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361A -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 Google Patents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361A
KR20150014361A KR1020140072772A KR20140072772A KR20150014361A KR 20150014361 A KR20150014361 A KR 20150014361A KR 1020140072772 A KR1020140072772 A KR 1020140072772A KR 20140072772 A KR20140072772 A KR 20140072772A KR 20150014361 A KR20150014361 A KR 2015001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heat
stretched film
resista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655B1 (ko
Inventor
유우지 미나미보리
홍린 왕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2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 Y10T428/31515As intermediate layer
    • Y10T428/31522Next to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1)는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 내측층으로서의 열가소성 수지층(3)과, 이들 양쪽 층 사이에 배치된 금속박층(4)과, 해당 금속박층(4)과 상기 내열성 수지층(2)과의 사이에 배치된 착색 잉크층(10)을 포함하는 포장재이며,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 상기 착색 잉크층(10)이 접착 용이층(30)을 개재하여 적층 일체화되어 있다. 이 포장재는 성형 시 및 시일 시에 있어서, 또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라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PACKAGING MATERIAL AND MOLDING CAS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용, 휴대 전화용, 차량 탑재용, 정치형의 이차 전지(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케이스로서 적절하게 사용되고, 또한 식품의 포장재, 의약품의 포장재로서 적절하게 사용되는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전지는, 장착 대상의 전기 기기 등의 기기의 외관과 색채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착색하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중후감, 고급감의 부여를 위해서, 기기를 흑색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전지도 흑색으로 하는 일이 많다. 또한, 다른 각종 각색의 색으로 착색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전지를 흑색 등으로 착색하기 위해서는, 전지 포재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층을 착색하거나, 기재 수지층 아래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등의 수단이 있다.
예를 들면, 착색층을 갖는 전지용 포장재로서는 기재층, 접착제층, 금속박층, 열 접착성 수지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기재층, 접착제층, 금속박층 중 어느 한층에 안료가 첨가된 것(특허문헌 1 참조) 외에, 탄소 재료 등의 흑체 재료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한 전지용 외장재(특허문헌 2 참조), 전지 외장재의 표면에 백색 수지 필름 기재가 적층되어, 해당 백색 수지 필름 기재의 표면에 백색 잉크층이 적층된 구성의 것(특허문헌 3 참조)이 공지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545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965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9533호 공보
그러나, 전지를 흑색 등으로 착색하기 위해, 전지 포장재를 구성하는 외측 수지층의 내면에 카본 블랙 등을 안료로서 포함하는 착색 인쇄층을 설치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착색 포장재를 딥 드로잉 성형이나 스트레치 성형에 의해 용기(케이스) 형상으로 성형할 때에, 외측층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착색층과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착색층이 박리되어버려, 하지층(흑색은 아님)이 외관됨으로써, 균일한 착색(흑색 착색 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착색 인쇄층의 부분적 박리는, 전극이나 전해액을 봉입한 후의 착색 포장재의 시일 시나, 착색 포장재로 포장된 전지가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성형 시 및 시일 시에 있어서, 또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내측층으로서의 열가소성 수지층과, 이들 양 층 사이에 배치된 금속박층과, 해당 금속박층과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착색 잉크층을 포함하는 포장재이며,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상기 착색 잉크층이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적층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가 98/2 내지 40/60의 범위인 포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크릴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가 98/2 내지 40/60의 범위인 포장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수지-수계 에멀전이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에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인 포장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포장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의 열수 수축률이 2.5% 내지 10%인 포장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잉크층은 카본 블랙, 디아민, 폴리올 및 경화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의 외면에 적층된 매트 코트층을 더 구비하는 기재된 포장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재를 딥 드로잉 성형 또는 스트레치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전지 케이스로서 사용되는 성형 케이스.
[1]의 발명에서는, 금속박층과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의 사이에 착색 잉크층이 설치되고,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착색 잉크층이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적층 일체화되어 있음과 함께,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 포장재에 딥 드로잉 성형, 스트레치 성형 등의 성형을 행했을 때, 밀봉을 위하여 포장재를 시일했을 때에,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에 충분히 접착하고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또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2]의 발명에서는, 접착 용이층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3]의 발명에서는, 접착 용이층은 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4]의 발명에서는, 우레탄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가 98/2 내지 40/60의 범위이기 때문에,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한층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5]의 발명에서는, 접착 용이층은 특정한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6]의 발명에서는, 아크릴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가 98/2 내지 40/60의 범위이기 때문에,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한층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7]의 발명에서는, 접착 용이층은 수지-수계 에멀전이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에 미리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이므로,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더욱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8]의 발명에서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특정한 수지를 포함하는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하므로,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9]의 발명에서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의 열수 수축률이 2.5% 내지 10%이기 때문에,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10]의 발명에서는, 착색 잉크층은 카본 블랙, 디아민, 폴리올 및 경화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색 잉크층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고,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11]의 발명에서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의 외면에 적층된 매트 코트층을 더 구비하기 때문에, 표면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고, 성형성이 우수한 포장재가 제공된다.
