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36A -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36A
KR20150005436A KR1020140070583A KR20140070583A KR20150005436A KR 20150005436 A KR20150005436 A KR 20150005436A KR 1020140070583 A KR1020140070583 A KR 1020140070583A KR 20140070583 A KR20140070583 A KR 20140070583A KR 20150005436 A KR20150005436 A KR 20150005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menu
cursor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762B1 (ko
Inventor
카나메 하야사카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유저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편집 처리장치(1)는, 편집 대상을 표시하는 출력장치(18)와, 출력장치(18)에 있어서 편집 대상의 위치와 커서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또한, 커서 위치에 있어서의 과거의 선택 빈도에 따라, 선택 빈도가 높을수록 상위로 되도록 편집 대상에 대한 편집 메뉴를 출력장치(18)에 표시하는 CPU(1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EDI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EDITING PROGRAM}
본 발명은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컴퓨터의 키보드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배치되는 펑션 키를 선택함으로써, 그 선택된 펑션에 따른 조작을 마우스 커서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디스플레이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형상의 커서를 표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미리 설정된 패턴 전환 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커서 패턴을 표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커서를 윈도우 프레임 위에 이동시키면 커서 형상이 변화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마우스 커서의 표시 내용(색이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편집기능을 전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작업 선이나 마크의 주위에 마우스 커서를 가까이 하면, 각각의 처리 모드에 따른 마우스 커서 형상으로 변화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 60-18179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01-18288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02-21619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09-016314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09-274627호 공보
이들 선행 기술에서는, 커서 혹은 마우스 커서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편집기능을 전환하고 있지만, 커서의 전환 포인트가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고, 원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좌표를 찾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하는 조작으로 커서의 형상이 변화하였다고 하더라도, 실행하기 전에 무의식적으로 커서가 이동해 버리면, 의도하지 않는 조작이 실행되어 버리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집 처리장치는, 편집 대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위치와 유저의 조작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또한, 상기 조작 위치에 있어서의 과거의 선택 빈도에 따라, 상기 선택 빈도가 높을수록 상위로 되도록 상기 편집 대상에 대한 편집 메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메뉴를 팝업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메뉴의 선택에 따라 커서의 형상을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대상의 위치와 유저의 조작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자동적으로 커서의 형상을 변화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유저의 조작 위치는, 커서 위치 혹은 터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편집 대상은, 음성신호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편집 대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편집 대상의 위치와 상기 유저의 조작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또한, 상기 조작 위치에 있어서의 과거의 선택 빈도를 기억장치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선택 빈도가 높을수록 상위로 되도록 상기 편집 대상에 대한 편집 메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집 대상에 대한 원하는 편집 메뉴를 용이하게 선택해서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블록 구성도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처리 흐름도다.
도 3은 실시형태의 모식적 설명도다.
도 4는 실시형태의 모식적 설명도다.
도 5는 음성신호 파형의 편집 설명도다.
도 6은 음성신호 파형의 편집 설명도다.
도 7은 음성신호 파형의 편집 설명도다.
도 8은 음성신호 파형의 편집 설명도다.
도 9는 사진의 편집 설명도다.
도 10은 사진의 편집 설명도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의 처리 흐름도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처리 흐름도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집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편집 처리장치(1)는, CPU(10)과, ROM(12)과, RAM(14)과, 입력장치(16)와, 출력장치(18)와 버스(20)를 구비한다.
CPU(10)은, ROM(12)에 기억된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소정의 처리에는, 출력장치(18)에 각종의 오브젝트를 편집 대상으로 하여 표시하는 처리, 커서를 표시하는 처리, 유저의 조작 위치로서의 커서 위치를 검출하는 처리, 검출한 커서 위치에 따라 편집 메뉴를 표시하는 처리, 선택된 편집 메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처리, 및 검출한 커서 위치에 따라 표시해야 할 편집 메뉴를 학습 데이터에 의해 변경하는 처리 등이 포함된다.
ROM(12)은,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편집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을 경유해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해서 ROM(12)에 기억해도 된다. RAM(14)은, 워킹 메모리로서 편집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14)에 기억되는 데이터에는, 학습 데이터,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의한 편집 메뉴의 선택 이력이 포함된다.
입력장치(16)는, 마우스나 마우스 패드, 펜,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고, 유저가 각종 조작을 입력한다.
출력장치(18)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편집 처리 프로그램에서의 각종 편집 대상을 표시한다.
