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339B1 -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339B1
KR101610339B1 KR1020140155587A KR20140155587A KR101610339B1 KR 101610339 B1 KR101610339 B1 KR 101610339B1 KR 1020140155587 A KR1020140155587 A KR 1020140155587A KR 20140155587 A KR20140155587 A KR 20140155587A KR 101610339 B1 KR101610339 B1 KR 10161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ductor pattern
terminal
core
terminal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근
장세훈
노영승
정낙준
박근영
최흥균
천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4015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코일 부품을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1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코일부;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1, 제2 코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제2 코일부에 결합되는 코어; 및 상기 제2 도체 패턴을 내부에 매립하며 상기 제2 도체 패턴과 상기 제1 도체 패턴과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코일 부품을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나 어댑터와 같은 전자 기기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전원공급장치는 기본적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코일 부품 즉 트랜스포머가 탑재되는데,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일반적으로 보빈에 코일이 권선되고, 코어가 보빈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코일 부품은 기본적으로 보빈에 와이어 형태의 코일이 권선되므로 보빈의 크기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코일 부품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또한 코일부품을 소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1차, 2차 간에 절연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1354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이면서도 AC/DC 변압이 가능한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1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코일부;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1, 제2 코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제2 코일부에 결합되는 코어; 및 상기 제2 도체 패턴을 내부에 매립하며 상기 제2 도체 패턴과 상기 제1 도체 패턴과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제조 방법은, 제1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제1 코일부와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제2 코일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코일부가 몰드부 내에 매립된 코일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 조립체와 제1 코일부를 상호 적층하며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코일 조립체를 관통하며 코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보빈에 권선되지 않고 적층 기판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코일 부품의 크기와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를 통해 1, 2차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이면서 AC/DC 변압이 가능한 코일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일 조립체의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일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
도 5은 도 3에 도시된 제2 코일부의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TV 에 탑재되는 전원공급장치에 구비되거나, 충전 어댑터 등에 탑재되는 코일 부품으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코어(80), 코일부(10), 및 절연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어(80)는 후술되는 코일부(10)에 결합되며, 제1, 제2 코어(81, 86)가 결합되어 완성된 하나의 코어(8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제2 코어(81, 86)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부(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족부와 외측에 배치되는 외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8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80)는 단면 형상이 E 자 형상의 E-E형 코어로 도시되어 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코어(80)는 E-I형, U-U 형, U-I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코어(8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80)는 니켈(Ni)계 페라이트나 망간(Mn)계 페라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80)는 제1 코일부(2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부(20)가 1차측으로 이용되는 경우, 코어(80)도 1차측 부품으로 구분되어 2차측인 제2 코일부(30)와는 절연 거리 및 연면 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연 부재(60)를 구비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코일부(10)는 제1 코일부(20)와 제2 코일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일 조립체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일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코일부(20)는 도체 패턴(24)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층이 적어도 하나 적층된 적층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체 패턴(24)은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 패턴일 수 있으며, 소정의 턴수를 가지는 인덕터 패턴일 수 있다.