[12]의 발명에서는, 시일 시는 물론,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라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는 성형 케이스가 제공된다.
[13]의 발명에서는, 시일 시는 물론,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라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는 전지 케이스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1)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에 나타낸다. 이 포장재(1)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케이스용 포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포장재(1)는, 딥 드로잉 성형 등의 성형에 제공되어 2차 전지 케이스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포장재(1)는, 금속박층(4)의 상면에 제1 접착제층(5)을 개재하여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외측층)(2)이 적층 일체화됨과 함께, 상기 금속박층(4)의 하면에 제2 접착제층(6)을 개재하여 열가소성 수지층(내측층)(3)이 적층 일체화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하면에는 접착 용이층(30)이 적층되고, 해당 접착 용이층(30)의 하면에 착색 잉크층(10)이 적층되고, 해당 착색 잉크층(10)과 상기 금속박층(4)이 제1 접착제층(5)을 개재하여 접착 일체화되어 있다(도 1 참조). 즉, 상기 금속박층(4)과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의 사이에 착색 잉크층(10)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하면에 그라비아 코팅법에 의해 접착 용이층(30)이 적층되고, 해당 접착 용이층(30)의 하면에 인쇄에 의해 상기 착색 잉크층(10)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상면(외면)에 매트 코트층(20)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외측층)(2)은, 포재로서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는 부재인, 즉 성형 시의 알루미늄박의 네킹에 의한 파단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은,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에 의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열수 수축률이 2% 미만에서는,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한다. 한편, 열수 수축률이 20%를 초과하면, 딥 드로잉 성형이나 스트레치 성형 등의 성형을 행했을 때에 포장재의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5 내지 1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수 수축률이 3.0% 내지 6.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 열수 수축률이 3.5% 내지 5.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수 수축률」이란,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2)의 시험편(10cm×10cm)을 95℃의 열수 중에 30분간 침지했을 때의 침지 전후의 시험편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변화율이고, 다음 식으로 구해진다.
열수 수축률(%)={(X-Y)/X}×100
X: 침지 처리 전의 연신 방향의 치수
Y: 침지 처리 후의 연신 방향의 치수.
또한, 2축 연신 필름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그의 열수 수축률은, 2개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변화율의 평균값이다.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의 열수 수축률은, 예를 들면 연신 가공시의 열 고정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외측층)(2)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연신 나일론 필름 등의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으로서는, 2축 연신 나일론 필름 등의 2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2축 연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필름,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으로서는, 동시 2축 연신법에 의해 연신된 내열성 수지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 방향에 있어서의 열수 수축률」에 대한 「M 방향에 있어서의 열수 수축률」의 비(MD/TD)가 0.9 내지 1.1의 범위에 있는 내열성 수지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MD/TD)가 0.9 내지 1.1의 범위에 있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특히 양호한 성형성을 가진 포장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M 방향」은, 「기계 흐름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T 방향」은, 「M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나일론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6 나일론, 6,6 나일론, MXD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은, 단층(단일 연신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예를 들면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연신 폴리아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복층(연신 PET 필름/연신 나일론 필름을 포함하는 복층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으로서,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또는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성형 시, 시일 시,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두께는, 12㎛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는, 12㎛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는, 1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합 하한값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포장재로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적합 상한값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스트레치 성형 시나 드로잉 성형 시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내면(금속박층(4)측의 면)에는, 접착 용이층(30)을 적층할 필요가 있다. 원래 접착성이 부족한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표면에 점착성, 접착성이 우수한 극성 수지 등을 코팅하여 접착 용이층(30)을 적층함으로써, 착색 잉크층(10)과의 밀착성,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내면(접착 용이층(30)을 적층하는 면)에는, 접착 용이층(30)을 적층하기 전에 미리 코로나 처리 등을 행하여 습윤성을 높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용이층(3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2)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수성 에멀전(수계 에멀전)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접착 용이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롤 코팅법, 리버스 롤 코팅법, 립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 용이층(30)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 착색 잉크층(10)과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이 포장재에 딥 드로잉 성형, 스트레치 성형 등의 성형을 행했을 때, 밀봉을 위하여 포장재를 시일했을 때에, 착색 잉크층(10)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고, 포장재(1)가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라도, 착색 잉크층(10)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접착 용이층(30)은, 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 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 착색 잉크층(10)과의 접착력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의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착 용이층(30)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는 98/2 내지 40/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 착색 잉크층(10)과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98/2)보다도 