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088A - 현상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088A
KR20150020088A KR20140103231A KR20140103231A KR20150020088A KR 20150020088 A KR20150020088 A KR 20150020088A KR 20140103231 A KR20140103231 A KR 20140103231A KR 20140103231 A KR20140103231 A KR 20140103231A KR 20150020088 A KR20150020088 A KR 2015002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upply container
cover member
cover
develop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241B1 (ko
Inventor
다츠유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배출구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로서, 상기 공급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할 때 상기 배출구와 접속되어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구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상기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또는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동 기구와; 상기 수용구 위에서 상기 수용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구를 덮는 커버 위치와 상기 수용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한 커버 부재와; 상기 공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제 공급 장치{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이들의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토너 분말과 같은 미세 입자 형태의 현상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에 따라 소비되는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장치로 보충한다. 현상제의 공급은 현상제가 수납된 현상제 공급 용기를 본체에 설치된 현상제 수용부에 장착함으로써 실시된다. 여기서, 현상제는 매우 미세한 분말이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의 착탈 작업시 현상제가 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와 현상제 수용부 간의 다양한 접속 방식이 제안 및 사용되고 있다(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평8-110692호).
일본 공개 특허 평8-110692호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공급 용기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를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배출구를 현상 디바이스의 수용구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현상시에는, 현상 디바이스 전체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배출구와 수용구가 접속 상태(양 개구가 서로 유체 연통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비-현상 동작시에는 현상 디바이스 전체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용구를 배출구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수용구를 개방시켜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용구를 통해 이물질이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구를 가진 현상제 수용부를 이동시켜 상기 수용구를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배출구에 접속하고, 수용구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억제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를 수납한 공급 용기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공급 용기는,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구와;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로서, 상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공급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할 때 상기 배출구와 접속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구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상기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또는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동 기구와; 상기 수용구 위에서 상기 수용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구를 덮는 커버 위치와 상기 수용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한 커버 부재와; 상기 공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여타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b)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c)는 현상제 수용부이다.
도 5의 (a)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상부 플랜지부의 도 5와 유사한 사시도이고, (b)는 도 5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하부 플랜지부의 도 5와 유사한 사시도이고, (b)는 도 5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정면도이다.
도 9의 (a)는 셔터의 평면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펌프의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11의 (a)는 왕복 부재의 도 5와 유사한 사시도이고, (b)는 도 5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커버의 도 5와 유사한 사시도이고, (b)는 도 5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의 제1 단계를 나타내는 현상제 공급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b)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며, (c)는 평면도이고, (d)는 하부 플랜지부와 현상제 수용부의 관계도이다.
도 14의 (a)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의 제2 단계를 나타내는 현상제 공급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b)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며, (c)는 평면도이고, (d)는 하부 플랜지부와 현상제 수용부의 관계도이다.
도 15의 (a)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의 제3 단계를 나타내는 현상제 공급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b)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며, (c)는 평면도이고, (d)는 하부 플랜지부와 현상제 수용부의 관계도이다.
도 16의 (a)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의 제4 단계를 나타내는 현상제 공급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b)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며, (c)는 평면도이고, (d)는 하부 플랜지부와 현상제 수용부의 관계도이다.
도 17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안내부의 3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a)는 커버 부재가 커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커버 부재의 개방 위치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a)는 커버 부재가 커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커버 부재의 개방 위치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a)는 커버 부재가 커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커버 부재의 개방 위치를 나타내며, (c)는 샤프트 안내홈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a)는 커버 부재가 커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커버 부재의 개방 위치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공급 장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우선 참조하여, 그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에는, 화상 형성 장치가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101로 표시되어 있는 원고가 원고 지지대 유리(10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원고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상(light image)을 광학부(103)의 복수의 미러(M)와 렌즈(Ln)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104)(감광 부재) 상에 결상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정전 잠상은 건식 현상 디바이스(1성분 현상 디바이스)(201)에 의해 현상제(건식 분말)로서 토너(1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하여 가시화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토너 카트리지)(1)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로서 1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른 예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1성분 비자성 토너를 사용하는 1성분 현상 디바이스를 채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1성분 비자성 토너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가 혼합된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2성분 현상 디바이스를 채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와 함께 자성 캐리어를 공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현상 디바이스(201)는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한다. 현상 디바이스(201)에는 현상제 공급 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으며, 현상제 공급 장치(200)는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수용 장치(8)를 포함한다. 이 현상제 공급 장치(200)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현상 디바이스(201)는 현상제 호퍼부(201a)에 추가하여 현상 롤러(201f)를 구비한다. 현상제 호퍼부(201a)는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 부재(201c)를 구비한다. 교반 부재(201c)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는 반송 부재(201d)에 의해 반송 부재(201e) 측으로 반송된다. 반송 부재(201e, 201b)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송된 현상제는 현상 롤러(201f)에 담지되어, 최종적으로, 감광 드럼(104)과의 현상 구역으로 공급된다. 본 예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현상 디바이스(201)에 공급하고 있지만, 다른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기능을 하는 토너와 캐리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는 시트와 같은 기록재(S)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105 내지 108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카세트(105 내지 108)에 적재된 기록재(S) 중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액정 조작부로부터 작업자(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원고(101)의 시트 크기에 기초하여 최적의 카세트가 선택된다. 기록재는 용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OHP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 반송기(105A 내지 108A)에 의해 공급된 1매의 기록재(S)를, 반송부(109)를 따라 레지스트 롤러(110)까지 반송하고, 감광 드럼(104)의 회전 및 광학부(103)의 스캐닝과 동기화된 타이밍에 반송한다.
전사 대전기와 분리 대전기가 111 및 112로 표시되어 있다. 전사 대전기(111)에 의해, 감광 드럼(104)에 형성된 현상제의 화상(토너 화상)이 기록재(S)에 전사된다. 분리 대전기(112)에 의해, 토너 화상이 담지된 기록재(S)가 감광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반송부(113)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S)는 정착부(114)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재 상의 현상된 상을 정착시킨 후, 단면 복사 모드의 경우에는 배출/반전부(115)를 통과한 다음 배출 롤러(116)에 의해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복사의 경우, 기록재(S)는 배출/반전부(115)를 통과하게 되고, 기록재(S)의 일부가 배출 롤러(116)에 의해 외부로 일시적으로 배출된다. 기록재(S)의 종단이 플래퍼(118)를 통과하게 되고, 배출 롤러(116)에 기록재가 아직 협지되어 있을 때, 플래퍼(118)를 제어하고 배출 롤러(116)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S)를 다시 장치 내로 반송하게 된다. 그 다음, 재반송부(119, 120)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110)까지 시트(S)가 반송된 후, 단면 복사 모드의 경우와 유사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감광 드럼(104)의 주위에는,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디바이스(201),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닝부(202), 대전 수단으로서의 1차 대전기(203) 등의 화상 형성 처리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디바이스(201)는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부(103)에 의해 감광 드럼(104)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시킴으로써, 현상한다. 1차 대전기(203)는 감광 드럼(104)에 원하는 정전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클리닝부(202)는 감광 드럼(104)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0a)의 외장 케이싱의 일부인 교환용 커버(40)가 개방되면,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일부가 노출된다. 현상제 수용 장치(8)에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삽입(장착)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현상제 수용 장치(8)에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조작자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교환할 때에는, 장착 조작과는 반대의 조작을 통해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취출(분리)하고, 새로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설치한다. 여기에서, 교환용 커버(40)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착탈(교환)하기 위한 전용 커버이며,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착탈하기 위해 개폐된다. 장치(100)의 다른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전면 커버(100c)가 개폐된다. 교환용 커버(40)와 전면 커버(100c)가 서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교환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유지 보수는 일체화된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개폐함으로써 실시된다.
