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299A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299A
KR20120076299A KR1020110120972A KR20110120972A KR20120076299A KR 20120076299 A KR20120076299 A KR 20120076299A KR 1020110120972 A KR1020110120972 A KR 1020110120972A KR 20110120972 A KR20110120972 A KR 20110120972A KR 20120076299 A KR20120076299 A KR 2012007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ransformer
outer bobbin
flange por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영
서상준
엄재근
천명식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419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762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Abstract

본 발명은 LCD 디스플레이 장치,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박형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에서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보빈은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LCD 디스플레이 장치,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박형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여, 고해상도와 대형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적합한 신기술의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V나 PDP(Plasma Display Panel) TV와 같은 박형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가격과 시장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중, LCD TV는 백라이트(backlight)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되어 왔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소모, 수명 및 친환경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의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
LED를 이용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소형화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평판 TV(Flat TV)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고 있다. 그리고, 평판 TV의 내부 파워 공급 모듈도 함께 슬림(SLIM)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일반적으로 코일이 인쇄 회로 기판에 수직하게 권선되었다. 또한, 코어는 인쇄 회로 기판과 평행하게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형태로 구비되었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누설 자속은 대부분 백 커버와 트랜스포머 사이의 공간(또는 인쇄 회로 기판과 트랜스포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자로가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백 커버와 트랜스포머 사이의 공간에 전체적으로 누설 자속이 분포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백 커버와 트랜스포머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는 경우 금속 재질의 백 커버와 누설 자속 사이에는 간섭이 발생하여 백 커버가 진동하며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그 생산에 매우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고 있다. 즉 생산 공정 중 많은 부분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을 증대하거나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박형의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생산이 가능한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생산이 용이하도록, 개별 보빈들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에서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보빈은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단의 단면적과 하단의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몸체부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지지부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끼움 구멍에 상기 끼움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끼움 구멍에 상기 끼움 돌기가 억지 끼움됨에 따라 상기 내측 보빈이 상기 외측 보빈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 내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 내부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 상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지지부 하부면 중 어느 한 곳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다른 한 곳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은, 각각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는, 상부면이 상기 외측 보빈의 하부 플랜지부 하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외측 보빈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타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월시키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단자 체결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하부면에서 상기 단자 체결부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 상기 단자 체결부,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 체결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인출 홈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기 리드선은 상기 이월 홈 또는 상기 인출 홈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단자 체결부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횡단 경로에 배치된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다수의 격벽에 의해 다수의 안내 홈으로 구분되며, 상기 격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상기 횡단 경로 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횡단 경로 내로 돌출된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이월 홈에 인접하게 배치될수록 상기 횡단 경로 내로 돌출된 거리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모서리 부분이 바닥면과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단에서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외측 보빈, 및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내측 보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지지부 내부면과 상기 내측 보빈의 일단 외부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다른 한 면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 일단에 체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타면으로 분산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단에서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외측 보빈 및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내측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트랜스포머가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은 내부에 관통 구멍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보빈(예컨대, 내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빈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 개별 보빈들 별로 권선을 수행한 후, 코일이 권선된 개별 보빈들을 결합함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이 외측 보빈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트랜스포머가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 결합 시, 내측 보빈이 외측 보빈의 관통공을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호 결합된다. 이때, 내측 보빈은 플랜지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가 외측 보빈의 지지부에 형성된 끼움 구멍에 끼움 결합되며 결합된다. 따라서 내측 보빈을 외측 보빈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이 완료된 내측 보빈은 외측 보빈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의 리드선이 보빈의 하부면에서 보빈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인출 홈 뿐만 아니라, 코일 이월부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가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의 코일은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코일이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이 외부(예컨대, 백 커버)와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트랜스포머가 장착되더라도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D-D'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E-E'에 따른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보빈부(210), 코일(5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빈부(210)는 외측 보빈(230)과 적어도 하나의 내측 보빈(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 보빈(220)은 내부 중심에 관통공(22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22)와, 몸체부(222)의 양단에서 몸체부(222)의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223), 외부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226), 및 외부 접속 단자(2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24)를 구비한다.
