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441A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441A
KR20120025441A KR1020110120973A KR20110120973A KR20120025441A KR 20120025441 A KR20120025441 A KR 20120025441A KR 1020110120973 A KR1020110120973 A KR 1020110120973A KR 20110120973 A KR20110120973 A KR 20110120973A KR 20120025441 A KR20120025441 A KR 20120025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ead wire
external connection
transformer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훈
서상준
박근영
엄재근
천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코일의 리드선들 상호간에 단락을 방지하도록 리드선들을 상호 이격시키며 배치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보빈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상기 보빈은 상기 격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며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의 리드선들 상호간에 단락을 방지하도록 리드선들을 상호 이격시키며 배치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 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며, 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25?100KHz의 고주파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50?60Hz의 주파수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소형화 되어감에 따라 스위칭 트랜스포머의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코일의 리드선들 간에 전기적으로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스위칭 트랜스포머에 다수의 코일을 복합적으로 권선하는 경우, 다수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되므로 상기한 문제가 보다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트랜스포머에 권선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이 상호 간에 단락이 발생되지 않고 외부 접속 단자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보빈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상기 격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며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가 상기 제2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배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각각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1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2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 또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각각 상기 격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 홈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내 홈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상기 리드선을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으로 이월시키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코일 이월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횡단 경로에 배치된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측벽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권선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 일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타면으로 분산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보빈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한 트랜스포머가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격벽에서 수평하게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에 의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코일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더라도 리드선들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되거나,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되므로, 코일의 리드선들을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하는 과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곡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형성된 코일 안내 홈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에 결합되는 리드선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에 리드선을 여러번 감으며 결선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드선의 결선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코일의 사용량이 줄어듦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들 중 가장 바깥쪽에 권선되는 코일은 3중 절연 코일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1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1차 코일과 2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2차 코일 간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권선부를 구분하는 격벽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빈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소형의 트랜스포머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자동화된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보빈에 자동으로 권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코일의 권선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의 리드선이 보빈의 하부면에서 보빈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베이스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하부면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가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의 코일은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코일이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磁束)이 외부와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트랜스포머가 장착되더라도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도 2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
도 9는 도 6의 C-C'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도 2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로, 코일(50), 보빈(10), 외부 접속 단자(3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50)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포함한다.
1차 코일(51)은 후술되는 권선부(12)에 형성된 1차 권선부(13)에 권선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권선부(12)는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를 구비한다. 따라서, 1차 코일(51)은 2개의 1차 권선부(13)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권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3개의 서로 다른 코일이 각각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에는 총 6개의 코일이 권선되며, 이에 따라 총 12 가닥의 리드선(L)이 인출되어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12 가닥의 리드선(L)을 모두 도시하지 않고 대표적으로 몇 가닥만을 도시하였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로 1차 코일(51)을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52)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1차 코일들(51) 중 어느 하나의 1차 코일(51)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나머지 다른 1차 코일들(51)에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압이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후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차 코일(51)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51)은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독립된 3개의 코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2차 코일(52)은 후술되는 권선부(12)에 형성된 2차 권선부(15)에 권선된다.