[현상제 수용 장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장치(8)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제거가능하게(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장착 공간)(8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수용 장치에는, 후술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구(3a4)(도 7의 (b))를 통해 배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부(11)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수용할 수 있으며,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수용할 때, 서로 접속된 배출구(3a4) 및 배출구(3a4)를 통해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구(1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 수용부(11)는 현상제 수용구(11a)가 배출구(3a4)로 또는 배출구(3a4)로부터 이동하는 방향으로, 즉 본 예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11)에는 본체 시일(1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현상제 수용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시일(13)은 탄성 부재, 발포 부재 등으로 제조되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구(3a4)를 구비한 개구 시일(3a5)(도 7의 (b))과 밀착함으로써,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된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구(11a)를 포함한 현상제 반송 경로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현상제 수용구(11a)의 직경은, 장착부(8f)에서 현상제에 의한 오염을 가급적 방지하기 위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구(3a4)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배출구(3a4)의 직경보다 현상제 수용구(11a)의 직경이 작으면,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배출된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구(11a)가 형성된 본체 시일(13)의 상면에 쉽게 부착되기 때문이다. 부착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시에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하면에 전사되어, 현상제에 의한 오염을 초래한다.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전사된 현상제가 장착부(8f)에 비산될 수 있으며, 현상제에 의한 장착부(8f)의 오염을 초래한다.
역으로, 현상제 수용구(11a)의 직경이 배출구(3a4)의 직경보다 훨씬 크면, 현상제 수용구(11a)로부터 비산된 현상제가 개구 시일(3a5)에 형성된 배출구(3a4) 주변에 부착되는 면적이 커진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에서 현상제에 의해 오염되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현상제 수용구(11a)의 직경과 배출구(3a4)의 직경 간의 차이가 대략 0 내지 약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구(3a4)의 직경이 약 φ2㎜(핀 홀)이기 때문에, 현상제 수용구(11a)의 직경은 약 φ3㎜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해 현상제 수용구(11a)가 배출구(3a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구체적으로는,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현상제 수용부(11)는, 현상제 수용구(11a)가 배출구(3a4)를 향하여(구체적으로는, 상방으로) 이동할 때,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장치(8) 아래에는,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서브-호퍼(8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서브-호퍼(8c)에는, 현상 디바이스(201)의 일부인 현상제 호퍼부(201a)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스크류(14)와, 현상제 호퍼부(201a)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8d)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구(11a)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브-호퍼(8c)에 이물질 및/또는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현상제 수용부(11)가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현상제 수용구(11a)가 본체 셔터(1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부(11)는 도 13의 (b)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향해 상방(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구(11a)와 본체 셔터(15)가 서로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현상제 수용구(11a)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배출구(3a4)를 통해 현상제가 배출되어, 현상제 수용구(11a)에 의해 수용된 현상제가 서브-호퍼(8c)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11)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수용부 이동 수단으로서의 수용부 이동 기구(400)를 구성하는 결합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11b)는 후술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1) 측에 설치된 안내부(3b2, 3b4)(도 8)와 직접 결합하여 안내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향해 상승하도록 한다. 결합부(11b)와 안내부(3b2, 3b4)의 위치 관계는 반대일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수용부(11) 중 하나에 결합부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안내부를 설치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동작시에 결합부와 안내부의 결합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11)가 이동하도록 하면 충분할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장착부(8f)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착탈 방향으로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8e)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8e)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이 화살표(A)를 따르게 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방향은 화살표(A) 방향과는 반대이다(화살표(B)).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장치(8)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는 구동 기어(9)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9)는 구동 모터(500)로부터 구동 기어 열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수용하여, 장착부(8f)에 설치된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해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기능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500)는 제어 디바이스(CPU)(600)에 의해 제어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현상제 공급 장치(200)의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는 본체(10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 셔터(4), 펌프부(5), 왕복 부재(6) 및 커버(7)를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현상제 수용 장치(8) 내에서 도 5의 (b)에 나타낸 회전축(P)을 중심으로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 장치(8)에 공급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각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 본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현상제 반송 챔버)(2)는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부(2c)를 주로 포함한다. 용기 본체(2)는, 용기 본체(2)가 회전축(P)을 중심으로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현상제 수납부(2c)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나선형 반송 홈(2a)을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일단부의 외주 전체에 걸쳐서, 캠 홈(2b)과, 본체 측으로부터 구동을 수용하는 구동 수용부(구동 입력부)가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캠 홈(2b)과 구동 수용부(2d)가 용기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캠 홈(2b) 또는 구동 수용부(2d)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용기 본체(2)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체적 평균 입경이 5㎛ 내지 6㎛인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가 용기 본체(2)의 현상제 수납부(2c)에 수납되어 있다. 본 예에서, 현상제 수납부(현상제 수납 공간)(2c)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플랜지부(3)와 펌프부(5)의 내부 공간에 의해서도 제공된다.
[플랜지부]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플랜지부(3)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현상제 배출 챔버)(3)는 용기 본체(2)에 대해 축(P)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되면, 플랜지부는 장착부(8f)(도 3의 (a))에 대해 화살표(R) 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다. 또한, 플랜지부에는 배출구(3a4)(도 7)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3)는 조립성을 고려하여 상부 플랜지부(3a)와 하부 플랜지부(3b)로 분할되며, 플랜지부에는 펌프부(5), 왕복 부재(6), 셔터(4) 및 커버(7)가 장착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부(3a)의 일단부 측에는 펌프부(5)가 나사로 연결되고, 타단부 측에는 용기 본체(2)가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된다. 펌프부(5)가 왕복 부재(6)들 사이에 협지되고, 왕복 부재(6)의 결합 돌출부(6b)(도 11)가 용기 본체(2)의 캠 홈(2b)에 끼워진다. 또한, 상부 플랜지부(3a)와 하부 플랜지부(3b) 사이의 갭에는 셔터(4)가 삽입된다. 외관을 향상시키고 왕복 부재(6)와 펌프부(5)를 보호하기 위해, 플랜지부(3), 펌프부(5) 및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커버(7)가 일체로 제공된다.
[상부 플랜지부]
도 7을 참조하여, 상부 플랜지부(3a)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 플랜지부(3a)는 펌프부(5)가 나사 결합되는 펌프 연결부(3a1)(나사는 도시되지 않음)와, 용기 본체(2)가 연결되는 도 7의 (b)에 도시된 용기 본체 연결부(3a2)와, 용기 본체(2)로부터 반송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부(3a2)를 포함하고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a3)로부터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 장치(8)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배출구(개구)(3a4)와, 후술하는 현상제 수용부(11)와 접속되는 접속부(3a6)를 형성하는 개구 시일(3a5)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 시일(3a5)은 양면 테이프로 상부 플랜지부(35a)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셔터(4)와 플랜지부(3a)에 의해 협지되어 배출구(3a4)를 통한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한다. 본 예에서는, 배출구(3a4)를 플랜지부(3a)와 별체인 개구 시일(3a5)에 설치했으나, 배출구(3a4)를 상부 플랜지부(35a)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동작시 셔터(4)의 개폐에 의해 불필요하게 배출될 수 있는 현상제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출구(3a4)의 직경은 약 2㎜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하면에, 즉 상부 플랜지부(3a)의 하면에, 배출구(3a4)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방향의 상류측 단면 또는 하류측 단면 이외의 측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본 예의 접속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배출구(25a4)의 위치는 특정 장치의 사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접속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플랜지부]
도 8 및 도 18을 참조하여, 하부 플랜지부(3b)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부(3b)는 셔터(4)(도 9)가 삽입되는 셔터 삽입부(3b1)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플랜지부(3b)는 후술하는 수용부 이동 기구(400)를 구성하며, 현상제 수용부(11)(도 4)의 결합부(11b)와 결합가능한 안내부(3b2, 3b4)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부(3b2, 3b4)는,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수용부(11)로 현상제의 공급이 가능한 접속 상태가 확립되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향해 현상제 수용부(11)를 변위시킨다. 안내부(3b2, 3b4)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수용부(39)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이격되도록 현상제 수용부(11)를 안내한다.
