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481A -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481A
KR20080031481A KR1020087004805A KR20087004805A KR20080031481A KR 20080031481 A KR20080031481 A KR 20080031481A KR 1020087004805 A KR1020087004805 A KR 1020087004805A KR 20087004805 A KR20087004805 A KR 20087004805A KR 20080031481 A KR20080031481 A KR 2008003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terminal
bloc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와타나베
쥰지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3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3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assembling coil an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코어를 2개의 O형 코어와 이것과 분리한 I형 코어로 구성하였다. 이 타입의 코어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단자대에 대하여 제1의 O형 코어, 보빈리스의 코일 블록, 제2의 O형 코어를 순서대로 겹쳐 쌓도록 하여 조립해넣도록 하여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였다. 또한 단자대에 대하여 일측으로부터 제1의 O형 코어를 조립해 넣고, 타측으로부터 보빈리스의 코일 블록, 제2의 O형 코어를 겹쳐 쌓도록 조립해 넣도록 하였다. 또한 제1의 O형 코어, 보빈리스의 코일 블록, 제2의 O형 코어, 단자대를 적층하여 조립해 넣도록 하였다.
코어, 트랜스포머, 코일 블록, 트랜스포머, 단자대

Description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ORMER, AND TRANSFORMER}
본 발명은 민생용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권회된 코일 보빈에 코어를 조립해 넣는 등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코어로는 종래 얇은 규소 강판을 적층한 것이 사용되었었다. 그러나 이 코어는 사용함에 있어 윙윙거리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규소 강판 대신 페라이트 코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코어로는 일반적으로 EI형, EE형 등이 있으며, 이들 코어에서는 중족은 외족과 일체 성형되고, 코일이 권회된 코일 보빈을 중족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페라이트 코어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용량, 스페이스 등의 효율을 추구 하는 경우, 보다 큰 단면적을 확보하여 최소 스페이스에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중족 일체형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에서는 용량, 소형, 로우 프로파일(low profile)화 또는 에너지 절감화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다.
중족을 분리하여 코어의 단면적을 상하로 분배하고, 2개의 O형 코어와 I형 코어의 조합에 의해 코어 중족의 단면적을 크게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트랜스포 머가 일본 특허 공개 2005-7226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트랜스포머의 구성에 따르면, 측족 단면적의 밸런스를 I형 코어의 상하로 분산하기 때문에 각 코어의 치수비를 적당히 바꿀 수 있게 되어 로우 프로파일화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 로우 프로파일형 트랜스포머는 권동부의 외주에 코일이 권장된 코일 보빈과, 권동부 내측의 개구에 관통 삽입된 중족과, 코일 보빈을 둘러쌈과 아울러 권동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중족의 각 단부를 상하로부터 끼워넣도록 배치된, 중앙에 개구를 갖는 O형의 상측 코어 및 하측 코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 보빈의 바닥부 양측에는 단자가 식설된 플랜지형의 단자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트랜스포머는 단자대를 구비한 코일 보빈을 가지며, 이 코일 보빈의 외주에 코일을 권회하고나서 단자대 상에 상방향으로부터 하측 코어를 배치하고, 이어서 횡방향으로부터 중족을 코일 보빈 내에 삽입하고, 다음 상방향으로부터 상측 코어를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트랜스포머는 일방향으로부터 차례대로 각 부품을 겹쳐쌓아 조립하는 구성이지 아니기 때문에 조립성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코일 보빈에 코일을 권회하는 공정에 더하여, 그 코일 보빈에 횡방향으로부터 중족을 삽입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 점에서도 조립이 번잡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코어의 단면적을 상하로 분배하고, 2개의 O형 코어와 중족인 I형 코어로 이루어지는 코어를 구비한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각 부품을 일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겹쳐쌓아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을 양호하게 한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은, 틀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의 단자부 하면에 단자가 식설된 단자대의 상면에 겹쳐 쌓도록 틀 형상의 제1의 O형 코어를 조립해 넣는 공정과, 그 상측에 겹쳐 쌓도록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을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코일 블록의 상측에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겹쳐 쌓도록 조립해 넣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각 부재를 일방향으로부터 겹쳐쌓아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이 양호하고 양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틀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의 단자부 하면에 단자가 식설된 단자대와, 이 단자대의 상면에 설치된 틀 형상을 이루는 제1의 O형 코어와, 이 제1의 O형 코어 상에 I형 코어의 양단부가 올려진 코일 블록과, 이 코일 블록의 상기 I형 코어 상에 올려진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각 부재를 일방향으로부터 겹쳐쌓음으로써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양호하고 양산에 적합하다.