우레탄 수지의 함유 비율이 커지면, 가교도가 부족하여, 내용제성, 접착력이 충분히 얻어지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우레탄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40/60)보다도 우레탄 수지의 함유 비율이 작아지면, 가교가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이 너무 걸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접착 용이층(30)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는 90/10 내지 50/5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자의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착 용이층(30)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는 98/2 내지 40/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 착색 잉크층(10)과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98/2)보다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의 함유 비율이 커지면, 가교도가 부족하고, 내용제성, 접착력이 충분히 얻어지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40/60)보다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의 함유 비율이 작아지면, 가교가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이 너무 걸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접착 용이층(30)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는 90/10 내지 50/5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용이층(30)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수지 수성 에멀전(수지-수계 에멀전)에는 글리콜류, 글리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등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수지 수성 에멀전에 있어서 충분한 소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접착 용이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상기 수지 수성 에멀전 중에 0.01질량% 내지 2.0질량% 함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용이층(30)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수지 수성 에멀전(수지-수계 에멀전)에는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블로킹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는, 상기 수지 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내지 10질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용이층(30)의 형성량(건조 후의 고형분량)은 0.01g/㎡ 내지 0.5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g/㎡ 이상인 것으로,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 착색 잉크층(10)을 충분히 접착할 수 있고, 0.5g/㎡ 이하인 것으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상기 접착 용이층(건조 후)(30)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의 함유율은, 88질량% 내지 9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색 잉크층(10)은, 상기 금속박층(4)과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층이고, 포장재(1)의 외면측에 색(무채색을 포함함)을 부여하는 층이다.
상기 착색 잉크층(10)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흑색 잉크층, 백색 잉크층, 회색 잉크층, 적색 잉크층, 청색 잉크층, 녹색 잉크층, 황 잉크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흑색 잉크층(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흑색 잉크층(10)은, 통상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흑색 잉크층(10)은 카본 블랙, 디아민, 폴리올 및 경화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흑색 잉크층(건조 후의 잉크층)(10)에 있어서, 카본 블랙의 함유율은 15질량% 내지 60질량%이고, 상기 디아민, 폴리올 및 경화제의 합계의 함유율은 40질량% 내지 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카본 블랙의 함유율은 20질량% 내지 5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함유율이 15질량% 미만에서는, 금속박층(4)에 의한 금속 광택감이 남아버려 중후감이 손상되고, 성형을 했을 때에 부분적인 색 얼룩을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카본 블랙의 함유율이 60질량%를 초과하면, 흑색 잉크층(10)이 단단하고, 물러지기 때문에, 금속박층(4)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되고, 성형 시에 금속박층(4)과 흑색 잉크층(10)과의 사이에서 박리를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흑색 잉크층(10)은 상기 카본 블랙, 상기 디아민 및 상기 폴리올의 합계량 100질량부당 상기 경화제를 2질량부 내지 20질량부 함유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가 2질량부 미만에서는, 성형 시에 금속박층(4)과 흑색 잉크층(10) 사이에서 박리를 발생하기 쉬워져, 경화제가 20질량부를 초과하면, 권취 상태의 포장재(1)를 풀어낼(권출할) 때에 블로킹이 발생하고,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이나 열가소성 수지층(3)의 외면에 전사, 부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카본 블랙으로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2㎛ 내지 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아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이량체 디아민, 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2-히드록시에틸프로필렌디아민, 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2-히드록시에틸프로필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디아민으로서, 에틸렌디아민, 이량체 디아민, 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2-히드록시에틸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디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아민은 폴리올보다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등)와의 반응 속도가 빠르고, 단시간에의 경화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아민은 상기 폴리올과 함께 상기 경화제와 반응하고, 잉크 조성물의 가교 경화를 촉진한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우레탄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8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0 이상인 것으로 경화 후의 접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음과 함께, 8000 이하인 것으로 경화제와의 반응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계, 지방족계, 지환족계의 각종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 잉크층(흑색 잉크층을 제외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착색 잉크층(흑색 잉크층을 제외함)(10)은, 주제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경화제로서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에 의한 이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바인더와,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잉크 조성물의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안료로서는, 적어도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상기 착색 안료로서는 상기 무기 안료 이외에, 예를 들면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축합 다환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안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탄산칼슘,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철, 알루미늄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로서는, 평균 입경이 0.1㎛ 내지 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이 0.5㎛ 내지 2.