2차 코일(52)도 전술한 1차 코일(51)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은 각각의 리드선(L)이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보빈(1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되는 베이스(20)를 포함한다.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2a)와, 몸체부(12a)의 양단에는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a)의 내부에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몸체부(12a)의 외주면에는 몸체부(12a)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6)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두 개의 격벽(16a, 16b)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보빈(10)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격벽(16a) 및 제1 격벽(16a)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후술되는 베이스(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격벽(16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3개의 분할된 공간(13a, 13b, 15)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격벽(16)을 통해 다양한 개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분할된 3개의 공간 중 양단에 형성된 공간 즉, 몸체부(12a)의 상단과 제1 격벽(16a) 사이의 공간(13a)과 몸체부(12a)의 하단과 제2 격벽(16b) 사이의 공간(13b)에 모두 1차 코일(51)이 권선되고(이하, 1차 권선부), 제1 격벽(16a)과 제2 격벽(16b) 사이의 공간(15)에는 2차 코일(52)이 권선된다(이하, 2차 권선부).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권선부(12)에 분할되어 형성되는 공간들의 개수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의 격벽(16)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 간에 발생되는 전압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16)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특정 권선부(예컨대 1차 권선부)에 권선된 코일이 격벽(16)을 이월하여 인접한 다른 권선부(예컨대, 2차 권선부)에 권선되지 않으며,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후술되는 가이드 홈(18) 이외에는 둘레 부분에 별도의 홈이나, 틈, 슬릿 등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의 격벽(16)은 측면 즉,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를 구비한다. 리드선 지지부(17)는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될 때, 리드선들(L)이 교차 배치됨에 따라 상호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리드선들(L)이 상호 간에 이격되며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도록 리드선들(L)을 지지한다. 리드선 지지부(17)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베이스(20)는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b)의 양단에서 각각 외경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베이스(20a, 20b)에는 외부 접속 단자(30)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입력단자(30a)가 구비되는 1차측 베이스(20a)와 출력단자(30b)가 구비되는 2차측 베이스(20b)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1차측 베이스(20a)와 2차측 베이스(20b)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권선부(12)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권선부(12)와 출력단자(30b)간의 거리 및 권선부(12)와 입력단자(30a)간의 거리가 모두 8mm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대략 0.5mm 직경의 코일이 권선되는 소형의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에 한정되는 경우이며, 코일의 두께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0)는 일면 즉, 리드선(L)이 인입되는 상부면에 리드선(L)을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2)는 다수의 홈으로 형성되어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인접한 다른 리드선들(L)과의 접촉 없이 외부 접속 단자(30)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리드선(L)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22)는 각각의 외부 접속 단자(30)들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구별되는 다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30)과 하나의 홈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22)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2)는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는 리드선(L)이 절곡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홈들의 바닥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30)는 베이스(20)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트랜스포머(100)의 형태나 구조, 또는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는 기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단자(30a)는 1차측 베이스(20a)에 체결되며, 1차 코일(51)의 리드선(L)과 연결되어 1차 코일(51)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출력단자(30b)는 2차측 베이스(20b)에 체결되며, 2차 코일(52)의 리드선(L)과 연결되어 2차 코일(52)과 1차 코일(51) 간의 권선비에 따라 설정되는 출력 전원을 외부로 공급한다.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리드선(L)이 보다 용이하게 결선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생략된 외부 접속 단자(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베이스(20)에서 베이스(20)와 수평하게 돌출되는 코일 결선부(32)와, 코일 결선부(32)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판 접합부(35)를 포함한다.
코일 결선부(32)는 1차 코일(51) 또는 2차 코일(52)이 감기며 결선되는 부분으로, 측면에 코일 안내 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접합부(35)는 기판(미도시)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솔더 등을 통해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기판에 형성된 홀의 크기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삽입 가능한 두께(또는 직경)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강성 보강 홈(37) 및 코일 안내 홈(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성 보강 홈(37)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30)의 일면에 형성된다. 강성 보강 홈(37)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하는 홈으로, 외부 접속 단자(30)에 코일(50)이 결선되는 과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3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30)가 변형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강성 보강 홈(37)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외부 접속 단자에 대해,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되는 부분만을 가압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 접속 단자(30)는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갖게 되므로, 외부 접속 단자(30)의 뼈대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는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변형되거나 부러지지 않으며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 보강 홈(37)이 코일 결선부(32)와 기판 접합부(35)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접속 단자(3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되는 부분만을 가압하여 그 밀도를 높임에 따라 도출되는 형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강성 보강 홈(37)에 대응하는 형태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부가 외부 접속 단자(30)의 타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강성 보강 홈과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또는 굴곡)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코일 안내 홈(33)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가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결선부(32)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총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한편, 전자 기기가 소형화 되어감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외부 접속 단자는 그 폭이 좁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와 같이 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더욱 심화된다.