안내부(3b2, 3b4) 중 제1 안내부(3b2)는 현상제 수용부(11)의 개봉 작업이 가능하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제 수용부(11)를 변위시킨다. 본 예에서, 제1 안내부(3b2)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가 개구 시일(3a5)의 일부에 형성된 접속부(3a6)와 접속되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향해 현상제 수용부(11)를 변위시킨다. 제1 안내부(3b2)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안내부(3b2)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가 재밀봉되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제 수용부(11)가 변위되도록 안내 동작을 행한다. 본 예에서, 제1 안내부(3b2)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와 접속부(3a6)의 접속 상태가 끊어지도록,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제2 결합부(3b4)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배출구(3a4)가 현상제 수용부(11)의 현상제 수용구(11a)와 연통하게 되도록,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후술하는 셔터(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즉 현상제 수용구(11a)가 접속부(3a6)에서 배출구(3a4)까지 이동하는 동안,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 간의 접속을 유지한다. 이러한 제2 안내부(3b4)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결합부(3b4)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따라 배출구(3a4)가 재밀봉되도록,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 간의 접속을 유지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즉 현상제 수용구(11a)가 배출구(3a4)에서 접속부(3a6)까지 이동하는 동안,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 간의 접속을 유지한다.
제1 안내부(3b2)의 구성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경사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안내부(3b2)의 구성은, 예컨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일 수도 있다. 제1 안내부(3b2)의 구성은, 현상제 수용부(11)를 배출구(3a4) 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도 8 및 도 18의 (a) 또는 (b)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 일정한 조작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는 직선 형상의 경사면이 바람직하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방향에 대한 제1 안내부(3b2)의 경사각은 후술하는 사정을 고려하여 약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 상기 각도는 약 40°이다. 또한,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내부(3b2)와 제2 안내부(3b4)를 일체화시켜 균일한 직선의 경사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제1 안내부(3b2)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제 수용부(11)를 변위시켜 본체 시일(13)과 접속부(3a6)를 접속시킨다. 그 다음,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을 압축하면서, 현상제 수용구(11a)와 배출구(3a4)가 서로 유체 연통하게 될 때까지, 현상제 수용부(11)를 변위시킨다.
여기서,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안내부(3b2)를 이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완료 위치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에는 항상 B 방향(도 16의 (a))으로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장착 완료 위치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기구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필요하게 됨으로써, 비용 상승 및/또는 부품 개수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상술한 제2 결합부(3b4)를 마련하여, 장착 완료 위치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에 B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 간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8의 (c)에 도시된 제1 안내부(3b2)는 직선 형상의 경사면을 갖지만, 예컨대, 도 18의 (a) 또는 도 18의 (b)와 유사하게, 곡선형이거나 계단형의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서 조작력을 일정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직선 형상의 경사면이 바람직하다.
하부 플랜지부(3b)는,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또는 취출 동작에 따라, 후술하는 셔터(4)의 지지부(4d)의 탄성 변형을 규제 또는 허용하는 규제 리브(규제부)(3b3)(도 3의 (a))를 구비하고 있다. 규제 리브(3b3)는 셔터 삽입부(3b1)의 삽입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중의 파손 및/또는 조작자에 의한 실수로부터 셔터(4)를 보호하는 보호부(3b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부(3b)는 셔터(4)가 셔터 삽입부(3b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플랜지부(3a)와 일체화되어 있다.
[셔터]
도 9를 참조하여, 셔터(4)에 대해 설명한다. 셔터(4)는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 따라 배출구(3a4)를 개폐한다. 셔터(4)에는 현상제 밀봉부(4a)와 슬라이딩면(4i)이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밀봉부(4a)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장착부(8f)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배출구(3a4)를 통한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한다. 슬라이딩면(4i)은 현상제 밀봉부(4a)의 후면에 설치되며, 하부 플랜지부(3b)의 셔터 삽입부(3b1) 위를 슬라이딩한다.
셔터(4)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셔터 스토퍼부(8n, 8p)(도 4의 (a))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스토퍼부(보유 지지부)(4b, 4c)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부(4b, 4c) 중 제1 스토퍼부(5b)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시에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n)와 결합하여,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셔터(4)의 위치를 고정한다. 제2 스토퍼부(4c)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시에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와 결합된다.
셔터(4)는 스토퍼부(4b, 4c)가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4d)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4d)는 제1 스토퍼부(4b)와 제2 스토퍼부(4c)를 변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부(4a)로부터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제1 스토퍼부(4b)와 지지부(4d)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α)가 예각이 되도록, 제1 스토퍼부(4b)는 경사져 있다. 대조적으로, 제2 스토퍼부(4c)와 지지부(4d)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β)가 둔각이 되도록, 제2 스토퍼부(4c)는 경사져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장착부(8f)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셔터(4)의 현상제 밀봉부(4a)에는 배출구(3a4)와 대향하는 위치보다 장착 방향으로 하류측의 위치에 잠금 돌출부(4e)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 시일(3a5)(도 7의 (b))에 대한 잠금 돌출부(4e)의 접촉량이 현상제 밀봉부(4a)에 대한 접촉량보다 크기 때문에, 셔터(4)와 개구 시일(3a5) 간의 정지 마찰력이 커진다. 따라서, 운송 중의 진동 등에 의한 셔터(4)의 예상치 못한 이동(변위)을 방지할 수 있다. 현상제 밀봉부(4a) 전체가 잠금 돌출부(4e)와 개구 시일(3a5) 간의 접촉량에 상당할 수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잠금 돌출부(4e)를 설치한 경우에 비해, 셔터(4)가 이동할 때 개구 시일(3a5)에 대한 동마찰력이 커진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할 때 필요한 조작력이 커지고, 이는 유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예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잠금 돌출부(4e)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부]
도 10을 참조하여, 펌프부(5)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부(5)는 구동 수용부(구동 입력부)(2d)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여, 현상제 수납부(2c)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와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를 교대로 생성한다. 본 예에서는, 작은 배출구(3a4)로부터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일부로서 펌프부(5)를 마련하고 있다. 펌프부(5)는 체적이 변하는 용적식 펌프이다. 구체적으로, 펌프는 벨로우즈형 신축 부재를 포함한다.
펌프부(5)의 신축 동작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압력을 변화시키고, 그 압력을 이용하여 현상제를 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5)가 수축될 때,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내부가 가압됨으로써, 현상제가 배출구(3a4)를 통해 배출된다. 펌프부(5)가 신장될 때,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내부가 감압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배출구(3a4)를 통해 공기가 취입된다. 취입된 공기에 의해, 배출구(3a4) 및/또는 저장부(3a3) 부근의 현상제가 느슨해짐으로써, 다음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신축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현상제가 배출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변형예의 펌프부(5)는 정점과 바닥이 주기적으로 형성된 벨로우즈형 신축부(벨로우즈부, 신축 부재)(5a)를 구비하고 있다. 신축부(5a)는 화살표(A, B) 방향으로 신축한다. 본 예에서와 같이, 벨로우즈형 펌프부(5)를 채용할 경우, 신축량에 대한 체적 변화량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체적 변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펌프부(5)의 재료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료(PP)이지만, 이것이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 펌프부(5)의 재료는, 신축 기능을 제공하고 체적 변화에 의해 현상제 수납부의 내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그 예에는, 얇게 형성된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재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재료가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고무와 같은 기타 신축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부(5)의 개구 단부 측에는 상부 플랜지부(3a)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5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5b)는 나사이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 측에는 후술하는 왕복 부재(6)와 동기화하여 변위하도록 왕복 부재(6)와 결합되는 왕복 부재 결합부(5c)가 설치되어 있다.
