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415B1 - 리액터 - Google Patents

리액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415B1
KR101883415B1 KR1020160158619A KR20160158619A KR101883415B1 KR 101883415 B1 KR101883415 B1 KR 101883415B1 KR 1020160158619 A KR1020160158619 A KR 1020160158619A KR 20160158619 A KR20160158619 A KR 20160158619A KR 101883415 B1 KR101883415 B1 KR 10188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groove
bobbin
peripheral wall
groove por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095A (ko
Inventor
다카오 야마다
히로유키 미야자키
도모유키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7/00Fixed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1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끼리 및 코어끼리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끼리의 절연을 확실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리액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리액터(10)는, 한 쌍의 기둥형 코어체(20), 각선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코일(30), 보빈(40)을 구비하고, 이 보빈(40)은, 중심 구멍(40a1)을 형성하기 위한 내주벽(43)과, 내주벽(43)보다 외주측에서 내주벽(43)과 대향하고 있는 외주벽(44)과, 내주벽(43)과 외주벽(44)을 연결하는 밑벽(45)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원주형상의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가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코일(30)을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에 각각 끼워넣는다. 또한, 외주벽(44) 중의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가 서로 마주 대하는 부분에는, 보빈(40)의 중앙측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오목 벽부(5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오목 벽부(50)는, 적어도 일부의 내주벽(43)보다 보빈(40)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리액터{REACTOR}
본 발명은 리액터(reactor)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컨버터(converter)용이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파워 컨디셔너(power conditioner)용을 비롯하여, 리액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액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금속 도선인 평각선을 둘러 감은 코일은, 기본적으로는 스프링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장하거나 줄어들므로, 리액터의 특성에 변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코일과 코어의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코일의 단부측에 보빈을 끼워 넣어, 특성의 변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코일과 코어의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일본특허 제5105079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보빈의 내주측에는 돌출테두리부(내주벽)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돌출테두리부만을 가지는 보빈에서는, 코일끼리나 코어끼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불충분하다. 따라서, 이들 코일끼리나 코어끼리의 거리의 변동에 의해 리액터의 특성이 변동하고, 품질에 불균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코일끼리의 거리적인 변동이 생기는 경우, 코일끼리의 절연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코일끼리 및 코어끼리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끼리의 절연을 확실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리액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액터의 일측면은,
자성 재료를 재질로 하는 한 쌍의 기둥형 코어체와,
각각의 기둥형 코어체의 외주측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각선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코일과,
중심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내주벽과, 이 내주벽보다 외주측에서 이 내주벽과 대향하고 있는 외주벽과, 내주벽과 외주벽을 연결하는 밑벽을 구비하는 것으로, 원주형상의 제1 환형 홈부(環形溝部) 및 제2 환형 홈부를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코일을 제1 환형 홈부 및 제2 환형 홈부에 각각 끼워 넣는 보빈을 구비함과 동시에,
외주벽 중의 제1 환형 홈부와 제2 환형 홈부가 서로 마주 대하는 부분에는, 보빈의 중앙측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오목 벽부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 벽부는, 적어도 일부의 내주벽보다 보빈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액터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기둥형 코어체에는, 자성 재료를 재질로 함과 동시에 기둥형 코어체보다 면적이 큰 판형 코어가 기둥형 코어체의 축선 방향의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기둥형 코어체를 끼우도록 적층됨과 동시에, 밑벽중의 제1 환형 홈부 및 제2 환형 홈부 와는 반대측에는, 판형 코어에 접촉하면서 이 판형 코어를 코일로부터 이격시키는 위치 결정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리액터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기둥형 코어체와 코일과 보빈을 덮는 금속제의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외주벽에는, 내주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외주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외주 돌기에 의해, 코일을 케이스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리액터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외주벽의 높이는 내주벽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리액터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또한, 한 쌍의 판형 코어보다 기둥형 코어체의 축선 방향의 양쪽의 외측에는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기둥형 코어체, 코일, 보빈 및 판형 코어는, 한 쌍의 고정 수단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액터에 있어서, 코일끼리 및 코어끼리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끼리의 절연을 확실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리액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리액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케이스를 제거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리액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의 리액터에 있어서, 아래쪽 측에 위치하는 보빈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액터에 있어서, 아래쪽 측에 위치하는 보빈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리액터에 있어서, 보빈의 아래쪽 면측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리액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냄과 동시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보빈과는 다른 타입의 보빈을 이용하고, 한 쌍의 코일이 하나의 평각선으로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보빈과는 다른 타입의 보빈의 형상을 나타 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보빈과는 다른 타입의 보빈의 형상을 나타 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한 쌍의 코일을 아래쪽 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리액터에 있어서, 판형 코어(60) 측으로부터 보빈(40A) 측을 본 상태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며, 판형 코어와 보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액터(reactor)(10)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코일(coil)(30) 및 기둥형 코어체(20)의 축선 방향(軸線方向)을 상하 방향(Z 방향)으로 하고, 케이스(case)(80)를 덮고 있는 측을 Z1측(윗측)으로 하고, Z1측과는 반대측인 케이스(80)의 개방측(開放側)을 Z2측(아래측)으로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한 쌍의 코일(30)이 늘어선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오른쪽 앞측을 X1측으로 하고, X1측과는 반대측을 X2측으로 한다. 또한, X 방향과 Z 방향에 직교(直交) 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의 오른쪽 안측을 Y2측, Y1측과는 반대의 왼쪽 앞측을 Y1측으로 한다.