몸체부(2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21)은 후술되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221)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관통공(2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측 보빈(22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2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관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23)는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223a)와 하부 플랜지부(223b)로 구분된다. 또한 몸체부(222)의 외주면, 상부 플랜지부(223a), 및 하부 플랜지부(223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이 권선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23)는 몸체부(222)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5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5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5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내측 보빈(220)의 하부 플랜지부(223b) 일측에는 외부 접속 단자(2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24)가 형성된다. 단자 체결부(224)는 하부 플랜지부(223b)의 일측에서 외부 방향(즉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보빈(220)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 홈(225)을 구비할 수 있다. 인출 홈(225)에 의해, 코일(50)의 리드선은 내측 보빈(2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인출 홈(225)을 이용하여 코일(50)의 리드선을 내측 보빈(220)의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측 보빈(220)의 하부 플랜지부(223b) 크기를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 내주연보다 작게 형성하고, 이에 따라 형성되는 틈을 이용하여 코일(50)의 리드선을 내측 보빈(220)의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외부 접속 단자(226)는 단자 체결부(224)에서 몸체부(22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224)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226)는 상부면이 후술되는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 하부면와 접촉하며 외측 보빈(23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20)은 후술되는 외측 보빈(230)과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228)가 형성된다. 끼움 돌기(228)는 외측 보빈(230)의 끼움 구멍(238)에 삽입된다. 따라서, 끼움 구멍(238)의 크기와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측 보빈(2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외측 보빈(230)은 내측 보빈(220)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 보빈(220)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며, 그 크기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외측 보빈(230)은 내측 보빈(220)과 마찬가지로 내부 중심에 관통공(23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32), 플랜지부(233), 단자 체결부(234), 및 외부 접속 단자(236)를 구비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2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내측 보빈(220)과 구별되는 구성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2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31)은 내측 보빈(2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외측 보빈(230)에 형성된 관통공(231)은 내측 보빈(220)의 플랜지부(233) 외주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측 보빈(230)의 몸체부(232) 외주면과 플랜지부(233)의 일면(즉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이 권선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하부 플랜지부(233b)의 일단에는 외부 접속 단자(23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3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확장부(233b')가 형성된다.
확장부(233b')는 하부 플랜지부(233b)의 타단에서 하부 플랜지부(233b)를 외부로 연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플랜지부(233b)의 타단 면적을 확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내측 보빈(220)이 외측 보빈(230)과 결합될 때,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가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 하부면과 접촉하며 외측 보빈(2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 간의 거리가 매우 인접하게 형성되므로, 상호 간에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 타단에 확장부(233b')를 구비하므로,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 간의 절연 거리 및 연면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233b')는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 간의 절연 거리 및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만큼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확장부(233b')에 의해,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 타단은 상부 플랜지부(233a)와 하부 플랜지부(233b)의 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 타단이 충분히 길게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하부 플랜지부(233b)의 타단을 확장하지 않더라도 상기한 절연 거리 및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 확장부(233b')는 생략될 수 있다.
단자 체결부(234)는 하부 플랜지부(233b)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234)는 하부 플랜지부(233b)에서 외경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자 체결부(234)의 양 끝단은 각각 하부 플랜지부(233b)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체결부(234)의 전체 폭(W1)은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 전체 폭(W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234)에는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236)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부 접속 단자(236)는 단자 체결부(234)의 끝단에서 몸체부(23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단자 체결부(234)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외부 접속 단자들(236) 사이에는 코일(50)의 리드선을 외부 접속 단자(236)로 안내하는 다수의 인출 홈(235)이 단자 체결부(23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자 체결부(234)의 구성에 따라,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은 인출 홈(235)을 경유하여 외부 접속 단자(2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을 외부 접속 단자(236)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한 인출 홈(235)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코일 이월부(270)를 함께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이월부(270)를 구비한다.
코일 이월부(270)는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단자 체결부(234)가 아닌, 외측 보빈(230)의 외주연을 통해 하부 플랜지부(233b)의 외부면(즉, 하부면)으로 이월되어 외부 접속 단자(226)로 연결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는 가이드 블록(278)과 단자 체결부(234)에 의해 형성되며, 이월 홈(272), 횡단 경로(274), 및 안내 홈(2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블록(278)은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 즉 하부 플랜지부(233b)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가이드 블록(278)은 외측 보빈(230)의 외부 접속 단자(236)와 내측 보빈(220)의 1차 코일(50a) 간의 연면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외측 보빈(230)의 하부에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배치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278)은 단자 체결부(234)와 관통공(231) 사이의 공간에서 돌출되며, 단자 체결부(234)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278)은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블록(278)의 일단과 단자 체결부(234) 일단 사이의 공간은 이월 홈(272)으로 이용된다.
