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675B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675B1
KR102651675B1 KR1020220064764A KR20220064764A KR102651675B1 KR 102651675 B1 KR102651675 B1 KR 102651675B1 KR 1020220064764 A KR1020220064764 A KR 1020220064764A KR 20220064764 A KR20220064764 A KR 20220064764A KR 102651675 B1 KR102651675 B1 KR 102651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in
terminal
terminal por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4969A (ko
Inventor
윤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riority to KR102022006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675B1/ko
Publication of KR2023016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제1 보빈(110), 상기 제1 보빈(110)과 결합되는 제2 보빈(150), 및 상기 제1 보빈(110)과 결합된 제2 보빈(150)에 결합되는 코어(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1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제1 단자부(116)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제1 단자핀(130)과, 상기 제1 단자부(116)와 반대 방향인 상기 제2 보빈(15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제2 단자부(156)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과, 상기 제2 단자부(156)와 동일한 방향인 상기 제2 보빈(15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제3 단자부(157)에 체결된 제1 안착핀(181)과, 상기 제1 단자부(116)와 동일한 방향인 상기 제2 보빈(15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4 단자부(158)에 체결된 제2 안착핀(18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기판에 실장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이 기판의 절개부(s)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어져 고정되므로 기판에 유동없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고 기판(P)에 실장되는 높이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포머는 전기를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 공급장치이다.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하며,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2차 코일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1차 코일의 전압과 전달되는 2차 코일의 전압의 비는 코일을 감는 권선수의 비와 대응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 주위를 둘러싼 자기장이 2차 코일 주위에 전압을 유도하며, 코일에 감은 권선수의 비를 변화시켜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단자핀 하나에 여러 리드선을 결선하여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어려워 쇼트 발생 위험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 개의 단자핀을 구비하고 단자핀 하나 당 하나의 리드선을 결선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트랜스포머 전체 부피가 커지는 문제와 코일 단부 리드선의 권선 교차 문제로 리드선 절연튜브를 사용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수작업으로 제조가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123996호(2012.02.28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고정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기판 실장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가능하고 리드선의 권선 교차가 방지되며 작업성이 향상되며 자동 권선이 가능하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결합되는 제2 보빈, 및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제1 단자부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제1 단자핀과 상기 제1 보빈의 일측과 반대쪽인 상기 제2 보빈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제2 단자부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제2 단자핀과 상기 제2 보빈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제3 단자부에 체결된 제1 안착핀과 상기 제1 보빈의 일측과 같은쪽인 상기 제2 보빈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4 단자부에 체결된 제2 안착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1 단자핀의 단부와 상기 제2 단자핀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자핀 및 상기 제2 단자핀과 이격된다.
상기 제1 안착핀들 사이의 폭은 상기 제2 안착핀들 사이의 폭보다 넓다.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3 단자부와 상기 제4 단자부에서 각각 돌출되고 1회 이상 절곡되어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상이다.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3 단자부와 상기 제4 단자부에서 각각 돌출된 후 상부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하부로 절곡된다.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3 단자부와 상기 제4 단자부에서 돌출된 부분이 기판이 실장시 상기 기판의 상면보다 낮다.
상기 제2 단자부와 상기 제3 단자부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와 고정돌기들 사이에 요입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보빈의 상단 플랜지의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이 분리된 두 몸체로 되며, 각 단부에 핀홈이 형성된 안내돌기와 안내홈이 교대로 형성된 구조로 된다.