[왕복 부재]
도 11을 참조하여, 왕복 부재(6)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부재(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부(5)의 체적을 변화시키기 위해 펌프부(5)에 설치된 왕복 부재 결합부(5c)와 결합되는 펌프 결합부(6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부재(6)는 용기 조립시에 전술한 캠 홈(2b)(도 5)에 끼워지는 결합 돌출부(6b)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돌출부(6b)는 펌프 결합부(6a)의 근방으로부터 연장된 아암(6c)의 자유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아암(6c)의 축(P)(도 5의 (b))을 중심으로 한 왕복 부재(6)의 회전 변위는 후술하는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도 12)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가 구동 기어(9)에 의해 구동 수용부(2d)로부터 구동을 수용하여 캠 홈(2n)과 일체로 회전할 때, 캠 홈(2b)에 끼워진 결합 돌출부(6b)와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의 작용에 의해 왕복 부재(6)가 화살표(A, B)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동작과 함께, 왕복 부재(6)의 펌프 결합부(6a)와 왕복 부재 결합부(5c)를 통해 결합된 펌프부(5)가 화살표(A, B) 방향으로 신축 운동한다.
[커버]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여, 커버(7)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7)는, 외관을 향상시키고 왕복 부재(38) 및/또는 펌프부(5)를 보호하기 위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는 플랜지부(3), 펌프부(5) 및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부 플랜지부(3a) 및/또는 하부 플랜지부(3b) 등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7)에는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삽입 가이드(8e)(도 3의 (a))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 홈(7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7)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왕복 부재(6)의 축(P)(도 5의 (b))을 중심으로 한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동작]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의 (a) 내지 (c)는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수용 장치(8) 사이의 접속부 근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의 (d)는 하부 플랜지부(3b)와 현상제 수용부(11)의 관계를 특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장착 동작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8)로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을 때까지의 동작이다.
도 13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접속 개시 위치(제1 단계)를 나타낸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삽입된다. 먼저,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의 제1 스토퍼부(4b)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와 접촉함으로써,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셔터(4)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플랜지부(3)의 하부 플랜지부(3b) 및 상부 플랜지부(3a)와 셔터(4) 간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고, 배출구(3a4)는 셔터(4)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해 확실하게 밀봉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시일(3a5)의 접속부(3a6)가 셔터(4)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부(3b)의 규제 리브(3b3)가 지지부(4d) 속으로 진입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셔터(4)의 지지부(4d)는 화살표(C, D)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부(4b)는 지지부(4d)와 이루는 각도(α)(도 9의 (a))가 예각이 되도록 경사져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셔터 스토퍼부(8a)도 경사져 있다. 본 예에서, 경사각(α)은 약 80°이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삽입되면, 제1 스토퍼부(4b)가 제1 셔터 스토퍼부(8a)로부터 화살표(B) 방향으로 반력을 수용함으로써, 지지부(4d)가 화살표(D) 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즉, 셔터(4)의 제1 스토퍼부(4b)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와의 결합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셔터(4)의 위치는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확실하게 보유 지지된다.
또한,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11)의 결합부(11b)와 하부 플랜지부(3b)의 제1 결합부(3b2)는 이들이 서로 결합을 개시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11)는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이격된 초기 위치에 남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11)는 개구 시일(3a5)의 일부에 형성된 접속부(3a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셔터(15)에 의해 현상제 수용구(11a)는 밀봉된 상태이다. 또한, 현상제 수용 장치(8)의 구동 기어(9)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구동 수용부(2d)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즉 비-전달 상태이다.
본 예에서는,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 사이의 거리가 약 2㎜이다. 거리가 너무 짧으면, 예컨대, 약 1.5㎜ 이하이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동작으로 인해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11)에 설치된 본체 시일(13)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가 비산할 수 있다. 비산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거리가 너무 길면, 현상제 수용부(11)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 필요한 스트로크가 커져서, 화상 형성 장치의 대형화로 이어진다. 또는, 하부 플랜지부(3b)의 제1 안내부(3b2)의 경사각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방향에 대해 가파르게 되기 때문에, 현상제 수용부(11)를 변위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하가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수용부(11) 사이의 거리를 본체 사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착탈 방향에 대한 제1 안내부(3b2)의 경사각이 약 40°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도 동일한 경사각이 적용된다.
그리고,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삽입된다(제2 단계).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의 위치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상대적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화살표(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시일(3a5)의 접속부(3a6)의 일부가 셔터(4)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부(3b)의 제1 안내부(3b2)가 현상제 수용부(11)의 결합부(11b)와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부(11b)가 제1 안내부(3b2)에 의해 화살표(E) 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11)가 도 14의 (b)에 나타낸 위치까지 가압 부재(12)(화살표(F) 방향)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E)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현상제 수용구(11a)가 본체 셔터(15)로부터 이격되어 개봉되기 개시한다. 여기서, 도 14의 위치에서, 현상제 수용구(11a)와 접속부(3a6)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의 지지부(4d) 속으로 하부 플랜지부(3b)의 규제 리브(3b3)가 진입함으로써, 지지부(4d)는 화살표(C) 방향이나 화살표(D)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게 된다. 즉, 지지부(4d)의 탄성 변형이 규제 리브(3b3)에 의해 규제된다.
그리고,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삽입된다(제3 단계). 그러면,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의 위치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상대적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화살표(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개구 시일(3a5)의 일부에 형성된 접속부(3a6)가 셔터(4)로부터 완전히 노출된다. 또한, 배출구(3a4)는 셔터(4)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해 아직 밀봉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셔터(4)의 지지부(4d) 속으로 하부 플랜지부(3b)의 규제 리브(3b3)가 진입함으로써, 지지부(4d)가 화살표(C) 방향이나 화살표(D)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때,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결합된 현상제 수용부(11)의 안내부(11b)가 제1 결합부(3b2)의 상단 측까지 도달한다. 현상제 수용부(11)가 도 15의 (b)에 나타낸 위치까지 가압 부재(12)(화살표(F) 방향)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E)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현상제 수용구(11a)가 본체 셔터(15)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개봉된다.
이 때, 현상제 수용구(11a)를 구비한 본체 시일(13)이 개구 시일(3a5)의 접속부(3a6)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속이 확립된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제1 결합부(3b2)와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현상제 수용부(11)에 의해,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으로 하측으로부터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 하류측의 단면(Y)(도 5의 (b))에서의 현상제 오염을 피할 수 있으며, 현상제 수용부(11)가 장착 방향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접근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현상제 오염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 속으로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삽입된다(제4 단계). 그러면,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화살표(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공급 위치(제2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구동 기어(9)와 구동 수용부(2d)가 서로 연결되고, 화살표(Q)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9)에 의해, 용기 본체(2)가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용기 본체(2)의 회전에 연동하는 왕복 부재(6)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부(5)가 왕복 운동한다. 따라서, 현상제 수납부(2c) 내의 현상제가 전술한 펌프부(5)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저장부(3a3)로부터 배출구(3a4)와 현상제 수용구(11a)를 통해 서브-호퍼(8c)에 공급된다.
