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174B1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174B1
KR102352174B1 KR1020150055552A KR20150055552A KR102352174B1 KR 102352174 B1 KR102352174 B1 KR 102352174B1 KR 1020150055552 A KR1020150055552 A KR 1020150055552A KR 20150055552 A KR20150055552 A KR 20150055552A KR 102352174 B1 KR102352174 B1 KR 10235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lat
bobbin
coils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622A (ko
Inventor
엄재근
김동중
장세훈
김돈식
최흥균
박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5005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1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며 소형화가 가능한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어, 상호 적층되며 상기 코어와 결합하는 제1, 제2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코일부는 적층 기판 또는 평각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기술은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코일 부품은 일반적으로 코어, 보빈, 권선 등을 포함한다.
코일 부품은, 부품 수는 적지만, 권선과 코어 사이, 그리고 1차측과 2차측 사이의 안전 규격(절연 거리 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소형화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 및 공정이 부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코일 부품의 소형화 및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한 새로운 구조의 코일 부품을 제공한다.
미국특허공보 제74989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한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1 코일부가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 공간과, 제2 코일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수용 공간이 교호로 배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서로 형상이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1 평각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평각 코일을 포함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2 코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평각 코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코일부를 보빈 내에 삽입하고, 보빈의 권선 공간에 제1 코일부를 권선한다. 따라서 모든 코일을 보빈에 직접 권선해야 하는 종래에 비해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제2 코일부를 단위 길이당 표면적이 큰 평각 코일로 구성하므로, 고용량의 전류가 인가되는 전원 공급 장치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코일의 발열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평각 코일이 부분적으로 보빈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평각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더하여, 형상이 다른 2개의 평각 코일을 이용하므로, 평각 코일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평각 코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의 도체 패턴 길이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각 코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빈에 제1 코일부가 권선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기술이나 본 개시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개시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는 코어(10), 제1 코일부(20), 제2 코일부(30), 보빈(60), 및 기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10)는 중족(122)과 2개의 외족(124)을 갖는 EE 형 코어일 수 있으며, 서로 대응되는 제1 코어부(12)와 제2 코어부(13)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코어(10)를 완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10)는 중족(122)이 제1 코일부(20)와 제2 코일부(30)의 중심을 관통하며 제1, 제2 코일부(20, 3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10)의 단면 형상이 E 자 형상의 EE 형 코어를 도시하고 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10)는 EI 형 코어, UU 형 코어, UI 형 코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10)의 재질은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1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코어(10)와 보빈(6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부재(15)가 개재될 수 있다. 절연 부재(15)는 절연 테이프나 절연 필름 등의 절연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절연 부재(15)는 보빈(60)의 관통공(61)에 삽입되고, 코어(10)의 중족(122)과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15)는 관 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코어(10)의 중족(122)을 수용하는 형태로 코어(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코일부(20)는 후술되는 보빈(60)의 권선 공간(62)에 권선된다.
제1 코일부(20)는 와이어 형태의 절연 코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 개의 개별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개별 코일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코일로 이용될 수 있고, 병렬로 연결되거나, 필요에 따라 서로 독립적인 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코일부(20)의 개별 코일들은 후술되는 제2 코일부(30)의 평각 코일들(30a, 30b)과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부(20)와 제2 코일부(30)는 교호로 배치되는 샌드위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20)를 구성하는 코일은 다중 절연 코일(예컨대 TIW, Triple Insulated Wire)이나 통상의 절연 코일(예컨대, 폴리우레탄 와이어, polyurethane wire)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코일들은 각각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한 연선(예컨대, 리쯔 와이어, Ritz Wire)가 이용될 수도 있다.
제2 코일부(30)는 납작한 형태의 평각 코일(30a, 30b)이 이용될 수 있다. 평각 코일(30a, 30b)은 금속 재질의 평각선(flat type wire)이나 평각 동선(flat type copper wire)을 코일 형태로 형성한 도체로, 전체가 도전체로 형성된 도체 평각선이거나, 외부면에 절연 피복이 형성된 절연 평각선일 수 있다.