또한, 단자대를 틀 형상으로 하면 단자대와 코일 블록이 잘 간섭하지 않게 되어 로우 프로파일화가 보다 용이해진다.
임의 선택에서, 상기 단자대의 각 단자부 외면 대략 중앙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의 I형 코어 위치 결정부가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각 단자부 내면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의 코어 부착부가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I형 코어 위치 결정부 사이에 상기 I형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코어 부착부의 외측에 상기 제1, 제2의 O형 코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코일 블록의 I형 코어는 I형 코어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I형 코어 축방향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코어 부착부에 의해 제2의 O형 코어를 위치 결정하여 조립해 넣을 수 있다.
임의 선택에서, 상기 코어 부착부의 상단부 외측에 제2의 O형 코어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손톱부를 구비한다.
대체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코어 부착부의 상단부와 제2의 O형 코어는 접착제로 고정된다.
이들 구성에 따르면, 조립해 넣은 구성 부품이 잘 풀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은, 창을 가지며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단자부 하면에 단자가 식설되고, 상기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하방으로부터 겹쳐 쌓도록 틀 형상의 제1의 O형 코어를 조립해 넣는 공정과, 상기 단자대의 창 내에 상방으로부터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을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코일 블록의 상측에 상방으로부터 겹쳐 쌓도록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조립해 넣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각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겹쳐쌓아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이 양호하고 양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틀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의 하측에 단자가 식설된 단자대와, 이 단자대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조립된 제1의 O형 코어와, 상기 단자대의 창내에 상측으로부터 조립된,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과, 이 코일 블록의 상기 I형 코어의 양단부 상에 올려진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각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겹쳐쌓음으로써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양호하고 양산에 적합하다.
임의 선택에서, 상기 단자대에는 코일 블록이 배치되는 코일 블록 외형과 대략 동일 형상의 창이 형성되고, 이 창의 각 단자부측에는 상방을 향하여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가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이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는 I형 코어의 단부가 수납되는 대략 U자형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 내단에 있어서 외측으로 플랜지 형상으로 튀어나오고, 상단이 상기 돌출부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코어 부착편이 형성되고, 이 코어 부착편 상단과 상기 돌출부 상단 사이에 제2의 O형 코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단자대의 창내에 코일 블록이 배치되기 때문에 그 만큼 높이 치수를 억제하여 로우 프로파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가 코일 블록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블록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에 단차 부분을 설치하고, 그 단차 부분 내에 제2의 O형 코어를 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2의 O형 코어의 두께를 단차 부분으로 흡수할 수 있어 높이 치수를 억제하고 로우 프로파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임의 선택에서, 상기 코어 부착편의 상단부 외측에 제2의 O형 코어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손톱부를 구비한다.
대체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코어 부착편의 상단부와 제2의 O형 코어는 접착제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 형태의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은 I형 코어의 외주에 설치된 얇은 절연재와, 이 절연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조립된 테이프와, 이들 마진 테이프 사이에 권회된 코일로 이루어지는 보빈리스의 코일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코일 블록을 보빈리스로 하였기 때문에 보빈이 불필요해지고, 보빈 내에 I형 코어를 삽입하는 공정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I형 코어의 외주에 보빈은 없고, 얇은 조립된재를 통하여 코일이 배열 설치되기 때문에 I형 코어와 코일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자기 결합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은,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1의 O형 코어에 겹쳐 쌓도록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을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코일 블록에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2의 O형 코어를 겹쳐 쌓도록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제2의 O형 코어의 외측으로부터 2분할 구조의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겹쳐 쌓도록 조립해 넣고, 제2의 O형 코어의 다리부 상에 제1, 제2 단자대 본체의 단자부를 겹쳐 쌓도록 올려놓고, 각 단자부의 내측에 각각 이간하여 형성된 한 쌍의 부착편의 내단부를 상기 제2의 O형 코어의 창을 통하여 상기 I형 코어에 형성된 단자대 고정홈에 꽂아 부착하고, 상기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부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각 부재를 일방향으로부터 겹쳐쌓음으로써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양호하고 양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1의 O형 코어와, 이 제1의 O형 코어에 조립된,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과, 이 코일 블록에 조립된,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2의 O형 코어와, 이 제2의 O형 코어 상에 올려진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구비하고, 이 제1, 제2 단자대 본체는 상기 제2의 O형 코어의 다리부 상에 올려지는 단자부와, 이 단자부 내측에 있어서 상기 I형 코어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I형 코어에 형성된 단자대 고정홈에 부착되며,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상기 제2의 O형 코어 상에 부착하는 부착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각 부재를 일방향으로부터 겹쳐쌓음으로써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양호하고 양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임의 선택에서, 상기 코일 블록은 I형 코어의 외주에 설치된 얇은 절연재와, 이 절연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조립된 테이프와, 이들 마진 테이프 사이에 권회된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I형 코어의 외주에는 상기 마진 테이프의 외측에 조립된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코일 블록을 보빈리스로 하였기 때문에 보빈이 불필요해지고, 보빈 내에 I형 코어를 삽입하는 공정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I형 코어의 외주에 보빈은 없고, 얇은 절연재를 통하여 코일이 배열 설치되기 때문에 I형 코어와 코일간 거리가 가까워져 자기 결합이 양호해진다.
