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955A -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955A
KR20150028955A KR1020147022390A KR20147022390A KR20150028955A KR 20150028955 A KR20150028955 A KR 20150028955A KR 1020147022390 A KR1020147022390 A KR 1020147022390A KR 20147022390 A KR20147022390 A KR 20147022390A KR 20150028955 A KR20150028955 A KR 2015002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longitudinal direction
crimping
crimp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587B1 (ko
Inventor
유키히로 카와무라
사토시 타카무라
타카시 토노이케
야스시 키하라
사부로 야기
타카시 시게마츠
켄고 미토세
타카시 카야하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7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combined with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combined with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한 압착 상태에 있어서,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착 상태를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30)를 구비한 암형 압착 단자(10)로서, 압착부(30)를, 판재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동시에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를 용접하고,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전방(前方)을 평판 형태의 봉지형상으로 하며,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였다.

Description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PRESSURE-FIXING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용 와이어 하니스의 접속을 담당하는 커넥터 등에 장착되는 압착 단자나, 압착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더 나아가서는 이와 같은 접속 구조체를 장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에는, 다양한 전자 장비 기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각 기기의 전기 회로가 복잡화되는 추세여서,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의 확보가 필요 불가결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전자 장비 기기의 전기 회로는, 여러 개의 피복 전선을 묶어서 이루어지는 와이어 하니스를 자동차에 배색하면서 와이어 하니스끼리커넥터로 접속해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의 내부에는, 와이어 하니스의 피복 전선을 압착부에 압착 접속한 압착 단자를 장착한다.
그러나, 피복 전선을 압착 단자에 접속하는 경우, 피복 전선 절연 피복부의 선단에서 노출하는 도체 부분의 노출 부분과 압착 단자의 압착부 사이에 틈이 생기기 쉽고,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내부에 장착한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수분이 침입했을 때, 압착부에 압착된 도체 부분의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여 도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수분의 침입에 의한 압착부에서의 도전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한 압착 상태에서, 도체 부분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점도가 높은 수지제의 절연 피복부로 폐색한 연결 구조체(특허문헌 1 참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접속 구조체에서는,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을 압착부로 압착하고 도체 부분의 노출 부분을 절연 피복부로 덮기 때문에, 압착 공정 후에 노출되는 부분을 절연 피복부로 피복하는 공정이 요구되어 접속 구조체의 생산 효율의 새로운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어려웠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1-233328호
본 발명은, 압착부(壓着部)로 도체 부분을 압착한 압착 상태에 있어서,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착상태를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한 압착 단자로서, 상기 압착부를, 판재(板材)로 단면(斷面) 중공(中空) 형상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함으로써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止水性)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압착부 내의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아 열화나 노후화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부분에 부식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그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압착부를, 판재로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의 길이 방향 일단 측을 밀봉함으로써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일이 없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밀봉한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一端側)이란, 압착부에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측(端部側)임을 의미한다.
전술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은, 예를 들면,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용접이며, 길이 방향의 용접과 연속하는 용접, 혹은 길이 방향의 용접이 연속하지 않아도 교차하여 용접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로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에 압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미리, 상기 단면 중공 형상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밀봉한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 측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에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개소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장치를 쉽게 이동시켜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이 높이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압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를, 압착면과, 그 압착면의 폭 방향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출(延出) 압착편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출 압착편을 구부려서 단면 환상(環狀)으로 구성하면서 상기 연출 압착편의 대향하는 단부끼리 맞대게 하고, 맞댄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압착면과 연출 압착편으로 단면 환상의 압착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출 압착편의 대향하는 단부끼리 맞대게 한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함으로써 확실히 밀봉된 압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맞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단면(端面)들의 맞대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단면(端面)은, 단면(斷面) 환상으로 구성했을 때에, 다른 부분보다 지름 안쪽으로 돌출하는 단면(端面), 혹은 지름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면, 혹은 지름 외측 및 지름 내측으로 돌출하는 단면인 것을 포함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가령 맞대기 용접에 의해 맞대기 부분이 두께가 얇아진 경우에도 용접 부분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체 부분의 압착 등에 의해 용접 부분이 변형되어도 충분한 용접 강도, 즉 충분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다른 부분보다 지름 안쪽으로 돌출하는 단면인 경우, 압착 상태에서 단면의 다른 부분보다 지름 안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도체 부분을 파고들어가 도통성(導通性)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를, 상기 도체 부분을 재치(載置)하는 압착면과, 그 압착면의 폭 방향 양쪽에서 연장되는 연출 압착편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출 압착편을 구부려서 단면(斷面) 환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출 압착편의 대향하는 단부(端部)끼리 겹쳐지게 하고, 겹쳐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로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압착면과, 연출 압착편으로 단면 환상의 압착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출 압착편의 대향하는 단부끼리 겹치게 한 겹쳐진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함으로써 확실히 밀봉된 압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겹쳐진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충분히 용접할 수 없을 우려가 줄어들고, 확실히 용접해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용접에 의해 겹쳐진 부분이 얇아진 경우에도 용접 부분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체 부분의 압착 등으로 용접 부분이 변형되어도 충분한 용접 강도, 즉 충분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용접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빈틈없는 압착부를 구성하여, 압착상태에서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다른 레이저 용접에 비해 초점을 극소의 스폿에 맞출 수 있어 고출력 밀도인 레이저 용접을 실현할 수 있으면서, 연속 조사(照射) 가능하다. 따라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가진 용접을 할 수 있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서는 비접촉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하면, 초음파 용접이나 저항 용접 등의 접촉 용접의 경우, 압흔(壓痕)이 남을 정도의 기계적 압접이 필요하며, 응력 집중이 발생해서 재료 강도가 저하되고,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에 압착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비접촉 용접인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압접과 비교해서 재료 강도의 저하가 없어서 도체 부분의 압착시에 압착부가 손상되지 않고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된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용접을, 접촉 용접으로서 납땜으로 실시하는 경우는 비용이 높아지고, 초음파 접합이면 엔빌과 혼이 필요하며, 저항 용접이면 전극을 삽입할 공간이 필요하고 설비도 커지면서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압접 가공에 의해 재료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른 단자 압착시의 용접부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걱정된다.
이에 비해서, 비접촉 용접으로서는, 고 에너지 밀도 빔 조사에 의한 용접이 고려될 수 있으며, 고밀도 에너지 빔으로서 레이저나 전자 빔 등을 들 수 있으며, 전자 빔의 경우는 진공 분위기를 가지기 때문에 장치 규모가 커지면서 동시에 복잡해지지만, 레이저 용접에서는 대기 속에서 용접할 수 있어 설비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리 선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서 경량화할 수 있으며,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이종 금속 부식(이하에서 전해 부식이라 한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종래 이용되고 있던 구리계 재료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형 재료로 대체하고, 그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을 압착 단자에 압착한 경우에는, 단자 재료의 주석 도금, 금 도금,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과의 접촉에 의해 비금속인 알루미늄계 재료가 부식되는 현상, 즉 전해 부식이 문제가 된다.
덧붙여, 전해 부식(電食)이란, 귀금속과 비금속이 접촉하고 있는 곳에 수분이 부착되면, 부식 전류가 발생하여 비금속이 부식, 용해, 소실하는 등의 현상이다. 이런 현상에 의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압착된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이 부식, 용해, 소실하여, 마침내는 전기 저항이 상승한다. 그 결과, 충분한 도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지만, 상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서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여서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속 구조체는,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1개의 접속 구조체, 혹은 여러 개의 접속 구조체를 묶어서 구성한 와이어 하니스인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단자와 도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 종류에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하면서 압착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雌型)의 커넥터와 수형(雄型) 커넥터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방지 성능을 확보하면서 각 커넥터의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실한 도전성을 구비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면(斷面) 중공(中空)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형상 가공해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는 동시에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상기 일단 측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여 상기 압착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하는 프레스 가공 공정과, 길이 방향 및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공정을 이 순서로 행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압착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이며,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상기 단면 중공 형상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하면서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상기 일단 측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동시에 판재의 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뒤,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하면서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다양한 봉지 형상의 압착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이며, 적어도 한쪽에 길이 방향의 한쪽이 밀봉된 중공의 볼록부를 가진 판재를 겹치게 하고, 상기 볼록부의 외측에서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듯이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적어도 한쪽에, 길이 방향의 한쪽이 밀봉된 중공의 볼록부를 가진 판재를 겹치게 한다는 것은, 볼록부를 가지는 판재와 평판재의 겹침, 볼록부를 가지는 2장의 판재를 볼록부의 중공 부분이 대향할 수 있는 겹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덧붙여, 겹쳐지는 판재는, 한 장의 판재를 꺾어 구부려서 겹쳐지는 부분이 마치 두 장의 판재가 되는 형태, 각각이 독립된 두 장의 판재의 겹침을 포함한 개념이다.
본 발명으로, 예를 들면, 중공의 오목한 부분의 형상을 도체 부분의 지름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도체 부분을 압착부에 삽입한 압착 상태에 있어서, 틈새가 적으며 수분 방지 성능이 높은 압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압착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용접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틈새가 없는 압착부를 구성하여, 압착 상태에서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압착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는 높은 집광성, 높은 빔 품질을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레이저와 비교해도 보다 저출력으로 높은 가로세로 비의 심용입 용접(키홀 용접)을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열 영향이 적고, 금속 재료의 변형도 적은 가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가지는 용접을 하고, 압착 상태에서, 충분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착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한 압착 단자이며,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상기 판재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 맞대게 하고, 상기 단부끼리 맞대게 한 길이 방향의 맞대어진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부분의 안팎(表裏)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 단자는,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를 가지는 클로즈드 배럴 단자이며, 한 쌍 구성한 단자 세트 중 다른 쪽 단자의 접속부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접속 단자, 혹은 압착부만으로 구성하는 단자임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방향이란, 압착부에 압착하는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판재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의 맞대기는,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폭 방향으로 접촉하는 맞대기뿐만 아니라, 폭 방향의 작은 틈새를 가지는 맞대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판재에서의 판 두께 방향의 측면뿐 아니라, 단부(端部)측면을 경사시킨 경사측면, 혹은 판재의 두께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면을 구성한 측면들의 맞대기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부분은, 전체를 압착 변형할 경우에는, 길이 방향의 전 범위를 나타내고, 도체 부분이 삽입되는 측에서의 일부분만을 압착 변형하는 경우는, 그 변형 부분만 혹은 변형 부분을 포함한 전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확실히 압착해서,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압착 단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출원인은, 수분 침입에 의한 압착부에서의 도전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한 압착 상태에서, 도체 부분에서의 노출 부분을 점도가 높은 수지제의 절연 피복으로 폐색한 접속구조체(특허문헌 1 참조)를 제안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접속 구조체는, 이른바 오픈 배럴 형식의 압착 단자이며 절연 피복이 노출되어 있어서 수지재 자체의 노후화에 따라 수분 방지 성능이 경감되고, 도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압착 변형한 부분의 안팎 양쪽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다는 것은,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斷面)의 적어도 대부분이 용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단부끼리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압착부의 용접 부분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한 충분한 내력(耐力)을 가지기 때문에 압착 변형에 의해 파단(破斷)될 일이 없다. 따라서, 압착부로 확실히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을 압착하여,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즉,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斷面) 전역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해서 보다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균열의 기점이 없는 용접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용접 부분의 단면에 있어서, 미용접 부분이 형성되면, 미용접 부분에 압착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균열의 기점이 되기 쉽지만, 관통 용접에 의해, 용접 부분의 단면(斷面)이 한결같이 용접되어 균열의 기점이 발생하지 않고 충분한 내력을 가진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로 보다 확실하게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을 압착하여, 더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밀봉한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여 봉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의 길이 방향 일단 측이란, 압착부에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측과는 반대 측의 단부측(端部側)인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은, 예를 들면,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용접이며, 길이 방향의 용접과 연속하는 용접, 혹은 길이 방향의 용접이 연속하지 않아도, 교차하는 용접으로 할 수 있다. 또, 봉지형상의 형성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은, 압착 단자 단체(單體)의 상태로 수행해도 좋고, 또는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부의 압착 변형과 함께 봉지 형상을 형성하고, 그 후,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용접을 수행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체 부분을 압착하기 위해 압착부를 압착 변형시켜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곳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되고, 압착 변형에 의해 용접이 파단되지 않고, 또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형성한 단면 중공 형상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封止部)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압착부 내의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이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화나 노후화에 따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부분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미리, 단면 중공 형상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여 봉지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도체 부분에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캡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확실히 압착부에 압착된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장치를 쉽게 이동시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용접 장치와 용접 부분의 거리가 일정해지므로 안정된 용접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전기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해서 할 수 있다.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은, 파이버 레이저, YAG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혹은 디스크 레이저 등에 의한 레이저 빔, 또는 전자 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가로세로 비가 높은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端子) 재료의 변형이 적은 용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한 용접에서는 비접촉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하면, 초음파 용접이나 저항 용접 등의 접촉 용접의 경우, 압흔이 남을 만한 기계적 압접이 필요하며, 응력 집중이 발생해서 재료 강도가 저하하여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에 압착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비접촉 용접인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한 용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압접과 비교해서 재료 강도의 저하가 없고, 도체 부분의 압착시에 압착부가 손상되지 않으며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안정된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을,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파이버 레이저 빔은, 연속 발진, 펄스 발진, QCW 발진, 혹은 펄스 제어된 연속 발진되는 파이버 레이저 빔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쉽게 심용입 용접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는 빔 품질이 뛰어나 집광성(集光性)이 높기 때문에 고출력 밀도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가로세로 비의 심용입 용접에 의해 재료에 불필요한 열 영향을 주지 않고 확실한 용접 상태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용접을, 접촉 용접으로서 납 땜으로 행하는 경우는 비용이 높아지고, 초음파 접합이면 엔빌과 혼이 필요하면서, 저항 용접이면, 전극을 삽입할 공간이 필요하고 설비 규모도 커지는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은 압접 가공에 따른 재료가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한 단자 압착시의 용접부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걱정되지만, 비접촉 용접인 레이저 용접에서는 대기 아래에서 용접할 수 있어서 설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서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속 구조체는,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1개의 접속 구조체, 혹은 복수 개의 접속 구조체를 묶어서 구성한 와이어 하니스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리 선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과 비교해서 경량화할 수 있으면서,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이종 금속 부식(아래에서는 전해 부식이라 한다)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기존에 이용되고 있던 구리계 재료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재료로 대체하고, 그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을 압착 단자에 압착한 경우에는 단자 재료의 주석 도금, 금 도금,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과의 접촉에 의해, 비금속인 알루미늄계 재료가 부식되는 현상, 즉 전해 부식이 문제가 된다.
또한, 전해 부식이란, 귀금속과 비금속이 접촉해 있는 부위에 수분이 부착해 있으면, 부식 전류가 발생하여 비금속이 부식, 용해, 소실 등을 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에 의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압착된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이 부식, 용해, 소실하고, 마침내는 전기 저항이 상승한다. 그 결과, 충분한 도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지만, 상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서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단자와 도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 종류에 상관없이 안정된 전도성을 확보한 채 압착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雌型) 커넥터와 수형(雄型) 커넥터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방지 성능을 확보하면서 각 커넥터의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실한 도전성을 구비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갖춘 압착 단자이며,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상기 판재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 겹치게 하고, 상기 단부끼리 겹친 길이 방향의 겹치기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상기 겹치기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곳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 단자는,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를 가지는 클로즈 배럴 단자이며, 한 쌍으로 구성한 단자 세트 중 다른 쪽 단자의 접속부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접속 단자, 혹은 압착부만으로 구성하는 단자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방향은, 압착부에 압착하는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서 압착 변형하는 부분이란, 전체를 압착 변형하는 경우는, 길이 방향의 전 범위를 나타내고, 도체 부분이 삽입되는 쪽에서 일부분만을 압착 변형하는 경우는, 그 변형 부분만 혹은 변형 부분을 포함한 전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확실히 압착해서, 안정적인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압착 단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출원인은, 수분 침입에 의한 압착부에서의 도전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한 압착 상태에서, 도체 부분에서의 노출 부분을 점도가 높은 수지제의 절연 피복으로 폐색한 접속 구조체(특허문헌 1 참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접속 구조체는, 이른바 오픈 배럴 형식의 압착 단자이며, 절연 피복이 노출되어 있어서, 수지재 자체의 노후화에 의해 수분 방지 성능이 경감되어, 도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압착 변형하는 부분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다는 것은,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단부끼리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압착부의 용접 부분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의 응력이 집중하지 않고 압착 변형에 의해 파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압착부로 확실히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을 압착하여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겹친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충분히 용접할 수 없는 문제점을 줄여서, 확실하게 용접하여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용접에 의해 겹쳐진 부분이 얇아진 경우에도, 용접 부분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체 부분의 압착 등에 의해 용접 부분이 변형해도 충분한 용접 강도, 즉 충분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斷面) 전역에 있어서 용접되기 때문에,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해서, 보다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응력 집중하지 않는 용접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미 관통 용접의 경우는, 안팎 방향에 있어서, 용접부와 모재의 경도(硬度) 차이, 압착에 대한 굽힘 가공성 등에 국소적인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압착력이 부가되었을 때에 용접 부분에 응력이 부가하여 파단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버리지만, 관통 용접에 의해 안팎 방향으로 연속적인 용접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파단되기 어려우며 충분한 내력을 가진 용접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로 보다 확실히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을 압착하여, 보다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이란, 압착부에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측(端部側)임을 의미한다.
상술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은,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 방향 용접이며, 길이 방향의 용접과 연속하는 용접, 혹은 길이 방향의 용접과 연속하지 않아도, 교차하는 용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봉지형상의 형성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은, 압착 단자 단체(單體)의 상태로 수행해도 좋고, 또는,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부의 압착 변형과 함께 봉지 형상을 형성하고, 그 후,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용접을 수행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라,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체 부분을 압착하기 위해 압착부를 압착 변형시키고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부분 안팎 양쪽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되고, 압착 변형에 의해 용접이 파단되지 않고, 또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단면 중공 형상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에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압착부 내의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나 노후화가 일어나기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부분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리, 단면 중공 형상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체 부분에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캡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확실히 압착부에 압착된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장치를 쉽게 이동시켜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용접 장치와 용접 부분의 거리가 일정해지기 때문에 안정된 용접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해서 할 수 있다.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은, 파이버 레이저, YAG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혹은 디스크 레이저 등에 의한 레이저 빔, 또는 전자 빔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가로세로 비가 높은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재료의 변형이 적은 용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한 용접에서는 비접촉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하면, 초음파 용접이나 저항 용접 등의 접촉 용접의 경우, 압흔이 남을 정도의 기계적 용접이 필요하며 응력 집중이 생겨서 재료 강도가 저하하여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에 압착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비접촉 용접인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한 용접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압접과 비교해서 재료 강도의 저하가 없고, 도체 부분의 압착시에 압착부가 손상하지 않고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안정된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을,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파이버 레이저 빔은, 연속 발진, 펄스 발진, QCW 발진, 혹은 펄스 제어된 연속 발진되는 파이버 레이저 빔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용이하게 심용입 용접을 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파이버 레이저는 빔 품질이 뛰어나 집광성이 높기 때문에 고출력 밀도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가로세로 비의 심용입 용접에 의해 재료에 불필요한 열 영향을 주지 않고 확실한 용접 상태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용접을 접촉 용접으로서 납땜으로 행하는 경우는 비용이 높아지고, 초음파 접합이면 엔빌과 폰이 요구되면서, 저항 용접이면 전극을 삽입할 공간이 필요하고 설비의 규모도 커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압접 가공에 의한 재료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한 단자 압착시의 용접부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걱정되지만, 비접촉 용접인 레이저 용접에서는 대기 속에서 용접할 수 있어서 설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서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속 구조체는,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한 개의 접속 구조체, 혹은 복수 개의 접속 구조체를 묶어서 구성한 와이어 하니스인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리 선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서 경량화할 수 있으며,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이종 금속 부식(이하에서는 전해 부식이라 한다)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으로 기존에 이용되고 있던 구리계 재료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재료로 대체하고, 그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을 압착 단자에 압착한 경우에 있어서는, 단자 재료인 주석 도금, 금 도금,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과의 접촉에 의해 비금속인 알루미늄계 재료가 부식되는 현상, 즉 전해 부식이 문제가 된다.