평각 코일(30a, 30b)은 후술되는 코일 형상을 갖는 코일 영역(31)과, 코일 영역(3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단자 핀의 기능을 수행하는 리드들(32)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각 코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도 6b는 제1 평각 코일과 제2 평각 코일을 하나씩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각 코일(30a, 30b)은 형상이 다른 제1 평각 코일(30a)과 제2 평각 코일(30b)을 포함한다.
제1 평각 코일(30a)은 코일 영역(31)에서 코일의 최종 턴이 완성된 후 리드(32)가 형성된다. 반면에 제2 평각 코일(30b)은 코일의 최종 턴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드(3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평각 코일(30a)은 코일 영역(31)에서 2턴이 완전히 형성한 후, 외부로 인출되어 리드(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평각 코일(30b)은 코일 영역에서 2턴이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리드(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평각 코일(30a)과 제2 평각 코일(30b)은 리드(32)가 인출되는 위치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또한 각 평각 코일들(30a, 30b)은 리드들(32)이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리드들(32)이 이격되는 거리는 모든 평각 코일(30a, 30b)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평각 코일(30a)은 상기한 이격 거리만큼 코일 영역(31)에 턴이 추가되고, 제2 평각 코일(30b)은 상기한 이격 거리만큼 코일 영역(31)에 턴이 부족하게 된다.
그러나, 제1 평각 코일(30a)의 일단과 제2 평각 코일(30b)의 일단을 연결하는 경우, 제1 평각 코일(30a)에서 추가된 부분이 제2 평각 코일(30b)에서 모자란 부분을 보완하게 되므로, 하나의 제1 평각 코일(30a)과 하나의 제2 평각 코일(30b)은 전체적으로 완전한 4턴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평각 코일들(30a, 30b)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30)는 2차측 코일, 제1 코일부(20)는 1차측 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제1 코일부(20)를 2차측 코일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보빈(60)은 코일 부품(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한다. 보빈(6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6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6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60)은 제2 코일부(30)를 내부에 수용하며 제2 코일부(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제1 코일부(20)와 제2 코일부(30)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며, 동시에 제2 코일부(30)와 코어(10)와의 절연도 확보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빈에 제1 코일부가 권선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60)은 코일이 권선되는 다수의 권선 영역(62)과, 권선 영역들(62)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수용 영역들(68), 그리고 베이스(69)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권선 영역들(62)은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63)와, 몸체부(63)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3)의 내부에는 코어(10)의 중족부(122)가 삽입되는 관통공(61)이 형성된다.
이러한 권선 영역들(62)에는 제1 코일부(20)가 배치된다. 즉, 절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제1 코일부(20)는 권선 영역들(62)의 몸체부(63) 외주면에 권선된다.
이때, 각각의 권선 영역들(62)에 권선되는 제1 코일부(20)의 각 개별 코일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 수용 영역들(68)은 권선 영역들(62) 사이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코일 수용 영역들(68)은 권선 영역(62)의 경계를 형성하는 두 개의 플랜지부(65)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수용 영역들(68)을 구분하는 두 개의 플랜지부(65) 사이에는 몸체부(63)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몸체부(63)의 유무에 따라 권선 영역(62) 또는 코일 수용 영역(68)으로 구분될 수 있다.
코일 수용 영역(68)은 평각 코일(30a, 30b)이 삽입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각각의 코일 수용 영역(68)은 평각 코일(30a, 30b)의 외형에 대응하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각 코일(30a, 30b)이 코일 수용 영역(68)에 수용되는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각 코일(30a, 30b)의 리드들(32)은 보빈(60)의 하부로 돌출된다.
또한 코일 수용 영역(68)은 평각 코일(30a, 30b)의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부(20)와 제2 코일부(30)가 보빈(60)에 결합되면, 제1 코일부(20)와 제2 코일부(30)의 외주면은 모두 보빈(6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69)는 권선 영역(62)과 코일 수용 영역(68)의 하부에 배치되어 권선 영역(62)과 코일 수용 영역(68)을 일체로 형성한다.
