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868B1 -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868B1
KR102143868B1 KR1020190080532A KR20190080532A KR102143868B1 KR 102143868 B1 KR102143868 B1 KR 102143868B1 KR 1020190080532 A KR1020190080532 A KR 1020190080532A KR 20190080532 A KR20190080532 A KR 20190080532A KR 102143868 B1 KR102143868 B1 KR 10214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ype transformer
case member
flat type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주) 트랜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트랜스온 filed Critical (주) 트랜스온
Priority to KR102019008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적용 전자기기를 더욱 슬림(slim)하게 구현할 수 있고, 구성부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공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립 고정되어 구비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FLAT TYPE TRANSFORMER}
본 발명은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적용 전자기기를 더욱 슬림(slim)하게 구현할 수 있고, 구성부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공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며, 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25∼100KHz의 고주파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50∼60Hz의 주파수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
종래 트랜스포머(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1)는,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와, 1차코일(40)과,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과,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에는 중앙 다리부(12)와 외측 다리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1차코일(40)은 기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다리부(12)에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되고,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리드 핀(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공(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은, 내부에 1차코일(40)의 도체 패턴과 절연 거리를 가지는 도체 와이어(31)를 적어도 2장의 절연체로 둘러싸여져 절연될 수 있는 다중 절연 와이어(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중 절연 와이어(32)는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의 중앙 다리부(12)와 외측 다리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 다리부(12)를 중심으로 권선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20b)은, 중앙 다리부(12)에 삽입되도록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1)의 전후로 벤딩부(22)가 형성되어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이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 내에 삽입 조립될 때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의 와이어(31,32)가 인출되도록 하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이 본래 위치에서 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1)의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은 가늘고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져 있어, 조립시 쉽게 변형이 되어 본래의 형태를 잃어버린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며 조립이 어렵고, 조립 후에도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 내에서 정확하게 고정될 수 없어 변형되거나 본래 위치에서 이탈되기 쉽다. 더욱이, 상기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20b)은 그 구조상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의 조립성 향상에 기여하거나,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이 본래 조립 위치나 자세를 유지하는 데 있어 기여하는 바가 크지 않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코어(10a)의 중앙 다리부(12)에, 하부 브라켓(20a), 하부 2차코일(30a), 1차코일(40), 상부 2차코일(30b), 상부 브라켓(20b)이 삽입 및 설치되어 도 2와 같은 조립 상태가 되며, 이어서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코어(10b)로 상부 브라켓(20b)의 상부를 커버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1)는, 모든 부품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부품이 적층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의 본래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모든 부품이 본래의 자리에 조립되기 어렵다. 특히, 상부 2차코일(30b) 및 상부 브라켓(20b)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코어(10a)의 중앙 다리부(12)에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상부 2차코일(30b)과 상부 브라켓(20b)은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코어(10b)의 조립도 용이하지 않게 되고, 이렇게 조립된 트랜스포머(1)는 본래의 성능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677호에는 제품의 외형을 슬림화하여 설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변압장치(트랜스포머)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러한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부와 고정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다수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어 조립 공수가 증가하고 조립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현저히 감소되며, 또한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됨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0677(2018.03.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31481(2008.04.0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51653(2018.04.2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40865(2013.03.11.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적용 전자기기를 더욱 슬림(slim)하게 구현할 수 있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부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공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기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립 고정되어 구비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평행하는 한 쌍의 장공이 형성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대향하는 두 단에서 일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대향하는 돌출벽부; 및 상기 대향하는 돌출벽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사각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장공에 상응하여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I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I자형의 세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장공 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벽부는 상기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끼움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돌출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보빈 어셈블리는 코일이 권선되는 풀리 형태의 코일 권선부; 