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474A -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474A
KR20150015474A KR1020147032842A KR20147032842A KR20150015474A KR 20150015474 A KR20150015474 A KR 20150015474A KR 1020147032842 A KR1020147032842 A KR 1020147032842A KR 20147032842 A KR20147032842 A KR 20147032842A KR 20150015474 A KR20150015474 A KR 2015001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coxanthin
water
seaweed
excipi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506B1 (ko
Inventor
켄 우에키타
타다시 모로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15001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hree-membered rings, e.g. oxirane, fumagil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32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1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 C07D303/3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by aldehydo- or keton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Endocri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조류에 물을 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고,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 중에 수용성 용매 농도가 20 내지 45중량%가 되도록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고, 아울러 부형제도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는 제1 공정과, 상기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한 후, 해당 부형제 함유 추출액 중에 응집된 물질을 분리에 의해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로서 회수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COMPOSITION CONTAINING FUCOXANTHIN}
본 발명은 푸코크산틴(fucoxanthin)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르테노이드는, 식물, 동물, 해조류, 미생물 등이 갖는 천연에 존재하는 황색 내지 적색의 색소이며, 그의 대표적인 작용으로서 항산화 작용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분자 구조 중에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아스타크산틴, 푸코크산틴, 루테인, 칸타크산틴, 제아크산틴 등의 크산토필류는 높은 항산화 작용을 갖고 있다. 특히 푸코크산틴에 관해서는, 항비만 작용, 항암 작용, 항당뇨병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의 기능성을 갖는 것이 보고되고 있어, 기능성 소재로서 높은 이용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르테노이드를 산생하는 세포라도 세포 중에 포함되는 카르테노이드 함량은 낮은데, 예를 들어 해조 중에 포함되는 푸코크산틴은 0.01% 정도로 매우 미량이다. 유효한 기능성을 발휘하는 양의 푸코크산틴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해조를 먹을 필요가 있어, 현실적이지 않다. 이로 인해, 푸코크산틴을 실용적인 기능성 소재로 하기 위해서는, 해조로부터 대량의 용제로 추출·정제한 후, 농축에 의해 수% 정도의 농도로까지 고순도화할 필요성이 있다.
푸코크산틴을 고순도화하는 방법으로서는, 하기에 기재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5634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해조류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함으로써 협잡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방법에서는 활성탄에 흡착하는 클로로필 등의 일부 협잡물밖에 제거할 수 없어 푸코크산틴의 정제도가 낮다. 또한, 푸코크산틴 자체도 활성탄에 흡착 제거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어, 본 조작만으로는 실용적인 기능성 소재로는 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0494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갈조류로부터의 추출액을 합성 흡착 수지와 접촉시킨 후에, 수지에 흡착한 푸코크산틴을 용리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방법에서는, 수% 정도까지의 푸코크산틴의 고순도화는 달성할 수 있지만, 취득할 수 있는 푸코크산틴에 대하여 고가의 합성 흡착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져,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또한, 합성 흡착 수지의 표면에 흡착시킨 푸코크산틴을 용리하기 위하여 다량의 용제를 필요로 하는 데다가, 그 사용한 용제를 농축 증류 제거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데, 푸코크산틴은 열에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다량의 용제를 농축 증류 제거하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합성 흡착 수지를 사용하여 푸코크산틴을 고순도화하는 방법은 생산 효율이 나빠, 공업적으로도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코크산틴을 고순도화하는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는 되어 있지만, 다량의 용매를 농축하는 조작을 사용하지 않고, 푸코크산틴을 고순도화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아직 개시되지 않았고, 푸코크산틴을 생산하는 데 있어서의 비용이나 조작성에 관한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56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049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푸코크산틴을 고순도화할 때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처리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카르테노이드를 고농도로 취득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순도화할 때에 합성 흡착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푸코크산틴을 고농도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비용면과 조작성이 우수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놀랍게도 해조류의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은 후에 수용성 용매가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고, 아울러 부형제도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고, 계속하여 해당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푸코크산틴을 고순도화할 수 있으며, 또한 해조류의 유용한 지질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한 응집물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비소 함량이 원료의 해조에 포함되는 비소 함량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이 제공하는 것은 이하와 같다.
