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204A -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 - Google Patents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204A
KR20150016204A KR1020147025583A KR20147025583A KR20150016204A KR 20150016204 A KR20150016204 A KR 20150016204A KR 1020147025583 A KR1020147025583 A KR 1020147025583A KR 20147025583 A KR20147025583 A KR 20147025583A KR 20150016204 A KR20150016204 A KR 2015001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ore
movable
mold
blow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833B1 (ko
Inventor
시게요시 가토
에츠야 오하시
히사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5/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compacting mechanism; Accessories therefor
    • B22C15/23Compacting by gas pressure or vacuum
    • B22C15/24Compacting by gas pressure or vacuum involving blowing devices in which the mould material is supplied in the form of loos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3/00Moulding machines for making moulds or cores of particular shapes
    • B22C13/12Moulding machines for making moulds or cores of particular shapes for cores
    • B22C13/16Moulding machines for making moulds or cores of particular shapes for cores by press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9/00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oul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3/00Tools; Devices not mentioned before fo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2Sand moulds or like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8Installation of cores

Abstract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코어 모래의 충전성이 좋은 코어 조형 장치를 제공한다. 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 한 쌍의 형을 가지는 코어형과, 상기 코어형의 하부에 마련되는 블로우 헤드를 가지며, 코어 모래를 상기 블로우 헤드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상기 코어형에 충전하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블로우 헤드는, 상기 코어형에 접속되어 상기 코어형에 코어 모래를 안내하는 모래 취입실과, 해당 모래 취입실에 연통되는 모래 저장실을 가지고, 상기 모래 충전 디바이스는, 상기 코어형에 코어 모래를 불어 넣기 위한 압축 에어를 공급하는 압축 에어 공급부와, 상기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키는 에어레이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CORE-MAKING DEVICE, AND CORE-MAKING METHOD}
본 발명은, 코어형(型, 거푸집)에 코어 모래를 충전하여 코어를 조형(造型)하는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어형의 상부에 블로우 헤드를 배치하여 블로우 헤드로부터 하부의 코어형을 향해 코어 모래를 불어 넣는, 소위 톱 블로우식(top blow式) 코어 조형 장치가 이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톱 블로우식 코어 조형 장치의 경우, 코어형의 상부에 블로우 헤드가 배치되고, 게다가, 이 블로우 헤드 위에 샌드 탱크(sand tank)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장치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커져, 장치의 대형화로 연결될 수 있다. 장치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코어형의 하부에 블로우 헤드를 배치하고, 블로우 헤드로부터 상부의 코어형을 향해 코어 모래를 불어 넣는, 소위 언더 블로우식(under blow式)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언더 블로우식의 경우, 중력에 거슬러 코어 모래를 코어형에 불어 넣게 되기 때문에, 코어 모래의 코어형으로의 충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소47-1317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위치하는 코어형을 향해 코어 모래를 불어 넣는 언더 블로우식을 채용한 경우라도, 코어 모래를 코어형에 양호하게 충전할 수 있는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 한 쌍의 형을 가지는 코어형과, 코어형의 하부에 마련되는 블로우 헤드를 가지며, 코어 모래를 블로우 헤드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코어형에 충전하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블로우 헤드는, 코어형에 접속된 상태에서 코어형에 코어 모래를 안내하는 모래 취입실과, 해당 모래 취입실에 연통되는 모래 저장실을 가지고, 모래 충전 디바이스는, 코어형에 코어 모래를 불어 넣기 위한 압축 에어를 모래 저장실 내로 공급하는 압축 에어 공급부와,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浮遊) 유동화시키는 에어레이션(aeration)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에 의해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킨 상태에서, 압축 에어 공급부에 의해 모래 저장실을 매개로 하여 압축 에어를 모래 취입실 내에 불어 넣음으로써,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가 코어형에 보내어진다. 그 때문에, 상부에 위치하는 코어형을 향해 코어 모래를 불어 넣는 언더 블로우식을 채용한 경우라도, 코어 모래를 코어형에 양호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한 쌍의 형 중 일방인 고정형을 유지하는 프레임 부재와, 한 쌍의 형 중 타방인 가동형을 구동하여, 고정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블로우 헤드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여, 코어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와,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고정형으로부터 이간된 가동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구비해도 괜찮다. 이 경우, 고정형으로부터 이간된 가동형이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가동형에 유지되어 있는 코어를 가동형으로부터 이형(離型)하여 떼어 내기 쉬워진다.
회전 구동부는, 가동형을 유지하는 가동형 유지 부재에 마련된 회동용 축부재와, 회동용 축부재에 마련되며, 해당 회동용 축부재와 함께 회동 가능한 맞닿음 부재와, 프레임 부재에 마련되며, 맞닿음 부재에 맞닿았을 때에 회동용 축부재를 매개로 하여 가동형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부재를 가지며, 자세 변경 부재는, 회동용 축부재의 높이 위치와는 다른 위치이고, 또한,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가동형의 이동에 따른 맞닿음 부재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고 있고, 맞닿음 부재가 자세 변경 부재에 맞닿은 상태에 있는 가동형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고정형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맞닿음 부재가, 자세 변경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방향을 변경하면서, 회동용 축부재 및 가동형 유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가동형을 회전시켜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가동형을 고정형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고정형으로부터 떨어진 가동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동형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가동형에 유지된 코어를, 회전 구동부에 의해서 코어가 상측이 되도록 회전된 후의 가동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제1 이형부를 더 구비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이형부가, 코어가 상측이 되도록 회전된 후의 가동형으로부터 코어를 이형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이형부에 의해 가동형으로부터 이형된 코어를, 가동형에 유지시킨 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형된 코어가 가동형으로부터 낙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형된 코어를 유저가 취급하기 쉬워진다.
제1 이형부는, 가동형에 마련된 슬라이딩 부재와, 프레임 부재측에 마련되고, 슬라이딩 부재에 맞닿았을 때에 슬라이딩 부재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바꾸기 위한 슬라이딩면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슬라이딩면은, 회전 구동부에 의해 가동형이 회전한 후의 상태에서,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가동형의 이동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된 후의 상태에 있는 가동형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고정형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면을 따라서 슬라이드하여, 가동형에 유지된 코어를 가동형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가동형을 고정형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회전된 후의 가동형으로부터 코어를 이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코어를 가동형으로부터 이형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블로우 헤드에 근접했을 때에, 블로우 헤드가 가지는 블로우 헤드 노즐에 맞닿는 제1 청소부와, 고정형에 근접했을 때에, 고정형이 가지는 고정형 노즐에 맞닿는 제2 청소부를 구비하며, 제1 청소부 및 제2 청소부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고정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동부와 함께 이동되고, 제1 청소부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블로우 헤드에 근접하면, 블로우 헤드 노즐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하여, 블로우 헤드 노즐의 청소를 행하고, 제2 청소부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고정형에 근접하면, 고정형 노즐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하여, 고정형 노즐의 청소를 행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제1 청소부 및 제2 청소부를 고정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블로우 헤드 노즐 및 고정형 노즐을 청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청소부 및 제2 청소부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프레임 부재에 마련되며, 가동형과 근접했을 때에 가동형이 가지는 가동형 노즐에 맞닿는 제3 청소부를 더 구비하며, 제3 청소부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된 가동형이 근접하면, 가동형 노즐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하여, 가동형 노즐의 청소를 행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가동형을 고정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가동형이 제3 청소부에 근접했을 때에 가동형 노즐을 청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동형 노즐을 청소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모래 저장실의 공급구를 매개로 하여 해당 모래 저장실에 코어 모래를 공급하는 샌드 탱크(sand tank)와, 샌드 탱크와 공급구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공급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게이트를 더 구비하며, 개폐 게이트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며, 가동형이 고정형과 함께 코어 형성용 캐비티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는, 공급구를 폐쇄 상태로 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개폐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공급구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폐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샌드 탱크와 모래 저장실의 공급구와의 사이에 마련된 가요성 호스를 더 구비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요성 호스가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샌드 탱크를 고정한 상태에서 블로우 헤드를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승강시켜도, 블로우 헤드의 이동에 추종하여 가요성 호스가 변형한다. 그 때문에, 블로우 헤드와 함께 샌드 탱크를 승강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가동형 및 고정형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 형성용 캐비티 내에 코어가 조형(造型)되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동형이 고정형으로부터 이간될 때에, 코어가 가동형에 유지되도록 고정형으로부터 코어를 이형시키는 제2 이형부를 더 구비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2 이형부에 의해, 코어를 고정형으로부터 이형시키면서 가동형에 유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코어를 코어형으로부터 보다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다.