베이스(69)는 보빈(60)을 기판(8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베이스(69)는 권선 영역(62)과 코일 수용 영역(68)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보빈(60)을 기판(80)에 안정적으로 고정 안착시킬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빈(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빈(60a)과 제2 보빈(6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보빈(60a)과 제2 보빈(60b)은 상호 결합되어 보빈(60)를 완성한다.
제1 보빈(60a)과 제2 보빈(60b)은 서로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빈(60a)과 제2 보빈(60b)은 보빈(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보빈(60)을 분할함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보빈(60)을 제1 보빈(60a)과 제2 보빈(60b)으로 분할함에 따라, 평각 코일(30a, 30b)인 제2 코일부(30)를 용이하게 보빈(60)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제1 보빈(60a)과 제2 보빈(60b)의 코일 수용 공간(68)에 평각 코일(30a, 30b)을 삽입 배치한 후, 제1 보빈(60a)과 제2 보빈(60b)을 결합하여 보빈(60)을 완성하고, 완성된 보빈(60)의 권선 공간(62)에 제1 코일부(20)를 권선한다.
그리고 코어(10)를 보빈(60)에 결합한 후, 보빈(60)을 기판(80)에 실장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보빈(60)은 기판(80) 상에 안착되며, 보빈(60)의 하부로 돌출된 평각 코일(30a, 30b)의 리드들(32)은 기판(80)에 형성된 삽입 구멍(85)에 삽입되어 기판(80)에 형성된 접합 패드(도 9의 87)에 접합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각 코일(30a, 30b)은 기판(8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기판(80)에는 평각 코일(30a, 30b)의 리드들(3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체 패턴(8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80)은 일반적인 PCB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 기판과 같은 연성 기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세라믹 기판이나 유리 기판 등 도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판이라면 다양한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80)을 메인 기판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80) 상에 코일 부품(100)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들을 실장하여 전자 기기(예컨대 전원 공급 장치)의 메인 기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부품(100)을 위한 별도의 기판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 및 제조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80)은 4개의 평각 코일들(30a, 30b)의 일측에 배치되는 리드들(32)을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일직선(P) 상에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리드들(32)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만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리드들(32)이 일렬로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배치된다면 도체 패턴(85)도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도체 패턴(85)이 형성되는 영역도 확장되어야 하며, 도체 패턴이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저항이 커지므로 많은 열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기판(80)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코일 부품(100)과 연결되는 다른 전자 소자들이 코일 부품(100)과 매우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부품(100)과 전자 소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이를 연결하는 도체 패턴(85)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2개의 평각 코일(30a, 30b)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평각 코일들(30a, 30b)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매우 용이해지고, 구성이 단순해지며 실장 영역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개의 평각 코일(30a, 30b)을 서로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첫번째 평각 코일(30a)의 리드(32)와 두번째 평각 코일(30b)의 리드(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그런데, 동일한 형상을 갖는 평각 코일들(예컨대 제1 평각 코일)만을 이용하는 경우,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두번째 평각 코일의 리드(L3)는 첫번째 평각 코일(30a)의 리드(L1)와의 거리(D2)가 매우 확장된다. 따라서 이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2개의 평각 코일(30a, 30b) 사이를 가로지르거나 첫번째 평각 코일(30a)의 외측으로 우회하는 연결 경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체 패턴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평각 코일(30a, 30b)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첫번째 평각 코일(30a)의 리드(L1)와 두번째 평각 코일(30b)의 리드(L2) 사이의 거리(D1)가 매우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적인 연결 경로도 매우 짧게 형성되며 이에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리드들(L1, L2) 간의 전기적은 연결 경로는 기판(80)의 도체 패턴(85)을 이용하므로, 기판(80)의 도체 패턴(85)들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코일 부품(100)이 차지하는 기판(80)의 실장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코일부를 보빈 내에 삽입하여 보빈을 완성한 후, 보빈의 권선 공간에 제1 코일부를 권선한다. 따라서 모든 코일을 보빈에 직접 권선해야 하는 종래에 비해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제2 코일부를 단위 길이당 표면적이 큰 평각 코일로 구성하므로, 고용량의 전류가 인가되는 전원 공급 장치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코일의 발열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평각 코일이 부분적으로 보빈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평각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더하여, 형상이 다른 2개의 평각 코일을 이용하므로, 평각 코일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평각 코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의 도체 패턴 길이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코일 부품
10: 코어
20: 제1 코일부
30: 제2 코일부
40: 적층 기판
50: 평각 코일
60: 보빈

Claims (15)

  1. 제1 코일부가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 공간과, 제2 코일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수용 공간이 교호로 배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코일부는,