또한 패턴층들 사이에는 절연층이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 기판이나 세라믹 기판, 유리 기판 등 절연층 상에 도체 패턴(24)이 형성되는 기판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패턴층이 다수의 층으로 구현되는 경우, 적층 기판 내에는 다수의 패턴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비아(2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층 기판의 측면을 통해 패턴층들을 서로 연결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기판은 패턴층이 3층 이상의 다층으로 적층되는 다층 적층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패턴층에는 제2 도체 패턴(24)을 이루는 다수의 코일 턴(turn)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코일 턴은 여러 패턴층에 각각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부(20)의 적층 기판 내부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된다. 관통공(21)에는 후술되는 코어(10)의 중족이 삽입된다. 따라서 관통공(21)은 코어(10)의 중족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부(20)는 제1 단자 핀(29)이 체결되는 단자 구멍(26)과, 도전성 비아(28)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구멍(26)과 도전성 비아(28)는 도체 패턴(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 구멍(26)은 적층 기판의 외곽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 구멍(26)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적층 기판의 일측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단자 구멍(26)에는 후술되는 제1 단자 핀(29)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단자 핀(29)에 의해, 제1 코일부(20)는 메인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구멍(26) 내부나 주위에는 제1 단자 핀(2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비아(28)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도체 패턴들(24)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제1 코일부(20)의 코일 패턴은 도체 패턴(24)과 도전성 비아(28)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비아(28)는 도체 패턴(24)이 형성하는 스파이럴 형상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도체 패턴(24)은 스파이럴 형상의 내측에서 도전성 비아(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층의 도체 패턴(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부(20)는 1차측 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제2 코일부(30)는 2차측 코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제2 코일부(30)를 1차측 코일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코일부의 저면도이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코일부(30)는 제1 코일부(20)와 마찬가지로 제2 도체 패턴(34)이 형성된 적층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부(30)의 적층 기판은 전체적으로 제1 코일부(20)의 적층 기판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일부(20)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제2 도체 패턴(34)과 도전성 비아(38)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30)는 제2 단자 핀(39)이 체결되는 단자 패드(36)와 단자 수용 홈(35)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패드(36)와 도체 패턴(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 패드(36)는 적층 기판의 외곽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 패드(36)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적층 기판의 일측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단자 패드(36)에는 제2 단자 핀(39)이 체결될 수 있다. 제2 단자 핀(39)은 제2 코일부(30)와 메인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제2 단자 핀(39)은 단자 패드(36)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자 패드(36)를 관통하여 적층 기판의 상부로 노출된 부분은 후술되는 몰드부(6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부(30)에는 단자 수용 홈(35)이 형성된다. 단자 수용 홈(35)은 후술되는 몰드부(60)의 단자부(67)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단자 수용 홈(35)은 몰드부(60)의 제1 단자 핀(29)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빈 공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30)는 절연 부재(60)에 매립되어 코일 조립체(40)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는 몰드부(60)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30)는 제2 도체 패턴(34)이 형성된 부분이 몰드부(60) 내로 수용 또는 매립되며 제2 단자 핀(39)이 형성된 부분은 부분적으로 몰드부(6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60)는 매립부(65), 플랜지부(68), 및 단자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매립부(65)는 제2 코일부(30)에서 제2 도체 패턴(34)이 형성된 부분을 매립한다. 따라서 매립부(65)는 제2 코일부(3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코일부(30)의 단자 패드(36)와 제2 단자 핀들(39)은 매립부(65)의 외부로 노출된다.
플랜지부(68)는 매립부(65)의 외부로 노출된 단자 패드(36)의 주변에 형성된다. 플랜지부(68)는 제2 코일부(30)의 단자 패드(36)가 노출된 매립부(65)의 일측에서 외부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68)는 제2 코일부(30)의 적층 기판과 수직을 이루며 외부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68)는 제2 코일부(30)의 제2 단자 핀(39)과 코어(80)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간의 절연 거리와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제2 단자 핀(39)과 코어(80)가 배치되는 구조에 따라 플랜지부(68)의 크기나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 핀(39)은 제2 코일부(30)의 적층 기판 외곽 부분에서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체결된다. 이 경우, 가장 외측(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단자 핀(39)은 코어(80)와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60)는 상기한 제2 단자 핀(39)과 코어(80) 사이의 플랜지부(68)를 확장한 확장부(도 4의 68a)를 구비한다. 이에 제2 단자 핀(39)이 적층 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더라도 제2 단자 핀(39)과 코어(80) 사이의 절연 거리와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자 핀(39)이 적층 기판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한 확장부(68a)가 없더라도 코어(80)와의 절연 거리 및 연면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확장부(68a)가 생략될 수 있다.