또한, 전해 부식(電食)이란, 귀금속과 비금속이 접촉해 있는 부위에 수분이 부착하면, 부식 전류가 발생하여 비금속이 부식, 용해, 소실하는 등의 현상이다. 이 현상에 의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압착된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이 부식, 용해, 소실하고, 마침내는 전기 저항이 상승한다. 그 결과, 충분한 도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지만, 상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단자와 도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 종류에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하면서 압착 단자를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의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면서 각 커넥터의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실한 도전성을 구비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이며,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서 압착 변형하는 부분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을 그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는 방향을 소인(掃引;sweep) 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 단자는,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를 가지는 클로즈 배럴 단자이며, 한 쌍 구성한 단자 세트 중 다른 쪽 단자의 접속부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접속 단자, 혹은 압착부만으로 구성하는 단자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방향은, 압착부에 압착하는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부분이란, 전체를 압착 변형하는 경우는 길이 방향의 전 범위를 나타내고, 도체 부분이 삽입되는 쪽에서의 일부분만을 압착 변형하는 경우는, 그 변형 부분만 혹은 변형 부분을 포함한 전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전술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는 방향의 소인 방향은, 단순히 일직선상의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체로서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는 방향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확실히 압착해서,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압착 단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출원인은, 수분의 침입에 의한 압착부에서의 도전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한 압착 상태에 있어서, 도체 부분에서의 노출되는 부분을 점도가 높은 수지제의 절연 피복으로 폐색한 접속구조체(특허문헌 1 참조)를 제안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접속 구조체는, 이른바 오픈 배럴 형식의 압착 단자이며, 절연 피복이 노출되어 있어서 수지재 자체의 노후화에 의해 수분 방지 성능이 경감되고 도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압착 변형하는 부분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다는 것은,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斷面)이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단부끼리 맞대게 하거나, 혹은 겹치게 해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압착부의 용접 부분은,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의 응력이 집중하지 않고, 압착 변형에 의해 파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압착부로 확실히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을 압착하여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즉,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을, 그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는 방향을 소인(掃引) 방향으로 함으로써, 용접 불량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용접 시작 부분 및 용접 종료 부분이 길이 방향의 단부(端部)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길이 방향의 각 단부를 향해 용접하는 경우에 비해 확실한 용접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斷面) 전역에서 용접되므로,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해서 보다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균열의 기점이 없는 혹은 응력이 집중해도 파단되지 않는 용접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맞대어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이 미관통 용접의 경우는, 압착시에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의 중앙 수직 방향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것 같은 균열의 기점이 되기 쉽지만, 관통 용접에 의해 용접 부분의 단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균열 기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충분한 내력을 가지는 용접을 할 수 있다.
또,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겹쳐지게 해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이 미관통 용접인 경우는, 안팎 방향에 있어서 용접부와 모재의 경도 차이, 압착에 대한 굽힘 가공성 등에 국소적인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압착력이 부가되었을 때에 용접 부분에 응력이 부가해서, 파단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버리지만, 관통 용접에 의해 안팎 방향으로 연속적인 용접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파단되기 어렵고 충분한 내력을 가지는 용접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를 겹쳐지게 해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는 용접 부분에 있어서 밀폐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균열의 기점이 없는 혹은 압착시에 응력이 집중해도 파단되지 않는 충분한 내력과 밀폐성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로 보다 확실히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을 압착하여, 더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 폭은,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서의 레이저 집광 스폿의 지름보다 크고 소인 방향으로 쭉 소인(掃引)한 용접의 용접 비드에 비해 광폭의 폭임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용접하는 레이저 집광 스폿을 이동시켜서 소정 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맞대게 한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에 대해서 폭 방향으로 용접 비드가 용접 비드 폭의 절반 이상 어긋나버렸을 경우, 미용접이 우려되지만, 폭 방향에 있어서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비드의 중심 축이 상기 단부를 맞대게 한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에 대해서 다소 어긋난 경우라도, 미 용접이 발생될 우려가 없다.
또,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를 겹쳐지게 해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는 용접 부분에 있어서, 겹쳐진 단부들 사이에 국소적인 틈이 생긴 경우라도, 폭 방향에 있어서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폭 방향으로도 용접 면적을 늘릴 수 있어 확실하게 밀폐성을 가진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압착시에 응력 집중해도 파단되지 않는 충분한 내력과 밀폐성을 갖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을, 상기 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인해서 용접하는 나선(螺線) 소인(掃引) 용접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소정 폭을 가지고 압착시에 응력 집중해도 파단되지 않는 충분한 내력과 밀폐성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을, 상기 폭 방향의 소인과, 상기 길이 방향의 소인을 번갈아 반복해서 상기 소인 방향으로 용접하는 직사각형 소인 용접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소정 폭을 가지고 압착시에 응력 집중해도 파단되지 않는 충분한 내력과 밀폐성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을,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소인해서 지그재그 형태로 용접하는 삼각 소인 용접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소정 폭을 가지고 압착시에 응력 집중해도 파단하지 않는 충분한 내력과 밀폐성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하면서 동시에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상기 일단 측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체 부분을 압착하기 위해 압착부를 압착 변형시켜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부분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되고, 압착 변형에 따라 용접이 파단되지 않고, 또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단면 중공 형상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압착부 내의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나 노후화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부분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미리 단면 중공 형상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도체 부분이 삽입된 압착부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이나, 도체 부분을 압착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으며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도체 부분에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캡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확실히 압착부에 압착된 도체 부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장치를 쉽게 이동시켜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용접 장치 및 용접 부분의 거리가 일정해지기 때문에 안정된 용접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은, 파이버 레이저, YAG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혹은 디스크 레이저 등에 의한 레이저 빔, 또는 전자 빔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가로세로 비가 높은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재료의 변형이 적은 용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한 용접에서는 비접촉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하면, 초음파 용접이나 저항 용접 등의 접촉 용접의 경우, 압흔이 남을 정도의 기계적 용접이 필요하고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재료 강도가 저하되어 도체 부분을 압착할 때에 압착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비접촉 용접인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한 용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압접에 비해 재료 강도의 저하가 없어 도체 부분의 압착시에 압착부가 손상되지 않으며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안정된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을,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파이버 레이저 빔은, 연속 발진, 펄스 발진, QCW 발진, 혹은 펄스 제어된 연속 발진되는 파이버 레이저 빔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용이하게 심용입 용접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는 빔 품질이 뛰어나 집광성이 높기 때문에, 고출력 밀도 가공을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가로세로 비의 심용입 용접에 의해 재료에 불필요한 열 영향을 주지 않고 확실한 용접 상태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용접을, 접촉 용접으로서 납땜으로 행하는 경우는 비용이 높아지고, 초음파 접합이면 엔빌과 폰이 필요해지면서, 저항 용접이면, 전극을 삽입할 공간이 필요하며 설비 규모도 커지면서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압접 가공에 따른 재료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한 단자 압착시의 용접부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걱정되지만, 비접촉 용접인 레이저 용접에서는 대기하에서 용접할 수 있어서 설비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서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접속 구조체는,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한 개의 접속 구조체, 혹은 여러 개의 접속 구조체를 묶어서 구성한 와이어 하니스인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리 선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과 비교해서 경량화할 수 있으며,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이종 금속 부식(이하에서는 전해 부식이라 한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으로 기존에 이용되고 있던 구리계 재료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재료로 대체하고, 그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을 압착 단자에 압착한 경우에 있어서는, 단자 재료인 주석 도금, 금 도금,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과의 접촉에 의해 비금속인 알루미늄계 재료가 부식되는 현상, 즉 전해 부식이 문제가 된다.
덧붙여, 전해 부식이란, 귀금속과 비금속이 접촉해 있는 부위에 수분이 부착하면, 부식 전류가 발생하여 비금속이 부식, 용해, 소실하는 등의 현상이다. 이 현상에 의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압착된 알루미늄계 재료제의 도체 부분이 부식, 용해, 소실하고, 마침내는 전기 저항이 상승한다. 그 결과, 충분한 도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지만,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단자와 도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 종류에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하면서 압착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한 채 각 커넥터의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이며,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로 구성하고,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기단 측으로 이 순서로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피복 압착부에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함에 따라 그 절연 피복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완화하는 압착력 완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복 압착부가 상기 절연 피복을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상기 절연 피복이 파손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전선 선단부에서의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자동차 등에 장비된 전장 기기는, 피복 전선을 묶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서 다른 전장 기기나 전원 장치와 접속해서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와이어 하니스와 전장 기기나 전원 장치는 각각에 장착한 커넥터끼리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커넥터에 구비하는 압착 단자로는, 다양한 것이 제안되고 있으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도체 부재도 이러한 압착 단자 중 하나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도체 부재」는, 다른 부재에 접속되는 접속 면이 마련된 기재(基材)인 전선 접속부와, 그 전선 접속부에 대해서 돌출되어 전선의 선단부분을 체결한 체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는, 전선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을 가지고, 돌출방향의 선단 측이 개구된 통(筒)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도전 부재」에 대한 전선의 접속은, 체결부의 삽입 구멍에 전선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그 상태로 체결부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압착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는, 다양한 환경 아래에서 사용되고 있어서 분위기(雰圍氣) 온도의 변화에 따른 결로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수분이 피복 전선의 표면에 부착하는 일이 있다. 그리고, 피복 전선의 표면을 타고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면, 피복 전선의 선단에서 노출되어 있는 전선 도체의 표면이 부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온화 경향이 다른 이종 금속으로 구성된 전선 도체, 및 압착 단자의 경우, 커넥터의 일부로서 구비한 경우에 수분이 부착해서 전해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압착 단자에 접속하는 전선이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인 경우,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만을 고정부(加締部)의 삽입 구멍에 삽입할 뿐만 아니라 도체 선단부보다 후방측 부분에 가지면서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도 포함해서 도체 선단부와 함께 삽입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를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고정 후에 고정부의 기단측에서 도체 선단부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대책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부, 즉 삽입 구멍의 기단측의 구연부(口緣部)는 기단 방향을 향해서 돌출 모양이 되는 자유단(自由端)이어서, 압착부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할 때에 상기 압착부가 전선 선단부에서의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압착력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부에 의해 피복 선단부에서의 절연 피복이 잡아 늘여지거나 파고들어가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절연 피복의 파손 부분으로부터 수분이 절연 피복의 내부로 침입하여, 침입한 수분이 내부의 도체에 부착해서 도체가 부식되는 과제를 가진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피복 압착부에, 상기 압착력 완화 수단을 구비했기 때문에, 압착부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피복 압착부가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완화함으로써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부, 즉 삽입 구멍의 기단측의 구연부가 상기 절연 피복을 파고들어가서 상기 절연 피복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절연 피복의 파손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절연 피복의 내측으로 침입해서 절연 피복보다 내측의 도체가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內俓)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大徑) 내주부(內周部)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력 완화 수단을,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에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를, 기단측 대경 내주부라는 간단한 구성에 따라 압착부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할 때에 피복 압착부에 절연 피복이 접촉하는 접촉 부분에서의 피복 압착부의 기단부가 절연 피복을 파고들어감으로써 파단될 우려가 없이 단단히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피복의 파손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절연 피복의 내측으로 침입하고, 절연 피복보다 내측의 도체가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에, 그 적어도 기단부보다도 선단측 부분에 대해서 확경된 기단측 확경부(擴俓部)를 형성하고, 상기 기단측 대경(大徑) 내주부를, 상기 기단측 확경부에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상기 기단측 확경부에 설정함으로써 기단측의 내주부의 지름을 피복 압착부에서의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도 확실히 큰 내경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부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측이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완화할 수 있고, 상기 절연 피복이 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절연 피복의 파손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절연 피복의 내측으로 침입하여, 절연 피복보다도 내측의 도체가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단측 확경부는,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에 대해서, 압착부에 의한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전, 압착과 동시, 압착 후 중 어느 단계에서 형성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에, 그 기단부의 외주면에 대해서 내주면이 근접하도록 두께를 얇게 한 기단측 박육부(薄肉部;thin portion)를 형성하고,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상기 기단측 박육부에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상기 기단측 박육부에 설정함으로써, 기단측의 내주부의 지름을 피복 압착부에서의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확실하게 큰 내경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부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측이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완화할 수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절연 피복의 파손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절연 피복의 내측에 침입하여 절연 피복보다도 내측의 도체가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상기 기단측 박육부에 설정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 압착부를 포함해서 외주부가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커넥터의 단자 삽착(揷着) 구멍에 삽입 장착할 때에, 간섭하는 일 없고, 압착 단자는 물론 커넥터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피복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으로 형성한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와, 둘레 방향의 일부가 개구된 오픈 배럴형 압착부로 구성하고, 상기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를, 상기 도체 압착부에 대해서 둘레 방향 전체가 연속해서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오픈 배럴형 압착부를, 상기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에 대해서 기부(基部)측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력 완화 수단을, 상기 오픈 배럴형 압착부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피복 압착부를,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와, 그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보다 후방 측에 배치한 오픈 배럴형 압착부를, 각각 별개의 압착력으로 절연 피복에 대해서 압착한 압착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보다 후방 측에서 전선을 구부린 경우에 있어서는, 전선 선단부를 압착하는 압착부의 특히 기단부가 절연 피복을 파고들어서 파손되기 쉬워지지만, 절연 피복에 대한 압착력을,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보다 후방 측에 배치한 오픈 배럴형 압착부의 압착력보다는 절연 피복에 대해서 낮은 압착력으로 압착함으로써 절연 피복이 오픈 배럴형 압착부의 기단부에 깊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압착부에 의해 전선 선단부를 압착한 상태에서,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오픈 배럴형 압착부로도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에 압착에 따른 응력이 집중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자유단으로서의 기단부가 절연 피복을 압착해도 그 압착에 의해 절연 피복이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도체를,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한 접속 구조체이며,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로 구성하고,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기단 측으로 이 순서로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선 선단부를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압착 상태의 상기 압착부의 기단측을,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함에 따른 압착력을 완화하는 압착력 완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착 상태의 압착부의 기단측을, 전술한 압착력 완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압착 상태의 압착부의 기단측이 절연 피복을 파고드는 일이 없이 제대로 압착할 수 있다.
특히, 압착 단자로서, 전술한 것처럼,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측에 압착력 완화 수단을 구비한 압착 단자를 이용해서 접속 구조체를 구성한 경우, 압착 상태의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측에 확실하게 상기 압착력 완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압착력 완화 형상이란, 압착 전의 압착부의 상기 압착력 완화 수단에 상당하는 형상이며, 예를 들어, 압착 상태의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를 압착 상태의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한 형상이나, 압착 상태의 압착부의 기단측에 상기 오픈 배럴형 압착부를 갖춘 형상을 나타낸다. 덧붙여, 상술한 접속 구조체는,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한 개의 접속 구조체, 혹은 여러 개의 접속 구조체를 묶어서 구성한 와이어 하니스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연결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절연 피복의 파손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절연 피복의 내측에 침입하여, 절연 피복보다 안쪽의 도체가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착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전선 선단부는,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부는,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길이 방향의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이 순서로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를 배치해서 구성되며,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압착부로 압착 접속하는 압착 접속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압착부에서의 적어도 기단부보다도 상기 피복 압착부를 포함한 선단측 부분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 접속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서의 적어도 기단부보다 선단측 부분을 압착하는 것에 따른 반력을 이용해서 상기 압착부에서의 적어도 기단부가 확경(擴俓)하도록 소성 변형시킬 수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서의 적어도 기단부에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 내주부로 형성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 내주부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압착 접속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서의 적어도 기단부보다도 선단측 부분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에서의 적어도 기단부에, 압착부에서의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부로 도체 부분을 압착한 압착 상태에 있어서,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착 상태를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피복 전선을 압착 접속하는 암형 압착 단자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2는, 권축부에서의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용접 상황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배럴 구성편의 대향 단부(端部)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5는, 용접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6은, 압착부에서의 다른 실시형태의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7은, 압착부에서의 다른 실시형태의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8은, 다른 배럴 구성편의 단면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9는,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압착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1은, 배럴부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2는, 피복 전선을 압착 접속하는 맞대기 압착부를 가지는 암형 압착 단자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13은, 맞대기 압착부에서의 맞대기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4는, 맞대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맞대기 압착부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의 대향 단부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16은, 맞대기 용접에서의 소인(掃引)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17은,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맞대기 압착부에서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9는, 배럴부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0은, 피복 전선을 압착 접속하는 겹치기 압착부를 가지는 암형 압착 단자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21은, 겹치기 압착부의 겹치기 용접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2는, 겹치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겹치기 압착부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의 구성편 단부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24는, 겹치기 용접에서의 소인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25는,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겹치기 압착부에서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7은, 배럴부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8은, 피복 전선을 압착 접속하는 맞대기 압착부를 가진 암형 압착 단자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29는, 맞대기 압착부에서의 맞대기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0은, 맞대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이고,
도 31은, 맞대기 압착부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의 대향 단부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32는, 맞대기 용접에서의 소인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33은, 피복 전선을 압착 접속하는 겹치기 압착부를 가지는 암형 압착 단자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34는, 겹치기 압착부에서의 겹치기 용접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5는, 겹치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겹치기 압착부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의 대향 단부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37은, 겹치기 용접에서의 소인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38은,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압착부에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0은, 배럴부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1은, 제 5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의 설명도이고,
도 42는,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의 선단부분의 폭 방향 중앙 종단면도이고,
도 43은, 압착부에서의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4는, 전선 선단부에 대해서 압착부를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5는, 제 6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의 설명도이고,
도 46은, 제 7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의 설명도이고,
도 47은, 전선 선단부에 대해서 압착부를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8은, 종래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설의 설명도이고,
도 49는, 배럴부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하는 암형 압착단자(10)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압착부(30)에서의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용접 상황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5는 용접 방법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 도 6, 도 7은, 용접 형태가 다른 압착부(30)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다른 배럴 구성편(32)의 단부에 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다른 용접 순서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압착부(30)에 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 (a)는, 폭 방향 중앙에서 분단된 암형 압착단자(10)의 종단 사시도이고, 도 1 (b)는, 암형 압착단자(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 도 1 (c)는 압착부(30)로 피복 전선(200)을 압착한 압착 상태인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a)는, 박스부(20)을 투과 상태로 한 암형 압착단자(10)의 저면(底面) 측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 (b)는, 도 2 (a)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2 (c)는 도 2 (b)에서의 A-A선 단면도에 따른 용접 상황에 의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4 (a)는, 박스부(20)를 투과 상태로 하고, 압착부(30)을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가 다른 형상인 암형 압착단자(10)의 저면 측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 (b)는, 도 4 (a)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 (c)는 대향 단부(32a)가 한층 더 다른 형상인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a)는, 도 3에 나타내는 용접 방식과는 다른 방법일 경우의 개략 확대 저면도를 나타내고, 도 5 (b)는 한층 더 다른 용접 방법인 경우의 개략 확대 저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 접속 구조체(1)는, 피복 전선(200)을 암형 압착단자(10)에 접속해서 구성하고 있다. 즉, 피복 전선(200)에서의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202a)에서 노출하는 알루미늄 심선(芯線)(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암형 압착단자(10)의 압착부(30)에 압착 접속한다.
암형 압착단자(10)에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수지로 구성하는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해서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가 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선을 꼬아서 구성한다.
아래에서, 암형 압착단자(10)에 대해 자사하게 설명한다.
암형 압착단자(10)는, 길이방향 X의 선단측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도시가 생략된 수형(雄型) 단자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20)와, 박스부(20)의 후방에서 소정의 길이의 트랜지션부(40)를 통해서 배치된 압착부(30)를 일체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박스부(20)와 압착부(30)로 구성하는 암형 압착단자(10)로 구성했지만, 압착부(30)를 가진 압착 단자이면, 전술한 암형 압착단자(10)에서의 박스부(20)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과 압착부(30)로 구성하는 수형 압착단자도 좋고, 또 압착부(30)만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묶어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길이 방향(X)이란, 도 1에서와 같이 압착부(30)를 압착해서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폭 방향(Y)은 길이 방향(X)에 대해서 수평인 평면 방향에 있어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 압착부(30)에 대한 박스부(20) 측을 전방(前方)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20)에 대한 압착부(30) 측을 후방(後方)으로 한다.
또, 암형 압착 단자(10)는,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황동과 같은 구리 합금스트립(合金條)(미도시)을, 평면 전개한 단자 형상으로 뚫어낸 후, 중공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20)와 후방에서 보아 거의 O형의 압착부(30)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단자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면서 압착부(30)를 용접해서 구성된 클로즈 배럴 형식의 단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 두께 0.1~0.6mm의 구리 합금 스트립을 이용한다.
박스부(20)는, 넘어진 중공 사각 기둥체로 구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X)의 후방을 향해서 꺾어 구부러지고,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공 사각 기둥체인 박스부(20)는, 저면부(22)의 길이방향(X)과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양측부에 연장하여 설치된 측면부(23)를 겹치도록 꺾어 구부려서 길이방향(X)의 선단측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으로 구성한다.
압착 전의 압착부(30)는, 도 1 (b)에서와 같이, 압착면(31) 및 압착면(31)의 폭 방향(Y)의 양측으로 연장된 배럴 구성편(32)을 구부려서 단부(端部)(32a)끼리 맞대어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다.
또, 배럴 구성편(32)의 길이방향 길이는, 절연 피복(202)의 길이 방향(X)의 전방측의 선단인 피복 선단(202a)에서 길이 방향(X)의 전방에서 노출하는 전선 노출부(201a)의 길이 방향(X)의 노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30)는, 절연 피복(202)을 압착하는 피복 압착 범위(30a)와,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압착하는 전선 압착 범위(30b)를 일체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전선 압착 범위(30b)보다 전방(前方) 단부(端部)를 거의 평면 형태로 찌부려뜨리 듯이 변형시킨 봉지부(30c)(도 2 참조)를 구성한다.