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안료를 분산할 때에는, 안료 분산기를 사용하여 착색 안료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안료를 분산할 때에, 계면 활성제 등의 안료 분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착색 안료에 50질량% 이상이 상기 무기 안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금속박층(4)을 은폐하는 은폐력이 보다 충분히 얻어져 중후감, 고급감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는 특정한 색조의 착색 잉크층(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착색 안료에 60질량% 이상이 상기 무기 안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잉크층(10)의 두께(건조 후)는 1㎛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이상인 것으로, 착색 잉크층(10)의 색조에 투명감이 남는 일이 없고, 금속박층(4)의 색, 광택을 충분히 은폐할 수 있다. 또한, 4㎛ 이하인 것으로, 성형 시에 착색 잉크층(10)이 부분적으로 부서져 버리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착색 잉크층(1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 카본 블랙, 디아민, 폴리올, 경화제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잉크 조성물
또는
2) 주제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경화제로서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에 의한 이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바인더와,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잉크 조성물
을 그라비아 인쇄법 등으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하면 접착 용이층(30)의 표면에 인쇄하는(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 잉크층(1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법, 리버스 롤 코팅법, 립 롤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내측층)(3)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에서 사용되는 부식성이 강한 전해액 등에 대해서도 우수한 내약품성을 구비시킴과 함께, 포재에 히트 시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3)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열가소성 수지 미연신 필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미연신 필름층(3)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올레핀계 공중합체, 이들의 산 변성물 및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3)의 두께는 20㎛ 내지 8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핀 홀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8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수지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3)의 두께는 30㎛ 내지 50㎛로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3)은 단층일 수도 있고, 복층일 수도 있다.
상기 금속박층(4)은 포장재(1)에 산소나 수분의 침입을 저지하는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금속박층(4)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구리박 등을 들 수 있고, 알루미늄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금속박층(4)의 두께는 2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상인 것으로 금속박을 제조할 때의 압연시의 핀 홀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100㎛ 이하인 것으로 스트레치 성형 시나 드로잉 성형 시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박층(4)은 적어도 내측의 면(4a)(제2 접착제층(6)측의 면)에, 화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용물(전지의 전해액, 식품, 의약품 등)에 의한 금속박 표면의 부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함으로써 금속박에 화성 처리를 실시한다. 즉, 예를 들면 탈지 처리를 행한 금속박의 표면에,
1) 인산, 크롬산 및 불화물의 금속염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2) 인산, 크롬산, 불화물 금속염 및 비금속염이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3) 아크릴계 수지 또는/및 페놀계 수지와, 인산과, 크롬산과, 불화물 금속염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 어느 하나를 도포 시공한 후 건조함으로써 화성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제1 접착제층(5)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2액 반응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액 반응형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1 액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2 액(경화제)으로 구성되는 2액 반응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층(5)은, 예를 들면 상기 2액 반응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가, 상기 「금속박층(4)의 상면」에, 또는/및 「상기 내열성 수지층(2)의 하면에 접착 용이층(30)을 개재하여 적층된 착색 잉크층(10)의 하면」에, 그라비아 코팅법 등의 방법에 의해 도포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접착제층(6)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불소계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포장재(1)의 내전해액성 및 수증기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매트 코트층(20)은 내열성 수지 성분 중에 무기 미립자가 분산 함유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매트 코트층이다. 그 중에서도, 상기 매트 코트층(20)은 2액 경화형의 내열성 수지에,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인 무기 미립자가 0.1질량% 내지 60질량% 함유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페녹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점에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플루오로에틸렌비닐에테르를 기초로 한 불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미립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칼슘, 탄산칼슘, 황산칼슘, 규산칼슘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트 코트층(20)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표면에 양호한 미끄럼성이 부여되어, 성형성이 우수한 포장재(1)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매트 코트층(20)의 표면 그로스 값은, 1% 내지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로스 값은, BYK사 제조의 그로스 측정기 「micro-TRI-gloss-s」에 의해 60° 반사각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값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착제층(5)과 제2 접착제층(6)을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들 양층(5, 6)은 모두 필수적인 구성층이 아니고, 이들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2)의 상면에 매트 코트층(20)이 적층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매트 코트층(20)은 필수적인 구성층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트 코트층(20)을 갖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재(1)를 성형(딥 드로잉 성형, 스트레치 성형 등)함으로써, 성형 케이스(전지 케이스 등)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 용이층 형성용 접착제>
(접착제 조성물 W)
수계 우레탄 수지로서 미쯔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타케랙 W-6010」 70질량부, 수계 에폭시 수지로서 나가세 켐텍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데나콜 EX-521」 30질량부, 블로킹 방지제로서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콜로이달 실리카 「스노텍스 ST-C」(평균 입경 10nm 내지 20nm) 5질량부를 혼합하고, 추가로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희석하여, 불휘발분 함유율이 2질량%인 접착제 조성물 W를 얻었다.
