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122A -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 Google Patents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122A
KR20220047122A KR1020210009583A KR20210009583A KR20220047122A KR 20220047122 A KR20220047122 A KR 20220047122A KR 1020210009583 A KR1020210009583 A KR 1020210009583A KR 20210009583 A KR20210009583 A KR 20210009583A KR 20220047122 A KR20220047122 A KR 2022004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connecting pin
body portio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456B1 (ko
Inventor
권영주
Original Assignee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22406191.X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6871738U/zh
Publication of KR2022004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122A/ko
Priority to KR1020230093571A priority patent/KR102647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19Planar transformers with printed windings, e.g. surrounded by two cores and to be mounted o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제1 몸체부와 제2 코일이 권선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보빈으로서, 제1 몸체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 제1 코일이 연결되는 제1 연결핀 부재, 및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연결핀 부재를 지지하는 제1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2 몸체부는, 제2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코일 권선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 제2 코일이 연결되는 제2 연결핀 부재, 및 제2 몸체부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의 반대측에 마련되고 제2 연결핀 부재를 지지하는 제2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어 결합된다.

Description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BOBBIN AND TRANSFORMER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빈 및 변압 장치와 관련된다.
변압 장치(Transfomer)는 전기의 전압을 해당 전기 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최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소형화 되고 박막화 되는 것이 추세인 바, 이러한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변압 장치도 소형화 및 박막화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1481호(2008.04.0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형화가 가능한 보빈 및 변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제1 몸체부와 제2 코일이 권선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보빈으로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 상기 제1 코일이 연결되는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핀 부재를 지지하는 제1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 상기 제2 코일이 연결되는 제2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반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를 지지하는 제2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몸체부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코일 권선부가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코일 권선부의 상면 및 하면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일 권선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제1 권선 몸체부; 및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에서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의 외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일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되며, 일측의 상면이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제2 코일이 권선되며 내측에 상기 수용홀이 마련되는 제2 권선 몸체부; 및 상기 제2 권선 몸체부에서 상기 제2 권선 몸체부의 외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코일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하면에 안착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폭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가 형성된 상기 보빈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코일의 일측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1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1 절연 부재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상기 보빈에 밀착시키는 보빈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경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대하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테두리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타측의 상면이 안착되는 연장 안착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연장 안착부의 경계에 마련되는 제2 테두리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테두리 격벽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보빈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 고정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안착 지지부; 상기 안착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부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에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부의 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며, 상기 타단이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제1 연결핀 부재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코일 연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가 형성된 상기 보빈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1 절연 부재,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의 일측부에서 상기 제2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의 타측부에서 상기 제2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3 절연 부재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폭은, 상기 제2 코일의 폭 보다 넓게 마련되고 상기 제2 몸체부의 폭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코어 부재가 삽입되는 코어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제3 절연 부재의 길이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는, 제1 코일이 권선되고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2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상기 코일 권선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 및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상측에 안착되고 일부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하측에 안착되고 일부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외주면에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제2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경계면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1 절연 부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경계면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2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권선부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제1 