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560A -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560A
KR20160042560A KR1020140136631A KR20140136631A KR20160042560A KR 20160042560 A KR20160042560 A KR 20160042560A KR 1020140136631 A KR1020140136631 A KR 1020140136631A KR 20140136631 A KR20140136631 A KR 20140136631A KR 20160042560 A KR20160042560 A KR 20160042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late
bobbin
external connec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안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4013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2560A/ko
Priority to CN201510165877.0A priority patent/CN106158240A/zh
Publication of KR2016004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 대전류나 대전력에 활용될 수 있는 코일 부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판형 코일, 상기 판형 코일이 배치되는 권선 공간과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가 접합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단자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형 코일과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코일 부품을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는 기본적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코일 부품 즉 트랜스포머가 탑재되는데,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일반적으로 보빈에 코일이 권선되고, 코어가 보빈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코일 부품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코일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코일 저항의 저감, 코일 방열 특성 개선, 절연 특성 설계 등이 고려되고 있다.
특히 수 A ~ 수십 A의 큰 전류를 코일 부품에 인가하는 경우, 코일의 도전체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매우 커지게 되어 일반적인 와이어(wire) 형태의 절연 코일만으로는 손실을 줄이기 어렵다.
일본공개특허 제2010-0277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 대전류나 대전력에 활용될 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판형 코일, 상기 판형 코일이 배치되는 권선 공간과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가 접합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단자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형 코일과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판형 코일 및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판형 코일이 결합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판형 코일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제조 방법은, 보빈에 와이어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 상기 보빈에 판형 코일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판형 코일과 상기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를 접합하는 단계, 및 코어를 상기 보빈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판형 코일을 포함하므로 대전력, 대전류에 적용이 가능하며, 방열 및 절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판형 코일을 포함하더라도 핀 형태의 외부 접속 단자들을 통해 메인 기판에 실장되므로, 판형 코일의 리드부를 메인 기판에 직접 접합할 필요가 없어 코일 부품의 실장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판형 코일과 외부 접속 단자가 도전성 접착제에 일괄적으로 접합되므로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판형 코일에 형성된 결합 홈과 보빈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 제조 과정에서 판형 코일 리드부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리드부의 움직임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솔더링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로, 와이어 코일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로, 코어를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전원공급장치에 탑재되는 대전력, 대전류용 트랜스포머일 수 있으며, 보빈(10), 코어(40), 및 코일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빈(10)은 코일 부품(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한다. 보빈(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보빈(1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일단에 형성되는 단자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3)와, 몸체부(13)의 일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베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의 내부에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몸체부(13)의 외주면에는 코일(50)의 권선 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5, 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5, 16)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 공간은 격벽(15, 16)과 베이스(17)에 의해 구분된다. 그리고 격벽(15, 16)은 제1 격벽(16)과 제2 격벽(15)을 포함한다.
제1 격벽(16)은 후술되는 베이스(17)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격벽(16)과 베이스(17) 사이에는 제1 권선 공간이 형성된다.
제2 격벽(15)은 제1 격벽(16)의 상부에 배치되며, 이에 제1 격벽(16)과 제2 격벽(15) 사이에는 제2 권선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격벽(15)은 몸체부(13)의 끝단이 아닌, 몸체부(13)의 끝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격벽(15)의 상부에는 몸체부(13)의 일부가 돌출되며, 몸체부(13)가 돌출된 부분에 의해 제2 격벽(15)의 상부에는 제3 권선 공간이 형성된다.