(접착제 조성물 V)
수계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로서 츄오 리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리카본드 SA-513」 70질량부, 수계 에폭시 수지로서 나가세 켐텍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데나콜 EX-521」 30질량부, 블로킹 방지제로서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콜로이달 실리카 「스노텍스 ST-C」(평균 입경 10nm 내지 20nm) 5질량부를 혼합하고, 추가로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희석하여, 불휘발분 함유율이 2질량%인 접착제 조성물 V를 얻었다.
(접착제 조성물 Z)
수계 에폭시 수지로서 나가세 켐텍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데나콜 EX-521」 100질량부, 블로킹 방지제로서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콜로이달 실리카 「스노텍스 ST-C」(평균 입경 10nm 내지 20nm) 5질량부를 혼합하고, 추가로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희석하여, 불휘발분 함유율이 2질량%인 접착제 조성물 Z를 얻었다.
<실시예 1>
평균 입자 직경 0.8㎛의 카본 블랙 50질량부, 에틸렌디아민 5질량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수 평균 분자량: 2500) 45질량부를 배합하여, 주제를 얻었다. 상기 주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경화제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3질량부를 배합하고, 추가로 톨루엔을 50질량부 배합하여 잘 교반함으로써, 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나일론(6 나일론) 필름(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 MD/TD=0.95)(2)의 한쪽 면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 W를 그라비아 롤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40℃ 환경하에서 1일 방치함으로써 경화 반응을 진행시켜, 형성량 0.1g/㎡의 접착 용이층(30)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2축 연신 나일론 필름(2)의 접착 용이층(30)의 표면에, 상기 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인쇄한(도포한) 후, 40℃ 환경하에서 1일간 방치함으로써, 건조와 함께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두께 3㎛의 흑색 잉크층(착색 잉크층)(10)을 형성하였다.
한편, 두께 35㎛의 알루미늄박(4)의 양면에, 폴리아크릴산, 3가 크롬 화합물, 물,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성 처리액을 도포하고, 180℃에서 건조를 행하여, 크롬 부착량이 10mg/㎡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기 화성 처리 완료 알루미늄박(4)의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접착제(5)를 개재하여 상기 2축 연신 나일론 필름(2)을 그의 흑색 잉크층(착색 잉크층)(10)측으로 접합하고, 계속하여 알루미늄박(4)의 다른 쪽 면에, 폴리아크릴 접착제(6)를 개재하여 두께 30㎛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열가소성 수지층)(3)을 접합한 후, 40℃ 환경하에서 5일간 방치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2축 연신 나일론 필름(2) 위에(미적층면에), 플루오로에틸렌비닐에스테르 80질량부, 황산바륨 10질량부, 가루 상태 실리카 10질량부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두께 2㎛의 매트 코트층(20)을 형성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2>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2.5%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3>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3.5%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1.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4>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5.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1.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5>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6>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5%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1.05)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1>
접착 용이층(30)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한 것(즉,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2)의 한쪽 면에 직접 흑색 잉크층(10)을 적층함)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2>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3>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25%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7>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3.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D/TD=1.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8>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5.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D/TD=1.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9>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4>
접착 용이층(30)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한 것(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2)의 한쪽 면에 직접 흑색 잉크층(10)을 적층함)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5>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D/TD=0.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6>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2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D/TD=0.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0>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3.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1>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5.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2>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7>
접착 용이층(30)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한 것(즉,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2)의 한쪽 면에 직접 흑색 잉크층(10)을 적층함)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8>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MD/TD=0.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비교예 9>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2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3>