상기 제1 단자부의 중앙은 상기 상단 플랜지 방향으로 요입되어,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이 결합시, 상기 제1 보빈의 권선부에 권선된 1차 코일을 인출하는 인출공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보빈은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안착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1 단자핀과 제2 단자핀의 사이에 제1 안착핀과 제2 안착핀을 포함하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 실장시 제1 안착핀과 제2 안착핀이 기판 절개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어져 안착되는 형태로 고정되므로 트랜스포머의 기판 실장 높이를 줄일 수 있고, 트랜스포머의 제작시 몰딩 등으로 저면을 평평하게 제작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기판 실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보빈의 단자부가 상하 병렬 구조로 되므로 2차 코일의 리드선 결선 구조를 단자부의 고정돌기에 감는 구조 또는 걸어 올리는 구조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코일의 리드선의 권선 교차를 방지할 수 있고 자동 권선이 가능하므로 트랜스포머 제작시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A 방향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빈에 1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 및 제2 단자핀에 2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의 일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빈과 제2 보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기판에 실장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A 방향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100)는 제1 보빈(110), 제1 보빈(110)과 결합되는 제2 보빈(150) 및 제1 보빈(110)과 결합된 제2 보빈(150)에 결합되는 코어(190)를 포함한다.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부품을 의미한다. 트랜스포머(100)는 인버터, 컨버터 또는 정류회로 등 전원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보빈(110)에 1차 코일(120)이 권선되고, 제2 보빈(150)에 2차 코일(160)이 권선된다. 제1 보빈(110)에는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이 결선되는 제1 단자핀(130)이 구비되고, 제2 보빈(150)에는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결선되는 제2 단자핀(170)이 구비된다.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은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에서 각각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형상이다.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은 강도 및 내구성이 있고 전기전도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제1 단자핀(130)은 입력용 단자핀이고, 제2 단자핀(170)은 출력용 단자핀일 수 있다. 제1 단자핀(130)은 다수 개이고 서로 이격되며 1열을 형성한다. 제2 단자핀(170)은 다수 개이고, 서로 이격되며 1열을 형성한다. 하나의 트랜스포머에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을 구비하며, 제1 단자핀(130)의 개수에 비해 제2 단자핀(170)의 개수가 많을 수 있다.
실시예의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120)에 대한 2차 코일(160)의 권선비, 코일 두께를 여러가지로 채용하고 선택할 수 있어, 입력전압에 대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트랜스포머(100)는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에 결합되고, 제1 보빈(110)과 결합된 제2 보빈(150)에 코어(190)가 결합된 구조로 된다. 코어(190)는 제1 보빈(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12)에 일부가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한다. 코어(190)는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를 포함한다.
트랜스포머(100)는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을 구비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트랜스포머(100)를 기판에 실장시 위치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트랜스포머(100)를 기판에 실장시 기판의 상면에 걸어지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제1 안착핀들(181) 사이의 폭은 제2 안착핀들(182) 사이의 폭보다 넓어 기판에 실장시 기판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단자핀(130) 및 제2 단자핀(170)과 이격된다. 또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2 보빈(1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1회 이상 절곡되어 기판의 상면에 안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절곡 높이를 조절하여 트랜스포머(11)의 기판 실장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1 단자핀(130) 및 제2 단자핀(17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는 단면이 E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이 결합되어 코일을 둘러쌈으로써 자로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190)는 강한 자속을 얻을 수 있는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높은 주파수에서 손실이 적은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는 Mn-Zn계 페라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은 트랜스포머(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한다.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은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빈(110)은 1차 코일(120)이 권선되는 제1 권선부(111)와 제1 권선부(111)를 사이에 두고 1차 코일(1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단 플랜지(113)와 하단 플랜지(115)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제1 권선부(111)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에 1차 코일(120)을 권선할 수 있다. 제1 권선부(111)의 내측은 결합공(112)이 되며, 결합공(112)에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의 일부가 삽입된다.
제1 보빈(110)은 상부 삽입 구조이다. 제1 보빈(110)은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움 결합된다. 제1 보빈(110)은 하단 플랜지(115)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제1 단차면(115a)이 형성되고, 상부 플랜지(113)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제2 단차면(113a)이 형성된다.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에 결합되면, 제1 보빈(110)의 제1 단차면(115a)은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의 하측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되고 제2 단차면(113a)은 관통공(152)의 상측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된다.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의 상측 가장자리 상면은 스토퍼면(153a)이고,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의 하측 가장자리 상면은 관통공(152)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안착면(155a)을 의미한다. 안착면(155a)은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에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빈(110)의 제1 단차면(115a)과 제2 단차면(113a)은 제1 보빈(110)을 제2 보빈(150)에 끼움 결합하기 용이하고 끼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에 결합되면 1차 코일(120)이 안쪽에 배치되고 1차 코일(120)의 바깥쪽에 2차 코일(160)이 배치된다.