(1)
해조류에, 물을 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고,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 중에 수용성 용매 농도가 20 내지 45중량%가 되도록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고, 아울러 부형제도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는 제1 공정과, 상기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한 후, 해당 부형제 함유 추출액 중에 응집된 물질을 분리에 의해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로서 회수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상기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를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대하여 용해도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상기 부형제가 물 100g에 대하여 0 내지 10g의 용해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상기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를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이 푸코크산틴 이외의 지질을 푸코크산틴에 대하여 0.05 내지 100배 중량 함유하고,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비소 질량이 원료가 되는 해조류에 포함되는 비소 질량의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 중의 지질 중,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함량이 1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으로 취득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에 용매를 첨가하여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을 용출시키고, 상기 용출액 중의 용매를 농축 증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농축물의 제조 방법.
(8)
(7)에 기재된 방법으로 취득한 푸코크산틴 함유 농축물에 적어도 오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오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관한 방법에 의하면, 고가의 합성 흡착 수지나 번잡한 정제 조작이 불필요한 점에서,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으로 푸코크산틴을 고농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에서는 푸코크산틴에 더하여 해조 중의 지방산 등의 지질 성분도 동시에 응집물로서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응집물의 비소 질량이 원료가 되는 해조류에 포함되는 비소 질량의 5% 이하인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을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조류에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은 후에, 수용성 용매가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고, 아울러 부형제도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고, 계속하여 해당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함으로써,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 성분을 응집시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을 취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조류는, 푸코크산틴을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푸코크산틴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는 갈조망에 속하는 해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자원량 및 시장 유통성의 관점에서, 모자반이나 괭생이모자반 등의 모자반류, 녹미채류, 미역류, 다시마류, 큰실말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해조류는 천연 또는 양식 중 어느 것일 수도 있고, 1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해조류는 바다로부터 채취한 상태의 해조류, 냉동된 해조류, 염장된 해조류, 건조된 해조류, 수세 처리, 열수 처리, 산성수 세정, 알카리수 세정, 세단 처리 등의 가공 처리된 상태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세단 처리란, 추출 효율의 향상, 취급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50㎜ 정도 이하의 크기로 세단된 상태로 하는 가공 처리를 의미한다.
상기한 해조류로부터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 성분을 추출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이때에 사용되는 용매는 수용성 용매이며, 푸코크산틴을 용해할 수 있는 수용성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계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에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할 수도 있다. 2종 이상을 혼합하는 경우, 그의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 상기 수용성 용매 중에서도, 얻어진 것을 기능성 소재로서 식품, 의약품 용도나 화장품 등에 안전하게 적용하는 관점에서, 에탄올을 선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조류에 첨가하기 위한 수용성 용매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은 0 내지 80중량%가 바람직하고, 0 내지 6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 내지 4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해조류로부터 해조 성분을 추출시킬 때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100℃, 통상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추출 시간은 보통 0.1시간 내지 7일간, 바람직하게는 0.5시간 내지 2일간으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용매의 사용량은 해조에 대하여 0.1배 중량 이상 50배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배량 이상 20배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1배량 미만에서는 해조가 충분히 용매에 잠기지 않기 때문에, 해조 성분의 회수율이 낮아진다. 