<리액터(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은, 리액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2는, 리액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케이스(8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리액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케이스(8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액터(10)는, 기둥형 코어체(20), 한 쌍의 코일(30), 보빈(bobbin)(40), 판형 코어(60), 고정 부재(固定金具)(70), 금속제의 케이스(80)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기둥형 코어체(20)는, 페라이트(ferrite), 아몰펄스(amorphous) 자성재료, 규소강판 등의 자성재료를 재질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자성 재료는, 밀도를 높인 압분 코어(pressed powder core)라도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평면시(平面視)했을 때의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rounded rectangle)과 같은 장원형(長円形)이 되는 기둥형 코어 부재(21)를 맞대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둥형 코어체(20)를 평면시했을 때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모양, 타원 모양, 구형 모양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여기서, 2개의 코어 부재(21)의 서로 맞대는 면에는, 갭(gap)을 형성하여 인덕턴스(inductance)를 조정하기 위하여 스페이서(spacer)(S1)가 개재되어 있지만, 스페이서(S1)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맞대도록 해도 된다. 스페이서(S1)는, 예를 들어 전기적인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등의 재질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코어 부재(21)는, 높이도 같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2개의 코어 부재(21)는, 높이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기둥형 코어체(20)의 윗쪽면에는, 스페이서(S2)가 배치됨과 동시에, 기둥형 코어체(20)의 아래쪽 면에는, 스페이서(S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S2, S3)도, 전술한 스페이서(S1)와 동일하게, 전기적인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등의 재질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코일(30)은 각각 기둥형 코어체(20)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코일(30)은, 평각선(rectangular wire)(31)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평각선(31)을 굽히는 부분은, 에지 와이즈 벤딩(edge wise bending)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코일(30)을 평면시했을 때의 형상은, 에지 와이즈 벤딩에 의해 Y 방향(폭 방향)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부분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평각선(31)의 에지 와이즈 벤딩은, 반원 형상 이외에, 예를 들어 90도 등의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굽혀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코일(30)은, 각각 독립한 상태로 되어 있고, 1개의 코일(30)에 2개의 단말(32)이 존재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32)을 이용하여, 코일(30)끼리를 직렬적으로 접속하거나 병렬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코일(30)을 하나의 평각선(31)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2개의(한 쌍의) 코일(30)은, 하나의 평각선(31)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하나의 코일(30)의 단말(32)로부터 형성하기 시작한 후에, 계선부(繼線部)를 거쳐 다른 하나의 코일(30)로 이행(移行)하고, 그 다른 하나의 코일(30)의 단말(32)에서 형성을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코일(30)(X1측의 코일(30); 코일(30A)이라고 함)과 다른 하나의 코일(30)(X2측의 코일(30); 코일(30B)이라고 함)의 선을 둘러 감는 방향은 같은 방향이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평각선(31)을 아래쪽 측(Z2측)의 단말(32) 측으로부터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에 둘러 감는 것에 의해, 각각의 코일(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2개의 코일(30A, 30B)는, 각각 아래쪽측(Z2측)의 단말(32) 측으로부터, 예를 들어 시계 방향에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코일(30A, 30B)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아래쪽측(Z2측)의 단말(32) 측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둘러 감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아래쪽측(Z2측)의 단말(32) 측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둘러 감아, 2개의 코일(30A, 30B)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코일(30A, 30B)을 평면시했을 경우, 기둥형 코어체(20)와 같이, 직선 모양의 부분을 가지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rounded rectangle)과 같은 장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30A, 30B)을 평면시했을 때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모양, 타원 모양, 구형 모양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하나의 코일(30A)의 단말(32)과 다른 하나의 코일(30B)의 단말(32)은, 모두 아래쪽측(Z2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윗쪽측(Z1측)에도 위치하고 있다. 즉, 각각의 코일(30A, 30B)에서는, 상하 방향(Z 방향)에 있어서의 단말(32)의 위치가 상이하다.
