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390A - 액츄에이터 유닛 및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도어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유닛 및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도어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390A
KR20150008390A KR1020147030655A KR20147030655A KR20150008390A KR 20150008390 A KR20150008390 A KR 20150008390A KR 1020147030655 A KR1020147030655 A KR 1020147030655A KR 20147030655 A KR20147030655 A KR 20147030655A KR 20150008390 A KR20150008390 A KR 20150008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lock lever
drive gear
rota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940B1 (ko
Inventor
토모하루 나가오카
타카오 타가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2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Lev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웜 휠(worm wheel)(50)이 제1 돌기부(protrusion)(62)의 계지면(locking surface)(68)을 제1 계합 아암(engagement arm)(58)의 회동 단면에 당접시키는 제1 정지 위치(stopping position)에 있는 경우에, 이 계지면(68), 및 이 계지면(68)에 인접하는 제1 돌기부(62)의 압압면(pressing surface)(66)과 등을 맞대어 마련된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은, 제1 계합 아암(58) 및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의 중심의 원호 형상의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웜 휠(50)이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을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에 당접시키는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 계지면(72), 및 이 계지면(72)에 인접하는 제2 돌기부(64)의 압압면(70)과 등을 맞대어 마련된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은, 제1 계합 아암(58) 및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의 중심의 원호 형상의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한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 유닛 및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도어 래치 장치{ACTUATOR UNIT AND DOOR LATCH DEVICE PROVIDED WITH THE ACTUATOR UNI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래치 장치를 로크(lock) 상태와 언로크(unlock) 상태로 전환하는 액츄에이터 유닛 및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 도어에는,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여 두기 위한 도어 래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 래치 장치는, 액츄에이터 유닛의 구동과 로크 노브(lock knob) 등의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에 있어서, 본 출원인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에서, 모터(motor)의 구동축에 고착한 웜(worm)에 의해 회전되는 웜 휠(worm wheel)과, 웜 휠의 축심(軸心)과 평행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로크 레버(lock lever)를 구비한 구비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웜 휠을 회전시켜, 상기 웜 휠의 회전면에 형성된 돌기부(突起部)로 로크 레버를 가압(加壓)하여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로크 레버에 접속된 도어 래치 장치를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로크 레버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한 웜 휠의 한쪽의 회전면에 형성된 돌기부에서 로크 레버를 언로크 위치에로 가압함과 함께, 타른 쪽의 회전면에 형성된 별도의 돌기부가 로크 레버에 상접(相接)하는 것으로 전환동작이 완료한다.
그런데, 도어 래치 장치에서는,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의 어느 것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수동 조작 수단에 의한 수동 조작이 허용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유닛은 웜 휠의 정지 위치에 관계없이, 로크 레버만을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 종래기술에 관계하는 액츄에이터 유닛의 경우에는, 웜 휠의 각 회전면의 돌기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회전 중심으로부터 180° 방향에 2매의 치부(齒部)를 연장시킨 구성으로 하여, 양 치부 사이의 간격을 넓게 취함과 함께, 양 회전면의 돌기부를 대칭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수동 조작을 확실히 허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11-12738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제475441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제289084호 공보
근년, 소위 스마트 엔트리(smart entry)의 보급에 수반하여, 로크 동작이나 언로크 동작의 개시부터 완료까지의 작동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돌기부를 구성하는 치부끼리의 간격을 넓게 취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까지 로크 레버를 이동시켜 정지하기까지의 웜 휠(돌기부)의 작동 각도가 크게 되어 있다. 한번의 동작 당 웜 휠의 작동 각도가 큰 구조의 경우, 웜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대출력의 것으로 할 필요가 있고, 대출력의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면, 돌기부가 로크 레버에 상접하는 정지 시에 발생하는 충격음이 크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충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는, 작동 시간과 충격음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모터의 설정을 행하든가, 돌기부와 로크 레버의 상접부에 충격 흡수 부재를 설정할 필요가 있어, 부품 점수(点數)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 없이, 도어 래치 장치의 동작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액츄에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액츄에이터 유닛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드라이브 기어(drive gear)와, 소정의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한 로크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및 도어에 마련되는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의 어느 것인가로 상기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도어 래치 장치를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액츄에이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기어는, 양측의 회전면 중 한쪽의 제1 회전면(回轉面)에 형성된 제1 돌기부와, 다른 쪽의 제2 회전면에 형성된 제2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로크 레버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상기 제1 회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1 돌기부와 상접 가능한 제1 계합 아암(係合 arm)과, 상기 제2 회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 돌기부와 상접 가능한 제2 계합 아암을 가지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버 기어의 제1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1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가압면(押壓面)과, 상기 제1 회동 방향과는 역(逆)의 제2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回動端面)에 상접하는 계지면(係止面)을 가지고, 상기 가압면 및 상기 계지면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버 기어의 제2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2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가압면과, 상기 제1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계지면을 가지고, 상기 가압면 및 상기 계지면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복수 마련되고, 또한 상기 가압면은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과 등을 맞대고, 또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과 등을 맞대고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크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제2 회동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이 