권선 몸체부; 및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에서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의 외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일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 부재 및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부의 코일 권선부가 제2 몸체부의 수용홀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코일 권선부와 제2 몸체부의 높이가 동일하게 마련됨으로써, 변압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도 코일의 권선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빈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가 형성되는 일단부에 제1 절연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제1 코일과 제2 코일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보빈의 길이를 줄여 변압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빈의 양측부에 제2 절연 부재 및 제3 절연 부재를 부착시킴으로써, 제1 코일과 코어 부재 간의 절연 거리 및 제2 코일과 코어 부재 간의 절연 거리를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권선 면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코일과 제2 코일 간의 절연 거리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저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절연 부재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절연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가 기판에 안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가 기판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저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변압 장치(100)는 제1 몸체부(102), 제2 몸체부(104), 보빈 고정부(106), 및 코어 부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 고정부(106)는 제1 보빈 고정부(106-1) 및 제2 보빈 고정부(106-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부재(108)는 제1 코어 부재(108-1) 및 제2 코어 부재(10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는 코일이 권취되는 부분으로 보빈(Bobbin)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2)에는 제1 코일(50)이 권선된다. 제1 몸체부(102)는 코일 권선부(111),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는 제1 몸체부(102)에 제1 코일(50)을 권선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는 제1 베이스부(121), 제1 권선 몸체부(123), 제1 커버부(125), 및 제1 연장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와 연장 안착부(115) 사이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와 연장 안착부(115)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는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 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과 단차가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몸체부(104)의 상면이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에 안착되면서 제1 몸체부(102)의 상면과 제2 몸체부(104)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이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과 단차가 있게 마련됨에 따라, 제1 코일(50)이 권선되는 영역(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 영역)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코일 권선부(111)에서 제1 코일(50)은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 영역까지 용이하게 권선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권선 몸체부(123)는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주면에는 제1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는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관 또는 원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주면에 제1 코일(50)을 권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권선 몸체부(123)의 내측에는 제1 코어 부재(108-1) 및 제2 코어 부재(108-2)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는 코어 삽입홀(129)이 마련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9)은 제1 몸체부(102)의 높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방향은 도 2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9)은 제1 베이스부(121)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9)은 제1 몸체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도 2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커버부(125)는 제1 권선 몸체부(123)의 하단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커버부(125)는 제1 베이스부(121)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부(125)는 제1 권선 몸체부(123)의 하단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버부(125)가 제1 권선 몸체부(123)의 하단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측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제1 코일(50)은 제1 커버부(125)에 의해 하부로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커버부(125)와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 사이에서 권선될 수 있게 된다.
제1 연장부(127)는 제1 커버부(125)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7)는 제1 커버부(125)의 양측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21), 제1 권선 몸체부(123), 제1 커버부(125), 및 제1 연장부(127)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121), 제1 권선 몸체부(123), 제1 커버부(125), 및 제1 연장부(127)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장부(127)의 단부에는 오삽 방지홈(151)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삽 방지홈(151)은 제1 연장부(127)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와 대응하는 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삽 방지홈(151)은 제2 몸체부(104)가 제1 몸체부(102)와 결합 시 잘못된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부(12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부(12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핀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부(121)의 일측에서 제1 베이스부(12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은 도 2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외측 단부(외측을 향하는 단부)에는 제1 코일(50)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 부재(1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부재(131)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연결핀 지지돌기(113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상면 양측에는 제1 걸림 돌기(133)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걸림 돌기(133)에는 제1 보빈 고정부(106-1)의 단부가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부(102)에는 코일 연결홀(157)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 연결홀(157)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1 베이스부(121)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코일 연결홀(157)은 코일 권선부(111)에 권선된 제1 코일(50)이 코일 연결홀(157)을 통해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 마련되는 제1 연결핀 부재(131)와 바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 연결홀(157)은 제2 