또한, 코일(30A, 30B)의 외주측에는, 각각 절연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30A, 30B)의 외주측에는, 전기적인 절연성을 가지는 테이프(tape)를 부착하고 있어, 전기적인 절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코일(30A, 30B)의 외주측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대신, 예를 들어 바니시(varnish)를 함침(含浸)시키는 등에 의해, 코일(30A, 30B)의 절연성을 확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바니시(varnish)의 함침 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테이프를 코일(30A, 30B)의 외주측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보빈(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아래쪽측(Z2측)에 위치하는 보빈(40A)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아래쪽측(Z2측)에 위치하는 보빈(40A)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윗쪽측(Z1측)에 위치하는 보빈(40A)도, 기본적으로는 이와 같은 형상(다만, 위치 관계는 상하 대칭 관계임)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40)은, 그 외관이 안경모 양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빈(40)은, 한 쌍의 중심 구멍(40a1)을 가지고 있고, 각 중심 구멍(40a1)의 주위에 각각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는, 모두 내주벽(43), 외주벽(44) 및 밑벽(45)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내주벽(43), 외주벽(44) 및 밑벽(45)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오목 홈형(凹溝形)의 제1 환형 홈부(41)와, 마찬가지로 오목 홈형인 제2 환형 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주벽(43)은, 기둥형 코어체(20)와 코일(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이 내주벽(43)에 의해, 기둥형 코어체(20)와 코일(3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를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환형 홈부(41,42)로 칭한다.
여기서, 보빈(40A)의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에는, 각각 인출부(引出部)(46)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부(46)는, 환형 홈부(41), 환형 홈부(42)로부터 코일(30)의 단말(32)을 꺼내기 위한 개구 부분이며, 외주벽(44)을 잘라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각각의 인출부(46)는, 모두 코일(30)의 장축 방향(Y 방향)의 앞측(Y1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인출부(46)는, 코일(30)의 장축 방향(Y 방향)의 안측(Y2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하나의 인출부(46)이 앞측(Y1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인출부(46)가 안측(Y2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인출부(46)는, 보빈(40A)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가까운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단말(32)이 사이를 두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코일(30A)과 다른 하나의 코일(30B)은, 모두 아래쪽측(Z2측)의 단말(32) 측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평각선(31)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환형 홈부(42)의 인출부(46)는, X2측을 향한 상태에서 단말(32)을 외부로 연출(延出)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환형 홈부(41)의 인출부(46)는, Y1측을 향한 상태에서 단말(32)을 외부로 연출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분명히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40A)의 인출부(46) 부근에는, 단말(32)이 외부로 향해 연신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 벽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벽부(47)는, 단말(32)이 외측의 연신 방향(延伸方向)을 향하도록 인출부(46) 부근의 외주벽(44)을 직선 모양으로 형성한 부분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벽(44)의 높이는, 내주벽(43)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다. 이는, 하기와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만일 외주벽(44)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일(30)의 아래쪽측(Z2측)에는, 절연이 불충분한 부위가 형성된다. 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30)의 외주측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코일(30)의 전기적인 절연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코일(30)의 가장 단부측에서는, 한쪽 편(이 경우는 아래쪽측; Z2측)에 평각선(31)이 중첩되어 있지 않기 때문 에, 테이프의 고정으로부터 벗어나 풀리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코일(30)의 가장 단부측에서는, 단말(32)을 외부로 향해 꺼내는 부분이 존재하는 등에 의해, 테이프를 부착하는 부위가 다른 위치보다 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외주벽(44)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코일(30)의 아래쪽측(Z2측)에서의 절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외주벽(44)의 높이가, 내주벽(43)의 높이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또는 그 이상 높아지는 경우에는, 코일(30)을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에 끼워넣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코일(30)의 아래쪽측(Z2측)에서의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코일(30)을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에 끼워넣기 쉽게 하기 위하여, 외주벽(44)의 높이를 내주벽(43)의 높이보다 낮게 하고 있다.