또한, 50배량 이상에서는 용매 비용의 증대 및 생산성의 저하 관점에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그 후, 원심 분리나 가압 여과, 필터 프레스기, 데칸테이션(decantation) 등에 의한 통상법으로, 해조 성분 추출액은 고형분으로부터 분리하여 취득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해조 성분 추출액에 용해되어 있는 해조 성분으로서는, 사용하는 해조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푸코크산틴, 인지질, 당지질, 중성 지방, 에이코사펜타엔산, 헥사데카테트라엔산, 옥타데카테트라엔산 등의 지방산류 외에, 알긴산, 푸코이단 등의 다당류, 아르세노 슈가, 비소산 등의 비소 화합물,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 중에 수용성 용매 농도가 20 내지 45중량%가 되도록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고, 아울러 부형제도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는 제1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는 수용성 용매로서는,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을 때에 해조류에 첨가할 수 있는 수용성 용매와 동일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는다. 여기서, 해당 부형제 함유 추출액에 대한 수용성 용매는,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을 때에 첨가한 수용성 용매와 제1 공정에 있어서 첨가한 수용성 용매를 합계하여 20 내지 45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의 20 내지 45중량%라는 조성은, 아울러 첨가하는 부형제를 용액 전체의 중량에 가산하지 않고 계산한 경우의 비율이다. 상기 조성은,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 성분의 응집에 적합한 조성이며, 푸코크산틴을 후술하는 핵물질이 되는 부형제에 효율적으로 응집시키고, 그 후의 분리에 의해 응집물로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수용성 용매가 20중량% 미만이면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 성분은 석출되기는 하지만 응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그 후의 분리에 의해 부형제와 함께 응집물로서 취득할 수 없어 여과액으로 배출된다. 한편, 수용성 용매가 45중량%를 초과해 버리면,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 성분이 여전히 용해되어 있어, 석출 자체가 되지 않기 때문에 분리에 의해 응집물로서 취득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1 공정에 있어서, 전술한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와 함께,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추가하는 부형제로서는, 합성 흡착 수지 등의 화학 결합에 의해 푸코크산틴을 흡착하는 화합물은 적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후술하는 부형제 함유 추출액 조성으로 석출되는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 성분의 응집을 촉진하는 핵물질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용해도가 물 100g에 대하여 0 내지 10g인 부형제가 바람직하고, 물 100g에 대하여 0 내지 7g이 보다 바람직하고, 물 100g에 대하여 0 내지 5g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g보다 큰 부형제는, 핵물질로서 기능하는 필요량이 많아져 경제적으로 불리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형제는, 응집의 핵물질로서 기능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용해도 이상으로 되는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해도란, 일반적으로 어떤 물질이 용매에 용해되는 한도이다. 따라서, 용해도 이상이란, 용매 중에 용질이 용해되지 않고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부형제 중에서도, 푸코크산틴을 식품 첨가 용도로 사용하는 관점이면 소맥분, 콩가루, 결정 셀룰로오스,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식용가능한 분말을 사용할 수 있고, 푸코크산틴이 부착된 분말로서 먹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응집 후의 액체의 여과성이 나빠 고액 분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부형제로서 일반적인 여과 보조제인 규조토, 백토, 이산화규소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 공정에서의 부형제의 첨가량으로서는,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이다. 부형제의 첨가량이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대하여 0.001중량%보다도 작으면, 부형제 첨가에 의한 충분한 응집 촉진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응집물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나, 충분한 여과 보조제로서의 역할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여과성이 현저하게 악화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부형제의 첨가량이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대하여 100중량%보다도 크면, 유동성이 나빠져 교반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나, 응집물 중의 푸코크산틴 농도가 낮아 실용적이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서,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한 후, 해당 부형제 함유 추출액 중에 응집된 물질을 분리에 의해 회수하는 제2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액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교반 날개에 의한 방법, 라인 믹서에 의한 방법 등의 통상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교반 조작에 의해 응집이 촉진되고, 또한 핵물질인 부형제로의 균일한 응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교반 조건으로서는, 푸코크산틴의 분해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응집 시간은 보통 0.1시간 내지 2일간, 바람직하게는 0.5시간 내지 6시간으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후에, 상기 핵물질에 응집되는 물질은 해조에 포함되는 지질 성분이며, 푸코크산틴은 물론, 예를 들어 인지질, 당지질, 중성 지방, 에이코사펜타엔산, 헥사데카테트라엔산, 옥타데카테트라엔산 등의 지방산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형제 함유 추출액으로부터 응집된 물질을 분리함으로써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을 회수할 수 있다. 