몸체부(104)가 제1 몸체부(102)와 결합된 경우,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상부에서 제1 코일(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02)에는 제1 테두리 격벽(117)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격벽(117)은 제1 베이스부(121)와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경계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격벽(117)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일단부(제1 베이스부(121)와 마주대하는 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격벽(117)은 제1 코일(50)과 제1 코어 부재(108-1)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연장 안착부(115)는 제1 베이스부(12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 안착부(115)는 제1 베이스부(12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장 안착부(115)는 제1 베이스부(121)의 타측에서 제1 베이스부(12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은 제2 몸체부(10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연장 안착부(115)의 상면 양측에는 제2 걸림 돌기(1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걸림 돌기(135)에는 제2 보빈 고정부(106-2)의 단부가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121)와 연장 안착부(115)의 사이에는 제2 테두리 격벽(119)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테두리 격벽(119)은 제1 베이스부(121)와 연장 안착부(115)의 경계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테두리 격벽(119)은 연장 안착부(115)의 일단부(제1 베이스부(121)와 마주대하는 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04)에는 제2 코일(60)이 권선된다. 제2 몸체부(104)는 제1 몸체부(102)의 하부에서 제1 몸체부(102)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몸체부(104)는 제1 몸체부(102)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로 가압되어 제1 몸체부(10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02)를 제2 몸체부(104)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2)를 하부로 가압하여 제2 몸체부(104)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는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04)는 제2 베이스부(141), 제2 권선 몸체부(143), 제2 커버부(145), 및 제2 연장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는 제1 베이스부(121)의 외측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는 제1 베이스부(121)의 외측에서 제1 베이스부(121)와 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21)는 제2 베이스부(141)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 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베이스부(141)가 제1 베이스부(121)의 외측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에 안착되면, 제2 베이스부(141)는 제1 베이스부(121)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베이스부(141)의 상면은 제1 베이스부(1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은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는 제1 베이스부(121)의 외측에서 제1 베이스부(121)와 단차 없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와 제2 베이스부(141)의 접하는 경계면이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의 일측에는 제2 연결핀 지지부(137)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지지부(137)는 제2 베이스부(141)에서 연장 안착부(115)와 대응하는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지지부(137)는 제2 베이스부(141)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핀 지지부(137)는 제2 베이스부(141)의 상면보다 높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몸체부(104)가 제1 몸체부(102)와 결합되는 경우, 제2 연결핀 지지부(137)의 높이는 제2 테두리 격벽(119)의 높이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지지부(137)의 단부에는 제2 코일(60)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핀 부재(139)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권선 몸체부(143)는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주면에는 제2 코일(60)이 권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는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관 또는 원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주면에 제2 코일(60)을 권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권선 몸체부(143)의 내측에는 코일 권선부(1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149)이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홀(149)은 코일 권선부(111)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홀(149)은 제2 몸체부(104)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홀(149)은 제2 베이스부(14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홀(149)은 제2 몸체부(1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04)를 제1 몸체부(102)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부로 가압하면, 제2 몸체부(104)와 제1 몸체부(102)가 수직 결합되면서 코일 권선부(111)가 수용홀(149)에 삽입되어 수용되게 된다. 이 경우, 코일 권선부(111)는 제2 권선 몸체부(143)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형태가 된다. 그로 인해, 제1 코일(50)이 제2 몸체부(104)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코일(50)은 제2 몸체부(104)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제2 권선 몸체부(143)에는 오삽 방지 돌기(153)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삽 방지 돌기(153)는 제2 권선 몸체부(143)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오삽 방지 돌기(153)는 제2 권선 몸체부(143)의 내벽에서 수용홀(149)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04)와 제1 몸체부(102)가 수직 결합하는 경우, 오삽 방지 돌기(153)는 오삽 방지홈(151)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오삽 방지홈(151)이 제1 연장부(127)에 형성되고 오삽 방지 돌기(153)가 제2 권선 몸체부(143)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삽 방지 돌기(153)가 제1 연장부(127)에 형성되고 오삽 방지홈(151)이 제2 권선 몸체부(14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오삽 방지홈(151) 및 오삽 방지 돌기(153)는 제2 몸체부(104)가 제1 몸체부(102)에 결합 시 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역방향으로는 결합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정방향은 제2 베이스부(141)에서 제2 연결핀 지지부(137)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하면에 안착되고, 제2 연결핀 지지부(137)가 형성되는 부분이 연장 안착부(115)의 하면에 안착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역방향은 정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오삽 방지홈(151) 및 오삽 방지 돌기(153)는 오삽 방지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45)는 제2 권선 몸체부(143)의 하단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커버부(145)는 제2 베이스부(141)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145)는 제2 권선 몸체부(143)의 하단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커버부(145)가 제2 권선 몸체부(143)의 하단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측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제2 코일(60)은 제2 커버부(145)에 의해 하부로 이동이 제한되고, 제2 커버부(145)와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 사이에서 권선될 수 있게 된다.