제2 이형부는, 고정형에 마련되며, 코어를 고정형으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해서 고정형으로부터 가동형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 위치와, 돌출 위치 보다도 가동형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을 향하여 끌어 들여진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압출 부재와, 압출 부재와 접속됨과 아울러 캐비티 밖에 위치하는 조작 부재와, 가동형을 향해서 압출 부재 및 조작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조작 부재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형이 고정형과 형합(型合, 형맞춤)시켜져 캐비티를 형성할 때에, 가동형에 의해서 가압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림으로써, 압출 부재를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켜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이동되는 가동형이 조작 부재를 밀어내는지 아닌지에 의해, 압출 부재를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압출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하지 않고, 코어를 고정형으로부터 이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는, 코어형으로부터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를 회수하는 모래 회수 디바이스를 더 구비해도 괜찮다. 이 경우,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가, 블로우 헤드 내로 직접 되돌려지지 않고, 모래 회수 디바이스에 의해서 회수된다. 그 때문에, 모래가 집합하여 굳은 모래 덩어리 등이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해당 모래 덩어리도 모래 회수 디바이스에 의해 회수된다. 따라서, 해당 모래 덩어리가 다음의 코어의 조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래 회수 디바이스는,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모래 저장실로 모래를 안내하는 도통(導通) 부재와,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를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여 도통 부재를 향해서 배출하는 제4 청소부를 가져도 괜찮다. 이 경우,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가 제4 청소부에 의해서 도통 부재로 배출되면, 해당 모래가 모래 저장실로 되돌려진다. 그 때문에, 모래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통 부재는,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모래 저장실을 향함에 따라 하부로 경사져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모래 저장실로 모래를 되돌림에 있어서, 모래가 중력에 의해 도통 부재를 미끄러져 떨어지므로, 컨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통 부재에는, 소정의 입경(粒俓) 이하의 모래가 통과 가능한 필터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블로우 헤드로부터 모래 저장실로 되돌려지는 모래 중에, 소정의 입경보다 큰 모래 덩어리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필터 부재에 의해서 해당 모래 덩어리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 한 쌍의 형을 맞춤으로써, 내부에 캐비티를 가지는 코어형을 얻는 캐비티 형성 공정과, 코어형에 블로우 헤드를 접속하여, 캐비티와 블로우 헤드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정과, 블로우 헤드가 가지는 모래 취입실 내에,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에 의해 에어레이션 에어를 불어 넣어,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키는 유동화 공정과, 블로우 헤드를 가짐과 아울러 모래 취입실과 연통하는 모래 저장실 내에, 압축 에어 공급부에 의해 압축 에어를 불어 넣어, 부유 유동화한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블로우 헤드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불어 내는 것에 의해, 블로우 헤드에 연통하는 캐비티 내에 코어 모래를 충전하는 충전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에 의해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킨 상태에서, 압축 에어 공급부에 의해 압축 에어를 블로우 헤드 내에 불어 넣음으로써, 블로우 헤드 내의 코어 모래가 코어형에 보내어진다. 그 때문에, 상부에 위치하는 코어형을 향해 코어 모래를 불어 넣는 언더 블로우식을 채용한 경우라도, 코어 모래를 코어형에 양호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충전 공정 후에, 한 쌍의 형 중 일방인 가동형을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하여, 한 쌍의 형 중 타방인 고정형으로부터 가동형을 이간시키는 이간 공정과, 이간 공정 후에, 가동형을 회전시키는 형회전 공정을 더 포함하며, 형회전 공정은, 가동형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된 가동형을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고정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동용 축부재를 매개로 하여 가동형 유지 부재에 장착된 맞닿음 부재를, 맞닿음 부재의 진로 상에 위치하는 자세 변경 부재와 맞닿게 하는 것과, 맞닿음 부재가 자세 변경 부재와 맞닿은 상태에서, 가동형을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고정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서, 자세 변경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맞닿음 부재의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회동용 축부재 및 가동형 유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가동형을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가동형을 고정형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고정형으로부터 떨어진 가동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동형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형회전 공정 후에, 가동형에 유지된 코어를, 코어가 상측이 되도록 회전된 후의 가동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이형 공정을 더 포함해도 괜찮다. 이 경우, 가동형으로부터 이형된 코어를, 가동형에 유지시킨 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형된 코어가 가동형으로부터 낙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형된 코어를 유저가 취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청소부를 가동형과 함께 구동하여, 블로우 헤드가 가지는 블로우 헤드 노즐에 제1 청소부를 맞닿게 하면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블로우 헤드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제1 청소 공정과,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청소부를 가동형과 함께 구동하여, 고정형이 가지는 고정형 노즐에 제2 청소부를 맞닿게 하면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형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제2 청소 공정을 더 포함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제1 청소부 및 제2 청소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블로우 헤드 노즐 및 고정형 노즐을 청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청소부 및 제2 청소부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동형을 구동하여, 가동형이 가지는 가동형 노즐에 제3 청소부를 맞닿게 하면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형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제3 청소 공정을 더 포함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가동형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가동형이 제3 청소부에 근접했을 때에 가동형 노즐을 청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3 청소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모래 저장실의 공급구와, 모래 저장실로 코어 모래를 공급하기 위한 샌드 탱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 게이트를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하여, 공급구를 개폐하는 개폐 공정을 더 포함하며, 개폐 공정에서는, 가동형이 상기 고정형과 함께 코어 형성용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 공급구를 폐쇄 상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개폐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공급구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폐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충전 공정과 형회전 공정과의 사이로서, 가동형 및 고정형측에 의해 형성된 코어 형성용 캐비티 내에 코어가 조형되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동형이 고정형으로부터 이간될 때에, 코어가 가동형에 유지되도록 고정형으로부터 코어를 이형시키는 형개방 공정을 더 포함해도 괜찮다. 이 경우, 코어를 고정형으로부터 이형시키면서 가동형에 유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코어를 코어형으로부터 보다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코어 조형 방법은, 충전 공정후로서, 코어형에 충전된 코어 모래의 전부가 응고하기 전에, 코어형과 블로우 헤드를 서로 이간시켜, 응고하고 있지 않은 코어 모래를 코어형으로부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 배출함으로써, 코어에 중공 부분이 형성된 중공 코어를 조형하는 중공부 형성 공정과,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 배출된 모래를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여 모래 회수 디바이스에 의해 회수하는 모래 회수 공정을 더 포함해도 괜찮다. 이 경우,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가, 블로우 헤드 내로 직접 되돌려지지 않고, 모래 회수 디바이스에 의해서 회수된다. 그 때문에, 모래가 집합하여 굳은 모래 덩어리 등이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해당 모래 덩어리도 모래 회수 디바이스에 의해 회수된다. 따라서, 해당 모래 덩어리가 다음의 코어의 조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래 회수 공정에서는 회수한 모래를 모래 저장실로 공급해도 괜찮다. 이 경우,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하는 코어형을 향해 코어 모래를 불어 넣는 언더 블로우식을 채용한 경우라도, 코어 모래를 코어형에 양호하게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造型)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의 좌측면도이며, 도 2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의 동작(제1-1의 상태 ~ 제1-10의 상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1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2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3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4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5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6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7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7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8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의 (a)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9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1-10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a)에 나타낸 제1-1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의 (a)는, 제1-1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의 개략도이고, 도 9의 (b)는, 제1-1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0의 (a)는, 도 6의 (b)에 나타낸 제1-6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의 개략도이며, 도 10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제1-7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의 개략도이다.
도 11의 (a)는, 도 7의 (b)에 나타낸 제1-8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의 개략도이며, 도 11의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제1-9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의 개략도이다.
도 12의 (a)는, 도 6의 (b)에 나타낸 제1-6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며, 도 12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제1-7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3의 (a)는, 도 7의 (b)에 나타낸 제1-8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며, 도 13의 (b)은, 도 8의 (a)에 나타낸 제1-9의 상태에서의 코어 조형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4는, 해당 코어형 조형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형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의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의 (a)는, 제1-7의 상태에서의 해당 스프링 부재 근방의 개략도이고, 도 14의 (b)는, 제1-8의 상태에서의 해당 스프링 부재 근방의 개략도이고, 도 14의 (c)는, 제1-9의 상태에서의 해당 스프링 부재 근방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형 조형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형 유지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5의 (a)는, 도 7의 (b)에서의 F1-F1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고, 도 15의 (b)는, 도 8의 (a)에서의 F2-F2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청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의 (a)는, 제1 내지 제3 청소부와, 이들에 의해 청소되는 노즐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의 좌측면으로부터의 요부 단면 개략도이고(제1-1의 상태), 도 16의 (b)는, 제1-1의 상태에서의 제1 내지 제3 청소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의 요부 단면 개략도이다.
도 17의 (a)는, 제1-2의 상태에서의 제1 내지 제3 청소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의 요부 단면 개략도이며, 도 17의 (b)는, 제1-6의 상태에서의 제1 내지 제3 청소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의 요부 단면 개략도이다.
도 18의 (a)는, 제1-7의 상태에서의 제1 내지 제3 청소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의 요부 단면 개략도이며, 도 18의 (b)는, 제1-8의 상태에서의 제1 내지 제3 청소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의 요부 단면 개략도이다.
도 1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를 구성하는 이동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9의 (a)는, 도 12의 (b)에서의 이동 프레임의 F3-F3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고, 도 19의 (b)는, 도 12의 (b)에서의 이동 프레임의 F4-F4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를 구성하는 개폐 게이트와, 이것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개폐 게이트를 조작하는 압출 부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0의 (a)는, 제1-1의 상태의 관계도이고, 도 20의 (b)는, 제2 상태의 관계도이다.
도 21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를 구성하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21의 (b)는, 도 21의 (a)에서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의 (a)는, 도 21의 (a)에서의 B-B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며, 도 22의 (b)는, 도 21의 (a)에서의 C-C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의 (a)은, 모래 충전 디바이스의 다른 예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24의 (b)는, 도 23의 (a)에서의 D-D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4의 (a)는, 도 23의 (a)에서의 E-E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며, 도 24의 (b)는, 도 23의 (a)에서의 F-F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1 및 도 23의 모래 충전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모래 취입실 내에서, 코어 모래의 상면과 플레이트의 하단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생긴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1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1의 상태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서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2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0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3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30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3의 상태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4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5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6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4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7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34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7의 상태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35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8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35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8의 상태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36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9의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36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가 제2-9의 상태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造型) 장치(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코어 조형 장치(1)는, 도 1 ~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한 한 쌍의 형(코어형)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조형 공간)에, 예를 들면 레진코티드 샌드(resin-coated sand) 등의 코어 모래를 불어 넣어 충전하고, 이 코어 모래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코어를 조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1의 상태로부터 제1-10의 상태까지, 차례로 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코어를 조형한다. 또, 도 4 ~ 도 13은, 코어 조형 장치(1)의 동작 상태(제1-1의 상태 ~ 제1-10의 상태)에서의 정면, 배면 및 평면으로부터의 각 구성 요소(구성 부품)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어 조형 장치(1)는, 도 4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방향(수평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 한 쌍의 형을 가지는 코어형(30)과, 코어형(30)에 충전하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31)를 구비한다. 모래 충전 디바이스(31)는, 코어형(30)의 하부에 마련되는 블로우 헤드(2)를 가지며, 샌드 탱크(55)로부터 블로우 헤드(2)로 공급되는 코어 모래(28)를 블로우 헤드(2)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코어형(30)에 충전한다.
코어형(3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형은, 고정형(32)과 가동형(33)이다. 가동형(33)을 수평 방향으로서 고정형(3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캐비티(조형 공간)(30a)를 형성한다(도 5의 (a)).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은, 금형이다.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의 내부에는, 전기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이 가열된 상태에서, 레진코티드 샌드 등의 코어 모래(28)가 캐비티 내에 불어 넣어져 충전됨으로써, 코어(셸(shell) 코어)가 조형된다. 이 형은, 온도 센서 등에 의해 일정 온도(예를 들면 200 ~ 400℃)로 유지된다. 가열 수단은, 전기 히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스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형에 인접하여 마련해도 좋다.
블로우 헤드(2)는, 코어형(30)에 접속되어 코어형(30)에 코어 모래(28)를 안내하는 모래 취입실(4)과, 해당 모래 취입실(4)에 연통되는 모래 저장실(5)을 가진다. 모래 충전 디바이스(31)는, 코어형(30)에 코어 모래(28)를 불어 넣기 위한 압축 에어를 공급하는 압축 에어 공급부(7)와,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28)를 부유(浮遊) 유동화시키는 에어레이션(aeration)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를 가진다(도 21 ~ 도 25 참조).
코어 조형 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29)에 세워 마련된 프레임 부재(34a, 34b, 34c, 34d)를 구비한다. 프레임 부재(34a)는, 한 쌍의 형 중 일방인 고정형(32)을 고정하여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부재(34a)는, 고정형 유지 유닛(35)을 매개로 하여 고정형(32)을 유지한다. 고정형 유지 유닛(35)은, 파지부(35b)에 의해 고정형(32)을 유지한다. 샌드 탱크(55)의 장착 부재(55a)도, 베이스 플레이트(29)에 고정되어 있다.
코어 조형 장치(1)는, 제1 액추에이터(36)와, 제2 액추에이터(37)를 구비한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한 쌍의 형 중 타방인 가동형(33)을 수평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구동하여,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離間)시킨다. 또,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는 방향」이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액추에이터(37)는, 블로우 헤드(2)를 수직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구동하여, 코어형(30)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킨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액추에이터(37)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블로우 헤드(2)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액추에이터(36) 및 제2 액추에이터(37)는, 1축 액추에이터이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예를 들면, 에어 온 오일(air on oil)(에어 하이드로(air hydro)) 실린더이다. 에어 온 오일 실린더란, 공기압을 유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실린더이며, 공기압, 유압을 복합시킨 것을 말한다. 에어 온 오일 실린더에서는, 유압 펌프를 이용한 전용 유압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압축 공기원만을 이용한다. 에어 온 오일 실린더에서는, 에어 실린더에 비해, 위치 정밀도가 좋고, 이동 속도의 제어를 행하기 쉬운 이점 등이 있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에어 온 오일 실린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동력, 구동 위치의 정밀도, 코스트를 고려하면, 에어 온 오일 실린더가 적합하다. 제2 액추에이터(37)는,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액추에이터(37)도 에어 온 오일 실린더라도 괜찮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킨 후에, 가동형(33)을 90도 회전시킨다(도 7의 (a), 도 7의 (b), 도 10의 (b) 및 도 11의 (a)의 제1-7의 상태로부터 제1-8의 상태 참조). 이 동작에 대해서, 다음에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가동형(33)을 유지하는 가동형 유지 부재(38)에 마련된 회동용 축부재(39)를,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10의 (b), 도 11의 (a), 도 12의 (b) 및 도 13의 (a) 참조). 회동용 축부재(39)에는, 해당 회동용 축부재(39)와 함께 회동 가능한 맞닿음 부재(41)가 마련된다. 가동형 유지 부재(38)는, 파지부(38b)에 의해 가동형(33)을 유지한다.