이월 홈(27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부(233b) 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블록(278)의 일단과, 단자 체결부(234)의 일단, 그리고 그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부(233b)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다. 이러한 이월 홈(272)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어 있는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외측 보빈(230)의 하부로 이월되는 경로로 이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블록(278)과 단자 체결부(234)의 일단이 하부 플랜지부(233b)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이월 홈(272)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278)과 단자 체결부(234)의 일단이 돌출되지 않고, 가이드 블록(278)과 단자 체결부(234) 사이에 있는 하부 플랜지부(233b)의 일부를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는 등 하부 플랜지부(233b)의 외주연 상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홈이 이용될 수 있다.
횡단 경로(274)는 가이드 블록(278)과 단자 체결부(234)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로, 하부 플랜지부(233b)를 가로지르며 횡단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횡단 경로(274)는 이월 홈(272)을 통해 이월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단자 체결부(2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로로 이용된다.
안내 홈(276)은 단자 체결부(234)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며, 횡단 경로(274)에 배치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외부 접속 단자(236)로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즉, 안내 홈(276)은 횡단 경로(274)에 배치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을 외부 접속 단자(236)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안내 홈(276)은 단자 체결부(234)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횡단 경로(274)와 연통되고, 타단은 단자 체결부(234)의 외부로 개방된다.
이러한 안내 홈(276)은 횡단 경로(274)에 배치되는 리드선(50b')들의 개수 또는 해당 리드선(50b')들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236)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안내 홈들(276)은 다수의 격벽(237)에 의해 상호 구분될 수 있다.
격벽(237)은 일정한 간격에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격벽(237)에 의해 안내 홈(276)은 각각 개별적인 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단 경로(274)에 배치되는 리드선들은 격벽(237, 특히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며 안내 홈(276)의 내부로 배치된다.
이때, 리드선(50b')이 격벽(237)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함에 따라 접촉 부분에서 리드선(50b')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237)은 리드선(50b')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격벽(237)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237')가 형성된다. 도 5, 도 6에서는 면취부(237')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면취부(237')를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격벽(237)은 각각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237)은 횡단 경로(274)와 접하는 일단이 횡단 경로(274) 내로 일부 돌출될 수 있으며, 이때 돌출되는 거리는 각 격벽(237)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237)은 이월 홈(272)에 인접하게 배치될수록 일단의 돌출 거리가 작으며, 이월 홈(272)으로부터 멀리 배치될수록 일단의 돌출 거리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237)의 구성은 이월 홈(272)을 통해 이월되는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다수개인 경우, 이월된 리드선들(50b')이 서로 엉키거나 꼬인 상태로 배치되어 리드선들(50b') 상호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격벽(237)의 돌출 거리에 따라 각 격벽(237)을 지지하는 리드선(50b')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배치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다수의 리드선(50b')이 이월 홈(272)을 통해 이월되더라도 각 리드선들(50b')은 횡단 경로(274)내에서 서로 겹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어 상기한 문제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에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배치되며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2차 코일(50b)은, 최종적으로 리드선(50b')이 외부 접속 단자(236)에 권선되며 체결된다. 이때,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은 전술한 인출 홈(235)을 경유하여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되거나, 코일 이월부(270)를 통해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으로 이동한 후,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될 수 있다.
인출 홈(235)으로 인출된 리드선(50b')은 곧바로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될 수 있다
반면에 리드선(50b')이 코일 이월부(270)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되는 경우, 리드선(50b')은 이월 홈(272)을 통해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에 형성된 횡단 경로(274) 내에 배치된 후, 격벽(237)을 지지하며 안내 홈(276)으로 그 경로가 변경되어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드선(50b')은 안내 홈(276)에 의해 대략 직각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선(50b')이 다른 코일의 리드선들(50b')과의 간섭 없이 외부 접속 단자(236)에 견고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다면 격벽(237)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하여 리드선(50b')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237)은 리드선(50b')과 접촉하는 측벽이 바닥면(즉 외측 보빈의 하부 플랜지부)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격벽(237)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50b')이 안내 홈(27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격벽(237)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내 홈(276)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50b')이 안내 홈(27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선(50b')과 접촉하는 격벽(237)의 측벽(또는 면취부)이 상기한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면취부(237')에 단차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는 2차 코일(50b)을 외측 보빈(230)에 자동으로 용이하게 권선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도출된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의 구성에 의해, 외측 보빈(230)에 2차 코일(50b)을 권선하는 과정과, 이월 홈(272)을 통해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을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으로 이월하며 횡단 경로(274)에 배치하는 과정, 그리고 안내 홈(276)을 통해 리드선(50b')의 경로를 전환하여 리드선(50b')을 외부 접속 단자(236)가 형성된 방향으로 인출한 후 리드선(50b')을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하는 과정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이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에서 외측 보빈(230)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270)를 제공한다.