제2 몸체부(104)가 제1 몸체부(102)와 결합되는 경우, 제2 커버부(145)는 제1 커버부(125)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제1 커버부(125)와 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버부(145)는 제1 커버부(125)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145)의 상면은 제1 커버부(125)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버부(145)의 하면은 제1 커버부(125)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버부(145)는 제1 커버부(125)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제1 커버부(125)와 단차 없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부(125)와 제2 커버부(145)의 접하는 경계면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47)는 제2 커버부(145)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141), 제2 권선 몸체부(143), 제2 커버부(145), 및 제2 연장부(147)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부(141), 제2 권선 몸체부(143), 제2 커버부(145), 및 제2 연장부(147)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147)는 제2-1 연장부(147-1) 및 제2-2 연장부(14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연장부(147-1)는 제2 커버부(145)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1 연장부(147-1)는 제2 커버부(145)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2 연장부(147-2)는 제2-1 연장부(145-1)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04)가 제1 몸체부(102)와 결합되는 경우, 제2-1 연장부(147-1)는 제1 연장부(127)의 외측에서 제1 연장부(127)와 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7)와 제2-1 연장부(147-1)의 경사도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 연장부(147-1)는 제1 연장부(127)의 외측에서 제1 연장부(127)와 단차 없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몸체부(102)의 코일 권선부(111)가 제2 몸체부(104)의 수용홀(149)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코일 권선부(111)와 제2 몸체부(104)의 높이가 동일(즉, 코일 권선부(111)의 상면 및 하면이 제2 몸체부(104)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함에 따라, 변압 장치(100)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보빈 고정부(106)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보빈 고정부(106-1)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일측에서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보빈 고정부(106-2)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타측에서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빈 고정부(106)는 안착 지지부(106a), 한 쌍의 측면 지지부(106b), 및 한 쌍의 탄성 지지부(106c)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지지부(106a)는 제2 몸체부(104)의 하부에서 제2 몸체부(104)의 폭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안착 지지부(106a)는 제2-2 연장부(147-2)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 지지부(106a)는 제2-2 연장부(147-2)의 폭 보다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지지부(106b)는 안착 지지부(106a)의 양측에서 상부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지지부(106b)의 외면에는 기판 안착 돌기(106d)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기판 안착 돌기(106d)로 인하여 변압 장치(100)가 기판(미도시)의 일면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측면 지지부(106b)의 단부에는 후크부(106e)가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106e)는 제1 몸체부(102)의 상면에 걸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빈 고정부(106-1)의 후크부(106e)는 제1 걸림 돌기(133)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보빈 고정부(106-2)의 후크부(106e)는 제2 걸림 돌기(135)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지지부(106c)는 일단이 각각 한 쌍의 측면 지지부(106b)의 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탄성 지지부(106c)의 타단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보빈 고정부(106)는 제2 몸체부(104)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한 쌍의 측면 지지부(106b)를 양측으로 벌려 후크부(106e)가 제1 걸림 돌기(133) 및 제2 걸림 돌기(135)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탄성 지지부(106c)의 타단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한 쌍의 측면 지지부(106b)가 양측으로 용이하게 벌려지면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코어 부재(108)는 변압 장치(100)의 자심으로 사용된다. 코어 부재(108)는 제1 코어 부재(108-1) 및 제2 코어 부재(10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 부재(108-1)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상측에 안착되고, 제2 코어 부재(108-2)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코어 부재(108-1)는 제1 코어 몸체(108-1a), 제1 코어 돌기부(108-1b), 및 제1 측면 돌기부(108-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8-1a)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8-1a)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8-1b)는 제1 코어 몸체(108-1a)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8-1b)는 코어 삽입홀(129)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8-1b)는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측면 돌기부(108-1c)는 제1 코어 몸체(108-1a)의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8-1a)가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상측에 안착되는 경우, 제1 측면 돌기부(108-1c)는 제2 몸체부(104)의 양측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부재(108-2)는 제2 코어 몸체(108-2a), 제2 코어 돌기부(108-2b), 및 제2 측면 돌기부(108-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8-2a)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8-2a)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8-2b)는 제2 코어 몸체(108-2a)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8-2b)는 코어 삽입홀(129)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8-2b)는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측면 돌기부(108-2c)는 