제1 보빈(110)에 1차 코일(120)의 권선 후 제1 권선부(111)를 절연테이프(T)로 테이핑하여 1차 코일(120)을 외부와 절연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권선부(111)에 1차 코일(120)을 권선하는 작업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하는 작업을 교대로 수행하여 1차 코일(120) 간을 절연할 수 있다. 절연테이프(T)는 권선코일의 층간 절연에 적합한 다양한 종류가 적용 가능하다.
제1 보빈(110)의 일측 상부에 제1 단자부(11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보빈(110)은 상단 플랜지(113)의 일단에 제1 단자부(116)가 형성된다. 제1 단자부(116)에 다수 개의 제1 단자핀(130)이 체결된다. 제1 단자핀(130)에는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된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이 결선된다. 제1 단자부(116)는 상단 플랜지(113)와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부(116)는 상단 플랜지(115)의 일단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단자부(116)는 후술할 제2 보빈(150)의 상부 플랜지(155)에 비해 연장된 길이가 더 길다. 제1 단자부(116)의 형상은 제2 보빈(150)의 제2 단자부(156)와 균형 및 높이 등을 맞추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자부(116)는 중앙이 분리된 두 몸체로 된다. 즉, 제1 단자부(116)는 일측 제1 단자부(116a) 및, 제1 단자부(116a)와 일정 간격 이격된 타측 제1 단자부(116b)로 구분할 수 있다. 일측 제1 단자부(116a)와 타측 제1 단자부(116b)의 사이 공간을 통해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된 1차 코일(120)이 제1 단자부(116)의 상면으로 안내되고 제1 단자핀(130)에 권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빈에 1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단자부(116)의 상면은 중앙부분이 하방으로 단차져 안내공간을 형성하며, 안내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자부(116)의 상면에는 안내돌기(117)와 안내홈(118)이 교대로 형성된다. 안내돌기(117)는 제1 단자부(116)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홈(118)은 안내돌기(117)들 사이 또는 안내돌기(117)의 일측 또는 타측에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내돌기(117)와 안내홈(118)은 제1 단자부(116)의 상면으로 안내된 1차 코일(120)을 제1 단자핀(130) 방향으로 안내하고 1차 코일(120)들의 리드선(121)을 안내홈(118)을 통해 서로 분리하여 각각의 제1 단자핀(130)에 권선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의 경우, 2종류의 1차 코일(120)이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되고, 1차 코일(120)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4가닥의 리드선이 4개의 안내홈(118)을 통해 각각 안내되고 각 안내홈(118)과 인접한 제1 단자핀(130)에 각각 결선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1차 코일(120)은 절연재질로 피복된 상태이고, 안내홈(118)에 안내된 위치에서 리드선(121)을 노출시킨 다음, 각각의 제1 단자핀(130)에 결선할 수 있다.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을 제1 단자핀(130)에 결선한 후에는 결선 부위를 납땜하여 결선된 상태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부(116)의 상면은 하방으로 단차져 안내공간을 형성하므로,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된 후 제1 단자핀(130)에 결선하기 하기 위해 상부로 인출된 1차 코일(120) 단부 부분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을 제1 단자핀(130)에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단자부(116)에는 다수 개의 제1 단자핀(130)이 1열로 체결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핀(130)은 4개의 안내돌기(117)에 각각 하나씩 체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 단자부(116)의 각 안내돌기(117)에는 핀홈이 형성되어 제1 단자핀(130)을 체결할 수 있으며, 핀홈에 체결된 제1 단자핀(130)은 제1 단자부에서 각각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핀(13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자핀(130)은 전기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제1 단자부(116)의 가장자리에는 위치맞춤공(113b)이 형성된다. 위치맞춤공(113b)은 제2 보빈(150)의 상부 플랜지(153)의 상면에 형성된 위치맞춤돌기(153b)가 삽입된다. 위치맞춤공(113b)과 위치맞춤돌기(153b)는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의 결합시 제1 단자부(116)의 유동없는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보빈(150)은 2차 코일(160)이 권선되는 제2 권선부(151)와 제2 권선부(151)를 사이에 두고 2차 코일(160)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플랜지(153)와 하부 플랜지(155)를 포함한다.