그 회동 방향에서 상기 제2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고, 이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계지면이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제1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상기 로크 레버가 상기 언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제1 회동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이 그 회동 방향에서 상기 제1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크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 회동하고, 이어서 상기 제2 돌기부의 계지면이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제2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1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의 원호 형상의 제1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또한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1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과 등을 맞대어 마련된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회동 궤적과 동심의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의 원호형상의 제2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2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또한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2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과 등을 맞대어 마련된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동 조작 시의 로크 레버의 원활한 동작을 확보하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가 회전할 때의 제1, 제2 돌기부의 회전 개시로부터 제1, 제2 계합 아암에의 상접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작동 각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나 언로크 위치로 전환한 직후에 제1 또는 제2 돌기부의 계지면이 제1 또는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기까지의 작동 각도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모터를 저출력인 것으로 하여도, 소망의 동작 시간 내에 확실히 로크 동작 및 언로크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드라이브 기어의 계지면이 상접할 때의 충격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1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1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이면은, 상기 제1 회동 궤적의 연장과 교차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2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가압이면은, 상기 제2 회동 궤적의 연장과 교차하는 구성으로 하면, 로크 동작이나 언로크 동작 시의 드라이브 기어의 작동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된 3매의 제1 치부(齒部)를 가지고, 각 제1 치부의 상기 제1 회동 방향 측의 단면(端面)에 상기 가압면이, 또 각 제1 치부의 상기 제2 회동 방향 측의 단면에 상기 계지면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된 3매의 제2 치부를 가지고, 각 제2 치부의 상기 제2 회동 방향 측의 단면에 상기 가압면이, 또 각 제2 치부의 상기 제1 회동 방향 측의 단면에 상기 계지면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로크 동작이나 언로크 동작 시의 드라이브 기어의 작동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양측의 회전면에 등을 맞대어 배치된 대칭 형상이면, 로크 동작이나 언로크 동작 시의 드라이브 기어의 작동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전체 구성을 간소화하여, 로크 동작이나 언로크 동작의 제어를 용이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 조작 시의 로크 레버의 원활한 동작을 확보하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가 회전할 때의 제1, 제2 돌기부의 회전 개시로부터 제1, 제2 계합 아암에의 상접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작동 각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나 언로크 위치로 전환한 직후에 제1 또는 제2 돌기부의 계지면이 제1 또는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기까지의 작동 각도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모터를 저출력인 것으로 하여도, 소망의 동작 시간 내에 확실히 로크 동작 및 언로크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드라이브 기어의 계지면이 상접할 때의 충격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된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한 도어 래치 장치의 차 내측 측면도이다.
도 2는 언로크 상태에 있는 도어 래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로크 상태에 있는 도어 래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웜 휠과 로크 레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웜 휠과 로크 레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제2 돌기부와 제1, 제2 계합 아암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는 웜 휠의 한 쪽의 회전면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6(B)는 웜 휠의 다른 쪽의 회전면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웜 휠의 한 쪽의 회전면 측으로부터 본 제1, 제2 돌기부와 제1, 제2 계합 아암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A)는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7(B)는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한 쪽의 회전면 측으로부터 본 웜 휠과 로크 레버의 동작 설명도이고, 도 8(A)는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을 회전시킨 것으로, 제1 돌기부가 로크 레버에 상접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C)는 도 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을 더욱 회전시켜, 로크 레버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D)는 도 8(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을 더욱 회전시켜, 로크 레버를 더욱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E)는 도 8(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을 더욱 회전시켜, 로크 레버를 더욱 회동시켜 로크 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액츄에이터 유닛에 관하여, 이 액츄에이터 유닛을 탑재한 도어 래치 장치와의 관계에서 알맞은 실시 예의 형태를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액츄에이터 유닛(10)을 구비한 도어 래치 장치(12)의 차내 측 측면도이고, 도어 래치 장치(12)를 도어 D(도 1에서는 프런트 도어를 예시)의 도어 패널에 부착한 성태에서 차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언로크 상태에 있는 도어 래치 장치(12)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로크 상태에 있는 도어 래치 장치(12)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부착 상태에서는 도 1 중의 좌측이 차량 전방으로 되고, 우측이 차량 후방으로 되지만, 도어 래치 장치(12)의 방향은 그 부착 차종이나 부착 위치 등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래치 장치(도어 로크 장치)(12)는 도어 D의 차내 측 후단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의 내면에 복수의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고, 도어 D를 폐쇄 상태로 유지 로크하여 두기 위한 치합 유닛(齒合 unit)(14)과, 치합 유닛(14)에 맞붙여져, 당해 도어 래치 장치(12)를 전동으로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유닛(10)을 구비하고, 이들 치합 유닛(14)과 액츄에이터 유닛(10)이 로크 케이스(lock case)(1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치합 유닛(14)은 볼트에 의해 도어 D에 고정되는 합성 수지제의 보디 본체부(body 本體部)(17)와, 보디 본체부(17)의 후측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커버 플레이트부(cover plate 部)(18)로부터 구성되는 보디(body)(20)를 구비하고, 이 보디(20)가, 일부가 노출한 상태에서 로크 케이스(16)를 구성하는 케이스(22) 내에 수용된다. 보디 본체부(17)과 커버 플레이트부(18)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부, 즉 보디(20)의 내부 공간에는, 차체 측에 고착된 스트라이커(striker)(도시하지 않음)와 계합하는 것에 의해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 가능한 치합 기구(24)가 수용된다. 보디(20)에는, 도어의 폐쇄 시에 스크라이커가 진입하는 스트라이커 진입구(進入溝)(26)가 마련되어 있다.