프레임 부재(34c)는, 제1 액추에이터(36)와 고정형(32)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34c)의 선단부에는, 자세 변경 부재(42)가 마련되어 있다. 자세 변경 부재(42)는, 회동용 축부재(39)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맞닿음 부재(41)에 맞닿음과 아울러 가동형(33)의 자세를 바꾸기 위한 곡면을 가지는 맞닿음 부재(41)는, 예를 들면 판 모양의 부재이다. 자세 변경 부재(42)는, 예를 들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용 축부재(39), 맞닿음 부재(41) 및 자세 변경 부재(42)에 의해, 가동형(33)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가 구성된다.
가동형(33)은, 맞닿음 부재(41)가 자세 변경 부재(42)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회동용 축부재(39)가 고정형(32)으로부터 더 이간되는 것에 의해, 자세 변경 부재(42)의 곡면에 맞닿음 부재(41)가 따르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90도 회전된다(도 11의 (a)의 제1-8의 상태 참조). 또, 여기에서는, 가동형(33)이 위를 향하도록(코어가 가동형(3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90도 회전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동형(33)이 아래를 향하도록(코어가 가동형(3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90도 회전되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이 코어 조형 장치(1)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6)가, 캐비티(30a)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킨다. 또, 제1 액추에이터(36)가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맞닿음 부재(41)가, 자세 변경 부재(42)의 표면을 따라서 방향을 변경하면서, 회동용 축부재(39) 및 가동형 유지 부재(38)를 매개로 하여 가동형(33)을 90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별도 가동형(33)을 90도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 맞닿음 부재(41), 회동용 축부재(39) 및 가동형 유지 부재(38)는,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 부재(41)가 자세 변경 부재(42)에 맞닿고 있지 않은 상태나, 맞닿음 부재(41)가 자세 변경 부재(42)에 맞닿는 타이밍에서는, 가동형(33)이 고정형(32)에 정면으로 마주하는 상태(수직면에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 부재(41)에는, 회동용 축부재(39)를 축으로 하여 R1 방향의 가압력을 발생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44)가 마련된다. 스프링 부재(44)의 일단은, 이동 프레임(40)의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 부재(40b)에, 장착 부재(44a)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스프링 부재(44)의 타단은, 회동용 축부재(39)에 장착 부재(44b)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도 12, 도 14 등에 나타내어지는 스프링 부재(44)는, 그 외의 구성 부품의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스프링 부재(44)의 일단측의 부분 및 타단측의 부분만이 그려져 있으며,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사이의 부분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는(그 외의 도면도 동일하게 함. 또, 후술의 도 20에 나타내는 가압 부재(68)도 동일하게 함) 것으로 한다.
또, 가동형(33)에는, 스프링 부재(44)에 의한 R1 방향의 가압력이 발생한 상태에서,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정면으로 마주하게 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맞닿음 부재(65)가 마련된다(도 12의 (b) 참조). 스프링 부재(44) 및 맞닿음 부재(65)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정면으로 마주하게 한다. 이 상태로부터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제1-8의 상태의 위치까지 가동형(33)이 이동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맞닿음 부재(41)가 자세 변경 부재(42)를 따라서, 스프링 부재의 R1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맞닿음 부재(41)는 R2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14의 (b)). 이것에 의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형(33)이 위를 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형(33)이 90도 회전된 후에, 가동형(33)에 유지된 코어(43)가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된다(도 8의 (a) 및 도 11의 (b)의 제1-9의 상태 참조). 이 코어 조형 장치(1)에서는, 언더 블로우식인 것과 아울러, 전체를 간소화시키는 것에 의해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위를 향해 90도 회전시킨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된 코어(43)를 유저가 취급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가동형(33)에는, 90도 회전된 후의 상태의 해당 가동형(33)을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가동형(33)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45)가 마련된다.
프레임 부재(34)측에는, 90도 회전된 후의 상태의 해당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켰을 때에, 슬라이딩 부재(45)에 맞닿음과 아울러 슬라이딩 부재(45)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바꾸기 위한 슬라이딩면(46a)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46)가 마련된다(도 7의 (b), 도 8의 (a) 참조). 슬라이딩면(46a)은,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한 가동형(33)의 이동 방향(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딩면(46a)은, 고정형(32)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높이가 높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45) 및 가이드 부재(46)에 의해, 코어가 상측이 되도록 회전된 후의 가동형(33)으로부터 코어를 이형시키는 제1 이형부가 구성된다.
슬라이딩 부재(45)는, 가이드 부재(46)에 의해 높이 방향의 위치가 바뀌어졌을 때에, 가동형(33)에 유지된 코어(43)를 가동형(33)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낸다(도 8의 (a)). 여기서, 슬라이딩 부재(45)가 코어(43)를 밀어내는 동작은, 직접적으로 밀어내도록 해도 괜찮고, 간접적으로 밀어내도록 해도 괜찮다. 여기에서는, 슬라이딩 부재(45)는, 압출 부재(47)를 매개로 하여 코어(43)를 밀어내고(간접적으로 밀어내고), 이것에 의해 코어(43)를 가동형(33)으로부터 이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높이 방향의 위치를 바꾼다」라는 것은, 여기에서는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가동형(33)이 아래를 향해 90도 회전되는 예의 경우에는, 하강했을 때에 코어(43)가 밀려 나온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45)는, 슬라이딩 롤러(45a)와, 슬라이딩 롤러(45a)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45b)와, 유지부(45b)와 일체로 된 플레이트부(45c)를 가진다. 플레이트부(45c)의 일방의 면측(도 8의 (a), 도 15의 상태의 상면측)에는, 플레이트부(45c)에 일체로 되는 맞닿음부(45d)가 마련된다. 맞닿음부(45d)는, 압출 부재(47)에 맞닿아진다. 맞닿음부(45d)를 마련하지 않고, 플레이트부(45c)가 직접적으로 압출 부재(47)에 맞닿도록 해도 괜찮지만, 맞닿음부(45d)를 마련한 경우에는, 조립시의 치수 조정이 간단하게 된다.
또, 플레이트부(45c)의 타방의 면측(도 15 상태의 하면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45e)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부재(45e)는, 유지부(45b)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유지부(45b) 및 가이드 부재(45e)는, 가동형 유지 부재(38)의 가이드 구멍(38a)에 삽입 통과되어 가이드된다. 이것에 의해, 플레이트부(45c)는, 자세를 흩뜨리지 않고, 수평면에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압출 부재(47)는, 슬라이딩 부재(45)의 맞닿음부(45b)에 맞닿아지는 플레이트부(47a)와, 플레이트부(47a)의 일방의 면측(도 8의 (a), 도 15의 상태의 상면측)에 마련되는 압출부(47b)를 가진다. 이 압출부(47b)는, 예를 들면 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출 부재(47)의 플레이트부(47a)는, 슬라이딩 부재(45)의 맞닿음부(45d)에 맞닿아져 상부를 향해서 이동된다. 가동형(33)에는, 압출용 구멍(33a)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를 향해서 이동된 압출 부재(47)는, 압출용 구멍(33a)에 삽입 통과된 압출부(47b)에 의해 코어(43)를 밀어내어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시킨다.
이 코어 조형 장치(1)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6)가,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킨다. 또, 회전된 후의 상태에 있는 가동형(33)을 제1 액추에이터(36)가 고정형(32)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이형부에 의해, 가동형(33)에 유지된 코어가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형(33)으로부터 코어(43)를 이형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도 16 ~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형(33)을 이동시킬 때에, 블로우 헤드 노즐(50)을 청소하는 제1 청소부(51)와, 고정형 노즐(48)을 청소하는 제2 청소부(52)를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청소부(51) 및 제2 청소부(52)는, 블로우 헤드 노즐(50) 및 고정형 노즐(48)을 청소한다. 제1 청소부(51) 및 제2 청소부(52)는, 유지 부재(57)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유지 부재(57)는, 고정형(32)에 대한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동형(33)과 함께 구동된다.
또, 이 유지 부재(57)의 기단부(基端部)는, 이동 프레임(40)에 장착된다. 이동 프레임(40)은, 가동형 유지 부재(38)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이동된다. 이동 프레임(40)은, 제1 액추에이터(36)의 로드(36a)에 장착되며,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 프레임(4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40a)는, 프레임 부재(34a)에 마련되어 있다. 이동 프레임(40)은, 가이드 부재(40a)에 의해,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된다. 또, 가이드 부재(40a)는, 우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의 2개소에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3개소 이상에 마련해도 괜찮다.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구동된 이동 프레임(40)은, 유지 부재(57)나, 가동형(33)을 회동 가능하게 유지한 가동형 유지 부재(38)를,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프레임(40) 및 가동형 유지 부재(38)는, 가동형 유지 유닛으로서 기능을 한다.
또, 프레임 부재(34d)의 선단에는, 가동형 노즐(49)을 청소하는 제3 청소부(53)가 마련된다.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이동된 가동형(33)이 제3 청소부(53)에 근접하면, 제3 청소부는, 가동형 노즐(49)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하여, 가동형 노즐(49)을 청소한다. 제1, 제2 및 제3 청소부(51, 52, 53)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모양의 고무(러버 플레이트) 등이며, 각 노즐(50, 48, 49)에 대해서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해당 노즐을 청소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a), 도 7의 (b),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는, 제1-7의 상태로부터 제1-8의 상태가 되도록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 제1 청소부(51) 및 제2 청소부(52)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청소부(51)는, 블로우 헤드 노즐(50)을 청소한다. 제2 청소부(52)는, 고정형 노즐(48)을 청소한다. 또, 도 4의 (a), 도 8의 (b) 및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0의 상태로부터 제1-1의 상태가 되도록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도, 제1 및 제2 청소부(51, 52)를 이동시켜, 각 노즐(50, 48)이 청소된다. 이들 제1 및 제2 청소부(51, 52)에 의한 블로우 헤드 노즐(50) 및 블로우 헤드 노즐(50)의 제조는, 동시에 행해져도 괜찮고, 일방의 청소가 타방의 청소에 앞서 행해져도 괜찮다.
게다가, 도 6의 (b), 도 7의 (a), 도 17의 (b) 및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6의 상태로부터 제1-7의 상태가 되도록 제1 액추에이터(36)가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 가동형 노즐(49)이 제3 청소부(53)에 슬라이드 접촉되어, 노즐(49)이 청소된다. 또, 도 4의 (a), 도 4의 (b) 도 16의 (b) 및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의 상태로부터 제1-2의 상태가 되도록 제1 액추에이터(36)가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도, 가동형 노즐(49)이 제3 청소부(53)에 슬라이드 접촉되어, 노즐(49)이 청소된다. 또, 도 4의 (a), 도 8의 (b) 및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0의 상태로부터 제1-1의 상태가 되도록 제1 액추에이터(36)가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도, 가동형 노즐(49)이 제3 청소부(53)에 슬라이드 접촉되어, 노즐(49)이 청소된다.
이 코어 조형 장치(1)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6)가, 캐비티(30a)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킨다. 또, 제1 액추에이터(36)가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 제3 청소부(51 ~ 53)에 의해 블로우 헤드 노즐(50), 고정형 노즐(48), 및 가동형 노즐(49)이 청소된다. 이것에 의해, 각 노즐(50, 48, 49)을 청소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모래 저장실(5)에는, 샌드 탱크(55)로부터 모래 저장실(5)(블로우 헤드(2))로 코어 모래(28)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56)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게이트(18)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 게이트(18)는,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가동형(33)을 구동할 때에 구동된다. 개폐 게이트(18)는, 가동형(33)이 고정형(32)과 함께 코어 형성용 캐비티(30a)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는, 공급구(56)를 폐쇄 상태로 한다.(도 5의 (a) 및 도 5의 (b)).
