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640B1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640B1
KR101171640B1 KR1020100139026A KR20100139026A KR101171640B1 KR 101171640 B1 KR101171640 B1 KR 101171640B1 KR 1020100139026 A KR1020100139026 A KR 1020100139026A KR 20100139026 A KR20100139026 A KR 20100139026A KR 101171640 B1 KR101171640 B1 KR 10117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transformer
inpu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163A (ko
Inventor
강남익
유충식
문정배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6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64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의 리드부가 접합되는 입출력용 단자를 포함하며,상기 입출력용 단자가 상기 코일의 리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요구되는 전압에 따라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여, 고해상도와 대형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적합한 신기술의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V나 PDP(Plasma Display Panel) TV와 같은 박형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가격과 시장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중, LCD TV는 백라이트(backlight)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되어 왔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소모, 수명 및 친환경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의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
LED를 이용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평판 TV(Flat TV)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고 있다. 그리고, 평판 TV의 내부 파워 공급 모듈도 함께 슬림(SLIM)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트랜스포머에는 보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입출력용 단자를 구비하며, 보빈에 권선된 코일은 상기한 입출력용 단자에 고정 설치된다. 즉, 코일의 리드부가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된 후 솔더링 공정에 의해 복수개의 입출력용 단자 각각에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되는 코일의 리드부가 풀리게 되어 불량발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코일의 리드부가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되지 못하고 풀린 경우 이후 솔더링 공정에서 코일의 리드부가 입출력용 단자에 고정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 솔더링 공정 시 솔더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어 불량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되는 코일의 리드부가 입출력용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랜스 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의 리드부가 접합되는 입출력용 단자를 포함하며,상기 입출력용 단자는 상기 코일의 리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용 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는 인출되는 상기 코일의 리드부가 상기 삽입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의 인출되는 방향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코일의 리드부의 고정을 위해 개구부측이 상기 코일의 리드부 직경보다 작은 간극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코일의 리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빈에는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출력용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 설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용 단자는 상기 단자 설치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단자 설치부에 설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내부에 관통홀이 구비된 고리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관통홀의 반대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외측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면, 및 상기 내측보빈의 플랜지부의 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보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트랜스포머가 기판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포머에 권선되는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의 리드부가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되지 않고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된 코일이 풀림으로써 발생되는 입출력용 단자로부터 코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의 리드부를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하지 않고 삽입홈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코일 권선에 의한 결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코일의 리드부를 권선하지 않을 수 있어 이웃하는 입출력용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과의 쇼트(Short)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코일의 리드부가 권선되지 않을 수 있어 권선에 의한 입출력용 단자의 부피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입출력용 단자 간의 간격을 줄여 보빈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보빈(110), 입출력용 단자(120) 및 코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빈(110)에는 코일(140)이 권선된다. 또한, 보빈(110)에는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입출력용 단자(120)가 설치되는 단자 설치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보빈(110)은 내부에 관통홀(152a,162a)이 구비된 고리 형상의 몸체부(152,162)와, 몸체부(152,162)로부터 관통홀(152a,162a)의 반대방향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54,164)를 구비하는 내측 보빈(150)과 외측 보빈(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내측 보빈(150)의 플랜지부(154)의 상면과 외측 보빈(160)의 플랜지부(164)의 상면 및 내측 보빈(150)의 플랜지부(154) 저면과 외측 보빈(160)의 플랜지부(164) 저면 중 적어도 하나는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내측 보빈(150)이 외측 보빈의 관통홀(162a)에 삽입되어 외측 보빈(1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자 설치부(112)는 외측 보빈(16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입출력용 단자(120)는 단자 설치부(112)에 고정 설치된다.
먼저, 내측 보빈(150)에 대하여 살펴보면, 내측 보빈(1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52)와 플랜지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5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52a)은 코어(130)가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몸체부(152)에 형성되는 관통홀(152a)은 코어(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52a)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홀(152a)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154)는 상부 플랜지부(154a)와 하부 플랜지부(154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부(154a)와 하부 플랜지부(154b) 및 몸체부(1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코일(140)이 권선되는 내측 권선부(156)로 이용된다.
즉, 상부 플랜지부(154a)와 하부 플랜지부(154b)로 구성되는 플랜지부(154)는 내측 권선부(156)에 권선되는 코일(14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14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14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플랜지부(154)의 내부면, 즉 상부 플랜지부(154a)의 저면과 하부 플랜지부(154b)의 상면(다시 말해, 내측 권선부(156)을 형성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154)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더하여, 내측 보빈(150)은 플랜지부(154)의 폭이 몸체부(152)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154)의 상부 플랜지부(154a)와 하부 플랜지부(154b) 간의 거리(d1)가 몸체부(152)의 두께(t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형의 트랜스포머(100)에서 출력 전압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154)의 폭은 몸체부(152)의 관통홀(152a)로부터 플랜지부(154)의 끝단에 이르는 수평거리를 의미한다.