치합 기구(24)로서는, 보디(20) 내에 전후방향의 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 지지되고, 스트라이커와 계합 가능한 래치(28)와, 보디(20) 내에 전후방향을 향한 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 지지되고, 래치(28)에 계탈(係脫) 가능한 래칫(ratchet)(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공지의 래치·래칫 기구(機構)를 이용하면 좋다. 이와 같은 치합 기구에는, 도어 D가 닫히면, 차체 측의 스트라이커가스트라이커 진입구(26)에 진입하여 래치(28)에 계합함과 함께, 래칫이 래치(28)에 대하여 그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계합하는 것으로 도어 D를 폐쇄 상태로 구속한다. 또, 도시하지 않은 키 실린더(key cylinder)나 로크 노브(도어 노브), 도어 핸들(door handle) 등의 수동 조작에 의해, 래치(28)와 래칫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 D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크 케이스(16)는, 일부를 노출한 상태에서 치합 유닛(14)을 수용하고 있고, 그 내부 공간에는 액츄에이터 유닛(10)의 다른, 도시하지 않은 각종 레버 등의 기구 부품이나, 접속 단자군 등이 수용 배치된다. 로크 케이스(16)는, 보디(20)와 고정되는 평면도에서 거의 L자 형의 합성수지제의 케이스(22), 케이스(22)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를 폐쇄하는 합성수지제의 커버(cover)(30), 케이스(22) 내로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제의 방수 커버(32)를 구비한다. 커버(30)의 하부에는, 힌지(hinge)(36)에 의해 차내측으로 회동하여 개폐 가능한 보조 커버(38)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커버(38)는 커버(30)의 하단에 형성된 케이블 유지부(40)를 덮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 유지부(40)에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 노브로부터 로크 케이스(16) 내에 배치되는 로크 레버(44)에 접속되는 케이블(cable)(41), 도시하지 않은 인사이드 핸들(inside handle)로부터 로크 케이스(16) 내에 배치되는 인사이드 레버(inside lever)(46)에 접속되는 케이블(42)이 배설되어 있다. 또, 도 1 중의 참조 부호 S는, 커버(30)의 차내 측 측면에 접착되어, 차내 측에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긴 벨트 형상의 방수 시일(seal)이다.
다음에, 이러한 도어 래치 장치(12)를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액츄에이터 유닛(10)의 구체적인 구성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유닛(10)은 모터(전동 모터)(48), 웜 휠(50), 로크 레버(44)를 구비하여, 이들이 케이스(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전동 모터)(48)는,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임의의 방향(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고, 그 구동축(48a)에 웜(worm)(52)이 고착되어 있다. 웜(52)은 외주면에 복수 조의 나사구(溝)가 있는 원기둥 형상 부재이고, 예를 들면, 2조의 나사구를 가지고 구성된다.
웜 휠(드라이브 기어)(50)은, 외주면에 경사치(傾斜齒)를 가진 원판 형상의 치차(齒車)이다. 웜 휠(50)은, 그 회전 중심으로 되는 지지축부(54)의 축심이, 모터(48)의 구동축(48a)에 대하여 직교하여 있고, 외주면의 경사치를 웜(52)에 치합(齒合)한 상태로 케이스(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로크 레버(44)는 웜 휠(50)의 지지축부(54)와 평행하게 설치된 지지축(56)에 의해 축지지 되는 것으로, 케이스(22)의 내부에서 지지축(56)의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로크 레버(44)는 수동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도어 D의 차내 측에 마련된 로크 노브나 차외 측에 마련된 키 실린더의 조작수단, 더욱이는 모터(48)(웜 52)의 구동에 의한 웜 휠(50)의 회전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언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도 3에 나타낸 로크 위치로 회동 가능하다. 로크 레버(44)는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지지축(56)으로부터 좌방향으로 돌출한 연결부(44a)에 로크 노브와 연결되는 케이블(41)이 접속되고, 지지축(56)으로부터 우방향으로 돌출한 작동 아암부(44b)에 키 실린더와 연결되는 각종의 연계 레버(link lever)나 키 레버(key lever)(도시하지 않음) 등이 연결된다.
로크 레버(44)에는, 더욱이, 지지축(56)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계합 아암(58) 및 제2 계합 아암(60)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계합 아암(58)과 제2 계합 아암(6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웜 휠(50)의 양측의 회전면(측면)(50a, 50b)을 끼우듯이 지지축(56)의 축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됨과 함께, 로크 레버(44)의 회동 방향에 대해서도 소정 각도 이격되어 있다.
제1 계합 아암(레버 부재)(58)은 웜 휠(50)의 한 쪽의 회전면(50a)에 근접 대향하도록 연장하고, 회전면(50a)에 마련되는 제1 돌기부(제1 계합 돌부)(62)에 상접 가능하다(도 6(A) 참조). 한편, 제2 계합 아암(레버 부재)(60)은, 웜 휠(50)의 다른 쪽의 회전면(50b)에 근접 대향하도록 연장하고, 회전면(50b)에 마련되는 제2 돌기부(제2 계합 돌부)(64)에 상접 가능하다(도 6(B) 참조).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은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 및 그 역으로 회동할 때, 웜 휠(50)의 회동 축선을 가로지르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제2 돌기부(62, 64)와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은, 모터(48)의 구동에 기초하는 웜 휠(50)의 회전을 로크 레버(44)에 전달하여 회동시키는 제1, 제2 동력 전달 기구(제1, 제2 전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제2 동력 전달 기구에 관하여, 우선, 웜 휠(50) 측의 제1, 제2 돌기부(62, 6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제2 돌기부(62, 64)와 제1, 제2 계합 아암(58, 60)과의 관계를 니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는, 웜 휠(50)의 한 쪽의 회전면(50a)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6(B)는, 웜 휠(50)의 다른 쪽의 회전면(50b)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또, 도 7은 웜 휠(50)의 한 쪽의 회전면(50a) 측으로부터 본 제1, 제2 돌기부(62, 64)와 제1, 제2 계합 아암(58, 60)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A)는,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7(B)는, 로크 레버(44)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6 및 도 7에서는, 웜 휠(50) 및 로크 레버(44)의 요부만을 명시하여, 다른 요소에 관하여는 생략하고 있다.