이처럼 매우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코일 안내 홈(33)을 형성하는 경우, 코일 안내 홈(33)이 형성된 부분은 그 폭이 더욱 좁아지게 되며, 이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안내 홈(33)으로 인해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을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한다. 즉, 외부 접속 단자(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이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의 폭이 더욱 좁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각 코일 안내 홈(33)들은 최소한 외부 접속 단자(30)의 폭 이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 안내 홈(33)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 유지를 위해, 외부 접속 단자(30)의 측면에서 강성 보강 홈(37)까지의 수직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안내 홈(33)에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리드선(L)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 리드선(L)은 코일 안내 홈(33)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30) 상에서의 유동이 억제되며, 이에 리드선(L)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외부 접속 단자(30)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안내 홈(33)에 의해 리드선(L)의 고정력이 향상되므로 종래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리드선(L)을 여러번 감으며 결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리드선(L)의 결선 공정을 단순화하고 코일(5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접속 단자(30)에 코일(50)을 여러번 감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 코일(50)을 납땜하여 접합하는 경우에도 종래에 비해 땜납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 개(예컨대 6개)의 입력단자(30a)를 구비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가 하나의 1차 권선부(13)에 다수 개의 코일을 함께 권선하여 이용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나,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00)는 입력단자(30a)가 6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좁은 공간에서 다수(예컨대 12개)의 1차 코일(51) 리드선들(L)이 입력단자(30a)로 배치되어 결선된다. 따라서 리드선들(L)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격벽(16)의 일측에서 수평하게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를 구비한다. 리드선 지지부(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상호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를 위해 리드선 지지부(17)는 그 끝단에 리드선(L)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18)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리드선 지지부(17)는 제1 격벽(16a)과 제2 격벽(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격벽(16)에 다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드선 지지부(17)가 다수개인 경우, 각각의 리드선 지지부들(17)은 돌출 거리가 모두 상이하거나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각 다양한 거리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선 지지부(17)가 외부 접속 단자(30)의 배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출 성형 시 보빈(10)으로부터 금형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보빈(10)의 제작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리드선 지지부(17)가 다양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권선부(13)에 권선되는 1차 코일(51)과, 2차 권선부(15)에 권선되는 2차 코일(52)의 리드선(L)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1차 코일(51)의 리드선(L)과 2차 코일(52)의 리드선(L) 상호 간에 단락이 발생되기 어렵다.
그러나 2차 권선부(15)의 상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a)와 2차 권선부(15)의 하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12가닥의 리드선들(L)은 모두 입력단자(30a)에 결선되므로, 이러한 12가닥의 리드선들(L)은 상호 간에 서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제1 격벽(16a)에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a)를 통해 2차 권선부(15)의 상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a)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L)을 지지하여 상호 이격 배치하고, 2차 권선부(15)의 하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L)은 제2 격벽(16b)에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b)와 베이스(20)에 형성된 가이드부(22)를 통해 상호 이격 배치한다.
이에 따라, 2차 권선부(15)의 하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L)은 베이스(20)의 가이드부(22)를 따라 입력단자(30a)로 연결되거나, 제2 격벽(16b)에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b)에 감긴 후, 입력단자(30a)로 연결되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입력단자(3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지지부(17)는 각각 돌출된 거리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격벽(16a)에 형성된 리드선 지지부(17a)와, 제2 격벽(16b)에 형성된 리드선 지지부(17b)의 돌출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가 하부에 위치한 제2 격벽(16b)의 리드선 지지부(17b)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가 하부에 위치한 제2 격벽(16b)의 리드선 지지부(17b)보다 1mm 이상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가 제2 격벽(16b)의 리드선 지지부(17b)보다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를 경유하는 리드선들(L, 1차 권선부(13a)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은 다른 리드선들(L,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과의 간섭 없이 입력단자(30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리드선들(L)을 용이하게 이격 배치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지지부(17)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격벽(16)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리드선 지지부들(17)은 인접한 다른 리드선 지지부(17)와 최소 1mm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지지부(17)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개수의 리드선 지지부들(17)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리드선 지지부(17)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8)은 코일(5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에 하나의 가이드 홈(18)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에 다수 개의 가이드 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선 지지부(17)의 끝단 중심부에 하나의 가이드 홈(18)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 홈(18)이 형성되는 방향은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리드선(L)이 권선부(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나, 해당 리드선(L)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가이드 홈(18)은 리드선(L)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리드선(L)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40, core)는 일부가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코일(5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10)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 'EI' 코어, 'UU' 코어, 'U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과 코어(40) 사이에는 절연 테이프가 개재될 수 있다. 