분리하는 방법으로서는, 응집물이 계 내의 액과 분리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원심 분리나 가압 여과, 감압 여과, 막 여과, 필터 프레스기, 데칸테이션 등에 의한 통상법으로 응집물을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은, 해조에 함유된 에이코사펜타엔산, 헥사데카테트라엔산 등의 기능성을 갖는 지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푸코크산틴 이외의 지질을 푸코크산틴에 대하여 0.05 내지 100배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코크산틴 이외의 지질이 0.05배 중량보다 작은 경우는, 지질 성분의 대부분이 여과액에 포함되어,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의 절대량으로서의 회수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고, 푸코크산틴 이외의 지질이 100배 중량보다 큰 경우는, 상대적으로 조성물 중의 푸코크산틴 함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푸코크산틴이 고순도화되어 있지 않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은, 통상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지질 중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함량이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비소 질량은 원료가 되는 해조류에 포함되는 비소 질량의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비소 질량이 원료가 되는 해조류에 포함되는 비소 질량의 5%보다 크면, 식품 용도로 전개한 경우에 인체에 나쁜 영향을 끼쳐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리하여 취득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은, 그대로 채취할 수도 있고, 한번, 소량의 용매에 의해 푸코크산틴을 함유하는 지질 성분을 용출시킨 후, 상기 용출액을 재차 농축 증류 제거함으로써 푸코크산틴 함유 농축물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농축물에 적어도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푸코크산틴 함유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푸코크산틴 함유 농축물이란, 분리하여 취득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보다 푸코크산틴 함량이 높고,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푸코크산틴이 순화된 조성물을 가리키고,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푸코크산틴 함량이 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5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로부터, 푸코크산틴을 함유하는 지질 성분을 용출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량의 용매로서는, 푸코크산틴을 용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을 때에 해조류에 첨가할 수 있는 수용성 용매와 동일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농축 증류 제거할 때의 조작 방법으로서는, 용매를 증류 제거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감압 증류, 상압 증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농축 증류 제거의 조건으로서는, 푸코크산틴의 분해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80℃ 이하에서의 실시가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푸코크산틴 함유 오일을 제조할 때에는, 적어도 오일을 첨가할 필요가 있고, 이때에 사용하는 오일로서는 식품으로서 먹을 수 있는 오일이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야자유, 팜유, 팜핵유, 아마인유, 동백유, 현미배아유, 채종유, 미유, 올리브유, 낙화생유, 콘유, 소맥 배아유, 대두유, 들깨유, 면실유, 해바라기 종자유, 케이폭유, 달맞이꽃유, 참깨유, 홍화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어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오일과 푸코크산틴의 혼합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화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고, 이러한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산 에스테르, 레시틴, 효소 처리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푸코크산틴 함유 오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고, 이러한 항산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비타민 E, 비타민 C, 비타민 C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푸코크산틴 함유 오일은, 적어도 오일을 함유하고 있으면 되고, 다른 첨가물을 적시에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조류에, 물을 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고,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 중에 수용성 용매 농도가 20 내지 45중량%가 되도록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고, 아울러 부형제도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는 제1 공정과, 상기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한 후, 상기 부형제 함유 추출액 중에 응집된 물질을 분리에 의해 