게다가, 압착부(30)의 내면에는, 폭 방향(Y) 홈인 걸림홈(33)(33a,33b)을, 길이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여러 개 형성한다.
상술하면, 피복 압착 범위(30a)의 내면에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절연 피복 (202)이 파고들어서, 폭 방향(Y) 홈인 피복용 걸림홈(33a)을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3개 형성한다.
또한, 피복용 걸림홈(33a)은, 단면 원호형상으로 구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함으로써 파도형상을 이루면서 압착면(31)과, 압착면(31)의 폭 방향(Y)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배럴 구성편(32)까지 연속하고, 압착부(30) 내에서 환상(環狀)의 홈을 형성한다.
또, 전선 압착 범위(30b)의 내면에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파고드는, 폭 방향 Y의 홈인 전선용 걸림홈(33b)을 길이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3개 형성한다.
또한, 전선용 걸림홈(33b)은, 단면 직사각형 오목하게 구성하면서 동시에 압착면(31)과, 압착면(31)의 폭 방향(Y)의 양쪽에서 연장되는 배럴 구성편(32)의 중간까지 형성하고, 전선용 걸림홈(33b)에 알루미늄 심선(201)이 파고듬으로써 압착부(30)과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통성(導通性)을 향상한다.
이렇게 구성된 압착부(30)을 형성하여 용접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둥굴게 해서 배럴 구성편(32)의 단부(32a)끼리 맞대어서 용접하여 후방에서 보아 대략 O형으로 형성하는 압착부(30)는,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구성편(32)의 대향단부(32a)들을 맞댄 길이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봉지부(30c)에서 압착부(30)의 전방을 완전히 밀봉하는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압착부(30)를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압착부(30)의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대향단부(32a)끼리 저면 측에서 맞대어지도록 해서 구부려서 원통형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원통형의 전방 부분을 상면 측에서 저면 측에 꽉 눌러서 대략 평판 모양이 되도록 변형시킨다. 그리고, 원통형의 대향 단부(32a)끼리를 맞댄 길이방향(X)의 길이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고(도2(c)참조), 그 후,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압착부(30)를 완성한다.
이때,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은, 도 3에 나타내는 가상 평면(P)에서의 동일 평면 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단일 초점의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레이저 용접에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를 이용하였다.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약 1.06~1.08㎛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빛을 이용한 용접이다. 파이버 레이저는 높은 집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높은 용접을 쉽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를 구부려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지부(30c)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변형시킨 압착부(30)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 의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압착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30)를 적어도 구비한 암형 압착단자(10)는, 압착부(30)를, 판재(板材)로 원통형으로 구성하면서 판재를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한 바에 따르면 압착부(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원통형의 압착부(30)의 길이 방향(X)의 전단측을 밀봉함으로써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해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압착부(30) 내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열악화나 노후화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심선(201)에 전해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전해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하면, 압착부(30)를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구부려서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를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는 동시에 원통형의 압착부(30)의 길이 방향(X)의 전단 쪽을 밀봉해서 봉지부(30c)를 구성함으로써,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 (201)을 압착부(30)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또, 압착부(30)의 길이 방향(X)의 전방을, 밀봉한 평판 모양으로 하면서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이 삽입된 압착부(30)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부(30)의 외부로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에 압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미리, 압착부(30)의 길이 방향(X)의 전방을, 밀봉한 대략 평판 모양으로 하면서 동시에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봉지부 (30c)를 구성하기 때문에 원통형의 압착부(30)로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 즉 압착부(30)의 후방 개구부 이외가 밀봉되어 있고, 알루미늄 심선(201)이 삽입된 압착부(30)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부(30)의 외부에 노출하는 것이 아닌 지수성이 있는 감싼 상태에 압착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30)를 구비한 암형 압착단자(10)의 제조 방법으로서,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를 구부려서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X)의 전방(前方)을 밀봉하는 평판 모양으로 변형해서 원통 모양으로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를 맞대어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는 동시에 평판 모양으로 변형한 봉지부(30c)를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으로서 용접해서 압착부(30)를 구성함으로써,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구부려서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X)의 전방을 밀봉하는 평판 모양으로 형상 가공하는 프레스 가공 공정과,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의 용접 공정을 이 순서로 행하기 위해 보다 효율적으로 암형 압착단자(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가상 평면(P) 상에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장치가 쉽게 이동하여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압착부(30)를, 압착면(31)과, 압착면(31)의 폭 방향 양쪽에서 연장되는 배럴 구성편(32)으로 구성하고, 배럴 구성편(32)을 구부려서 단면 환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배럴 구성편(32)의 마주 놓인 대향 단부(32a)끼리 맞대고, 맞댄 부분을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함으로써 압착면(31)과 배럴 구성편(32)으로 단면 환상의 압착부(30)를 구성하는 동시에 배럴 구성편(32)의 대향하는 대향 단부(32a)들로 인한 맞대어진 부분을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으로서 용접함으로써 확실히 밀봉된 압착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용접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수행함으로써 빈틈없는 압착부(30)을 구성하고, 압착 상태에서 압착부(30)의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다른 레이저 용접에 비해 초점을 극소 스포트로 맞출 수 있어서, 고출력 밀도의 레이저 용접을 실현할 수 있으면서 연속 조사 가능하다. 따라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가진 용접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암형 압착단자(10)에 피복 전선(200)을 접속해서 구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1)에 관해서 설명한다. 압착 접속 구조체(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굽힘 가공하면서 동시에 전단부(前端部)를 평판 형상으로 변형시킨 봉지부(30c)에 의해 전방(前方)이 밀봉된 압착부(30)에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해서 구성한다(도 1 (c) 참조).
상세하게는,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보다 선단 측에서 노출되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전선 노출부(201a)의 선단(201aa)의 길이 방향(X)의 위치가 압착부(30)의 봉지부(30c)보다 후방이 되도록, 피복 전선(200)을 압착부(30)에 배치한다.
그리고, 전선 노출부(201a)의 선단(201aa)에서,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202a)보다 후방까지를, 도 1 (c)에서와 같이, 일단, 압착부(30)에서 압착해서 일체적으로 둘러싼다.
이에 따라, 압착부(30)는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 및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의 표면에 대해서 밀착한 상태로 압착한다.
또한, 압착부(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하면서 동시에 압착부(30)의 밀봉부(30c)를 평판 모양으로 변형하고,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기 때문에, 이 압착 상태에서는, 압착부(30)의 전방 및 외부에서 압착부(30) 내부에 물이 침입하지 않는 수분 방지 성능을 실현한다.
또, 피복 압착 범위(30a)의 내측에 형성한 피복용 걸림홈(33a)에,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이 파고들기 때문에, 압착부(30) 후방에서의 수분 방지 성능도 향상한다.
따라서, 압착 상태에서는, 압착부(30)의 높은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와 압착부(30) 내면과 밀착한 접촉 부분에 물이 닿지 않다.
또, 알루미늄 심선(201)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압착부(30)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하고 있어서 구리 선의 의한 심선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알루미늄 심선(201)에 전해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전해 부식을 원인으로서 전기 저항이 상승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전성이 안정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연선, 단선, 평각선 등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암형 압착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서 확실하고 강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구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1)는, 도시가 생략된 커넥터 하우징에 암형 압착단자(10)를 장착함으로써, 확실한 도전성을 가진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암형 압착단자(10)로 구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1)를, 암형의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하고, 암형 커넥터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하면서 동시에 수형 압착 단자(도시생략)로 구성된 압착 접속 구조체(도시생략)를 수형의 커넥터 하우징(도시생략)에 장착하고, 수형 커넥터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끼리 전기적 물리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 하우징에는, 압착단자(10)와 피복 전선(200)을 접속한 압착 접속 구조체(1)를 장착하고 있어서,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심선(201)은, 압착부(30)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외부에 노출하지 않아서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서 외기에 노출되더라도 압착부(30) 내부의 알루미늄 심선(201)과 압착 단자(10)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확실히 도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암형 압착단자(10)에서의 압착부(30)에 의해, 피복 전선(200)과 암형 압착단자(10)를 접속한 압착 접속 구조체(1)는, 암형 압착단자(10)의 압착부(30)에 의한 둘러싸서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착 접속 구조체(1)를 구성할 수 있어서 안정된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압착 접속 구조체(1)에서의 암형 압착단자(10)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는, 암형 압착단자(10)와 알루미늄 심선(201)을 구성하는 금속 종류에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한 채 암형 압착단자(10)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의 커넥터와 수컷형 커넥터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암형 압착단자(10)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한 채 각 커넥터의 암형 압착단자(10)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암형 압착단자(10)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는 배럴 구성편(32)의 안팎 면에 대해서 직각인 단면이며, 대향단부(32a)끼리 맞대도록 하여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했지만, 도 4에서와 같이, 배럴 구성편(32)의 안팎 면에 대해서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단면(32b)을 대향시켜 맞대어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해도 좋다. 이 경우, 경사 단면(32b)들이 폭 방향으로 퍼져도 경사 단면(32b)들 중 일부는 배럴 구성편(32)의 앞팎 방향으로 겹쳐 있어서, 확실히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할 수 있다.
게다가, 도 4 (b)와 같이, 배럴 구성편(32)의 판 두께의 절반 정도의 두께의 오목한 부분을 갖춘 갈고랑이 모양으로 형성한 갈고랑이 형상 단면(32c)끼리 맞대어서 용접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한 뒤,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봉지부(30c)를 밀봉했지만, 도 5 (a)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연속하여 일필휘지로 용접해도 좋다.
이렇게 용접함으로써,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용접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연속적으로 용접함으로써 용접 시작 부분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용접 비드 초기 형성시, 즉 녹기 시작했을 때는 비드가 아직 판 두께에 대해 관통까지는 이르지 않은 경우가 있어서, 그때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해서 선대칭의 두 개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을 용접하는 등의 연구를 한다.
그 밖의 방법으로서는, 출력 파형을 제어하여, 처음만 출력을 높이는 방법이나 소인 속도를 제어하여 처음만 속도를 떨어뜨리는 방법 등이 상정된다.
게다가, 도 5 (b)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한 후에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할 때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걸치듯이 폭 방향(Y)의 중앙 쪽에서 폭 방향 바깥을 향하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해서 선대칭인 두 개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을 용접해도 좋다. 이처럼,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 대신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해서 선대칭인 2개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을 용접함으로써 용접 부족의 발생의 우려가 적고,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확실한 용접을 실현할 수 있다.
같은 이유에 의해, 도시는 생략하지만,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도 길이 방향(X)의 중앙 부근에서 일단 측을 향해서 용접하고, 그 후 길이 방향(X)의 중앙 부근에서 타단 측을 향해 용접해도 좋다. 이때, 용접 시작 위치를 오버랩시킴으로써 용접 부족 발생의 우려가 적고,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확실한 용접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 6(a),(b)에서와 같이, 배럴 구성편(32)의 단부에 형성한 대향 접촉면(32d)끼리를 맞대게 하고, 대향 접촉면부(32d)의 맞댐 부분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으로서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해도 좋다. 또한, 대향 접촉면부(32d)는, 배럴 구성편(32)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보다 넓은 대향 면이다. 이 경우, 도 6 (c)와 같이 면 접촉하는 대향 접촉면부(32d)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서의 수분 방지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대향 접촉면부(32d)는, 배럴 구성편(32)의 단부를 지름 바깥쪽으로 굽힘 가공해서 형성해도 좋고, 미리 배럴 구성편(32)의 다른 부분보다 두텁게 형성해도 좋다.
이처럼 맞대어진 부분을 배럴 구성편(32)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진 대향 접촉면부(32d)끼리 맞대게 함으로써, 가령, 맞대기 용접에 의해 맞댐 부분이 얇아진 경우에도 용접 부분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알루미늄 심선(201)의 압착 등으로 용접 부분이 변형되어도 충분한 용접 강도, 즉 충분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예를 들면, 다른 부분보다 지름 내측으로 돌출하는 대향 접촉면부(32d)인 경우, 압착 상태에서, 대향 접촉면부(32d)의 다른 부분보다 지름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알루미늄 심선(201)을 파고 들어서 도통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도 8 (a)에서와 같이, 압착부(30)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32)의 다른 부분보다 지름 안쪽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대향 접촉면부(32d)라도 좋고, 반대로 지름 밖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대향 접촉면부(32d)(도 8 (b) 참조), 혹은 지름 내측과 지름 외측 양쪽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대향 접촉면부(32d)(도 8 (c) 참조)라도 좋다. 이처럼, 다양한 양태의 대향 접촉면부(32d)라도 전술한 대향 접촉면부(32d)에 의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를 맞대어서 대향 단부(32a)의 맞댄 부분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으로서 길이 방향(X)으로 용접했지만, 도 7 (a), (b)와 같이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들이 겹쳐지도록 해서 대향 단부(32a)의 겹쳐진 부분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으로서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해도 좋다. 이 경우, 도 7 (c)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겹쳐진 대향 단부(32a)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일체화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서의 수분 방지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착부(30)를 알루미늄 심선(201)을 재치(載置)한 압착면(31)과, 압착면(31)의 폭 방향 양측에서 연장되는 배럴 구성편(32)으로 구성하고, 배럴 구성편(32)를 구부려서 단면 환상(環狀)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배럴 구성편(32)의 대향하는 대향 단부(32a)끼리 겹쳐지게 하고, 겹친 곳을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함으로써, 압착면(31)과 배럴 구성편(32)으로 단면 환상의 압착부(30)를 구성하면서 동시에 배럴 구성편(32)의 대향하는 대향 단부(32a)끼리 겹쳐지게 한 겹쳐진 부분을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함으로써 확실히 밀봉된 압착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배럴 구성편(32)의 양단부 중 한쪽 단부의 지름 외측면과, 다른 쪽 단부의 지름 내측면에 테이퍼 면을 형성한 테이퍼 단부(32e)로 이루어지고, 도 8 (d), (e)에서와 같이 테이퍼 단부(32e)에서의 테이퍼끼리 지름 방향으로 맞대고, 환언하면 테이퍼 단부(32e)를 겹치게 하여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으로서 용접해도 좋다. 테이퍼 단부(32e)에 따른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은 도 8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구성편(32)의 판 두께에 대해 1장보다 두껍고, 2장보다 얇은 두께로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배럴 구성편(32)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경사 단면(32b)으로 겹쳐진 부분을 구성함으로써, 겹쳐진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충분히 용접할 수 없는 문제를 줄여서 확실하게 용접하여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배럴 구성편(32)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테이퍼 단부(32e)를 겹쳐지게 하면서 동시에 겹쳐진 부분을 배럴 구성편(32)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함으로써, 용접에 의해 겹쳐진 부분이 얇아진 경우에도 용접 부분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알루미늄 심선(201)의 압착 등으로 용접 부분이 변형해도 충분한 용접 강도, 즉 충분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암형 압착단자(10)의 저면 측에서, 길이 방향 용접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가상 평면 P상에서 용접했지만, 암형 압착단자(10)의 상면 측에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는 경우, 도 9 (a)에서와 같이,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구부려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원통형의 꼭대기 부분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으로서 일단 용접한다. 그리고, 원통형의 전방(前方)을 저면 측을 향해 찌부러지도록 하여서 평판 모양으로 변형시켜서 봉지부(30c) 형태를 만들어 봉지부(30c)의 위쪽에서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한다(도 9 (b) 참조). 이렇게, 일단 원통형의 꼭대기 부분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으로서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함으로써, 도 9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변형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는 경우에 비해 레이저 용접에서의 초점 조정이 쉬워져 효율적으로 압착부(30)를 용접해서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30)를 구비한 암형 압착단자(10)의 제조 방법으로서,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구부려서 원통 모양으로 구성한 뒤,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를 맞댔다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고, 그리고 길이 방향(X)의 전방을 밀봉하는 평판 모양으로 변형한 뒤, 평판 모양으로 변형한 봉지부(30c)를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함으로써 수분 방지 성능이 높은 압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암형 압착 단자(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높은 방향으로 변화하는 용접을 해도 좋고, 이 경우 다양한 형상의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압착부(30)를 구성할 수 있어 범용성이 향상된다.
상술하면, 도 11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하여서 길이 방향(X)의 전단(前端) 부분을 찌부러뜨려서 봉지부(133)를 포함한 배럴부(130)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둥글게 하여서 맞대어진 단부(130a)끼리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3)을 따라서 용접하면서 동시에 봉지부(133)에 있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4)을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해 배럴부(130)를 완성시킨다.
또, 도 2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의 저면 측에서 단부(130a)끼리 맞대도록 해서 용접해도 좋고, 도 11 (a), (b)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의 상면 측에서 단부(130a)들을 맞대어서 용접해도 좋다.
게다가, 도 11 (c)에서와 같이, 압착 상태에 있어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를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원형 모양으로 압착하고, 심선 압착부(132)를 알루미늄 심선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U자 모양으로 압착해도 좋다.
또, 압착 단자(100)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띠 모양의 캐리어(K)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럴부(130)를 용접한 후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할 때, 또는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한 뒤, 커리어(K)에서 분리해도 좋지만, 캐리어(K)에서 분리된 상태로 압착단자(100)를 형성하여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해도 좋다.
또, 평판 모양의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구부려 가공하여서 원통 모양으로 구성한 뒤, 원통 모양의 전방을 대략 평판형태로 변형시켜서 봉지부(30c)를 구성하지 않고, 도 10에서와 같이, 압착부(30)에 대응하는 부분에 후방이 개방된 후방에서 보아 반원모양이고, 평면에서 보아 포탄 모양의 중공(中空) 볼록부(34)를 가지는 두 장의 판재를, 중공 볼록부(34)의 중공 부분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겹치게 하고, 중공 볼록부(34)의 평면에서 보아 바깥쪽을, 중공 볼록부(34)를 감싸듯이, 길이방향(X) 및 폭 방향(Y)를 조합한 연속 용접 부분(W3)을 용접해서, 압착부(30)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중첩시키는 판재는, 도시가 생략되는 부분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꺾어 구부려서 판재 부분을 겹치게 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별도 부품의 판재를 겹치게 하여서 구성해도 좋다. 게다가, 중공 볼록부(34)는, 적어도 한쪽의 판재에 있으면, 압착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30)를 구비하는 암형 압착단자(10)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한쪽에, 길이 방향(X)의 전방(前方)이 밀봉된 중공의 중공 볼록부(34)를 가진 판재를 겹치게 하고, 중공 볼록부(34)의 외측에서 중공 볼록부(34)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 (X) 및 폭 방향(Y)의 연속 용접 부분(W3)을 용접해서 압착부(30)을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중공의 오목부의 형상을 알루미늄 심선(201)의 지름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부(30)에 삽입한 압착 상태에서 틈새가 적고 수분 방지 성능이 높은 압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암형 압착단자(10)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직경이 가는 알루미늄 심선(201)이라도, 틈새가 적고 수분 방지 성능이 높은 압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암형 압착 단자(1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체 부분은,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압착 단자는, 암형 압착 단자(10)에 대응하고,
단면 중공 형상은, 원통 형상에 대응하고,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은, 길이 방향(X)의 전방에 대응하고,
봉지(封止)형상은, 평판 형상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은, 폭 방향(Y)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은, 폭 방향 용접 부분 (W2(W2a))에 대응하고,
동일 평면상(平面上)은, 가상 평면(P)에 대응하고,
연장 압착편은, 배럴 구성편(32)에 대응하고,
단부(端部)는, 대향 단부(32a)에 대응하고,
단면(端面)은, 대향 접촉면부(32d)에 대응하고,
접속 구조체는, 압착 접속 구조체(1)에 대응하고,
볼록부는 중공 볼록부(34)에 대응하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나는 기술 사상을 토대로 응용할 수 있고,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형 압착단자(10)의 압착부(30)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금속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심선(201)에 압착 접속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비금속 이외에,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으로 된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해도 좋고,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구성의 압착부(30)는, 압착 상태에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지금까지 선간(線間) 수분 방지를 위해 압착 후에 씰링 등이 필요한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심선으로 구성하는 피복 전선을 접속해도 좋다.