절연 테이프는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과 코어(40)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테이프는 코어(40)와 보빈(10)이 대면하는 코어(40)의 모든 내부면에 대응하여 개재될 수 있으며, 코일(50)와 코어(40)가 대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C-C'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부분적인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를 갖는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빈(10)은 전술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마찬가지로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되는 베이스(20)를 포함한다. 또한,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2a)와, 몸체부(12a)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2b), 및 몸체부(12a)에 형성되는 두 개의 격벽(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격벽들(16)과 플랜지부(12b)에 의해 분할된 공간들 중 양단에 형성된 공간(13, 즉 1차 권선부)에는 모두 1차 코일(51)이 권선되고, 가운데 형성되는 공간(15, 즉 2차 권선부)에는 2차 코일(52)이 권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측면 즉,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b)에서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되는 면이 면취 가공된 형태의 경사면(S)으로 형성된다.
베이스(20)가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은 베이스(20)의 경사면(S)을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리드선들(L)이 베이스(20)의 모서리 등에서 절곡됨에 따라 절곡된 부분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0)는 입력단자(30a)가 구비되는 1차측 베이스(20a)와 출력단자(30b)가 구비되는 2차측 베이스(20b)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30)는 베이스(20)의 끝단에서 외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2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코일(50)의 리드선(L)을 외부 접속 단자(30)로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20)의 상부면 즉 경사면(S)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코일 이월부(70)를 함께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1차측 베이스(20a) 측에 코일 이월부(7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코일(51)이 다수의 리드선(L)을 구비하므로, 1차 코일(51)에 대응하여 코일 이월부(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베이스(20)는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기본적으로 1차측 베이스(20a)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코일(50)은 1차 코일(51)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이월부(70)는 1차 코일(51)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2차 코일(52)의 리드선이 다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2차 코일(52)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차 코일(51)에 대해서만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코일 이월부(70)는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베이스(20)의 상부면이 아닌, 베이스(20)의 하부면으로 이월되어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는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에 의해 형성되며, 이월 홈(72), 횡단 경로(74), 및 안내 홈(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블록(78)은 보빈(1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2b)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78)은 보빈(10)과 결합되는 코어(40)의 움직임을 고정함과 동시에, 보빈(10)의 하부에 코일(51)의 리드선(L)이 배치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78)은 1차측 베이스(20a)와 관통공(11) 사이의 공간에서 돌출되며, 베이스(20)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보빈(10)의 플랜지부(12b)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78)은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보빈(10)의 플랜지부(12b)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블록(78)의 일단과 베이스(20) 일단 사이의 공간은 이월 홈(72)으로 이용된다.
이월 홈(7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b) 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블록(78)의 일단과, 베이스(20)의 일단, 그리고 그 사이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2b)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다. 이러한 이월 홈(72)은 보빈(10)에 권선되어 있는 코일(50)의 리드선(L)이 보빈(10)의 하부로 이월되는 경로로 이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의 일단이 플랜지부(12b)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이월 홈(72)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의 일단이 돌출되지 않고,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 사이에 있는 플랜지부(12b)의 일부를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는 등 플랜지부(12b)의 외주연 상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리드선(L)을 보빈(10)의 하부로 이월하는 과정에서, 리드선(L)이 이월 홈(7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빈(10)의 플랜지부(12b)에서 돌출된 가이드 블록(78)의 일단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횡단 경로(74)는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로, 플랜지부(12b)의 하부면 일측을 가로지르며 횡단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횡단 경로(74)는 이월 홈(72)을 통해 이월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베이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로로 이용된다.
안내 홈(76)은 베이스(20)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며, 횡단 경로(74)에 배치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즉, 안내 홈(76)에 의해 횡단 경로(74)에 배치된 코일(50)의 리드선(L)은 외부 접속 단자(3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배치 방향이 전환된다.