제1 돌기부(62)는, 웜 휠(50)의 한 쪽의 회전면(50a) 상에 돌출하는 것으로 로크 레버(44)의 제1 계합 아암(58)과 상접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도 5 및 도 6(A) 참조). 제2 돌기부(64)는 웜 휠(50)의 다른 쪽의 회전면(50b) 상에 돌출하는 것으로 로크 레버(44)의 제2 계합 아암(60)과 상접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도 5 및 도 6(B) 참조).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기부(62)는, 지지축부(54)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한 끝이 가늘어지는 거의 삼각 형상(파 형상(波形狀))의 제1 치부(齒部)(62a)를, 지지축부(54)의 축심 주위로 원주 방향에서 등각도로 3매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제1 치부(62a)에는, 도 6(A)에서 지지축부(54)를 중심으로 하는 시계 방향에서 전방측 단면(端面)으로 되어, 외측으로 약간 크게 만곡(彎曲)한 만곡면(가압이면)(66)과, 시계방향에서 후방측 단면으로 되어, 조금 내측으로 만곡한 계지면(상접이면(當接面), 스토퍼면(stopper面))(68)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만곡면(66)은 제1의 곡률로 외측으로 만곡하고, 계지면(68)은 제1의 곡률보다도 작은 제2 곡률로 내측으로 만곡한다. 거의 마찬가지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돌기부(64)는, 지지축부(54)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한 거의 삼각 형상의 제2 치부(齒部)(64a)를, 지지축부(54)의 축심 주위로 원주 방향 등각도로 3매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제2 치부(62a)에는, 도 6(B) 중의 지지축부(54)를 중심으로 하는 시계 방향에서 전방측 단면(端面)으로 되어, 외측으로 약간 크게 만곡(彎曲)한 만곡면(가압이면)(70)과, 시계방향에서 후방측 단면으로 되어, 조금 내측으로 만곡한 계지면(상접이면(當接面), 스토퍼면(stopper面))(72)이 마련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제2 돌기부(62, 64)는 웜 휠(50)의 양측의 회전면(50a, 50b) 상에 지지축(54)의 축선 방향으로 바깥 쪽을 향하여 각각 돌출 마련됨과 함께, 웜 휠(50)의 회전면(50a, 50b)에 대하여 서로 등을 맞대어 배치된 대칭(선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제2 돌기부(62, 64)는 웜 휠(50)의 판두께 중심선을 포함하고, 지지축부(54)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P(도 5 참조)에 대하여 거울 대칭(면 대칭)의 관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소정의 제1 치부(62a)와 소정의 제2 치부(64a)는, 예를 들면, 도 6(A)의 회전면(50a) 측으로부터의 평면도에서, 서로 대부분이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치부(62a)의 계지면(68)에 대해서는 제2 치부(64a)의 만곡면(70)이 대응하도록(등을 맞대는 것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제1 치부(62a)의 만곡면(66)에 대해서는 제2 치부(64a)의 계지면(72)이 대응하도록(등을 맞대는 것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로크 레버(44) 측의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계합 아암(58)은, 도 6의 평면도에서, 지지축(56)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도중에 제2 계합 아암(60) 측으로 약간 굴곡하여 있고, 그 외연(外緣)의 선단(先端)에, 지지축(5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도록 약간 만곡한 회동 단면(선단면)(58a)을 가진다. 제2 계합 아암(60)은, 도 6의 평면도에서, 지지축(56)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도중에 제1 계합 아암(58) 측으로 약간 굴곡하여 있고, 그 외연(外緣)의 선단(先端)에, 지지축(5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도록 약간 만곡한 회동 단면(선단면)(60a)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제1, 제2 동력 전달 기구에서는, 예를 들면, 도 2 및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로크 레버(44)의 제1 계합 아암(58)이, 웜 휠(50)의 제1 돌기부(62)의 회동 궤적 안에 위치하고, 제2 계합 아암(60)이, 웜 휠(50)의 제2 돌기부(64)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있고, 소정의 제1 치부(62a)의 계지면(68)이,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에 상접 또는 근접하여 있다. 이하, 도 2 및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에 있고, 도어 래치 장치(12)가 언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의 웜 휠(50)의 위치(각도 위치)를 제1 정치 위치(제1 각도 위치)라고 부른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소정의 제1 치부(62a)에 인접하는 제1 치부(62a)의 만곡면(66)이,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는 위치, 예를 들면 근소한 간격 t1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다(도 7(A) 참조). 더욱이, 이 상태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제1 치부(62a)의 계지면(68)의 적어도 일부가, 로크 레버(44)의 지지축(5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C1 상에 위치하여 있다. 또,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로부터 상기 간격 t1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만곡면(66)을 가지는 제1 치부(62a)에 대응한 제2 돌기부(64)의 제2 치부(64a)는, 그의 계지면(72)의 적어도 일부가, 로크 레버(44)의 지지축(5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C2 상에 위치하여 있다. 요약하면, 원호 C1과 원호 C2는, 지지축(56)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이고, 이 동심원 상에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과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이 위치하여 있는 것으로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이 원호 C1을 따라 회동하고,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가 원호 C2를 따라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웜 휠(50)이 제1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에 상접하는 상기 소정의 제1 치부(62a)의 계지면(68)과, 상기 소정의 제1 치부(62a)에 인접하고,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으로부터 상기 간격 t1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만곡면(66)을 가지는 제1 치부(62a)에 대응한 제2 치부(64a)의 계지면(72)는,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 및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의 서로 동심의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여 있다.