접착제 조성물 W 대신에, 접착제 조성물 V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4>
접착제 조성물 W 대신에, 접착제 조성물 V를 사용함과 함께,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5>
접착제 조성물 W 대신에, 접착제 조성물 V를 사용함과 함께,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5.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6>
접착제 조성물 W 대신에, 접착제 조성물 Z를 사용함과 함께,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동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1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7>
접착제 조성물 W 대신에, 접착제 조성물 Z를 사용함과 함께,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5.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실시예 18>
접착제 조성물 W 대신에, 접착제 조성물 Z를 사용함과 함께,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6 나일론 필름(MD/TD=0.95) 대신에, 순서대로 2축 연신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15㎛, 열수 수축률 4.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MD/TD=0.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재(1)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포장재에 대하여 하기 평가법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박리의 유무 평가법>
각 실시예마다, 각 비교예마다, 각각 30개의 포장재를 제조하고, 이들에 대하여, 착색 잉크층(흑색 잉크층)의 박리 유무 등을 육안으로, 하기 a), b)의 2개의 상태시에 있어서 조사하고, 하기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된 것이, 30개 중 0개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된 것이, 30개 중, 1개 또는 2개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된 것이, 30개 중, 3개 또는 4개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된 것이, 30개 중, 5개 내지 30개임
a) 딥 드로잉 성형한 직후의 포장재(착색 잉크층의 박리가 없는 것을 확인한 포장재를, 펀치와 다이스 등을 사용하여, 내측의 폴리프로필렌층(3)을 펀치와 접촉시키는 형태에서, 세로 50mm×가로 35mm×깊이 6.0mm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딥 드로잉 성형을 행하여 얻어진 성형 직후의 성형 케이스)
b) 고온 고습 시험을 적용한 후의 포장재(착색 잉크층의 박리가 없는 것을 확인한 포장재를, 85℃×95%RH의 고온 고습 시험기 중에 72시간 계속하여 넣은 후, 취출하여 상온에서 5일 경과 후의 포장재).
표 1 내지 4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8의 포장재는, 사용하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의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의 범위이고, 또한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착색 잉크층이 접착 용이층에서 접착되어 있으므로, 딥 드로잉 성형을 행했을 때라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고, 고온 다습 등의 약간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었을 때라도, 착색 잉크층이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9에서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의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의 범위를 일탈하고 있거나, 또는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착색 잉크층과의 사이에 접착 용이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a), b)의 2개의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상태시에 있어서, 착색 잉크층의 박리의 유무 평가가 「×」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노트북 컴퓨터용, 휴대 전화용, 차량 탑재용, 정치형의 리튬 이온 중합체 이차 전지 등의 전지의 케이스로서 적절하게 사용되고, 이외에도, 식품의 포장재, 의약품의 포장재로서 적합하지만, 특히 이들 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전지 케이스용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재는, 성형용 포장재로서 적합하다.
본 출원은, 2013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56959호의 우선권 주장을 수반하는 것이고, 그의 개시 내용은, 그대로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및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 내라면, 그의 정신을 일탈하는 것이 아닌 한 어떠한 설계적 변경도 허용하는 것이다.
1…포장재
2…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외측층)
3…열가소성 수지층(내측층)
4…금속박층
10…착색 잉크층
20…매트 코트층
30…접착 용이층

Claims (15)

  1.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내측층으로서의 열가소성 수지층과, 이들 양쪽 층 사이에 배치된 금속박층과, 해당 금속박층과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착색 잉크층을 포함하는 포장재이며,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상기 착색 잉크층이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적층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가 98/2 내지 40/60의 범위인 포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크릴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가 98/2 내지 40/60의 범위인 포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수지-수계 에멀전이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에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인 포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포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의 열수 수축률이 2.5% 내지 10%인 포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잉크층은 카본 블랙, 디아민, 폴리올 및 경화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잉크층에 있어서, 카본 블랙의 함유율은 15질량% 내지 60질량%이고, 상기 디아민, 폴리올 및 경화제의 합계의 함유율은 40질량% 내지 85질량%인 포장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의 외면에 적층된 매트 코트층을 더 구비하는 포장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코트층은 2액 경화형의 내열성 수지와,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인 무기 미립자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해당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무기 미립자의 함유율이 0.1질량% 내지 60질량%인 포장재.