또, 압착면(31)의 폭 방향(Y)의 양측에 배치한 배럴 구성편(32)과, 압착면 (31)을 둥글게 해서 배럴 구성편(32)의 대향 단부(32a)끼리 용접해서 원통형으로 구성했지만, 압착면(31)의 폭 방향(Y)의 한쪽에만 배럴 구성편(32)를 배치해서 압착면(31) 및 배럴 구성편(32)을 둥글게 해서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압착면(31)과 배럴 구성편(32) 단부끼리 용접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2는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하는 맞대기 압착부(430)를 가진 암형 압착 단자(410)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13은 맞대기 압착부(430)의 맞대기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맞대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15는 맞대기 압착부(430)을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432)의 대향 단부(432a)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맞대기 용접에서의 소인 방법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 (a)는 폭 방향 중앙에서 분단한 암형 압착 단자(410)의 종단 사시도, 도 12 (b)는 암형 압착 단자(4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 도 12(c)는 맞대기 압착부(430)에서 피복 전선(200)을 압착한 압착 상태인 압착 접속 구조체(401)의 사시도, 도 12(d)는 봉지부(430c)를 형성하지 않은 암형 압착 단자(4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 (a)는, 박스부(420)를 투과 상태로 한 암형 압착 단자(410)의 저면 측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3 (b)는 도 13 (a)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5 (a) 맞대기 용접이 완료된 맞대기 압착부(430)의 단면도를 제시하고 도 15 (b)는 맞대기 용접이 완료된 맞대기 압착부(4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5 (c)는 맞대기 용접이 불완전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6 (a)는 맞대기 용접하는 맞대기 압착부(4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6 (b)는 폭 방향(Y)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의 1회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6 (c)는 폭 방향(Y)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의 2회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6 (d)는 폭 방향(Y)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의 직사각형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6(e)는 폭 방향(Y)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의 삼각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6(f)는 폭 방향(Y)에 대한 맞대기 용접의 나선 소인에 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 접속 구조체(401)는, 피복 전선(200)을 암형 압착 단자(410)에 접속해서 구성하고 있다. 즉, 피복 전선(200)에서의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202a)에서 노출하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암형 압착 단자(410)의 맞대기 압착부(430)에 압착 접속한다.
암형 압착 단자(410)에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수지로 구성하는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해서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가 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선을 꼬아서 구성했다.
아래에서는 암형 압착 단자(410)에 관해 상술한다.
암형 압착 단자(410)는 길이방향(X)의 선단 측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도시가 생략된 수형 단자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420)와, 박스부(420)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 트랜지션부(440)를 통해 배치된 맞대기 압착부(430)를 일첼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박스부(420)와 맞대기 압착부(430)로 구성하는 암형 압착 단자(410)로 하였지만, 맞대기 압착부(430)를 가지는 압착 단자라면,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410)의 박스부(420)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과 맞대기 압착부(430)로 구성하는 수형 압착 단자라도 좋고, 또 맞대기 압착부(430)만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묶어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길이방향(X)란, 도 12에서와 같이, 맞대기 압착부(430)를 압착해서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폭 방향(Y)는 길이방향(X)에 대해 거의 수평인 평면 방향에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 맞대기 압착부(430)에 대한 박스부(420) 측을 전방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420)에 대한 맞대기 압착부(430) 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 암형 압착 단자(410)는,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0.1~0.6mm의 판 두께의 황동 등의 구리 합금 스트립(미도시)을, 평면 전개한 단자(端子) 형상으로 뚫은 후, 중공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420)와 후방에서 보아 O형의 맞대기 압착부(430)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단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면서 맞대기 압착부(4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해서 구성한 클로즈 배럴 형식의 단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0.25mm의 판 두께의 구리 합금 스트립의 표면을 주석 도금(Sn도금)해서 이용하고, 맞대기 압착부(430)는 내경(內徑) φ3mm의 통(筒) 모양으로 구성한다.
박스부(420)는, 넘어진 사각 기둥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길이방향(X)의 후방을 향해 구부러져,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 편(42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중공 사각 기둥체인 박스부(420)는, 저면부(422)의 길이방향(X)과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양측부에 연장 설치된 측면부(423)를 꺾어 구부려, 길이방향(X)의 선단측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하고 있다.
압착 전의 맞대기 압착부(430)는, 도 12 (b)에서와 같이, 압착 저면(431) 및 압착 저면(431)의 폭 방향(Y)의 양측에 연장된 배럴 구성편(432)을 둥글게 해서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게 하여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배럴 구성편(432)의 길이방향 길이는, 절연 피복(202)의 길이 방향(X) 전방 측의 선단인 피복 선단(202a)에서, 길이 방향(X)의 전방에서 노출되는 전선 노출부(201a)의 길이 방향(X)의 노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다.
맞대기 압착부(430)는, 절연 피복(202)을 압착하는 피복 압착 범위(430a)와,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압착하는 전선 압착 범위(430b)를 일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전선 압착 범위(430b)에서 전방 단부를 거의 평판 형태로 찌부러지도록 변형시켜 폭 방향(Y)으로 용접해서 봉지부(430c)(도 13 참조)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맞대기 압착부(430)을 형성하는 용접에 관해서, 도 14와 함께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압착 바닥면(431) 및 배럴 구성편(432)을 둥글게 하여서 배럴 구성편(432)의 대향 단부(432a)들을 맞대게 해서, 용접하여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하는 맞대기 압착부(430)는, 도 14에서와 같이, 배럴 구성편(432)의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게 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봉지부(430c)로 맞대기 압착부(430)의 전방을 완전히 밀봉하는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맞대기 압착부(430)를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맞대기 압착부(430)의 압착 바닥면(431) 및 배럴 구성편(432)을, 대향 단부(432a)들이 저면 측에서 맞대어지도록 해서 둥글게 하여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원통형의 전방 부분을 상면측에서 저면측으로 눌러 붙여서 평판 모양이 되게 변형시킨다. 그리고, 원통형의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게 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고(도 13 (a) 참조), 그 후, 폭 방향 (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맞대기 압착부(430)를 완성한다.
이때,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은, 도 14에 나타내는 가상 평면(P)에서의 동일 평면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단일 초점의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용접은,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로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실시한다.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약 1.06~1.08㎛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한 용접이다. 파이버 레이저 빔은, 이상적인 가우스 빔이며, 회절 한계까지 집광 가능한, 즉 파이버 레이저는 높은 집광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YAG레이저나 CO2레이저에서는 곤란한 30㎛이하의 집광 스포트 지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용접을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1.08㎛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빔을 집광 스폿 지름이 20㎛이 되도록 초점을 맞춤으로써 출력 밀도가 380MW/㎠이 되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90~300mm/sec의 소인 속도로 행한다.
상기 출력 밀도나 소인 속도는 상기 값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출력 밀도와 소인 속도는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어, 예를 들어 출력 밀도를 높이면, 소인 속도도 올릴 수 있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의 파이버 레이저 빔의 발진 형태로서는, 연속 발진하는 연속 발진 레이저(이하에서 CW레이저), 펄스 발진하는 펄스 발진 레이저, 혹은 연속 발진하는 CW레이저를 펄스 제어하는 레이저가 있다, 어느 발진 형태로 용접하여도 좋지만, 밀봉성이 높은 CW레이저로 용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런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용접은, 도 15(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대기 압착부(430)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432)을 관통하는 관통 용접을 행함으로써 맞대기 압착부(430)에서의 용접 부분W(W1,W2)의 안팎 양면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가 형성된다.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는, 적어도 맞대기 압착부(4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 접속하기 위해 압착 변형하는 전선 압착 범위(430b)에 형성하면 되지만, 물론 피복 압착 범위(430a)나 봉지부(430c)에 형성되어도 좋다.
게다가, 봉지부(430c)에서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은, 압착 후에 레이저 용접을 하고 있어, 압착 응력에 견딜 필요가 없고, 미 관통 용접에서도 겹침부가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있으면 밀폐성이 충족되기 때문에 관통 용접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용접 부분의 안팎 양면에 용접 비드(V)가 형성되는 관통 용접에 대해서 미 관통 용접은 용접 불량을 발생시키기 쉽고 미 용접부 틈새를 통한 수분 침입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있고, 또 겹침부를 연속적으로 용접하고 있는지도 외관에서 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봉지부(430c)에서 폭 방향(Y)으로 용접하는 폭 방향 용접 부분(W2)도 용접 비드(V)가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관통 용접하는 것이 좋다.
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은, 맞대기 압착부(430)의 길이 방향(X)을 따라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한 소인 방향(S)에서 용접한다. 또한, 박스부(420)와 맞대기 압착부(4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를 연속해서 용접을 수행한다. 자세하게는, 도 1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구성편(432)의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어진 맞대기 부분이 길이 방향(X)을 따른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되어,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서 조사된 파이버 레이저 빔을,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어진 부분에 초점을 두어, 도 16 (b)와 같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따라서 길이 방향(X)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용접한다.
또한,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의 소인 방향(S)은, 길이 방향(X)을 따른 한 방향이라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소인 방향이라도 좋다.
게다가, 길이 방향(X)을 따른 일 방향이라도, 도 16과 같이, 다양한 소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16 (b)에서와 같이, 대향 단부(432a)들의 맞대기 부분 위, 즉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위를 길이 방향(X)를 따라서 소인해도 좋지만(아래에서는 기본 소인 S1), 도 16 (c)과 같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서 약간 소인 축을 빗겨나게 해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사이에 두도록 두 번 소인해도 좋다(이하에서는 2회 소인 S2). 덧붙여, 2회 소인 S2는, 도 16 (c)에서와 같이 2회의 소인과 함께 길이 방향(X)의 후방에서 전방처럼 한 방향으로 소인해도 좋지만, 첫 소인 후, U턴 해서 두 번째를 반대 방향으로 소인해도 좋다.
또, 한 번의 소인이라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해서 폭 방향(Y)의 소인과 길이 방향(X)의 소인을 번갈아 반복해서, 전체로서 길이 방향(X)으로 소인하는 직사각형 소인(S3)(도 16(d) 참조),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의 지그재그 형태로 소인하고, 전체로서 길이 방향(X)으로 소인하는 삼각 소인(S4)(도 16(e)참조), 혹은 소인 방향 후방 측에 거의 원형을 그리며 소인 방향 전방으로 소인하는 나선 소인(S5)(도 16(f)참조)이라도 좋다.
이처럼, 상술한 2회 소인(S2), 직사각형 소인(S3), 삼각 소인(S4), 혹은 나선 소인(S5)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위를 소인하는 기본 소인(S1)에 대해서 폭 방향(Y)으로도 소인하기 때문에, 폭 방향(Y)에서의 폭을 넓힌 용접 비드(V)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길이 방향(X)에 대해서 맞대기 부분이 폭 방향(Y)으로 흔들리는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폭 방향(Y)의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V)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410)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401)와, 수형 압착 단자(미도시)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401a)를,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 (Hc)에 각각 장착한 예를, 도 1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압착 접속 구조체(401)는, 암형 압착 단자(410)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이며, 압착 접속 구조체(401a)는 수형 압착 단(端)을 이용한 접속 구조체이다.
상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401,401a)를, 커넥터 하우징(Hc)의 각각에 장착함으로써, 확실한 도전성을 구비한 암형 커넥터(Ca)와 수형 커넥터(Cb)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암형 커넥터(Ca)와 수형 커넥터(Cb) 양쪽이 와이어 하니스H(Ha,Hb)의 커넥터인 예를 나타내지만, 한쪽을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 다른 쪽을 기판이나 부품 등의 보조기의 커넥터로서도 좋다.
자세하게는, 도 17에서와 같이, 암형 압착 단자(410)로 구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401)를, 암형의 커넥터 하우징(Hc)에 장착해서, 암형 커넥터(Ca)를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a)를 구성한다.
또, 수형 압착 단자로 구성된 압착 접속 구조체(401a)를, 수형 커넥터 하우징(Hc)에 장착하고, 수형 커넥터(Cb)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301b)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암형 커넥터(Ca)와 수형 커넥터(Cb)를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301a)와 와이어 하니스(301b)를 접속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Hc)에 압착 접속 구조체(401)의 암형 압착 단자(410)를 장착한 커넥터(C(Ca,Cb))는,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401)의 암형 압착 단자(410)와, 압착 접속 구조체(401a)의 수형 압착 단자는,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맞대기 압착부(430)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뒤덮여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밀봉 구조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Hc)의 내부에서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도, 전해 부식에 의해 도전성이 저하되지 않고, 압착부(430)의 내부에서의 알루미늄 심선(201)과 암형 압착 단자(410)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연결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맞대기 압착부(430)를 구비한 암형 압착 단자(410)에서의 맞대기 압착부(430)를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판재의 폭방향에서의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어서,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게 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서 압착 변형하는 전선 압착 범위 (4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맞대기 압착부(4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확실히 압착하면서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암형 압착 단자(41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압착 변형된 전선 압착 범위(4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가 형성된다는 것은,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의 적어도 대부분이 용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단면 중공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대향 단부(432a)끼리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한 맞대기 압착부(430)의 용접 부분은, 맞대기 압착부(4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한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압착 변형에 의해 파단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맞대기 압착부(430)에서 확실히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여,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斷面) 전역에 있어서 용접되기 때문에 맞대기 압착부(4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해서 보다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균열의 기점이 없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단면에 있어서, 도 15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 용접 부분이 형성되면, 압착시에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중앙 수직 방향 아래에서 상부를 향하는 듯한 균열의 기점이 되기 쉽지만, 관통 용접에 의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단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균열의 기점이 발생하지 않고 충분한 내력을 가진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맞대기 압착부(430)에서 더 확실히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여 보다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 봉지부(430c)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지부(430c)를, 폭 방향(Y)으로 용접해서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이 삽입된 맞대기 압착부(430)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나 알루미늄 심선(201)을 맞대기 압착부(430)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고,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기 위해 맞대기 압착부(430)를 압착 변형시켜도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중 적어도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서 압착 변형하는 전선 압착 범위(4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가 형성되고, 압착 변형에 의해 용접이 파단되지 않고, 또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폭 방향(Y)으로 용접하기 위해 단면 중공 형상의 맞대기 압착부(430)로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는 삽입 개소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맞대기 압착부(430) 내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화나 노후화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심선(201)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미리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방향(X)의 전방 측에 형성한 봉지부(430c)를 폭 방향(Y)으로 용접해서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맞대기 압착부(430)로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심선(201)이 삽입된 맞대기 압착부(430)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나 알루미늄 심선(201)을 맞대기 압착부(430)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알루미늄 심선(201)을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캡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확실히 맞대기 압착부(430)에 압착된 알루미늄 심선(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다.
또,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거의 동일 평면상에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 (Fw)를 쉽게 이동시켜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므로, 안정된 용접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상기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인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가로 세로 비가 높은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재료의 변형이 적은 용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는 집광성이 높고, 평균 출력 밀도가 높다. 따라서, 확실한 용접 상태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주변의 모재(母材)의 재료 조직이 재료 자체의 강도(경도)일 경우, 부드러운 조직인 용접 부분과 모재 조직(단단한 조직)의 경계면에 응력이 집중해서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지만,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주위는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이저 용접에 의한 열 영향에 의해, 모재보다 부드러운 조직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주변이 바닥면을 향해 부드러운 조직에서 단단한 조직이라는 온화한 배향이 되기 때문에, 압착시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파단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암형 압착 단자(410)를, 표면이 Sn 도금된 구리 합금 스트립으로 구성하고 있어서, 표면의 Sn 도금이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행할 때의 흡광재의 역할을 발휘해서, 레이저 빔의 흡수가 증가하여 효율적으로 용접할 수 있다.
또, 암형 압착 단자(410)의 맞대기 압착부(430)에 의해, 피복 전선(200)과 암형 압착 단자(410)을 접속한 압착 접속 구조체(401)는, 암형 압착 단자(410)의 맞대기 압착부(430)에 의해 둘러싸서 압착하면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알루미늄 심선(201)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할 수 있으면서,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하여 충분한 도전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압착 접속 구조체(401)에서의 암형 압착 단자(410)를 커넥터 하우징(Hc) 내에 배치한 커넥터(C)는,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한 채 압착 접속 구조체(401)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의 커넥터(C)과 수형 커넥터(C)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C)의 커넥터 하우징(Hc) 내에 배치한 암형 압착 단자(410)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한 채 각 커넥터(C)의 암형 압착 단자(410)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실한 도전성을 구비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체 부분은,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해서,
아래와 마찬가지로,
압착부는, 맞대기 압착부(430)에 대응하고,
압착 단자는, 암형 압착 단자(410)에 대응하고,
단부는, 대향 단부(432a)에 대응하고,
맞대기 부분 및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은, 폭 방향(Y)에 대응하고,
압착 변형하는 부분은, 전선 압착 범위(430b)에 대응하고,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은, 폭 방향 용접 부분(W2)에 대응하고,
접속 구조체는, 압착 접속 구조체(401)에 대응하는데,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내는 기술 사상을 토대로 응용할 수 있어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박스부(420), 트랜지션부(440) 및 맞대기 압착부(430)가 이 순서로 배치된 암형 압착 단자(410)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맞대기 압착부(430)만으로 구성하는 압착 단자라도 좋다.
상술한 판재의 폭 방향에서의 대향 단부(432a)들의 맞대기는, 판재의 대향 단부(432a) 측면뿐만 아니라, 대향 단부(432a) 측면을 경사지게 한 경사 측면, 혹은 판재의 두께 이상 높이를 가지는 면을 구성한 측면끼리의 맞대기로 할 수 있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서 파이버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했지만, 전자 빔을 조사해서 용접해도 된다.
게다가, 도 12 (d)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맞대기 압착부(430)에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한 뒤, 압착할 때에 맞대기 압착부(430)의 전방을 봉지(封止) 형상으로 형성해서 봉지부(430c)를 형성해도 좋다. 또,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봉지부(430c)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지 않고, 맞대기 압착부(430)의 전방을 봉지 형상으로 형성할 뿐, 혹은 봉지부(430c)의 내부에 수지 등의 봉지재를 개재시켜서 밀봉해도 좋다.
또한, 맞대기 압착부(430)에서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는 도 18(a)에서와 같이 맞대기 압착부(430)에 있어서, 배럴 구성편(432)의 대향 단부(432a)끼리를 맞대게 해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서의 통 모양으로 구성하는 맞대기 압착부(430)에 있어서, 대향 단부(432a)끼리 밀착하지 않고,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서의 스폿 지름 이하의 틈새이면, 대향 단부(432a)들 사이에 틈새가 있는 상태로 맞대어서, 길이 방향(X)으로 파이버 레이저 용접하고, 용접 비드(V)를 형성해도 좋다.
또, 도 18 (b) 내지(d)에서와 같이, 지름 내외 방향으로 돌출시킨 두께가 두꺼운 대향 단부(432a)끼리 맞대어서 용접해도 좋다. 이처럼 대향 단부(432a)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맞대기 부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의 두께가 두꺼워져 용접 부분의 강도가 향상한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하여서 단부(432a)끼리 맞대게 해서 길이 방향 (X)의 용접 부분(W1)을 따라서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 뒤, 길이 방향(X)의 전단(前端) 부분을 찌부러뜨려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2)을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고, 길이방향(X)의 전단이 봉지부(430c)로 밀봉시키져, 길이 방향 (X)의 후방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배럴부(430)를 형성했지만, 배럴부(430)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인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130)의 형상을 형성하고서, 용접 부분을 용접하여 배럴부(130)를 형성해도 좋다.
상술하면, 도 19 (a)에서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하면서 길이 방향(X)의 전단 부분을 찌부러뜨려 봉지부(133)를 포함한 배럴부(130)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둥글게 해서 맞대어진 단부(130a)끼리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3)을 따라서 용접하면서 동시에 봉지부(133)에 있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4)을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여 배럴부(130)를 완성시킨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430)의 저면 측에서 단부(432a)끼리 맞대게 하여서 용접해도 좋고, 도 19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 (130) 상면 측에서 단부(130a)끼리 맞대어서 용접해도 좋다.
게다가, 도 19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상태에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를,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원형 모양으로 압착하고, 심선 압착부(132)를, 알루미늄 심선에 대해 정면에서 보아 U자 모양으로 압착해도 좋다.
또, 압착 단자(100)는, 도 19에 나타내는 것처럼, 띠 모양의 캐리어(K)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럴부(130)를 용접한 뒤,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할 때, 또는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했을 때, 캐리어(K)에서 분리해도 좋지만, 캐리어(K)에서 분리된 상태로 압착 단자(100)를 형성하여,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금속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심선(201)에 압착 접속하는 사례를 설명했지만, 그 비금속 이외에,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으로 된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해도 좋고,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술한 구성의 압착부(30)는, 압착 상태에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그동안 선간(線間) 수분 방지 때문에 씰링 등이 필요했던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심선으로 구성하는 피복 전선을 접속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 중 일실시 형태를 하기 도면을 토대로 상술한다.
도 20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하는 겹치기 압착부(530)를 가지는 암형 압착 단자(510)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21은 겹치기 압착부(530)에서의 겹치기 용접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22는 겹치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23은 겹치기 압착부(530)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532)의 구성편 단부(532a)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24는 겹치기 용접에서의 소인 방법에 관한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 (a)는 폭 방향 중앙에서 분단된 암형 압착 단자(510)의 종단 사시도, 도 20 (b)는 암형 압착 단자(510)과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 도 20(c)는 겹치기 압착부(530)에서 피복 전선(200)을 압착한 압착 상태인 압착 접속 구조체(501)의 사시도, 도 20 (d)는 봉지부(530c)를 형성하지 않은 암형 압착 단자 (5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 (a)는, 박스부(520)를 투과 상태로 한 암형 압착 단자(510)의 저면 측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1 (b)는 도 21 (a)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3 (a)는 겹치기 용접이 완료된 겹치기 압착부(53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3 (b)는 겹치기 용접이 완료된 겹치기 압착부(530)에서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단면도를 나태내고, 도 23 (c)는 겹치기 용접이 불완전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24 (a)는 겹치기 용접하는 겹치기 압착부(530)에서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4 (b)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1회 소인에 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4 (c)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2회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4 (d)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직사각형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4 (e)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삼각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4(f)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나선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 접속 구조체(501)는, 피복 전선(200)을 암형 압착 단자 (510)에 접속해서 구성한다. 즉, 피복 전선(200)에서의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202a)에서 노출하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를, 암형 압착 단자 (510)의 겹치기 압착부(530)에 압착 접속한다.