또한, 도 1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공급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 현상제 수용부(11)의 결합부(11b)는 하부 플랜지부(3b)의 제1 결합부(3b2)와의 결합 관계에 의해 제2 안내부(3b4)와 결합한다. 그리고, 가압 부재(12)의 화살표(F) 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부(11b)는 제2 안내부(3b4)에 가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11)의 수직 방향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a4)가 셔터(4)에 의해 개봉되고, 배출구(3a4)와 현상제 수용구(11a)가 서로 유체 연통하게 된다.
이 때, 현상제 수용구(11a)는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에 형성된 접속부(3a6) 간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구 시일(3a5) 위를 슬라이딩하여 배출구(3a4)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3a4)로부터 낙하하여 현상제 수용구(11a) 이외의 위치에 비산하는 현상제의 양이 적다. 따라서, 현상제의 비산에 의해 현상제 수용 장치(8)가 오염되는 경우가 적다.
[현상제 공급 용기의 취출 동작]
도 13 내지 도 16 및 도 17을 주로 참조하여,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취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은 전술한 장착 동작의 역순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도 16에서 도 13의 순서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된다. 취출 동작(제거 동작)은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기까지의 동작이다.
도 16에 도시된 공급 위치에 배치된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현상제의 양이 감소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도 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에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새로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준비하여,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교환용 커버(40)를 열고, 도 16의 (a)에 나타낸 화살표(B) 방향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추출한다.
이 공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부(3b)의 규제 리브(3b3)의 규제에 의해, 셔터(4)의 지지부(4d)가 화살표(C) 방향이나 화살표(D)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다. 따라서, 도 16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취출 작업에 따라 화살표(B) 방향으로 변위시키려고 하면, 셔터(4)의 제2 스토퍼부(4c)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에 접촉함으로써, 셔터(4)가 화살표(B)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는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 후, 현상제 공급 용기(1)를 도 15에 표시된 위치까지 인출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가 배출구(3a4)를 밀봉한다. 또한,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11)의 결합부(11b)가 하부 플랜지부(3b)의 제2 안내부(3b4)에서 제1 안내부(3b2)의 취출 방향 하류 측면 에지까지 변위한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11)의 본체 시일(13)이 개구 시일(3a5)의 배출구(3a4)로부터 접속부(3a6)까지 개구 시일(3a5) 위를 슬라이딩하고, 접속부(3a6)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d)가 규제 리브(3b3)와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도면에서 화살표(B) 방향으로 변위할 수 없다. 따라서, 도 15의 위치로부터 도 13의 위치까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취출할 때, 셔터(4)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변위될 수 없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도 14의 (a)에 나타낸 위치까지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면,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부(11b)가 제1 안내부(3b2)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하여 제1 안내부(3b2)의 대략 중간 지점의 위치까지 도달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11)에 설치된 본체 시일(13)이 개구 시일(3a5)의 접속부(3a6)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 간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 때,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부(11)가 접속되어 있던 개구 시일(3a5)의 접속부(3a6)에만 부착된다.
계속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도 13의 (a)에 나타낸 위치까지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면,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부(11b)가 제1 안내부(3b2)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하여 제1 안내부(3b2)의 취출 방향 상류 측면 에지까지 도달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해제된 현상제 수용부(11)의 현상제 수용구(11a)가 본체 셔터(15)에 의해 밀봉된다. 이로 인해, 현상제 수용구(11a)를 통해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과 서브-호퍼(8c)(도 4) 내의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구(11a)로부터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현상제 수용부(11)의 본체 시일(13)이 접속되어 있는 개구 시일(3a5)의 접속부(3a6)까지 셔터(4)가 변위하여, 현상제가 부착된 접속부(3a6)를 은폐한다.
또한, 전술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가 제1 안내부(3b2)에 의해 안내되고,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의 이격 동작이 종료된다. 그 후,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의 지지부(4d)가 규제 리브(3b3)로부터 분리되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된다. 결합 관계가 해제되는 위치가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셔터(4)가 삽입되는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규제 리브(3b3) 및/또는 지지부(4d)의 구성이 적절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도 13의 (a)에 나타낸 화살표(B) 방향으로 더 인출되면,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의 제2 스토퍼부(4c)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셔터(4)의 제2 스토퍼부(4c)가 제2 셔터 스토퍼부(8b)의 테이퍼면을 따라 화살표(C) 방향으로 변위(탄성 변형)하고, 이에 따라, 셔터(4)가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함께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해 화살표(B) 방향으로 변위가능해진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되었을 때, 셔터(4)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있었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배출구(3a4)가 셔터(4)에 의해 확실하게 밀봉되므로,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된 현상제 공급 용기(1)에서 현상제가 비산하지 않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다시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전혀 문제없이 장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르면, 현상제 수용부(11)를 변위시킴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해 현상제 수용부(11)를 접속 및 이격시키기 위한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상 디바이스 전체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 및/또는 구동 전달 기구가 필요 없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측의 구조의 복잡성 및/또는 부품 개수의 증가로 인한 가격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하로 이동할 때 현상 디바이스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큰 공간이 필요하지만, 본 예에 따르면, 그러한 큰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을 이용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수용 장치(8) 간의 접속을 현상제에 의한 오염이 최소화되도록 적절하게 확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을 이용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이격 및 재밀봉을 현상제에 의한 오염이 최소화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본 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하부 플랜지부(3b)의 안내부(3b2, 3b4)를 이용하여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착탈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를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수용구(11a)를 배출구(3a4)와 상방으로 접속하고 현상제 수용구(11a)를 배출구(3a4)로부터 하방으로 분리할 수 있다.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비해 충분히 작기 때문에, 간단하고 공간 절약형 구성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 하류측의 단면(Y)(도 5의 (b))에서의 현상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시일(13)이 하부 플랜지부(3b)의 보호부(3b5)와 슬라이딩면(셔터의 하면)(4i) 위에서 슬라이드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대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를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접속시킨 후, 셔터(4)로부터 배출구(3a4)를 노출시킴으로써, 배출구(3a4)와 현상제 수용구(11a)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즉, 각 단계의 타이밍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안내부(3b2, 3b4)에 의해 제어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쉽고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따라 배출구(3a4)를 밀봉하고 현상제 수용부(11)를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이격시킨 후, 개구 시일(3a5)의 현상제 부착부를 셔터(4)가 은폐할 수 있다. 즉, 취출 작업에서 각 단계의 타이밍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안내부(3b2, 3b4)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므로,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현상제 부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접속하는 부분과 접속되는 부분 간의 접속 관계가 다른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립되므로, 접속 관계를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접속하는 부분(현상제 수용부(11))과 접속되는 부분(현상제 공급 용기(1)) 간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 접속 관계가 확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 간의 접속 타이밍을, 결합부(11b), 하부 플랜지부(3b)의 제1 안내부(3b2)와 제2 안내부(3b4) 및 배출구(3a4)의 장착 방향의 위치 관계에 따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이밍은 3개의 요소들의 공차 내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정확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과 취출 동작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한 현상제 수용부(11)의 접속 동작과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의 이격 동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현상제 수용부(11)의 변위량에 관해서는, 현상제 수용부(11)의 결합부(11b)와 하부 플랜지부(3b)의 제2 결합부(3b4)의 위치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변위량의 편차는 2개의 요소들의 공차 내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정확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본체 시일(13)과 배출구(3a4) 간의 밀착 상태(시일 압축량 등)를 쉽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확실하게 현상제 수용구(11a)로 반송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9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구비한 현상제 공급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현상제 수용부(11)의 현상제 수용구(11a)를 덮는 커버 위치(도 19의 (a))와 현상제 수용구(11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19의 (b)) 사이로 이동가능한 커버 부재(30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300)는 판 형상 부재를 포함하며, 커버 위치에 있을 때 현상제 수용구(11a) 위쪽 부분, 즉 현상제 공급 용기(1) 측을 덮는다. 한편, 후퇴 위치에서는, 커버 부재(300)가 상부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현상제 수용구(11a)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구(3a4)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커버 부재(300)는 커버 부재 이동 수단으로서의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 부재(300)를 커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그러한 커버 부재(300)가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자유 단부들끼리 접한 커버 부재들에 의해 현상제 수용구(11a)가 덮여 있다.