또한, 외주벽(44) 중의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가 서로 인접하지 않는 측(멀어지는 측)에는, 외주 돌기(外周突起)(48)가 설치되어 있다. 외주 돌기(48)는, 케이스(80)와 코일(30)의 사이에 스페이스(space)를 확보하기 위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 돌기(48)는, 외주벽(44)의 일부의 두께를 외주벽(44)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 돌기(48)는, 케이스(80)가 코일(30)에 대해서 특정한 거리보다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특정한 거리보다 케이스(80)가 코일(30)에 근접하면, 리액터(10)의 특성에 변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돌기(48)는, 외주벽(44) 중의 직선 모양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주 돌기(48)는, Y 방향으로 긴 장척형(長尺形)이 되어 있다. 그러나, 외주 돌기(48)는, 예를 들어 Y 방향의 길이가 짧은 것을 Y 방향을 따라서 여러 개 설치하는 등의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외주 돌기(48)는, 외주벽(44)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외주 돌기(48)는, 외주벽(44)과는 별체(別體)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나중에 따로 외주벽(44)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보빈(40A)에는, 오목 벽부(凹壁部)(50)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 벽부(50)는, 보빈(40A)의 외주벽(44) 중의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가 서로 마주 대하는 부분을, 보빈(40A)의 중앙측으로 향하도록 오목하게 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오목한 정도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벽부(50)가 Y 방향에 있어서 가장 단부 측에 위치하는 내주벽(43)보다 보빈(40A)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코일(30A, 30B)에 있어서 각도적으로 어긋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오목 벽부(50)가 존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메리트(merit)가 있다. 즉, 코일(30A)과 코일(30B)의 아래쪽측(Z2측)에서는, 전위차(電位差)가 높아져 있는 경우가 많고, 그러한 전위차가 높은 부위에 있어서, 면이 서로 어긋나거나 에지 와이즈 벤딩(edge wise bending) 부분에서 벤딩 각도가 어긋나는 등과 같이 각도적으로 어긋나면, 2개의 코일(30A, 30B) 간의 거리가 변동하여, 리액터(10)의 특성이 변동하고, 품질의 불균일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보빈(40A)에 오목 벽부(5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코일(30A, 30B)에 있어서 면이 서로 어긋나거나, 에지 와이즈 벤딩 부분에서 벤딩 각도가 어긋나는 등과 같이 각도적으로 어긋나는 것을 교정하면서, 하나의 코일(30A)과 다른 하나의 코일(30B)의 사이의 간격을 적정하게 평행으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2개의 코일(30A, 30B) 간의 거리적인 변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리액터(10)의 특성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품질의 불균일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오목 벽부(5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오목 벽부(50)를 연결하도록, 칸막이 벽(49)도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코일(30)의 단말(32)끼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6은, 보빈(40A)의 아래쪽 면측(Z2측의 면측; 뒷면측)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윗쪽측(Z1측)에 위치하는 보빈(40A)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형상이 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아래쪽측(Z2측)에 위치하는 보빈(40A)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40A)의 아래쪽 면측에는, 위치 결정 돌기(51)가 아래쪽측(Z2측)에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51)는, 판형 코어(60)에 접촉하고, 이 판형 코어(60)를 코일(3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즉, 판형 코어(60)이 코일(30)에 대하여 지나치게 근접하면, 와전류(eddy current)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판형 코어(60)와 코일(30)을 일정한 거리 이상 확실히 이격시켜 와전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위치 결정 돌기(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51)는,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의 뒷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51)는, 외주 돌기(48)에 대하여 원주방향에서 90도 이격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돌기(51)는, 합계 4개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나아가서는, 판형 코어(60)의 표면의 외연(外緣)에 가까운 부분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위치 결정 돌기(5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51a)와 테이퍼(taper)부(51b)를 가지고 있다. 맞닿음부(51a)는, 판형 코어(60)에 대하여 면 접촉하는 부분이며, 위치 결정 돌기(51) 중에서 가장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다. 또한, 테이퍼부(51b)는, 맞닿음부(51a)와 밑벽(45)을 연결하는 경사벽이며, 외주벽(44) 측에 위치하는 밑벽(45) 측으로부터 내주벽(43) 측에 위치하는 맞닿음부(51a)를 향함에 따라 밑벽(45)의 뒷면측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보빈(40A)을 이용하는 경우, 한 쌍의 코일(30)은 각각 독립하고 있고, 1개의 코일(30)에 2개의 단말(32)이 존재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코일(30)을 하나의 평각선(31)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한 쌍의 코일(30)에 있어서는, 아래쪽 측(Z2측)이나 또는 윗쪽측(Z1측)의 어느 한 쪽에 단말(32)이 존재하지 않는 측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보빈을 이용해도 되지만, 다른 타입의 보빈(40B)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평각선(31)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코일(30)을 이용한 리액터(10)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리액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케이스(8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냄과 동시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보빈(40A)과는 다른 타입의 보빈(40B)을 이용하고, 한 쌍의 코일(30)이 하나의 평각선(31)으로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보빈(40A)과는 다른 타입의 보빈(40B)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보빈(40A)과는 다른 타입의 보빈(40B)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2개의 보빈(40A,40B)을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보빈(40)으로 칭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리액터(10)는, 기본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구성과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의 두 구성 모두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40B)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타입의 보빈(40A)과는 달리, 코일(30)의 단말(32)을 외부로 꺼내기 위한 인출부(46)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단말(32)을 외부로 향해 연신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 벽부(47)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보빈(40B)은, 한 쌍의 코일(30)의 윗쪽측(Z1측)이나 또는 아래쪽측(Z2측)에 단말(32)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한 쌍의 코일(30)의 아래쪽측(Z2측)에 단말(32)이 존재 하지 않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7에 있어서는, 보빈(40B)은, 아래쪽측(Z2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빈(40B)에 있어서는,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를 칸막기 위한 칸막이 벽(49)도 설치하지 않는다.