암형 압착 단자(510)에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수지로 구성하는 절연 피복(202)로 피복해서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가 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선을 꼬아서 구성했다.
아래에서, 암형 압착 단자(510)에 대해서 상술한다.
암형 압착 단자(510)는, 길이 방향(X)의 선단측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도시가 생략된 수형 단자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520)와, 박스부(520)의 후방에서 소정의 길이 트랜지션부(540)을 통해서 배치된 겹치기 압착부(530)를 일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부(520)와 겹치기 압착부(530)로 구성하는 암형 압착 단자(510)로 했지만, 겹치기 압착부(530)를 가진 압착 단자이라면,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510)에서의 박스부(520)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과 겹치기 압착부(530)로 구성하는 수형 압착 단자라도 좋고, 또 겹치기 압착부(530)만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묶어서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길이 방향(X)이란, 도 20에서와 같이, 겹치기 압착부(530)를 압착해서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폭 방향(Y)은 길이 방향 (X)에 대해서 대략 수평인 평면 방향에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 겹치기 압착부(530)에 대한 박스부(520) 측을 전방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520)에 대한 겹치기 압착부(530) 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 암형 압착 단자(510)는,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0.1~0.6mm의 판 두께의 황동 등의 구리 합금 스트립(미도시)을, 평면 전개한 단자 형상으로 뚫은 후, 중공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520)와 후방에서 보아 O형의 겹치기 압착부(530)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단자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면 동시에 겹치기 압착부(5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해서 구성한 클로즈 배럴 형식의 단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0.25mm의 판 두께의 구리 합금 스트립의 표면을 주석 도금(Sn도금)해서 사용하고, 겹치기 압착부(530)는 내측 φ3mm의 통 모양으로 구성한다.
박스부(520)는, 넘어진 중공 사각 기둥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길이방향(X)의 후방을 향해서 꺾어 구부러져,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521)을 구비한다.
또, 중공 사각 기둥체인 박스부(520)는, 저면부(522)의 길이 방향(X)과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양측으로 연장해서 설치된 측면부(523)를 꺾어 구부려서, 길이 방향(X)의 선단측에서 보아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한다.
압착 전의 겹치기 압착부(530)는, 도 20 (b)와 같이, 압착 바닥면(531) 및 압착 바닥면(531)의 폭 방향 Y의 양측으로 연장된 배럴 구성편(532)을 둥글게 해서 구성편 단부(532a)끼리 겹치게 하여,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배럴 구성편(532)의 길이 방향 길이는, 절연 피복(202)의 길이 방향(X) 전방 측의 선단인 피복 선단(202a)에서, 길이 방향(X)의 전방에서 노출되는 전선 노출부(201)의 길이 방향(X)의 노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겹치기 압착부(530)는, 절연 피복(202)을 압착하는 피복 압착 범위(530a)와,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를 압착하는 전선 압착 범위(530b)를 일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전선 압착 범위(530b)보다 전방(前方) 단부를 대략 평판형태로 짓눌러서 변형시켜, 폭 방향(Y)으로 용접해서 봉지부(530c)(도 21 참조)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겹치기 압착부(530)를 형성하는 용접에 관해서 도 22와 함께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압착 저면(531) 및 배럴 구성편(532)을 둥글게 해서 배럴 구성편(532)의 구성편 단부(532a)끼리 겹치게 해서, 용접하고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하는 겹치기 압착부(530)는 도 22와 같이 배럴 구성편(532)의 구성편 단부(532a)끼리 겹치게 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봉지부(530c)에서 겹치기 압착부(530)의 전방을 완전히 밀봉하는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겹치기 압착부(530)를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겹치기 압착부(530)의 압착 저면(531) 및 배럴 구성편(532)을, 구성편 단부(532a)들이 저면 측에서 겹쳐지도록 해서 구부려서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원통형의 전방 부분을 상면 측에서 저면 측으로 눌러 붙여서 평판 모양이 되게 변형시킨다. 그리고, 원통형의 구성편 단부(532a)끼리 겹쳐지게 한 길이 방향(X)의 겹침 방향을 용접하고(도 21(a)참조), 그 뒤,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고 겹치기 압착부(530)를 완성한다.
이때,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은, 도 22에 나타내는 가상 평면(P)에서의 동일 평면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단일 초점의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용접은,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로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실시한다.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약 1.06~1.08㎛의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한 용접이다. 파이버 레이저 빔은, 이상적인 가우스 빔이며, 회절(回折) 한계까지 집광(集光) 가능하다. 즉 파이버 레이저는 높은 집광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YAG레이저나 CO2레이저로는 곤란한 30㎛ 이하의 집광 스폿 지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용접을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약 1.08㎛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빔을 집광 스폿 지름이 20㎛가 되도록 초점을 맞춤으로써 출력 밀도가 240MW/㎠가 되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100~400mm/sec의 소인 속도로 수행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출력 밀도나 소인 속도는 상기 값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출력 밀도와 소인 속도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출력 밀도를 올리면, 소인 속도도 올릴 수 있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서의 파이버 레이저 빔의 발진 형태로서는, 연속 발진하는 연속 발진 레이저(이하에서, CW레이저라 함), 펄스 발진하는 펄스 발진 레이저, 혹은 연속 발진하는 CW레이저를 펄스 제어하는 레이저가 있으며, 어느 발진 형태로 용접해도 좋지만, 봉지성(封止性)이 높은 CW레이저로 용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용접은, 도 23 (a)에서와 같이, 겹치기 압착부(530)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532)을 관통하는 관통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겹치기 압착부(530)에서의 용접 부분(W)의 안팎 양면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가 형성된다.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는, 적어도 겹치기 압착부(5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 접속하기 위해 압착 변형된 전선 압착 범위(530b)에 형성하면 좋지만, 물론 피복 압착 범위(530a) 및 봉지부(530c)에 형성되어도 좋다.
게다가, 봉지부(530c)에서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은, 압착 후에 레이저 용접을 하며, 압착 응력을 견딜 필요가 없고, 미 관통 용접에서도 겹쳐진 부분이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있으면 밀폐성이 충족되기 때문에 관통 용접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용접 부분의 안팎 양면에 용접 비드(V)가 형성되는 관통 용접에 대해서 미관통 용접은 용접 불량을 발생하기 쉽고, 미 용접부 틈새를 통한 수분 침입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있고, 겹쳐진 부분을 연속적으로 용접하고 있는지도 외관으로부터 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봉지부(530c)에서 폭 방향(Y)으로 용접하는 폭 방향 용접 부분(W2)도, 용접 비드(V)가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관통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은, 겹치기 압착부(530)의 길이 방향(X)을 따라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한 소인 방향(S)에서 용접한다. 또한, 박스부(520)와 겹치기 압착부(5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연속해서 용접한다. 자세하게는, 도 24(a)에서와 같이, 배럴 구성편(532)의 구성편 단부(532a)들이 겹쳐진 겹침 부분이 길이 방향(X)을 따른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되고,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서 조사된 파이버 레이저 빔을 구성편 단부(532a)끼리의 중첩 부분, 즉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상에 집중하여, 도 24 (b)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따라서 길이 방향(X)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용접한다.
또한,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의 소인 방향(S)은, 길이 방향(X)을 따른 한 방향이라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소인 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길이 방향(X)을 따른 한 방향이라도, 도 24에서와 같이, 다양한 소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24(b)에서와 같이, 구성편 단부(532a)끼리의 겹쳐짐 부분인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상을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인해도 좋지만(이하에서는 기본 소인 S1), 도 24 (c)와 같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서 약간 소인 축을 벗어나게 해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사이에 두도록 2회 소인해도 좋다(이하에서는, 2회 소인 S2라 한다). 덧붙여, 2회 소인 S2는, 도 24(c)와 같이 2회의 소인과 함께 길이 방향(X)의 후방에서 전방처럼 한 방향으로 소인해도 좋지만, 첫 소인 후 U턴 해서, 두 번째를 반대 방향으로 소인해도 좋다.
또, 1회의 소인이라 해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해서, 폭 방향(Y)의 소인과 길이 방향(X)의 소인을 번갈아 반복해서, 전체로서 길이 방향(X)으로 소인하는 직사각형 소인(S3)(도24(d) 참조),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에 대해서 사선 방향의 지그재그 모양으로 소인해서, 전체 길이 방향(X)으로 소인하는 삼각 소인 S4(도 24 (e) 참조), 혹은, 소인 방향 후방 측으로 원형을 그리면서 소인 방향 전방으로 소인하는 나선 소인(S5)(도 24 (f) 참조)이라도 좋다.
이처럼 상술한 2회 소인 S2, 직사각형 소인 S3, 삼각 소인 S4, 혹은 나선 소인 S5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상을 소인하는 기본 소인 S1에 대해 폭 방향(Y)으로도 소인하기 때문에, 폭 방향(Y)에서의 폭을 넓힌 용접 비드(V)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겹칩 부분에서의 용접 면적이 증가하고, 밀폐성이 높은 확실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또, 배럴 구성편(532)의 구성편 단부(532a)끼리가 겹쳐진 겹침 부분은 좌우 비대칭 단면 구조이기 때문에 압착시에 관 축 방향에 대해서 비틀린 듯한 형상이 되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전단 응력이 작용하기 쉽지만, 상술한 2회 소인 S2, 직사각형 소인 S3, 삼각 소인 S4, 혹은 나선 소인 S5로 용접함으로써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착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510)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501)와, 수형 압착 단자(미도시)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501a)를,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 (Hc)에 각각 장착한 예를 도 25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압착 접속 구조체(501)는, 암형 압착 단자(510)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이고, 압착 접속 구조체(501a)는 수형 압착단을 이용한 접속 구조체이다.
상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501,1a)를 커넥터 하우징(Hc) 각각에 장착함으로써,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암형 커넥터(Ca)과 수형 커넥터(Cb)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암형 커넥터(Ca)과 수형 커넥터(Cb) 양쪽이 와이어 하니스H(Ha,Hb)의 커넥터인 예를 나타내지만, 한쪽을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 다른 쪽을 기판이나 부품 등의 보조기의 커넥터로 해도 좋다.
자세하게는, 도 25와 같이 암형 압착 단자(510)로 구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 (501)를, 암형의 커넥터 하우징(Hc)에 장착해서, 암형 커넥터(Ca)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301a)를 구성한다.
또, 수형 압착 단자로 구성된 압착 접속 구조체(501a)를 수형 커넥터 하우징 (Hc)에 장착하고, 수형 커넥터(Cb)를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b)를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암형 커넥터(Ca)와 수형 커넥터(Cb)를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301a)와 와이어 하니스(301b)를 접속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Hc)에 압착 접속 구조체(501)의 암형 압착 단자(510)를 장착한 커넥터(C)(Ca,Cb)는,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501)의 암형 압착 단자(510)와, 압착 접속 구조체(501a)의 수형 압착 단자는, 피복 전선(200)에서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맞대기 겹치기 압착부(530)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덮여져 있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봉지(封止)구조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Hc)의 내부에서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도, 전해 부식에 의해 도전성이 저하되지 않고, 압착부(530)의 내부에서의 알루미늄 심선(201)과 암형 압착 단자(510)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암형 압착 단자(510)의 겹치기 압착부(530)를,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판재의 폭 방향에서의 구성편 단부(532a)들을 겹치게 해서, 구성편 단부(532a)들을 겹치게 한 길이 방향(X)의 겹쳐진 부분을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X)에 용접한 겹쳐진 부분 중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전선 압착 범위(5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겹치기 압착부(5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확실히 압착해서, 안정적인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암형 압착 단자(51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전선 압착 범위(5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 V(Va,Vb)가 형성된다는 것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斷面)이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구성편 단부(532a)끼리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한 겹치기 압착부(5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은, 겹치기 압착부(5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한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압착 변형에 의해 파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겹치기 압착부(530)에서 확실하게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여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즉,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Va,Vb))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 전역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겹치기 압착부(5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해서 보다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응력 집중하지 않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단면에 있어서,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된 부분을 모재가 존재하는 미 관통 용접의 경우는 안팎 방향에 있어서, 용접부와 모재의 경도 차이, 압착에 대한 굽힘 가공성 등에 국소적인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압착력이 부가되었을 때 용접 부분에 응력이 부가하여, 파단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버리지만, 관통 용접에 의해 안팎 방향으로 연속적인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형성되기 때문에 파단하기 어려우며, 충분한 내력을 가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겹치기 압착부(530)에서 더 확실히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 (201)을 압착하여, 보다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또,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밀봉하여 봉지부(530c)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폭 방향(Y)으로 용접해서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이 삽입된 겹치기 압착부(530)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나, 알루미늄 심선(201)을 겹치기 압착부(530)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으며,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에 압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기 위해 겹치기 압착부(530)를 압착 변형시켜도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중 적어도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된 전선 압착 범위(5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가 형성되어, 압착 변형에 의해 용접이 파단되지 않고, 또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형성한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X)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겹치기 압착부(530)에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겹치기 압착부(530) 내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어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화나 노후화를 억제할 수 있어, 알루미늄 심선(201)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또, 미리 단면 중공 형상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형성한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길이 방향(X)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530c)를 형성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겹치기 압착부(530)에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는 삽입부분 이외가 밀봉돼 있고, 알루미늄 심선(201)이 삽입된 겹치기 압착부(530)을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나 알루미늄 심선(201)을 겹치기 압착부(530)의 외부에 노출하지 않아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로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알루미늄 심선(201)에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캡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확실하게 겹치기 압착부(530)에 압착된 알루미늄 심선(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은 없다.
또,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거의 동일 평면상에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 (Fw)를 쉽게 이동시켜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므로 안정된 용접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으로서,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가로 세로 비가 높은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재료의 변형이 적은 용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 에너지 밀도 빔을,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함으로써, 고 출력 밀도의 용접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는 집광성이 높고, 평균 출력 밀도가 높다. 따라서, 확실한 용접 상태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암형 압착 단자(510)를, 표면이 Sn 도금된 구리 합금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표면의 Sn 도금이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행할 때의 흡광(吸光)재의 역할을 하여, 레이저 빔의 흡수가 증가하여 효율적으로 용접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510)에서의 겹치기 압착부(530)에 따라, 피복 전선(200)과 암형 압착 단자(510)를 접속한 압착 접속 구조체(501)는, 암형 압착 단자(510)의 겹치기 압착부(530)에 의해 둘러싸서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알루미늄 심선(201)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할 수 있으며,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하여, 충분한 도전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압착 접속 구조체(501)에서의 암형 압착 단자(510)를 커넥터 하우징(Hc) 내에 배치한 커넥터(C)에서는,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한 채 암형 압착 단자(510)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의 커넥터(C)와 수형 커넥터(C)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C)의 커넥터 하우징(Hc) 내에 배치한 암형 압착 단자(510)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한 채 각 커넥터(C)의 암형 압착 단자(510)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체 부분은,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압착부는, 겹치기 압착부(530)에 대응하고,
압착 단자는, 암형 압착 단자(510)에 대응하고
단부는, 구성편 단부(532a)에 대응하고,
겹쳐진 부분 및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은, 폭 방향(Y)에 대응하고,
압착 변형하는 부분은, 전선 압착 범위(530b)에 대응하고,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은, 폭 방향 용접 부분(W2)에 대응하고,
접속 구조체는, 압착 접속 구조체(501)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나는 기술 사상을 토대로 응용할 수 있어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설명에서는, 박스부(520), 트랜지션부(540) 및 겹치기 압착부(530)가 이 순서로 배치된 암형 압착 단자(510)에 관해 설명했으나, 겹치기 압착부(530)만으로 구성하는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서 파이버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했지만, 전자 빔을 조사해서 용접해도 좋다.
게다가, 도 20 (d)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겹치기 압착부(530)에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한 뒤, 압착할 때에 겹치기 압착부(530)의 전방을 봉지 형상으로 형성해서 봉지부(530c)를 형성해도 좋다. 또,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봉지부(530c)를 구성만 아니라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지 않고, 겹치기 압착부(530)의 전방을 봉지 형상으로 형성할 뿐, 혹은 봉지부(530c)의 내부에 수지 등의 봉지재를 개재시켜서 밀봉해도 좋다.
또, 도 26에서와 같이, 겹쳐진 부분을 구성하는 판재의 구성편 단부(532a)를,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하는 동시에 겹쳐진 부분을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함으로써, 겹쳐진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충분히 용접할 수 없는 문제점을 줄이고, 확실하게 용접해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알루미늄 심선(201)의 압착 등으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변형해도 충분한 용접 강도, 즉 충분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하면서 단부(532a)끼리 맞대어서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1)을 따라서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 뒤, 길이 방향 (X)의 전단(前端) 부분을 찌부러뜨려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2)을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여, 길이 방향(X)의 전단이 봉지부(530c)로 밀봉시켜, 길이 방향(X)의 후방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배럴부(530)를 형성했지만, 배럴부(530)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인 도 27에서 나타내듯이 배럴부(130)의 형상을 형성하고서, 용접 부분을 용접하여 배럴부(130)을 형성해도 좋다.
상술하면, 도 2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하면서 길이 방향(X)의 전단부분을 찌부러뜨려서 봉지부(133)를 포함한 배럴부(130)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둥글게 해서 맞대어지는 단부(130a)들을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 (W3)을 따라서 용접하는 동시에 봉지부(133)에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4)을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여 배럴부(130)를 완성시킨다.
또, 도 21에서 나타내듯이, 배럴부(530)의 저면 측에서 단부(532a)끼리 맞대게 해서 용접해도 좋고, 도 27 (a),(b)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의 상면 측에서 단부(130a)끼리 맞대게 해서 용접해도 좋다.
게다가, 도 27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상태에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를,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압착하고, 심선 압착부(132)를 알루미늄 심선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U자 모양으로 압착해도 좋다.
또, 압착 단자(100)는, 도 27에서와 같이, 띠 모양의 캐리어(K)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럴부(130)를 용접한 후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할 때, 또는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한 뒤, 캐리어(K)로부터 분리해도 좋지만, 캐리어(K)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압착 단자(100)를 형성하고,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금속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심선(201)에 압착 접속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비금속 이외에,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으로 된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해도 좋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구성의 압착부(30)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그동안 선간(線間) 수분 방지를 위해 압착 후에 씰링 등이 필요햇던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심선(芯線)으로 구성하는 피복 전선을 접속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8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하는 맞대기 압착부(630)를 가진 암형 압착 단자(610)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29는 맞대기 압착부(630)의 맞대기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30은 맞대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1은 맞대기 압착부(630)를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632)의 대향 단부(632a)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32는 맞대기 용접에서의 소인 방법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8(a)는 폭 방향 중앙에서 분단한 암형 압착 단자(610의) 종단 사시도, 도 28 (b)는 암형 압착 단자(6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전의 사시도, 도 28(c)는 맞대기 압착부(630)에서 피복 전선(200)을 압착한 압착 상태인 압착 접속 구조체(601)의 사시도, 도 28(d)는 봉지부(630c)가 형성되지 않은 암형 압착 단자 (6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9 (a)는, 박스부(620)를 투과 상태로 한 암형 압착 단자(610)의 저면 측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9(b)는 도 29(a)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1 (a)는, 맞대기 용접이 완료된 맞대기 압착부(63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1(b)는 맞대기 용접이 완료된 맞대기 압착부(6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 W1)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1(c)은 맞대기 용접이 불완전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32 (a)는, 맞대기 용접하는 맞대기 압착부(630)에서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2 (b)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맞대기 용접의 1회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2 (c)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맞대기 용접의 2회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2(d)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의 직사각형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2(e)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의 삼각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2(f)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의 나선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압착 접속 구조체(601)는, 피복 전선(200)을 암형 압착 단자 (610)에 접속해서 구성한다. 즉, 피복 전선(200)에서의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202a)에서 노출하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6201a)를, 암형 압착 단자(610)의 맞대기 압착부(630)에 압착 접속한다.
암형 압착 단자(610)에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수지로 구성하는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해서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가 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선을 꼬아서 구성한다.
아래에서, 암형 압착 단자(6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암형 압착 단자(610)는,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도시를 생략하는 수형 단자에서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620)와, 박스부 (620)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의 트랜지션부(640)를 통해서 배치된 맞대기 압착부(630)를 일체로 구성한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부(620)와 맞대기 압착부(630)로 구성하는 암형 압착 단자(610)로 했지만, 맞대기 압착부(630)를 가진 압착 단자이면,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610)에서의 박스부(620)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과 맞대기 압착부(630)로 구성하는 수형 압착 단자라도 좋고, 또 맞대기 압착부(630)만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묶어서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길이 방향(X)는, 도 28에서와 같이 맞대기 압착부(630)를 압착해서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폭 방향(Y)은 길이 방향(X)에 대해서 수평인 평면 방향에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 맞대기 압착부(630)에 대한 박스부(620) 측을 전방(前方)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620)에 대한 맞대기 압착부(630) 측을 후방(後方)으로 한다.