제2 권선부(151)는 관(tube)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할 수 있다. 제2 권선부(151)의 내측은 관통공(152)이 되며, 관통공(152)에 제1 보빈(110)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된다. 제1 보빈(110)의 제1 단자핀(130)이 상단 플랜지(113)측에 구비되므로 제1 보빈(110)을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움 결합해야 한다.
제2 보빈(150)은 관통공(152)의 상측 가장자리 상면이 제1 보빈(110)의 제2 단차면(113a)과 겹쳐지는 스토퍼면(153a)을 형성한다. 스토퍼면(153a)은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에 끼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제2 보빈(150)은 관통공(152)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안착면(155a)이 제1 보빈(110)의 제1 단차면(115a)과 겹쳐진다. 안착면(155a)은 스토퍼면(153a)과 마찬가지로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에 끼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제2 보빈(150)에 2차 코일(160)의 권선 후 제2 권선부(151)를 절연테이프(T)로 테이핑하여 2차 코일(160)을 외부와 절연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권선부(151)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하는 작업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하는 작업을 교대로 수행하여 2차 코일(160) 간을 절연할 수 있다. 절연테이프(T)는 권선코일의 층간 절연에 적합한 다양한 종류가 적용 가능하다.
제2 보빈(150)은 제2 단자부(156), 제3 단자부(157) 및 제4 단자부(158)를 포함한다. 제2 단자부(156)는 제1 단자부(116)와 반대 방향인 제2 보빈(150)의 상부 플랜지(153)의 타단에 형성되고, 제3 단자부(157)는 제2 단자부(156)와 동일한 방향인 하부 플랜지(155)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4 단자부(158)는 제1 단자부(116)와 동일한 방향인 하부 플랜지(155)의 일단에 형성된다. 즉, 제2 단자부(156)와 제3 단자부(157)가 동일한 방향에 상하로 형성되고, 제4 단자부(158)가 제1 보빈(110)의 제1 단자부(116)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된다.
제2 단자부(156)에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이 체결되며, 제2 단자핀(170)에는 제2 권선부(151)에 권선된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결선된다.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은 제2 단자부(156)에 1열로 돌출되고 하방으로 절곡되며 서로 이격되어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2 단자부(156)는 제2 보빈(110)의 상부 플랜지(153)의 일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플랜지(153)의 일단은 제1 보빈(110)에 형성된 제1 단자부(116)와 대향되는 방향, 즉 반대측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보빈(150)에 제1 보빈(110)이 결합되면, 제2 단자부(156)는 제1 단자부(116)와 반대방향에 위치된다. 일 예로, 제2 보빈(150)에 제1 보빈(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상부에 제1 단자부(116)가 위치되고, 반대되는 타측 상부에 제2 단자부(156)가 위치된다.