이는, 하기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한 쌍의 코일(30A, 30B)이 하나의 평각선(31)을 둘러 감는 것으로 형성되는 경우, 2개의 코일(30A, 30B)을 접속하기 위한 계선부가 존재하고, 이 계선부는, 인접하는 코일(30A, 30B)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계선부를 코일(30A, 30B)의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보빈(40B)에는,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를 칸막기위한 칸막이 벽(49)도 설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리액터(10)에서는, 하나의 평각선(31)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코일(30)을 형성하고 있고, 이 경우에, 코일(30A)과 코일(30B)을 접속하는 계선부(계선부(33)로 함)는,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한 쌍의 코일(30)을 아래쪽 면측(Z2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선부(33)는, 에지 와이즈 벤딩(edge wise bending)을 실시함으로써, 코일(30A)과 코일(30B)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보빈(40B)의 서로 인접하는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를 접속할 수 있도록, 계선부(33)는 Y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신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계선부(33)는,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치수를 필요로 하는 비틀림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비틀림 부분이 존재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비틀림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코일(30)과 윗측(Z1측)의 판형 코어(60)의 사이의 치수와, 한 쌍의 코일(30)과 아래쪽 측(Z2측)의 판형 코어(60)의 사이의 치수는, 거의 균등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리액터(1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밸런스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리액터(10)의 특성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틀림 부분이 존재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코일(30A)과 코일(30B)에 있어서의 에지 와이즈 벤딩(edge wise bending)의 방향을 일치시킬수 있다(예를 들어, 코일(30A, 30B)을 모두 오른쪽으로 굽히거나, 또는 모두 왼쪽으로 굽힐수 있다). 따라서, 에지 와이즈 벤딩을 실시하는 가공 장치에 다시 세팅(setting)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공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형 코어(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 코어(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 코어 부재이다. 이 판형 코어(6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형 모양의 코너(corner)부를 잘라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형 코어(60)를 평면시하면, 대체로 팔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판형 코어(60)를 평면시했을 때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모양, 타원 모양, 구형 모양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이 판형 코어(60)는, 한 쌍의 기둥형 코어체(20)의 윗쪽측(Z1측)과 아래쪽측(Z2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기둥형 코어체(20)와 한 쌍의 판형 코어(60)에 의해 폐자로(closed magnetic circuit)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판형 코어(60)는, 기둥형 코어체(20)와 같은 자성 재료를 재질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판형 코어(60)를 형성하는 자성 재료의 종류는, 기둥형 코어체(20)와 동일한 종류로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종류로 할 수도 있다.
도 11은, 판형 코어(60) 측으로부터 보빈(40A) 측을 본 상태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며, 판형 코어(60)와 보빈(40A)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 코어(60)는, 위치 결정 돌기(51)의 맞닿음부(51 a)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판형 코어(60)의 위치가 정해지고, 한 쌍의 코일(30)과 판형 코어(60)의 사이의 거리가 유지된다.
또한, 판형 코어(60)와 기둥형 코어체(2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S2, S3)가 배치된다. 이러한 스페이서(S2, S3)의 배치에 의해 자기(磁氣)적인 갭(gap)이 형성되어, 인덕턴스(inductance)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S2, S3)를 배치하지 않고, 판형 코어(60)와 기둥형 코어체(20)를 직접 맞대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각각의 판형 코어(60)에는, 고정 수단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70)는, 판형 코어(60)의 위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기둥형 코어체(20)로부터 판형 코어(60)까지의 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부재(70)는,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고, 이 고정 부재(70)에는, 면적이 넓은 플레이트(plate)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71)의 외측의 둘레부에는, 이 둘레부로부터 일어서듯이 플랜지(flange)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72)에 판형 코어(60)의 외주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 판형 코어(60)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플랜지부(72)는, 합계 4개소에 설치되어 있어, 판형 코어(60)의 위치 결정을 확실히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플랜지부(72)의 설치 위치는, 4개소로는 한정되지 않고, 몇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랜지부(72)에 연속하면서 이 플랜지부(72)로부터 고정 부재(70)의 외주축에 꺽여지듯이, 연결 고정부(7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연결 고정부(73)는, 플레이트부(71)와 대략 평행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대략 평행이 아니라도 된다. 연결 고정부(73)에는, 삽통 구멍(73a)이 설치어고 있고, 장척형의 연결 부재를 이 삽통 구멍(73a)에 삽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부재로서는, 환봉(丸棒)의 양단 측에 나사 그루브(thread groove)가 설치된 부재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다른 부재라도 된다. 또한, 삽통 구멍(73a)은 나사구멍은 아니지만, 이 삽통 구멍(73a)은 나사구멍 이라도 된다.
