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382A -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382A
KR20200132382A KR1020190057810A KR20190057810A KR20200132382A KR 20200132382 A KR20200132382 A KR 20200132382A KR 1020190057810 A KR1020190057810 A KR 1020190057810A KR 20190057810 A KR20190057810 A KR 20190057810A KR 20200132382 A KR20200132382 A KR 20200132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core member
transformer
p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주) 트랜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트랜스온 filed Critical (주) 트랜스온
Priority to KR102019005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382A/ko
Publication of KR2020013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01F41/1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제작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코일부의 절연성을 신뢰성있게 확보할 수 있으며, 코일부의 인출단부 간의 쇼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연에 하기 코일부재가 권선되는 권선부를 갖고 형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의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상기 코일 부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절연 부재; 및 상기 보빈 부재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는 액상 절연재를 도포 코팅하여 형성되는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가 제공되며, 코일이 권선될 보빈체를 마련하는 보빈체 마련 단계; 상기 마련된 보빈체의 외연에 코일을 권선하는 코일 권선 단계; 상기 코일 권선 단계에서 권선된 코일 상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 코팅하여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절연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절연층 형성 단계에서 절연층이 형성된 보빈체의 상면과 하면에 코어 부재를 결합시키는 코어부재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TRANSFORMER FOR PF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의 제작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코일부의 절연성을 신뢰성있게 확보할 수 있으며, 코일부의 인출단부 간의 쇼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 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전원공급장치 중 스위칭 모드를 이용하는 전원공급장치(예컨대, Switch Mode Power Supply; SMPS)가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SMPS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25∼100KHz의 고주파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50∼60Hz의 주파수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베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보빈 상에 코일이 권선되고, 보빈의 관통공을 통해 코어가 결합되는 형태가 주로 이용되었다.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보빈 상에 권선된 코일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몰딩 방식으로 제작하는데, 비 주형 몰드인 경우 절연체인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켜 권선 부분의 작업을 끝내며, 주형 몰드인 경우는 일정한 형틀에다 절연체인 에폭시수지를 진공 함침시키고 형틀을 제거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몰딩 방식의 트랜스포머는 주형 몰드를 필요로 하여 제작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그 제작 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40865(2013.03.1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06570(2013.09.3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25441(2012.03.1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70925(2012.07.02.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제작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코일부의 절연성을 신뢰성있게 확보할 수 있으며, 코일부의 인출단부 간의 쇼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외연에 하기 코일부재가 권선되는 권선부를 갖고 형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의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상기 코일 부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절연 부재; 및 상기 보빈 부재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는 액상 절연재를 도포 코팅하여 형성되는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보빈 부재는 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중 하나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연장부의 일측에는 코일단부 가이드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어 부재 및 하부 코어 부재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판형부, 및 상기 판형부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보빈 부재는 상면과 하면 각각에 그 면을 가로질러 함몰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는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의 판형부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코일이 권선될 보빈체를 마련하는 보빈체 마련 단계; 상기 마련된 보빈체의 외연에 코일을 권선하는 코일 권선 단계; 상기 코일 권선 단계에서 권선된 코일 상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 코팅하여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절연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절연층 형성 단계에서 절연층이 형성된 보빈체의 상면과 하면에 코어 부재를 결합시키는 코어부재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보빈체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보빈체는 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중 하나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 연장부, 및 상기 돌출 연장부의 일측에는 코일단부 가이드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게 몰딩 성형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재 구성 단계의 코어 부재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판형부, 및 상기 판형부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보빈체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보빈체는 상면과 하면 각각에 그 면을 가로질러 함몰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 안착요부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는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의 판형부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액상 에폭시 수지를 도포 코팅하는 방식으로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주형 