구체적으로, 개폐 게이트(18)에는, 공급구(56)를 샌드 탱크(55)와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18a)이 마련된다. 이 연통 구멍(18a)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구(56) 상에 위치하여 공급구(56)에 연통된 상태일 때에는, 샌드 탱크(55) 및 모래 저장실(5)은 연통되어 있다. 즉 코어 모래(28)가 샌드 탱크(55)로부터 모래 저장실(5)(블로우 헤드(2))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연통 구멍(18a)이 도 4의 (b)나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구(56) 상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여 공급구(56)와 연통되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샌드 탱크(55) 및 저장실(5)은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연통되어 있지 않다. 이 때, 모래 저장실(5)의 공급구(56)는 폐색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우 헤드(2) 내는, 밀폐된 상태이다.
개폐 게이트(18)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68)가 마련되며, 도 4의 (a)에 나타내는 X1 방향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그것과 함께, 개폐 게이트(18)에는, X1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 구멍(18a)이 공급구(56)와 연통되는 것과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 부재(68)는, 스프링 부재이며, 일단(68a)이 개폐 게이트(18)에 장착되고, 타단(68b)이 블로우 헤드(2)에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청소부(51, 52)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57)에는,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압출 부재(58)가 마련된다. 이 유지 부재(57) 및 압출 부재(58)는,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가동형(33)과 함께 이동된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의 상태로부터 제1-2의 상태가 되도록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 압출 부재(58)가 개폐 게이트(18)를 X2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b)에 나타내는 제1-2의 상태에서는, 모래 저장실(5)의 공급구(56)는,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공급구의 개폐 게이트(18)에 의한 폐색 상태는, 도 4의 (b) ~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2의 상태 ~ 제1-6의 상태까지 유지된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6의 상태로부터 제1-7의 상태가 되도록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 압출 부재(58)가 X1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개폐 게이트(18)에 대한 X2 방향으로의 밀어냄 힘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가압 수단에 의해 개폐 게이트(18)는 X1 방향으로 가압되고,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도 4의 (a)의 상태와 동일하게 연통 구멍(18a)이 공급구(56)와 연통되는 위치로, 개폐 게이트(18)가 이동된다. 그리고, 제1-7의 상태에서, 코어 모래(28)의 자중에 의해, 샌드 탱크(55)로부터 모래 저장실(5)로의 모래 공급이 행해진다.
이 코어 조형 장치(1)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6)가,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기 위한 기능에 더하여, 개폐 게이트(18)를 슬라이드시켜 모래 저장실(5)의 공급구(56)를 개방으로 하여 샌드 탱크(55)에 연통시키는 기능이나, 이 공급구(56)를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폐색시킨다고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별도 개폐 게이트(18)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샌드 탱크(55)와 모래 저장실(5)의 공급구(56)와의 사이에는, 가요성 호스(59)가 마련된다. 이 가요성 호스(59)에 의해,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우 헤드(2)가 제2 액추에이터(37)에 의해 상승된 경우에도, 샌드 탱크(55)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소형화를 실현한다. 또, 가요성 호스(59)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다.
제1 액추에이터(36)는, 가동형(33)을 고정형(32)측으로 이동시켜 형성된 코어 형성용 캐비티(30a)에 코어가 조형된 후에,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형(32)으로부터 코어(43)를 이형시키고, 코어(43)를 가동형(33)에 유지시킨다(도 6의 (a) 및 도 6의 (b) 참조).
고정형(32)에는, 가동형(33)이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될 때에, 캐비티(30a)에 조형된 코어(43)를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압출 부재(61)가 마련된다. 또, 고정형(32)에는, 코어(43)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압출 부재(61)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62)가 마련된다(도 4의 (a), 도 9의 (b)). 또, 고정형(32)에는,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이 형합시켜져 캐비티(30a)를 형성할 때에, 가압 부재(6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압출 부재(61)를 코어(43)의 밀어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6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출 부재(61), 가압 부재(62) 및 조작 부재(63)에 의해, 가동형(33)이 고정형(32)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코어가 가동형(33)에 유지되도록 고정형(32)으로부터 코어를 이형시키는 제2 이형부가 구성된다.
조작 부재(63)는,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이 형합시켜져 캐비티(30a)를 형성할 때에,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형(33)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압출 부재(61)를 이동시킨다. (도 4의 (b) 및 도 5의 (a) 참조). 즉, 형합시에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 부재(61)의 압출부(61b)는, 고정형(32) 내로 끌여 들여져 후퇴 위치에 위치한다.
이 가압 부재(62)의 가압력에 대항한 상태에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모래 충전이나 조형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켰을 때, 조작 부재(63)에 의한 압출 부재(61)로의 X3 방향으로의 밀어냄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가압 부재(62)의 가압력에 의해, 압출 부재(61)는, X4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X4 방향으로 가압된 압출 부재(61)는, 고정형(32) 내에서 고정형(32)으로부터 가동형(33)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압출 부재(61)는, 고정형(32)으로부터 코어(43)를 이형시켜, 코어(43)를 가동형(33)에 유지시킨다(도 6의 (b) 참조).
압출 부재(61)는, 플레이트부(61a)와, 플레이트부(61a)의 일방의 면측에 마련되는 압출부(61b)를 가진다(도 16 참조). 압출부(61b)는, 예를 들면 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형(32)에는, 압출용 구멍(32a)이 마련되어 있다. 압출 부재(61)는, 압출용 구멍(32a)에 삽입 통과된 압출부(61b)에 의해 코어(43)를 밀어내어 고정형(32)으로부터 이형시킨다.
가압 부재(62)는, 고정형 유지 유닛(35)에 일단이 장착되는 스프링 부재(62a)와, 스프링 부재(62a)의 타단에 장착되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플레이트 부재(62b)와, 플레이트 부재(62b)의 일방면(도 9의 (b)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맞닿음부(62c)를 가진다(도 16 참조). 스프링 부재(62a)에 의한 가압력은, 플레이트 부재(62b) 및 맞닿음부(62c)를 매개로 하여 압출 부재(61)로 전달된다. 또, 플레이트 부재(62b) 및 맞닿음부(62c)는, 마련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직접 스프링 부재(62a)의 가압력을 압출 부재(61)에 가압해도 괜찮다. 또, 플레이트 부재(62b)에는, 각 압출부(61b)를 균등하게 밀어내기 위한 가이드 부재(62d)가 마련된다.
이 코어 조형 장치(1)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6)가, 캐비티(30a)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킨다. 또, 제1 액추에이터(36)가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이형부에 의해, 고정형(32)으로부터 코어(43)가 이형된다. 이것에 의해, 별도 고정형(32)으로부터 코어(43)를 이형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여기서, 코어 조형 장치(1)를 구성하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 도 21 ~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합시켜진 코어형(30)의 하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된 블로우 헤드(2)가 마련되어 있다. 블로우 헤드(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액추에이터(37)로 구동된다. 또, 블로우 헤드(2)는, 코어형(3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블로우 헤드(2)는, 칸막이판(3)에 의해 구획된 인접하는 모래 취입실(4) 및 모래 저장실(5)을 가지고 있다. 모래 취입실(4)의 상단에는, 코어형(30)과 밀착되는 플레이트(4a)가 마련된다. 플레이트(4a)에는,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를 코어형(30)의 캐비티(30a)에 불어 넣기 위한 모래 취입 구멍(4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코어형(30)에, 모래 충전시의 취입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홀(venthole)을 마련해도 괜찮다. 벤트홀을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 쌍의 형 사이의 미소(微小)한 틈으로부터 해당 에어를 배출하도록 해도 괜찮다.
모래 취입실(4)에는, 도 2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 취입 구멍(4b)의 하측에 연통되는 모래 취입 노즐(6)이 플레이트(4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해도 좋다. 플레이트(4a)는, 모래 취입실(4)로부터 빼냄 가능하게 구성해도 괜찮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체결 수단, 클램프 수단 등이 마련된다. 또, 도 21 ~ 도 25의 예에서는, 후술의 효과를 얻기 위한 모래 취입 노즐(6)은, 플레이트(4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술한 「블로우 헤드 노즐(50)」은 외면측을 의미하고, 「모래 취입 노즐(6)」은 내면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칸막이판(3)의 하부 중앙에는, 개구부(3a)(도 21의 (b) 참조)가 마련된다. 모래 취입실(4) 및 모래 저장실(5)은, 개구부(3a)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모래 저장실(5)은, 적어도 저면의 일부에 경사면(5a)을 가지고 있다(도 21의 (a) 참조). 모래 저장실(5)의 천정판(5b)의 상면은, 모래 취입실(4)에서의 플레이트(4a)의 상면 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모래 저장실(5)에서의 경사면(5a)의 하부에는, 압축 에어를 모래 저장실(5) 내로 공급하는 압축 에어 공급부(7)가 마련된다(도 22의 (a) 참조). 압축 에어 공급부(7)는, 모래 저장실(5)에 접속(연통)되어 있다.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선단에는, 청동(브론즈(bronze))의 소결체(7a)가 마련된다. 압축 에어 공급부(7)는, 개폐 밸브(8)를 매개로 하여 도시하지 않은 압축 공기원에 연통되어 있다.
모래 취입실(4)의 측벽의 상부에는,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키는 에어레이션 에어를 모래 취입실(4) 내로 공급하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가 마련된다.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의 선단에는, 청동(브론즈)의 소결체(9a)가 마련된다.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는, 해당 소결체(9a)를 매개로 하여 모래 취입실(4)에 접속(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는, 판 모양 부재(4d)에 장착되어 있다. 판 모양 부재(4d)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 수단에 의해, 모래 취입실(4)에 장착 및 떼어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판 모양 부재(4d)는 상하를 반대로 하여 장착하는 것에 의해,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도 2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를 3개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한 개 있으면 괜찮다.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에는, 에어 배관(10)이 연통되어 있다. 에어 배관(10)에는 개폐 밸브(11)가 마련된다. 개폐 밸브(11)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 공기원에 연통되어 있다.
또, 에어 배관(10)의 도중에는, 분기 에어 배관(12)이 마련된다. 분기 에어 배관(12)에는, 모래 취입실(4) 내에 잔존하는 압축 에어를 배기하는 배기 밸브(13)가 마련된다. 배기 밸브(13)는, 배관(10, 12)을 매개로 하여 모래 취입실(4)에 접속되어 있다.
모래 취입실(4)에서,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가 장착되어 있는 측벽에 직교하는 측벽의 상부에는, 모래 취입실(4)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4)가 마련된다. 모래 저장실(5)의 측벽의 상부에는, 해당 모래 저장실(5)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5)가 장착되어 있다.
모래 저장실(5)의 상단에는, 판재(5c)가 마련된다. 모래 저장실(5)의 천정판(5b) 및 판재(5c)에는, 공급구(56)가 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판재(5c)의 상부에는, 모래 공급용 구멍(16a)이 마련된 플랜지(16)가 마련된다. 플랜지(16)의 상단에는, 구멍(16a)과 연통하는 모래 공급관으로서의 가요성 호스(59)가 장착되어 있다. 가요성 호스(59)는, 샌드 탱크(55)에 연통되어 있다.
판재(5c)와 플랜지(16)와의 사이에는, 연통 구멍(18a)이 형성된 개폐 게이트(18)가 마련된다. 개폐 게이트(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한 가동형(33)의 구동과 연동하여 슬라이드되어, 공급구(56)를 개폐한다. 제2 액추에이터(37)에 의해 블로우 헤드(2)가 하강될 때에, 판재(5c), 개폐 게이트(18), 및 플랜지(16)도 하강한다.
이상과 같은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코어 조형 장치(1)에 마련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형합시켜진 코어형(30)이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공급구(56)가 닫혀진다. 다음으로, 블로우 헤드(2)가 상승되어, 도 21의 상태가 된다. 도 21의 상태에서는, 코어형(30)과 플레이트(4a)는, 밀착되어 있다. 공급구(56)는,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막혀, 블로우 헤드(2) 내는 밀폐 공간으로 되어 있다. 모래 취입실(4) 및 모래 저장실(5)에는, 각각 필요한 양의 코어 모래(도 21에서는 생략되어 있음)가 존재하고 있다.
