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865B1 -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65B1
KR101240865B1 KR1020110128413A KR20110128413A KR101240865B1 KR 101240865 B1 KR101240865 B1 KR 101240865B1 KR 1020110128413 A KR1020110128413 A KR 1020110128413A KR 20110128413 A KR20110128413 A KR 20110128413A KR 101240865 B1 KR101240865 B1 KR 10124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xternal connection
base
connection termin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용
이병수
김덕훈
황대영
박근영
김정면
김명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코일이 적어도 일회 권선되는 공간인 코일 선회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Coil component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 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며, 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25∼100KHz의 고주파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50∼60Hz의 주파수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트랜스포머와 같은 코일 부품은 외부 접속 단자에 코일을 권선한 후, 코일과 외부 접속 단자를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코일이 권선된 외부 접속 단자를 용융 솔더에 담그는 솔더링 공정이 수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솔더링 과정에서 용융 솔더는 외부 접속 단자에만 도포되지 않고, 코일을 따라 확산되어 외부 접속 단자에 권선된 부분뿐만 아니라, 권선부에서 외부 접속 단자로 연결되는 부분에도 용융 솔더가 도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코일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이와 같이 용융 솔더의 확산으로 인해, 솔더가 도포된 부분과 권선부 간에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권선부와 외부 접속 단자 사이의 거리를 길게 확장하는 방법 등이 고려되고 있으나, 이는 코일 부품의 부피를 증가시키므로, 소형화에 단점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용융 솔더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코일의 리드선들과 권선부와의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링 공정에서 용융 솔더가 코일을 따라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코일이 적어도 일회 권선되는 공간인 코일 선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선회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체결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선회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파내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베이스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선회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선회 홈; 및 상기 선회 홈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인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 홈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 홈을 통해 상기 권선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로 인출된 후, 상기 선회 홈에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회 홈은, 상기 베이스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선회 홈에 권선되는 상기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대응하여, 하나의 상기 코일 선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대응하여, 하나의 상기 코일 선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일회 권선된 후,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일 부품이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외부 접속 단자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이 적어도 일회 권선되는 공간인 코일 선회부를 포함한다.
이에 솔더링 과정에서 용융 솔더가 코일을 따라 일정 거리 확산되더라도 용융 솔더는 코일 선회부에 권선된 코일에만 확산될 뿐, 권선부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융 솔더가 코일을 따라 확산되더라도, 권선부와 솔더가 도포된 코일과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도 2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상부면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저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도 2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100)로, 코일(50), 보빈(10), 외부 접속 단자(3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50)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포함한다.
1차 코일(51)은 후술되는 권선부(12)에 형성된 1차 권선부(13)에 권선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권선부(12)는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를 구비한다. 따라서, 1차 코일(51)은 2개의 1차 권선부(13)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권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3개의 서로 다른 코일이 각각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에는 총 6개의 코일이 권선되며, 이에 따라 총 12 가닥의 리드선(L)이 인출되어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12 가닥의 리드선(L)을 모두 도시하지 않고 대표적으로 몇 가닥만을 도시하였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로 1차 코일(51)을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52)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1차 코일들(51) 중 어느 하나의 1차 코일(51)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나머지 다른 1차 코일들(51)에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압이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후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차 코일(51)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51)은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독립된 3개의 코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2차 코일(52)은 후술되는 권선부(12)에 형성된 2차 권선부(15)에 권선된다.