그리고, 윗쪽측(Z1측)의 연결 고정부(73)에 있어서의 삽통 구멍(73a)과 아래쪽 측(Z2측)의 연결 고정부(73)에 있어서의 삽통 구멍(73a)의 위치 맞춤을 실시하고, 연결 부재의 양 단측을 삽통 구멍(73a)에 삽통시키고, 그 후, 너트(nut) 등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하의 고정 부재(70)가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하의 고정 부재(70)의 사이에 위치하는 기둥형 코어체(20), 코일(30), 보빈(40) 및 판형 코어(60)이, 이들 상하의 고정 부재(7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하의 고정 부재(70)는,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아래쪽측(Z2측)의 고정 부재(70)에는, 케이스 고정부(74)도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고정부(74)는, 플레이트부(71)의 외측의 둘레부에 이 둘레부로부터 일어서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고정부(74)는, 케이스(8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고정부(74)는, 플레이트부(71) 중의 연결 고정부(73)와는 다른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고정부(7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180도 간격으로 2개 설치되어 있지만, 몇 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케이스 고정부(74)에는, 나사구멍(7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74a)에, 케이스(80) 측으로부터 나사를 끼워 넣어, 고정 부재(70)와 케이스(80)의 사이가 고정된다. 그러나, 나사구멍(74a) 이외의 관통 구멍(貫通孔)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리액터(10)의 외주측은, 금속제의 케이스(80)에 의해 덮여 있다. 케이스(8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래 쪽(Z2측)의 면이 개방(開放)된 상자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80)는, 2개의 하프 케이스(half case)(81)를 조립함으로써, 상자 모양의 케이스(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80)에는, 나사를 삽통시키는 관통 구멍(82)이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82)은, 고정 부재(70)의 나사구멍(74a)과 위치 맞춤이 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82)에 나사를 끼워 넣고, 이 나사를 고정 부재(70)의 나사구멍(74a)에 체결하여, 케이스(80)가 고정 부재(70)에 고정된다.
또한, 리액터(10)에 있어서는, 이러한 케이스(80)를 설치하지 않고 생략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효과>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리액터(10)는, 한 쌍의 기둥형 코어체(20), 기둥형 코어체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코일(30), 보빈(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빈(40)은, 중심 구멍(40a1)을 형성하기 위한 내주벽(43)과, 이 내주벽(43)보다 외주측에서 내주벽(43)과 대향하고 있는 외주벽(44)과, 내주벽(43)과 외주벽(44)을 연결하는 밑벽(45)을 구비함으로써, 원주형상의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코일(30)을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에 각각 끼워 넣는다. 그리고, 외주벽(44) 중의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가 서로 마주 대하는 부분에는, 보빈(40)의 중앙측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오목 벽부(50)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 벽부(50)는, 적어도 일부의 내주벽(43)보다 보빈(40)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코일(30A, 30B)에 있어서 면이 서로 어긋나거나거나, 에지 와이즈 벤딩(edge wise bending) 부분에서 벤딩 각도가 어긋나는 등과 같이 각도적으로 어긋나는 것을 교정하면서, 하나의 코일(30A)과 다른 하나의 코일(30B)의 사이의 간격을 적정하게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코일(30A, 30B) 간의 거리적인 변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리액터(10)의 특성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리액터(10)에 품질의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코일(30A, 30B)의 사이의 거리적인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이들 한 쌍의 코일(30A, 30B) 간의 절연을 확실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둥형 코어체(20)에는, 이 기둥형 코어체(20)보다 면적이 큰 판형 코어(60)가 축선 방향(Z 방향)의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기둥형 코어체(20)를 끼우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보빈(40)의 밑벽(45) 중의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와는 반대 측에는, 위치 결정 돌기(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돌기(51)는, 판형 코어(60)에 접촉하면서, 판형 코어(60)를 각각의 코일(30)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판형 코어(60)를 코일(30)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 확실히 이격시킬수 있어, 와전류(eddy current) 손실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액터(10)는 금속제의 케이스(80)를 가지고 있고, 이 케이스(80)에 의해, 기둥형 코어체(20), 코일(30) 및 보빈(40)이 덮여 있다. 또한, 보빈(40)의 외주벽(44)에는, 내주벽(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외주 돌기(4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외주 돌기(48)에 의해, 코일(30)을 금속제의 케이스(80)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금속제의 케이스(80)와 코일(30)의 사이에 일정한 거리 이상의 스페이스(space)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금속제의 케이스(80)와 코일(30)이 근접하게 되어, 리액터(10)의 특성에 변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금속제의 케이스(80)와 코일(30)의 사이의 절연을 더 한층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벽(44)의 높이는, 내주벽(43)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기적인 절연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코일(30)의 상하 방향(Z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도, 외주벽(44)의 존재에 의해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주벽(44)의 높이가, 내주벽(43)의 높이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또는 그 이상 높아지는 경우에는, 코일(30)을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에 끼워 넣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외주벽(44)의 높이가 내주벽(43)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일(30)을 제1 환형 홈부(41) 및 제2 환형 홈부(42)에 끼워넣기 쉬워진다. 