도 2 및 도 7(A)에 나타낸 언로크 위치로부터, 키 실린더 또는 로크 노브가 로크 조작되면, 도 3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는, 로크 방향(도 7(B)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로크 위치에서 정지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 7(A)에 나타낸 웜 휠(50)의 제1 정지 위치에서는,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과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이 상기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있다. 이 때문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웜 휠(50)의 제1 돌기부(62)는 로크 레버(44)의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여 있고, 더욱이, 제1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웜 휠(50)의 제2 돌기부(64)는 로크 레버(44)의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여 있다. 이 때문에, 웜 휠(50)이 제1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상태에서,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회동하여도,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이 제1, 제2 돌기부(62, 64)에 대하여 문질러 접하는 것은 있어도 상접하여 가압하는 것은 없으므로, 수동 조작에 의한 로크 레버(44)의 회동에 수반하여, 웜 휠(50)이 회전하는 것은 없다. 따라서, 키 실린더 및 로크 노브의 로크 조작에 의해, 웜 휠(50)이나 모터(48)가 회전시켜지는 것이 방지되고, 로크 조작 시의 저항이 적게 가벼운 힘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모터(48)가 역회전하여 발전기로서 동작하여, 열화 해버리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웜 휠(50)이 제1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상태에서,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과 상접 또는 근접하여 있는 계지면(68)을 가지는 제1 치부(62a)에 인접하는 제1 치부(62a)의 만곡면(66)은, 근소한 간격 t1을 개재하여 제1 계합 아암(58)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웜 휠(50)의 회동 구동에 의해 로크 레버(44)를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시킨 직후의 오버런(overrun) 등에 의해 웜 휠(50)이 과잉으로 회전하도록 한 경우가 있어도, 웜 휠(50)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은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과 계지면(68)과의 계합 작용에 의해 방지되고, 더욱이 역방향으로의 회전은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의 모서리부와 간격 t1을 개재한 만곡면(66)와의 상접 작용에 의해 근소한 회전 각도만으로 규제된다. 따라서, 웜 휠(50)이 확실히 제1 정지 위치에 정지하기 때문에, 로크 조작 시의 저항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로크 레버(44)의 제1 계합 아암(58)이, 웜 휠(50)의 제1 돌기부(62)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제2 계합 아암(60)이, 웜 휠(50)의 제2 돌기부(64)의 회동 궤적 안에 위치하고 있고, 소정의 제2 치부(64a)의 계지면(72)이,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에 상접 또는 근접하여 있다. 이하, 도 3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가 로크 위치에 있고, 도어 래치 장치(12)가 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의 웜 휠(50)의 위치(각도 위치)를 제2 정치 위치(제1 각도 위치)라고 부른다.
상기 언로크 상태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소정의 제2 치부(64a)에 인접하는 제2 치부(64a)의 만곡면(70)이,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는 위치, 예를 들면 근소한 간격 t2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다(도 7(B) 참조). 더욱이, 이 상태에서도,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제2 치부(64a)의 계지면(72)의 적어도 일부가, 로크 레버(44)의 지지축(5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C3 상에 위치하여 있다. 또,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으로부터 상기 간격 t2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만곡면(70)을 가지는 제2 치부(64a)에 대응한 제1 돌기부(62)의 제1 치부(62a)는, 그의 계지면(68)의 적어도 일부가, 로크 레버(44)의 지지축(5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C4 상에 위치하여 있다. 요약하면, 원호 C3과 원호 C4는, 지지축(56)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이고, 이 동심원 상에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과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이 위치하여 있는 것으로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이 원호 C3을 따라 회동하고,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이 원호 C4를 따라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웜 휠(50)이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에 상접하는 상기 소정의 제2 치부(64a)의 계지면(72)과, 상기 소정의 제2 치부(64a)에 인접하고,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으로부터 상기 간격 t2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만곡면(70)을 가지는 제2 치부(64a)에 대응한 제1 치부(62a)의 계지면(68)은,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 및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의 서로 동심의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여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62)와 제2 돌기부(64)를, 서로 등을 맞댄 대칭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간격 t1과 간격 t2가 동일하게 되고, 원호 C1과 원호 C2가 동경(同徑)으로 된다.
도 3 및 도 7(B)에 나타낸 언로크 위치로부터, 키 실린더 또는 로크 노브가 로크 조작되면, 도 2 및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는, 언로크 방향(도 7(A)에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언로크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경우에도, 도 7(B)에 나타낸 웜 휠(50)의 제2 정지 위치에서는,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과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이 상기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있다. 이 때문에,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웜 휠(50)의 제1 돌기부(62)는, 로크 레버(44)의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여 있고, 더욱이, 제2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웜 휠(50)의 제2 돌기부(64)는, 로크 레버(44)의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여 있다. 따라서, 웜 휠(50)이 제2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상태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로크 레버(44)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여도,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이 제1, 제2 돌기부(62, 64)에 대하여 문질러 접하는 것은 있어도 상접하여 가압하는 것은 없어, 로크 레버(44)의 회동에 수반하여, 웜 휠(50)이 회전하는 것은 없다.