현상제 수용부(11)는 본체부(11c), 한 쌍의 아암부(11d) 및 아암부(11d)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여 돌출된 결합부(11b)를 포함한다. 아암부(11d)들은 본체부(11c)의 상부 위치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고, 현상제 수용구(11a)보다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있다. 커버 부재(300)는 아암부(11d)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아암부(11d)와 간섭하지 않고 커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다. 커버 부재(300)는 1개의 판으로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부(11)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는 커버 부재(300)를 커버 위치에 위치시킨다. 한편, 현상제 수용구(11a)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구(3a4)에 접속될 때는, 커버 부재(300)가 개방 위치에 놓인다.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는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가 회전 샤프트(302)와 회전부(303)를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302)는 커버 부재(300)를 커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샤프트(302)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고정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회전부(303)는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따라 커버 부재(300)와 현상제 수용부(11)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 샤프트(302)를 중심으로 커버 부재(30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303)는 결합 돌출부(303a)와, 결합되는 부분(피결합부)으로서 결합 면부(303b1, 303b2)를 구비한 결합 홈(303b)을 포함한다. 결합 돌출부(303a)는 본체부(11c)에 설치되어 회전 샤프트(302)와 평행하게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돌출부(303a)는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중간부에서 돌출된 원통형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303a)는 현상제 수용부(11)와 함께 이동한다. 결합 홈(303b)은 커버 부재(300)에 설치되어 결합 돌출부(303a)에 의해 결합되고,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따라 결합 돌출부(303a)가 상대 이동하여 회전 샤프트(302)를 중심으로 커버 부재(30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303)는 커버 부재(300)의 기단부로부터 회전 샤프트(302) 측으로 연장된 연결판부(304)와, 연결판부(304)로부터 커버 부재(300)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판부(305)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300), 연결판부(304) 및 결합판부(305)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판부(304)와 결합판부(305)가 서로 연결된 위치에 회전 샤프트(302)가 고정되어 있다. 결합판부(305)는 회전 샤프트(302)와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현상제 수용부(11)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 홈(303b)은 결합판부(305)의 자유 단부에서 회전 샤프트(302)의 기단부까지 결합판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샤프트(302)와 반대되는 결합 홈(303b)의 단부가 개방되어 결합 돌출부(303a)를 수용하게 된다. 결합 홈(303b)의 대향하는 표면들은 결합면부(303b1, 303b2)가 된다. 결합면부(303b1, 303b2)들 사이의 갭이 원통형 결합 돌출부(303a)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며, 이에 따라, 결합 홈(303b) 내에서 결합 돌출부(303a)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에 의해 회전되는 커버 부재(300)는 현상제 공급 용기(1)와 간섭하지 않는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될 때, 또는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될 때, 커버 부재(300) 또는 회전 샤프트(302)가 현상제 공급 용기(1)와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 부재(300)와 회전 샤프트(302)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 장치(200)의 커버 부재(3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현상제 수용부(11)에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한 상태에서는, 현상제 수용구(11a)가 배출구(3a4)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수용구(11a)를 덮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현상제 수용구(11a)가 커버 부재(300)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현상제 수용구(11a)를 통해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상 디바이스(201) 내의 이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화상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부(11)에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장착할 때, 작업자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삽입하면, 현상제 수용구(11a)의 상부를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하단부가 통과하게 된다. 이 때,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이 아직 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수용구(11a)를 덮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부착된 이물질이 있는 경우, 그 이물질이 낙하하는 경우에도, 현상제 수용구(11a)를 통해 현상제 공급 용기(1) 속으로 침입하지 않거나 거의 침입하지 않는다. 또한,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오염이 커버 부재(300)에 직접 전사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더 삽입되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제1 안내부(3b2)가 현상제 수용부(11)의 결합부(11b)와 결합하여 현상제 수용부(11)의 리프팅을 개시한다. 리프팅이 개시되면, 결합 돌출부(303a)가 결합 홈(303b)의 결합면부(303b1)와 결합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회전 샤프트(302)를 중심으로 커버 부재(300)를 회전시킨다. 이 때, 커버 부재(300)는 현상제 수용구(11a)로부터 후퇴하도록 회전하고, 현상제 수용부(11)의 움직임을 억제하지 않는다. 또한, 커버 부재(300)가 회전 중에도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움직임을 억제하지 않고,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오염이 직접 전사되지 않는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되고 현상제 수용구(11a)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개구 시일(3a5)에 밀착할 때, 커버 부재(300)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가 된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결합부(11b)가 제2 안내부(3b4)와 결합된 상태에서, 현상제 수용구(11a)가 개구 시일(3a5)에 밀착하게 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더 삽입되면, 배출구(3a4)가 현상제 수용구(11a)에 접속된다. 이 때,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수용구(11a)로부터 후퇴한 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이들이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 간의 접속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 부재(300)는,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현상제 수용부(11)의 리프팅이 개시되기 전에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현상제 수용부(11)의 접속이 개시될 때까지, 현상제 수용구(11a)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부(11)로부터 취출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취출할 때, 작업자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제거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제거가 개시되면, 결합부(11b)로부터 제2 안내부(3b4)가 분리된 후, 현상제 수용부(11)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제거되기 개시한다. 현상제 수용부(11)를 제거할 때, 결합 돌출부(303a)가 결합 홈(303b)의 결합면부(303b2)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커버 부재(300)가 회전 샤프트(302)를 중심으로 차폐 방향으로 회전하기 개시한다. 즉, 현상제 수용구(11a)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커버 부재(300)의 회전도 개시된다.
현상제 수용부(11)의 제거가 완료되면, 커버 부재(300)에 의해 현상제 수용구(11a)가 덮인다. 이 때,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오염이 직접 전사되지 않는다. 그 후에도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제거 동작이 계속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낙하할 가능성이 있지만, 현상제 수용구(11a)가 커버 부재(300)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현상제 수용구(11a) 속으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수용구(11a)가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 부재(300)에 의해 덮이며,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부(11)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덮인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이 개시될 때까지,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수용구(11a)를 덮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이 개시되면,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수용구(11a)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이 완료된 후, 현상제 수용구(11a)가 커버 부재(300)에 의해 덮인다.
한편, 현상제 수용구(11a)가 배출구(3a4)와 접촉하면,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수용구(11a)를 개방한다. 즉, 커버 부재(300)에 의해 현상제 수용구(11a)가 덮이는 구성에서도,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따라 커버 부재(300)가 현상제 수용구(11a)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수용구(11a)와 배출구(3a4)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구(11a)를 가진 현상제 수용부(11)를 이동시킴으로써 현상제 수용구(11a)를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구(3a4)와 접속하는 구성으로, 현상제 수용구(11a) 속으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300)를 동작시키는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가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커버 부재(300)의 개방 및 차폐 동작을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채용할 필요가 없다. 커버 부재(300)의 동작은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구(11a)가 배출구(3a4)와 접속될 때에는, 커버 부재(300)가 확실하게 개방 상태가 되고,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부(11)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에는, 커버 부재(300)가 확실하게 차폐 상태가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회전 샤프트(302)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고정 부분에 고정되며, 커버 부재(300)와 일체인 결합 홈(303b) 내에서 결합 돌출부(303a)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 부재(300)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 부재(300)를 회전시키는 기구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회전 샤프트를 현상제 수용부(11)에 설치하고, 커버 부재(300)가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커버 부재(300)를 현상제 수용 장치(8)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다.