제2 코어 몸체(108-2a)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8-2a)가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하측에 안착되는 경우, 제2 측면 돌기부(108-2c)는 제2 몸체부(104)의 양측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변압 장치(100)는 제1 코일(50) 및 제2 코일(60)과 코어 부재(108) 간의 절연 거리 및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절연 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절연 부재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절연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절연 부재(110)는 제1 절연 부재(110-1),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연 부재(110)는 보빈(10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보빈(10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110)는 절연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절연 부재(110-1)는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가 결합된 보빈(10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 부재(110-1)는 보빈(101)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가 형성되는 일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절연 부재(110-1)는 보빈(101)의 일단부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에 권취된 제2 코일(60)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절연 부재(110-1)는 제2 베이스부(141)의 상면에 부착(즉, 제1 연결핀 지지부(113)와 제2 베이스부(141) 사이에서 부착)되고 하부로 절곡되어 제2 코일(60)을 커버하면서 제2-2 연장부(147-2)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절연 부재(110-1)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 연결되는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절연 부재(110-1)의 폭은 제2 코일(60)의 폭 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 부재(110-1)의 폭은 제2 베이스부(141)의 폭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각각 보빈(101)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각각 보빈(101)의 양측부에서 제2 코일(60)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보빈(101)의 양측부의 상면, 측면, 및 하면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보빈(101)의 상측에서 제1 베이스부(121) 및 제2 베이스부(141) 간의 경계를 커버하며 마련되고, 보빈(101)의 하측에서 제1 커버부(125) 및 제2 커버부(145) 간의 경계를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코어 삽입홀(129)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코어 삽입홀(129)의 양단에서 연장된 연장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장 길이(L1)는 코어 삽입홀(129)의 양단에서 제1 베이스부(121)의 단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즉,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는 제1 베이스부(121)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절연 부재(110-1)가 보빈(10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가 보빈(101)의 양측부에 마련된 상태에서, 제1 보빈 고정부(106-1) 및 제2 보빈 고정부(106-2)가 보빈(101)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보빈 고정부(106-1)는 제1 절연 부재(110-1)를 보빈(101)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보빈 고정부(106-1)의 안착 지지부(106a)가 제2-2 연장부(147-2)의 하면에 부착된 제1 절연 부재(110-1)의 하부를 압박하게 되고, 제1 보빈 고정부(106-1)의 한 쌍의 탄성 지지부(106c)가 제1 절연 부재(110-1)의 측부를 압박하기 때문에, 납땜 작업 또는 함침 작업 등 후처리 공정을 거치는 동안 제1 절연 부재(110-1)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보빈(10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 부재(110-1)가 보빈(10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가 보빈(101)의 양측부에 마련된 상태에서, 제1 코어 부재(108-1) 및 제2 코어 부재(108-2)가 각각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되면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어 부재(108-1) 및 제2 코어 부재(108-2)는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로 인해, 제1 코일(50) 및 제2 코일(60)과 코어 부재(108) 간의 절연 거리와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빈(101)의 양측부에 제2 절연 부재(110-2) 및 제3 절연 부재(110-3)를 부착시킴으로써, 제1 코일(50)과 코어 부재(108) 간의 절연 거리 및 제2 코일(60)과 코어 부재(108) 간의 절연 거리를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권선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보빈(101)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가 형성되는 일단부에 제1 절연 부재(110-1)를 형성함으로써,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보빈(101)의 길이를 줄여 변압 장치(100)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빈(101)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가 형성되는 일단부에 제1 절연 부재(110-1)를 형성함으로써,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 확보를 위해 제2 몸체부(104)의 길이를 연장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8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베이스부(141)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하면에 안착되는 부분의 폭(D2)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폭(D1)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141)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하면에 안착되는 부분의 폭(D2)을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폭(D1) 이하로 하더라도, 제1 절연 부재(108-1)가 보빈(101)의 일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변압 장치(100)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가 기판에 안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가 기판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60)에는 변압 장치(100)를 수용하는 변압 장치 수용홀(16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변압 장치 수용홀(162)이 기판(16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변압 장치 수용홀(16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판(160)에는 변압 장치(100)의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연결핀 삽입홀(164) 및 제2 연결핀 삽입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변압 장치(100)는 제1 보빈 고정부(106-1) 및 제2 보빈 고정부(106-2)의 기판 안착 돌기(106d)가 기판(16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기판(160)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가 각각 제1 연결핀 삽입홀(164) 및 제2 연결핀 삽입홀(166)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변압 장치