또, 웜 휠(50)이 제2 정지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상태에서도,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과 상접(또는 근접)하여 있는 계지면(72)을 가지는 제2 치부(64a)에 인접하는 제2 치부(64a)의 만곡면(70)은, 근소한 간격 t2을 개재하여 제2 계합 아암(60)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제1 정지 위치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웜 휠(50)의 회동 구동에 의한 로크 레버(44)의 회동 직후의 오버런(overrun) 등에 의해 웜 휠(50)이 과잉으로 회전하도록 한 경우가 있어도, 웜 휠(50)의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지면(72)와 만곡면(70)에 의해 방지되므로, 웜 휠(50)이 확실히 제1 정지 위치에 정지하기 때문에, 로크 조작 시의 저항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주로 도 8을 참조하여, 모터(48)의 구동작용 하에서 웜 휠(50)을 회전시켜, 로크 레버(44)를 언로크 위치 및 로크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 래치 장치(12)를 언로크 상태 및 로크 상태로 전동으로 전환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한쪽의 회전면(50a) 측으로부터 본 웜 휠(50)과 로크 레버(44)의 동작 설명도이고, 도 8(A)는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5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1 돌기부(62)가 로크 레버(44)에 상접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C)는, 도 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50)을 더 회전시켜, 로크 레버(44)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D)는, 도 8(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50)을 더 회전시켜, 로크 레버(44)를 더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E)는, 도 8(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웜 휠(50)을 더 회전시켜, 로크 레버(44)를 더 회동시켜 로크 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역시, 도 8에서는, 웜 휠(50) 및 로크 레버(44)의 주요부만을 명시하고, 기타의 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 및 로크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연계 레버나 키 레버 등도 이것에 대응하여 연계 동작되어, 도어 래치 장치(12)가 언로크 상태 및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또, 도 8에서는, 웜 휠(50)의 회전에 의한 제1 돌기부(62)의 회전 각도와 로크 레버(44)의 회전 위치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 제1 돌기부(62)를 구성하는 3매의 제1 치부(62a) 중, 하나의 제1 치부(62a)의 선단에 마크 M1을 붙이고, 다른 하나의 제1 치부(62a)의 선단에 마크 M2를 붙이고 있다.
우선, 로크 레버(44)를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회동시키는 로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로크 레버(4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정지한 상태에 있고,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가, 제1 정지 위치에 있는 웜 휠(50)의 제1 돌기부(62)의 소정의 제1 치부(62a)의 계지면(68)에 상접(또는 근접)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 차내에 마련된 조작 스위치나 휴대용의 조작 스위치가 로크 조작되면, 모터(48)가 로크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웜 휠(50)이, 도 8(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로크 방향(시계 방향, 화살표 A1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50)이, 예를 들면 13.87° 회전하면,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단면(58a)의 모서리부(제1 계합 아암(58)의 바깥 가장자리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면(58b)의 상부)에, 상기 소정의 제1 치부(62a)의 계지면(68)에 로크 방향으로 후속하는 제1 치부(62a)의 만곡면(66)이 상접하기 시작한다. 더욱이, 웜 휠(50)이 로크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치부(62a)의 만곡면(66)이 제1 계합 아암(58)의 내측면(58b)의 상부에 문질러 접하면서 로크 레버(44)를 가압하기 때문에, 로크 레버(44)는 로크 방향(반시계 방향, 화살표 B2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50)의 로크 방향으로의 회동이 진행하면, 로크 레버(44)는 더욱 크게 로크 방향으로 회동한다.
최종적으로는,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50)이, 예를 들면 128.46° 회전하면, 로크 레버(44)는 제1 계합 아암(58)이 제1 돌기부(62)의 회동 궤적 밖으로 벗어나 로크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제2 계합 아암(60)이 제2 돌기부(64)의 회동 궤적 내에 진입하고, 그의 회동 단면(60a)에 웜 휠(50)의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이 상접한다. 이것에 의해, 웜 휠(50)의 회전이 정지되고, 웜 휠(50)은 제2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로크 레버(44)의 로크 위치로의 전환 동작이 완료하여, 도어 래치 장치(12)가 로크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로크 레버(44)를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시키는 언로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언로크 동작은 상기의 로크 동작과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고,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로크 레버(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정지한 상태에 있고,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이,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웜 휠(50)의 제2 돌기부(64)의 소정의 제2 치부(64a)의 계지면(72)에 상접(또는 근접)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 차내에 마련된 조작 스위치나 휴대용의 조작 스위치가 언로크 조작되면, 모터(48)이 언로크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웜 휠(50)이, 도 8(E)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반시계 방향, 화살표 B1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의 모서리부(제2 계합 아암(60)의 바깥 가장자리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면(60b)의 상부)에, 상기 소정의 제2 치부(64a)의 계지면(72)에 언로크 방향으로 후속하는 제2 치부(62a)의 만곡면(70)이 상접하기 시작하고, 더욱이, 웜 휠(50)이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도 8(C)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치부(64a)의 만곡면(70)이 제2 계합 아암(60)의 내측면(60b)의 상부에 문질러 접하면서 로크 레버(44)를 가압하여 회동시키기 때문에, 로크 레버(44)는 언로크 방향(반시계 방향, 화살표 A2방향)으로 회동한다.