회수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합성 흡착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다량의 추출 용제를 농축하지 않고,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으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을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은 그 상태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푸코크산틴 함유 오일로 함으로써, 식품이나 의약품 용도, 화장품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고,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식품으로서 제공되는 형태로서는, 음료(청량 음료수, 드링크 등), 하드 및 소프트 캡슐, 정제, 캔디, 추잉껌, 보리수, 쿠키, 초콜릿, 웨하스, 젤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약품 용도로서 이용할 때에는, 개개의 환자나 병태 등에 따라, 당해푸코크산틴 함유물을 그대로, 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그밖의 적절한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에어로졸제, 액제, 엑스제, 엘릭시르제, 캡슐제, 과립제, 환제, 안연고제, 경피 흡수형 제제, 현탁제, 유제, 좌제, 산제, 주정제, 정제, 시럽제, 주사제, 부착제, 틴크제, 점안제, 트로키제, 연고제, 밥제, 방향수제, 리니먼트제, 리모나데제, 유동 엑스제, 로션제 등의 각종 제형으로의 제공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 등으로서 제공되는 형태로서는, 화장수, 로션, 팩, 바디 젤, 핸드크림, 립크림, 세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당해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과, 식품, 의약품이나 화장품에서 허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합물로서는, 정유, 지방, 라놀린, 바셀린, 파라핀, 납, 글리콜류, 알코올류, 물, 유화제, 현탁화제, 시트르산, 염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비타민류, 젤라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고,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푸코크산틴은 HPLC법 등에 의해 정량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비소는 원자 흡광 광도법 등에 의해 정량 측정할 수 있고, 지질량 및 지질 중의 지방산 조성에 대해서는, GC-MS법 등에 의해 정량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콩가루를 사용한 응집예
냉동 후에 10㎜ 이하로 세단 처리한 괭생이모자반 300g에 60% 에탄올 수용액 1500g을 첨가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 수용액 300g으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1970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33%가 되도록 물 1400g을 첨가하고, 아울러 콩가루 500㎎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계 내에 응집물을 발생시켰다. 이것을 여과하여 응집물을 1289㎎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2.56%이었다. 또한, 이 응집물 중의 비소 질량을 통상법에 따라 원자 흡광 광도법으로 측정한 결과, 2.3%이었다.
(비교예 1) 부형제 없는 비교 대조
냉동 후에 10㎜ 이하로 세단 처리한 괭생이모자반 300g에 60% 에탄올 수용액 1500g을 첨가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 수용액 300g으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1970g을 얻었다. 그 후,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물 1400g을 첨가하여 에탄올 농도를 33%로 조절하여, 25℃에서 1시간 교반했다. 이것을 여과했지만, 응집물을 얻을 수는 없었다.
(실시예 2) 재응집에 의한 고농도화예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취득한 응집물을 60% 에탄올 수용액 300g에 첨가한 후, 물 214g을 첨가하여 전체에 대한 에탄올 농도를 35%로 조절하고, 25℃에서 2시간 교반함으로써 계 내에 응집물을 발생시켰다. 이것을 여과하여 응집물을 830㎎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4.00%이었다. 또한, 이 응집물 중의 비소 질량을 통상법에 따라 원자흡광 광도법으로 측정한 결과, 0.4%이었다.
(실시예 3) 추출에 에탄올 용매를 사용한 예
괭생이모자반 200g에 에탄올 300g을 첨가하고, 25℃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380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40%가 되도록 물 266g을 첨가하고, 아울러 규조토 2.0g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계 내에 응집물을 발생시켰다. 이것을 여과하여 응집물을 2.23g 취득했다. 이 응집물에 에탄올 4.0g을 가하여 지질 성분을 용출시키고, 용출액의 용매를 농축 증류 제거한 바, 농축물 212㎎을 얻었다. 이 농축물 중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6.52%이었다. 또한 그 농축물에, 식용유, 레시틴, 비타민 E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푸코크산틴을 1.0% 함유하는 오일 1.26g을 취득했다.
(실시예 4) 추출에 8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예
괭생이모자반 200g에 80% 에탄올 수용액 300g을 첨가하고, 25℃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370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35%가 되도록 물 201g을 첨가하고, 아울러 규조토 10.0g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계 내에 응집물을 발생시켰다. 이것을 여과하여 응집물을 10.18g 취득했다. 이 응집물에 에탄올 10.0g을 가하여 지질 성분을 용출시키고, 용출액의 용매를 농축 증류 제거한 바, 농축물 122㎎을 얻었다. 이 농축물 중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9.83%이었다. 또한 그 농축물에, 식용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비타민 E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푸코크산틴을 1.0% 함유하는 오일 1.17g을 취득했다.