따라서 2차 코일(50b)의 리드선들(50b')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플랜지부(233b)의 일면(즉, 단자 체결부의 인출 홈)과 타면(즉 코일 이월부)으로 분산 배치되어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되므로, 종래의 트랜스포머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50b)의 리드선들(50b')이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보빈에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경우, 외부 접속 단자로 인출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리드선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코일들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이월부(270)에 의한 새로운 경로를 제공하므로, 리드선들(50b')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236)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선들(50b')이 서로 교차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230)은 몸체부(232)의 상단에서 관통공(231)의 내부를 향하여 관통공(231)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39)를 구비한다. 따라서,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은 외측 보빈(230) 하부면의 단면적과 외측 보빈(230) 상부면의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 보빈(230) 하부면의 관통공(231) 단면적은 내측 보빈(220)의 플랜지부(223) 외주연이 형성하는 전체 면적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보빈(230) 상부면의 관통공(231) 단면적은 지지부(239)에 의해 상기한 하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외측 보빈(230)이 지지부(239)를 구비함에 따라, 내측 보빈(220)을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 내에 삽입하는 경우, 내측 보빈(220)은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을 통해서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 내에 삽입된 내측 보빈(220)은 상부 플랜지부(223a)가 외측 보빈(230)의 지지부(239) 하부면과 면접촉하게 된다. 즉, 내측 보빈(220)은 일단이 지지부(239)에 지지되며 외측 보빈(230)과 결합되며, 이에 외측 보빈(230)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외측 보빈(230)의 지지부(239)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끼움 구멍(238)이 형성된다.
끼움 구멍(238)은 전술한 끼움 돌기(228)가 끼워진다. 따라서, 끼움 구멍(238)은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 상면과 접촉할 수 있는 지지부(239)에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보빈(220)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220)의 끼움 돌기(228)가 삽입되며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끼움 구멍(238)과 끼움 돌기(228)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의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끼움 돌기(228)는 하부의 단면이 끼움 구멍(238)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끼움 돌기(228)는 상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 돌기(228)의 상단부는 단면이 끼움 구멍(238)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끼움 돌기(228)의 하단부는 단면이 끼움 구멍(238)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 돌기(228)는 상단부가 용이하게 끼움 구멍(238)에 삽입될 수 있으며, 끼움 돌기(228)가 끼움 구멍(238)에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끼움 돌기(228)와 끼움 구멍(238)은 억지 끼움되므로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끼움 돌기(228)가 끼움 구멍(238)에 끼워지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는 내측 보빈(220)의 플랜지부(223) 내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 내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 하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 하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는 부분적으로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 두께는 외측 보빈(230)의 지지부(239)와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가 결합된 전체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33a)와 끼움 돌기(228)의 전체 두께는 상기한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외측 보빈(230)과 내측 보빈(220)이 결합하게 되면,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 내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 내부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내측 보빈(220)의 하부 플랜지부(223b) 내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 내부면도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는 내측 보빈(2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36)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20)이 외측 보빈(230)과 결합될 때, 내측 보빈(220)은 단자 체결부(234)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 보빈(230)의 단자 체결부(234)가 형성된 부분이 아닌,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외측 보빈(23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외측 보빈(230)의 외부 접속 단자(236)와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의 외부 접속 단자(226, 236)들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므로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이 결합될 때 외측 보빈(230)을 통해 내측 보빈(220)에 권선되는 코일(50a)과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는 코일(50b) 간의 절연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던 종래에 비해 높은 절연성을 가지므로, 내측 보빈(220)에 권선되는 코일(50a)과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는 코일(50b)이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포머(100)의 출력 특성이나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1차 코일(50a)의 외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 내주면과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내측 보빈(220) 플랜지부(223)의 폭이나, 내측 보빈에 권선되는 1차 코일(50a)의 권선수를 조절함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부(210)가 외측 보빈(230)과 하나의 내측 보빈(22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외측 보빈(230) 내에 다수의 보빈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에 외측 보빈(230)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별도의 보빈(이하 중간 보빈)이 삽입되고, 중간 보빈의 관통공에 내측 보빈(220)이 삽입되도록 보빈부(210)를 구성하고, 내측 보빈(220)의 관통공(221)에 코어(40)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차 코일 또는 2차 코일 중 어느 하나는 최대 2개의 개별 보빈에 선택적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의 각 개별 보빈들(220, 23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의 개별 보빈들(220, 230)은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들(220, 23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일(50)은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을 포함한다.