단자부(67)에는 제1 코일부(20)와 연결되는 제1 단자 핀(29)이 체결된다. 따라서 단자부(67)는 제1 코일부(20)가 제2 코일부(30)와 결합될 때, 제1 코일부(20)의 단자 구멍(2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부(67)는 플랜지부(68)가 형성된 일측의 반대 측에 형성된다. 또한 단자부(67)는 제2 코일부(30)의 적층 기판에 형성된 단자 수용 홈(35) 내부를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자 핀(29)은 단자부(67)를 수직 관통하는 형태로 단자부(67)에 체결되며, 이에 제1 단자 핀(29)의 양단은 단자부(67)의 상부와 하부로 모두 노출된다. 여기서 단자부(67)의 상부로 노출된 제1 단자 핀(29)의 일단에는 제1 코일부(20)가 체결되고, 단자부(67)의 하부로 노출된 타단은 메인 기판에 실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60)는 단자 패드(36)가 형성된 부분 외에도, 단자부(67)의 양 단에 제2 코일부(30)의 적층 기판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이는 몰드부(6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적층 기판을 금형에 고정함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단자 패드(36)가 형성된 부분 만으로 적층 기판을 금형 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만 있다면, 상기한 부분들은 몰드부(6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부(60)는 수지와 같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코일부(30)를 금형 내에 배치한 후, 사출 성형을 진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 공간을 갖는 몰드부(60)를 별도로 형성한 후, 제2 코일부(30)를 몰드부(6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코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코어의 외부에 절연 부재(도 1 의 90)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 부재(90)는 절연 테이프나, 절연 고무 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코일부에서 도체 패턴이 형성된 부분이 모두 몰드부 내에 매립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이 AC/DC 변압과 같이 대전류나 대전압의 변압에 이용되더라도 용이하게 1, 2차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어가 제1 코일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1차측 부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는 제2 코일부의 제2 단자 핀들(2차측)과 코어(1차측)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랜지부에 의해, 몰드부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단자 핀들(또는 단자 패드들)과 코어 사이에 절연 거리 및 연면 거리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을 통해 전술한 코일 부품(100)의 구성 또한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먼저 제1 코일부(20)와 제2 코일부(30)를 준비한다. 여기서, 제2 코일부(30)는 제2 단자 핀(39)이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제2 코일부(30)가 몰드부(60)에 매립된 코일 조립체(40)를 제조한다. 코일 조립체(40)는 제2 코일부(30)를 금형 내에 배치하고 사출 성형을 통해 제2 코일부(30)를 매립하며 몰드부(60)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조립체(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몰드부(60)를 별도로 형성한 후, 제2 코일부(30)를 몰드부(6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고 일체화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어서, 코일 조립체(40)와 제1 코일부(20)를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몰드부(60)에 체결되어 있는 제2 단자 핀(39)은 제1 코일부(20)에 접합되어 제1 코일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코어(81, 86)를 결합하여 코일 부품(100)을 완성한다. 이때, 코어(8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코어(80)의 외부에 절연 테이프 등으로 절연 부재(90)를 형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장치에 채용되는 AC/DC 컨버터에 적용되는 코일 부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과 코어를 이용하는 코일 부품이라면 다양한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코일 부품
20: 제1 코일부
29: 제1 단자 핀
30: 제2 코일부
39: 제2 단자 핀
35: 단자 수용부
60: 몰드부
65: 매립부
68: 플랜지부
68a: 확장부
67: 단자부
80: 코어

Claims (14)

  1. 제1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코일부;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1, 제2 코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제2 코일부에 결합되는 코어; 및
    상기 제2 도체 패턴을 내부에 매립하며 상기 제2 도체 패턴과 상기 제1 도체 패턴과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2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 단자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자 핀은 상기 절연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코일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2 단자 핀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된 부분을 내부에 매립하는 매립부; 및
    상기 제2 단자 핀이 노출된 위치에서 외부로 확장되는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2 단자 핀과 상기 코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간의 절연을 확보하는 코일 부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매립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코일 부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절연 부재의 단자부가 형성되는 단자 수용 홈을 구비하는 코일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 홈은,
    상기 제2 단자 핀이 체결된 일측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코일 부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단자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1 단자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 핀은 상기 제1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9. 제1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1 코일부와 상호 적층되며,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적층 기판을 포함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1, 제2 코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제2 코일부에 결합되는 코어;
    상기 제2 도체 패턴과 메인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단자 핀들; 및
    상기 제2 단자 핀들과 상기 코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간에 절연을 확보하는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0. 제1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제1 코일부;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되는 제2 코일부가 몰드부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코일 조립체; 및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코일 조립체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몰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제2 단자 핀을 구비하며,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제2 단자 핀들과 상기 코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간에 절연을 확보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코일 부품.