제3 권선 공간에는 후술되는 판형 코일(55)이 배치된다. 따라서, 판형 코일(55)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제2 격벽(15)의 상부면에는 몸체부(13) 외에도 다수의 고정 돌기들(18)이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기(18)는 판형 코일(55)이 제2 격벽(15)의 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 돌기(18)는 판형 코일들(55)의 사이에서 돌출되며, 필요에 따라 판형 코일들(55)의 두께 이상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기(18)는 판형 코일(55)의 형상에 따라 직선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형 코일(55)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권선 공간에는 1차측 코일이 권선되고, 제2 권선 공간에는 2차측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코일들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제1 격벽(16)은 베이스와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제2 격벽(15)은 제1 격벽(16)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5, 16)은 그 형태를 유지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두께 및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5, 16)이 보빈(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독립적인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보빈(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베이스(17)는 몸체부(13)의 하단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권선 공간에 권선되는 코일들(51)을 지지한다. 따라서 베이스(17)는 제1 격벽(16)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7)의 양단에는 단자부(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20)는 베이스(17)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17)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20)는 베이스(17)에서 부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베이스(17)와 단자부(20)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단자부(20)는 베이스(17) 자체로 이해될 수도 있다.
외부 접속 단자(30)는 단자부(2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단자부(20)에 체결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30)는 일단이 단자부(20)의 측면에 체결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핀(Pin)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접속 단자(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 부품의 형태나 구조, 또는 코일 부품이 장착되는 기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자부(20)는 제1 단자부(20a)와 제2 단자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부(20a)는 후술되는 다수의 코일들 중 와이어 코일(51, 53)이 권선되는 단자부(20)이며, 제2 단자부(20b)는 판형 코일(55)이 연결되는 단자부(20)이다.
제1 단자부(20a)에 체결된 외부 접속 단자들(30)에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는 코일들(51, 53)의 리드선이 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코일은 와이어 코일(51)로만 이루어지고, 2차 코일은 와이어 코일(53)과 판형 코일(55)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자부(20a)에는 1차 코일(51)과, 2차 코일의 와이어 코일(53)이 모두 결선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부(20a)의 외부 접속 단자들(30)은 1차 코일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c)와 2차 와이어 코일(53)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a)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c)와 2차 코일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a)는 절연을 위해 절연 거리 이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부(20b)는 제1 단자부(20a)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30b)과 가이드부(34)를 포함한다.
제2 단자부(20b)의 외부 접속 단자들(30b)은 베이스(17)의 면 방향을 따라 제2 단자부(20b)에 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가 용이하게 외부 접속 단자들(30)과 접촉 및 접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34)는 외부 접속 단자들(30b)이 체결된 제2 단자부(20a)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단자부(20a)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부(34)는 후술되는 판형 코일(55)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34)는 단자부(20)에서 돌출되는 이격부(35)와, 이격부(35)의 끝단에서 이격부(35)의 면적을 확장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확장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4)는 평면도에서 T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34)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외부 접속 단자들(30b)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두 개의 가이드부(3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30b)가 배치된다.
후술되는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가이드부(34)들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 접속 단자(30b)와 접합된다. 따라서 상기한 두 개의 가이드부(34)의 이격부(35) 사이의 간격은 판형 코일(55) 리드부(L)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며, 확장부(36) 사이의 간격(도 4의 D)은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34) 사이에 배치된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는 확장부(36)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의 과도한 움직임이 억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4)는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구비되므로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가 배치되는 제2 단자부(20b)에만 형성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1 단자부(20a)로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를 배치하는 경우, 제1 단자부(20a)에도 가이드부(34)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50)은 보빈(10)의 권선 공간에 권선되거나 배치되며, 제1 코일부(51)와 제2 코일부(53, 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부(51)는 1차측 코일이고, 제2 코일부(53, 55)는 2차측 코일일 수 있다.
제1 코일부(51)와 제2 코일부(53, 55)는 각각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 개의 개별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코일부(53, 55)가 다수의 개별 코일(53, 55)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코일부(51)는 와이어 코일만을 포함하며 제2 코일부(53, 55)는 와이어 코일(53)과 판형 코일(55)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 코일(51, 53)은 권선이 가능한 와이어 형태로 코일이 형성되며 전술한 제1, 제2 권선 공간에 권선된다.