    다수의 평각 코일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평각 코일은 코일 형상을 갖는 코일 영역이 상기 코일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코일 수용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고, 형상이 상이한 2개의 평각 코일이 교호로 배치되며,
    상기 형상이 상이한 2개의 평각 코일의 양단들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형상이 상이한 2개의 평각 코일은, 서로 형상이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1 평각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평각 코일을 포함하며,
    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평각 코일의 제1 일단과 상기 제2 평각 코일의 제3 일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평각 코일의 제2 일단과 상기 제2 평각 코일의 제4 일단 사이의 거리와 다른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공간은,
    관 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는,
    상기 권선 공간에 권선되는 절연 와이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각 코일은, 코일의 최종 턴이 완성된 평각 코일이며,
    상기 제2 평각 코일은, 코일의 최종 턴이 완성되지 않은 평각 코일인 코일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결합되어 다수의 상기 평각 코일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을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가 실장되어 전자 기기의 메인 기판으로 이용되는 코일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코어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코어와 상기 제2 코일부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는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권선 공간과 상기 코일 수용 공간을 일체로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11. 서로 형상이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1 평각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평각 코일을 포함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2 코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평각 코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평각 코일은,
    각각 코일 형상을 갖는 코일 영역과, 상기 코일 영역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며,
    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평각 코일의 제1 리드와 상기 제2 평각 코일의 제3 리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평각 코일의 제2 리드와 상기 제2 평각 코일의 제4 리드 사이의 거리와 다른 코일 부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각 코일은,
    상기 제1 평각 코일과 상기 제2 평각 코일은 상기 리드가 인출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코일 부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각 코일들 중 적어도 2개는,
    제1 평각 코일의 리드들과, 제2 평각 코일들의 리드들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리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각 코일들은,
    다수의 리드들 중,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리드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제1, 제2 평각 코일들의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코일 부품.
KR1020150055552A 2015-04-20 2015-04-20 코일 부품 KR10235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52A KR102352174B1 (ko) 2015-04-20 2015-04-20 코일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52A KR102352174B1 (ko) 2015-04-20 2015-04-20 코일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22A KR20160124622A (ko) 2016-10-28
KR102352174B1 true KR102352174B1 (ko) 2022-01-18

Family

ID=5724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552A KR102352174B1 (ko) 2015-04-20 2015-04-20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3096B (zh) * 2022-06-25 2022-10-21 深圳市万志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漏电功能的电子变压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9807A (ja) * 2013-05-24 2014-12-0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トランスおよびトランス用ボビ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42A (ja) * 1997-06-18 1999-01-12 Tokin Corp 電子部品
JP3484971B2 (ja) * 1998-03-19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TW200917292A (en) 2007-10-05 2009-04-16 Acbel Polytech Inc Transformer and composition stru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9807A (ja) * 2013-05-24 2014-12-0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トランスおよびトランス用ボビ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22A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677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CN109935448B (zh) 线圈装置
US874933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88797B1 (ko)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150364245A1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CN104599823A (zh) 线圈部件
KR101913172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US20120320504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948350B2 (en) Coil component
KR102204749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0339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7489B1 (ko)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44261A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US20040113739A1 (en) Low profile transformer
KR102352174B1 (ko) 코일 부품
KR20160042559A (ko) 코일 부품
KR20160042560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H1154345A (ja) トランス
KR101656013B1 (ko) 코일 부품
US10971298B2 (en) Passive component structure
KR101629890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1690251B1 (ko) 코일 부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1367951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1647404B1 (ko) 코일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