임의 선택에서, 상기 부착편의 하단부 외측에 조립된1의 O형 코어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손톱부를 구비한다.
대체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부착편의 하단부와 제1의 O형 코어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트랜스포머는 외주가 테이프로 감겨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c)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코일 블록의 조립 공정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중앙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립품의 풀림 방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립품의 풀림 방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립품의 풀림 방지의 다른 예의 조립 사시 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상기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기 중앙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a)∼(d)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코일 블록의 조립 공정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 10…단자대, 1A, 1B…단자대 본체,
1a…상면, 1b…단자부,
1b'…외면, 1c…연결부,
1d…인출홈, 1e…I형 코어 위치 결정부,
1f…창, 1g…코어 부착부,
1g'…손톱, 1h…I형 코어 수납부,
1i…제2의 O형 코어 부착부, 1j…돌출부,
1k…코어 부착편, 11…인출부,
2…제1의 O형 코어, 2b…일측의 다리부,
2c…연결 다리, 3…I형 코어,
4…코일, 5, 5A…코일 블록,
5b…단자대 고정홈, 6…제2의 O형 코어,
6a…창, 6b…일측의 다리부,
6b'…일측의 다리부 상, 6c…연결 다리,
7, 7A…단자, 8…절연재,
9…마진 테이프, 10…단자대,
10a…단자부, 10b…일측의 면,
10c…인출홈, 10d…타측의 면,
10e…내면, 10f…부착편,
a…접착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소형 트랜스포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중 도 1은 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핀 타입의 단자대(1) 상에 제1의 O형 코어(2), I형 코어(3) 및 그 외주에 권회된 코일(4)로 이루어지는 코일 블록(5) 및 제2의 O형 코어(6)를 일방향으로부터 차례대로 적층하여 조립해 넣음으로써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단자대(1)에는 그 상면(1a)에 제1의 O형 코어(2)가 겹쳐 쌓도록 하여 올려진다. 단자대(1)의 평면 외형은 제1, 제2의 O형 코어(2, 6)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에 사각형의 창(1f)을 가지며 서로 이간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단자부(1b)와, 이들 단자부(1b)를 연결하는 연결부(1c)로 이루어지는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1a)은 제1의 O형 코어(2)를 올려놓기 위하여 평탄하게 되어 있다. 또한, 양단에 형성된 단자부(1b)의 하면에는 스트레이트 핀 타입의 단자(7)가 식설되고, 인접하는 단자(7) 사이에는 인출선 인출용 인출홈(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c)의 하부에 오목부(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부(1b)의 외면(1b') 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시한 상태에서 외면(1b')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의 I형 코어 위치 결정부(1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부(1b)의 창(1f) 측의 내면에는 I형 코어(3)를 부착함과 아울러 제1, 제2의 O형 코어(2, 6)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판 형상의 코어 부착부(1g)가 상방을 향하여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코어 부착부(1g)는 I형 코어 위치 결정부(1e)의 내측의 위치에 I형 코어 위치 결정부(1e)에 대하여 평행하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코어 부착부(1g)의 대략 중앙부에는 세로로 긴 노치 형태의 I형 코어 수납부(1h)가 형성된다. 이 I형 코어 수납부(1h)는 사각형을 이루며, 그 폭 치수(a)는 I형 코어(3)의 폭 치수(a)와 대응해 있다. 또한, 코어 부착부(1g)는 단자부(1b)의 창(1f) 측의 내면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며, 코어 부착부(1g)의 폭 치수는 제1, 제2의 O형 코어(2, 6)의 창(2a, 6a)의 대응하는 폭 치수(b)와 같게 형성되어 있다.