(실시예 5) 에탄올 농도 45% 조정예
괭생이모자반 30g에 60% 에탄올 수용액 150g을 첨가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 수용액 30g으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200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45%가 되도록 물 31g을 첨가하고, 아울러 규조토 75㎎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계 내에 응집물을 발생시켰다. 이것을 여과하여 응집물을 100.1㎎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0.50%이었다.
(실시예 6) 에탄올 농도 30% 조정예
해조 성분 추출액에 첨가하는 물의 양이 145g이고, 에탄올 농도를 30%로 조절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응집물을 96.1㎎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2.24%이었다.
(실시예 7) 에탄올 농도 20% 조정예
해조 성분 추출액에 첨가하는 물의 양이 317g이고, 에탄올 농도를 20%로 조절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응집물을 87.8㎎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0.19%이었다.
(비교예 2) 에탄올 농도 55% 조정예
괭생이모자반 30g에 60% 에탄올 수용액 150g을 첨가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 수용액 30g으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200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55%가 되도록 에탄올 13g을 첨가하고, 아울러 규조토 75㎎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1시간 교반했다. 이것을 여과하여 여과물을 75.1㎎ 취득했다. 이 여과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0.01% 이하이었다.
(비교예 3) 에탄올 농도 10% 조정예
해조 성분 추출액에 첨가하는 물의 양이 840g이고, 에탄올 농도를 10%로 조절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응집물을 76.0㎎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0.01% 이하이었다.
(실시예 8) 소맥분을 사용한 예
냉동 후에 10㎜ 이하로 분쇄한 괭생이모자반 30g에 60% 에탄올 수용액 150g을 첨가하고, 15℃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196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35%가 되도록 물 135g을 첨가하고, 아울러 소맥분 3.0g도 첨가했다. 그 후, 15℃에서 3시간 교반했다. 이것을 여과함으로써 응집물을 취득하고, 추가로 감압 건조에 의해 건조한 후에 분쇄함으로써, 건조 분말을 2.48g 취득했다. 이 건조 분말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0.10%이었다.
(실시예 9) 결정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예
냉동 후에 10㎜ 이하로 분쇄한 괭생이모자반 30g에 60% 에탄올 수용액 150g을 첨가하고, 15℃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196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35%가 되도록 물 135g을 첨가하고, 아울러 결정 셀룰로오스 200㎎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15시간 교반했다. 이것을 여과함으로써 응집물을 취득하고, 추가로 감압 건조에 의해 건조한 후에 분쇄함으로써, 건조 분말을 380㎎ 취득했다. 이 건조 분말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0.53%이었다.
(실시예 10) 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한 예
냉동 후에 10㎜ 이하로 분쇄한 괭생이모자반 30g에 60% 에탄올 수용액 150g을 첨가하고, 15℃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196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35%가 되도록 물 135g을 첨가하고, 아울러 시클로덱스트린 5.0g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1시간 교반했다. 이것을 여과함으로써 응집물을 취득하고, 추가로 감압 건조에 의해 건조한 후에 분쇄함으로써, 건조 분말을 1.50g 취득했다. 이 건조 분말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0.15%이었다.
(실시예 11) 미역에서의 예
미역 10g에 60% 에탄올 수용액 50g을 첨가하고, 25℃에서 18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 수용액 10g으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58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35%가 되도록 물 45g을 첨가하고, 아울러 규조토 20㎎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2시간 교반함으로써 계 내에 응집물을 발생시켰다. 이것을 여과하여 응집물을 39.6㎎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1.39%이었다.