이를 위해, 안내 홈(76)은 베이스(20)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횡단 경로(74)와 연통되고, 타단은 베이스(20)의 외부로 개방된다.
한편, 안내 홈(76)에 의해 배치 방향이 전환되는 리드선(L)은 안내 홈(76)의 측벽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접촉 부분에서 리드선(L)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홈(76)은 리드선(L)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측벽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면취부(26)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면취부(26)를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내 홈(76)은 횡단 경로(74)에 배치되는 리드선들(L)의 개수 또는 해당 리드선들(L)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에 코일(50)의 리드선(L)이 배치되며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은, 최종적으로 리드선(L)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권선되며 체결된다. 이때, 코일(50, 예컨대 1차 코일)의 리드선(L)은 전술한 베이스(20)의 경사면(도 6의 S)을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되거나, 코일 이월부(70)를 통해 보빈(10)의 하부면으로 이동한 후,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20)의 경사면(S)으로 인출된 리드선(L)은 곧바로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될 수 있다
반면에 리드선(L)이 코일 이월부(70)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는 경우, 리드선(L)은 이월 홈(72)을 통해 보빈(10)의 하부면으로 이동한다. 이때, 리드선(L)은 가이드 블록(78) 일단의 고리 형상에 의해 유동이 억제되므로, 이월 홈(72) 내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리드선(L)은 보빈(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횡단 경로(74) 내에 배치된 후, 안내 홈(76)의 측벽(즉 면취부)을 지지하며 그 경로가 변경되어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드선(L)은 안내 홈(76)에 의해 대략 직각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선(L)이 다른 코일의 리드선들(L)과의 간섭 없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견고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다면, 리드선(L)과 접촉하는 안내 홈(76)의 측벽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하여 리드선(L)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홈(76)은 리드선(L)과 접촉하는 측벽이 안내 홈(76)의 바닥면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한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L)이 안내 홈(7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홈(76)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L)이 안내 홈(7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선(L)과 접촉하는 측벽이 상기한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면취부(26)에 단차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는 코일(50)을 보빈(10)에 자동으로 용이하게 권선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도출된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의 구성에 의해, 보빈(10)에 코일(50)을 권선하는 과정과, 이월 홈(72)을 통해 코일(50)의 리드선(L)을 보빈(10)의 하부면으로 이월하며 횡단 경로(74)에 배치하는 과정, 그리고 안내 홈(76)을 통해 리드선(L)의 경로를 전환하여 리드선(L)을 외부 접속 단자(3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인출한 후 리드선(L)을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하는 과정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코일(50)의 리드선(L)이 보빈(10)의 하부면에서 보빈(10)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70)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리드선들(L)이 플랜지부(12b)의 일면(즉, 베이스의 경사면)과 타면(즉 코일 이월부)으로 분산 배치되어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되므로, 종래의 트랜스포머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보빈에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면, 외부 접속 단자로 인출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리드선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코일들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이월부(70)에 의한 새로운 경로를 제공하므로, 리드선들(L)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선들(L)이 서로 교차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의 코일(50)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51)은 1차 권선부(13a)에 권선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권선부(12)는 2개의 1차 권선부(13a)를 구비한다. 따라서, 1차 코일(51)은 2개의 1차 권선부(13a)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51a, 51b)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코일(51)로 2개의 서로 다른 코일(51a, 51b)이 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에는 총 4개의 개별 코일(51a, 51b)이 권선되며, 이에 따라 총 8 가닥의 리드선(L)이 인출되어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차 코일(51)이 2개의 개별 코일(51a, 51b)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1차 코일(51)이 3개의 개별 코일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코일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권선부(12)에 권선된 코일들(50) 상호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권선부(12)에서 가장 바깥쪽에 권선되는 코일(50) 중 적어도 하나는 3중 절연 코일(Triple Insulated Winding Wire, TI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는 권선부(12)의 내측 즉 몸체부(12a)의 외주면과 인접한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코일(51a)이 권선되며, 권선부(12)의 외측 즉 격벽(16)의 외주연과 인접한 부분에는 3중 절연 코일(51b)이 권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51)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51a)와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51b)을 포함한다. 그리고 3중 절연 코일(51b)은 1차 권선부(13) 내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된다.