101 : 보빈
102 : 제1 몸체부
104 : 제2 몸체부
106 : 보빈 고정부
106-1 : 제1 보빈 고정부
106-2 : 제2 보빈 고정부
106a : 안착 지지부
106b : 한 쌍의 측면 지지부
106c : 한 쌍의 탄성 지지부
106d : 기판 안착 돌기
106e : 후크부
108 : 코어 부재
108-1 : 제1 코어 부재
108-1a : 제1 코어 몸체
108-1b : 제1 코어 돌기부
108-1c : 제1 측면 돌기부
108-2 : 제2 코어 부재
108-2a : 제2 코어 몸체
108-2b : 제2 코어 돌기부
108-2c : 제2 측면 돌기부
110 : 절연 부재
110-1 : 제1 절연 부재
110-2 : 제2 절연 부재
110-3 : 제3 절연 부재
111 : 코일 권선부
113 : 제1 연결핀 지지부
113a : 제1 연결핀 지지 돌기
115 : 연장 안착부
117 : 제1 테두리 격벽
119 : 제2 테두리 격벽
121 : 제1 베이스부
123 : 제1 권선 몸체부
125 : 제1 커버부
127 : 제1 연장부
129 : 코어 삽입홀
131 : 제1 연결핀 부재
133 : 제1 걸림 돌기
135 : 제2 걸림 돌기
137 : 제2 연결핀 지지부
139 : 제2 연결핀 부재
141 : 제2 베이스부
143 : 제2 권선 몸체부
145 : 제2 커버부
147 : 제2 연장부
147-1 : 제2-1 연장부
147-2 : 제2-2 연장부
149 : 수용홀
151 : 오삽 방지홈
153 : 오삽 방지 돌기
157 : 코일 연결홀
160 : 기판
162 : 변압 장치 수용홀
164 : 제1 연결핀 삽입홀
166 : 제2 연결핀 삽입홀

Claims (20)

  1.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제1 몸체부와 제2 코일이 권선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보빈으로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
    상기 제1 코일이 연결되는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핀 부재를 지지하는 제1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
    상기 제2 코일이 연결되는 제2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반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를 지지하는 제2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보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몸체부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보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권선부가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코일 권선부의 상면 및 하면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는, 보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권선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제1 권선 몸체부; 및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에서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의 외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일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보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되며, 일측의 상면이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제2 코일이 권선되며 내측에 상기 수용홀이 마련되는 제2 권선 몸체부; 및
    상기 제2 권선 몸체부에서 상기 제2 권선 몸체부의 외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코일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보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하면에 안착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폭 이하로 마련되는, 보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가 형성된 상기 보빈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코일의 일측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1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보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1 절연 부재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상기 보빈에 밀착시키는 보빈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빈.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경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대하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테두리 격벽을 더 포함하는, 보빈.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타측의 상면이 안착되는 연장 안착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연장 안착부의 경계에 마련되는 제2 테두리 격벽을 더 포함하는, 보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테두리 격벽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되는, 보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보빈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빈 고정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안착 지지부;
    상기 안착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부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에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보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빈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부의 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며, 상기 타단이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빈.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제1 연결핀 부재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코일 연결홀을 더 포함하는, 보빈.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가 형성된 상기 보빈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1 절연 부재,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의 일측부에서 상기 제2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의 타측부에서 상기 제2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3 절연 부재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보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폭은, 상기 제2 코일의 폭 보다 넓게 마련되고 상기 제2 몸체부의 폭 이하로 마련되는, 보빈.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코어 부재가 삽입되는 코어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제3 절연 부재의 길이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되는, 보빈.