몰드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제작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코일부의 절연성을 신뢰성있게 확보할 수 있고, 코일부의 인출단부 간의 쇼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에서 코일부재와 절연층이 생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에서 코일부재와 절연층이 생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연에 하기 코일부재가 권선되는 권선부(101)를 갖고 형성되는 풀리 형태의 보빈 부재(100); 상기 보빈 부재(100)의 권선부(101)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미도시); 상기 코일 부재의 외면에 구비되는 절연 부재(200); 및 상기 보빈 부재(100)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310, 320);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200)는 액상 절연재를 도포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 부재(100)는 통 형상의 바디부(11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랜지부(upper flange portion)(제1 플랜지부)(121)와 하단 플랜지부(lower flange portion)(제2 플랜지부)(1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빈 부재(100)는 하단 플랜지부(제2 플랜지부)(122)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 연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연장부(130)의 일측에는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가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보빈 부재(100)는 서로 구획된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를 갖는 돌출 연장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코일부재의 인출라인 간을 확실하게 격리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빈 부재(100)는 그 상면과 하면 각각에 그 면을 가로질러 함몰 형성되어 코어부재(310, 32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소정 폭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폭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의 판형부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코일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 중 하나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 부재(100)의 권선부(101)에 권선되고, 권선이 완료된 타단부는 상기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 중 다른 하나에 가이드되어 인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 부재(200)는 점성의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 부재(200)는 점성의 에폭시 수지를 분출하여 코팅시키는 노즐구를 갖는 도포 코팅 장치를 통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 상기 에폭시 수지는 점성(Viscosity(25℃, VT06)(cps) 25,000~50,000이고, 비중(specific gravity) 1.3, 경도(hardness(Type A)) 65,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kgf/cm2) 20, 연신율(elongation(%)) 160±50, 절연 강도(dielectric strength(kV/min)) 22, 체적 저항률(volume resistivity(25℃)(Ω·cm) 7.3×1013 ~7.3×1013,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W/m·K) 0.31, 난연성(flame retardancy) UL 94 V-0인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 부재(310, 320)는 상기 보빈 부재(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코어 부재(310), 및 상기 보빈 부재(100)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와 형합되는 하부 코어 부재(320)를 포함하는 한 쌍의 코어 부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는 상기 보빈 부재(100)의 상면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에 안착 고정되고, 상기 하부 코어 부재(320)는 상기 보빈 부재(100)의 하면의 코어부재 안착 요부에 안착 고정된다.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 및 하부 코어 부재(320)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판형부(311), 및 상기 판형부(311)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 부재(310, 320)의 판형부(311)는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판형부(311)는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에 억지끼움 안착되어 고정되는 사이즈(폭)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 부재(310, 320)의 양 절곡부(312)의 절곡 길이(전체 길이)는, 상기 보빈 부재(100)의 상면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바닥면과 상기 보빈 부재(100)의 하면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바닥면 간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코어 부재(310, 320)와 코어부재 안착요부(140) 간 및/또는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와 하부 코어 부재(320) 간의 이음부는 에폭시 등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방법은, 앞서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부재가 권선될 보빈체(보빈 부재)를 마련하는 보빈체 마련 단계(S100); 상기 보빈체 마련 단계(S100)에서 마련된 보빈체의 코일 권선부에 코일을 권선하는 코일 권선 단계(S200); 상기 코일 권선 단계(200)에서 권선된 코일 상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 코팅하여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절연층 형성 단계(S300); 및 상기 절연층 형성 단계(S300)에서 절연층이 형성된 보빈체의 상면과 하면에 코어 부재를 결합시키는 코어부재 구성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보빈체 마련 단계(S100)에서 마련되는 보빈체(보빈 부재)는 성형 몰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마련되는 상기 보빈체(보빈 부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 형상의 바디부(11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랜지부(upper flange portion)(제1 플랜지부)(121)와 하단 플랜지부(lower flange portion)(제2 플랜지부)(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플랜지부(제2 플랜지부)(122)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 연장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연장부(130)의 일측에는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빈체는 그 상면과 하면 각각에 그 면을 가로질러 함몰 형성되어 코어부재(310, 32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소정 폭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폭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의 판형부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보빈체는 서로 구획된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를 갖는 돌출 연장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코일부재의 인출라인 간을 확실하게 격리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에 코어부재가 안정적인 안차 고정되게 된다.
