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437B1 -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437B1
KR101475437B1 KR1020130032612A KR20130032612A KR101475437B1 KR 101475437 B1 KR101475437 B1 KR 101475437B1 KR 1020130032612 A KR1020130032612 A KR 1020130032612A KR 20130032612 A KR20130032612 A KR 20130032612A KR 101475437 B1 KR101475437 B1 KR 10147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wiring pattern
insulating paper
second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835A (ko
Inventor
김학신
육영호
남성만
박병황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3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03Printed circuit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6Details of formers and pin terminals related to mounting o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14Printed windings with only part of the coil or of the winding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the remaining coil or winding sections can be made of wires or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상기 1차 코일이 형성된 제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페이퍼; 및 상기 제1 절연페이퍼의 상측으로 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1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종래 코일을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설계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과 트랜스포머를 안정되게 결합하기 위한 핀 배열이 필요 없이 코일이 인쇄회로기판과 일체로서 제작됨으로써 부품을 소형화하고 작업 공정을 간편화하면서 동시에 균일한 성능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manufactured by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형 및 경량화를 구현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포머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더 높이거나 낮추는 데 사용되는 전자부품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랜스포머의 정면도이다. 일반적인 트랜스포머(10)는 보빈(12)에 코일을 감고 중심에 코어(11)가 일체로 결합되며, 보빈의 하부에는 다수의 (13)핀이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보빈(12)에는 일차코일과 이차코일을 감는데 일차코일에 감은 수를 N1, 걸린 전압을 일차전압 V1이라고 하고 이차코일에 감은 수를 N2, 일차전압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이차전압 V2라고 한다.
이때 이차전압 V2의 크기는 수학식 1과 같이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라 코일의 감은 수의 상대적인 비율에 의해 정해진다.
Figure 112013026375720-pat00001
열 손실을 무시한다면 에너지는 보존되므로 일차코일로 들어간 전력은 이차코일로 나가는 전력과 같다.
보빈(12)의 하부에 있는 핀(13)들은 트랜스포머가 이용되는 각종 전자 제품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코어(11)를 중심으로 양분되어 상호 대칭하면서도 동일한 방향의 핀(13)들은 일자형으로 배열된다.
트랜스포머는 각종 전자 제품의 전원단에 이용되므로 전기적으로 매우 안정된 특성을 가져야 하며, 소형 및 경량화되고 있는 전자 제품의 발전 방향에 맞추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전기적 특성과 소형 및 경량화를 위해 그 구조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시도 및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제조에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부품을 소형화하고 작업 공정을 간편화하면서도 균일한 성능의 제품 생산이 가능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본 트랜스포머는 상기 1차 코일이 형성된 제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페이퍼; 및 상기 제1 절연페이퍼의 상측으로 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1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코일은 제1 인쇄회로기판에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에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선패턴 및 상기 제2 배선패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는 양측단부가 각각 절곡된 절곡부들과, 중앙영역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절곡부들의 단부 각각이 관통되어 조립되기 위한 측면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 1 절연페이퍼의 양측단들 각각은 상기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의 중앙영역들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도록 중앙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코일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은 상기 제1 배선패턴 및 제2 배선패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본 트랜스포머는 상기 1차 코일이 형성된 제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페이퍼; 상기 제1 절연페이퍼의 상측으로 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1 코어;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3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3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절연페이퍼; 및 상기 제2 절연페이퍼의 하측으로 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제1 코어에 연결되는 제2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2차 코일과 상기 제3 인쇄회로기판의 2차 코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코일은 제1 인쇄회로기판에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과 제3 인쇄회로기판에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선패턴 및 상기 제2 배선패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는 양측단부가 각각 절곡된 절곡부들과, 중앙영역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절곡부들의 단부 각각이 관통되어 조립되기 위한 측면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제3 인쇄회로기판, 제1 절연페이퍼 및 제2 절연페이퍼의 양측단들 각각은 상기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제3 인쇄회로기판, 제1 절연페이퍼 및 제2 절연페이퍼의 중앙영역들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도록 중앙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코일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3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은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코일의 구조 및 기능을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설계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과 트랜스포머를 안정되게 결합하기 위한 핀 배열이 필요 없이, 코일이 인쇄회로기판과 일체로서 제작됨으로써 부품을 소형화하고 작업 공정을 간편화하면서 동시에 균일한 성능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 생산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랜스포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1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2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변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이 형성된 제1 인쇄회로기판(110), 제1 인쇄회로기판(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2차 코일이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120), 제2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페이퍼(130), 제1 코어(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코어(140)는 제1 절연페이퍼(130)의 상측으로 부터 제1 인쇄회로기판(110), 제2 인쇄회로기판(120) 및 제1 절연페이퍼(130)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어(140)는 양측단부가 각각 절곡된 절곡부들과, 중앙영역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110)은 절곡부들의 단부 각각이 관통되어 조립되기 위한 측면홀들(114)을 구비하고, 제2 인쇄회로기판(120) 및 제1 절연페이퍼(130)의 양측단들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110), 제2 인쇄회로기판(120) 및 제1 절연페이퍼(130)의 중앙영역들 각각에는 돌출부(145)가 관통되도록 중앙홀들(116,126, 13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1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2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1차 코일은 제1 인쇄회로기판(110)에 원형의 제1 배선패턴(112)으로 형성되고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120)에 원형의 제2 배선패턴(122)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1 코어(140)의 돌출부(145)에 대응되는 중앙홀(116, 126)은 제1 배선패턴(112) 및 제2 배선패턴(122)의 중심에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트랜스포머(100)는 제1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로서, 도 7과 같이 2개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대량 생산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에 대해 설명한다. 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1차 코일이 형성된 제1 인쇄회로기판(210), 제1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2차 코일이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220), 제2 인쇄회로기판(2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페이퍼(230) 및 제1 코어(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제1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3 인쇄회로기판(250), 제3 인쇄회로기판(2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절연페이퍼(260) 및 제2 코어(270)를 포함한다.