다음으로, 개폐 밸브(11)가 열리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가 작동된다.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의 소결체(9a)로부터 에어(에어레이션 에어)가 분출되어,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가 부유 유동화된다. 소정 시간 경과 후, 개폐 밸브(8)가 열리고, 압축 에어 공급부(7)가 작동된다.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소결체(7a)로부터 압축 에어가 분출되어, 모래 저장실(5) 내의 코어 모래가 모래 취입실(4)로 보내어진다.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가, 모래 취입 노즐(6) 및 모래 취입 구멍(4b)을 통해서, 코어형(30)의 캐비티(30a)로 불어 넣어진다. 이 때, 코어 모래와 함께 캐비티(30a) 내로 불어 넣어진 압축 에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벤트홀 혹은 미소한 틈으로부터 배기된다. 또,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에 의해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키는 공정 후에, 부유 유동화한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를 압축 에어 공급부(7)에 의해 캐비티(30a)에 충전하는 공정을 행해도 괜찮고, 이들 공정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하고 있어도 괜찮다.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작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개폐 밸브(11) 및 개폐 밸브(8)가 닫혀지고,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 및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벤트홀 혹은 미소한 틈으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모래 취입실(4) 내와 모래 저장실(5) 내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모래 취입실(4) 내의 압력은, 모래 저장실(5) 내의 압력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 압력차는, 모래 취입실(4) 내 및 모래 저장실(5) 내의 코어 모래를, 코어형(30)의 캐비티(30a) 내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캐비티(30a) 내에 충전된 코어 모래는, 낙하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배기 밸브(13)가 열리게 되어, 모래 취입실(4) 내에 잔존하는 압축 에어가 배기된다. 즉, 모래 취입실(4) 내에 잔존하는 압축 에어는, 소결체(9a)로부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로 들어가, 에어 배관(10) 및 분기 에어 배관(12)을 통해 배기 밸브(13)로부터 배기된다. 이 때, 모래 취입실(4) 내 및 모래 저장실(5) 내에 잔존하는 압축 에어가 소결체(9a)로부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로 안내된다고 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그 흐름을 타고 모래 저장실(5) 내의 코어 모래는, 모래 취입실(4) 내로 이동된다. 해당 모래 취입실(4) 내는, 코어 모래로 충만된다.
블로우 헤드(2) 내의 게이지 압력이 제로인 것(블로우 헤드(2)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대략 동일하게 된 것)을 압력 센서(14, 15)가 검지하면, 블로우 헤드(2)가 하강되어, 코어형(30)과 블로우 헤드(2)가 분리된다. 다음으로, 배기 밸브(13)가 닫혀진다.
코어형(30)의 형개방이 행해지고, 코어가 취출된다. 다음으로, 개폐 게이트(18)가 열린다. 샌드 탱크(55) 내의 코어 모래는, 가요성 호스(59), 구멍(16a), 연통 구멍(18a) 및 공급구(56)를 통하여 모래 저장실(5) 내로 공급된다.
또, 상술의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에서는, 압축 에어 공급부(7)를 모래 저장실(5)에 연통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모래 취입실(4)에 연통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모래 저장실(5)의 코어 모래를 모래 취입실(4) 내에 공급하기 위한 모래 이송용 에어를 공급하는 모래 이송 에어 공급부를 마련하면 좋다. 또, 압축 에어 공급부,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는, 각각 추가하여 마련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코어 조형 장치(1)를 구성하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서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와, 상술한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에서는, 도 2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 저장실(5)에서, 경사면(5a)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에는, 압축 에어를 해당 모래 저장실(5) 내로 공급하는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가 마련된다.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는, 모래 저장실(5)에 연통된다.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선단에는, 청동(브론즈)의 소결체(19a)가 마련된다. 또,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는, 압축 에어 공급부(7)와 마찬가지로, 에어 배관(20)을 매개로 하여 개폐 밸브(8)에 연통되어 있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의 모래 취입실(4)의 저면의 일부의 경사면(4c)에는,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키는 에어레이션 에어를 해당 모래 취입실(4) 내로 공급하는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가 마련된다.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는, 모래 취입실(4)에 연통되어 있다.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의 선단에는, 청동(브론즈)의 소결체(21a)가 마련된다. 여기에서는, 도 2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 취입실(4)의 저면의 일부의 경사면(4c)에,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를 2개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한 개 마련하도록 하면 괜찮다.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는, 개폐 밸브(22)를 매개로 하여 도시하지 않은 압축 공기원에 연통되어 있다.
모래 충전 디바이스(71)는, 여기서 설명한 차이점 이외는, 상술한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와 동일의 구성을 구비한다.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도, 코어 조형 장치(1)에 마련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형합시켜진 코어형(30)이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공급구(56)가 닫혀진다. 다음으로, 블로우 헤드(2)가 상승되어, 도 23의 상태가 된다. 도 23의 상태에서는, 코어형(30)과 플레이트(4a)는, 밀착되어 있다. 공급구(56)는,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막혀, 블로우 헤드(2) 내는 밀폐 공간으로 되어 있다. 모래 취입실(4) 및 모래 저장실(5)에는, 각각 필요한 양의 코어 모래(도 23의 (a)에서는 생략되어 있음)가 존재하고 있다.
다음으로, 개폐 밸브(11) 및 개폐 밸브(22)가 열리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 및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가 작동된다.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의 소결체(9a) 및 해당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의 소결체(21a)로부터 에어(에어레이션 에어)가 분출되어,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가 부유 유동화된다. 소정 시간 경과 후, 개폐 밸브(8)가 열리고, 압축 에어 공급부(7) 및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가 작동된다.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소결체(7a) 및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소결체(19a)로부터 압축 에어가 분출되어, 모래 저장실(5) 내의 코어 모래가 모래 취입실(4)로 보내어진다.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가, 모래 취입 노즐(6) 및 모래 취입 구멍(4b)을 통해서, 코어형(30)의 캐비티(30a)로 불어 넣어진다. 이 때, 코어 모래와 함께 캐비티(30a) 내로 불어 넣어진 압축 에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벤트홀 혹은 미소한 틈으로부터 배기된다.
압축 에어 공급부(7) 및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작동 개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개폐 밸브(11), 개폐 밸브(22) 및 개폐 밸브(8)가 닫혀지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 압축 에어 공급부(7) 및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벤트홀 혹은 미소한 틈으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모래 취입실(4) 내와 모래 저장실(5) 내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모래 취입실(4) 내의 압력은, 모래 저장실(5) 내의 압력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 압력차는, 모래 취입실(4) 내 및 모래 저장실(5) 내의 코어 모래를, 코어형(30)의 캐비티(30a) 내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캐비티(30a) 내에 충전된 코어 모래는, 낙하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배기 밸브(13)가 열려, 모래 취입실(4) 내에 잔존하는 압축 에어가 배기된다. 즉, 모래 취입실(4) 내에 잔존하는 압축 에어는, 소결체(9a)로부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로 들어가, 에어 배관(10) 및 분기 에어 배관(12)을 통하여 배기 밸브(13)로부터 배기된다. 이 때, 모래 취입실(4) 내 및 모래 저장실(5) 내에 잔존하는 압축 에어가 소결체(9a)로부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로 안내된다고 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그 흐름을 타고 모래 저장실(5) 내의 코어 모래는, 모래 취입실(4) 내로 이동된다. 해당 모래 취입실(4) 내는, 코어 모래로 충만된다.
블로우 헤드(2) 내의 게이지 압력이 제로인 것(블로우 헤드(2)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대략 동일하게 된 것)을 압력 센서(14, 15)가 검지하면, 블로우 헤드(2)가 하강되어, 코어형(30)과 블로우 헤드(2)가 분리된다. 다음으로, 배기 밸브(13)가 닫혀진다.
코어형(30)의 형개방이 행해지며, 코어가 취출된다. 다음으로, 개폐 게이트(18)가 열린다. 샌드 탱크(55) 내의 코어 모래는, 가요성 호스(59), 구멍(16a), 연통 구멍(18a) 및 공급구(56)를 통하여 모래 저장실(5) 내로 공급된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 및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작동 압력은, 동일 압력으로 해도 괜찮다. 동일 압력인 경우, 에어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작동 압력을,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의 작동 압력보다 높게 해도 괜찮다. 이 경우, 모래 저장실(5) 내의 압력이 모래 취입실(4) 내의 압력보다 높게 되어, 큰 압력차가 발생하여, 모래 저장실(5)로부터 모래 취입실(4)로의 코어 모래의 이동이 용이하게 행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서로 연통하는 모래 취입실(4) 및 모래 저장실(5)로 구획된 블로우 헤드(2)가, 코어형(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톱 블로우식 코어 조형 장치에 비해, 장치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압축 에어 공급부(7)와,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와의 두 개의 에어 공급 수단을 구비하며, 이들 에어의 분출에 의해 코어 모래를 불어 넣어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 모래의 충전성을 더 좋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모래 저장실(5)의 저면의 일부가 경사면(5a)으로 되어 있으며, 해당 경사면(5a)에 압축 에어 공급부(7)가 장착되어 있다. 이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모래 저장실(5) 내로 공급된 코어 모래는, 모래의 안식각(安息角)에 의해 모래 저장실(5) 내에서 원추 모양으로 되지만, 이 경우, 칸막이판(3)과 코어 모래의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모래층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모래 저장실(5)로부터 모래 취입실(4)로 코어 모래를 이동시킬 때, 코어 모래와 에어가 잘 섞이지 않고 에어만이 개구부(3a)를 통과한다고 하는, 이른바 에어가 블로바이(blowby)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해,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래 저장실(5)의 저면의 일부의 경사면(5a)에 압축 에어 공급부(7)를 마련하고, 압축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원추 모양의 코어 모래의 산이 무너져, 코어 모래가 교반된다. 이것에 의해, 모래 저장실(5) 내에서 코어 모래가 평면 상태가 되며, 칸막이판(3)과 코어 모래의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모래층의 높이가 높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에어의 블로바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모래 저장실(5)로부터 모래 취입실(4)로 이동하는 코어 모래의 양, 즉, 유효 사용 모래량을 늘릴 수 있다.
게다가,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배기 밸브(13)가,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에 연통된 에어 배관을 매개로 하여 모래 취입실(4)에 연통되어 있다. 배기되는 에어가 소결체(9a)로부터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로 들어가기 때문에,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가 배기 수단의 기능도 겸한다. 배기시에 소결체(9a)에 모래가 막히더라도, 다음에, 소결체(9a)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기 때문에, 해당 소결체(9a)의 모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에서는, 압축 에어 공급부(7)에 더하여,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를 구비하므로, 모래 저장실(5) 내에서, 원추 모양의 코어 모래의 산이 무너져, 코어 모래가 교반되는 작용이, 보다 촉진된다. 모래 저장실(5)로부터 모래 취입실(4)로의 코어 모래의 이동이, 보다 스무스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에 더하여,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를 구비하므로,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키는 작용이, 보다 촉진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모래 취입실(4), 모래 저장실(5)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4) 및 압력 센서(1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모래 취입실(4) 내와 모래 저장실(5) 내의 압력차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모래 취입 노즐(6)을 플레이트(4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시킨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가 캐비티(30a)로 불어 넣어진 후,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작동이 정지된다. 모래 취입실(4) 내의 코어 모래가 중력 낙하하여, 모래 취입실(4) 내에서의 코어 모래의 상면과 플레이트(4a)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기층(틈)(K)이 생긴다(도 25 참조)(부호 S는 코어 모래).