상기 코일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코일 부재의 코일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권선부는 둘레로 상기 코일 부재가 권선되는 권선 수용부를 갖고 형성되는 풀리(pulley)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권선 수용부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권선부는 중앙부에 사각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평행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사각 관통구멍과 하부 플레이트의 사각 관통구멍을 연결하는 연결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벽체의 높이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돌출벽부의 높이와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일단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그 단자부가 연장되는 플레이트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이웃하는 연결핀 사이에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는 일면에 홈부가 형성된 블록체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양측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장공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사각 관통구멍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다리부를 갖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동일 용량의 트랜스포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패널형 전자기기를 더욱 슬림(slim)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구성부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 공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용이한 조립과 동시에 구성부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높은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일-보빈 어셈블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일-보빈 어셈블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서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케이스 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서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케이스 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일-보빈 어셈블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일-보빈 어셈블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서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케이스 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서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케이스 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는, 도 4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200)가 장착되는 케이스 부재(100);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부와 하부에 조립 고정되고, 상기 코일-보빈 어셈블리(200)에 권선되는 권선 코일과 연계되어 자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코어 부재(310, 3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상부 코어 부재(310)와 하부 코어 부재(320) 각각의 다리부(312)가 상부 측 및 하부 측에서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평행하는 한 쌍의 장공(11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상단과 하단의 돌출벽부(120), 및 상기 상단과 하단의 돌출벽부(120) 간을 연결하는 I자형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의 두 장공 간의 폭은 상기 I자형 연결부(130)의 세로부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벽부(120)의 돌출 길이(달리 표현하면, 케이스 부재(100)의 높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코일-보빈 어셈블리(200)의 코일 권선부(21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는 돌출 길이(높이)를 갖거나, 코일-보빈 어셈블리(200)의 코일 권선부(210)가 억지끼움 될 수 있는 돌출 길이(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자형 연결부(130)는 그 I자형 연결부(130) 대신에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와 같이 한 쌍의 장공(11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의 한 쌍의 장공(111)으로는 그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의 외면에 장착되는 상부 코어 부재(310)의 다리부(312)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I자형 연결부(130)의 양측 공간부에는 그 I자형 연결부(130)의 외면에 장착되는 하부 코어 부재(320)의 다리부(312)가 삽입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코일-보빈 어셈블리(200)는 코일이 권선되는 풀리 형태의 코일 권선부(210), 상기 코일 권선부(210)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미도시), 및 및 상기 코일 권선부(210)의 일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상기 코일 부재 각각의 단부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221)이 형성되는 단자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권선부(210)는 둘레로 코일 부재가 권선되는 권선 수용부를 갖고 형성되는 풀리(pulley)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권선 수용부는 관통부를 갖고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는 사각 장공으로 형성되며 그 관통부에는 코어 부재(300)의 다리부(312)가 삽입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권선 수용부는 링 형태(도면에서는 사각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 권선부(210)는 중앙부에 사각 관통구멍(211)이 형성되며 평행하는 상부 플레이트(212)와 하부 플레이트(213),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212)의 사각 관통구멍(211)과 하부 플레이트(213)의 사각 관통구멍(211)을 연결하는 연결 벽체(2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12)와 하부 플레이트(213)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 벽체(214)의 높이(길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케이스 부재(100)의 돌출벽부(120) 내측으로 삽입 장착 또는 억지끼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중앙부에 연결 벽체(214)에 의해 풀리 형태로 형성되는 코일 권선부(210)는 그 둘레로 코일 부재가 권선되어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단자부(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12)와 하부 플레이트(213) 중 하나에서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그 단부에 연결핀(221)이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부(220)는 상부 플레이트(212)의 일단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2), 및 상기 연장부(222)의 단부에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핀(221)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부(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12)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212)와 연장부(222)의 연결부에는 소정 크기의 단차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의 단차면은 도 6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보빈 어셈블리(200)를 케이스 부재(100)에 장착 고정하도록 조립할 때 스토퍼(stopper)로서의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단자부(220)는 복수의 연결핀(221)에서 이웃하는 연결핀(221) 사이에 요홈부(2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요홈부(230)는 상기 코일 부재의 코일단부 인출통로를 형성하며 그 코일단부 인출통로를 통해 인출됨으로써 인출라인 간을 확실하게 격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상기 