조립함에 있어서는, 단자대(1)의 상면(1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의 O형 코어(2)를 상방으로부터 겹쳐 쌓도록 하여 올려놓는다. 제1의 O형 코어(2)는 단자대(1)의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아 바닥 면적 증대를 방지하고 있다. 이 때, 제1의 O형 코어(2)의 창(2a) 내에 코어 부착부(1g)가 위치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나 덜컹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 코일(4)이 장착된 I형 코어(3)의 양단 부분을 단자부(1b)의 각 외면(1b')에 각각 설치된 I형 코어 위치 결정부(1e) 사이로서 코어 부착부(1g)의 I형 코어 수납부(1h) 내에 상방으로부터 겹쳐 쌓도록 하여 세트한다.
이 I형 코어(3), 코일(4)로 이루어지는 코일 블록(5)은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I형 코어(3)의 양단부를 제외한 외주 부분에 절연 종이 또는 절연 테이프와 같은 얇은 절연재(8)를 감는다.
다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재(8)의 양단부에 각각 마진 테이프(9)를 플랜지 형상으로 소정의 횟수 권회한다.
다음, 양단부의 마진 테이프(9) 사이에 코일 소선을 권회하여 코일(4)을 권장함으로써 코일 블록(5)을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I형 코어(3)의 외주에 절연재(8)를 통하여 코일 소선을 권회하여 보빈리스로 코일 블록(5)을 구성하고 있다.
코일 블록(5)은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한 쌍의 I형 코어 위치 결정부(1e) 사이에 세트되기 때문에 이들 I형 코어 위치 결정부(1e)에 의해 축방향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I형 코어(3)의 하면은 제1의 O형 코어(2)의 상면 부분과 접합한 다.
다음, 제2의 O형 코어(6)를 코일 블록(5)의 I형 코어(3) 상에 상방으로부터 겹쳐 쌓도록 하여 올려놓고, I형 코어(3)와 접합시켜 폐자로를 구성한다. 이 경우, 코어 고정부(1g)의 상부는 제2의 O형 코어(6)의 창(6a)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의 O형 코어(6)의 위치 어긋남이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각각 조립후의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와 중앙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조립후에 외주에 테이프(T)를 감으면 각 부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부착부(1g)의 선단부로부터 제2의 O형 코어(6)에 걸치도록 접착제(a)를 도포하면 상방향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부착부(1g)의 선단부에 손톱(1g')을 설치하고, 제2의 O형 코어(6)를 압입후, 손톱(1g')에 의해 상방향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으나 주지와 같이, 코일(4)의 인출선은 적당히 단자(7)에 휘감겨서 납땜 접속된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L핀 타입의 단자(7A)를 가지며, 단자대(1)의 상하 방향으로부터 각각 제1, 제2의 O형 코어(2, 6)나 코일 블록(5)을 겹쳐 쌓도록 하여 조립해 넣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의 O형 코어(2)나 코일 블록(5) 등의 조립에 궁리를 하여 로우 프로파일화를 도모하고 있다.
즉, 단자대(1)의 양단에 형성된 단자부(1b)에 적당수의 L형의 단자(7A)가 각각 식설되어 있다. 이 L자형을 이루는 단자(7A)의 굴곡부는 단자부(1b) 내에 매설되고, 인출선 휘감기용 일단(7a)은 단자부(1b)의 외면(1b')으로부터 돌출되고, 실장용의 타단(7b)은 단자부(1b)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양단의 단자부(1b)를 연결하는 연결부(1c)의 하부에 오목부(1c')로 이루어지는 제1의 O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c')로 이루어지는 제1의 O형 코어 부착부의 형상은 제1의 O형 코어(2)를 단자대(1)의 하부에 수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자대(1)에는 코일 블록(5)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창(1f)이 형성되고, 이 부분에 코일 블록(5)이 배치된다. 또한, 코일 블록(5)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창(1f)의 양단, 즉 각 단자부(1b) 측은 코일 블록(5)의 단부와 대략 대응한 형상을 이루며, 단자대(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1i)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1i)는 단자부 외면(1b')을 향하여 대략 U자형으로 돌출하고, 내측에 I형 코어(3)의 단부가 수납되는 대략 U자형의 돌출부(1j)와, 이 돌출부(1j)의 내단에 있어서 돌출부(1j)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즉 연결부(1c) 측을 향하여 플랜지 형상으로 튀어나오고, 내측에 코일 블록(5)의 코일(4)의 마진 테이프(9) 단면이 위치하는 코어 부착편(1k)이 형성되어 있다.