CPU(10)은,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ROM(12)으로부터 판독해서 실행하고, 편집 대상을 출력장치(18)에 표시하는 동시에, 입력장치(16)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에 따라 편집 대상을 편집 처리한다. 여기에서, 「편집 처리」에는,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문서편집, 도형작성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도형편집, 사진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사진편집,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음성파형 편집 등이 포함된다.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문서편집의 편집 대상은 문서이고, 도형작성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도형편집의 편집 대상은 도형이고, 사진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사진편집의 편집 대상은 사진이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음성파형 편집의 편집 대상은 음성신호 파형이다. CPU(10)은, 이들 문서나 도형, 사진, 음성신호 파형 등의 편집 대상을 출력장치(18)에 표시하고, 커서 위치와 편집 대상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편집 대상에 대해 편집할 때에 행해야 할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한다. 그리고, 이 때에, CPU(10)은, 과거에 유저가 그 위치에 있어서 선택한 편집 메뉴를 RAM(14)에 기억해서 학습하고, 과거의 선택 이력에 따라, 선택한 빈도가 높을수록 상위로 되도록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PU(10)의 처리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1) 편집 대상을 출력장치(18)에 표시한다
(2) 유저의 조작 위치로서 커서 위치를 검출한다
(3) 편집 대상의 위치와 커서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한다
(4) 상대적 위치에 있어서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선택 빈도가 높을수록 상위로 되도록 리스트 표시한다.
이때, 편집 대상의 위치와 커서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란, 커서 위치 단독은 아니고, 편집 대상의 위치를 고려한 커서 위치의 의미이며, 구체적으로는, 커서 위치가 편집 대상의 위치와 중첩하고 있는 것, 커서 위치가 편집 대상의 위치의 근방인 것, 커서 위치가 편집 대상의 위치와 이격되어 있는 것 등이다. CPU(10)은, 편집 대상의 표시 위치는 기지이기 때문에, 커서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양자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 위치에 있어서의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즉, 해당 상대적 위치에 있어서 아직도 유저가 특정한 편집 메뉴를 선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10)은 편집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디폴트의 순서로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한다.
도 2에, 본 실시형태의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다. CPU(10)은, 편집 대상을 출력장치(18)에 표시한 후, 유저가 조작하고 있는 마우스 등의 커서 위치를 검출한다(S101). 커서 위치는, 출력장치(18)의 표시 영역에서의 2차원 직교좌표 X, Y 좌표로 검출된다. 다음에, CPU(10)은, 검출된 커서 위치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있는지 아닌지, 즉 과거에 유저가 특정한 메뉴를 선택한 이력이 RAM(14)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2). 그 위치에 있어서 아직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02에서 NO), CPU(10)은, 그 위치, 즉 편집 대상과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미리 프로그램에서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메뉴를 표시한다(S103). 예를 들면, 커서 위치가 편집 대상과 겹치는 위치에 있을 때에, 편집 메뉴로서 「카피」, 「페이스트」, 「커트」가 존재하고, 디폴트로서 이 순서로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 등이다.
한편, 그 위치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102에서 YES), CPU(10)은, 그 위치에 있어서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메뉴를 표시한다(S104). 예를 들면, 커서 위치가 편집 대상과 겹치는 위치에 있을 때에, 과거에 유저가 커트를 선택한 이력이 RAM(14)에 기억되어 있으면, CPU(10)은, 그 위치에 있어서, 커트를 최상위에 표시하도록 메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커서 위치에 따라 편집 메뉴를 표시할 때에, 학습에 따라 메뉴 표시를 변경함으로써, 유저는 그 위치에 있어서 과거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원하는 메뉴를 선택해서 실행할 수 있다.
유저가 표시된 편집 메뉴 중 어느 한개를 선택한 경우, CPU(10)은, 선택된 편집 메뉴를 실행하는 동시에, 그 편집 메뉴의 선택 이력을 새롭게 RAM(14)에 추가 기억해서 학습한다. 다음회에, 유저가 마찬가지로 편집 대상에 겹치도록 커서 위치를 이동시킨 경우, 이 학습 데이터가 반영되어서 편집 메뉴가 표시되게 된다. 유저는, 과거에 선택한 편집 메뉴가 최상위에 리스트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전과 동일한 것과 같은 편집 처리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편집 메뉴를 용이하게 선택해서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에 사용한 편집 메뉴가 최상위에 표시되어서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유저는 간단히 마우스로 그 편집 메뉴를 확정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 만으로 된다.
이때, S102에서 학습 있음으로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있는 경우, 각 편집 메뉴의 과거의 선택 빈도에 따른 순서로 리스트 표시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편집 메뉴로서 a, b, c, d가 있고, 각각의 과거의 선택 회수가 a: 0회, b: 1회, c: 3회, d: 2회인 경우, 편집 메뉴 c를 최상위에 표시하고, 그 다음에, d, b, a의 순서로 표시한다.