도 2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다음 번의 캐비티(30a)로의 코어 모래의 불어 넣음을 행한다. 이 때, 모래 취입 노즐(6)의 선단이 코어 모래에 묻힌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층(K)의 공기가 코어 모래에 끌어 넣어지지 않아, 캐비티(30a) 내로 코어 모래가 충분히 충전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해당 공기층(K)이 생겨도, 모래 취입 노즐(6)의 선단이 상시, 코어 모래에 묻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캐비티(30a) 내에서 고화(固化)되어 있지 않은 코어 모래가 해당 공기층(K)에 낙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캐비티(30a) 내로의 코어 모래의 충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모래 취입 구멍(4b)의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또한, 모래 취입 노즐(6)의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이들을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모래 취입 노즐(6)을 플레이트(4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접 등에 의해 고착시켜도 괜찮다. 또, 모래 취입 노즐(6)로서 원통 모양의 파이프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 모양이라도 괜찮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를 작동시키며, 소정 시간 경과 후, 압축 에어 공급부(7)를 작동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를 작동시킨 후, 압력 센서(14)가 모래 취입실(4) 내의 소정 압력값을 검지했을 때에, 압축 에어 공급부(7)를 작동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또, 이 경우의 해당 모래 취입실(4) 내의 소정 압력값은,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작동 압력보다 낮은 압력값이면 좋지만, 0.01 ~ 0.2MPa의 범위 내의 압력값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모래 충전 디바이스(71)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 및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의 작동 및 정지의 타이밍은, 동시라도, 동시가 아니라도 괜찮다. 또, 압축 에어 공급부(7)와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작동 및 정지의 타이밍도, 동시라도, 동시가 아니라도 괜찮다. 또, 압축 에어 공급부(7)와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작동 또는 정지의 타이밍을 늦추고 싶은 경우는, 해당 압축 에어 공급부(7)와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각각에 전용의 개폐 밸브를 연통시키도록 하면 괜찮다.
게다가,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소정 위치에 배치된 코어형(30)에 대해서 블로우 헤드(2)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 위치에 배치된 블로우 헤드(2)에 대해서 코어형(30)을 승강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게다가,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가열한 형에 레진코티드 샌드를 불어 넣어 충전하고, 셸 코어를 조형하는 셸 코어 조형 장치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온 가스 경화법인 콜드 박스법(cold box法)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와 압축 에어 공급부(7)의 작동을 동시에 정지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를 압축 에어 공급부(7)보다 빨리 정지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서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 압축 에어 공급부(7) 및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의 작동 압력은, 특정의 압력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는, 0.1 ~ 0.5MPa, 제2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21)는, 0.1 ~ 0.5MPa, 압축 에어 공급부(7)는, 0.1 ~ 0.5MPa, 제2 압축 에어 공급부(19)는, 0.1 ~ 0.5MPa의 작동 압력이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코어 조형 장치(1)를 이용한 코어 조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제1-1의 상태로부터 제1-10의 상태까지, 차례로 각각의 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코어를 조형한다. 이하에서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31)를 가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모래 충전 디바이스(71)를 이용하는 경우도 상술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우선, 도 4의 (a)에 나타내는 제1-1의 상태가 원위치이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제1-2의 상태는, 개폐 게이트(18)를 이동시켜 블로우 헤드(2) 내를 밀폐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개폐 게이트(18)는,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근접할 때에,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공급구(56)를 폐쇄 상태로 한다(게이트 폐색 공정). 이 공정에 의한, 게이트 폐색 상태는, 적어도 모래 충전 공정까지는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6의 상태까지 폐색 상태가 유지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제1-3의 상태는, 캐비티(30a)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캐비티 형성 공정). 즉,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근접시켜 맞닿게 하여(에어 배출을 위한 미소한 틈을 형성할 정도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경우도 맞닿음에 포함되는 것으로 함), 캐비티(30a)를 형성한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제1-4의 상태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와 캐비티(30a)를 연통시키는 공정을 거쳐, 캐비티(30a) 내에 모래 충전을 행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연통 공정, 충전 공정). 상술한 바와 같이 모래 충전 디바이스(31, 71)에 의해 캐비티(30a) 내로 모래 충전을 행한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제1-5의 상태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31)를 캐비티로부터 분리시키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연통 해제 공정). 또, 그 동안에, 코어형(30)의 열에 의해 캐비티 내의 코어 모래(28)가 굳어 코어가 조형된다. 따라서, 이 공정은, 조형 공정이라고도 한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제1-6의 상태는, 형개방이 행해짐과 아울러 조형된 코어를 가동형에 유지시키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형개방 공정). 이 공정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6)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형(32)으로부터 코어(43)를 이형시키고, 코어(43)를 가동형(33)에 유지시킨다.
도 7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내는 제1-7의 상태는, 코어(43)를 유지시킨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공정을 거쳐, 맞닿음 부재(41)를 자세 변경 부재(42)에 맞닿게 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이간시키는 공정에서, 제3 청소부(53)에 의한 가동형 노즐(49)의 청소가 행해진다(도 17의 (b) 및 도 18의 (a)). 또, 이 제1-7의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압출 부재(58)에 의한 개폐 게이트(18)로의 밀어냄력이 해제되며, 가압 부재(68)에 의한 개폐 게이트(18)의 가압에 의해, 공급구(56)가 샌드 탱크(55)에 연통되게 된다(게이트 개방 공정).
도 7의 (b) 및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제1-8의 상태는, 코어(43)를 유지시킨 가동형(33)을 90도 회전시키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 여기에서는, 코어(43)가 가동형(33)의 상측에 유지되도록 회전시킨다(형회전 공정). 이 공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형(33)을 90도 회전시킨다. 또, 제1-7의 상태로부터 제1-8의 상태가 되도록 가동부(33)를 이동시킬 때에, 제1 청소부(51) 및 제2 청소부(52)에 의해, 블로우 헤드 노즐(50), 고정형 노즐(48)을 청소한다.
도 8의 (a) 및 도 11의 (b)에 나타내는 제1-9의 상태는, 코어(43)를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시키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이형 공정). 이 공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의 구동력에 의해, 코어(43)를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시킨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제1-10의 상태는, 코어를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시키기 위한 이형 기능을 가지는 압출부(47b)를 가동형 내부로 끌어 들이게 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1-5의 상태로부터 제1-9의 상태까지는, 제1 액추에이터(36)의 로드(36a)를 줄이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이동 프레임(40)이나 가동형(33) 등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제1-9의 상태로부터 제1-10의 상태, 제1-10의 상태로부터 제1-1의 상태, 및 제1-1의 상태로부터 제1-3의 상태까지는, 제1 액추에이터(36)의 로드(36a)를 늘리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이동 프레임(40)이나 가동형(33) 등을 고정형(3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해당 코어 조형 장치(1)를 이용한 코어 조형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의 상태로부터 제1-10의 상태를 통해서 다시 제1-1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동안에, 제1 ~ 제3 청소부(51, 52, 53)에 의한 각 노즐(50, 48, 49)의 청소가 행해진다.
해당 코어 조형 장치(1)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 조형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우 헤드(2)가 모래 취입실(4) 및 모래 저장실(5)을 가지며, 압축 에어 공급부(7)에 의해 압축 에어를 공급함과 아울러,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에 의해 에어레이션 에어를 공급하여 코어형(30)의 캐비티(30a)로의 모래 충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언더 블로우식 코어 모래 충전성을 좋게 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 해당 장치(1) 및 방법에서는, 블로우 헤드(2)를 코어형(30)의 하부측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따라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코어 모래의 충전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해당 장치(1) 및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의 액추에이터(제1 액추에이터(36))에 의해, 가동형(33)의 구동(형합, 형개방 등), 가동형(33)의 회전, 가동형(33)으로부터의 코어의 이형, 각 노즐(50, 48, 49)의 청소, 개폐 게이트(18)의 구동, 형개방시의 고정형(32)으로부터의 코어의 이형을 구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간소화를 실현한다. 또,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또, 이 코어 조형 장치(1)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6) 및 제2 액추에이터(37)만으로, 구성 부품의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6 ~ 도 36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A)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A)는, 주로, 모래 회수 디바이스(100)를 더 구비하는 점과, 제1 ~ 제3 청소부(51 ~ 53)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A)는, 예를 들면, 가열한 형에 레진코티드 샌드를 불어 넣어 충전하고, 셸 코어를 조형하는 장치이다.
모래 회수 디바이스(100)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부재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9)에 고정된 제3 액추에이터(110)와, 블로우 헤드(2)와 개폐 게이트(18)와의 사이에 걸쳐 놓여진 도통 부재(120)를 가진다. 제3 액추에이터(110)는, 1축 액추에이터이다. 제3 액추에이터(110)는, 예를 들면, 에어 온 오일(에어 하이드로) 실린더이다. 제3 액추에이터(110)의 선단에는, 제4 청소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액추에이터(110)는, 수평 방향으로 제4 청소부(112)를 구동시킨다. 그 때문에, 제4 청소부(112)는, 블로우 헤드(2)(블로우 헤드 노즐(50))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하도록 이동한다. 제4 청소부(112)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모양의 고무(러버 플레이트) 등이며, 블로우 헤드 노즐(50)에 대해서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해당 노즐(50)을 청소한다.
도통 부재(120)는, 블로우 헤드 노즐(50)의 상단(모래 취입실(4)의 상단)으로부터 개폐 게이트(18)를 향함에 따라 하부로 경사진 경사로(슛(shoot))이다. 그 때문에, 블로우 헤드 노즐(50)의 상단으로부터 도통 부재(120)로 배출된 모래는, 도통 부재(120)를 통과하여 개폐 게이트(18)에 도달한다. 개폐 게이트(18)가 개방된 경우에는, 개폐 게이트(18)에 도달한 모래는, 연통 구멍(18a) 및 공급구(56)를 통해서 모래 저장실(5)로 공급된다.
도통 부재(120)의 중간 부분에는, 소정의 입경(粒俓) 이하의 모래가 통과 가능한 필터 부재(122)가 마련되어 있다. 필터 부재(122)는, 예를 들면 그물코 모양의 체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필터 부재(122)의 구멍의 크기는, 모래가 집합하여 굳은 모래 덩어리나 해당 모래 덩어리와 동등 이상의 크기의 불순물 등은 필터 부재(122)를 통과할 수 없지만, 모래 그 자체는 필터 부재(122)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코어 조형 장치(1A)를 이용한 코어(43)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6 ~ 도 28에 나타내어지는 제2-1의 상태가 원위치이다. 이 제2-1의 상태에서는, 가동형(33)은, 고정형(32)에 정면으로 맞선 상태에서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제4 청소부(112)는 블로우 헤드 노즐(50)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블로우 헤드(2)는 코어형(30)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연통 구멍(18a) 및 공급구(56)는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 않고, 가요성 호스(59)와 공급구(56)와는 연통된 상태이다.
이어서, 도 29에 제2-2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를 구동하여,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근접시킨다. 이 때, 가동형(33)이 고정형(32)에 가까워짐에 따라, 압출 부재(58)가 개폐 게이트(18)를 밀어, 연통 구멍(18a) 및 공급구(56)를 폐쇄 상태로 한다. 개폐 게이트(18)에 의해 연통 구멍(18a) 및 공급구(56)가 폐색된 상태는, 적어도 모래 충전 공정까지는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7의 상태까지 폐색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도 30에 제2-3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를 더 구동하여, 가동형(33)을 고정형(32)에 맞닿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형(33)과 고정형(32)이 일체로 되어 코어형(30)이 구성됨과 아울러, 코어형(30)의 내부에 캐비티(30a)가 구성된다. 이 때, 가동형(33)이 조작 부재(63)를 고정형(32)을 향해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압출 부재(61)의 압출부(61b)가 고정형(32) 내로 끌어들여져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또, 가동형(33)과 고정형(32)이 맞닿아 일체로 된 상태에서, 에어 배출을 위한 미소한 틈이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어서, 도 31에 제2-4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2 액추에이터(37)를 구동하여, 블로우 헤드 노즐(50)이 코어형(30)에 맞닿을 때까지, 블로우 헤드(2)를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와 캐비티(30a)가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 에어 공급부(7) 및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9)를 각각 제어하여,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에 의해 캐비티(30a) 내에 모래 충전을 행한다. 모래 충전시에, 코어형(30)의 열에 의해, 캐비티(30a) 내의 코어 모래(28)가 굳어, 코어(43)가 조형된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모래 충전 디바이스(31)를 대신하여 모래 충전 디바이스(71)를 이용해도 괜찮다.
