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694B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694B1
KR102168694B1 KR1020190095854A KR20190095854A KR102168694B1 KR 102168694 B1 KR102168694 B1 KR 102168694B1 KR 1020190095854 A KR1020190095854 A KR 1020190095854A KR 20190095854 A KR20190095854 A KR 20190095854A KR 102168694 B1 KR102168694 B1 KR 10216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core
cover
coil wind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주
최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9009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트랜스포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프포머는, 내부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에서 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코일 권선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몸체부 및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가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랜스포머와 관련된다.
트랜스포머(Transformer)는 전기의 전압을 해당 전기 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트랜스포머의 양측에는 전기가 이동하는 연결 핀이 설치되며, 연결 핀을 통하여 전기가 입력되거나 출력된다.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보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코어가 서로 접촉하여 마련됨에 따라, 한 쌍의 코어의 중앙 부분을 연마해서 이격시켜야 하므로 연마 공정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이 소모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한 쌍의 코어의 중앙 부분에서 하나의 공진점이 발생하여 열 분포가 집중되어 방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1481호(2008.04.08)
개시되는 실시예는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프포머는, 내부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마련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마련되는 제2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부재는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코어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상면 커버부; 상기 상면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안착되는 측면 커버부; 및 상기 측면 커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안내 돌기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안내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커버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기 제2 베이스부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1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제1 상면 커버부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안내 돌기부 및 상기 제2 안내 돌기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상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커버부는, 상기 제1 상면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1 측면 커버부; 및 상기 제2 상면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2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1 측면 커버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측면 커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커버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측면 커버부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커버 체결 돌기;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 상기 커버 체결 돌기와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커버 체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상면 커버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체결시키는 커버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 삽입홀로 삽입되는 코어 부재가 안착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 삽입홀로 삽입되는 코어 부재와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는 공간 형성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제1 길이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돌출되는 공간 형성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는, 상기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제2 코어 부재의 양측과 상기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제2 코어 부재의 중앙에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제2 코어 부재의 양측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코어 삽입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 돌기부가 안착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코어 부재와 제2 코어 부재가 양측과 중앙에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연마 공정 없이 유기 전류를 높이면서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코어 돌기부 및 제2 코어 돌기부가 공간 형성 돌기에 의해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스포머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트랜스포머의 발열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어 부재와 제2 코어 부재가 3군데에서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가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어 돌기부가 코어 삽입홀 내에서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기존의 트랜스포머와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발열 온도를 비교한 사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가 EI 형인 경우, 몸체부가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트랜스포머(100)는 몸체부(102), 커버부(104),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2)에는 코일이 권선된다. 몸체부(102)는 코일 권선부(111), 제1 베이스부(113), 및 제2 베이스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는 제1 베이스부(113)와 제2 베이스부(115) 사이에서 제1 베이스부(113)와 제2 베이스부(115)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 권선부(111)는 제1 베이스부(113)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원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코일 권선부(1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이 권선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에는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는 코어 삽입홀(121)이 마련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1)은 상하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1)은 제1 베이스부(113) 및 제2 베이스부(115)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123)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걸림 돌기(123)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즉, 코어 삽입홀(121)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123)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서 제1 길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123)는 코일 권선부(111)의 높이 방향에서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 돌기(123)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 돌기(123)는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 간 거리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는 공간 형성 돌기(125)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간 형성 돌기(125)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공간 형성 돌기(125)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서 걸림 돌기(12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나, 공간 형성 돌기(125)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 형성 돌기(125)는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가 각각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공간 형성 돌기(125)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서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간 형성 돌기(125)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서 걸림 돌기(123)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3)는 코일 권선부(1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3)는 코일 권선부(111)를 지지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3)는 코일 권선부(111)의 하단에서 코일 권선부(111)의 외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3)는 코일 권선부(111)의 하단 외측에서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베이스부(113)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베이스부(113)의 일측에는 제1 안내 돌기부(131)가 마련되고, 제1 베이스부(113)의 타측에는 제2 안내 돌기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내 돌기부(131)는 제1 베이스부(113)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내 돌기부(131)의 하측에는 제1 연장 돌기부(13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 돌기부(131a)에는 제1 연결핀 부재(135)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부재(135)는 일단이 제1 연장 돌기부(131a)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부재(135)에는 코일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내 돌기부(133)는 제1 베이스부(113)의 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내 돌기부(133)의 하측에는 제2 연장 돌기부(133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장 돌기부(133a)에는 제2 연결핀 부재(137)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부재(137)는 일단이 제2 연장 돌기부(133a)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부재(137)에는 코일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15)는 코일 권선부(11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15)는 코일 권선부(111)의 상단에서 코일 권선부(111)의 외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115)는 제1 베이스부(113)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부(115)는 코일 권선부(111)의 상단 외측에서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베이스부(115)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베이스부(113) 및 제2 베이스부(115)가 코일 권선부(111)의 하단 및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므로, 코일이 코일 권선부(111)에 안정적으로 권선될 수 있게 된다.