또, 암형 압착 단자(610)는,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0.1~0.6mm의 판 두께의 황동 등의 구리 합금 스트립(미도시)을, 평면 전개한 단자 형상으로 뚫은 후, 중공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620)와 후방에서 보아 O형 맞대기 압착부(630)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단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면 동시에 맞대기 압착부(6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해서 구성된 클로즈 배럴 형식의 단자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0.25mm의 판 두께의 구리 합금 스트립의 표면을 주석 도금(Sn도금해서 이용하고, 맞대기 압착부(630)는 내경(內徑) φ3mm의 통 모양으로 구성한다.
박스부(620)는, 넘어진 중공 사각 기둥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길이 방향(X)의 후방을 향해 구부러지고,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62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중공 사각 기둥체인 박스부(620)는, 저면부(622)의 길이 방향(X)과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양측부에 연장 설치된 측면부(623)를 꺾어 구부려서, 길이 방향 (X)의 선단측에서 보아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한다.
압착 전의 맞대기 압착부(630)는, 도 28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저면(31) 및 압착 저면(31)의 폭 방향(Y)의 양측에 연장된 배럴 구성편(632)을 둥글게 하여서 대향 단부(632a)끼리 맞대어서 용접하고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배럴 구성편(632)의 길이 방향 길이는, 절연 피복(202)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의 선단인 피복 선단(202a)에서, 길이 방향(X)의 전방에서 노출되는 전선 노출부(201a)의 길이 방향(X)의 노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다.
맞대기 압착부(630)는, 절연 피복(202)을 압착하는 피복 압착 범위(630a)와,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압착하는 전선 압착 범위(630b)을 일체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전선 압착 범위(630b)보다 전방 단부를 평판 형상으로 찌부러뜨리듯이 변형시켜서 폭 방향(Y)으로 용접해서 봉지부(630c)(도 29 참조)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맞대기 압착부(630)를 형성하는 용접에 관해서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 저면(31) 및 배럴 구성편(632)을 둥글게 해서 배럴 구성편(632)의 대향 단부(632a)끼리 맞대게 하여 용접하고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하는 맞대기 압착부(630)는, 도 30에서와 같이, 배럴 구성편(632)의 대향 단부(632a)들을 맞대게 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과 봉지부(630c)에 있어서 맞대기 압착부(630)의 전방을 완전히 밀봉하는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맞대기 압착부(630)을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맞대기 압착부(630)의 압착 저면(31) 및 배럴 구성편(632)을, 대향 단부(632a)들이 저면 측에서 맞대어지도록 해서 구부려서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원통형의 전방 부분을 상면 측에서 저면 측으로 눌러 붙여서 평판 모양이 되도록 변형시킨다. 그리고, 원통형의 대향 단부(632a)끼리 맞대게 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여(도 29 (a) 참조), 그 뒤,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맞대기 압착부(630)를 완성한다.
이때,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은, 도 30에 나타내는 가상 평면(P)에서의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단일 초점의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용접은,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로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수행한다.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약 1.06~1.08㎛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한 용접이다. 파이버 레이저 빔은, 이상적인 가우스 빔이며, 회절 한계까지 집광 가능한, 즉 파이버 레이저는 높은 집광성을 가지기 때문에, YAG레이저나 CO2레이저로는 곤란한 30㎛ 이하의 집광 스폿 지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용접을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1.08㎛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빔을 집광 스폿 지름이 20㎛가 되도록 초점을 맞춤으로써, 출력 밀도가 380MW/㎠이 되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90~300mm/sec의 소인 속도로 수행하고 있다.
또, 상기 출력 밀도나 소인 속도는 상기 값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출력 밀도와 소인 속도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출력 밀도를 높이면, 소인 속도도 올릴 수 있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서의 파이버 레이저 빔의 발진 형태로서는, 연속 발진하는 연속 발진 레이저(이하에서 CW레이저라 함), 펄스 발진하는 펄스 발진 레이저, 혹은 연속 발진하는 CW레이저를 펄스 제어하는 레이저가 있고, 어느 발진 형태로 용접해도 좋지만, 봉지(封止) 성능이 높은 CW레이저로 용접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파이버 레이저 빔을 이용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의 용접은, 도 31(a)에서와 같이, 맞대기 압착부(630)을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632)을 관통하는 관통 용접을 수행함에 따라, 맞대기 압착부(630)에서의 용접 부분(W(W1,W2))의 안팎 양면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가 형성된다.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의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는, 적어도, 맞대기 압착부(6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 접속하기 위해 압착 변형하는 전선 압착 범위(630b)에 형성하면 좋지만, 물론 피복 압착 범위(630a) 및 봉지부(630c)에 형성되어도 좋다.
게다가, 봉지부(630c)에서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은, 압착 후에 레이저 용접을 하고 있어, 압착 응력을 견딜 필요가 없고, 미 관통 용접에서도 봉지부(630c)의 겹쳐진 부분이 연속적으로 용접하고 있으면 밀폐성이 충족되기 때문에 관통 용접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용접 부분의 안팎 양면에 용접 비드(V)가 형성되는 관통 용접에 대해 미 관통 용접은 용접 불량을 발생하기 쉬우며, 미 용접부 틈새를 통한 수분 침입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있고, 또 봉지부(630c)의 겹침 부분을 연속적으로 용접하고 있는지도 외관에서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봉지부(630c)에 있어서 폭 방향(Y)으로 용접하는 폭 방향 용접 부분(W2)도, 용접 비드(V)가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관통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은, 맞대기 압착부(63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소인 방향 S에서 용접한다. 또한, 박스부(620)와 맞대기 압착부(630)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연속해서 용접한다. 자세하게는 도 32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구성편(632)의 대향 단부(632a)끼리 맞대어진 맞대기 부분이 길이 방향(X)을 따른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되어,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서 조사된 파이버 레이저 빔을, 대향 단부(632a)들의 맞대기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도 32 (b)와 같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따라서 길이 방향(X)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용접한다.
또한,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의 소인 방향(S)은, 길이 방향(X)을 따른 방향이라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소인 방향이라도 좋다.
게다가, 길이 방향(X)을 따른 방향이라도, 도 32에서와 같이, 다양한 소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32(b)에서와 같이, 대향 단부(632a)끼리 맞대어진 부분 위, 즉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위를 길이 방향(X)을 따라서 소인해도 좋지만(이하에서는 기본 소인 S1), 도 32(c)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서 약간 소인 축(掃引軸)을 옮겨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사이에 두도록 2회 소인해도 좋다(이하에서는 2회 소인 S2). 덧붙여 2회 소인(S2)은, 도 32(c)와 같이 2회의 소인과 함께 길이 방향(X)의 후방에서 전방처럼 한 방향으로 소인해도 좋지만, 첫 번째 소인 후, U턴 하고, 두 번째를 반대 방향으로 소인해도 좋다.
또, 1회의 소인이라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대해서, 폭 방향(Y)의 소인과 같이 길이 방향(X)의 소인을 번갈아 반복하고, 전체로서 길이 방향(X)으로 소인하는 직사각형 소인 S3(도 32(d) 참조),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의 지그재그 모양으로 소인해서, 전체로서 길이 방향(X)으로 소인하는 삼각 소인 S4(도 32(e)참조), 혹은 소인 방향 후방 측에 원형을 그리면서 소인 방향 전방으로 소인하는 나선 소인 S5(도 32(f) 참조)이라도 좋다.
이처럼 상술한 2회 소인 S2, 직사각형 소인 S3, 삼각 소인 S4, 혹은 나선 소인 S5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위를 소인하는 기본 소인 S1에 대해 폭 방향(Y)으로도 소인하기 때문에 폭 방향(Y)에서의 폭을 넓힌 용접 비드(V)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길이 방향(X)에 대해서 맞대기 부분이 폭 방향(Y)으로 흔들리는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폭 방향(Y)의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V)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용접하여 밀폐된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겹치기 압착부(730)을 가진 암형 압착 단자(710), 및 암형 압착 단자(710)을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701a)에 관해서 도 33 내지 도 3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하는 겹치기 압착부(730)을 가지는 암형 압착 단자(710)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34는 겹치기 압착부(730)의 겹치기 용접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 도 35는 겹치기 용접 상황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6은 겹치기 압착부(730)을 구성하는 배럴 구성편(732)의 구성편 단부(732a)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37은 겹치기 용접에서의 소인 방법에 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3(a)은, 폭 방향 중앙에서 분단한 암형 압착 단자(710)의 종단 사시도, 도 33(b)는, 암형 압착 단자(7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 도 33(c)는 겹치기 압착부(730)에서 피복 전선(200)을 압착한 압착 상태인 압착 접속 구조체(601)의 사시도, 도 33(d)는 봉지부(630c)를 형성하지 않은 암형 압착 단자 (710)와 피복 전선(200)의 압착 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4(a)는, 박스부(620)를 투과 상태로 한 암형 압착 단자(710)의 저면 측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4(b)는 도 34(a)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34(c)은 도 34(b)에서의 A-A선 단면에 따른 용접 상황에 의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36(a)는 겹치기 용접이 완료된 겹치기 압착부(73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6(b)는 겹치기 용접이 완료된 겹치기 압착부(730)에서의 길이 방향 용접 부ㅂ분(W1a)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6(c)는 겹치기 용접이 불완전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37(a)는 겹치기 용접하는 겹치기 압착부(730)에서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7(b)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1회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7(c)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2회 소인에 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7(d)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직사각형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7(e)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삼각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7(f)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에 대한 겹치기 용접에서의 나선 소인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아래 설명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해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압착 접속 구조체(701a)는, 상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601)와 마찬가지로 피복 전선(200)을 암형 압착 단자(710)에 접속해서 구성한다. 즉, 피복 전선(200)에서의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202a)에서 노출되는 알루미늄 심선 (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암형 압착 단자(710)의 겹치기 압착부(730)에 압착 접속한다.
암형 압착 단자(710)는, 길이 방향(X)의 선단측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박스부(620)와, 트랜지션부(640)를 통해서 배치된 겹치기 압착부(730)를 일체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암형 압착 단자(710)로 구성했지만, 겹치기 압착부(730)를 가지는 압착 단자라면,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610)와 마찬가지로 수형 압착 단자도 좋고, 겹치기 압착부(730)만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암형 압착 단자(710)도,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610)와 마찬가지로,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0.4mm이하의 판 두께의 황동 등의 구리 합금 스트립(미도시)을, 평면 전개한 단자 형상으로 뚫은 후, 중공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620)와 후방에서 보아 O형의 겹치기 압착부(730)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단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면서 동시에 겹치기 압착부(730)를 용접해서 구성된 클로즈 배럴 형식의 단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암형 압착 단자(610)와 마찬가지로 0.25mm의 판 두께의 구리 합금 스트립의 표면을 주석 도금(Sn도금)해서 이용하여, 겹치기 압착부(730)는 내경 φ3mm의 통 모양으로 구성한다.
압착 전의 겹치기 압착부(730)는, 도 33(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저면(731) 및 압착 바닥면(731)의 폭 방향(Y)의 양측으로 연장한 배럴 구성편(732)을 둥글게 하여서 구성편 단부(732a)끼리 겹치게 해서 용접하고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배럴 구성편(732)의 길이 방향 길이는, 절연 피복(202)의 길이 방향 X전방 측의 선단인 피복 선단(202a)으로부터, 길이 방향(X)의 전방에서 노출되는 전선 노출부(201a)의 길이 방향(X)의 노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다.
겹치기 압착부(730)는, 절연 피복(202)을 압착하는 피복 압착 범위(730a)와, 알루미늄 심선(201)의 전선 노출부(201a)를 압착하는 전선 압착 범위(730b)를 일체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전선 압착 범위(730b)에서 전방 단부를 평판 모양으로 짓누르듯이 변형시켜 폭 방향(Y)으로 용접해서 봉지부(730c)(도 34 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겹치기 압착부(730)를 형성하여 용접에 관해서, 도 35와 함께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 저면(731) 및 배럴 구성편(732)을 둥글게 하여서 배럴 구성편(732)의 구성편 단부(732a)끼리 겹쳐지게 하여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하는 겹치기 압착부(730)는, 도 35와 같이, 배럴 구성편(732)의 구성편 단부(732a)끼리 겹쳐지게 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과, 봉지부 (730c)에서 겹치기 압착부(730)의 전방을 완전히 밀봉하는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을 용접해서 겹치기 압착부(730)를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겹치기 압착부(730)의 압착 저면(731) 및 배럴 구성편(732)을, 구성편 단부(732a)들이 저면 측에서 서로 겹쳐지게 해서 둥글게 하여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원통형의 전방 부분을 상면 측에서 저면 측으로 밀어붙여서 평판 모양이 되도록 변형시킨다. 그리고, 원통형의 구성편 단부(732a)끼리를 겹치게 한 길이 방향(X)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을 용접하여(도 34 (a) 참조), 그 뒤, 폭 방향(Y)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을 용접해서 겹치기 압착부(730)를 완성한다.
이때,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은, 도 35에 나타내는 가상 평면(P)에서의 동일 평면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단일 초점의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의 용접은,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 의해, 약 1.08㎛ 파장의 파이버 레이저 빔을 집광 스폿 지름이 20㎛이 되도록 초점을 맞춤으로써, 출력 밀도가 240MW/㎠이 되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100~400mm/sec의 소인 속도로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레이저 빔에 관련한 설명들은, 상술의 암형 압착 단자(610)를 용접할 때의 레이저 빔에 관련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발진 형태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서도 관통 용접해서, 겹치기 압착부(730)에서의 용접 부분(Wa(W1a,W2a))의 안팎 양면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 V(Va, Vb)을 형성한다.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의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는, 적어도 겹치기 압착부(7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 접속하기 위해 압착 변형하는 전선 압착 범위(730b)에 형성하면 좋으나, 물론 피복 압착 범위(730a) 및 봉지부(730c)에 형성되어도 좋다.
게다가, 봉지부(730c)에서의 폭 방향 용접 부분(W2a)은, 압착 후에 레이저 용접을 하며, 압착 응력에 견딜 필요가 없으며, 미 관통 용접에서도 봉지부(730c)에서의 겹쳐짐 부분이 연속적으로 용접되어 있으면 밀폐성이 충족되기 때문에 관통 용접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용접 부분의 안팎 양면에 용접 비드(V)가 형성되는 관통 용접에 대해서 미관통 용접은 용접 불량이 생기기 쉽고 미 용접부 틈새로부터 수분이 침입하여 부식될 우려가 있으며, 또 봉지부(730c)에서의 겹침 부분을 연속적으로 용접하고 있는지도 외관으로 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봉지부(730c)에서 폭 방향(Y)으로 용접하는 폭 방향 용접 부분(W2)도, 용접 비드(V)가 안팎 양면에 형성되는 관통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인 방향(S) 및 소인 방법도, 도 37 (a) 내지 (f)에서 나타내는 바와 마찬가지이며, 상세하게는 기본 소인 S1, 2회 소인 S2, 직사각형 소인 S3, 삼각 소인 S4, 나선 소인 S5이라도 좋다.
이처럼, 상술한 2회 소인 S2, 직사각형 소인 S3, 삼각 소인 S4, 혹은 나선 소인 S5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 위를 소인하는 기본 소인 S1에 대해서 폭 방향(Y)으로도 소인하기 때문에 폭 방향(Y)의 폭을 넓힌 용접 비드(V)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럴 구성편(732)의 구성편 단부(732a)끼리 겹치게 한 겹쳐진 부분에서의 용접 면적이 증가하여, 밀폐성이 높은 확실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또, 배럴 구성편(732)의 구성편 단부(732a)들이 겹쳐진 겹침 부분은 좌우 비대칭 단면 구조이기 때문에, 압착할 때 관축 방향에 대해 비틀리는 듯한 형상이 되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에 전단 응력이 작용하기 쉽지만, 상술한 2회 소인 S2, 직사각형 소인 S3, 삼각 소인 S4, 혹은 나선 소인프 S5로 용접함으로써,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착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 (601(701a))와, 수형 압착 단자(미도시)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701b)를,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Hc)에 각각 장착한 예를, 도 3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는,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이며, 압착 접속 구조체(701b)는 수형 압착단을 이용한 접속 구조체이다.
상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701b))를, 커넥터 하우징(Hc)의 각각 장착함으로써,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암형 커넥터(Ca)와 수형 커넥터(Cb)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아래의 설명에서는, 암형 커넥터(Ca)과 수형 커넥터(Cb) 양쪽이 와이어 하니스(H(Ha,Hb))의 커넥터인 예를 나타내지만, 한쪽을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 다른 쪽을 기판이나 부품 등의 보조기의 커넥터로 해도 좋다.
자세하게는, 도 38에서와 같이, 암형 압착 단자 610(710)로 구성된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를, 암형의 커넥터 하우징(Hc)에 장착해서, 암형 커넥터(Ca)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301a)를 구성한다.
또, 수형 압착 단자로 구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701b)를, 수형 커넥터 하우징(Hc)에 장착해서, 수형 커넥터(Cb)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301b)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암형 커넥터(Ca)와 수형 커넥터(Cb)를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301a)와 와이어 하니스(301b)를 접속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Hc)에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의 암형 압착 단자 610(710)를 장착한 커넥터(C(Ca,Cb))는,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의 암형 압착 단자(610(710))와, 압착 접속 구조체의 수형 압착 단자는, 피복 전선(200)에서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덮여 있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봉지 구조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Hc)의 내부에서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도, 전해 부식에 의해 도전성이 저하되지 않고,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의 내부에서의 알루미늄 심선(201)과 암형 압착 단자(610(710))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를 적어도 구비하는 암형 압착 단자(610(710)의 제조 방법으로서,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판재의 대향 단부(632a(732a))를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 중 적어도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된 전선 압착 범위(630b(7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가 형성된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를 구성하여, 길이 방향(X)의 용접을 길이 방향(X)의 후방 측에서 전방 쪽을 향해 소인 방향(S)으로 함으러써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확실히 압착해서, 안정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전선 압착 범위(630b(7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가 형성된다는 것은,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의 적어도 대부분이 용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대향 단부(632a(732a))끼리 길이 방향(X)으로 용접한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의 용접 부분은,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한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압착 변형에 의해 파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서 확실히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여,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즉, 안정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V(Va,Vb))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용접 부분의 안팎 방향에서의 단면 전역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대해서 보다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균열의 기점이 없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 또는 응력 집중하지 않는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하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의 단면(斷面)에 있어서, 용접된 부분을 모재가 존재하는 미 관통 용접의 경우는, 안팎 방향에서, 용접부와 모재의 경도 차이, 압착에 대한 굽힘 가공성 등에 국소적인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압착력이 부가되었을 때에 용접 부분에 응력이 부가하여, 파단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버리지만, 관통 용접에 의해 안팎 방향으로 연속적인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이 형성되기 때문에 파단되기 어렵고 충분한 내력을 가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길이 방향(X)의 용접을, 길이 방향(X)에 대해서 교차하는 폭 방향(Y)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으로 함으로써,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시에 응력 집중해도 파단하지 않는 충분한 내력과 밀폐성을 가진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폭 방향으로 오차를 가진 경우라도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으로서, 폭 방향으로 빗겨서 2회 소인하는 2회 소인 S2, 폭 방향의 소인과 길이 방향(X)의 소인을 번갈아 반복해서 소인 방향(S)으로 용접하는 직사각형 소인 S3, 폭 방향(Y) 및 길이 방향(X)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소인하고 지그재그 모양으로 용접하는 삼각 소인 S4, 혹은 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인해서 용접하는 나선 소인 S5로 함으로써, 길이 방향(X)으로 진행되면서,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대향 단부(632a)끼리 맞댄 압착 접속 구조체(601)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a)이 폭 방향(Y)으로 오차를 가진 경우라도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구성편 단부(732a)끼리 겹쳐지게 한 압착 접속 구조체(701a)의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에 있어서, 겹쳐지게 한 구성편 단부(732a) 사이의 틈새에 따라 국소적인 미 용접부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도, 용접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밀폐성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가공하는 동시에 봉지 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전방 측을 길이 방향(X)에 대해서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630c(730c))를 구성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 (201)이 삽입된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나 알루미늄 심선(201)을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에 압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기 위해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을 압착 변형시키고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 중, 적어도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된 전선 압착 범위 (630b(730b))의 안팎 양측에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V(Va,Vb))가 형성되고, 압착 변형에 의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이 파단되지 않고, 또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형성한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길이 방향(X)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기 위해 단면 중공 형상의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로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고,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 내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이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나 노후화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심선(201)에 부식이 발생되는 일이 없으며 그 부식을 원인으로 하는 전기 저항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도전성이 얻어진다.