(실시예 12) 다시마에서의 예
다시마 10g에 60% 에탄올 수용액 50g을 첨가하고, 25℃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차 60% 에탄올 수용액 10g으로 세척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 60g을 얻었다. 그 후,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에 에탄올 농도가 35%가 되도록 물 45g을 첨가하고, 아울러 규조토 20㎎도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4시간 교반함으로써 계 내에 응집물을 발생시켰다. 이것을 여과하여 응집물을 26.6㎎ 취득했다. 이 응집물의 푸코크산틴 농도를 통상법에 따라 HPLC법으로 측정한 결과, 1.76%이었다.
(참고예 1) 응집물의 지방산 조성 데이터
실시예 1에 의해 취득한 응집물의 지방산 조성을 통상법에 따라 GC-MS법으로 분석한 결과, 에이코사펜타엔산은 10.5%이었다.

Claims (8)

  1. 해조류에, 물을 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여 해조 성분 추출액을 얻고, 해당 해조 성분 추출액 중에 수용성 용매 농도가 20 내지 45중량%가 되도록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를 첨가하고, 아울러 부형제도 첨가하여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얻는 제1 공정과, 상기 부형제 함유 추출액을 교반한 후, 해당 부형제 함유 추출액 중에 응집된 물질을 분리에 의해 푸코크산틴(fucoxanthin) 함유 조성물로서 회수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를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대하여 용해도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가 물 100g에 대하여 0 내지 10g의 용해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를 상기 해조 성분 추출액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이 푸코크산틴 이외의 지질을 푸코크산틴에 대하여 0.05 내지 100배 중량 함유하고,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비소 질량이 원료가 되는 해조류에 포함되는 비소 질량의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 중의 지질 중,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함량이 1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취득한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에 용매를 첨가하여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지질을 용출시키고, 상기 용출액 중의 용매를 농축 증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농축물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취득한 푸코크산틴 함유 농축물에 적어도 오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코크산틴 함유 오일의 제조 방법.
KR1020147032842A 2012-04-27 2013-02-27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56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3689 2012-04-27
JP2012103689 2012-04-27
PCT/JP2013/055131 WO2013161378A1 (ja) 2012-04-27 2013-02-27 フコキサンチン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474A true KR20150015474A (ko) 2015-02-10
KR102056506B1 KR102056506B1 (ko) 2019-12-16

Family

ID=4948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842A KR102056506B1 (ko) 2012-04-27 2013-02-27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9952B2 (ko)
EP (1) EP2842950B1 (ko)
JP (1) JP6245170B2 (ko)
KR (1) KR102056506B1 (ko)
CN (1) CN104254524B (ko)
WO (1) WO2013161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5663A1 (en) * 2014-03-24 2015-09-24 Maruhachi Muramatsu, Inc. Method for suppressing adipocyte formation
IL254897B (en) * 2015-04-13 2022-07-01 Algatechnologies Ltd Mixtures containing carotenoids and their uses
US9566262B2 (en) * 2015-04-21 2017-02-14 The Ritsumeikan Trust Itch suppression by fucoxanthin
WO2017037692A1 (en) * 2015-08-28 2017-03-09 Oran Ayalon Improved process for producing fucoxanthin and/or polysaccharides from microalgae
CN105820142B (zh) * 2016-04-29 2017-12-05 宁波大学 一种提取岩藻黄素用褐藻样品的前处理方法
WO2021132764A1 (ko) * 2019-12-26 2021-07-01 어업회사법인(주)제이앤씨 바이오 규조류 유래 후코잔틴의 분리정제방법
CN112876431B (zh) * 2021-01-18 2024-01-19 深圳大学 微藻岩藻黄素和岩藻黄醇以及二十碳五烯酸的提取方法
CN113735802B (zh) * 2021-10-12 2022-09-13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种采用低共熔溶剂制备岩藻黄质提取物的制备方法