요홈부(230)는 U자형의 요홈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 부재(310, 320)는 상기 코일-보빈 어셈블리(20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코어부재, 즉 상부 코어 부재(310)와 하부 코어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와 하부 코어 부재(320)는 내측에 홈부(311)가 형성된 블록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그 홈부(301)의 양측에는 다리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코어 부재(310)와 하부 코어 부재(320)는 케이스 부재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 등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에 의하면, 동일 용량의 트랜스포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패널형 전자기기를 더욱 슬림(slim)하게 구현할 수 있고,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구성부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 공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용이한 조립과 동시에 구성부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높은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부재
110: 베이스 플레이트부
111: 장공
120: 돌출벽부
130: 연결부
200: 코일-보빈 어셈블리
210: 코일 권선부
211: 관통구멍
212: 상부 플레이트
213: 하부 플레이트
214: 연결 벽체
220: 단자부
221: 연결핀
222: 연장부
230: 요홈부
310: 상부 코어 부재
311: 홈부
312: 다리부
320: 하부 코어 부재
312: 다리부

Claims (7)

  1. 하기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보빈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립 고정되어 구비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는, 평행하는 한 쌍의 장공이 형성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대향하는 두 단에서 일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대향하는 돌출벽부, 및 상기 대향하는 돌출벽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사각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장공에 상응하여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I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I자형의 세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장공 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벽부는 상기 코일-보빈 어셈블리가 끼움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돌출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보빈 어셈블리는
    코일이 권선되는 풀리 형태의 코일 권선부;
    상기 코일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코일 부재의 코일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권선부는 둘레로 상기 코일 부재가 권선되는 권선 수용부를 갖고 형성되는 풀리(pulley)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권선 수용부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권선부는 중앙부에 사각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평행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사각 관통구멍과 하부 플레이트의 사각 관통구멍을 연결하는 연결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벽체의 높이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돌출벽부의 높이와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일단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그 단자부가 연장되는 플레이트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이웃하는 연결핀 사이에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는 일면에 홈부가 형성된 블록체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양측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장공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사각 관통구멍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다리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0190080532A 2019-07-04 2019-07-04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14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32A KR102143868B1 (ko) 2019-07-04 2019-07-04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32A KR102143868B1 (ko) 2019-07-04 2019-07-04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868B1 true KR102143868B1 (ko) 2020-08-26

Family

ID=7229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532A KR102143868B1 (ko) 2019-07-04 2019-07-04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86U (ko) *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39B1 (ko) * 2005-06-27 2007-06-0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KR101240865B1 (ko) 2011-12-02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0677U (ko)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장치
KR101851653B1 (ko) 2017-08-11 2018-04-25 (주)아세아에프에이 트랜스포머
KR101989172B1 (ko) *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39B1 (ko) * 2005-06-27 2007-06-0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KR101240865B1 (ko) 2011-12-02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0677U (ko)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장치
KR101851653B1 (ko) 2017-08-11 2018-04-25 (주)아세아에프에이 트랜스포머
KR101989172B1 (ko) *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86U (ko) *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KR200495510Y1 (ko) 2020-10-16 2022-06-10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2237B2 (en) Low profile coil-wound bobbin
KR101686975B1 (ko) 코일 부품
TWI381612B (zh) 變壓器結構
US9396863B2 (en) Transformer
US20070126542A1 (en) Transformer
US20100033284A1 (en) Resonance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employing it
US6927650B2 (en) Common mode choke coil with vertically arranged edgewise windings of rectangular wire
US8183968B2 (en) Bobbin of transformer
US8922318B1 (en) Transformer structure
CN102376439A (zh) 变压器和使用该变压器的显示装置
US20080278274A1 (en) Combined transformer
JP2008258250A (ja) ケース付きトランス
US7633367B2 (en) Structure of transformer
KR101989172B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143868B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0495510Y1 (ko) 슬림형 트랜스포머
KR102399391B1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TWI575542B (zh) Detachable transformer
JP6569351B2 (ja) 絶縁トランス実装基板および電源装置
KR200495034Y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JP2017130604A (ja) 表面実装インダクタ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KR101779071B1 (ko) Llc 회로용 트랜스포머
JP2020512702A (ja) 電気部品、部品装置、及び部品装置の製造方法
US20160027575A1 (en) Circuit board magnetic component with integrated ground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