외측 보빈(160)도 상기한 내측 보빈(150)과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62)와 플랜지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6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62a)은 내측 보빈(150)이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몸체부(162)에 형성되는 관통홀(162a)은 내측 보빈(1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62a)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홀(162a)은 내측 보빈(15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플랜지부(164)는 상부 플랜지부(164a)와 하부 플랜지부(164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부(164a)와 하부 플랜지부(164b) 및 몸체부(16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코일(140)이 권선되는 외측 권선부(166)로 이용된다.
즉, 상부 플랜지부(164a)와 하부 플랜지부(164b)로 구성되는 플랜지부(164)는 외측 권선부(166)에 권선되는 코일(14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14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14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플랜지부(164)의 내부면, 즉 상부 플랜지부(164a)의 저면과 하부 플랜지부(164b)의 상면(다시 말해, 외측 권선부(166)을 형성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164)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더하여, 외측 보빈(160)은 플랜지부(164)의 폭이 몸체부(162)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164)의 상부 플랜지부(164a)와 하부 플랜지부(164b) 간의 거리(d2)가 몸체부(162)의 두께(t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형의 트랜스포머(100)에서 출력 전압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164)의 폭은 몸체부(162)의 관통홀(162a)로부터 플랜지부(164)의 끝단에 이르는 수평거리를 의미한다.
한편, 보빈(110)은 사출 성형에 제조될 수 있으며,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빈(110)은 고내열성, 고내전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입출력용 단자(120)는 보빈(110)에 설치되어 보빈(110)에 권선되는 코일(140)의 리드부(R)가 접합된다. 다시 말해, 입출력용 단자(120)는 보빈(1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단자 설치부(112)에 고정 설치되고, 보빈(110)에 권선되는 코일(140)의 리드부(R)가 입출력용 단자(120)에 결선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용 단자(120)는 코일(140)의 리드부(R)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122)을 구비한다. 즉, 입출력용 단자(120)는 코일(140)의 리드부(R)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되도록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124)와 입출력용 단자(120)의 일측면에 의해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홈(122)의 개구부(122a)는 인출되는 코일(140)의 리드부(R)가 삽입홈(1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코일(140)이 인출되는 방향측(P)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빈(110)에 권선되는 코일(140)의 리드부(R)는 보빈(110)으로부터 삽입홈(122)이 형성된 위치까지 인출된다. 그리고, 코일(140)의 리드부(R)는 삽입홈(122)의 개구부(122a)를 통해 코일(140)이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삽입홈(12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코일(140)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입출력용 단자(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삽입홈(122)은 코일(140)의 리드부(R)의 고정을 위해 개구부(122a) 측이 코일(140)의 리드부(R) 직경보다 작은 간극(C)을 가지며, 돌출부(124)는 코일(140)의 리드부(R)가 개구부(122)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 탄성 변형된다.
이후, 돌출부(124)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삽입홈(122)에 삽입된 코일(140)의 리드부(R)는 삽입홈(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입출력용 단자(120)는 단자 설치부(112)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단자 설치부(112)에 설치되는 수평부(126)와, 수평부(126)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12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4)는 수평부(126)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출력용 단자(120)에는 삽입홈(122)가 구비되며, 보빈(110)에 권선되는 코일(140)의 리드부(R)는 보빈(110)으로부터 인출되어 삽입홈(122)에 삽입 장착되어 입출력용 단자(120)에 결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140)의 리드부(R)가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되지 않고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입출력용 단자(120)에 권선된 코일이 풀림으로써 발생되는 입출력용 단자(120)로부터 코일(1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140)의 리드부(R)를 입출력용 단자(120)에 권선하지 않고 삽입홈(122)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코일(140)의 권선에 따른 결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코리(140)의 리드부(R)를 입출력용 단자(120)에 권선하지 않을 수 있어 이웃하는 입출력용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140)의 리드부(R)와의 쇼트(shor)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하여, 코일(140)의 리드부(R)가 권선되지 않을 수 있어 권선에 의한 입출력용 단자(120)의 부피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입출력용 단자(120) 간의 간격을 줄여 보빈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코어(130, core)는 내측 보빈(15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52a)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 보빈(150)의 관통홀(152a)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150)로는 'E' 자형 상부 코어와 'E' 자형 하부 코어의 결합체 또는 'E' 자형 상부코어와 'I' 자형 하부 코어의 결찹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어(13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140)은 내측 보빈(150)에 권선되는 1차 코일(142) 및 외측 보빈(160)에 권선되는 2차 코일(144)을 구비하며, 1차 코일(142) 및 2차 코일(144)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1차 코일(142)은 내측 보빈(150)에 형성된 내측 권선부(156)에 권선된다.