  14.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내측층으로서의 열가소성 수지층과, 이들 양쪽 층 사이에 배치된 금속박층과, 해당 금속박층과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착색 잉크층을 포함하는 포장재이며,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서, 열수 수축률이 2% 내지 20%인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과 상기 착색 잉크층이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적층 일체화되고,
    상기 내열성 수지 연신 필름층의 외면에 매트 코트층이 적층되고,
    상기 착색 잉크층은 카본 블랙을 함유하고, 상기 착색 잉크층에 있어서의 카본 블랙의 함유율이 20질량% 내지 50질량%이고, 상기 착색 잉크층의 두께는 1㎛ 내지 4㎛이고,
    상기 접착 용이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크릴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유 질량비가 98/2 내지 40/6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재를 딥 드로잉 성형 또는 스트레치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케이스.
KR1020140072772A 2013-07-29 2014-06-16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KR102195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6959 2013-07-29
JP2013156959 2013-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361A true KR20150014361A (ko) 2015-02-06
KR102195655B1 KR102195655B1 (ko) 2020-12-28

Family

ID=5239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772A KR102195655B1 (ko) 2013-07-29 2014-06-16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8700B2 (ko)
JP (1) JP6469356B2 (ko)
KR (1) KR102195655B1 (ko)
CN (2) CN110667207A (ko)
DE (1) DE102014214675A1 (ko)
TW (1) TWI66713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047A (ko) * 2015-03-03 2017-11-1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축전 장치용 외장재 및 그것을 사용한 축전 장치
US10903524B2 (en) 2016-07-15 2021-01-26 Fujimori Kogyo Co., Ltd. Resin coated metal laminate, battery package, and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6844B2 (ja) * 2015-03-03 2019-10-30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819029B2 (ja) * 2015-03-03 2021-01-27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KR20170131513A (ko) * 2015-03-30 2017-11-29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JP6862084B2 (ja) * 2015-10-07 2021-04-21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包装材、ケー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6738164B2 (ja) * 2016-03-02 2020-08-1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6826370B2 (ja) 2016-03-18 2021-02-03 藤森工業株式会社 樹脂被覆金属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電池外装体の製造方法
JP2017220331A (ja) * 2016-06-06 2017-12-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ード部材
KR20170139303A (ko) * 2016-06-09 2017-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JP6935991B2 (ja) * 2016-06-24 2021-09-15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CN106252538A (zh) * 2016-08-26 2016-12-21 上海紫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着色的锂电池铝塑膜及其制备方法
CN106626671A (zh) * 2016-09-27 2017-05-10 吕江鹏 亚光镀铝薄膜及其制作方法
JP2018062377A (ja) * 2016-10-14 2018-04-19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シール材およびシール材によってシールされた容器
EP3531465A4 (en) * 2016-12-26 2019-12-04 LG Chem, Ltd.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HEAT SHRINKABLE HOSE WITH ULTRAVIOLET ABSORPTION
JP7203483B2 (ja) * 2016-12-28 2023-01-13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ケー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7335401B2 (ja) * 2017-02-10 2023-08-29 株式会社レゾナック・パッケージング 成形用包装材および表面印刷がなされた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7161838B2 (ja) * 2017-02-10 2022-10-27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成形用包装材および表面印刷がなされた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7170915B (zh) * 2017-05-25 2021-05-18 苏州福斯特光伏材料有限公司 一种电化学电池包装材料
CN110998892A (zh) * 2017-08-02 2020-04-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用包装材料和电池
JP7240825B2 (ja) * 2018-06-22 2023-03-16 株式会社レゾナック・パッケージング 成形用包装材及び成形ケース
WO2020196840A1 (ja) * 2019-03-28 2020-10-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59387A (ja) * 2019-10-09 2021-04-15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油脂含有食品収容用の成形容器及び包装体
CN111703056A (zh) * 2020-05-13 2020-09-25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电池包上盖及其制备方法
CN113755125B (zh) * 2020-06-05 2023-01-24 上海紫江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双层着色粘结剂组合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612A (ko) * 2005-05-27 2008-03-07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케이스용 포장재 및 전지용 케이스