이어서, 도 32에 제2-5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2 액추에이터(37)를 구동하여, 블로우 헤드(2)를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모래 충전 디바이스(31)와 캐비티(30a)가 분리된다. 이 때, 코어(43) 중 응고하지 않던 내측 부분의 모래(130)가 블로우 헤드(2)의 상면에 낙하한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43)는 중실(中實) 코어이었던 것에 비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43)는 중공(中空) 코어가 된다. 중공 코어는, 중실 코어에 비해, 코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주물에 엄격한 품질이 요구될 때에 유리하게 된다. 또, 중공 코어는, 중실 코어에 대해서 모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중공 코어는, 중실 코어에 비해서 경량이므로, 수송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소망한 중공 코어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소망한 중공 코어가 얻어지는 코어형(30)의 온도와, 코어형(30)에 의한 코어 모래(28)의 가열 시간을 미리 실험에 의해 취득하고, 이어서, 그 온도 및 시간에 기초하여 이들 중 적어도 일방을 관리하면서 코어를 조형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A)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와 마찬가지로 언더 블로우식이므로, 캐비티(30a) 내에 코어 모래(28)가 충전될 때에는, 모래 취입실(4)이 항상 코어 모래(28)로 충전되어 있다. 즉, 제2-5의 상태에서 블로우 헤드(2)가 코어형(30)으로부터 이간할 때에도, 블로우 헤드 노즐(50)의 선단까지 코어 모래(28)가 충전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블로우 헤드(2)의 상면에 낙하하는 모래(130)는, 블로우 헤드 노즐(50)을 통해 모래 취입실(4)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모래(130)에 모래 덩어리나 불순물 등이 포함되어 있던 경우라도, 후속의 공정에서 모래(130)가 제4 청소부(112)에 의해 도통 부재(120)로 배출되므로, 다음의 코어의 조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중공 코어의 조형을 함에 있어서, 블로우 헤드(2)가 모래 취입실(4) 및 모래 저장실(5)을 가짐과 아울러, 언더 블로우 방식이 채용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코어 조형 장치(1A)를 이용하면, 매우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3에 제2-6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4 액추에이터(110)를 구동하여, 제4 청소부(112)를 블로우 헤드(2)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 때, 제4 청소부(112)가, 블로우 헤드 노즐(50)의 상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블로우 헤드 노즐(50)의 상면의 모래(130)를 도통 부재(120)로 배출한다. 도통 부재(120)로 배출된 모래(130)는, 필터 부재(122)를 통과하여 개폐 게이트(18)까지 낙하한다. 필터 부재(122)에서는, 모래(130)에 포함되는 모래 덩어리나 해당 모래 덩어리와 동등 이상의 크기의 불순물 등이 포집되며, 재이용 가능한 모래(130)가 필터 부재(122)를 통과한다.
이어서, 도 34에 제2-7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를 구동하여,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이것에 의해, 형개방이 행해진다. 이 때, 가동형(33)이 조작 부재(63)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가압 부재(62)의 가압력에 의해, 압출 부재(61)는, 고정형(32) 내에서 고정형(32)으로부터 가동형(33)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 위치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코어(43)는, 고정형(32)으로부터 이형됨과 아울러, 가동형(33)에 유지된다. 또, 이 형개방시에, 압출 부재(58)가 개폐 게이트(18)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 게이트(18)는, 연통 구멍(18a)이 공급구(56)와 연통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샌드 탱크(55)로부터 모래 저장실(5)로의 모래 공급이 행해짐과 아울러, 제4 청소부(112)에 의해서 블로우 헤드 노즐(50)의 상면으로부터 회수된 모래(130)가 모래 저장실(5)로 공급된다.
이어서, 도 35에 제2-8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를 더 구동하여,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이것에 의해, 맞닿음 부재(41)가 자세 변경 부재(42)에 맞닿으므로, 가동형(33) 및 코어(43)가 위를 향하게 되도록 가동형(33)이 90도 회전하여, 가동형(33)의 자세가 변경된다. 이 때, 제4 액추에이터(110)도 구동하여, 제4 청소부(112)를 블로우 헤드 노즐(50)로부터 이간시킨다.
이어서, 도 36에 제2-9의 상태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6)를 더 구동하여, 가동형(33)을 고정형(32)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5)가 가이드 부재(46)의 슬라이딩면(46a)을 따라서 상부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45) 및 압출 부재(47)를 매개로 하여, 압출부(47b)가 코어(43)를 상부로 밀어낸다. 그 때문에, 코어(43)가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된다. 코어(43)가 가동형(33)으로부터 취출된 후, 코어 조형 장치(1A)는 다시 제2-1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형(30)으로부터 블로우 헤드(2)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130)를 회수하는 모래 회수 디바이스(10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블로우 헤드(2)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130)가, 블로우 헤드(2) 내로 직접 되돌려지지 않고, 모래 회수 디바이스(100)에 의해서 회수된다. 그 때문에, 모래가 집합하여 굳은 모래 덩어리 등이 블로우 헤드(2)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130)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해당 모래 덩어리도 모래 회수 디바이스(100)에 의해 회수된다. 따라서, 해당 모래 덩어리가 다음의 코어의 조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모래 회수 디바이스(100)는, 블로우 헤드(2)의 상면으로부터 모래 저장실(5)로 모래(130)를 안내하는 도통(導通) 부재(120)와, 블로우 헤드(2)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130)를 블로우 헤드(5)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여 도통 부재(120)를 향해서 배출하는 제4 청소부(112)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블로우 헤드(5)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130)가 제4 청소부(112)에 의해서 도통 부재(120)로 배출되면, 해당 모래(130)가 모래 저장실(5)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모래(130)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통 부재(120)는, 블로우 헤드(2)의 상면으로부터 모래 저장실(5)을 향함에 따라 하부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블로우 헤드(2)의 상면으로부터 모래 저장실(5)로 모래를 되돌림에 있어서, 모래(130)가 중력에 의해 도통 부재(120)를 미끄러져 떨어지므로, 컨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코어 조형 장치(1A)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통 부재(120)에는, 소정의 입경 이하의 모래가 통과 가능한 필터 부재(122)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블로우 헤드(2)로부터 모래 저장실(5)로 되돌려지는 모래(130) 중에 모래 덩어리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필터 부재(122)에 의해서 해당 모래 덩어리를 제거할 수 있다.
1 - 코어 조형 장치 2 - 블로우 헤드
4 - 모래 취입실 5 - 모래 저장실
7 - 압축 에어 공급부 9 -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
30 - 코어형 31 - 모래 충전 디바이스
32 - 고정형 33 - 가동형
55 - 샌드 탱크

Claims (24)

  1. 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 한 쌍의 형(型)을 가지는 코어형과,
    상기 코어형의 하부에 마련되는 블로우 헤드를 가지며, 코어 모래를 상기 블로우 헤드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상기 코어형에 충전하는 모래 충전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블로우 헤드는, 상기 코어형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형에 코어 모래를 안내하는 모래 취입실과, 해당 모래 취입실에 연통되는 모래 저장실을 가지고,
    상기 모래 충전 디바이스는, 상기 코어형에 코어 모래를 불어 넣기 위한 압축 에어를 상기 모래 저장실 내로 공급하는 압축 에어 공급부와, 상기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浮遊) 유동화시키는 에어레이션(aeration)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를 가지는 코어 조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형 중 일방인 고정형을 유지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형 중 타방인 가동형을 구동하여, 상기 고정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離間)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블로우 헤드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코어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이간된 상기 가동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코어 조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가동형을 유지하는 가동형 유지 부재에 마련된 회동용 축부재와,
    상기 회동용 축부재에 마련되며, 해당 회동용 축부재와 함께 회동 가능한 맞닿음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맞닿음 부재에 맞닿았을 때에 상기 회동용 축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가동형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부재를 가지며,
    상기 자세 변경 부재는, 상기 회동용 축부재의 높이 위치와는 다른 위치이고, 또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가동형의 이동에 따른 상기 맞닿음 부재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맞닿음 부재가 상기 자세 변경 부재에 맞닿은 상태에 있는 상기 가동형이,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고정형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맞닿음 부재가, 상기 자세 변경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방향을 변경하면서, 상기 회동용 축부재 및 상기 가동형 유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가동형을 회전시키는 코어 조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에 유지된 코어를,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서 코어가 상측이 되도록 회전된 후의 상기 가동형으로부터 이형(離型)시키는 제1 이형부를 더 구비하는 코어 조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부는,
    상기 가동형에 마련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측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맞닿았을 때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바꾸기 위한 슬라이딩면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면은,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동형이 회전한 후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가동형의 이동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된 후의 상태에 있는 상기 가동형이,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고정형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면을 따라서 슬라이드하여, 상기 가동형에 유지된 코어를 상기 가동형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코어 조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헤드에 근접했을 때에, 상기 블로우 헤드가 가지는 블로우 헤드 노즐에 맞닿는 제1 청소부와,
    상기 고정형에 근접했을 때에, 상기 고정형이 가지는 고정형 노즐에 맞닿는 제2 청소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청소부 및 상기 제2 청소부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고정형에 대해서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제1 청소부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블로우 헤드에 근접하면, 상기 블로우 헤드 노즐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하여, 상기 블로우 헤드 노즐의 청소를 행하고,
    상기 제2 청소부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고정형에 근접하면, 상기 고정형 노즐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하여, 상기 고정형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코어 조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형과 근접했을 때에 상기 가동형이 가지는 가동형 노즐에 맞닿는 제3 청소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청소부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된 상기 가동형이 근접하면, 상기 가동형 노즐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드하여, 상기 가동형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코어 조형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래 저장실의 공급구를 매개로 하여 해당 모래 저장실로 코어 모래를 공급하는 샌드 탱크(sand tank)와,
    상기 샌드 탱크와 상기 공급구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게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개폐 게이트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동형이 상기 고정형과 함께 코어 형성용 캐비티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공급구를 폐쇄 상태로 하는 코어 조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샌드 탱크와 상기 모래 저장실의 상기 공급구와의 사이에 마련된 가요성 호스를 더 구비하는 코어 조형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및 상기 고정형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 형성용 캐비티 내에 코어가 조형(造型)되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가동형이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이간될 때에, 상기 코어가 상기 가동형에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상기 코어를 이형시키는 제2 이형부를 더 구비하는 코어 조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이형부는,
    상기 고정형에 마련되며, 상기 코어를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해서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상기 가동형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 위치와, 상기 돌출 위치 보다도 상기 가동형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을 향하여 끌어 들여진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압출 부재와,
    상기 압출 부재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캐비티 밖에 위치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가동형을 향해서 상기 압출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가동형이 상기 고정형과 형합(型合, 형맞춤)시켜져 상기 캐비티를 형성할 때에, 상기 가동형에 의해서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림으로써, 상기 압출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코어 조형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5,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형으로부터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를 회수하는 모래 회수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코어 조형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래 회수 디바이스는,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모래 저장실로 모래를 안내하는 도통(導通) 부재와,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에 낙하한 모래를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도통 부재를 향해서 배출하는 제4 청소부를 가지는 코어 조형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모래 저장실을 향함에 따라 하부로 경사져 있는 코어 조형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통 부재에는, 소정의 입경(粒俓) 이하의 모래가 통과 가능한 필터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코어 조형 장치.