코어 부착편(1k)의 상단은 돌출부(1j)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이 높이의 차는 제2의 O형 코어(6)의 두께(c)와 같게 되어 있고, 돌출부(1j)의 상단 상에 제2의 O형 코어(6)가 올려진다. 또한, 코어 부착편(1k)의 외단부, 즉 연결부(1c) 측에는 코일(4)의 인출선을 단자(7A) 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노치형의 인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함에 있어서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대(1)의 연결부(1c)의 하부의 오목부(1c')에 제1의 O형 코어(2)를 겹쳐 쌓도록 하여 배치한다.
다음, 단자대(1)의 상측으로부터 창(1f),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1i) 내에 코일 블록(5)을 제1의 O형 코어(2)에 대하여 겹쳐 쌓도록 하여 배치한다.
다음, 제2의 O형 코어(6)를 돌출부(1j) 상단에 상측으로부터 겹쳐 쌓도록 하여 올려놓고, 그 하측에 위치하는 I형 코어(3)의 내단부 상면에 제2의 O형 코어(6)의 하면을 맞닿게 하여 폐자로를 구성하면 된다.
도 9는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코일 블록(5)의 코일(4)의 인출선은 인출부(11) 삽통공을 통하여 인출되며 소정의 단자(7A)에 휘감긴다.
도 10은 도 9의 중앙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각 부재의 풀림 방지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를 조립한 트랜스포머의 외주에 감으면 된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부착편(1k)의 선단부로부터 제2의 O형 코어(6)에 걸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면 된다.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부착편(1k)의 선단부에 손톱을 설치하여 풀림을 방지하도록 하면 된다.
실시예 3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의 O형 코어(2) 상에 코일 블록(5A), 제2의 O형 코어(6)를 겹쳐 쌓도록 하여 조립해 넣고, 2개로 분할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단자대(10)를 조립해 넣는 등 하여 조립하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의 O형 코어(2, 6)는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창(2a, 6a)을 가지며,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블록(5A)은,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보다 약간 내측 위치에 단자대 고정홈(5b)이 형성된 I형 코어(5a)와, 이 I형 코어(5a)의 외주로서 마진 테이프(9) 사이에 권장된 코일(4)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대 고정홈(5b)은 I형 코어(5a)의 양단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I형 코어(5a)의 양단부 측면에 각각 형성된 단자대 고정홈(5b)의 내측 사이에 절연 테이프 또는 절연 종이 등과 같은 얇은 절연재(8)를 권회한다.
다음,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재(8)의 양단부에 각각 플랜지 형상으로 마진 테이프(9)를 권회한다. 이 마진 테이프(9)는 단자대 고정홈(5b)의 내측에 설치된다.
다음,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간되어 설치된 마진 테이프(9) 사이에 코일 소선을 권회하여 코일(4)을 형성하고, 코일 블록(5A)이 조립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대(10)는 서로 분리 된 제1, 제2 단자대 본체(1A, 1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단자대 본체(1A)는 일측의 면(10b) 상에 스트레이트 핀 타입의 적당수의 단자(7)가 식설된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자부(10a)를 가지고 있다. 인접하는 단자(7) 사이에는 인출선 인출용 인출홈(10c)이 형성되고, 단자부(10a)의 길이 방향의 형상은 제2의 O형 코어(6)의 일측의 다리부(6b)와 대략 대응한 길이, 폭으로 형성되고, 단자부(10a)의 타측의 면(10d)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으며, 제2의 O형 코어(6)의 일측의 다리부(6b') 상에 올려진다.
단자부(10a)의 내측(10e), 즉 제2의 O형 코어(6)의 창(6a) 측의 면에는 제1의 O형 코어(2)에 조립된 코일 블록(5A)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착편(10f)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각 부착편(10f)의 내측은 I형 코어(5a)의 양 측면에 도면의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단자대 고정홈(5b)에 꽂혀져서 부착된다. 또한, 부착편(10f)의 외측은 제1, 제2의 O형 코어(2, 6)의 서로 이간한 한 쌍의 일측의 다리(2b, 6b)의 각 단부에 설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다리(2c, 6c)의 내면과 맞닿아 고정된다.