제2 단자핀(170)은 절곡되어 제1 단자핀(130)과 단부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제2 단자부(156)는 단자핀홈(156')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156a)와 고정돌기(156a)들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156b)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단자부(156)의 단자핀홈(156')에 제2 단자핀(170)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56b)은 제2 권선부(151)에 권선된 2차 코일(160)의 리드선을 다른 리드선과 교차하지 않고 분리 안내하여 해당 제2 단자핀(170)에 안정적으로 결선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 및 제2 단자핀에 2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의 일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돌기(156a)는 선단 양측에 확장턱(156a')이 형성되어, 고정돌기(156a)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지지홈(156b)의 선단 입구 폭을 내부 폭에 비해 좁게 한다. 고정돌기(156a)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고정돌기(156a)에 1회 이상 감은 다음 제2 단자핀(170)에 결선하여 고정돌기(156a)에 리드선(161)이 안정적으로 감겨질 수 있고, 제2 단자핀(170)에 리드선(161)을 결선하는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56b)의 선단 입구 폭이 내부 폭에 비해 좁게 되어 지지홈(156b)으로 안내된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지지홈(156b)을 통해 안정적으로 분리되어 안내될 수 있고 제2 단자핀(170)에 결선하는 작업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3 단자부(157)에 제1 안착핀(181)이 체결되고, 제4 단자부(158)에 제2 안착핀(182)이 체결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각각 한 쌍으로 된다. 한 쌍의 제1 안착핀(181)과 한 쌍의 제2 안착핀(182)은 각각 기판(P)의 상면에 안착되어 트랜스포머(11)를 기판에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단자핀(130) 및 제2 단자핀(170)과 이격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3 단자부(157)와 제4 단자부(158)에 각각 돌출되고 상부로 1회 이상 절곡되어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3 단자부(157)와 제4 단자부(158)에서 각각 돌출된 후 상부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하부로 절곡된 형상이다. 또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3 단자부(157)와 제4 단자부(158)에서 돌출된 부분이 기판이 실장시 기판의 상면보다 낮아, 트랜스포머(100)가 기판에 실장되는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제3 단자부(157)는 제2 단자부(156)와 마찬가지로 핀홈(157')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57a)와 고정돌기들(157a) 사이에 요입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157b)을 포함한다. 제3 단자부(157)의 고정돌기(157a)는 선단 양측에 확장턱이 형성되어, 고정돌기(157a)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지지홈(157b)의 선단 입구 폭을 내부 폭에 비해 좁게 한다. 제3 단자부(157)의 고정돌기(156a)에 형성된 핀홈(157')에 제1 안착핀(181)이 선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안착핀(181)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고정돌기(157a)의 핀홈(157')에 하나씩 2개가 체결된다.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은 제3 단자부(157)의 고정돌기(157a) 중 하나에 1회 이상 감긴 다음 상부 플랜지(153)에 형성된 제2 단자핀(170)에 결선됨으로써 리드선(161) 간 권선교차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단자부(157)는 제1 안착핀(181)을 고정하는 역할과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 중 일부를 감거나 걸어준 다음 제2 단자핀(170)에 결선함으로써 리드선 간 권선 교차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제4 단자부(158)는 핀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돌기(158a)를 포함한다. 장착돌기(158a)의 핀홈에 제2 안착핀(182)이 체결된다. 장착돌기(158a)의 핀홈에 체결된 제2 안착핀(182)은 1회 이상 절곡되어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된다. 또한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된다.
제3 단자부(157)는 제2 단자부(156)와 마찬가지로 고정돌기와 고정홈의 구조로 채용하여 제1 안착핀(181)을 고정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걸거나 감을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제4 단자부(158)는 제3 단자부(157)의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걸거나 감을 필요가 없으므로 제2 안착핀(182)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장착돌기(158a)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빈과 제2 보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상부에 제1 단자부(116)가 위치되고, 반대되는 타측 상부에 제2 단자부(156)가 위치된다. 제1 단자부(116)에서 제1 단자핀(130)이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되며 제2 단자부(156)에서 제2 단자핀(170)이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다.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의 단부는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단자부(116)의 중앙은 분리되고 중앙 부분이 상단 플랜지(113) 방향으로 일부 요입되어,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이 결합시 제1 보빈(110)의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된 1차 코일(120)을 인출하는 인출공(116c)을 형성한다. 인출공(116c)을 통해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이 제1 보빈(110)의 상면으로 인출될 수 있고 제1 단자부(116)의 제1 단자핀(130)에 결선될 수 있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로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1 단자핀(130) 및 제2 단자핀(170)의 단부에 비해 단부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는 기판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트랜스포머(11)를 실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을 기판(P)의 상면에 걸어 안착시킴으로써 트랜스포머(11)를 기판에 안정적으로 실장할 수 있다.