2차 코일(52)도 전술한 1차 코일(51)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은 각각의 리드선(L)이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권선부(12)에 권선된 코일들(50) 상호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권선부(12)에서 가장 바깥쪽에 권선되는 코일(50) 중 적어도 하나는 3중 절연 코일(Triple Insulated Winding Wire, TIW)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권선부(12)의 내측 즉 후술되는 보빈(10)의 몸체부(12a) 외주면과 인접한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코일이 권선되며, 권선부(12)의 외측 즉 격벽(16)의 외주연과 인접한 부분에는 3중 절연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보빈(1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되는 베이스(20)를 포함한다.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2a)와, 몸체부(12a)의 양단에는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a)의 내부에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몸체부(12a)의 외주면에는 몸체부(12a)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6)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두 개의 격벽(16a, 16b)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보빈(10)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격벽(16a) 및 제1 격벽(16a)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후술되는 베이스(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격벽(16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3개의 분할된 공간(13a, 13b, 15)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격벽(16)을 통해 다양한 개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분할된 3개의 공간 중 양단에 형성된 공간 즉, 몸체부(12a)의 상단과 제1 격벽(16a) 사이의 공간(13a)과 몸체부(12a)의 하단과 제2 격벽(16b) 사이의 공간(13b)에 모두 1차 코일(51)이 권선되고(이하, 1차 권선부), 제1 격벽(16a)과 제2 격벽(16b) 사이의 공간(15)에는 2차 코일(52)이 권선된다(이하, 2차 권선부).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권선부(12)에 분할되어 형성되는 공간들의 개수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의 격벽(16)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 간에 발생되는 전압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16)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특정 권선부(예컨대 1차 권선부)에 권선된 코일이 격벽(16)을 이월하여 인접한 다른 권선부(예컨대, 2차 권선부)에 권선되지 않으며,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후술되는 가이드 홈(18) 이외에는 둘레 부분에 별도의 홈이나, 틈, 슬릿 등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의 격벽(16)은 측면 즉,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를 구비한다. 리드선 지지부(17)는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될 때, 리드선들(L)이 교차 배치됨에 따라 상호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리드선들(L)이 상호 간에 이격되며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도록 리드선들(L)을 지지한다.
베이스(20)는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b)의 양단에서 각각 외경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베이스(20a, 20b)에는 외부 접속 단자(30)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입력단자(30a)가 구비되는 1차측 베이스(20a)와 출력단자(30b)가 구비되는 2차측 베이스(20b)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1차측 베이스(20a)와 2차측 베이스(20b)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권선부(12)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20)는 일면 즉, 리드선(L)이 인입되는 상부면에 리드선(L)을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는 다수의 홈으로 형성되어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인접한 다른 리드선들(L)과의 접촉 없이 외부 접속 단자(30)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리드선(L)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22)는 각각의 외부 접속 단자(30)들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구별되는 다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30)과 하나의 홈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22)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선회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상부면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는 외부 접속 단자(30)가 체결되는 곳에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코일(50)이 적어도 일회 권선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코일 선회부(25)는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솔더링 과정에서 용융 솔더가 코일(50)을 따라 확산되더라도, 권선부(12)와 솔더가 도포된 코일(50)과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코일(50)이 외부 접속 단자(30)와 인접한 위치에서 적어도 일회 베이스(20)에 권선된 후,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때 베이스(20)에 코일(50)이 권선되는 부분은 코일 선회부(25)로 형성된다.
외부 접속 단자(30)와 인접한 위치에서 코일(50)이 적어도 일회 베이스(20)에 권선됨에 따라, 솔더링 과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 코일(50)을 따라 용융 솔더가 확산되는 경우, 용융 솔더는 코일 선회부(25)에 권선된 코일(50)을 따라 확산된다.
그러나 용융 솔더가 코일(50)을 따라 일정 거리 확산되더라도 용융 솔더는 코일 선회부(25)에 권선된 코일(50)에만 확산될 수 있을 뿐, 권선부(12)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50)을 따라 용융 솔더가 확산되더라도 권선부(12)와 솔더가 도포된 코일(50)과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는 외부 접속 단자(30)가 체결되는 베이스(20)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 선회부(25)는 권선부(12)에서 인출되는 코일(50)의 인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는 베이스(20)의 상부면과 하부면, 그리고 측면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선회 홈(26), 그리고 인출 홈(28)을 포함할 수 있다.