  16. 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 한 쌍의 형을 맞춤으로써, 내부에 캐비티를 가지는 코어형을 얻는 캐비티 형성 공정과,
    상기 코어형에 블로우 헤드를 접속하여, 상기 캐비티와 상기 블로우 헤드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정과,
    상기 블로우 헤드가 가지는 모래 취입실 내에, 에어레이션 에어 공급부에 의해 에어레이션 에어를 불어 넣고, 상기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부유 유동화시키는 유동화 공정과,
    상기 블로우 헤드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모래 취입실과 연통하는 모래 저장실 내에, 압축 에어 공급부에 의해 압축 에어를 불어 넣고, 부유 유동화한 상기 모래 취입실 내의 코어 모래를 상기 블로우 헤드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불어 내는 것에 의해, 상기 블로우 헤드에 연통하는 상기 캐비티 내에 코어 모래를 충전하는 충전 공정을 포함하는 코어 조형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충전 공정 후에, 상기 한 쌍의 형 중 일방인 가동형을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한 쌍의 형 중 타방인 고정형으로부터 상기 가동형을 이간시키는 이간 공정과,
    상기 이간 공정 후에, 상기 가동형을 회전시키는 형회전 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형회전 공정은,
    가동형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가동형을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동용 축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가동형 유지 부재에 장착된 맞닿음 부재를, 상기 맞닿음 부재의 진로 상에 위치하는 자세 변경 부재와 맞닿게 하는 것과,
    상기 맞닿음 부재가 상기 자세 변경 부재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형을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서, 상기 자세 변경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상기 맞닿음 부재의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회동용 축부재 및 상기 가동형 유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가동형을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코어 조형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형회전 공정 후에, 상기 가동형에 유지된 코어를, 코어가 상측이 되도록 회전된 후의 상기 가동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이형 공정을 더 포함하는 코어 조형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청소부를 상기 가동형과 함께 구동하여, 상기 블로우 헤드가 가지는 블로우 헤드 노즐에 상기 제1 청소부를 맞닿게 하면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블로우 헤드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제1 청소 공정과,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청소부를 상기 가동형과 함께 구동하여, 상기 고정형이 가지는 고정형 노즐에 상기 제2 청소부를 맞닿게 하면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형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제2 청소 공정을 더 포함하는 코어 조형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가동형을 구동하여, 상기 가동형이 가지는 가동형 노즐에 제3 청소부를 맞닿게 하면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형 노즐의 청소를 행하는 제3 청소 공정을 더 포함하는 코어 조형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모래 저장실의 공급구와, 상기 모래 저장실에 코어 모래를 공급하기 위한 샌드 탱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 게이트를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공급구를 개폐하는 개폐 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공정에서는, 상기 가동형이 상기 고정형과 함께 코어 형성용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 상기 공급구를 폐쇄 상태로 하는 코어 조형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충전 공정과 상기 형회전 공정과의 사이로서, 상기 가동형 및 상기 고정형측에 의해 형성된 코어 형성용 상기 캐비티 내에 코어가 조형되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가동형이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이간될 때에, 상기 코어가 상기 가동형에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형으로부터 상기 코어를 이형시키는 형개방 공정을 더 포함하는 코어 조형 방법.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충전 공정 후로서, 상기 코어형에 충전된 코어 모래의 전부가 응고하기 전에, 상기 코어형과 상기 블로우 헤드를 서로 이간시켜, 응고하고 있지 않은 코어 모래를 상기 코어형으로부터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 배출함으로써, 코어에 중공 부분이 형성된 중공 코어를 조형하는 중공부 형성 공정과,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 배출된 모래를 상기 블로우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여 모래 회수 디바이스에 의해 회수하는 모래 회수 공정을 더 포함하는 코어 조형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모래 회수 공정에서는 회수한 모래를 상기 모래 저장실로 공급하는 코어 조형 방법.
KR1020147025583A 2012-05-23 2013-02-07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 KR101973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7196 2012-05-23
JP2012117196 2012-05-23
PCT/JP2013/052930 WO2013175813A1 (ja) 2012-05-23 2013-02-07 中子造型装置及び中子造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204A true KR20150016204A (ko) 2015-02-11
KR101973833B1 KR101973833B1 (ko) 2019-04-29

Family

ID=4962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583A KR101973833B1 (ko) 2012-05-23 2013-02-07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533345B2 (ko)
EP (1) EP2805782B1 (ko)
JP (1) JP6028796B2 (ko)
KR (1) KR101973833B1 (ko)
CN (1) CN104169022B (ko)
BR (1) BR112014023235B1 (ko)
DK (1) DK2805782T3 (ko)
ES (1) ES2671635T3 (ko)
IN (1) IN2014DN06194A (ko)
PL (1) PL2805782T3 (ko)
TW (1) TWI587945B (ko)
WO (1) WO2013175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147245U (zh) * 2014-12-02 2016-04-13 浙江春洲铝业有限公司 一种自动化摩卡咖啡壶泥芯机
JP6685332B2 (ja) * 2015-06-12 2020-04-22 ディサ・インダストリーズ・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DISA Industries A/S 砂型造型機および鋳型製造方法
US11103918B2 (en) 2018-03-19 2021-08-31 Honda Motor Co., Ltd. Core blowing apparatus for robotic system
JP2020110811A (ja) * 2019-01-09 2020-07-27 新東工業株式会社 中子造型方法及び中子造型装置
CN109807291B (zh) * 2019-03-26 2024-04-16 苏州明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制芯机、制芯机的装模方法及制芯方法
JP6976500B1 (ja) * 2020-04-27 2021-12-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砂型造型装置
CN112873490B (zh) * 2021-03-03 2022-08-02 唐河卓越变速箱有限公司 一种制芯机用喷砂口防固化堵塞设备
CN114247855B (zh) * 2022-02-28 2022-05-13 新乡市美斯威精密机器有限公司 一种制冷压缩机缸盖铸造成型用浮游式砂芯砂充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3179A (ko) 1971-12-16 1972-07-04
JPS5684155A (en) * 1979-12-12 1981-07-09 Toyota Motor Corp Molding machine for casting mold
JPS61202747A (ja) * 1985-03-06 1986-09-08 Naniwa Seisakusho:Kk 垂直割鋳型造型機における鋳型取出装置
JPH05305386A (ja) * 1992-05-01 1993-11-19 Osaka Shell Kogyosho:Kk 中空中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1368Y1 (ko) * 1969-06-30 1972-12-14
JPS5941821A (ja) 1982-09-02 1984-03-08 Nippon Hoso Kyokai <Nhk> 光磁気記録用非晶質磁性多層膜の製造方法
JPS60113146U (ja) 1984-01-09 1985-07-31 マツダ株式会社 中子造形機
JPS63202747A (ja) 1987-02-19 1988-08-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
JPH0741368Y2 (ja) * 1989-05-25 1995-09-27 日本化学産業株式会社 パラソルスタンド
JP3556060B2 (ja) 1996-12-06 2004-08-18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二層シェル鋳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2387B2 (ja) 1997-01-31 2002-09-09 新東工業株式会社 ブロースクイズ式鋳型造型機におけるブロー用圧縮空気の供給方法
JP2001198653A (ja) 2000-01-17 2001-07-24 Sintokogio Ltd 同時吹込み式鋳型造型機における鋳物砂吹込み方法
KR100824122B1 (ko) * 2000-02-17 2008-04-21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주물사 충전 압축 장치 및 취입 충전 방법
CN2506375Y (zh) 2001-09-24 2002-08-21 段晓鸣 射砂压力恒定的树脂砂射芯机
CN2680384Y (zh) * 2003-12-30 2005-02-23 刘双英 全自动垂直分型热芯盒制芯机
EP1726382B1 (en) * 2004-03-18 2011-05-11 Sintokogio, Ltd. Method of forming molding-flask-less, upper and lower molds and device therefor
JP4379795B2 (ja) * 2004-04-21 2009-12-09 新東工業株式会社 鋳物砂の充填方法
CN2701552Y (zh) 2004-06-07 2005-05-25 苏州工业园区明志铸造装备有限公司 一种射芯机的射砂机构
JP5076670B2 (ja) 2006-08-04 2012-11-21 新東工業株式会社 無枠鋳型造型機
WO2008120559A1 (ja) * 2007-03-29 2008-10-09 Sintokogio, Ltd. 鋳物製品の鋳造設備
JP2008264867A (ja) 2007-03-29 2008-11-06 Sintokogio Ltd 鋳物製品の鋳造設備
JP4900880B2 (ja) 2008-02-07 2012-03-21 新東工業株式会社 鋳型造型設備
CN201249253Y (zh) 2008-08-04 2009-06-03 林舜尧 一种改进的砂芯注射机
CN101352752B (zh) * 2008-09-11 2010-06-02 冯新林 冷芯盒射芯机
JP5062540B2 (ja) 2010-01-13 2012-10-31 新東工業株式会社 鋳型造型機におけるサンドタンクの給排気装置及び給排気方法
JP4687822B1 (ja) 2010-01-29 2011-05-25 新東工業株式会社 抜枠鋳型造型装置
ES2592221T3 (es) * 2011-06-03 2016-11-28 Sintokogio, Ltd. Dispositivo de llenado de arena para machos y procedimiento de llenado de arena para machos en máquina de fabricación de machos
CN103492103A (zh) 2011-06-03 2014-01-01 新东工业株式会社 在制芯机中的芯沙填充设备和芯沙填充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3179A (ko) 1971-12-16 1972-07-04
JPS5684155A (en) * 1979-12-12 1981-07-09 Toyota Motor Corp Molding machine for casting mold
JPS61202747A (ja) * 1985-03-06 1986-09-08 Naniwa Seisakusho:Kk 垂直割鋳型造型機における鋳型取出装置
JPH05305386A (ja) * 1992-05-01 1993-11-19 Osaka Shell Kogyosho:Kk 中空中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4283A1 (en) 2015-05-28
EP2805782A4 (en) 2015-10-14
CN104169022B (zh) 2016-04-13
CN104169022A (zh) 2014-11-26
JPWO2013175813A1 (ja) 2016-01-12
BR112014023235B1 (pt) 2020-05-12
KR101973833B1 (ko) 2019-04-29
EP2805782B1 (en) 2018-04-04
ES2671635T3 (es) 2018-06-07
DK2805782T3 (en) 2018-06-14
JP6028796B2 (ja) 2016-11-16
IN2014DN06194A (ko) 2015-10-23
PL2805782T3 (pl) 2018-08-31
EP2805782A1 (en) 2014-11-26
TW201347874A (zh) 2013-12-01
WO2013175813A1 (ja) 2013-11-28
TWI587945B (zh) 2017-06-21
US9533345B2 (en)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833B1 (ko) 코어 조형 장치 및 코어 조형 방법
US20120097357A1 (en) Casting unit and casting method
EP2845666B1 (en) Device for producing mold
JPWO2005068107A1 (ja) 造型機のための鋳枠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造型方法
CN208148419U (zh) 一种用于注塑机瓶胚取出的机械手
CN215703839U (zh) 用于加工扫地机壳体的模具
CN108481691A (zh) 一种用于注塑机瓶胚取出的机械手
JP2019125619A5 (ko)
JP5027879B2 (ja) マッチプレート造型機
WO2015151166A1 (ja) 射出成形機
CN103945957B (zh) 脱箱铸型造型装置、脱箱铸型造型方法以及托砂装置
CN208322043U (zh) 一种管状零件的压铸模具
JP2004082622A (ja) 複合成形品の成形装置
EP3488945B1 (en) Mold forming method
CN213645779U (zh) 一种汽车车桥减速器壳体铸造用消失模
CN218503275U (zh) 一种消失模生产用快速插拔接头
CN201971458U (zh) 干法造粒机的负压热风上料系统
JP4247700B2 (ja) 無枠式水平割鋳型造型機におけるサンドタンクの砂供給口装置
ITMO20070165A1 (it) Apparato
CN116619631A (zh) 一种新能源汽车零部件生产用凝胶超声震荡成形模具
JPS6039141Y2 (ja) 中子造型機
JP5540795B2 (ja) シェル鋳型の造型方法およびシェル鋳型の造型装置
JP3171376B2 (ja) 砂鋳型の解型方法及びその装置
CN109571849A (zh) 可变容积送料的喷粉与注蜡装置
JPH08206781A (ja) 鋳型造型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