여기서, 3중 절연 코일(51b)은 도전체의 외부에 3층으로 절연체를 형성하여 코일의 절연성을 높인 코일로, 3중 절연 코일(51b)을 이용하는 경우 도전체와 외부와의 절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코일들 간의 절연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절연 코일(51a)에 비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1차 코일(51) 및 2차 코일(52)로 일반 절연 코일(51a, 52a)을 기본적으로 이용하며, 권선부(12) 내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코일에 대해서만 3중 절연 코일(51b)을 사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권선부(13) 즉 1차 코일(51)에만 3중 절연 코일(51b)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 경우, 1차 권선부(13)의 일반 절연 코일(51a)과, 2차 권선부(15)의 일반 절연 코일(52a)은 절연 거리와 연면 거리가 격벽(16)에 의해 충분이 이격되므로 상호 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권선부(13)의 3중 절연 코일(51b)과, 2차 권선부(15)의 일반 절연 코일(52a)은 상호 간의 거리(특히 연면 거리)가 매우 가깝게 배치되지만, 1차 코일(51)이 절연성이 높은 3충 절연 코일(51b)이므로, 2차 코일(52)과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0)을 권선하는 경우, 3중 절연 코일(51b)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 간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차 권선부(13)에는 일반 절연 코일만을 사용하고, 2차 권선부(15)에 권선되는 2차 코일(52)에 3중 절연 코일을 이용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각 코일(50)의 권선 수와 코일들(50) 간의 연면 거리 등을 고려하여 3중 절연 코일의 사용 위치와 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4), 트랜스포머(100)가 실장된 전원 공급부(5), 및 커버(2, 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 8)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2)와 백 커버(back cover, 8)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은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SMPS, 5)는 디스플레이 패널(4)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5)는 인쇄 회로 기판(6)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포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트랜스포머(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전원 공급부(5)는 샤시(7)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함께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5)에 실장되는 트랜스포머(100)는 코일(도 1의 5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권선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6)의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Z 방향), 코일(5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된다. 그리고 코어(40)의 일부(즉 상부면)는 백 커버(8)와 평행을 이루며 자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5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중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형성되는 자속(磁束)은 대부분 코어(40)에 내에 자로가 형성되므로, 백 커버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누설 자속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그 외부에 별도의 차폐 장치(예컨대, 차폐 쉴드 등)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트랜스포머(100)와 금속 재질의 백 커버(8) 사이에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자속과 금속 재질의 백 커버(8) 간의 간섭에 의해 백 커버(8)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와 같은 박형의 전자 기기에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어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더라도, 백 커버(8)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격벽에서 수평하게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에 의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코일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더라도 리드선들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되거나,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되므로, 코일의 리드선들을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하는 과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곡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형성된 코일 안내 홈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에 결합되는 리드선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에 리드선을 여러번 감으며 결선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드선의 결선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코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들 중 가장 바깥쪽에 권선되는 코일은 3중 절연 코일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1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1차 코일과 2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2차 코일 간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권선부를 구분하는 격벽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빈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트랜스포머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자동화된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보빈에 자동으로 권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코일의 권선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의 리드선이 보빈의 하부면에서 보빈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베이스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하부면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가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의 코일은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코일이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磁束)이 외부와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트랜스포머가 장착되더라도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에 2개의 코일 안내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더하여 외부 접속 단자의 양 측면에 연속적인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를 그 길이 방향에 따른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절곡함으로써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이 확보된 경우, 강성 보강 홈을 생략하고 코일 안내 홈만을 구비하도록 외부 접속 단자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과,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200.....트랜스포머
10.....보빈 12.....권선부
13.....1차 권선부 15.....2차 권선부
16.....격벽
16a.....제1 격벽 16b.....제2 격벽
17.....리드선 지지부 18.....가이드 홈
20.....베이스 22.....가이드부
30.....외부 접속 단자
30a.....입력단자 30b.....출력단자
32.....코일 결선부
33.....코일 안내 홈 35....기판 접합부
37.....강성 보강 홈
40.....코어 50.....코일
51.....1차 코일 52.....2차 코일
70.....코일 이월부 72.....이월 홈
74.....횡단 경로 76.....안내 홈
78.....가이드 블록

Claims (32)

  1.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보빈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상기 격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며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가 상기 제2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배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되는 트랜스포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각각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1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2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 또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되는 트랜스포머.