최종적으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50)이, 예를 들면 로크 동작과는 역방향으로 128.46° 회전하면, 로크 레버(44)는 제2 계합 아암(60)이 제2 돌기부(64)의 회동 궤적 밖으로 벗어나 언로크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제1 계합 아암(58)이 제1 돌기부(62)의 회동 궤적 내에 진입하고, 그의 회동 단면(58a)에 웜 휠(50)의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이 상접한다. 이것에 의해, 웜 휠(50)의 회전이 정지되고, 웜 휠(50)은 제1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로크 레버(44)의 언로크 위치로의 전환 동작이 완료하여, 도어 래치 장치(12)가 언로크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웜 휠(50)의 회전에 의해 로크 레버(44)를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또는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의 장치에서는, 웜 휠의 돌기부가 로크 레버의 계합 아암에 상접하기까지의 작동 각도가 크게, 예를 들면 230°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를 대출력의 것으로 하여 그의 동작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지만,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웜 휠의 돌기부가 상접할 때에 발생하는 큰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해,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과 웜 휠의 돌기부의 사이에, 충격 흡수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특허 문헌 3 참조).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액츄에이터 유닛(10)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50)이 제1 정지 위치 및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과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이, 로크 레버(44)의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궤적과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로크 레버(44)의 지지축(5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 원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츄에이터 유닛(10)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언로크 위치나 도 7(B)에 나타낸 로크 위치에 있어서, 제1 계합 아암(58)이나 제2 계합 아암(60)에 상접(또는 근접)하고 있는 소정의 제1, 제2 치부(62a, 64a)에 인접하는 제1, 제2 치부(62a, 64a)의 만곡면(66, 70)이, 상기한 바와 같이 근소한 간격 t1, t2 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정된다. 특히, 본 예에서는, 도 7(A)나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치부(62a, 64a)의 만곡면(66, 70)이, 제1 계합 아암(58)이나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궤적의 연장과 교차하여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크 동작 시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언로크 동작 시는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50)의 회전을 개시한 직후에 상기 인접하는 제1, 제2 치부(62a, 64a)의 만곡면(66, 70)이, 로크 레버(44)의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의 내측면(58b, 60b)에 상접하기 시작한다. 게다가, 예를 들면, 로크 동작 시에는,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계합 아암(58)이 제1 돌기부(62)의 만곡면(66)에 의해 크게 차내어져, 제1 돌기부(62)의 회동 궤적 밖으로 벗어난 때에는, 이미 제1 돌기부(62)의 만곡면(66)에 후속하는 게지면(68)이 제1 계합 아암(58)의 회동 궤적을 거의 따르고, 이면 측으로 되는 제2 계합 아암(60)의 회동 단면(60a)에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이 근접하여 있고, 바로 회동 단면(60a)과 계지면(72)가 상접하여, 로크 동작이 완료하는 것으로 되고(도 8(E) 참조), 언로크 동작 시에 관하여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언로크 동작이나 로크 동작의 개시로부터 로크 레버(44)의 회동 개시까지, 더욱이 회전 정지까지의 웜 휠(50)의 작동 각도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터 48을 저출력의 것으로 하여도, 소망의 동작시간 내에 확실히 로크 동작 및 언로크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동 단면(58a, 60a)에 계지면(68, 72)이 상접할 때의 충격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10)에서는, 예를 들면, 로크 동작 시에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50)의 회전 개시로부터 13.87° 정도에서 로크 레버(44)의 회동이 개시되고, 128.46° 정도에서 회동 동작이 정지하는 것으로 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의 장치에서는, 64° 정도에서 로크 레버의 회동이 개시되고, 230° 정도에서 회동 동작이 정지하는 것으로 되어, 그 작동 각도의 차는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10)에서는, 제1 돌기부(62)의 계지면(68)과 제2 돌기부(64)의 계지면(72)이, 로크 레버(44)의 지지축(5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적은 작동 각도에서의 로크 동작 및 언로크 동작을 확보하면서도,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44)가 언로크 위치 또는 로크 위치에 있고, 웜 휠(50)이 제1 정지 위치 또는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 레버(44)의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의 회동 궤적 상에는 웜 휠(50)의 제1, 제2 돌기부(62, 64)가 없다. 이것에 의해, 수동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로크 노브나 키 실린더의 수동 조작을 행한 경우에, 로크 레버(44)가 웜 휠(50)을 질질 끄는 것 없이, 로크 레버(44)의 언로크 위치 및 로크 위치로의 원활한 회동 동작이 허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계지면(68, 72)의 적어도 일부가 동심원 상에 위치한다면,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평면도에서, 계지면(68, 72)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가 원호 C1, C2, C3, C4 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면 좋고, 계지면(68, 72)의 외형의 전부가 동심원 상에 있을 필요는 없다. 바꿔 말하면, 수동 조작 시의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의 원활한 회동 동작을 고려하면, 계지면(68, 72)의 측부에는, 제1, 제2 계합 아암(58, 60)이 회동할 때의 회피부를 마련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로이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웜 휠(50)의 제1, 제2 돌기부(62, 64)로서, 각각 3매의 제1, 제2 치부(62a, 54a)를 구비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제1, 제2 치부(62a, 54a)의 설치 매수는 4매 이상이어도 물론 좋고, 중요한 것은, 웜 휠(50)이 제1 정지 위치 및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소정의 제1, 제2 치부(62a, 54a)의 계지면(68, 72)의 적어도 일부가 동심원 상으로 되는 구성이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도어 래치 장치의 동작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액츄에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 특정의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2년4월5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특원2012-086627)에 기초한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0: 액츄에이터 유닛 12: 도어 래치 장치
44: 로크 레버 48: 모터
50: 웜 휠 50a, 50b 회전면,
52: 웜 54: 지지축부
56: 지지축 58: 제1 계합 아암
58a, 60a: 회동 단면 60: 제2 계합 아암
62: 제1 돌기부 62a: 제1 치부
64: 제2 돌기부 64a: 제2 치부
68, 72: 계지면

Claims (5)

  1.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드라이브 기어와, 소정의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한 로크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및 도어에 마련되는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의 어느 것인가로 상기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도어 래치 장치를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액츄에이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기어는, 양측의 회전면 중 한쪽의 제1 회전면에 형성된 제1 돌기부와, 다른 쪽의 제2 회전면에 형성된 제2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로크 레버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상기 제1 회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1 돌기부와 상접 가능한 제1 계합 아암과, 상기 제2 회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 돌기부와 상접 가능한 제2 계합 아암을 가지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버 기어의 제1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1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가압면과, 상기 제1 회동 방향과는 역의 제2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계지면을 가지고, 상기 가압이면 및 상기 계지면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복수 마련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버 기어의 제2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2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가압면과, 상기 제1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계지면을 