상기 코일 권선 단계(S200)는 코일 인출 드럼에서 인출되는 코일의 일단부를 상기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 중 하나에 가이드시켜 연결한 상태에서 보빈체를 회선시켜 상기 보빈체의 권선부(101)에 권선되고, 권선이 완료된 타단부는 상기 코일단부 가이드통로(131) 중 다른 하나에 가이드되어 인출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층 형성 단계(S300)는 노즐구를 갖는 도포 코팅 장치를 통해 점성의 에폭시 수지를 분출하여 코팅시켜 절연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에폭시 수지는 점성(Viscosity(25℃, VT06)(cps) 25,000~50,000이고, 비중(specific gravity) 1.3, 경도(hardness(Type A)) 65,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kgf/cm2) 20, 연신율(elongation(%)) 160±50, 절연 강도(dielectric strength(kV/min)) 22, 체적 저항률(volume resistivity(25℃)(Ω·cm) 7.3×1013 ~7.3×1013,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W/m·K) 0.31, 난연성(flame retardancy) UL 94 V-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부재 구성 단계(S400)는, 상기 보빈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를 결합시켜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부재 구성 단계(S400)는, 상부 코어 부재를 상기 보빈 체의 상면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에 안착 고정시키고, 상기 하부 코어 부재를 상기 보빈체의 하면의 코어부재 안착 요부에 안착 고정시킴으로써 구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 및 하부 코어 부재(320)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판형부(311), 및 상기 판형부(311)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 부재(310, 320)의 판형부(311)는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판형부(311)는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에 억지끼움 안착되어 고정되는 사이즈(폭)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 부재(310, 320)의 양 절곡부(312)의 절곡 길이(전체 길이)는, 상기 보빈 부재(100)의 상면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바닥면과 상기 보빈 부재(100)의 하면의 코어부재 안착요부(140)의 바닥면 간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코어 부재(310, 320)와 코어부재 안착요부(140) 간 및/또는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와 하부 코어 부재(320) 간의 이음부는 에폭시 등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에 의하면, 액상 에폭시 수지를 도포 코팅하는 방식으로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주형 몰드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트랜스포머의 제작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코일부의 절연성을 신뢰성있게 확보할 수 있고, 코일부의 인출단부 간의 쇼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보빈 부재
101: 권선부
110: 바디부
121: 제1 플랜지부
122: 제2 플랜지부
130: 돌출 연장부
131: 코일단부 가이드통로
140: 코어부재 안착요부
200: 절연 부재
310, 320: 코어 부재
311: 판형부
312: 절곡부
S100: 보빈체 마련 단계
S200: 코일 권선 단계
S300: 절연층 형성 단계
S400: 코어부재 결합 단계

Claims (7)

  1. 외연에 하기 코일부재가 권선되는 권선부를 갖고 형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의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상기 코일 부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절연 부재; 및
    상기 보빈 부재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는 액상 절연재를 도포 코팅하여 형성되는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부재는 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중 하나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연장부의 일측에는 코일단부 가이드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어 부재 및 하부 코어 부재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판형부, 및 상기 판형부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부재는 상면과 하면 각각에 그 면을 가로질러 함몰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는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의 판형부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
  5. 코일이 권선될 보빈체를 마련하는 보빈체 마련 단계;
    상기 마련된 보빈체의 외연에 코일을 권선하는 코일 권선 단계;
    상기 코일 권선 단계에서 권선된 코일 상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 코팅하여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절연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절연층 형성 단계에서 절연층이 형성된 보빈체의 상면과 하면에 코어 부재를 결합시키는 코어부재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체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보빈체는 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중 하나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 연장부, 및 상기 돌출 연장부의 일측에는 코일단부 가이드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게 몰딩 성형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재 구성 단계의 코어 부재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판형부, 및 상기 판형부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체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보빈체는 상면과 하면 각각에 그 면을 가로질러 함몰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 안착요부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재 안착요부는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의 판형부의 사이즈와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FC용 트랜스포머의 제작 방법.
KR1020190057810A 2019-05-17 2019-05-17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00132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10A KR20200132382A (ko) 2019-05-17 2019-05-17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10A KR20200132382A (ko) 2019-05-17 2019-05-17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382A true KR20200132382A (ko) 2020-11-25

Family

ID=7364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810A KR20200132382A (ko) 2019-05-17 2019-05-17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38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441A (ko)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0925A (ko) 2010-12-22 2012-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65B1 (ko) 2011-12-02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6570A (ko) 2012-03-20 2013-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441A (ko)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0925A (ko) 2010-12-22 2012-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65B1 (ko) 2011-12-02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6570A (ko) 2012-03-20 2013-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1612B (zh) 變壓器結構
US20080088401A1 (en) Transformer
US20160148750A1 (en) Coil component
US9536651B2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88819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60820A1 (en) Bobbin and transformer having such bobbin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KR20120025441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946049A (zh) 线圈组件和包括该线圈组件的供电单元
KR20200132382A (ko)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US20200052528A1 (en) Power transmission unit
KR100904179B1 (ko) 스위칭 트랜스
KR101422930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9895B1 (ko) 자성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KR20130106570A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KR102359297B1 (ko) Smps용 변압기
KR102143868B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JP6569351B2 (ja) 絶縁トランス実装基板および電源装置
US8451081B2 (en) Coil assembly having pin support portions of different length
KR102399391B1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102173774B1 (ko)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5059050B2 (ja) 巻線枠および巻線部品
US20150109086A1 (en) Core and coil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US20150310978A1 (en) Choke
KR20090005070U (ko) 초크 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