판형 코일(55)은 강성을 갖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편평한 면을 가지며 코일 형태가 고정된 도전성 재질로 코일이 형성되며 제3 권선 공간에 배치된다.
여기서 판형 코일(55)은 도전성을 갖는 얇은 강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판형 코일(55)은 제3 권선 공간에 배치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 패턴부(P)와, 코일 패턴부를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하는 리드부(L)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패턴부(P)와 리드부(L)는 판형 코일(55)이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될 수 있다.
코일 패턴부(P)는 제3 권선 공간에 배치되며 제2 격벽(15)에 형성된 고정 돌기들(18)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돌기들(18)에 의해 판형 코일(55)의 면 방향 움직임은 억제될 수 있다.
리드부(L)는 수평 방향(제2 격벽의 면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패턴부(P)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며, 끝단은 외부 접속 단자(30)에 접합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부(L)의 끝단에는 결합 홈(56)이 형성된다. 결합 홈(56)은 리드부(L)의 끝단과 외부 접속 단자(30)를 용이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결합된 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결합 홈(56)은 외부 접속 단자(3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리드부(L)와 외부 접속 단자(30)는 단순히 접촉된 상태가 아닌, 솔더와 같은 도전성 접착체(미도시)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 코일(55)이 2개의 개별 코일(55a, 55b)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2차 코일의 와이어 코일(53)은 하나만 개별 코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개별 코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코일(51, 53)은 통상의 절연 코일(예컨대, 폴리우레탄 와이어, polyurethane wir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꼬아 형성한 연선(撚線) 형태의 코일(예컨대 리쯔 와이어, Litz wir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절연성이 높은 다중 절연 코일(예컨대 TIW, Triple Insulated Wire)을 이용하는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코어(40, core)는 일부가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코일(5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10)의 관통공(11)에 일부가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는 그 형상에 따라 'EE' 코어, 'EI' 코어, 'UU' 코어, 'U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0)에 와이어 코일(51, 53)을 권선한다. 여기서 와이어 코일(51, 53)은 제1 코일부의 와이어 코일(51)과 제2 코일부의 와이어 코일(53)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와이어 코일(51, 53)은 제1 권선 공간과 제2 권선 공간에 모두 권선된다.
이 단계에서 와이어 코일(51, 53)은 자동 권선 장치(미도시)를 통해 자동으로 권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빈(10)의 제3 권선 공간에 판형 코일(55)을 결합한다. 이때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는 가이드부(34) 내에 배치되고, 리드부(L)의 결합 홈(도 1의 56) 내에 외부 접속 단자(30)가 삽입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더링 공정이 진행된다. 솔더링 공정은 코일(55)이 결합된 외부 접속 단자(30)를 용융 솔더(92)가 수용된 납조(90)에 담그며 솔더를 도포하는 공정으로, 본 공정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30)와 코일(50)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된다.
이 공정은 판형 코일(55)이 결합된 외부 접속 단자(30)와, 와이어 코일(51, 53)이 결선된 외부 접속 단자(30)에 모두 적용된다.
이어서, 보빈(10)에 코어(40)를 결합하여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을 완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판형 코일(55)을 포함하므로 대전력, 대전류에 적용이 가능하며, 방열 및 절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판형 코일(55)을 포함하더라도 핀 형태의 외부 접속 단자들(30)을 통해 메인 기판에 실장된다. 따라서 판형 코일(55)의 리드부(L)를 메인 기판에 직접 접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코일 부품의 실장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판형 코일(55)과 외부 접속 단자(30)가 도전성 접착제에 일괄적으로 접합되므로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어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200)은 판형 코일(55)의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를 갖는 부분을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200)의 판형 코일은 다수개의 개별 코일(55a, 55b, 55c, 55d)을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2개는 적층되는 형태로 보빈(10)에 결합된다.
또한 제2 격벽(15)에는 적층되는 개별 코일들(55a, 55b, 55c, 55d)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돌기(19)가 구비된다.