제1 코어(240)는 제1 절연페이퍼(230)의 상측으로 부터 제1 인쇄회로기판(210), 제2 인쇄회로기판(220) 및 제1 절연페이퍼(230)를 관통하여 조립되며, 제2 코어(270)는 제2 절연페이퍼(260)의 하측으로 부터 제1 인쇄회로기판(210), 제3 인쇄회로기판(250) 및 제2 절연페이퍼(260)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제1 코어(240)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인쇄회로기판(210)을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제2 인쇄회로기판(220)의 2차 코일과 제3 인쇄회로기판(250)의 2차 코일을 연결함으로써 2차 코일의 권선 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2차 코일의 연결은 납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1차 코일은 제1 인쇄회로기판(210)에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220)과 제3 인쇄회로기판(250)에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어(240) 및 제2 코어(270)는 양측단부가 각각 절곡된 절곡부들과, 중앙영역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75)를 구비하고, 제1 인쇄회로기판(210)은 절곡부들의 단부 각각이 관통되어 조립되기 위한 측면홀들(214)을 구비하고, 제2 인쇄회로기판(220), 제3 인쇄회로기판(250), 제1 절연페이퍼(230) 및 제2 절연페이퍼(260)의 양측단들 각각은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 되도록 형성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210), 제2 인쇄회로기판(220), 제3 인쇄회로기판(250), 제1 절연페이퍼(230) 및 제2 절연페이퍼(260)의 중앙영역들 각각에는 돌출부(275)가 관통되도록 중앙홀들(216, 226, 236, 256, 266)이 형성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도 5에 도시된 1차 코일의 배선패턴이 설계되어 있는 제1 인쇄회로기판(210) 위에 도 6에 도시된 2차 코일의 배선패턴(226)이 설계되어 있는 제2 인쇄회로기판(220)을 배치시킨다.
또한 2차 코일의 권선 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1 인쇄회로기판(210) 아래쪽에도 동일한 제2 인쇄회로기판(220)과 동일하게 2차 코일의 배선패턴이 설계되어 있는 제3 인쇄회로기판(250)을 배치시킨다.
그리고 납땜을 통해서 제1 인쇄회로기판(210)의 위 아래에 배치된 제2 인쇄회로기판(220)의 2차 코일의 배선패턴과 제3 인쇄회로기판(250)의 2차 코일의 배선패턴을 연결한다.