또, 미리,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 형상으로 형성한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길이 방향(X)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단면 중공 형상의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는 삽입 부분 이외가 밀봉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심선(201)이 삽입된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를 압착하는 것만으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나 알루미늄 심선(201)을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이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감싼 상태에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알루미늄 심선(201)에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캡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확실히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 압착된 알루미늄 심선 (201)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다.
또,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과, 폭 방향 용접 부분(W2(W2a))을 거의 동일 평면상에 설정함으로써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를 쉽게 이동시켜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 및 폭 방향 용접 부분(W2(W2a))의 거리가 일정해지므로 안정된 용접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어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인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출력 밀도의 용접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는 빔 품질이 뛰어나 집광성이 높기 때문에 고출력 밀도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가로 세로비의 심용입 용접에 의해 재료에 불필요한 열 영향을 주지 않고, 확실한 용접 상태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쉽게 심용입의 용접을 할 수 있다.
또,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표면이 Sn 도금된 구리 합금 스트립으로 구성하고 있어서, 표면의 Sn 도금이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행할 때의 흡광재의 역할을 하여, 레이저 빔의 흡수가 증가하여 효율적으로 용접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길이 방향 용접 부분을 땜질에 의해서 접속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0.7mm등의 판 두께를 가지지만,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길이 방향 용접 부분을 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0.25mm 등의 얇은 판 두께의 구리 합금 스트립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암형 압착 단자(610(710))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암형 압착 단자 (610(710))에서의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 의해 피복 전선(200)과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접속해서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를 구성함으로써, 암형 압착 단자(610(710))의 맞대기 압착부(630)(겹치기 압착부(730))에 의해 둘러싸서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착 접속 구조체 601(701a)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알루미늄 심선(201)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할 수 있으며,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하여 충분한 도전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에서의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커넥터 하우징(Hc)내에 배치한 커넥터(C)는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한 채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하면, 예를 들면, 암형의 커넥터(C)와 수형 커넥터(C)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C)의 커넥터 하우징(Hc) 내에 배치한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한 채 각 커넥터(C)의 암형 압착 단자(610(710))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체 부분은,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압착 단자는, 암형 압착 단자(610,710)에 대응하고,
단부는, 대향 단부(632a,732a)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은,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W1a)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은, 폭 방향(Y)에 대응하고,
압착 변형하는 부분은, 전선 압착 범위(630b,730b)에 대응하고,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은, 폭 방향 용접 부분(W2,W2a)에 대응하고,
접속 구조체는, 압착 접속 구조체(601,701a)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제시되는 기술 사상을 토대로 응용할 수 있어서,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박스부(620), 트랜지션부(640) 및 맞대기 압착부(630)가 이 순서로 배치된 암형 압착 단자(610)에 관해 설명했으나, 맞대기 압착부(630)만으로 구성하는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서 파이버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했지만, 전자 빔을 조사해서 용접해도 좋다.
상술하는 판재의 폭 방향(Y)에서의 대향 단부(632a)들의 맞대기나 구성편 단부(732a)들의 겹침은, 판재의 대향 단부(632a) 측면을 경사지게 한 경사 측면, 혹은 판재의 두께 이상 높이를 가지는 면을 구성한 측면들의 맞대기라도 된다.
또한, 압착부(630,730)에서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는 도 3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구성편(632)의 대향 단부(632a)들을 맞대어서,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해서 통 모양으로 구성하는 맞대기 압착부(630)에 있어서, 대향 단부(632a)끼리 밀착하지 않고도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서의 스폿 지름 이하의 틈새라면, 대향 단부(632a)들 사이에 틈이 있는 상태로 맞대어서, 길이 방향(X)으로 파이버 레이저 용접하여, 용접 비드(V)를 형성해도 좋다. 또, 도 39 (b) 내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내외 방향으로 돌출시킨 두께가 두꺼운 대향 단부(632a)들을 맞대어서 용접해도 좋다. 이처럼 대향 단부(632a)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맞대기 부분에 형성되는 용접 비이드(V)의 두께가 두꺼워져 용접 부분의 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또한, 도 39(e)에서와 같이 겹쳐진 부분을 구성하는 판재의 구성편 단부(732a)를,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는 동시에 겹쳐진 부분을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함으로써, 겹쳐진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충분히 용접할 수 없는 문제점을 줄여서 확실하게 용접해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용접에 의해 겹쳐진 부분이 얇아진 경우라도,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압착 등에 의해 길이 방향 용접 부분(W1)이 변형되어도 충분한 용접 강도, 즉 충분한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8(d), 도 33(d)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압착부(630,730)에 알루미늄 심선(201)을 삽입하고서, 압착할 때에, 압착부(630,730)의 전방을 봉지 형상으로 형성해서 밀봉부(630c,730c)를 형성해도 좋다. 또,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해서 봉지부(630c)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용접하지 않고 압착부(630,730)의 전방을 봉지 형상으로 형성할 뿐, 혹은 봉지부(630c)의 내부에 수지 등의 봉지재(封止材)를 개재시켜서 밀봉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구부리면서 동시에 단부(632a)끼리 맞대게 해서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1)을 따라서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하고, 길이 방향(X)의 전단 부분을 찌부러뜨리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2)을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고, 길이 방향(X)의 전단(前端)을 봉지부(630c)로 밀봉시켜, 길이 방향(X)의 후방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배럴부(630)을 형성했지만, 배럴부(630)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인 도 40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의 형상을 형성하고, 용접 부분을 용접해서 배럴부(130)를 형성해도 좋다.
상술하면, 도 4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구부리면서 길이 방향(X)의 전단 부분을 찌부러뜨려서 봉지부(133)을 포함한 배럴부(130)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구부려 맞대어지는 단부(130a)들을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3)을 따라서 용접하면서 동시에, 봉지부(133)에 있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4)을 따라 용접해서 밀봉해 배럴부(130)를 완성시킨다.
또,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630)의 저면 측에서 단부(632a)끼리 맞대게 해서 용접해도 좋고, 도 40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130) 상면 측에서 단부(130a)끼리 맞대게 해서 용접해도 좋다.
게다가, 도 40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상태에 있어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를,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원형 모양으로 압착하여, 심선 압착부(132)를 알루미늄 심선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U자 모양으로 압착해도 좋다.
또, 압착 단자(100)는, 도 40에서와 같이, 띠 모양의 캐리어(K)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럴부(130)를 용접한 후,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할 때, 또는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한 뒤, 캐리어(K)로부터 분리해도 좋지만, 캐리어(K)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압착 단자(100)을 형성하여,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심선(201)에 압착 접속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비금속 이외에,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해도 좋고,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구성의 압착부(30)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그동안 선간(線間) 수분 방지 때문에 압착 후에 씰링 등이 필요한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심선으로 구성하는 피복 전선을 접속해도 좋다.
(제 5 실시형태)
도 41 (a)는,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의 전선 선단부(200a), 및 그 후방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41 (b)는 본 실시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810)와 전선 선단부(200a)의 사시도이며,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810)에 삽입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2 (a)는, 도 41 (a)의 A-A선 단면도이며, 본 실시 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의 전선 선단부(200a) 및 그 주변 부분을 폭 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에서 절단해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42 (b)는 도 42 (a)의 a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은, 도 41 (a) 및 도 42에 나타내듯이, 피복 전선(200)을 암형 압착 단자(810)에 접속해서 구성한다. 즉, 피복 전선(200)에서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810)의 압착부(830)에 압착 접속한다.
암형 압착 단자(810)에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 (201aa)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수지로 구성하는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해서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이 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선을 꼬아서 구성했다.
전선 선단부(200a)는, 피복 전선(200)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 피복 선단부(202a)와 도체 선단부(201a)를 선단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직렬로 구비한 부분이다.
도체 선단부(201a)는, 피복 전선(200)의 전방 측의 절연 피복(202)을 벗겨서알루미늄 심선(201)을 노출시킨 부분이다. 피복 선단부(202a)는, 피복 전선(200)의 선단(先端) 부분인데, 피복 선단부(202a)보다 후방 측 부분이며, 알루미늄 심선 (201)을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한 부분이다.
이하에서, 암형 압착 단자(810)에 대해서 상술한다.
암형 압착 단자(810)는,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도시를 생략하는 수형 단자에서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820)와, 박스부 (820)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의 트랜지션부(840)를 통해서 배치된 압착부(830)를 일체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부(820)과 압착부(830)로 구성하는 암형 압착 단자(810)로 구성했지만, 압착부(830)를 가지는 압착 단자라면,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810)에서의 박스부(820)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과 압착부(830)로 구성하는 수형 압착 단자라도 압착부(830)만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묶어서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 길이 방향(X)란, 도 4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830)를 압착해서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폭 방향(Y)은 암형 압착 단자(810)의 폭 방향에 상당하고, 길이 방향(X)에 대해서 평면 방향에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 압착부(830)에 대한 박스부(820) 측을 전방(선단측)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820)에 대한 압착부(830) 측을 후방(기단측)으로 한다.
박스부(820)는, 넘어진 중공 사각 기둥체 구성되어, 내부에, 길이 방향(X)의 후방을 향해 꺾어 구부러져,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821)을 구비한다.
또, 중공 사각 기둥체인 박스부(820)는, 저면부(822)의 길이 방향(X)과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양측부에 연장해서 설치된 측면부(823)를 겹치도록 꺾어 구부려서, 길이 방향(X)의 선단측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한다.
압착부(830)는, 전선 압착부(831)와 봉지부(832)를 후방에서 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설치하면서 동시에 둘레방향 전체에서 연속하는 연속형으로 일체로 형성한다.
봉지부(832)는, 전선 압착부(831)보다 전방 단부를 평판 모양으로 찌부러뜨리듯이 변형시켜 암형 압착 단자(810)를 구성하는 판상의 단자 기재(890)끼리 포개어지는 편평한 형상으로 구성한다.
전선 압착부(831)는, 기단측 확경부(擴俓部)(831z), 피복 압착부(831a), 및 도체 압착부(831b)를, 후방에서부터 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연속해서 직렬로 설치한다.
전선 압착부(831)는, 기단측 확경부(831z)에서 도체 압착부(831b)에 걸쳐 전선 선단부(200a)를 삽입 가능하게 후방 측만이 개구되면서 동시에 선단 측, 및 둘레면 부분 전체가 개구되어 있지 않은 중공 형상(통 모양)으로 구성한다.
피복 압착부(831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831)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전선 압착부(831)의 길이 방향(X)에서의 피복 선단부(202a)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피복 선단부(202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한다.
도체 압착부(831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8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831)의 길이 방향(X)에서의 도체 선단부(201a)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도체 선단부(201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피복 압착부(831a) 및 도체 압착부(831b)는, 압착 전의 상태에서는 서로 거의 같은 지름을 한 통(筒) 모양으로 형성한다.
기단측 확경부(831z)는, 전선 압착부(831)의 내부에 가지는 삽입 구멍(835)의 구연부(口緣部)에 상당하고, 피복 압착부(831a), 및 도체 압착부(831b)보다 외주부, 및 내주부가 대경(大徑)이 되도록,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서서히 직경이 확대된 치마 모양(밑이 퍼지는 모양)으로 형성한다.
덧붙여, 기단측 확경부(831z)는, 전선 압착부(831)의 길이 방향(X)에서의 기단측 확경부(831z) 이외의 부분과 같은 두께로 형성한다(도 42 (a) 참조).
이어서, 상술한 암형 압착단자(810)의 제조 방법에 관해 도 43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43은, 압착부(830)에서의 용접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자세하게는, 도 43 (a)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로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작용 설명도이며, 도 43 (b)는 도 43 (a)의 a부분 확대도이다.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810)는, 단자 기재(890)를, 중공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820)와 후방에서 보아 O형의 압착부(830)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단자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면서 압착부(830)를 레이저(L)에 의해 용접해서 클로즈드 배럴 형식의 암형 압착 단자(810)로 구성한다.
또한, 단자 기재(890)는, 암형 압착 단자(810)을 구성하기 위해, 판 두께가 0.1~0.6mm의 판상(板狀)의 기재이며,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황동 등의 구리 합금 스트립(미도시)을, 평면 전개한 단자 형상으로 뚫은 판재이며, 압착 전의 압착부(830)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착면, 및 그 압착면의 폭 방향(Y)의 양측에서 연장된 배럴 구성편을 구비하여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암형 압착 단자(810)는, 단자 기재(890)를,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방향으로 둥글게 해서 단부(832a)끼리가 저면측에서 맞대어지도록 해서 둥글게 해서 원통형을 구성한다. 그리고, 단자 기재(890)의 대향 단부(832a)들을 맞댄 상태에서 레이저 조명 장치(Fw)를 길이 방향(X)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키면서 한 쌍의 대향 단부(832a)끼리 용접함으로써 길이 방향 용접부(W1)를 형성한다.
그 뒤, 레이저 조명 장치(Fw)를 압착부(830)의 전방 측에서 길이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압착부(830)의 전방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폭 방향 용접 부분(W2)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술한 암형 압착 단자(810)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 접속하는 순서에 관해서 도 44 (a), (b), (c), (d)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44는,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의 압착 공정의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44 (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810)로 압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4 (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810)로 압착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4(c)는, 도 44 (b)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4 (d)는 도 44 (b)의 A-A선 단면도이다.
우선, 도 44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830)에서의 전선 압착부(831)에 전선 선단부(200a)를 삽입한다. 이때, 도 44 (a)에서와 같이, 피복 압착부(831a)의 내부에 전선 선단부(200a)의 피복 선단부(202a)가 삽입되는 동시에 도체 압착부(831b)의 내부에 전선 선단부(200a)의 도체 선단부(201a)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클림퍼 등의 압착 공구(900)에 의해 전선 선단 압착부(830A)에 대해 전선 압착부(831)를 압착한다.
그때, 도 44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공구(900)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누름편(901,902) 중 한쪽 누름편(901)과 다른 쪽 누름편(902)을, 길이 방향에서의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를 제외한 부분에 압착부(8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누름편(901,902)에 의해 압착부(830)을 양측에서 사이에 둠으로써 도 44 (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압착부(831)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한다.
이에 따라,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서 암형 압착 단자(810)를 압착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압착에 의해, 전선 압착부(831)에서의 기단부(838)를 제외한 부분이 압착되고(도 44 (a), (b) 참조), 그 압착에 의해 압착 부분이 압착 변형한 것에 따른 반동에 의해, 압착 공구로 압착되어 있지 않은 기단부(838)는, 도 44 (c)에서와 같이 외주 전체가 확경(擴俓) 변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에 기단측 확경부(831z)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이 발휘하는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부(830)의 길이 방향(X)의 기단부(838)에, 그 기단부(838)보다도 전방 부분에 대해서 직경이 확대된 기단측 확경부(831z)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830)에 의해 압착한 상태에서, 피복 압착부(831a)의 기단부(838)가 절연 피복(202)을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절연 피복(202)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전선 선단부(200a)에서의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50)을 단면(斷面)으로 나타낸 도 48과 같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압착 단자(851)는, 피복 압착부(853)의 기단부(852)가, 후방 측(기단 방향)을 향해서 돌출 형상이 되는 자유단(自由端)이어서(도 48 중 일부 확대도 참조), 압착부(852)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할 때에, 피복 압착부(853)의 기단부(859)가 전선 선단부(200a)에서의 피복 선단부(202a)를 압착하는 압착력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피복 압착부(853)의 기단부(859)에 의해, 피복 선단부(202a)에서의 절연 피복(202)이 잡아늘려지거나, 피복 압착부(853)의 기단부(859)가 피복 선단부(202a)를 파고들어가거나 해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491]
그러면, 절연 피복(202)의 파손 부분으로부터 수분이 절연 피복(202)의 내부로 침입하고, 침입한 수분이 알루미늄 심선(201)에 부착해서 알루미늄 심선(201)이 부식되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제 5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은, 압착부(830)의 길이 방향(X)의 기단부(838)에,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측 확경부(831z)를 형성함으로써, 피복 압착부(831a)를 피복 선단부(202a)에 압착했을 때에, 피복 압착부(831a)가 절연 피복(202)에 접촉하는 접촉 부분에서의 기단부(이하, 「단자 접촉기단부(839)」라 한다. (도 42 (b) 참조))는, 피복 압착부(831a)의 기단부(838)와, 그 전방 측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202a)와의 경계 부분에 상당하고, 그 단자 접촉 기단부(839)가 돌출형 자유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830)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할 때에, 피복 압착부(831a)에 절연 피복(202)이 접촉하는 접촉 부분이 되는 단자 접촉 기단부(839)가 절연 피복(202)를 파고들어감에 따라 파단될 우려가 없이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830)에 의한 압착한 상태에서 절연 피복(202)의 파손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절연 피복(202)의 내측에 침입하여, 절연 피복(202)보다도 안쪽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기단측 확경부(831z)는, 상술한 것처럼, 압착부(830)의 길이 방향(X)의 기단부(838)에 있어서, 그 기단측 확경부(831z)를,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서서히 확경(擴俓)해서 형성한다(도 42 (b) 참조).
상술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압착부(830)의 길이 방향(X)의 기단부(838)에 있어서, 길이 방향(X)의 후방 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내주부만을 확경한 경우와 비교해서, 기단측 확경부(831z)에서의 두터움(肉厚)을 확보할 수 있어서, 기단측 확경부(831z)에서의 뛰어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예를 들면, 압착부(830)의 길이 방향(X)의 기단부(838)에 있어서, 길이 방향(X)의 후방 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내주부만을 확경해서 형성한 경우처럼, 압착부(830)의 길이 방향(X)의 기단부(838)을 미리, 절삭 가공에 의해 두께를 얇게 가공해 두는 등의 수고를 요하지 않고, 확경 변형하는 것만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44에 나타낸 것처럼, 압착 공구(900)에 의해 전선 선단 압착부(830A)에 대해서 전선 압착부(831)을 압착할 때에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를 제외한 부분을 한 쌍의 누름편(901,902)로 끼워 넣는 것으로 압착함으로써 전선 압착부(831)를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서 압착할 수 있으면서 그 압착에 따른 반력을 이용해서 단자 기재(890)를 소성 변형시켜서 길이 방향(X)으로 몽톡하게(절구통처럼) 형성한 압착부(830)의 기단부(838)을 확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기단부(838)에 기단측 확경부(831z)를 형성할 수 있고, 전선 압착부(831)를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서 압착한다는 하나의 공정에 의해, 전선 압착부(831)의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한 압착과, 기단측 확경부(831z)의 형성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의 압착 공정을 행함으로써, 기단측 확경부(831z)를 형성하기 위한 굽힘 가공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Pa,801Pb)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Pa,801Pb)의 구성 중, 전술한 제 5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6 실시형태)
도 45 (a)는, 제 6 실시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810Pa) 및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Pa)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5 (a)에서와 같이, 제 6 실시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810Pa)는, 압착부(830)의 길이 방향(X)의 적어도 기단부(838)에, 그 기단부(838)의 외주면에 대해서 내주면이 근접하도록 두께를 얇게 한 기단측 박육부(831t)를 형성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전선 압착부(831)의 외주부에 있어서는,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를 포함해서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뭉툭하게 형성하는 한편, 전선 압착부(831)의 내주부에 대해서는,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에 있어서 후방 측을 향해서 서서히 내주부가 두께가 얇아지도록 기단측 박육부(831t)를 형성한다(도 45 (a)의 일부 확대도 참조).
환언하면, 기단측 박육부(831t)는,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에 있어서, 후방 측을 향해서 서서히 절연 피복(202)의 외주부와 이격하도록 내주부가 확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단측 박육부(831t)는, 전선 압착부(831)을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한 상태에서, 피복 압착부(831b)의 길이 방향(X)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838)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 접촉 기단부(839)가 돌출형의 자유단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압착부(830)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한 상태에서, 단자 접촉 기단부( 839)가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국소적으로 압접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절연 피복(202)이 파손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절연 피복(202)의 파손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절연 피복(202)의 내측으로 침입하여, 절연 피복(202)보다 안쪽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에 기단측 박육부(831t)를 형성함으로써, 전선 압착부(831)의 길이 방향(X)의 기단부(838)를 포함해서 압착부(830)의 외주부가 지름 방향에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선 압착부(831)를 도시하지 않는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삽착 구멍에 삽착할 때에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가 커넥터 하우징에 간섭하는 일이 없고, 결과적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46은 제 7 실시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810Pb) 및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Pb)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810Pb)는, 전선 압착부(831)를, 통 모양으로 형성한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와, 그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측에 연장 설치된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로 구성한다.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는,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도체 압착부(831b)와 피복 압착부(831a)를 배치해서 구성한다.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는, 둘레방향에서 배럴 저면부(831sa)와 그 배럴 저면부(831sa)에서 폭 방향 측으로 돌출하는 배럴 돌출편(831sb)으로 구성한다.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와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는, 배럴 저면부 (831sa)에 있어서 길이 방향(X)에 있어서 일체로 연장해서 설치된다.