JP2009289533A (ja) 2008-05-28 2009-12-10 Dic Corp 電池パック
JP2011054563A (ja) 2009-08-07 2011-03-1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気化学セル用包装材
JP2011096552A (ja) 2009-10-30 2011-05-12 Sony Corp 非水電解質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4940A (ja) 1986-03-05 1987-09-09 帝人株式会社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576886B2 (ja) * 1988-06-17 1997-01-29 株式会社興人 易接着性フイルム
JP3825143B2 (ja) * 1997-07-07 2006-09-20 株式会社興人 易接着性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2001001398A (ja) * 1999-06-23 2001-01-09 Unitika Ltd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6506899B1 (en) * 1999-08-09 2003-01-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 dispersants formed by reacting an isocyanate with a poly (ethylene glycol) alkyl ether, a polyester or polyester or polyacrylate and a diamine
JP2003340965A (ja) 2002-05-24 2003-12-02 Toppan Printing Co Ltd 遮光性積層包装材料
JP4627138B2 (ja) * 2003-08-06 2011-02-09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電池包装用アルミラミネート材料
US7470736B2 (en) 2004-05-03 2008-12-30 Michelman, Inc. Primer coating for enhancing adhesion of liquid toner to polymeric substrates
JP4817858B2 (ja) * 2006-01-31 2011-11-16 三菱樹脂株式会社 蓋材
JP4807300B2 (ja) 2006-03-28 2011-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
EP2108688A4 (en) * 2007-01-12 2011-09-07 Sekisui Chemical Co Ltd ADHESIVE FOR ELECTRONIC COMPONENTS
JP5145913B2 (ja) * 2007-12-12 2013-0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用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CN102300710A (zh) * 2009-03-25 2011-12-28 尤尼吉可株式会社 易粘接聚酰胺膜及其制造方法
EP2463931B1 (en) 2009-08-07 2016-07-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cells
JP5803147B2 (ja) 2010-03-04 2015-11-04 東レ株式会社 電池外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電池外装用構成体
US20120006841A1 (en) * 2010-07-12 2012-01-12 John Picchietti Flexible Packaging Material
EP2684694B1 (en) * 2011-03-08 2016-03-02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molding member, comp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2782011U (zh) 2011-03-29 2013-03-13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成型用包装材料
JP5896208B2 (ja) * 2011-11-25 2016-03-30 Dic株式会社 着色フィルム及び着色粘着テープ
JP5921182B2 (ja) * 2011-12-20 2016-05-24 株式会社きもと 目隠し用シート
JP5809575B2 (ja) 2012-01-31 2015-11-1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と歪補正マップ作成装置および方法と半導体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612A (ko) * 2005-05-27 2008-03-07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케이스용 포장재 및 전지용 케이스
JP2009289533A (ja) 2008-05-28 2009-12-10 Dic Corp 電池パック
JP2011054563A (ja) 2009-08-07 2011-03-1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気化学セル用包装材
JP2011096552A (ja) 2009-10-30 2011-05-12 Sony Corp 非水電解質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047A (ko) * 2015-03-03 2017-11-1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축전 장치용 외장재 및 그것을 사용한 축전 장치
US10903524B2 (en) 2016-07-15 2021-01-26 Fujimori Kogyo Co., Ltd. Resin coated metal laminate, battery package, and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67207A (zh) 2020-01-10
JP6469356B2 (ja) 2019-02-13
TW201504046A (zh) 2015-02-01
TWI667132B (zh) 2019-08-01
JP2015044626A (ja) 2015-03-12
US20150030910A1 (en) 2015-01-29
KR102195655B1 (ko) 2020-12-28
US10008700B2 (en) 2018-06-26
DE102014214675A1 (de) 2015-02-26
CN104339765A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361A (ko)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KR101972603B1 (ko) 성형용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JP7240825B2 (ja) 成形用包装材及び成形ケース
TWI832807B (zh) 蓄電裝置用外裝材、蓄電裝置用外裝外殼及蓄電裝置
KR102181302B1 (ko) 성형용 포장재
US20150104593A1 (en) Molding material for package
KR102372035B1 (ko) 성형용 포장재
KR20230068371A (ko) 성형용 포장재 및 표면 인쇄가 이루어진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6275014B2 (ja) 成形用包装材及び成形ケース
JP7305728B2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
JP7335401B2 (ja) 成形用包装材および表面印刷がなされた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230261292A1 (en) Battery packaging material
JP2023158633A (ja) 電池用包装材
CN116606600A (zh) 电池用包装材料
KR20230149240A (ko) 전지용 포장재
JP2023118671A (ja) 電池用包装材
CN117625061A (zh) 电池用包装材料
CN117013160A (zh) 电池用包装材料
CN116613435A (zh) 电池用包装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