상술한 트랜스포머(100)에서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은 제1 권선부(111)에 1차 코일(120)을 권선하고 제1 단자핀(130)에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을 결선하는 작업과, 제2 권선부(151)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하고 제2 단자핀(170)에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결선하는 작업을 완료한 다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의 절곡과정에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의 절단 및 절곡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보빈(150)의 제2 단자부(156)와 제3 단자부(157)에 다수 개의 단자핀홈(156')이 형성되고, 다수 개의 단자핀홈(156')에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이 각각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이 사출에 의해 제2 보빈(150)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형에서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의 위치를 잡아놓고 제2 보빈(150)을 사출 성형하면 제2 보빈(150)에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 경우,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이 제2 보빈(15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2 단자핀(170)의 길이가 길어도 핀이 휘거나 고정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수 개의 단자핀홈(156')에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실시예의 제2 보빈(150)은 제2 보빈(150)의 제작 후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을 필요한 위치의 단자핀홈(156')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대량 양산에 유리하고, 제2 단자핀(170)과 제1 안착핀(181)이 사출에 의해 제2 보빈(150)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는 맞춤형 생산에 유리하다.
제1 단자핀(130)과 제2 안착핀(182)도 사출에 의해 제1 보빈(11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기판에 실장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트랜스포머(11)는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이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양측 상부의 제1 단자부(116)와 제2 단자부(156)에서 각각 돌출되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단부가 동일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11)는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양측 하부의 제2 단자부(156)와 제4 단자부에서 각각 돌출되고 상방으로 1회 이상 절곡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을 포함한다.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은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과 이격되며, 단부가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 측에 위치한다.
상기한 트랜스포머(100)는 기판(P)에 형성한 절개부(s)에 일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100)의 중앙 부분이 기판(P)의 절개부(s)에 삽입되며 양측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이 기판(P)에 형성한 핀홈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기판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트랜스포머(11)는 양측 하부의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이 기판(P)의 절개부(s)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어져 안착되는 형태로 고정되므로 트랜스포머(11)의 일부가 절개부(s)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100)를 기판(P)에 실장하면, 트랜스포머(100)를 기판(P)에 실장할 때 플립칩 형태로 실장이 가능하여 기판 실장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핀(181)과 제2 안착핀(182)의 절곡 높이를 조절하여 트랜스포머(11)가 기판(P)에 실장되는 높이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00)는 제2 단자부(156)와 제3 단자부(157)가 상하 병렬 구조로 되므로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의 결선 구조를 제2 단자부(156)의 고정돌기(156a)에 감는 구조 또는 걸어 올리는 구조를 채용하거나 제3 단자부(157)의 고정돌기(157a)에 감는 구조 또는 걸어 올리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리드선 권선 교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드선을 고정돌기에 걸어 올리는 구조는 자동화기기에서 자동 권선도 가능하므로 트랜스포머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100)는 기판(P)에 실장할 때 기판(P)에 절개부(s)를 두어 기판(P)에 삽입식으로 배치하여 기판 실장 높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상술한 트랜스포머(100)는 TV, 모니터, LED 드라이브 전원장치, PC 파워서플라이 등에 설치하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트랜스포머 110: 제1 보빈
111: 제1 권선부 112: 결합공
113: 상단 플랜지 113a: 제2 단차면
113b: 위치맞춤공 115: 하단 플랜지
115a: 제1 단차면 116: 제1 단자부
116c: 인출공 120: 1차 코일
121: 리드선 130: 제1 단자핀
150: 제2 보빈 151: 제2 권선부
152: 관통공 153: 상부 플랜지
155: 하부 플랜지 156: 제2 단자부
156': 단자핀홈 156a: 고정돌기
156a': 확장턱 156b: 지지홈
157: 제3 단자부 158: 제4 단자부
160: 2차 코일 161: 리드선
170: 제2 단자핀 181: 제1 안착핀
182: 제2 안착핀 190: 코어
191: 상부코어 192: 하부코어

Claims (10)