도 3에, 본 실시형태의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CPU(10)이, 출력장치(18)에 편집 대상(50)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는 편집 대상으로서 음성신호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지만, 예시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저가 입력장치(16)로서의 마우스를 조작해서 커서를 도면 중 A 위치에서 조작한 경우, CPU(10)은 커서의 위치 A를 검출하고, 이 위치 A에 따른 편집 메뉴를 표시한다. 위치 A는, 편집 대상(50)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있어서의 위치이다. 그리고, 아직 이 위치 A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CPU(10)은 디폴트 메뉴(100)로서,
편집 메뉴 a
편집 메뉴 b
편집 메뉴 c
편집 메뉴 d
편집 메뉴 e
를 이 순서로 리스트 표시한다.
또한, 이 위치 A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고, 과거에 편집 메뉴 c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PU(10)은, RAM(14)에 기억된 학습 데이터에 따라 편집 메뉴의 표시를 변경하여, 학습후의 메뉴(102)로서,
편집 메뉴 c
편집 메뉴 a
편집 메뉴 b
편집 메뉴 d
편집 메뉴 e
의 순서로 표시한다. 즉 빈도가 높은 순서로 리스트 표시하고, 빈도가 동일하면 디폴트의 순서로 표시한다. 과거에 선택된 이력이 한번도 없는 편집 메뉴에 대해서는, 리스트로부터 삭제해서 표시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편집 메뉴 e에 대해서는 과거에 한번도 선택되지 않고, 그 밖의 편집 메뉴에 대해서는 선택된 일이 있는 경우, 편집 메뉴 e에 대해서는 리스트 표시하지 않는 것 등이다. 이에 따라, 보다 선택 시인성이 향상된다.
한편, 커서를 도면 중 B 위치에서 조작한 경우, CPU(10)은, 커서의 위치 B을 검출하고, 이 위치에 따른 편집 메뉴를 표시한다. 위치 B는, 편집 대상(5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다. 아직 이 위치 B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CPU(10)은 디폴트 메뉴(200)로서,
편집 메뉴 u
편집 메뉴 v
편집 메뉴 w
편집 메뉴 x
편집 메뉴 y
를 이 순서로 리스트 표시한다. 위치 A와 위치 B에서는, 편집 대상(50)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디폴트 메뉴도 서로 다르다. 위치 B에서는, 위치 A에 있어서의 편집 메뉴 a, b, c 등은 무효이기 때문에 표시되지 않고, 반대로, 위치 A에서는, 위치 B에 있어서의 편집 메뉴 u, v, w 등은 무효이기 때문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위치 A, B 각각에 있어서 유저의 편집 메뉴 선택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위치 B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여, 과거에 편집 메뉴 y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PU(10)은, RAM(14)에 기억된 학습 데이터에 따라 편집 메뉴의 표시를 변경하여, 학습후의 메뉴(202)로서,
편집 메뉴 y
편집 메뉴 u
편집 메뉴 v
편집 메뉴 w
편집 메뉴 x
의 순서로 표시한다. 즉 빈도가 높은 순서로 리스트 표시하고, 빈도가 동일하면 디폴트의 순서로 표시한다.
도 3에 있어서, 위치 A, B에 의해 디폴트 메뉴 100, 200이 서로 다르고, 또한, 이들의 편집 메뉴가 각각 학습 데이터에 의해 변경되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4에, 본 실시형태의 다른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의 처리에서는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하고 있지만, 이 예에서는 편집 메뉴를 팝업 표시한다. 출력장치(18)에 편집 대상(50)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CPU(10)이 커서의 위치 A를 검출하면, 이 위치 A에 따라, 즉 편집 대상(50)과 위치 A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편집 메뉴를 팝업 표시한다. 이 위치 A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CPU(10)은, 디폴트 메뉴로서 편집 메뉴 a만을 팝업(300)으로서 표시한다.
한편, 위치 A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CPU(10)은 편집 메뉴 b만을 팝업(302)으로서 표시한다. 가령, 유저가 편집 메뉴 b 이외의 편집 메뉴의 선택을 희망하는 경우, 예를 들면, 우클릭하는 것 등으로 해서 CPU(10)에 다른 편집 메뉴의 표시를 지시하면 된다. CPU(10)은, 이 조작에 따라 팝업(302) 표시 대신에 다른 편집 메뉴를 표시한다. 유저가 편집 메뉴 b 이외의 편집 메뉴를 선택한 경우, CPU(10)은, 그 편집 메뉴가 선택되어 실행된 것을 RAM(14)에 기억해서 학습한다.