또한 제2 인쇄회로기판(220)의 상부에 제1 절연페이퍼(230)를 배치하고, 제3 인쇄회로기판(250)의 하부에 제2 절연페이퍼(260)를 배치한 후, 제1 코어(240)와 제2 코어(270)를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코어를 중심으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감긴 형태의 트랜스포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포머(100, 200)는 코일을 감는 것을 대신하여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설계를 이용함으로써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과 트랜스포머를 안정되게 결합하기 위한 핀 배열이 필요 없이, 코일이 인쇄회로기판과 일체로서 제작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100: 트랜스포머
110: 제1 인쇄회로기판
112: 제1 배선패턴
114: 측면홀
116: 중앙홀
120: 제2 인쇄회로기판
122: 제2 배선패턴
126: 중앙홀
130: 제1 절연페이퍼
136: 중앙홀
140: 제1 코어
145: 돌출부
200: 트랜스포머
210: 제1 인쇄회로기판
214: 측면홀
216: 중앙홀
220: 제2 인쇄회로기판
226: 중앙홀
230: 제1 절연페이퍼
236: 중앙홀
240: 제1 코어
250: 제3 인쇄회로기판
256: 중앙홀
260: 제2 절연페이퍼
266: 중앙홀
270: 제2 코어
275: 돌출부

Claims (10)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이 형성된 제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페이퍼; 및
상기 제1 절연페이퍼의 상측으로 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1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제1 코어가 조립되며,
상기 1차 코일은 제1 인쇄회로기판에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에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패턴 및 상기 제2 배선패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는 양측단부가 각각 절곡된 절곡부들과, 중앙영역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절곡부들의 단부 각각이 관통되어 조립되기 위한 측면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 1 절연페이퍼의 양측단들 각각은 상기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의 중앙영역들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도록 중앙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은 상기 제1 배선패턴 및 제2 배선패턴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이 형성된 제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페이퍼;
상기 제1 절연페이퍼의 상측으로 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1 코어;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코일이 형성된 제3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3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절연페이퍼; 및
상기 제2 절연페이퍼의 하측으로 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1 절연페이퍼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제1 코어에 연결되는 제2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2차 코일과 상기 제3 인쇄회로기판의 2차 코일이 연결되며,
상기 1차 코일은 제1 인쇄회로기판에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과 제3 인쇄회로기판에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1차 코일은 제1 인쇄회로기판에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에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삭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패턴 및 상기 제2 배선패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는 양측단부가 각각 절곡된 절곡부들과, 중앙영역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절곡부들의 단부 각각이 관통되어 조립되기 위한 측면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제3 인쇄회로기판, 제1 절연페이퍼 및 제2 절연페이퍼의 양측단들 각각은 상기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인쇄회로기판, 제3 인쇄회로기판, 제1 절연페이퍼 및 제2 절연페이퍼의 중앙영역들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도록 중앙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1 배선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제3 인쇄회로기판에 원형의 제2 배선패턴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은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1020130032612A 2013-03-27 2013-03-27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KR10147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612A KR101475437B1 (ko) 2013-03-27 2013-03-27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612A KR101475437B1 (ko) 2013-03-27 2013-03-27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35A KR20140117835A (ko) 2014-10-08
KR101475437B1 true KR101475437B1 (ko) 2014-12-30

Family

ID=5199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612A KR101475437B1 (ko) 2013-03-27 2013-03-27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94B1 (ko) 2015-01-15 2016-07-25 (주)코러싱 적층체를 이용한 트랜스포머용 코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4092B1 (ko) 2015-05-21 2016-10-14 (주)코러싱 코일 조립형 트랜스포머
KR102486164B1 (ko) 2017-12-18 2023-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면 변압기의 냉각 구조
KR102169820B1 (ko) * 2018-01-30 2020-10-26 엘에스일렉트릭(주) 복층 인쇄회로기판 구조의 영상 변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024A (ja) * 1993-10-15 1995-05-02 Yoshimura Denki Kk 電源トランス
JP2000091138A (ja) * 1998-09-08 2000-03-31 Sharp Corp シート型トラン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型トランスを含むスイッチング電源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024A (ja) * 1993-10-15 1995-05-02 Yoshimura Denki Kk 電源トランス
JP2000091138A (ja) * 1998-09-08 2000-03-31 Sharp Corp シート型トラン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型トランスを含むスイッチング電源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35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132B1 (ko)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TWI389147B (zh) 導電繞組及應用該導電繞組之磁性元件
JP6572871B2 (ja) トランス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107437885B (zh) 电源模块及电源装置
US9728319B2 (en) Coil part
US9437360B2 (en) Structure of transformer
JP5215761B2 (ja) トランス
CN103311053B (zh) 电磁继电器
KR101475437B1 (ko)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US20150364245A1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EP3026681A1 (en) Compact twin-shaft bobbin structure
KR20200072606A (ko) 평면형 트랜스포머
KR20170022670A (ko) 트랜스포머
US9514726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s and methods of making
JP2003017334A (ja) コンバータトランス
TWI575542B (zh) Detachable transformer
KR101858117B1 (ko) 이중 나선형 트랜스포머
KR102579295B1 (ko)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변압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90003B1 (ko) 트랜스포머
KR101649350B1 (ko) 토로이달 코일의 결합형 베이스 및 그것을 사용한 토로이달 코일장치
CN112185655B (zh) 薄型谐振变压器漏感调整结构
JP2015135854A (ja) 可変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52174B1 (ko) 코일 부품
KR20100137279A (ko) 고주파 변압기 및 그 보빈
KR20190014727A (ko) 듀얼 코어 평면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