따라서, 리액터(1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판형 코어(60)보다 축선 방향의 양쪽의 외측(아래측의 판형 코어(60)보다 아래측, 및 윗측의 판형 코어(60)보다 윗측)에는, 각각 고정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형 코어체(20), 코일(30), 보빈(40) 및 판형 코어(60)는, 한 쌍의 고정 부재(70)의 사이에 협지(挾持)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둥형 코어체(20), 코일(30), 보빈(40) 및 판형 코어(60)를 한 쌍의 고정 부재(70)에 의해 협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어, 이들 사이에서 거리적인 변동이 생기는 것을 더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선(角線)으로서 평각선(31)을 이용하여 코일(30)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선은, 평각선(31)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단면이 정방형인 각선이나, 타원 등과 같은 장원 형상의 요소를 포함한 각선이라도 된다. 그 외, 각선에 대신하여, 환선(丸線)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부품의 일종인 리액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코일 부품에 적용해도 된다. 다른 코일부품으로서는, 트랜스(transformer), 코먼모드 초크코일(common mode choke coil), 노멀모드 초크코일(normal mode choke coil)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보빈(40A)을 이용하는 경우와, 보빈(40A)과 보빈(40B)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 외에, 다른 형태의 보빈을 이용하거나, 다른 형태의 보빈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보빈(40A)으로부터 칸막이 벽(49)을 삭제한 형태의 보빈을 한 쌍 이용하거나, 보빈(40A)으로부터 칸박이 벽(49)을 삭제한 형태의 보빈과 함께 보빈(40A)이나 보빈(40B) 중의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환형 홈부로서 제1 환형 홈부(41)와 제2 환형 홈부(42)의 2개의 환형 홈부를 구비하는 보빈(40)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보빈은, 환형 홈부를 2개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환형 홈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코일도 3개 이상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둥형 코어체(20)와 판형 코어(60)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신하여 다른 형태의 코어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둥형 코어체(20)에 대신하여 막대기 모양의 코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판형 코어(60)에 대신하여 막대기 모양의 코어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한 쌍의 고정 부재(7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 부재(70) 이외의 수단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다른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른 형태의 부재를 이용해도 되고, 벨트나 와이어를 이용해도 되고, 또 금속제의 케이스(80)를 고정 수단으로서 대용해도 된다.
10: 리액터, 20: 기둥형 코어체, 21: 코어 부재, 30, 30A, 30B: 코일, 31: 평각선, 32: 단말, 40, 40A, 40B: 보빈, 40a1: 중심 구멍, 41: 제1 환형 홈부, 42: 제2 환형 홈부, 43: 내주벽, 44: 외주벽, 45: 밑벽, 46: 인출부, 47: 안내 벽부, 48: 외주 돌기, 49: 칸막이 벽, 50: 오목 벽부, 51: 위치 결정 돌기, 51a: 맞닿음부, 51b: 테이퍼부, 60: 판형 코어, 70: 고정 부재(고정 수단에 대응), 71: 플레이트부, 72: 플랜지부, 73: 연결 고정부, 73a: 삽통 구멍, 74: 케이스 고정부, 74a: 나사구멍, 80: 케이스, 81: 하프 케이스, 82: 관통 구멍, S1∼S3: 스페이서

Claims (5)

  1. 자성 재료를 재질로 하는 한 쌍의 기둥형 코어체와,
    각각의 상기 기둥형 코어체의 외주측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각선을 둘러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코일과,
    중심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내주벽과, 상기 내주벽보다 외주측에서 이 내주벽과 대향하고 있는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 상기 외주벽을 연결하는 밑벽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원주형상의 제1 환형 홈부(環形溝部) 및 제2 환형 홈부를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코일을 상기 제1 환형 홈부 및 상기 제2 환형 홈부에 각각 끼워넣는 보빈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벽 중의 상기 제1 환형 홈부와 상기 제2 환형 홈부가 서로 마주 대하는 부분에는, 상기 보빈의 중앙측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오목 벽부(凹壁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목 벽부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내주벽보다 상기 보빈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는, 리액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코어체에는, 자성 재료를 재질로 함과 동시에 상기 기둥형 코어체보다 면적이 큰 판형 코어가 기둥형 코어체의 축선 방향의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기둥형 코어체를 끼우도록 적층됨과 동시에,
    상기 밑벽 중의 상기 제1 환형 홈부 및 상기 제2 환형 홈부와는 반대 측에는, 상기 판형 코어에 접촉하면서 상기 판형 코어를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시키는 위치 결정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리액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코어체와 상기 코일과 상기 보빈을 덮는 금속제의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외주벽에는, 상기 내주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외주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주 돌기에 의해, 상기 코일을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는, 리액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의 높이는, 상기 내주벽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리액터.