또한, 1차 코일(142)은 하나의 내측 권선부(156)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1차 코일(142)이 하나의 코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로 1차 코일(142)을 구성하여 다양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2차 코일(144)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코일(142)이 다수개의 코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코일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1차 코일(142)은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가닥을 꼬아 형성한 리쯔와이어(Ritz Wire)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 코일(142)은 리드선이 내측 보빈(15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158)에 연결된다.
2차 코일(144)은 외측 보빈(160)에 형성된 외측 권선부(166)에 권선된다.
2차 코일(144)도 전술한 1차 코일(142)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2차 코일(144)의 리드선은 외측 보빈(160)에 구비되는 입출력용 단자(120)에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권선부(156)에 1차 코일(142)이 권선되고, 외측 권선부(166)에 2차 코일(144)이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측 권선부(166)에 1차 코일(142)을 권선하고, 내측 권선부(156)에 2차 코일(144)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140)의 리드부(R)가 입출력용 단자에 권선되지 않고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입출력용 단자(120)에 권선된 코일이 풀림으로써 발생되는 입출력용 단자(120)로부터 코일(1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140)의 리드부(R)를 입출력용 단자(120)에 권선하지 않고 삽입홈(122)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코일(140)의 권선에 따른 결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코리(140)의 리드부(R)를 입출력용 단자(120)에 권선하지 않을 수 있어 이웃하는 입출력용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140)의 리드부(R)와의 쇼트(shor)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하여, 코일(140)의 리드부(R)가 권선되지 않을 수 있어 권선에 의한 입출력용 단자(120)의 부피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입출력용 단자(120) 간의 간격을 줄여 보빈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용 단자(120)가 외측 보빈(16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삽입홈(122)을 구비하는 입출력용 단자(120)는 내측 보빈(15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보빈(150)에 외부 접속 단자(158)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 보빈(150)에도 삽입홈(122)이 형성된 입출력용 단자(1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4), 트랜스포머(100)가 실장된 전원 공급부(5), 및 커버(2, 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 8)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2)와 백 커버(back cover, 8)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은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SMPS, 5)는 디스플레이 패널(4)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5)는 기판(6, 예컨대 PCB)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트랜스포머(100)가 적어도 하나 실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는 샤시(7)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함께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5)에 실장되는 트랜스포머(100)는 코일(도 3의 14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하게 권선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6)의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Z 방향), 코일(14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된다.
이처럼 코일(14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경우, 트랜스포머(100)에서 발생하는 자속(磁束)이 외부(예컨대, 커버 등)와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와 같은 박형의 전자 기기에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더라도 트랜스포머(100)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백 커버(8)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는 트랜스포머(100)와 백 커버(8)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트랜스포머 110 : 보빈
120 : 입출력용 단자 130 : 코어
140 : 코일 150 : 내측 보빈
160 : 외측 보빈

Claims (10)

  1.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의 리드부가 접합되는 입출력용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용 단자는 상기 코일의 리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용 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는 인출되는 상기 코일의 리드부가 상기 삽입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의 인출되는 방향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코일의 리드부의 고정을 위해 개구부측이 상기 코일의 리드부 직경보다 작은 간극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코일의 리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는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출력용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 설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용 단자는 상기 단자 설치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단자 설치부에 설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내부에 관통홀이 구비된 고리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관통홀의 반대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외측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면, 및 상기 내측보빈의 플랜지부의 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보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가 기판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에 권선되는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39026A 2010-12-30 2010-12-30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1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26A KR101171640B1 (ko) 2010-12-30 2010-12-30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26A KR101171640B1 (ko) 2010-12-30 2010-12-30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163A KR20120077163A (ko) 2012-07-10
KR101171640B1 true KR101171640B1 (ko) 2012-08-06

Family

ID=4671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026A KR101171640B1 (ko) 2010-12-30 2010-12-30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6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163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81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2414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8648685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42878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86657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535905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79389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02390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2404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8742879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9498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EP4057306A1 (en)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KR10114133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1640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2078B1 (ko) 트랜스포머
KR101620060B1 (ko) 트랜스포머
KR101133338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30883A (ko) 트랜스포머
DK2402966T3 (en) Transformer and flat screen assembly comprising this
KR101642079B1 (ko) 트랜스포머
KR20120030882A (ko)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