제2 단자대 본체(1B)도 제1 단자대 본체(1A)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조립함에 있어서는, 도 11에서 실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O형 코어(2)의 일측의 다리부(2b)의 면상(2b')의 중앙부에 코일 블록(5A)의 I형 코어(5a)의 양단부를 각각 올려놓고 접합한다.
다음, I형 코어(5a)의 양단부 상에 제2의 O형 코어(6)를 올려놓고 접합시킨 다.
다음, 제2의 O형 코어(6)의 일측의 다리부(6b) 및 이와 반대측에 있어서 이간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타측의 다리부(6b) 상에 각각 제1, 제2 단자대 본체(1A, 1B)의 바닥면(10d)을 올려놓는다. 이 경우, 제1, 제2 단자대 본체(1A, 1B)의 각 부착편(10f)의 내측 부분은 제2의 O형 코어(6)의 창(6a) 안을 지나 그 하측에 배치된 I형 코어(5a)의 단자대 고정홈(5b)에 꽂혀져서 부착된다.
또한, 조립함에 있어, 도 11의 상태에서 파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블록(5A)에 대하여 제1의 O형 코어(2)를 조립해 넣고, 이 조립체를 제2의 O형 코어(6)에 조립해 넣고, 제2의 O형 코어(6)의 상방으로부터 제1, 제2 단자대 본체(1A, 1B)를 조립해 넣을 수도 있다.
도 13은 조립된 트랜스포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조립 후의 각 부재의 풀림 방지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를 외주에 감으면 된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편(10f)의 상부에 접착제를 제1의 O형 코어(2)에 걸치도록 도포하면 된다.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편(10f)의 선단부에 손톱을 설치하여 풀림을 방지하도록 하면 된다.

Claims (20)

  1. 틀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의 단자부 하면에 단자가 식설된 단자대의 상면에 겹쳐 쌓도록 틀 형상의 제1의 O형 코어를 조립해 넣는 공정과,
    그 상측에 겹쳐 쌓도록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을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코일 블록의 상측에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겹쳐 쌓도록 조립해 넣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2. 틀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의 단자부 하면에 단자가 식설된 단자대와, 이 단자대의 상면에 설치된 틀 형상을 이루는 제1의 O형 코어와, 이 제1의 O형 코어 상에 I형 코어의 양단부가 올려진 코일 블록과, 이 코일 블록의 상기 I형 코어 상에 올려진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각 단자부 외면 대략 중앙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의 I형 코어 위치 결정부가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각 단자부 내면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의 코어 부착부가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I형 코어 위치 결정부 사이에 상기 I형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코어 부착부의 외측에 상기 제1, 제2의 O형 코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창을 가지며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단자부 하면에 단자가 식설되고, 상기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단자대에 하방으로부터 틀 형상의 제1의 O형 코어를 상기 단자대와 상기 제1의 O형 코어가 적층하도록 조립해 넣는 공정과,
    상기 단자대의 창 내에 상방으로부터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을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코일 블록의 상측에 상방으로부터 겹쳐 쌓도록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조립해 넣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5. 틀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의 하측에 단자가 식설된 단자대와, 이 단자대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조립된 제1의 O형 코어와, 상기 단자대의 창내에 상측으로부터 조립된,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과, 이 코일 블록의 상기 I형 코어의 양단부 상에 올려진 틀 형상의 제2의 O형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에는 코일 블록이 배치되는 코일 블록 외형과 대략 동일 형상의 창이 형성되고, 이 창의 각 단자부 측에는 상방을 향하여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가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이 제2의 O형 코어 부착부는 I형 코어의 단부가 수납되는 대략 U자형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 내단에 있어서 외측으로 플랜 지 형상으로 튀어나오고, 상단이 상기 돌출부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코어 부착편이 형성되고, 이 코어 부착편 상단과 상기 돌출부 상단 사이에 제2의 O형 코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은 I형 코어의 외주에 설치된 얇은 절연재와, 이 절연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마진 테이프와, 이들 마진 테이프 사이에 권회된 코일로 이루어지는 보빈리스의 코일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8.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1의 O형 코어에 겹쳐 쌓도록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을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코일 블록에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2의 O형 코어를 겹쳐 쌓도록 조립해 넣는 공정과,
    이 제2의 O형 코어의 외측으로부터 2분할 구조의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겹쳐 쌓도록 조립해 넣고, 제2의 O형 코어의 다리부 상에 제1, 제2 단자대 본체의 단자부를 겹쳐 쌓도록 올려놓고, 각 단자부의 내측에 각각 이간되어 형성된 한 쌍의 부착편의 내단부를 상기 제2의 O형 코어의 창을 통하여 상기 I형 코어에 형성된 단자대 고정홈에 집어넣어 부착하고, 상기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부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9.