  12. 제1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제1 코일부와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제2 코일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코일부가 몰드부 내에 매립된 코일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 조립체와 제1 코일부를 상호 적층하며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코일 조립체를 관통하며 코어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되고, 다수의 제2 단자 핀이 체결된 적층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인 코일 부품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금형 내에 다수의 제1 단자 핀과 상기 제2 코일부를 배치한 후,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몰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제1 단자 핀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인 코일 부품 제조 방법.
KR1020140155587A 2014-11-10 2014-11-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87A KR101610339B1 (ko) 2014-11-10 2014-11-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87A KR101610339B1 (ko) 2014-11-10 2014-11-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339B1 true KR101610339B1 (ko) 2016-04-08

Family

ID=5590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87A KR101610339B1 (ko) 2014-11-10 2014-11-10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996A1 (ko) * 2018-10-10 2020-04-16 이주열 성능개선을 위한 절연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KR102109367B1 (ko) * 2018-12-27 2020-05-28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KR20200081195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KR20200144256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에이텀 평판형 변압기용 코일체 어셈블리 및 평판형 변압기
CN117809953A (zh) * 2024-02-20 2024-04-02 深圳莱福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变压器骨架及其制造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9845A (ja) 2005-08-26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装置、インバータ回路並びに照明器具
WO2009131059A1 (ja) 2008-04-24 2009-10-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トランス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点灯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
JP2013219395A (ja) 2013-07-24 2013-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基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9845A (ja) 2005-08-26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装置、インバータ回路並びに照明器具
WO2009131059A1 (ja) 2008-04-24 2009-10-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トランス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点灯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
JP2013219395A (ja) 2013-07-24 2013-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基板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996A1 (ko) * 2018-10-10 2020-04-16 이주열 성능개선을 위한 절연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WO2020230960A1 (ko) * 2018-10-10 2020-11-19 이주열 성능 개선을 위한 절연 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US12057254B2 (en) 2018-10-10 2024-08-06 Joo Yeol Lee Planar transformer employing insulating structure for performance improvement
KR102109367B1 (ko) * 2018-12-27 2020-05-28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WO2020138938A1 (ko) * 2018-12-27 2020-07-02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KR20200081195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CN113228206A (zh) * 2018-12-27 2021-08-06 株式会社艾特慕 变压器
CN113228206B (zh) * 2018-12-27 2023-04-14 株式会社艾特慕 变压器
KR102583722B1 (ko) * 2018-12-27 2023-09-27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
KR20200144256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에이텀 평판형 변압기용 코일체 어셈블리 및 평판형 변압기
KR102262613B1 (ko) 2019-06-18 2021-06-09 주식회사 에이텀 평판형 변압기용 코일체 어셈블리 및 평판형 변압기
CN117809953A (zh) * 2024-02-20 2024-04-02 深圳莱福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变压器骨架及其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339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US8502633B2 (en) Planar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65390B2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13172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JP6572871B2 (ja) トランス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150364245A1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KR102204749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009276A1 (en) Transformer mounted on circuit board with main body surrounded by insulating cover
CN109074935B (zh) 分裂式变压器组件
US7948350B2 (en) Coil component
US20150279547A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504673A (ja) フェライト高分子コアを有する端数巻き変圧器
JP2016187031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44261A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313650B1 (ko)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530575A (zh) 絶緣平面化電感性裝置及其製造與使用方法
US10971298B2 (en) Passive component structure
KR101656013B1 (ko) 코일 부품
CN104599821A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KR102352174B1 (ko) 코일 부품
KR102603589B1 (ko) 코일 부품
KR101690251B1 (ko) 코일 부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1647404B1 (ko) 코일 부품
KR101367951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220285069A1 (en) Base and transformer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