제2 베이스부(115)의 상면에는 커버 체결 돌기(139)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체결 돌기(139)는 제2 베이스부(115)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 체결 돌기(139)는 제2 베이스부(115)의 상면 양측에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04)는 몸체부(10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04)는 몸체부(102)를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04)는 몸체부(102)에 안착되면서 몸체부(102)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104)는 몸체부(102)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104)가 몸체부(102)를 커버함에 따라 코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104)는 코일 권선부(111)의 외측에서 코일 권선부(111)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104)는 상면 커버부(141), 측면 커버부(143), 및 간격 유지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커버부(141)는 제2 베이스부(115)를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상면 커버부(141)는 제1 상면 커버부(141-1) 및 제2 상면 커버부(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 커버부(141-1)는 제2 베이스부(11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면 커버부(141-1)는 제2 베이스부(115)를 커버하도록 제2 베이스부(1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면 커버부(141-1)에는 커버 체결홀(147)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체결홀(147)은 커버 체결 돌기(139)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04)가 몸체부(102) 상에 안착되는 경우, 커버 체결 돌기(139)가 커버 체결홀(147)에 삽입되어 제1 상면 커버부(141-1)와 제2 베이스부(115) 간에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체결 돌기(139)는 커버 체결홀(147)과 함께 커버 체결부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코일의 권선 시 커버 체결 돌기(139)가 권선 지그(미도시)에 고정되어 코일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커버 체결 돌기(139)가 제2 베이스부(115)에 마련되고 커버 체결홀(147)이 제1 상면 커버부(141-1)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커버 체결 돌기(139)가 제1 상면 커버부(141-1)에 마련되고 커버 체결홀(147)이 제2 베이스부(115)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상면 커버부(141-1)에는 관통홀(149)이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149)은 제1 상면 커버부(141-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149)은 코어 삽입홀(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면 커버부(141-2)는 제1 상면 커버부(141-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면 커버부(141-2)는 제1 안내 돌기부(131) 및 제2 안내 돌기부(13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측면 커버부(143)는 상면 커버부(141)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 커버부(143)는 제1 측면 커버부(143-1) 및 제2 측면 커버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커버부(143-1)는 제1 상면 커버부(141-1)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커버부(143-2)는 제2 상면 커버부(141-2)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커버부(143-2)의 하단은 제1 안내 돌기부(131) 및 제2 안내 돌기부(13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커버부(143-1)는 제2 측면 커버부(143-2)보다 소정 길이(L1)만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L1)는 제1 베이스부(113)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면 커버부(143-1)는 제1 베이스부(113)의 측면까지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측면 커버부(143-1)는 제1 베이스부(113)의 측면까지 커버하기 때문에, 제1 베이스부(113)가 제1 측면 커버부(143-1)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커버부(104)와 몸체부(102) 간의 체결 시 도움을 주게 된다. 즉, 커버부(104)와 몸체부(102)는 커버 체결 돌기(139)가 커버 체결홀(147)에 삽입되면서 1차 체결되고, 제1 베이스부(113)가 제1 측면 커버부(143-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2차 체결됨에 따라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간격 유지부(145)는 측면 커버부(143)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간격 유지부(145)는 제1 측면 커버부(143-1)의 외주면에서 제1 측면 커버부(14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145)는 제1 측면 커버부(143-1)의 양측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145)는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 간에 열 분포가 이루어져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간격 유지부(145)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간격 유지부(145)는 제1 측면 커버부(143-1)의 높이 방향에서 중앙부에 마련되며, 이때 걸림 돌기(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간격 유지부(145)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간격 유지부(145)는 걸림 돌기(123)와 동일한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는 트랜스포머(100)의 자심으로 사용된다. 제1 코어 부재(106)는 커버부(104)의 상측에 안착되고, 제2 코어 부재(108)는 몸체부(102)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 사이에 커버부(104) 및 몸체부(10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어 부재(106)는 제1 코어 몸체(106a),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1 측면 돌기부(10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6a)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6a)는 상면 커버부(141)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어 몸체(106a)의 하면은 제1 상면 커버부(141-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6b)는 제1 코어 몸체(106a)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6b)는 관통홀(149) 및 코어 삽입홀(121)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6b)는 관통홀(149) 및 코어 삽입홀(1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6b)는 코어 삽입홀(121) 내에서 걸림 돌기(12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측면 돌기부(106c)는 제1 코어 몸체(106a)의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어 부재(106)가 커버부(104)에 장착되는 경우, 제1 측면 돌기부(106c)는 간격 유지부(14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코어 부재(108)는 제1 코어 부재(106)의 하부에서 제1 코어 부재(106)와 마주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2 코어 부재(108)는 제2 코어 몸체(108a), 제2 코어 돌기부(108b), 및 제2 측면 돌기부(10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8a)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8a)는 