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1의 O형 코어와, 이 제1의 O형 코어에 조립된, I형 코어 및 여기에 권장된 코일을 구비한 코일 블록과, 이 코일 블록에 조립된, 창을 가지며 틀 형상을 이루는 제2의 O형 코어와, 이 제2의 O형 코어 상에 올려진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구비하고, 이 제1, 제2 단자대 본체는 상기 제2의 O형 코어의 다리부 상에 올려지는 단자부와, 이 단자부 내측에 있어서 상기 I형 코어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I형 코어에 형성된 단자대 고정홈에 부착되고, 제1, 제2 단자대 본체를 상기 제2의 O형 코어 상에 부착하는 부착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은 I형 코어의 외주에 설치된 얇은 절연재와, 이 절연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마진 테이프와, 이들 마진 테이프 사이에 권회된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I형 코어의 외주에는 상기 마진 테이프의 외측에 단자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은 I형 코어의 외주에 설치된 얇은 절연재와, 이 절연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마진 테이프와, 이들 마진 테이프 사이에 권회된 코일로 이루어지는 보빈리스의 코일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착부의 상단부 외측에 제2의 O형 코어와 걸 어맞춤하도록 구성된 손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착편의 상단부 외측에 제2의 O형 코어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손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편의 하단부 외측에 제1의 O형 코어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손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착부의 상단부와 제2의 O형 코어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착편의 상단부와 제2의 O형 코어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편의 하단부와 제1의 O형 코어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8. 제 2 항에 있어서, 외주가 테이프로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9. 제 5 항에 있어서, 외주가 테이프로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0. 제 9 항에 있어서, 외주가 테이프로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1020087004805A 2005-08-01 2006-08-01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KR20080031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2432 2005-08-01
JPJP-P-2005-00222432 2005-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481A true KR20080031481A (ko) 2008-04-08

Family

ID=3770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805A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6-08-01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37196A1 (ko)
JP (1) JPWO2007015493A1 (ko)
KR (1) KR20080031481A (ko)
CN (1) CN101233589A (ko)
DE (1) DE112006002062T5 (ko)
WO (1) WO2007015493A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55B1 (ko) * 2012-06-11 2013-10-29 윤기호 고고도 전자기파 방호용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8298A (ko) * 2017-09-08 2019-03-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장치
KR101989172B1 (ko)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00062529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 장치
KR102143868B1 (ko) 2019-07-04 2020-08-26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168694B1 (ko) 2019-08-07 2020-10-21 주식회사 필룩스 트랜스포머
KR20210087278A (ko) 2020-01-02 2021-07-12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10147670A (ko) 2020-05-29 2021-12-07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9652A (ko) 2020-07-16 2022-01-2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0389U (ko) 2020-08-06 2022-02-15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22694A (ko) 2020-08-19 2022-02-28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47122A (ko) 2020-10-08 2022-04-1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0886U (ko)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KR20220001248U (ko) 2020-11-25 2022-06-02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102419203B1 (ko) 2022-01-06 2022-07-08 (주)다성하이텍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변압기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한 변압기
KR102419204B1 (ko) 2022-01-06 2022-07-08 (주)다성하이텍 핀수를 확장한 변압기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한 변압기
KR20220129384A (ko) 2021-03-16 2022-09-23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136657A (ko) 2021-04-01 2022-10-11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57267A (ko) 2021-05-20 2022-11-29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30036866A (ko) 2021-09-08 2023-03-1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30064978A (ko) 2021-11-04 2023-05-11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트랜스포머 코일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KR20230134218A (ko) 2022-03-14 2023-09-21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30171247A (ko) 2022-06-13 2023-12-20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변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8837B2 (en) 2003-07-08 2009-10-06 Pulse Engineering, Inc. Form-les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P3288049B1 (en) * 2015-04-23 2020-01-08 Hitachi Metals, Ltd. Surface mountable reac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WO2017183095A1 (ja) * 2016-04-19 2017-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変圧器
CN105895337B (zh) * 2016-06-20 2017-12-01 合肥市菲力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高频变压器骨架