  19. 제1 코일이 권선되고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2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상기 코일 권선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 및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연결핀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상측에 안착되고 일부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하측에 안착되고 일부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변압 장치.
  20. 외주면에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제2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경계면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1 절연 부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경계면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제2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권선부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는 제1 권선 몸체부; 및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에서 상기 제1 권선 몸체부의 외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일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 부재 및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에 대응하게 마련되는, 보빈.
KR1020210009583A 2020-10-08 2021-01-22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10256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406191.XU CN216871738U (zh) 2020-10-08 2021-09-30 线轴与包括线轴的变压装置
KR1020230093571A KR102647781B1 (ko) 2020-10-08 2023-07-19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0529 2020-10-08
KR1020200130529 2020-10-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571A Division KR102647781B1 (ko) 2020-10-08 2023-07-19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122A true KR20220047122A (ko) 2022-04-15
KR102561456B1 KR102561456B1 (ko) 2023-07-31

Family

ID=812122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83A KR102561456B1 (ko) 2020-10-08 2021-01-22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1020230093571A KR102647781B1 (ko) 2020-10-08 2023-07-19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1020240015087A KR20240019196A (ko) 2020-10-08 2024-01-31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571A KR102647781B1 (ko) 2020-10-08 2023-07-19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1020240015087A KR20240019196A (ko) 2020-10-08 2024-01-31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614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338A (ja) * 2002-03-27 2003-10-03 Sumida Corporation 昇圧トランス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KR101124003B1 (ko) * 2011-12-19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6299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209652A (ja) * 2010-07-02 2014-11-06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338A (ja) * 2002-03-27 2003-10-03 Sumida Corporation 昇圧トランス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JP2014209652A (ja) * 2010-07-02 2014-11-06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076299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4003B1 (ko) * 2011-12-19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274A (ko) 2023-08-02
KR102561456B1 (ko) 2023-07-31
KR20240019196A (ko) 2024-02-14
KR102647781B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2419B2 (en) Coil component
US8922318B1 (en) Transformer structure
KR20120025377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65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62334A1 (ja) コイル部品
KR102145856B1 (ko) 변압 장치
KR20220047122A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129384A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US11978582B2 (en) Coil component
KR200495510Y1 (ko) 슬림형 트랜스포머
US20220254560A1 (en) Magnetic element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08186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492144B1 (ko)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JP4976615B2 (ja) モジュール型回路装置及びモジュール型回路装置の外装ケース
KR20220157267A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CN216871738U (zh) 线轴与包括线轴的变压装置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KR20230134218A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102550269B1 (ko) 회전 방식으로 조립되는 트랜스포머
JP2008108944A (ja) 磁性素子
EP3843113B1 (en) Coil structure
KR20190085715A (ko) 누설 자속을 최소로 하는 인덕터
US110944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20230290562A1 (en) Coil device
KR20210147670A (ko)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