학습 데이터는, 편집 대상(50)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마다, 및 그들의 위치에 있어서 디폴트 편집 메뉴에 존재하는 각각의 편집 메뉴마다 축적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의 위치 A는 편집 대상(50) 위의 위치이고, 위치 B는 편집 대상(5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라고 하면, 편집 대상(50) 위의 위치에 있어서, 편집 메뉴 a∼e마다 과거의 선택 이력이 카운트되어 RAM(14)에 기억된다. 또한, 편집 대상(5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편집 메뉴 u∼y마다 과거의 선택 이력이 카운트되어 RAM(14)에 기억된다. 즉, 편집 대상과의 상대적 위치마다 및 편집 메뉴마다의 2차원 맵으로서 학습 데이터가 RAM(14)에 기억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편집 처리를, 음성신호 파형의 편집 처리, 및 사진의 편집 처리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음성신호 파형의 편집 처리를 행하는 화면 예를 나타낸다. 출력장치(18)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제1채널, 제2채널, 제3채널, 제4채널의 합계 4채널분의 음성신호 파형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제3채널 및 제4채널의 음성신호 파형을 편집하는 경우, 우선, 입력장치(16)로서의 마우스를 조작하여, 제3채널의 음성신호 파형 및 제4채널의 음성신호 파형을 선택한다. 도 5에서는, 제3채널의 음성신호 파형 및 제4채널의 음성신호 파형이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선택된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유저가 마우스를 조작해서 커서를 선택된 제3채널의 음성신호 파형 및 제4채널의 음성신호 파형 위로 이동시키면, CPU(10)은,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음성신호 파형 위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음성신호 파형의 편집 메뉴를 표시한다.
도 6에, 편집 메뉴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편집 메뉴로서, 레벨(Level), 카피(copy), 삽입(insert), 페이스트(paste)가 표시되고, 학습의 결과로써 레벨이 최상위에 표시된다. 디폴트의 편집 메뉴에서는, 카피가 최상위에 표시되지만, 이 위치, 즉 음성신호 파형 위에 커서가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과거에 유저가 레벨을 선택해서 실행한 결과, 카피가 아니라 벨이 최상위에 표시된다. 이때, 이 이외에도, 음성신호 파형 에 대한 편집 메뉴로서는, 커트(cut), 소거(erase), 트림(trim), 이동(move), 페이드(fade) 등도 생각할 수 있다. 가령, 유저가 과거에 페이드를 복수회 선택한 경우, 레벨이 아니라 페이드가 최상위에 표시되게 된다. 레벨과 페이드의 선택 회수가 같은 수일 경우, 디폴트의 순위에 따라 어느 한개가 상위로 설정된다(디폴트에 있어서 레벨이 상위이면 레벨이 최상위에 표시된다).
도 6에 있어서, 편집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는, 유저가 마우스를 조작해서 편집 메뉴의 해제 조작을 행하거나, 혹은 음성신호 파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서 명확하게 음성신호 파형으로부터 커서 위치가 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표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편집 메뉴를 선택해서 실행하기 전에 무의식적으로 커서가 이동해 버려도,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실행되는 일은 없다.
도 7에, 유저가 마우스를 조작해서 커서를 음성신호 파형의 단부 근방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편집 메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편집 메뉴로서, 트림, 카피, 인서트, 페이스트, 레벨이 표시되고, 학습의 결과로써, 트림이 최상위에 표시된다. 이것은, 파형의 단부에서는, 카피나 레벨 변경이 아니라, 트림 처리를 행한다고 하는 실제조작에 준한 결과로 되어 있다.
도 8에, 유저가 마우스를 조작해서 커서를 음성신호 파형 위나 단부 근방 이외의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편집 메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편집 메뉴로서, 카피, 인서트, 페이스트, 레벨이 표시되고, 학습의 결과로써, 카피가 최상위에 표시된다. 이때, 도 8에서는, 최상위에 표시된 카피가 아니라, 유저가 마우스의 휠을 회전 조작해서 2번째로 표시된 인서트를 선택하고 있는 상황도 나타낸다. 유저가 이 인서트를 선택해서 실행하면, 인서트의 선택·실행 데이터가 RAM(14)에 학습 데이터로서 기억되고, 학습의 결과에 따라서는, 다음번에는, 유저가 이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인서트가 최상위에 표시된다.