가지고, 상기 가압이면 및 상기 계지면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복수 마련되고, 또한 상기 가압이면은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과 등을 맞대고, 또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과 등을 맞대고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크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제2 회동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이 그 회동 방향에서 상기 제2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고, 이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계지면이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제1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상기 로크 레버가 상기 언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제1 회동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이 그 회동 방향에서 상기 제1 계합 아암에 상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크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 회동하고, 이어서 상기 제2 돌기부의 계지면이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제2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1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의 원호 형상의 제1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또한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1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과 등을 맞대어 마련된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회동 궤적과 동심의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의 원호형상의 제2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2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고, 또한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2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과 등을 맞대어 마련된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제1 회동 궤적을 따라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1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1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은, 상기 제1 회동 궤적의 연장과 교차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제2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계합 아암의 회동 단면에 상접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계지면에 상기 제2 회동 방향에 후속하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가압면은, 상기 제2 회동 궤적의 연장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된 3매의 제1 치부를 가지고, 각 제1 치부의 상기 제1 회동 방향 측의 단면에 상기 가압면이, 또 각 제1 치부의 상기 제2 회동 방향 측의 단면에 상기 계지면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된 3매의 제2 치부를 가지고, 각 제2 치부의 상기 제2 회동 방향 측의 단면에 상기 가압면이, 또 각 제2 치부의 상기 제1 회동 방향 측의 단면에 상기 계지면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양측의 회전면에 등을 맞대어 배치된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유닛.
  5. 제 1 항에 기재된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장치.
KR1020147030655A 2012-04-05 2012-11-27 액츄에이터 유닛 및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도어 래치 장치 KR101523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6627 2012-04-05
JP2012086627A JP5923789B2 (ja) 2012-04-05 2012-04-05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PCT/JP2012/080611 WO2013150681A1 (ja) 2012-04-05 2012-11-27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及び該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を備えるドアラ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390A true KR20150008390A (ko) 2015-01-22
KR101523940B1 KR101523940B1 (ko) 2015-05-29

Family

ID=4930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655A KR101523940B1 (ko) 2012-04-05 2012-11-27 액츄에이터 유닛 및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도어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2289B2 (ko)
JP (1) JP5923789B2 (ko)
KR (1) KR101523940B1 (ko)
CN (1) CN104220686B (ko)
GB (1) GB2514978B (ko)
WO (1) WO2013150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4650B2 (ja) * 2014-08-05 2018-08-0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JP6507407B2 (ja) 2015-01-08 2019-05-0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トランクリッド用ラッチ装置
JP6492348B2 (ja) * 2015-09-24 2019-04-0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CN115419344A (zh) * 2022-08-30 2022-12-0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电开门的控制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0842B2 (ja) 1993-12-10 1999-05-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ドアロック駆動装置
WO1995016093A1 (fr) 1993-12-10 1995-06-15 Nippondenso Co., Ltd. Mecanisme d'entrainement d'une serrure de porte
JP3363417B2 (ja) * 1999-12-21 2003-01-0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の出力軸の連結構造
JP4754413B2 (ja) 2006-06-01 2011-08-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CN201087626Y (zh) 2007-08-10 2008-07-16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汽车电动门锁
JP4935612B2 (ja) 2007-10-09 2012-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4963720B2 (ja) 2009-12-21 2012-06-2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
JP5005047B2 (ja) * 2010-01-07 2012-08-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5282913B2 (ja) 2010-05-26 2013-09-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723687B1 (ja) * 2010-10-15 2011-07-1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0686B (zh) 2016-01-20
US20150091309A1 (en) 2015-04-02
WO2013150681A1 (ja) 2013-10-10
KR101523940B1 (ko) 2015-05-29
JP2013217050A (ja) 2013-10-24
CN104220686A (zh) 2014-12-17
GB2514978B (en) 2016-03-02
US9222289B2 (en) 2015-12-29
GB201417439D0 (en) 2014-11-19
JP5923789B2 (ja) 2016-05-25
GB2514978A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940B1 (ko) 액츄에이터 유닛 및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도어 래치 장치
US9109382B2 (en) Door locking device
JPH0711826A (ja) スーパーロック機構付アクチュエータ
JP5781025B2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JP2012233318A (ja) ドアロック装置
WO2016132463A1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4015764A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US11566454B2 (en) Motor vehicle lock
CN112004981B (zh) 机动车锁
JP4921219B2 (ja)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US20220145675A1 (en) Automobile door latch device
JP5006963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用アクチュエータ
US11840868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5120941B2 (ja) 車両ドアラッチユニット
JP6528207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組立方法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
US7438330B2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WO2013136954A1 (ja) ドアロック装置
GB2529019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4651523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用アクチュエータ
JP5033030B2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CN116335495A (zh) 动作传递构造和检测装置以及汽车用门锁装置
JPH07119344A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用のアクチュエータ
JP2021123902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8248591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02232488A (ja) 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