선회 홈(26)은 베이스(20)의 일부를 파내어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베이스(2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27)들을 형성하여 이러한 돌기(27)들 사이의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베이스(20)의 상부면은 베이스(20)가 패인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베이스(20)의 측면과 하부면은 돌기(27)들을 이용하여 홈을 형성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 즉, 선회 홈(26)은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50)이 용이하게 권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코일(50)이 베이스(20)에 권선되기 위해서는 코일(50)이 베이스(20)의 하부로 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는 코일(50)이 베이스(20)의 하부로 인출되는 경로인 인출 홈(28)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인출 홈(28)은 선회 홈(26)과 연결되는 홈으로 형성되며, 베이스(20)의 일부가 절개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 홈(28)은 베이스(20)에 체결된 각각의 외부 접속 단자(3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측 베이스(20b)에 두 개 출력단자(30b)가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2차측 베이스(20b)에는 두 개의 인출 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인출 홈(28)을 통해 다수개의 코일들(50)이 함께 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두 개의 인출 홈(28)이 두 개의 외부 접속 단자(30) 사이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100)가 자동 권선 방식으로 코일(50)을 권선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2차측 베이스(20b)에 용이하게 자동 권선을 수행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출 홈(28)의 위치나 형상 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출 홈(28)들을 외부 접속 단자(30)들의 사이가 아닌, 외측에 각각 배치하거나, 외부 접속 단자(3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29)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29)는 선회 홈(26)이나, 인출 홈(28)의 외부에서 돌출되는 돌기(27)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 돌기(29)는 선회 홈(26)이나 인출 홈(28)을 형성하는 측벽이나 돌기(27)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20)의 하부로 돌출된 돌기(27)에서 하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걸림 돌기(29)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29)는 인출 홈(28)과 선회 홈(26)을 따라 권선되는 코일(50)이 인출 홈(28)과 선회 홈(2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걸림 돌기(29)는 인출 홈(28)과 선회 홈(26)에 권선된 코일(50)이 선회 홈(26)의 외부로 벗어나려 할 때 코일(50)을 지지하여 코일(50)이 베이스(20)의 코일 선회부(25)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걸림 돌기(29)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걸림 돌기(29)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다양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차측 베이스(20b)에만 코일 선회부(25)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차측 베이스(20a)에도 코일 선회부(25)를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30)는 베이스(20)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트랜스포머(100)의 형태나 구조, 또는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는 기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단자(30a)는 1차측 베이스(20a)에 체결되며, 1차 코일(51)의 리드선(L)과 연결되어 1차 코일(51)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출력단자(30b)는 2차측 베이스(20b)에 체결되며, 2차 코일(52)의 리드선(L)과 연결되어 2차 코일(52)과 1차 코일(51) 간의 권선비에 따라 설정되는 출력 전원을 외부로 공급한다.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리드선(L)이 보다 용이하게 결선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 개(예컨대 6개)의 입력단자(30a)를 구비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가 하나의 1차 권선부(13)에 다수 개의 코일(50)을 함께 권선하여 이용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나,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00)는 입력단자(30a)가 6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40, core)는 일부가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코일(5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10)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 'EI' 코어, 'UU' 코어, 'U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과 코어(40) 사이에는 절연 테이프가 개재될 수 있다. 절연 테이프는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과 코어(40)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테이프는 코어(40)와 보빈(10)이 대면하는 코어(40)의 모든 내부면에 대응하여 개재될 수 있으며, 코일(50)와 코어(40)가 대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평면도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에서 코일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전술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며, 베이스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베이스를 중심으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며, 2차측 베이스(20)에 4개의 출력단자(30b)가 체결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베이스(20)에 4개 이상의 외부 접속 단자(30)가 체결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의 코일 선회부(25)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는 인출 홈(28)과 선회 홈(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코일 선회부(25)에는 두 개의 코일(50)이 권선된 후, 각각 다른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선회부(25)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폭이 넓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선회 홈(26)을 넓은 폭으로 형성하는 경우, 자동 권선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하나의 코일 선회부(25)에 대해 다수 개의 외부 접속 단자들(30)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코일 선회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외부 접속 단자(30)들에 대해 코일 선회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권선부(12)에서 인출되는 각각의 코일(50)들은 각 외부 접속 단자(30)에 인접하게 형성된 코일 선회부(25)에 권선된 후, 해당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외부 접속 단자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이 적어도 일회 권선되는 공간인 코일 선회부를 포함한다.