1차 코일(50a)은 내측 보빈(220)에 권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50a)은 하나의 내측 보빈(220)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로 1차 코일(50a)을 구성하여 각각의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50b)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보빈(2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26)의 개수도 2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1차 코일(50a)을 구성하는 다수의 코일들은 직경이 서로 다른 코일들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50a)은 단선(單線)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한 연선(撚線)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 코일(50a)은 리드선이 내측 보빈(2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26)에 연결된다.
2차 코일(50b)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다.
2차 코일(50b)도 전술한 1차 코일(50a)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또한 2차 코일(50b)의 리드선(50b')은 외측 보빈(2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36)에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보빈(220)에 1차 코일(50a)이 권선되고, 외측 보빈(230)에 2차 코일(50b)이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측 보빈(230)에 1차 코일(50a)을 권선하고, 내측 보빈(220)에 2차 코일(50b)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코어(40, core)는 내측 보빈(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2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 보빈(220)의 관통공(221)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40), 'EI' 코어(4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어(40)가 보빈부(210)와 결합함에 따라, 코어(40)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은 코어(40)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와 코어(40) 사이에는 절연 테이프가 개재될 수 있다. 절연 테이프는 보빈부(210)에 권선된 코일(50)과 코어(40)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테이프는 코어(40)와 보빈부(210)가 대면하는 코어(40)의 모든 내주면에 대응하여 개재될 수 있으며, 코일(50)와 코어(40)가 대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의 외부면에도 절연 테이브를 부착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기판(6, 예컨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체결공(6a)에 외부 접속 단자(226, 236)가 삽입되며 기판(6)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6)은 트랜스포머(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관통 구멍 형태의 수용부(6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에 수용부(6b)을 형성하는 경우, 트랜스포머(100)는 수용부(6b)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기판(6)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트랜스포머(100)는 기판(6) 내부에 수용되므로, 기판(6) 상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들의 최대 실장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내측 보빈(220)이 외측 보빈(230)과 결합될 때, 외측 보빈(230)의 지지부(239)에 의해 지지되며 결합된다.
또한, 결합된 외측 보빈(230)과 내측 보빈(220)의 외부에는 코어(40)가 결합되며, 이러한 코어(40)에 의해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은 하부면이 함께 지지된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20)은 끼움 돌기(228)가 외측 보빈(230)의 끼움 구멍(238)에 억지 끼움되며 외측 보빈(230)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의 조립 및 결합이 매우 용이하며, 결합된 후 내측 보빈(220)이 외측 보빈(2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돌출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보빈에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보빈에 끼움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내측 보빈에 끼움 구멍을 형성하고 외측 보빈에 끼움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각각 끼움 돌기와 끼움 구멍을 함께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끼움 돌기를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끼움 돌기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갈고리 부분이 외측 보빈의 지지부 상부면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외측 보빈(230)의 단자 체결부(234)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외측 보빈(230)의 단자 체결부(234)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230)의 단자 체결부(234)는 하부 플랜지부(233b)의 내부면에서 단자 체결부(234)로 연장되는 면이 면취 가공된 형태의 경사면(S)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접속 단자들(236) 사이에 배치되는 각 인출 홈들(235)은 단자 체결부(23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전술한 실시예의 인출 홈(도 2의 235)들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단자 체결부(234)가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은 단자 체결부(234)의 경사면(S)을 따라 외부 접속 단자(236)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큰 폭으로 형성된 안내 홈(235)을 경유하며 리드선들(50b')이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리드선들(50b')이 단자 체결부(234)나 인출 홈(235)의 모서리 등에서 절곡될 때, 절곡되는 부분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E-E'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4), 트랜스포머(100)가 실장된 전원 공급부(5), 및 커버(2, 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 8)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2)와 백 커버(back cover, 8)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은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SMPS, 5)는 디스플레이 패널(4)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5)는 인쇄 회로 기판(6)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포머(100, 200)가 적어도 하나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트랜스포머(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전원 공급부(5)는 샤시(7)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함께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5)에 실장되는 트랜스포머(100)는 코일(5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권선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6)의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Z 방향), 코일(5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된다. 