몸체부(102)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코어 몸체(108a)는 제1 베이스부(113)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제2 코어 몸체(108a)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코어 삽입홀(121)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코어 삽입홀(1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코어 삽입홀(121) 내에서 걸림 돌기(123)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측면 돌기부(108c)는 제2 코어 몸체(108a)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코어 부재(108)가 몸체부(102)에 장착되는 경우, 제2 측면 돌기부(108c)는 간격 유지부(145)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걸림 돌기(123)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안착되고, 제1 측면 돌기부(106c) 및 제2 측면 돌기부(108c)는 간격 유지부(145)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안착되기 때문에,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는 세 군데에서 각각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는 제1 코어 부재(106)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측면 돌기부(106c)와 제2 코어 부재(108)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측면 돌기부(108c)가 간격 유지부(145)에 의해 간격(D1, D2)을 유지하고, 제1 코어 부재(106)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 코어 돌기부(106b)와 제2 코어 부재(108)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 코어 돌기부(108b)가 걸림 돌기(123)에 의해 간격(D3)을 유지하기 때문에, 총 3군데(D1, D2, D3)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그로 인해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 사이에 공진점이 3군데에서 발생하여 열 분포가 이루어지는 바, 발열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가 간격 유지부(145) 및 걸림 돌기(123)에 의해 양측과 중앙에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제1 코어 돌기부(106b)와 제2 코어 돌기부(108b) 간에 유기전류를 높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연마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즉, 제1 코어 돌기부(106b)와 제2 코어 돌기부(108b) 간 연마 공정을 통한 거리 늘림이 없이도 유기전류를 높이면서 발열은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마 공정을 생략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연마 공정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줄이고 원가 절감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코어 삽입홀(121) 내에서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02)가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어 돌기부(106b)가 코어 삽입홀(121) 내에서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코어 삽입홀(121) 내로 삽입되는 경우, 각각 걸림 돌기(123)의 상면 및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 간 갭(Gap)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공간 형성 돌기(125)가 걸림 돌기(12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되기 때문에,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2 코어 돌기부(108b)는 공간 형성 돌기(125)에 의해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된다.
즉, 공간 형성 돌기(125)에 의해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2 코어 돌기부(108b)와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S)이 형성되며, 그로 인해 트랜스포머(100)의 방열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코어 부재(106)와 제2 코어 부재(108)가 양측과 중앙에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연마 공정 없이 유기 전류를 높이면서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2 코어 돌기부(108b)가 공간 형성 돌기(125)에 의해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스포머(100)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트랜스포머(100)의 발열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기존의 트랜스포머와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발열 온도를 나타낸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존의 트랜스포머(한 쌍의 코어의 중앙 부분을 연마해서 이격시킨 트랜스포머)는 발열 온도가 84.4℃인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도 9를 참조하면,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의 발열 온도는 74℃인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가 EER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도 EI 형, EE 형, EVD 형, EED 형, EP 형, EEH 형 등 다양한 형태의 코어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코어 부재의 형태에 따라 몸체부(102) 및 커버부(104)의 형태가 그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2 코어 돌기부(108b)가 코어 삽입홀(121) 내에서 각각 걸림 돌기(123)의 상면 및 하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걸림 돌기(123)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몸체부(102)에 걸림 돌기(123)가 없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공간 형성 돌기(125)는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 상단에서 하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가 EI 형인 경우, 몸체부(102)가 제1 코어 부재(106) 및 제2 코어 부재(108)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2 코어 부재(108)는 코어 몸체만 구비하는 평판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어 부재(106)의 제1 코어 돌기부(106b) 및 제1 측면 돌기부(106c)가 제2 코어 부재(108)와 기 설정된 간격(도 5에 도시된 D1, D2, D3)을 유지하도록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부(145) 및 걸림 돌기(123)도 각각 제1 측면 커버부(143-1)의 하단 및 코일 권선부(111)의 내측면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도 몸체부(102)는 걸림 돌기(123)가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트랜스포머
102 : 몸체부
104 : 커버부
106 : 제1 코어 부재
106a : 제1 코어 몸체
106b : 제1 코어 돌기부
106c : 제1 측면 돌기부
108 : 제2 코어 부재
108a : 제2 코어 몸체
108b : 제2 코어 돌기부
108c : 제2 측면 돌기부
111 : 코일 권선부
113 : 제1 베이스부
115 : 제2 베이스부
121 : 코어 삽입홀
123 : 걸림 돌기
125 : 공간 형성 돌기
131 : 제1 안내 돌기부
131a : 제1 연장 돌기부
133 : 제2 안내 돌기부
133a : 제2 연장 돌기부
135 : 제1 연결핀 부재
137 : 제2 연결핀 부재
139 : 커버 체결 돌기
141 : 상면 커버부
141-1 : 제1 상면 커버부
141-2 : 제2 상면 커버부
143 : 측면 커버부
143-1 : 제1 측면 커버부
143-2 : 제2 측면 커버부
145 : 간격 유지부
147 : 커버 체결홀
149 : 관통홀

Claims (13)