  1.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결합되는 제2 보빈, 및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제1 단자부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제1 단자핀;
    상기 제1 보빈의 일측과 반대쪽인 상기 제2 보빈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제2 단자부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제2 단자핀;
    상기 제2 보빈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제3 단자부에 체결된 제1 안착핀; 및
    상기 제1 보빈의 일측과 같은쪽인 상기 제2 보빈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4 단자부에 체결된 제2 안착핀;
    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1 단자핀의 단부와 상기 제2 단자핀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자핀 및 상기 제2 단자핀과 이격된 트랜스포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핀들 사이의 폭은 상기 제2 안착핀들 사이의 폭보다 넓은 트랜스포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3 단자부와 상기 제4 단자부에서 각각 돌출되고 1회 이상 절곡되어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상인 트랜스포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3 단자부와 상기 제4 단자부에서 각각 돌출된 후 상부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하부로 절곡된 트랜스포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핀과 상기 제2 안착핀은 상기 제3 단자부와 상기 제4 단자부에서 돌출된 부분이 기판이 실장시 상기 기판의 상면보다 낮은 트랜스포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와 상기 제3 단자부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와
    고정돌기들 사이에 요입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보빈의 상단 플랜지의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이 분리된 두 몸체로 되며, 각 단부에 핀홈이 형성된 안내돌기와 안내홈이 교대로 형성된 구조로 되는 트랜스포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의 중앙은 상기 상단 플랜지 방향으로 요입되어,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이 결합시, 상기 제1 보빈의 권선부에 권선된 1차 코일을 인출하는 인출공을 형성하는 트랜스포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빈은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안착면이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KR1020220064764A 2022-05-26 2022-05-26 트랜스포머 KR10265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764A KR102651675B1 (ko) 2022-05-26 2022-05-26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764A KR102651675B1 (ko) 2022-05-26 2022-05-26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69A KR20230164969A (ko) 2023-12-05
KR102651675B1 true KR102651675B1 (ko) 2024-03-27

Family

ID=8915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764A KR102651675B1 (ko) 2022-05-26 2022-05-26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6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476A (ja) 2008-12-24 2010-07-08 Tdk Corp 縦型コイル部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147B1 (ko) * 2010-12-29 2012-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3996B1 (ko) 2010-08-11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95034Y1 (ko) * 2020-08-06 2022-02-18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0495510Y1 (ko) * 2020-10-16 2022-06-10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476A (ja) 2008-12-24 2010-07-08 Tdk Corp 縦型コイル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69A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779883B2 (en) Coil device
JP5777005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EP2012330A2 (en) Insulating cover-equipped transformer mounted on circuit board
US8791786B2 (en) Coil device
WO2018228154A1 (zh) 变压器骨架
KR101240854B1 (ko) 트랜스포머
CN103915246B (zh) 线圈部件
US20120286919A1 (en) Coil component
CN110571026A (zh) 电感骨架及电感装置
KR102651675B1 (ko) 트랜스포머
KR101168323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US6046662A (en) Low profile surface mount transformer
JP2008235807A (ja) インダクタ部品
US6060974A (en) Header plate for a low profile surface mount transformer
JP59498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04179B1 (ko) 스위칭 트랜스
KR20230164968A (ko) 트랜스포머
US20170047159A1 (en) Transformer and power source device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3515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42560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N116666079A (zh) 一种变压器
CN116646155A (zh) 一种新型变压器
KR102647723B1 (ko)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