  11.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각각 상기 격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거리가 상이한 트랜스포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 홈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홈인 트랜스포머.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갖는 트랜스포머.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내 홈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상기 리드선을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으로 이월시키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더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
    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인 트랜스포머.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인 트랜스포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코일 이월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횡단 경로에 배치된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측벽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가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27.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권선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 일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타면으로 분산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트랜스포머.
  28.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29.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30.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보빈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되는 트랜스포머.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가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20973A 2010-08-11 2011-11-18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25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7581 2010-08-11
KR1020100077581 2010-08-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37A Division KR101123996B1 (ko) 2010-08-11 2011-06-21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441A true KR20120025441A (ko) 2012-03-15

Family

ID=461318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37A KR101123996B1 (ko) 2010-08-11 2011-06-21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20973A KR20120025441A (ko) 2010-08-11 2011-11-18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37A KR101123996B1 (ko) 2010-08-11 2011-06-21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1239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30B1 (ko) * 2012-11-07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25B1 (ko) * 2013-08-29 2014-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1594400B1 (ko) * 2014-12-29 2016-02-16 크로바하이텍(주) 트랜스포머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US10163554B2 (en) 2013-08-29 2018-12-25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0040618A1 (ko) * 2018-08-24 2020-02-27 주식회사 솔루엠 Y-커패시터를 구비한 평면형 트랜스포머
KR102143867B1 (ko) 2019-06-07 2020-08-12 (주) 트랜스온 Pfc용 슬림 트랜스포머
KR20200132382A (ko) 2019-05-17 2020-11-25 (주) 트랜스온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WO2022059823A1 (ko) * 2020-09-18 2022-03-24 (주)티에스이 고조파 저감용 리액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797B1 (ko) *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1913172B1 (ko) 2017-07-21 2018-11-01 주식회사 솔루엠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500130B1 (ko) * 2019-03-29 2023-02-15 주식회사 에이텀 평판형 변압기
KR102651675B1 (ko) 2022-05-26 2024-03-27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KR20230164968A (ko)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693Y1 (ko) * 1998-05-21 2001-01-15 최윤식 터미널 단자의 구조
KR20090005070U (ko) * 2007-11-22 2009-05-27 주식회사 광성전자 초크 코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30B1 (ko) * 2012-11-07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25B1 (ko) * 2013-08-29 2014-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US10163554B2 (en) 2013-08-29 2018-12-25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312012B2 (en) 2013-08-29 2019-06-04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58101B2 (en) 2013-08-29 2020-05-19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91501B2 (en) 2013-08-29 2021-04-27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94400B1 (ko) * 2014-12-29 2016-02-16 크로바하이텍(주) 트랜스포머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WO2020040618A1 (ko) * 2018-08-24 2020-02-27 주식회사 솔루엠 Y-커패시터를 구비한 평면형 트랜스포머
KR20200132382A (ko) 2019-05-17 2020-11-25 (주) 트랜스온 Pfc용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143867B1 (ko) 2019-06-07 2020-08-12 (주) 트랜스온 Pfc용 슬림 트랜스포머
WO2022059823A1 (ko) * 2020-09-18 2022-03-24 (주)티에스이 고조파 저감용 리액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77A (ko) 2012-03-15
KR101123996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9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414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53881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8889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KR101179384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2402964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88819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1704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9389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77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65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7939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8655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9305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8700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9498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60042560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0992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3338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K2402966T3 (en) Transformer and flat screen assembly comprising this
KR20120138713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4184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