이에 솔더링 과정에서 용융 솔더가 코일을 따라 일정 거리 확산되더라도 용융 솔더는 코일 선회부에 권선된 코일에만 확산될 뿐, 권선부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융 솔더가 코일을 따라 확산되더라도, 권선부와 솔더가 도포된 코일과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4), 트랜스포머(100)가 실장된 전원 공급부(5), 및 커버(2, 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 8)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2)와 백 커버(back cover, 8)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은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SMPS, 5)는 디스플레이 패널(4)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5)는 인쇄 회로 기판(6)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포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트랜스포머(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전원 공급부(5)는 샤시(7)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함께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5)에 실장되는 트랜스포머(100)는 코일(도 1의 5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권선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6)의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Z 방향), 코일(5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된다. 그리고 코어(40)의 일부(즉 상부면)는 백 커버(8)와 평행을 이루며 자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5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중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형성되는 자속(磁束)은 대부분 코어(40)에 내에 자로가 형성되므로, 백 커버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누설 자속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그 외부에 별도의 차폐 장치(예컨대, 차폐 쉴드 등)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트랜스포머(100)와 금속 재질의 백 커버(8) 사이에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자속과 금속 재질의 백 커버(8) 간의 간섭에 의해 백 커버(8)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와 같은 박형의 전자 기기에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어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더라도, 백 커버(8)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홈의 형태로 코일 선회부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 선회부를 돌기 형태로 형성하고, 돌기에 코일이 적어도 일회 권선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과,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코일 부품이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200.....트랜스포머
10.....보빈 12.....권선부
13.....1차 권선부 15.....2차 권선부
16.....격벽
16a.....제1 격벽 16b.....제2 격벽
17.....리드선 지지부 18.....가이드 홈
20.....베이스 22.....가이드부
25.....코일 선회부 26.....선회 홈
27.....돌기 28.....인출 홈
29.....걸림 돌기
30.....외부 접속 단자
30a.....입력단자 30b.....출력단자
40.....코어 50.....코일
51.....1차 코일 52.....2차 코일

Claims (12)

  1.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코일이 적어도 일회 권선된 후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공간인 코일 선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선회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체결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선회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파내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베이스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선회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선회 홈; 및
    상기 선회 홈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인출 홈;
    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홈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일 부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홈을 통해 상기 권선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로 인출된 후, 상기 선회 홈에 권선되는 코일 부품.
  7. 제 4 항에 있어서, 선회 홈은,
    상기 베이스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선회 홈에 권선되는 상기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대응하여, 하나의 상기 코일 선회부가 형성되는 코일 부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대응하여, 하나의 상기 코일 선회부가 형성되는 코일 부품.
  11.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체결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일회 권선된 후,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코일 부품.
  12.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품이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28413A 2011-12-02 2011-12-02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413A KR101240865B1 (ko) 2011-12-02 2011-12-02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413A KR101240865B1 (ko) 2011-12-02 2011-12-02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865B1 true KR101240865B1 (ko) 2013-03-11

Family

ID=4818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413A KR101240865B1 (ko) 2011-12-02 2011-12-02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1202A (zh) * 2017-12-22 2018-05-08 中山市汉仁电子有限公司 一种免缠绕线的端子连接结构
KR101989172B1 (ko)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143867B1 (ko) 2019-06-07 2020-08-12 (주) 트랜스온 Pfc용 슬림 트랜스포머
KR102143868B1 (ko) 2019-07-04 2020-08-26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00132382A (ko) 2019-05-17 2020-11-25 (주) 트랜스온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20022694A (ko) 2020-08-19 2022-02-28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00886U (ko)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17Y1 (ko) 2005-07-15 2005-10-13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트랜스포머용 보빈구조
KR20070014723A (ko) * 2005-07-29 2007-02-01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트랜스포머용 보빈
KR20070070713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17Y1 (ko) 2005-07-15 2005-10-13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트랜스포머용 보빈구조
KR20070014723A (ko) * 2005-07-29 2007-02-01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트랜스포머용 보빈
KR20070070713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1202A (zh) * 2017-12-22 2018-05-08 中山市汉仁电子有限公司 一种免缠绕线的端子连接结构
KR101989172B1 (ko)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00132382A (ko) 2019-05-17 2020-11-25 (주) 트랜스온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143867B1 (ko) 2019-06-07 2020-08-12 (주) 트랜스온 Pfc용 슬림 트랜스포머
KR102143868B1 (ko) 2019-07-04 2020-08-26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22694A (ko) 2020-08-19 2022-02-28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00886U (ko)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14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EP2402966B1 (en) Transformer and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239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65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9384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88819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1704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8889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EP2402964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79389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77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8655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7939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4003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8700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9305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0925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9498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22930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6570A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KR101153515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30992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3338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4184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