지지 돌기(19)는 적층되는 판형 코일(55)들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 돌기(19)는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판형 코일(55)의 적층 위치에 따라 돌출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판형 코일(55)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19)는 가장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고정 돌기들(도 4의 18)을 이용하여 판형 코일을 지지하는 경우, 상기 고정 돌기들은 지지 돌기(19)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코일 부품 중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주파 필터 등 코일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부품이나,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200: 코일 부품
10: 보빈 11: 관통 홀
12: 권선부 13: 몸체부
15, 16: 격벽
17: 베이스
20: 단자부
30: 외부 접속 단자
35: 가이드부
40: 코어
50: 코일
51, 53: 와이어 코일
55: 판형 코일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판형 코일;
    상기 판형 코일이 배치되는 권선 공간과,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가 접합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단자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는,
    끝단에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며 상기 판형 코일에 접합되는 코일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코일과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코일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판형 코일 리드부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코일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코일 부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단자부에서 돌출되는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의 끝단에서 상기 이격부의 면적을 확장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7. 제 6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격부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 폭보다 넓고, 상기 확장부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 폭보다 좁은 코일 부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양단에 상기 단자부가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 배치되는 격벽;
    을 포함하며,
    상기 판형 코일은 상기 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격벽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판형 코일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코일은 다수개가 적층되며 상기 보빈에 결합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격벽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적층된 상기 판형 코일들을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돌기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외측에 상기 판형 코일이 배치되는 제2 격벽; 및
    상기 제2 격벽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격벽;
    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격벽 사이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와이어 코일을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코일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권선되는 상기 와이어 코일은 2차측 코일인 코일 부품.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와이어 코일의 리드선이 배치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가 배치되는 제2 단자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코일 부품.
  16. 적어도 하나의 판형 코일; 및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판형 코일이 결합되는 보빈;
    을 포함하며,
    상기 판형 코일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코일과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도전성 솔더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코일 부품.
  18. 보빈에 와이어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
    상기 보빈에 판형 코일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판형 코일과 상기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를 접합하는 단계; 및
    코어를 상기 보빈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판형 코일의 리드부 끝단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접촉하도록 결합하는 단계인 코일 부품 제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용융 솔더가 저장된 납조에 상기 판형 코일과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접촉된 부분을 담그며 상기 용융 솔더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제조 방법.
KR1020140136631A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42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31A KR20160042560A (ko)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N201510165877.0A CN106158240A (zh) 2014-10-10 2015-04-09 线圈组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31A KR20160042560A (ko)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60A true KR20160042560A (ko) 2016-04-20

Family

ID=5591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31A KR20160042560A (ko)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42560A (ko)
CN (1) CN1061582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4061A (zh) * 2018-12-27 2019-03-19 深圳市联泰兴电子科技有限公司 大容量插针变压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6778A1 (de) * 2017-04-21 2018-10-25 Schmidhauser Ag Spulenbauelement, Spulenbauelementeverbu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ulenbauelements
CN108922754A (zh) * 2018-08-03 2018-11-30 湖州同立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易于锡焊连接线圈的变压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4061A (zh) * 2018-12-27 2019-03-19 深圳市联泰兴电子科技有限公司 大容量插针变压器
CN109494061B (zh) * 2018-12-27 2023-09-08 深圳市联泰兴电子科技有限公司 大容量插针变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58240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1501B2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3881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US8692638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239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86657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74933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148750A1 (en) Coil component
KR101388819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42459A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US20120320504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570135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002390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24003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54B1 (ko) 트랜스포머
KR101240865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42560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2930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8286B1 (ko) 트랜스포머
KR101656013B1 (ko) 코일 부품
KR101690251B1 (ko) 코일 부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20160124622A (ko) 코일 부품
KR101389438B1 (ko) 인덕터 및 이러한 인덕터와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체
KR20120138713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42172A (ko) 전자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