JP7298295B2 (ja) * 2019-05-23 2023-06-2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DE102019208884A1 (de) * 2019-06-19 2020-12-24 SUMIDA Components & Modules GmbH Induktives Bauelement
DE102020213628A1 (de) 2020-10-29 2022-05-0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nduktives Bauelement mit zusammengefügten Teilkern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934Y2 (ja) * 1989-03-13 1995-05-3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11224820A (ja) * 1998-02-06 1999-08-17 Sht:Kk コイル装置
US6121696A (en) * 1999-01-06 2000-09-19 Jen-Yu Pan EMI preventive AC line filter
JP2002217043A (ja) * 2001-01-22 2002-08-02 Nec Tokin Corp インダクタ部品
JP3619812B2 (ja) * 2002-05-10 2005-02-16 東京コイ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低背型トランス
JP2005026496A (ja) * 2003-07-03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インフィルタ
JP2005072261A (ja) 2003-08-25 2005-03-17 Tamura Seisakusho Co Ltd 低背型トランスの製造方法および低背型トランス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55B1 (ko) * 2012-06-11 2013-10-29 윤기호 고고도 전자기파 방호용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8298A (ko) * 2017-09-08 2019-03-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장치
KR20200062529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 장치
KR101989172B1 (ko)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143868B1 (ko) 2019-07-04 2020-08-26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102168694B1 (ko) 2019-08-07 2020-10-21 주식회사 필룩스 트랜스포머
KR20210087278A (ko) 2020-01-02 2021-07-12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10147670A (ko) 2020-05-29 2021-12-07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9652A (ko) 2020-07-16 2022-01-2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0389U (ko) 2020-08-06 2022-02-15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22694A (ko) 2020-08-19 2022-02-28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47122A (ko) 2020-10-08 2022-04-1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30115274A (ko) 2020-10-08 2023-08-02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0886U (ko)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KR20220001248U (ko) 2020-11-25 2022-06-02 (주) 트랜스온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129384A (ko) 2021-03-16 2022-09-23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136657A (ko) 2021-04-01 2022-10-11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57267A (ko) 2021-05-20 2022-11-29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30036866A (ko) 2021-09-08 2023-03-1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30064978A (ko) 2021-11-04 2023-05-11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트랜스포머 코일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KR102419203B1 (ko) 2022-01-06 2022-07-08 (주)다성하이텍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변압기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한 변압기
KR102419204B1 (ko) 2022-01-06 2022-07-08 (주)다성하이텍 핀수를 확장한 변압기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한 변압기
KR20230134218A (ko) 2022-03-14 2023-09-21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40025572A (ko) 2022-03-14 2024-02-27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30171247A (ko) 2022-06-13 2023-12-20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변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15493A1 (ja) 2009-02-19
DE112006002062T5 (de) 2008-07-03
WO2007015493A1 (ja) 2007-02-08
US20090237196A1 (en) 2009-09-24
CN101233589A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1481A (ko)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US6608544B2 (en) Reactor
JP4542548B2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101124003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066645A1 (ja)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
JPH07245217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該素子用コイル
JPH077123U (ja) 大電流チョークコイル
US11515076B2 (en) Coil device
JP3346188B2 (ja) チョークコイル
CN113921246A (zh) 线圈模块及其制造方法
JP2009302492A (ja) 電磁誘導器
JP2006294872A (ja) コイルボビン及びそのコイルボビン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9252833A (ja) コイル部品
JP6623351B2 (ja) トランス
KR200338261Y1 (ko) 트랜스포머
JP3438201B2 (ja) コイルボビン
JPH09219326A (ja) シートトランス
JP3430144B2 (ja) カバー付小型トランス
JP2008205210A (ja) トランス
JP2005072261A (ja) 低背型トランスの製造方法および低背型トランス
JP2003332137A (ja) 低背型トランス
JPH07230919A (ja) 巻線部品
JP3054397U (ja) コイル用ボビン及びトランスケース並びにトランス
JPH0749773Y2 (ja) トランス装置
JP2533664Y2 (ja) フープ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