  5.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판형 코어보다 기둥형 코어체의 축선 방향의 양쪽의 외측에는,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둥형 코어체, 상기 코일, 상기 보빈 및 상기 판형 코어는, 한 쌍의 상기 고정 수단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리액터.
KR1020160158619A 2015-11-25 2016-11-25 리액터 KR101883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9733 2015-11-25
JP2015229733A JP6668705B2 (ja) 2015-11-25 2015-11-25 リアクト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095A KR20170061095A (ko) 2017-06-02
KR101883415B1 true KR101883415B1 (ko) 2018-07-30

Family

ID=5738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619A KR101883415B1 (ko) 2015-11-25 2016-11-25 리액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74075B1 (ko)
JP (1) JP6668705B2 (ko)
KR (1) KR101883415B1 (ko)
CN (1) CN106803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7797B (zh) * 2018-04-26 2024-05-3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变压器及微波烹饪电器
JP6899078B2 (ja) * 2018-06-05 2021-07-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
JP7205807B2 (ja) * 2018-11-15 2023-0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
JP7041087B2 (ja) 2019-03-14 2022-03-2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端板を備えたリアクトル
JP7264740B2 (ja) * 2019-06-20 2023-04-2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外周部鉄心を含むコア本体、そのようなコア本体を含むリアクトルおよび製造方法
CN113833894B (zh) * 2020-06-23 2024-05-03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线圈装置及其燃气阀
CN111817303B (zh) * 2020-08-27 2020-12-22 北京金晟达生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电网电能质量的电路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220A (ja) 2008-03-31 2009-10-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およびリアクトル用ボビン
JP2013191892A (ja) 2013-07-01 2013-09-26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及びコンバータ
JP2015103627A (ja) 2013-11-22 2015-06-04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79A (ko) 1974-06-29 1976-01-16 Nippon Electric Co
JP4514031B2 (ja) * 2003-06-12 2010-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製造方法
JP2006041353A (ja) * 2004-07-29 2006-02-09 Toyota Motor Corp リアクトルの放熱構造
JP4331122B2 (ja) * 2005-02-28 2009-09-16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リアクトル
JP2008098209A (ja) * 2006-10-05 2008-04-24 Tamura Seisakusho Co Ltd コイルの絶縁構造
JP2009259985A (ja) * 2008-04-16 2009-11-05 Tamura Seisakusho Co Ltd 電子部品
JP5344158B2 (ja) * 2009-04-09 2013-11-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アクトル、リアクトル用のボビン、及びコンバータ
JP5893505B2 (ja) * 2012-05-15 2016-03-23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
JP5881015B2 (ja) * 2012-12-28 2016-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コンバータ、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6301811B2 (ja) * 2013-11-22 2018-03-2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リアクトル
JP6274511B2 (ja) * 2014-01-06 2018-02-07 株式会社西本合成販売 リアクトル用コイルボビン兼巻鉄心ホルダー及びリアクトル
JP6292398B2 (ja) * 2014-05-07 2018-03-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220A (ja) 2008-03-31 2009-10-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およびリアクトル用ボビン
JP2013191892A (ja) 2013-07-01 2013-09-26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及びコンバータ
JP2015103627A (ja) 2013-11-22 2015-06-04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03458A (zh) 2017-06-06
CN106803458B (zh) 2018-06-08
JP2017098426A (ja) 2017-06-01
KR20170061095A (ko) 2017-06-02
EP3174075A1 (en) 2017-05-31
JP6668705B2 (ja) 2020-03-18
EP3174075B1 (en)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415B1 (ko) 리액터
KR101876226B1 (ko)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 및 그 제조방법
JP5711327B2 (ja) 変圧器
EP3159903B1 (en) Resonant high current density transformer
US8508322B2 (en) Magnetic element
US9564267B2 (en) Magnetic element and bobbin assembly thereof
JP5151431B2 (ja) 絶縁トランス
US8791786B2 (en) Coil device
US9030284B2 (en) Combined structure of hollow bobbin and conductive sheet, hollow bobbin, and conductive sheet
US9076582B2 (en) Magnetic component and bobbin thereof
JPH11122855A (ja) ステータ用コイルボビンと電動機
KR102145856B1 (ko) 변압 장치
JP2012164914A (ja) トランス
CN109285661B (zh) 线圈装置
CN109585137B (zh) 线圈装置
US6744168B2 (en) Stator and stator manufacturing method
WO2010098029A1 (ja) 変圧器および変圧器の組み立て方法
JP6641236B2 (ja) コイル部品
JP2012216579A (ja) ボビン
JP5729405B2 (ja) コイル部品
US20140375410A1 (en) Transformer, magnetic core and bobbin thereof
EP2680282A1 (en) Transformer
JP6974580B2 (ja) コイル部品
JP2008066539A (ja) トランス用ボビン及びトランス
JP6820893B2 (ja) コイル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