그리고 코어(40)의 일부(즉 상부면)는 백 커버(8)와 평행을 이루며 자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중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형성되는 자속(磁束, φ)은 대부분 코어(40)에 내에 자로가 형성되므로,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누설 자속(φ l )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5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권선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누설 자속(φ l )의 자로가 트랜스포머(100)와 백 커버(8) 사이의 공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그 외부에 별도의 차폐 장치(예컨대, 차폐 쉴드 등)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누설 자속(φ l )과 금속 재질의 백 커버(8)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와 같은 박형의 전자 기기에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어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더라도, 백 커버(8)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트랜스포머는 자동화된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에 코일이 각각 따로 권선되고, 권선이 완료되면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결합한 후, 코어를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권선될 수 있도록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분리된 상태에서 코일을 권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권선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권선이 완료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은 지지부에 지지되며 내측 보빈이 외측 보빈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빈은 끼움 돌기를 이용하여 외측 보빈의 끼움 구멍에 끼움 결합되므로, 결합이 완료된 내측 보빈은 외측 보빈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의 결합 과정도 별도의 설비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제조 과정의 대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의 리드선이 보빈의 하부면에서 보빈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인출 홈 뿐만 아니라, 코일 이월부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얇은 박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와 외측 보빈의 지지부 중 어느 한 곳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끼움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다른 한 곳에는 끼움 돌기가 결합되는 끼움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각 개별 보빈들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원통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되는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는 박형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40.....코어 50.....코일
50a.....1차 코일 50b.....2차 코일
300.....트랜스포머 210.....보빈부
220.....내측 보빈 230.....외측 보빈
221, 231.....관통공
222, 232.....몸체부
223, 233.....플랜지부
223a, 233a.....상부 플랜지부
223b, 233b.....하부 플랜지부
234.....단자 체결부
226, 236.....외부 접속 단자
228.....끼움 돌기 235.....인출 홈
238.....끼움 구멍 239.....지지부
270.....코일 이월부 272.....이월 홈
274.....횡단 경로 276.....안내 홈
278.....가이드 블록

Claims (30)

  1.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에서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보빈은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트랜스포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단의 단면적과 하단의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몸체부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지지부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끼움 구멍에 상기 끼움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트랜스포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구멍에 상기 끼움 돌기가 억지 끼움됨에 따라 상기 내측 보빈이 상기 외측 보빈에 고정 체결되는 트랜스포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 내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 내부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트랜스포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 상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지지부 하부면 중 어느 한 곳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다른 한 곳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구멍이 형성된 트랜스포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은,
    각각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트랜스포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는,
    상부면이 상기 외측 보빈의 하부 플랜지부 하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외측 보빈을 지지하는 트랜스포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타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월시키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
    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단자 체결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하부면에서 상기 단자 체결부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인 트랜스포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 상기 단자 체결부,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인 트랜스포머.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체결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인출 홈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기 리드선은 상기 이월 홈 또는 상기 인출 홈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단자 체결부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횡단 경로에 배치된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다수의 격벽에 의해 다수의 안내 홈으로 구분되며, 상기 격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상기 횡단 경로 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횡단 경로 내로 돌출된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이월 홈에 인접하게 배치될수록 상기 횡단 경로 내로 돌출된 거리가 짧게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가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모서리 부분이 바닥면과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24.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단에서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외측 보빈; 및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내측 보빈;
    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지지부 내부면과 상기 내측 보빈의 일단 외부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다른 한 면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구멍이 형성된 트랜스포머.