  1. 내부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마련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코일 권선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마련되는 제2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부재는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코어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상면 커버부;
    상기 상면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안착되는 측면 커버부; 및
    상기 측면 커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안내 돌기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안내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커버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기 제2 베이스부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1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제1 상면 커버부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안내 돌기부 및 상기 제2 안내 돌기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상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부는,
    상기 제1 상면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1 측면 커버부; 및
    상기 제2 상면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2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1 측면 커버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측면 커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트랜스포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커버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측면 커버부 보다 길게 마련되는, 트랜스포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커버 체결 돌기;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 상기 커버 체결 돌기와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커버 체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상면 커버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체결시키는 커버 체결홀을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8. 내부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 삽입홀로 삽입되는 코어 부재가 안착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 삽입홀로 삽입되는 코어 부재와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는 공간 형성 돌기를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0. 내부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제1 길이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코어 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돌출되는 공간 형성 돌기를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1. 내부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는,
    상기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제2 코어 부재의 양측과 상기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제2 코어 부재의 중앙에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트랜스포머.
  12. 내부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 권선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제1 코어 부재 및 제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 및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제2 코어 부재의 양측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2 코어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코어 삽입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 돌기부가 안착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KR1020190095854A 2019-08-07 2019-08-07 트랜스포머 KR10216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54A KR102168694B1 (ko) 2019-08-07 2019-08-07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54A KR102168694B1 (ko) 2019-08-07 2019-08-07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694B1 true KR102168694B1 (ko) 2020-10-21

Family

ID=7303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54A KR102168694B1 (ko) 2019-08-07 2019-08-07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6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456B1 (ko) * 2006-04-04 2007-06-13 주식회사 삼립전기 트랜스포머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KR20120076299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9865A (ko) * 2013-03-27 2014-10-13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481A (ko)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
KR100727456B1 (ko) * 2006-04-04 2007-06-13 주식회사 삼립전기 트랜스포머
KR20120076299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9865A (ko) * 2013-03-27 2014-10-13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0240A1 (en) Transformer
US8922320B2 (en) Transformer
US6042385A (en) Connector for charging
US8922318B1 (en) Transformer structure
JP5234033B2 (ja) 電源装置
US20140085030A1 (en) Transformer
KR101883415B1 (ko) 리액터
KR102145856B1 (ko) 변압 장치
KR102168694B1 (ko) 트랜스포머
JP2015115340A (ja) 巻線部品
JP6713335B2 (ja) トランス
US20220254560A1 (en) Magnetic element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140375410A1 (en) Transformer, magnetic core and bobbin thereof
JP2021077673A (ja) リアクトル
JP7338275B2 (ja) リアクトル用ボビン、リアクトルおよび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KR100619244B1 (ko) 안정기용 트랜스포머 안착구 및 안착방법
KR20210147670A (ko)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JP2019134139A (ja) コイルユニット
KR20220129384A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102601486B1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JP2018081960A (ja) コイルユニット、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20190392979A1 (en) Electromagnetic device including iron core supporting structure
KR102554395B1 (ko) 모터
KR102626341B1 (ko) 인덕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컨버터
KR200349356Y1 (ko) 수직형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