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525B1 -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525B1
KR101456525B1 KR1020130142143A KR20130142143A KR101456525B1 KR 101456525 B1 KR101456525 B1 KR 101456525B1 KR 1020130142143 A KR1020130142143 A KR 1020130142143A KR 20130142143 A KR20130142143 A KR 20130142143A KR 101456525 B1 KR101456525 B1 KR 10145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requency transformer
bobbin
bidirectional
bidirectional 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훈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가 제공되며, 내부에 홀이 형성된 보빈, 보빈의 홀에 간극이 형성되고, 간극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보빈을 감싸도록 형성된 코어, 보빈의 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보빈의 표면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의 표면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BIDIRECTIONAL HIGH FREQUENCY TRANSFORMER}
본 발명은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생 커패시턴스 및 고주파 링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선법을 이용한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반의 전자기기나 반도체 장치를 위하여 제 1 전압의 직류 전원을 제 2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전원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때, 저잡음, 정전압, 빠른 응답 속도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양방향 변압기가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양방향 변압기는, 전력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채택하여 스위칭 손실을 저감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때, 양방향 변압기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3863호(2013.09.25 공개)에는, 지능형 변압기(Smart Transformer)를 구현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고주파 변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양방향 컨버터에서 기존의 하드 스위칭 컨버터에 사용되는 누설 인덕턴스를 줄이기 위한 적층형 권선법은 양방향 변압기에 그대로 적용될 경우, 공진 네트워크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진 동작에 문제를 일으키는 고주파 링잉(Ringing)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3863호(2013.09.25 공개)에는 "양방향 고주파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변압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을 보빈의 축에 수직 방향으로 권선하고,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사이에 절연부를 구비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고, 고주파 링잉(Ringing)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고주파 컨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보빈, 보빈의 홀에 간극이 형성되고, 간극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보빈을 감싸도록 형성된 코어, 보빈의 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보빈의 표면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의 표면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생 커패시턴스 및 공진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주파 링잉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에서 제거되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보빈(Bobbin, 100), 코어(Core, 200), 제 1 코일(310), 제 2 코일(320), 절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의 각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100)은, 내부에 홀(Hole)이 형성되어 코어(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빈(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보빈(100)의 외부에 제 1 코일(310) 및 제 2 코일(320)이 보빈(100)을 감싸면서 적층될 수 있다.
코어(200)는, 보빈(100)의 홀에 간극(210)이 형성되고, 간극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보빈(10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200)는, 보빈(100)의 홀 내부에서 간극(210)을 가지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고, 코어(200)의 일부가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코어(200)는 보빈(100)을 하우징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은, 보빈(100)의 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보빈(100)의 표면에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은 보빈(100)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은 2 층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그 이상으로도 또는 그 이하로도 적층되도록 보빈(100)에 권선될 수도 있으며, 그 수는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0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은 각각 이격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되었을 뿐,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은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은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의 1차측에 연결될 수도 있고, 2차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의 표면에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은 보빈(100)의 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권선될 수 있다. 즉, 보빈(10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이 권선된 후,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이 적층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은 2 층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그 이상으로도 또는 그 이하로도 적층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에 권선될 수도 있으며, 그 수는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0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은 각각 이격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되었을 뿐,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은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은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의 2차측에 연결될 수도 있고, 1차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이 1차측에 연결된 경우, 2차측에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이 2차측에 연결된 경우, 1차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절연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 사이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과 코어(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절연부(400)는, 예를 들어 절연 테이프일 수도 있고, 절연 테이프로 구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이 보빈(100)에 고정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과 절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양방향 소프트 스위칭(Soft Switching) 컨버터에서 공진 동작에 고주파 링잉(Ringing)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병렬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단방향 하드 스위칭(Hard Switching) 컨버터에서는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하고자 하였고,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더라도 단방향 고주파 변압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양방향 하드 스위칭 컨버터에서는, 증가되는 기생 커패시턴스가 공진 동작에 문제를 일으켜 고주파 링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에서는, 누설 인덕턴스가 증가하더라도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단방향 하드 스위칭 컨버터의 적층형 권선법(Sandwitching