<제2 실시예>
도 20을 참조하여, 전술한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구비한 현상제 공급 장치(2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300)를 차폐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06)이 구비되어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함을 위해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커버 부재 이동 수단으로서의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A)는 커버 부재(300)를 커버 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 스프링(30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306)은 커버 부재(300)와 일체인 연결판부(304)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고정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커버 부재(300)는 커버 위치 측으로 회전하며 가압된다. 도시된 예에서, 스프링(306)은 커버 부재(300)에 가압력을 인가하여 회전시키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부(303A)는 커버 부재(300)의 기단부로부터 회전 샤프트(302) 측으로 연장된 연결판부(304)를 포함하고, 연결판부(304)로부터 커버 부재(300)를 따라 연장된 결합판부(305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판부(305A)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 결합판부(305A)의 일측면이 피결합부로서의 결합면부(305A1)로 사용되며, 결합 돌출부(303a)에 접촉된다. 결합면부(305A1)는 결합 돌출부(303a)에 대해 현상제 수용부(11)가 배출구(3a4)로 이동하는 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될 때, 이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리프팅되고, 결합 돌출부(303a)가 결합면부(305A1)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커버 부재(300)가 스프링(30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 샤프트(302)를 중심으로 개방 위치(도 20의 (b))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제거될 때, 이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 돌출부(303a)가 결합면부(305A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커버 부재(300)가 스프링(306)에 의해 커버 위치(도 20의 (a))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300)가 스프링(306)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샤프트(302)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 위치 측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306)이 커버 부재(300)를 차폐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 돌출부(303a)를 결합 홈(303b) 내에 결합할 필요가 없다. 즉, 결합 돌출부(303a)가 결합판부(305A)의 일측면인 결합면부(305A1)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결합 돌출부(303a)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 홈(303b)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0)는 스프링에 의해 개방 위치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결합 돌출부(303a)와 결합되는 커버 부재(300) 측의 결합면부가, 결합 돌출부(303a)에 대해 현상제 수용부(11)가 배출구(3a4)로부터 제거되는 측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하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될 때, 이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리프팅되고, 결합 돌출부(303a)가 결합면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커버 부재(300)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 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제거할 때, 이 취출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 돌출부(303a)가 결합면부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커버 부재(300)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커버 위치 측으로 회전한다.
<제3 실시예>
도 21을 참조하여, 전술한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구비한 현상제 공급 장치(2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 이동 수단으로서의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B)가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 부재(300A)를 커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B)는 슬라이드 안내부(307)와 슬라이드 동작 부(308)를 포함한다. 기타 구성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함을 위해 생략한다.
슬라이드 동작부(308)는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에 따라 커버 부재(300A)와 현상제 수용부(11)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커버 부재(300A)를 슬라이드 안내부(307)를 따라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동작부(308)는 제1 샤프트(309), 요동 아암(310) 및 제2 샤프트(311)를 포함한다. 제1 샤프트(309)는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 방향과 슬라이드 안내부(307)의 안내 방향(슬라이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현상제 수용부(11)의 본체부(11c)에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아암(310)은 일단부가 제1 샤프트(309)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샤프트(311)는 요동 아암(310)의 타단부를 커버 부재(300A)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커버 부재(300A)에는 요동 아암(310)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샤프트(3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수용부(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 부재(300A)는 제2 샤프트(311)와 샤프트 수용부(312)를 통해 요동 아암(310)의 타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안내부(307)는 현상제 수용 장치(8)의 고정 부분에 설치되며, 커버 부재(300A)의 슬라이딩 운동을 커버 위치(도 21의 (a))와 개방 위치(도 21의 (b)) 사이에서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슬라이드 방향)으로 안내한다.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안내부(307)에는 커버 부재(300A)의 샤프트 수용부(31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샤프트(311)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홈(307a)이 설치되어 있다. 즉, 안내 홈(307a)은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하는 안내면(307a1, 307a2)에 의해 형성된다. 안내면(307a1, 307a2)들 사이의 갭이 제2 샤프트(311)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며, 이에 따라, 안내 홈(307a) 내에서 제2 샤프트(311)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할 때, 이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리프팅되고, 제1 샤프트(309)에 의해 지지된 요동 아암(310)의 일단부가 이동하기 개시한다. 그러면, 요동 아암(310)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샤프트(311)가 안내 홈(307a)의 안내면(307a1)과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고, 요동 아암(310)이 제1 샤프트(309)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가 현상제 수용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2 샤프트(311)가 안내 홈(307a)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300A)도 제2 샤프트(311)와 함께 현상제 수용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개방 위치 측으로 이동한다. 제2 샤프트(311)는 요동 아암(310)의 회전에 의해 안내 홈(307a) 내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지만, 샤프트 수용부(312)에 의해 커버 부재(300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커버 부재(300A)는 제2 샤프트(311)의 회전에 불구하고 자세가 변화하지 않고,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할 때, 이 취출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취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샤프트(309)에 의해 지지된 요동 아암(310)의 일단부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개시한다. 그러면, 요동 아암(310)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샤프트(311)가 안내 홈(307a)의 안내면(307a2)과 결합한 상태에서, 요동 아암(310)이 제1 샤프트(309)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가 현상제 수용부(11) 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2 샤프트(311)가 안내 홈(307a)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샤프트 수용부(312)를 통해 제2 샤프트(311)에 의해 지지된 커버 부재(300A)도 제2 샤프트(311)와 함께 현상제 수용부(11) 측으로, 즉 커버 위치 측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드 동작부(308)에 의해 커버 부재(300A)가 현상제 수용부(11)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용기(1)와의 간섭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동작부(308)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커버 부재(300A) 자체를 슬라이드 안내부로 안내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한 현상제 수용부(11)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구비한 현상제 공급 장치(2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300A)를 차폐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13)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에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함을 위해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커버 부재 이동 수단으로서의 커버 부재 이동 기구(301C)는 커버 부재(300A)를 커버 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 스프링(3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313)은 커버 부재(300)와 일체인 샤프트 수용부(312A)와 현상제 수용 장치(8)의 고정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커버 부재(300A)를 커버 위치 측으로 가압한다. 도시된 예에서, 스프링(313)은 슬라이드 방향으로 커버 부재(300A)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본 실시예의 샤프트 수용부(312A)에는, 제2 샤프트(311)를 지지하는 지지 홀에서 커버 부재(300A)가 커버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를 통하여, 제2 샤프트(311)가 샤프트 수용부(312)의 지지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샤프트(311)가 절개부를 갖지 않은 지지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할 때, 이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리프팅되고, 제1 샤프트(309)에 의해 지지된 요동 아암(310)의 일단부가 이동하기 개시한다. 그러면, 요동 아암(310)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샤프트(311)가 안내 홈(307a)의 안내면(307a1)(도 21의 (c))과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고, 요동 아암(310)이 제1 샤프트(309)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가 현상제 수용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2 샤프트(311)가 안내 홈(307a)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샤프트 수용부(312)를 통해 제2 샤프트(311)에 의해 지지된 커버 부재(300A)도 스프링(313)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개방 위치(도 22의 (b)) 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할 때, 이 취출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취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샤프트(309)에 의해 지지된 요동 아암(310)의 일단부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개시한다. 그러면, 요동 아암(310)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샤프트(311)가 안내 홈(307a)의 안내면(307a2)(도 21의 (c))과 결합한 상태에서, 요동 아암(310)이 제1 샤프트(309)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가 현상제 수용부(11) 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커버 부재(300A)가 스프링(313)에 의해 커버 위치(도 22의 (a)) 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샤프트(311)는 안내 홈(307a)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샤프트 수용부(312)를 통해 제2 샤프트(311)에 의해 지지된 커버 부재(300A)도 커버 위치 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커버 부재(300A)가 개방 위치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 샤프트 수용부(312A)의 제2 샤프트(311)를 지지하는 지지 홀의 절개부가 커버 부재(300A)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측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에 장착할 때, 이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리프팅되고, 요동 아암(310)의 회전에 의해 제2 샤프트(311)가 현상제 수용부(11)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그리고, 커버 부재(300A)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 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현상제 수용 장치(8)로부터 취출할 때, 이 취출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수용부(11)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취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요동 아암(310)의 회전에 의해 제2 샤프트(311)가 현상제 수용부(11) 측으로 이동하고, 커버 부재(300A)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커버 위치 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경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동작으로 인해 유발되는 현상제 수용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 부재가 커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구를 가진 현상제 수용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용구가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배출구와 접속되는 구성으로, 수용구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들과 등가의 구조들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67338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할 수 있는 그러한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9)