CN114874158A (zh) * 2022-05-26 2022-08-09 威海世纪博康海藻有限公司 一种含岩藻黄质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73398B (zh) * 2022-07-25 2024-03-19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种岩藻黄质的提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4070A1 (en) * 2001-09-07 2003-03-20 Aquasearch, Inc. Edible solvent extraction of carotenoids from microorganisms
JP4109511B2 (ja) 2002-08-21 2008-07-02 株式会社小倉屋山本 フコキサンチンの精製方法
JP2008231198A (ja) * 2007-03-19 2008-10-02 Hokkaido Univ フコキサンチンを含有する脂溶性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コキサンチンの製造方法
JP5140304B2 (ja) * 2007-04-05 2013-02-06 金秀バイオ株式会社 フコキサンチンとフコイダンの同時製造方法
JP2009120494A (ja) * 2007-11-12 2009-06-04 Tropical Technology Center Ltd フコキサンチン高含有褐藻類エキスの製造方法
US7892580B2 (en) * 2008-05-01 2011-02-22 Nutraceuticals International Llc Process for producing a stable concentrated dietary supplement and supplement produced thereby
CN101735178A (zh) * 2008-11-17 2010-06-16 北京绿色金可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纯化岩藻黄素的方法
JP2010235574A (ja) * 2009-03-30 2010-10-21 Phytopharma Kk フコキサンチン包接体
JP2011256153A (ja) * 2010-06-11 2011-12-22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フコキサンチン含有褐藻抽出組成物の製造方法
CN102336725B (zh) * 2011-06-10 2014-09-10 秦皇岛大惠生物技术有限公司 含有岩藻黄质浓缩物的提取方法、所得产品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9952B2 (en) 2015-12-01
EP2842950A1 (en) 2015-03-04
EP2842950A4 (en) 2015-10-21
JP6245170B2 (ja) 2017-12-13
WO2013161378A1 (ja) 2013-10-31
CN104254524B (zh) 2016-11-23
JPWO2013161378A1 (ja) 2015-12-24
CN104254524A (zh) 2014-12-31
US20150065568A1 (en) 2015-03-05
KR102056506B1 (ko) 2019-12-16
EP2842950B1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5474A (ko) 푸코크산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US7271298B2 (en) Process fo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xanthophyll crystals from plant oleoresin
AU2005331246A1 (en)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carotenoids from Marigold flowers
US9096508B2 (en) Method for producing carotenoid composition
WO2002012159A1 (fr) Procede de production d'acide oleanolique et/ou d'acide maslinique
JP5795572B2 (ja) 種々の植物からカロテノイド結晶を分離する方法
KR20080112338A (ko) 카로테노이드의 제조 방법
WO2010098484A1 (ja) カロテノイドの製造方法
JP2013202005A (ja) クルクミン類含有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272835A1 (en) Method for producing carotenoid-containing composition, and carotenoid-containing composition
CN103402956B (zh) 一种制备叶黄素晶体的方法
WO2002060865A1 (en) Process of obtaining high purity of zeaxanthin, cryptoxanthin & other carotenoids from byadagi chili/chappatta chili & carotenoid composition
CN110563625A (zh) 一种由万寿菊油树脂分离纯化玉米黄质的方法
WO2014104200A1 (ja) カロテノイド組成物の製造方法
US11654173B2 (en) Purified xanthophyll composition comprising (trans,R,R)-lutein and(trans,R,R)-zeaxanthi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032459B1 (ko) 고품질 엽록소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H0216794B2 (ko)
JP2016147823A (ja) セレブロシドの簡易高純度精製法
WO2022155338A1 (en) Process for crystallization of high purity lutein esters from marigold extracts
JP2010189360A (ja) カムカムフルーツ果汁含有肝機能改善剤
KR20230001330A (ko) 크릴 오일의 제조방법
DE10313077A1 (de) Bioflavonoidpräparate mit hoher antioxidativer Kapazität und hohem antioxidativem Potenzial,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r Applikation der Präparate
JPH014423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