Winding)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병렬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고 공진 동작에 줄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적층형 권선법을 적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보빈(Bobbin, 100), 코어(Core, 200), 제 1 코일(310), 제 2 코일(320), 절연부(400), 절연물(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개시된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의 각 구성 요소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과 코어(200) 사이에 절연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의 표면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의 표면은 절연물(500)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에서 구비되었던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310)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320) 간의 절연부(400)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절연물(500)은, 예를 들어, 절연 피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양방향 소프트 스위칭(Soft Switching) 컨버터에서 공진 동작에 고주파 링잉(Ringing)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병렬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단방향 하드 스위칭(Hard Switching) 컨버터에서는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하고자 하였고,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더라도 단방향 고주파 변압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양방향 하드 스위칭 컨버터에서는, 증가되는 기생 커패시턴스가 공진 동작에 문제를 일으켜 고주파 링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에서는, 누설 인덕턴스가 증가하더라도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절연물(500)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누설 인덕턴스까지 모두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는, 단방향 하드 스위칭 컨버터의 적층형 권선법(Sandwitching Winding)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병렬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고 공진 동작에 줄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교차 권선법(Bifilar Winding)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도 4 내지 도 6의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에 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에서 제거되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a)는 절연형 양방향 공진형 컨버터인 CLLC 공진형 컨버터이고, (b)는 DAB 컨버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1)가 (a)와 (b)에 적용되는 경우, 기생 커패시턴스(P)가 최소화될 수 있다. (a)와 (b) 외에도,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권선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에 있어서,
    내부에 홀이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홀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보빈을 감싸도록 형성된 코어;
    상기 보빈의 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보빈의 표면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의 표면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
    을 포함하는,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은 상기 보빈의 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권선되는 것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 사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과 상기 코어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은, 상기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1차측 또는 2차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은, 상기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의 2차측 또는 1차측에 연결되는 것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과 상기 코어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일의 표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일의 표면은 절연물로 둘러싸진 것인,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KR1020130142143A 2013-11-21 2013-11-21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KR10145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43A KR101456525B1 (ko) 2013-11-21 2013-11-21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43A KR101456525B1 (ko) 2013-11-21 2013-11-21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525B1 true KR101456525B1 (ko) 2014-11-03

Family

ID=5228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43A KR101456525B1 (ko) 2013-11-21 2013-11-21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114A (ko) * 2016-10-12 2019-04-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변압기 및 그것을 구비한 전력 변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930A (ja) * 1996-11-20 1998-06-02 Murata Mfg Co Ltd トランス
KR19990001403A (ko) * 1997-06-13 1999-01-15 이근범 트랜스
JP2002270439A (ja) * 2001-03-13 2002-09-20 Fdk Corp トランス
KR20130103863A (ko) * 2012-03-12 2013-09-25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고주파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변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930A (ja) * 1996-11-20 1998-06-02 Murata Mfg Co Ltd トランス
KR19990001403A (ko) * 1997-06-13 1999-01-15 이근범 트랜스
JP2002270439A (ja) * 2001-03-13 2002-09-20 Fdk Corp トランス
KR20130103863A (ko) * 2012-03-12 2013-09-25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고주파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변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114A (ko) * 2016-10-12 2019-04-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변압기 및 그것을 구비한 전력 변환기
KR101984464B1 (ko) 2016-10-12 2019-05-30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변압기 및 그것을 구비한 전력 변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8199B1 (en) Structure of transformer
US7221252B1 (en) Transformer
US20090237195A1 (en) Center-tapped transformer
WO2011154993A1 (ja) 絶縁トランスおよび電源装置
US7271694B2 (en) Structure of transformer
JP2006270055A (ja) 共振型トラン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源ユニット
US20190311846A1 (en) Transformer
US11217377B2 (en) Low inter-winding capacitance coil form
JP5842282B2 (ja) コイル部品
JP2001210532A5 (ko)
KR20180111462A (ko) 트랜스 및 트랜스의 제조방법
US7839250B2 (en) Transformer with leakage inductance
KR101456525B1 (ko)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JP6611804B2 (ja) 共振型電力伝送用コイル
JP5500026B2 (ja) 絶縁トランス
JP6548080B2 (ja) 磁気部品、および、電力伝送装置
KR101610337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8205212A (ja) トランス
KR20040024724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기기
KR101090003B1 (ko) 트랜스포머
US20120139686A1 (en) Magnetic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160233020A1 (en) Transformer
KR200343466Y1 (ko) 전력선용 차폐변압기
JP2009176989A (ja)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用トランスユニット
JP6341684B2 (ja) 高周波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