  1. 현상제를 수납한 공급 용기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이며,
    상기 공급 용기는,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구와,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로서, 상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공급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할 때 상기 배출구와 접속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구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상기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또는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동 기구와,
    상기 수용구 위에서 상기 수용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구를 덮는 커버 위치와 상기 수용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커버 부재와,
    상기 공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기구는 상기 공급 용기의 장착 동작으로 인한 상기 수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기구는 상기 공급 용기와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 설치된 결합부와, 다른 하나에 설치된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공급 용기의 착탈 동작시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여, 상기 수용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결합부를 안내하는,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기구는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커버 위치 또는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기구는,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커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회전 샤프트와, 상기 수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을 부여하고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수용부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평행하게 돌출된 결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커버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기구는, 상기 커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용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 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안내부와, 상기 수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을 부여하고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동작부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동작부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이동 방향과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의 안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샤프트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샤프트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아암과, 상기 요동 아암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수용구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수용구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공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공급 장치.
KR1020140103231A 2013-08-12 2014-08-11 현상제 공급 장치 KR101698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7338 2013-08-12
JP2013167338A JP6150661B2 (ja) 2013-08-12 2013-08-12 現像剤補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088A true KR20150020088A (ko) 2015-02-25
KR101698241B1 KR101698241B1 (ko) 2017-01-19

Family

ID=5125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231A KR101698241B1 (ko) 2013-08-12 2014-08-11 현상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9422B2 (ko)
EP (1) EP2837973B1 (ko)
JP (1) JP6150661B2 (ko)
KR (1) KR101698241B1 (ko)
CN (1) CN1044602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749A (ko) * 2017-09-21 2020-05-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9124B2 (ja) 2010-03-31 2012-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115607B2 (ja) 2010-08-31 2013-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884436B2 (ja) * 2011-11-24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21699B2 (ja) * 2013-03-11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127779B2 (ja) 2013-06-28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02573B2 (ja) 2013-06-28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07284B2 (ja) * 2013-07-31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0866B2 (ja) 2013-09-20 2017-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4867B2 (ja) 2013-10-31 2017-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6938B2 (ja) 2014-01-06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137027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5583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21905B2 (ja) 2014-03-31 2017-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79687B2 (ja) 2014-03-31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79688B2 (ja) 2014-03-31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7028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7029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584228B2 (ja) 2015-08-2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639156B2 (ja) * 2015-08-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6524953B2 (ja) * 2016-04-07 2019-06-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911325B2 (ja) * 2016-10-21 2021-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の製造方法
CN108614398B (zh) * 2016-12-12 2024-05-14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可开闭的碳粉排出口的碳粉盒
CN107193196B (zh) * 2017-04-06 2020-06-30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成像装置及其墨粉盒
JP7009132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230247B2 (ja) * 2017-09-21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5250B2 (ja) *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268127B2 (ja) * 2017-09-21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51347B2 (ja)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0091B2 (ja) * 2017-09-21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11016434B2 (en) * 2017-11-23 2021-05-25 Ninestar Corporation Force receiving part and toner cartridge
JP7327040B2 (ja) * 2019-09-25 2023-08-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粉体容器の装着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粉体容器
CN113341669A (zh) * 2020-03-03 2021-09-03 纳思达股份有限公司 粉筒
CN113156784A (zh) * 2021-04-12 2021-07-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筒
CN115356903A (zh) * 2021-05-17 2022-11-18 纳思达股份有限公司 粉筒及电子成像设备
CN115639733A (zh) * 2021-07-19 2023-01-24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粉筒
JP7447333B2 (ja) 2021-12-27 2024-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423832B2 (ja) * 2022-01-12 202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20240295839A1 (en) * 2023-03-03 2024-09-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ntainer having a toner port shutt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6894A (ja) * 2009-03-30 2010-11-1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20110305485A1 (en) * 2010-06-14 2011-12-15 Yuki Oshikawa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12093735A (ja) * 2010-09-29 2012-05-17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2013015826A (ja) * 2011-06-06 2013-01-24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366A (ja) * 1984-07-10 1986-01-30 Canon Inc 現像装置
JPH08110692A (ja) 1994-10-13 1996-04-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562941B2 (ja) 2001-04-16 2010-10-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578848B2 (ja) * 2004-04-09 2010-11-10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受取ユニット、現像剤搬送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36952A (ja) * 2007-08-01 2009-02-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106372B2 (ja) * 2008-12-17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862911B2 (ja) * 2009-03-26 2012-0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5590894B2 (ja) 2010-01-13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15000B2 (ja) 2010-02-25 2014-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5523146B2 (ja) 2010-03-01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40673B2 (ja) * 2010-11-10 2014-12-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152361A (ja) * 2012-01-25 2013-08-08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167850A (ja) 2012-02-17 2013-08-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評価方法、およびパラメータ測定方法
JP2013174778A (ja) 2012-02-27 2013-09-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6180140B2 (ja) * 2013-03-19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6894A (ja) * 2009-03-30 2010-11-1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20110305485A1 (en) * 2010-06-14 2011-12-15 Yuki Oshikawa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12093735A (ja) * 2010-09-29 2012-05-17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2013015826A (ja) * 2011-06-06 2013-01-24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749A (ko) * 2017-09-21 2020-05-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US11181851B2 (en) 2017-09-21 2021-11-2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US11592765B2 (en) 2017-09-21 2023-02-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US11921441B2 (en) 2017-09-21 2024-03-0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3944A1 (en) 2015-02-12
KR101698241B1 (ko) 2017-01-19
CN104460266B (zh) 2019-05-28
JP6150661B2 (ja) 2017-06-21
EP2837973A1 (en) 2015-02-18
JP2015036704A (ja) 2015-02-23
CN104460266A (zh) 2015-03-25
US9229422B2 (en) 2016-01-05
EP2837973B1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241B1 (ko) 현상제 공급 장치
KR102470949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EP3686681B1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 system
CA3076606C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KR102359671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CN110941164A (zh) 显影剂供给容器和显影剂供给装置
CN111095123B (zh) 显影剂供应容器和显影剂供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