전선 압착부(831)를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서 압착할 때에는, 우선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에서의 도체 압착부(831b)에 도체 선단부(201a)를 배치하는 동시에,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에서의 피복 압착부(831a), 및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에 피복 선단부(202a)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압착 공구에 의해,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 및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를 일괄해서 사이에 끼운 상태로 장착(挾着)함으로써, 전선 압착부(831)를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서 압착 접속하여,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 (801Pb)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Pb)은, 피복 선단부(202a)를,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에서의 피복 압착부(831a)와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 쌍방에 의해 압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만으로 압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피복 압착부(831a)를 압착하는 압착력을 피복 압착부(831a)와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로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압착부(831a)의 기단부(838)가 절연 피복(202)을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절연 피복(202)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전선 선단부(200a)에서의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와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는, 각각 독립된 압착력으로 각각에 적합한 압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특히 피복 전선(200)이 전선 선단부(200a)보다 후방 측으로 구부러졌을 때에,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의 기단부에 있어서 절연 피복(202)이 먹어들어가기 쉽기 때문에, 이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를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와 비교해서 절연 피복(202)에 대한 압착력을 완화함으로써, 상술하는 바와 같이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에 절연 피복(202)이 파고들어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한편,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831c)를 오픈 배럴형 압착부(831s)와 비교해서 절연 피복(202)에 대한 압착력을 강하게 설정함으로써 암형 압착 단자(810)의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 확고한 압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압착 접속 구조체는,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 (801,801Pa,801Pb)에 대응해서,
이하 마찬가지로,
압착 단자는, 암형 압착 단자(810,810Pa,810Pb)에 대응하고,
도체는,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X)의 선단측은,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X)의 기단측은, 길이 방향(X)의 후방 측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나는 기술 사상을 토대로 응용할 수 있어서 많은 실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801)의 제조 방법, 압착 방법은, 전술한 제조 방법, 압착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서 전선 압착부(831)를 압착하기 전에 미리 전선 압착부(831)에서의 기단부(838)를 지름이 확대된 확경부분(831z1)을 형성해도 좋다.
여기서 도 47 (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810)로 압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7 (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810)로 압착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7 (c)은, 도 47 (b)의 a부분 확대도이다.
이 경우, 도 47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전선 압착부(831)에 대해서 전선 선단부(200a)를 삽입하고, 그 상태로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을 제외한 부분을 압착하고, 이 압착에 의한 반력을 이용해서 도 47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에 가지는 확경 부분(831z1)이 지름 바깥 방향으로 뛰어오를 것처럼 소성 변형시켜서 그 전선 압착부(831)의 기단부(838)에 기단측 확경부(831z')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도 47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압착 단자를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한 상태에서, 상술한 제 5 실시형태의 전선 압착부(831)에 형성한 기단측 확경부(831z)보다도 피복 전선에 대해서 보다 높은 경사 각도로 경사진 기단측 확경부(831z')를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
또, 기단측 박육부는, 상술한 형상의 내주부(內周部)로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내주부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45(a)에 나타내는 기단측 박육부(831t)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직선형태로 경사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45 (b)에 나타내는 기단측 박육부(831t')와 같이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정도가 늘어나도록, 단면에서 보아 후방 측에 향해서 만곡하면서 얇은 두께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4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하면서 단부(832a)끼리 맞대어서 길이 방향 (X)의 용접 부분(W1)을 따라서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 후, 길이 방향(X)의 전단 부분을 찌부러뜨리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2)을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여, 길이 방향(X)의 전단(前端)이 봉지부(832)로 밀봉시켜, 길이 방향(X)의 후방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배럴부(830)를 형성했지만, 배럴부(830)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인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130)의 형상을 형성하고, 용접 부분을 용접하여 배럴부(130)를 형성해도 좋다.
상술하면, 도 49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조를 둥글게 하면서 길이 방향(X)의 전단 부분을 찌부러뜨려서 봉지부(133)를 포함한 배럴부(130)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구부려서 맞대어지는 단부(130a)끼리 길이 방향(X)의 용접 부분(W3)을 따라서 용접하면서 동시에, 봉지부(133)에 있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분(W4)을 따라 용접해서 밀봉하여 배럴부(130)를 완성한다.
또,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830)의 저면측에서 단부(832a)끼리 맞대게 해서 용접해도 좋고, 도 49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130) 상면측에서 단부(130a)끼리 맞대게 해서 용접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도 49 (c)와 같이, 압착 상태에 있어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를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원형 모양으로 압착하고, 심선 압착부(132)를, 알루미늄 심선에 대해 정면에서 보아 U자 모양으로 압착해도 좋다.
또, 압착 단자(100)는, 도 49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띠 모양의 캐리어(K)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럴부(130)를 용접한 후,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할 때, 또는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한 뒤, 캐리어(K)로부터 분리해도 좋지만, 캐리어(K)에서 분리된 상태로 압착 단자(100)를 형성하여,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금속으로 된 알루미늄 심선(201)에 압착 접속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비금속 이외에,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으로 된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해도 좋으며,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구성의 압착부(30)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그동안 선간 수분 방지 때문에 압착 후에 씰링 등이 필요한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심선으로 구성하는 피복 전선을 접속해도 좋다.
1; 압착 접속 구조체
10; 암형(雌型) 압착 단자
30; 압착부
31; 압착면
32; 배럴 구성편
32a; 대향 단부(端部)
32c; 갈고랑이 모양 단면(端面)
32d; 대향 접촉면
34; 중공 볼록부
200; 피복 전선
201; 알루미늄 심선
202; 절연 피복
200a; 전선 선단부
201a; 도체 선단부
202a; 피복 선단부
401; 압착 접속 구조체
410; 암형 압착 단자
430; 맞대기 압착부
430b; 전선 압착 범위
432a; 대향 단부
501; 압착 접속 구조체
510; 암형 압착 단자
530...겹치기 압착부
530b; 전선 압착 범위
532a; 구성편 단부
601,701a; 압착 접속 구조체
610,710; 암형 압착 단자
630; 맞대기 압착부
630b, 730b; 전선 압착 범위
630c, 730c; 봉지부(封止部)
632a; 대향 단부
730; 겹치기 압착부
732a; 구성편 단부
801,801Pa, 801Pb;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
810,810Pa, 810Pb; 암형 압착 단자
830; 압착부
831a; 도체 압착부
831b; 피복 압착부
831c;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
831s; 오픈 배럴형 압착부
831t; 기단측 박육부
831z; 기단측 확경부
838; 전선 압착부의 기단부
C; 커넥터
Hc; 커넥터 하우징
S; 소인 방향
V, Va, Vb; 용접 비드
W1, W1a; 길이 방향 용접 부분
W2, W2a; 폭 방향 용접 부분
X; 길이 방향
Y; 폭 방향
P; 가상 평면

Claims (61)

  1.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한 압착 단자이며,
    상기 압착부를,
    판재(板材)로 단면(斷面) 중공(中空) 형상을 구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압착 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한 압착 단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한 압착 단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이 높이 방향으로 변화하는 압착 단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를,
    압착면과, 그 압착면의 폭 방향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출(延出) 압착편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출 압착편을 구부려서 단면 환상(環狀)으로 구성하면서, 상기 연출 압착편의 대향하는 단부(端部)끼리 맞대게 하고, 맞대어진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압착 단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맞대어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단면(端面)들의 맞대기로 한 압착 단자.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를,
    상기 도체 부분을 재치(載置)하는 압착면과, 그 압착면의 폭 방향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출 압착편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출 압착편을 구부려서 단면(斷面) 환상(環狀)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출 압착편의 대향하는 단부(端部)끼리 겹쳐지게 하고, 겹쳐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로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압착 단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한 압착 단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한 압착 단자.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행한 압착 단자.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압착 단자.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
  13. 제 12항에 기재된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
  14.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이며,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면(斷面) 중공(中空)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형상 가공하고,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는 동시에,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상기 일단 측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하여 상기 압착부를 구성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5.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이며,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형상 가공하면서,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상기 일단 측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6.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이며,
    적어도 한쪽에, 길이 방향의 한쪽이 밀봉된 중공의 볼록부를 가지는 판재를 겹치게 하고,
    상기 볼록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듯이,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을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행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8.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한 압착 단자이며,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상기 판재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 맞대게 하고, 상기 단부끼리 맞대게 한 길이 방향의 맞대기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부분의 안팎(表裏)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 압착 단자.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한 압착 단자.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封止)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封止部)를 구성한 압착 단자.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한 압착 단자.
  22. 제 18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해서 행한 압착 단자.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을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한 압착 단자.
  24. 제 18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접속 구조체.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기재된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
  27.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갖춘 압착 단자이며,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이 되도록 판재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상기 판재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 겹치게 하고, 상기 단부끼리 겹치게 한 길이 방향의 겹쳐진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상기 겹쳐진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 압착 변형하는 곳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 압착 단자.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端部)를,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한 압착 단자.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부분을, 상기 판재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 압착 단자.
  30. 제 27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한 압착 단자.
  31. 제 27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한 압착 단자.
  33. 제 27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해서 행한 압착 단자.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을,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한 압착 단자.
  35. 제 27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접속 구조체.
  37.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기재된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
  38. 피복 전선의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이며,
    판재를 구부려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면서,
    단면 중공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고, 길이 방향으로 용접한 용접 부분 중 적어도 상기 도체 부분에 대한 압착 접속을 위해서 압착 변형하는 부분의 안팎 양측에 상기 용접에 의한 용접 비드가 형성된 상기 압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을, 그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서 타단 측을 향하는 방향을 소인(掃引;sweep)방향으로 한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안팎 양측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한 압착 단자.
  40. 제 38항 또는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으로 한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을,
    상기 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인해서 용접하는 나선 소인 용접으로 한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을,
    상기 폭 방향의 소인과, 상기 길이 방향의 소인을 번갈아 반복해서 상기 소인 방향으로 용접하는 직사각형 소인 용접으로 한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폭을 가지는 용접을,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소인해서 지그재그 형태로 용접하는 삼각 소인 용접으로 한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44. 제 38항 내지 제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중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밀봉하는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하면서 동시에, 봉지형상으로 형상 가공한 상기 일단 측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용접해서 봉지부를 구성한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용접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의 용접 부분을 동일 평면상에 설정한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46. 제 38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을, 고 에너지 밀도 빔을 이용해서 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고 에너지 밀도 빔을, 파이버 레이저 빔으로 구성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48. 제 38항 내지 제 4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압착 단자에서의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부분을,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접속 구조체.
  50. 제 48항 또는 제 49항에 기재된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
  51.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이며,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로 구성하고,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기단 측으로 이 순서로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피복 압착부에,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함에 따라 그 절연 피복에 더해지는 압착력을 완화하는 압착력 완화 수단을 구비한 압착 단자.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基端部)의 내주부(內周部)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內俓)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大徑) 내주부(內周部)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력 완화 수단을,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에 설정한 압착 단자.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에, 그 적어도 기단부보다 선단측 부분에 대해서 확경(擴俓)된 기단측 확경부(擴俓部)를 형성하고,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상기 기단측 확경부에 설정한 압착 단자.
  54. 제 52항 또는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에, 그 기단부의 외주면에 대해서 내주면이 근접하도록 두께를 얇게 한 기단측 박육부(薄肉部)를 형성하고,
    상기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상기 기단측 박육부에 설정한 압착 단자.
  55.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으로 형성한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와,
    둘레 방향의 일부가 개구된 오픈 배럴형 압착부로 구성하고,
    상기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를,
    상기 도체 압착부에 대해서 둘레 방향 전체가 연속해서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오픈 배럴형 압착부를,
    상기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에 대해서 기부(基部) 측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력 완화 수단을, 상기 오픈 배럴형 압착부에 설정한 압착 단자.
  56. 제 51항 내지 제 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를,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압착 단자.
  57.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한 접속 구조체이며,
    상기 압착 단자를, 제 51항 내지 제 5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로 구성하고,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로 구성하고,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선단 측에서 기단 측으로 이 순서로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선 선단부를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압착부를 압착한 압착 상태의 압착부의 기단측을,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함에 따른 압착력을 완화하는 압착력 완화 형상으로 형성한 접속 구조체.
  58.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따라서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한 접속 구조체이며,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로 구성하고,
    상기 압착부를,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길이 방향의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이 순서로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선 선단부를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압착 상태의 상기 압착부의 기단측을,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함에 따른 압착력을 완화하는 압착력 완화 형상으로 형성한 접속 구조체.
  59. 제 57항 또는 제 58항에 기재된 접속 구조체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
  60.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전선 선단부는,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 부분에 가지는 피복 선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부는, 단면 중공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길이 방향의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이 순서로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를 배치해서 구성되며,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압착부로 압착 접속하는 압착 접속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선 선단부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압착부에서의 적어도 기단부보다도 상기 피복 압착부를 포함한 선단측 부분을 압착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 내주부로 형성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147022390A 2012-07-09 2013-07-09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KR101582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3607 2012-07-09
JP2012153607 2012-07-09
JP2012162075 2012-07-20
JPJP-P-2012-162075 2012-07-20
JPJP-P-2012-222113 2012-10-04
JP2012222112 2012-10-04
JPJP-P-2012-222112 2012-10-04
JP2012222113 2012-10-04
JP2012222114 2012-10-04
JPJP-P-2012-222114 2012-10-04
PCT/JP2013/068783 WO2014010605A1 (ja) 2012-07-09 2013-07-09 圧着端子、接続構造体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55A true KR20150028955A (ko) 2015-03-17
KR101582587B1 KR101582587B1 (ko) 2016-01-05

Family

ID=4991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390A KR101582587B1 (ko) 2012-07-09 2013-07-09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91376B2 (ko)
EP (1) EP2871718B1 (ko)
JP (3) JP5535408B1 (ko)
KR (1) KR101582587B1 (ko)
CN (1) CN104081583B (ko)
WO (1) WO2014010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636A1 (ja) * 2013-02-22 2014-08-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219194B2 (ja) * 2013-02-22 2017-10-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272535B (zh) * 2013-02-22 2019-03-1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的制造方法、压接端子及线束
KR101576784B1 (ko) * 2013-02-23 2015-12-1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착 단자,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전선 접속 구조체, 및 전선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JP6301660B2 (ja) * 2014-01-18 2018-03-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付き電線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301692B2 (ja) * 2014-03-20 2018-03-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ワイヤハーネス及び圧着端子の製造方法
JP6117426B2 (ja) 2014-03-24 2017-04-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被覆導線と端子との接続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JP6438670B2 (ja) * 2014-04-04 2018-12-1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6678587B2 (ja) * 2014-08-22 2020-04-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接続構造体、圧着端子の製造方法及びレーザ溶接方法
JPWO2016031798A1 (ja) 2014-08-25 2017-04-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JP2016046132A (ja) * 2014-08-25 2016-04-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黄銅圧着端子、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黄銅圧着端子の製造方法
JP2016046176A (ja) * 2014-08-25 2016-04-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溶接継手、該溶接継手を備える端子、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端子の製造方法
JP6490411B2 (ja) * 2014-12-01 2019-03-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圧着端子の製造装置
US10195688B2 (en) * 2015-01-05 2019-02-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ser welding system for a battery module
JP6479535B2 (ja) * 2015-03-31 2019-03-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DE102015210458A1 (de) * 2015-06-08 2016-12-0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ein unedles Metall aufweisenden Leiters mit einem Kupfer aufweisenden Anschlusselement mittels Verschweißen sowie eine dadurch hergestellte Anschlussanordnung
JP2017204443A (ja) * 2016-05-13 2017-11-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及び電線への端子圧着方法
JP7041411B2 (ja) * 2017-07-05 2022-03-24 冨士端子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6998813B2 (ja) * 2018-03-29 2022-01-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端子の製造方法
JP6582089B2 (ja) * 2018-04-05 2019-09-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接続構造体、端子圧着装置、および端子圧着用歯型
DE102018213639A1 (de) * 2018-08-14 2020-02-2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fahren zum Anbringen wenigstens eines insbesondere stiftförmigen Kontaktelements auf einer Leiterbahn einer Leiterplatte, Stiftleiste zur Anbringung auf einer Leiterplatte, Verbindungsanordnung
JP7028854B2 (ja) * 2019-12-26 2022-03-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7398055B2 (ja) 2020-05-19 2023-12-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端子
JP7149542B2 (ja) * 2020-05-27 2022-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3839150A (zh) * 2020-06-24 2021-12-24 新普科技股份有限公司 电连接点的接合结构、电连接点的接合方法及电池模块
US20230155336A1 (en) * 2021-11-16 2023-05-1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High Deformation and Retention Ferrule
CN114312389B (zh) * 2022-01-30 2024-01-30 郑州恒天铜业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用具有防水功能的电缆以及连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437A (ja) * 2002-08-08 2004-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と電線の防水接続構造
KR20060012324A (ko) * 2003-06-18 2006-02-07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접속단자
KR20080006632U (ko) * 2007-06-25 2008-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JP2011233328A (ja) 2010-04-27 2011-11-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4460A (en) * 1964-11-09 1968-01-16 Thomas & Betts Corp Seamed sleeve connector
US3955044A (en) * 1970-12-03 1976-05-04 Amp Incorporated Corrosion proof terminal for aluminum wire
JP2734851B2 (ja) * 1991-12-19 199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摩耗検知用プローブの製造方法
JP2747510B2 (ja) * 1992-02-12 1998-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ーザー溶着によるフイルム状回路体の接続方法
JP2699763B2 (ja) * 1992-05-11 1998-01-19 日本鋼管株式会社 ブローホール防止溶接方法
JP3718394B2 (ja) 1999-12-09 200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被覆電線の端末接続部およびその防水処理方法と装置
JP4374187B2 (ja) * 2002-12-20 2009-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と被覆電線との接続方法
JP4739075B2 (ja) * 2006-03-16 2011-08-0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アルミ電線の端子圧着方法及び端子付きアルミ電線
WO2008104980A2 (en) * 2007-03-01 2008-09-04 Pulsar Welding Ltd. Apparatus for connecting an electric cable to a cable lug
JP2009252700A (ja) * 2008-04-10 2009-10-2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線端末接続部の製造方法及び電線端末接続構造
JP2010073486A (ja) * 2008-09-18 2010-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FR2936373B1 (fr) * 2008-09-25 2010-11-12 Presse Etude Sas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nnecteur pour cable electrique et connecteur ainsi obtenu
DE102009049518A1 (de) * 2009-10-15 2011-04-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weißen von Werkstücken aus hochwarmfesten Superlegierungen
KR101116638B1 (ko) * 2009-12-15 2012-03-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JP5505033B2 (ja) * 2010-03-30 2014-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N102859795B (zh) * 2010-03-30 2015-08-1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连接构造体和连接器
JP2012009358A (ja) * 2010-06-25 2012-01-12 Jst Mfg Co Ltd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及び電気コネクタ
JP2012054101A (ja) * 2010-09-01 2012-03-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モールドコネクタ
CN104094470B (zh) * 2012-08-07 2015-10-21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连接构造体、连接器、线束以及压接端子的制造方法、连接构造体的制造方法
JP5567237B1 (ja) * 2013-02-22 2014-08-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接続構造体及び圧着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437A (ja) * 2002-08-08 2004-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と電線の防水接続構造
KR20060012324A (ko) * 2003-06-18 2006-02-07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접속단자
KR20080006632U (ko) * 2007-06-25 2008-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JP2011233328A (ja) 2010-04-27 2011-11-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81583A (zh) 2014-10-01
US20150126078A1 (en) 2015-05-07
JPWO2014010605A1 (ja) 2016-06-23
JP5521127B1 (ja) 2014-06-11
JP6440364B2 (ja) 2018-12-19
JP2014116323A (ja) 2014-06-26
EP2871718A4 (en) 2016-07-27
US9391376B2 (en) 2016-07-12
WO2014010605A1 (ja) 2014-01-16
EP2871718A1 (en) 2015-05-13
CN104081583B (zh) 2016-04-20
KR101582587B1 (ko) 2016-01-05
JP2014089988A (ja) 2014-05-15
JP5535408B1 (ja) 2014-07-02
EP2871718B1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587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US9281574B2 (en) Crimp terminal, connection structural body, connector, wire harness, method of manufacturing crimp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on structural body
JP5567236B1 (ja) 圧着端子、圧着接続構造体及び圧着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529255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
KR101576784B1 (ko) 압착 단자,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전선 접속 구조체, 및 전선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493205B1 (ko)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압착 단자 및 와이어 하네스
JP5567237B1 (ja) 圧着端子、圧着接続構造体及び圧着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513570B2 (ja) 端子、ワイヤハーネス、端子と被覆導線の接続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CN106489219B (zh) 压接端子、连接构造体、压接端子的制造方法以及激光焊接方法
JP6998813B2 (ja) 端子、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端子の製造方法
JP2016046176A (ja) 溶接継手、該溶接継手を備える端子、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端子の製造方法
JP6200366B2 (ja) 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301692B2 (ja) 圧着端子、ワイヤハーネス及び圧着端子の製造方法
JP6219194B2 (ja) 圧着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