034Y1 (ko) 2020-08-06 2020-08-06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89U KR20220000389U (ko) 2022-02-15
KR200495034Y1 true KR200495034Y1 (ko) 2022-02-18

Family

ID=8025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881U KR200495034Y1 (ko) 2020-08-06 2020-08-06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75B1 (ko) * 2022-05-26 2024-03-27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5214A (ja) * 2000-05-30 2001-12-14 Kawaguchiko Seimitsu Co Ltd 表面実装型小型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KR101124147B1 (ko) * 2010-12-29 2012-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88819B1 (ko) * 2012-06-28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89787Y1 (ko) 2016-08-29 2019-08-07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장치
KR101851653B1 (ko) 2017-08-11 2018-04-25 (주)아세아에프에이 트랜스포머
KR102174306B1 (ko) 2018-10-10 2020-11-04 이주열 성능 개선을 위한 절연 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5214A (ja) * 2000-05-30 2001-12-14 Kawaguchiko Seimitsu Co Ltd 表面実装型小型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89U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449B2 (en) Transformer and plate coil molded body
TWI381612B (zh) 變壓器結構
US8102237B2 (en) Low profile coil-wound bobbin
US6927650B2 (en) Common mode choke coil with vertically arranged edgewise windings of rectangular wire
US20110090037A1 (en) Transformer structure
KR20150050025A (ko) 코일 부품
KR200496224Y1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US7911309B2 (en) Conductive winding module and transformer having such conductive winding module
KR101989172B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0495034Y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0495510Y1 (ko) 슬림형 트랜스포머
KR102399391B1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102143868B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0338261Y1 (ko) 트랜스포머
KR101779071B1 (ko) Llc 회로용 트랜스포머
KR101090003B1 (ko) 트랜스포머
KR20190124167A (ko) 평판형 트랜스포머의 코일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11978585B2 (en) Coi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bobbin for coil used therein
KR102550269B1 (ko) 회전 방식으로 조립되는 트랜스포머
JP2003092222A (ja) トランス
GB2211669A (en) A compact transformer core
KR200333806Y1 (ko) 어댑터의 단자접속구조
KR102143867B1 (ko) Pfc용 슬림 트랜스포머
KR102281278B1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KR102262613B1 (ko) 평판형 변압기용 코일체 어셈블리 및 평판형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