  26.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 일단에 체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타면으로 분산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트랜스포머.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단에서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외측 보빈; 및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내측 보빈;
    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가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은 내부에 관통 구멍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기판에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20972A 2010-12-29 2011-11-18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6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8345 2010-12-29
KR1020100138345 2010-12-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74A Division KR101124147B1 (ko) 2010-07-02 2011-06-14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299A true KR20120076299A (ko) 2012-07-09

Family

ID=461419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74A KR101124147B1 (ko) 2010-07-02 2011-06-14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20972A KR20120076299A (ko) 2010-12-29 2011-11-18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74A KR101124147B1 (ko) 2010-07-02 2011-06-14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124147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18Y1 (ko) * 2013-06-27 2015-05-08 링 추앙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오브 화 잉 마운틴 광안 초슬림 변압기 보빈
KR102091117B1 (ko) * 2018-12-28 2020-03-19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8993A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KR102132848B1 (ko) * 2019-08-27 2020-07-13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KR102168694B1 (ko) * 2019-08-07 2020-10-21 주식회사 필룩스 트랜스포머
KR102173774B1 (ko) * 2020-07-10 2020-11-04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0845A (ko) * 2019-10-04 2021-04-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기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7801A1 (ko) * 2020-03-06 2021-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권선 코일 및 패턴 코일을 이용한 자성부품
KR102313650B1 (ko) * 2021-06-18 2021-10-18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57355A1 (en) * 2020-06-19 2021-12-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nclosure for isolating transformer core from windings
KR20220000389U (ko) * 2020-08-06 2022-02-15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22671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KR20220028763A (ko) * 2020-08-31 2022-03-08 이강복 초박형 공진 변압기를 위한 보빈 및 코어 구조
KR20220047122A (ko) * 2020-10-08 2022-04-1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0886U (ko) *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WO2022158869A1 (ko) * 2021-01-22 2022-07-28 엘지이노텍(주) 트랜스포머
WO2023075239A1 (ko) * 2021-10-25 2023-05-04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KR20230164969A (ko) *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19B1 (ko) * 2012-06-28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005979A (zh) * 2019-04-10 2019-07-12 惠州雷士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由拼接的led智能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058A (ja) * 1992-09-25 1994-04-22 Toko Inc 昇圧トランス
JP2005109140A (ja) 2003-09-30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ス
KR101018220B1 (ko) * 2009-06-03 2011-02-28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18Y1 (ko) * 2013-06-27 2015-05-08 링 추앙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오브 화 잉 마운틴 광안 초슬림 변압기 보빈
CN112823401A (zh) * 2018-12-28 2021-05-18 株式会社Mst科技 变压器及其制造方法
KR102091117B1 (ko) * 2018-12-28 2020-03-19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KR102110344B1 (ko) * 2018-12-28 2020-05-14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8993A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KR102168694B1 (ko) * 2019-08-07 2020-10-21 주식회사 필룩스 트랜스포머
KR102132848B1 (ko) * 2019-08-27 2020-07-13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0845A (ko) * 2019-10-04 2021-04-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기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7801A1 (ko) * 2020-03-06 2021-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권선 코일 및 패턴 코일을 이용한 자성부품
WO2021257355A1 (en) * 2020-06-19 2021-12-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nclosure for isolating transformer core from windings
KR102173774B1 (ko) * 2020-07-10 2020-11-04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0389U (ko) * 2020-08-06 2022-02-15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22671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KR20220028763A (ko) * 2020-08-31 2022-03-08 이강복 초박형 공진 변압기를 위한 보빈 및 코어 구조
KR20220047122A (ko) * 2020-10-08 2022-04-1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30115274A (ko) * 2020-10-08 2023-08-02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000886U (ko) * 2020-10-16 2022-04-25 (주) 트랜스온 슬림형 트랜스포머
WO2022158869A1 (ko) * 2021-01-22 2022-07-28 엘지이노텍(주) 트랜스포머
KR102313650B1 (ko) * 2021-06-18 2021-10-18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75239A1 (ko) * 2021-10-25 2023-05-04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KR20230164969A (ko) *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147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14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53881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JP5777005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239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742878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79389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0865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404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59498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4133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EP4057306B1 (en)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KR20120138700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3338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2078B1 (ko) 트랜스포머
KR101620060B1 (ko) 트랜스포머
KR20120030881A (ko) 트랜스포머
KR20120030883A (ko) 트랜스포머
DK2402966T3 (en) Transformer and flat screen assembly comprising this
KR101171640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2079B1 (ko) 트랜스포머
KR101133366B1 (ko) 트랜스포머
KR20120138713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