도 9에, 사진의 편집 처리를 행하는 화면 예를 나타낸다. 출력장치(18)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진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마우스를 조작해서 커서를 사진의 인물의 눈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CPU(10)은, 커서의 위치를 검출해서 그 위치에 따른 편집 메뉴를 표시한다. 편집 메뉴로서, 적목 보정, 보존, 파기, 프로텍트 설정, 송신, 모노톤, 유화, 스케치가 표시되고, 학습의 결과로써, 적목 보정이 최상위에 표시된다.
도 10에, 유저가 마우스를 조작해서 커서를 사진의 인물의 눈 이외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CPU(10)은, 커서의 위치를 검출해서 그 위치에 따른 편집 메뉴를 표시한다. 편집 메뉴로서, 보존, 파기, 프로텍트 설정, 트리밍, 적목 보정, 스케치, 모노톤, 송신, 유화가 표시되고, 학습의 결과로써, 보존이 최상위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커서와 편집 대상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편집 대상에 대한 편집 메뉴를 표시하는 동시에, 과거의 선택 및 실행 빈도에 따라 표시 순위를 변경함으로써, 유저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의 조작 위치로서 커서 위치를 사용하여, 커서 위치에 따라 편집 메뉴를 표시하고 있지만, 입력장치(16)가 태블릿 단말 등의 터치패널인 경우, 유저의 조작 위치로서 커서 위치 대신에 유저의 터치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CPU(10)은, 유저의 터치 위치가 소정 시간 계속해서 특정 위치에 있는 경우와 탭 조작을 검출하면, 그 위치에 따라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한다. 편집 메뉴는, 과거의 선택 및 실행 빈도에 따른 순위로 표시된다. 유저가 손가락을 떼면, 최상위의 편집 메뉴가 선택되어 실행된다. 유저가 그 위치에서 손가락을 아래쪽으로 조금 옮기면, 리스트 표시된 편집 메뉴 중의 임의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 이외에도, 터치 조작의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 폰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학습 데이터를 RAM(14)에 기억하고 있지만, ROM(12) 등의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기억해도 된다. 학습 데이터를 기억할 때에, 유저 개인의 인증 데이터와 함께 기억해도 된다. 즉, 유저마다 학습 데이터를 기억하고, 유저마다 편집 메뉴의 표시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집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선택된 커서의 기능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편집 메뉴마다 다른 아이콘을 준비해 놓고, 커서의 형상을 선택된 편집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변화시켜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아이콘 변화의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는,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으로 선택되어 있는 편집 메뉴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편집 메뉴의 리스트 표시 혹은 팝업 표시를 일정 시간 경과후에 비표시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편집 메뉴를 재표시하는 경우에는, 입력장치(16)를 조작(예를 들면, 마우스를 우클릭하는 것 등)해서 표시를 지시하면 된다.
도 11에, 이 경우의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CPU(10)은, 커서 위치를 검출한다(S201). 다음에, 커서 위치에 따라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하거나, 혹은 팝업 표시한다(S202). 그리고, 유저에 의해 편집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S203),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 혹은 팝업 표시에 따른 아이콘으로 커서의 형상을 전환하여 표시한다(S204). 한편, 유저가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커서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한다. 그후, 일정 시간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S205),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S202에서 표시한 편집 메뉴 혹은 팝업 표시를 비표시로 한다(S206).
더구나, 편집 대상의 위치와 커서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을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때, 일정 시간, 표시되고 잇는 아이콘의 기능 설명으로서,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 혹은 팝업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편집 메뉴가 리스트 표시 혹은 팝업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는, 편집 메뉴의 선택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선택 조작이 실행되어 있는 동안에는, 일정 시간 경과후라도, 편집 메뉴의 리스트 표시 혹은 팝업 표시를 계속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이 경우의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CPU(10)은, 커서 위치를 검출한다(S301). 다음에, 선택 아이콘을 표시하고(S302),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하거나, 혹은 팝업 표시한다(S303). 그리고, 내장 타이머의 시간 측정을 스타트하고(S304), 편집 메뉴의 선택 조작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305). 유저에 의한 선택 조작이 없는 경우, 타이머의 시간 측정을 리셋하고(S306), S30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유저에 의한 선택 조작이 있는 경우, 타이머의 시간 측정이 일정 시간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더 판정한다(S307). 일정 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S305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즉, 편집 메뉴의 리스트 표시, 혹은 팝업 표시는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편집 메뉴의 리스트 표시, 혹은 팝업 표시를 비표시로 한다(S308).
1 편집 처리장치, 10 CPU, 12 ROM, 14 RAM, 16 입력장치, 18 출력장치, 20 버스.

Claims (16)

  1. 편집 대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위치와 유저의 조작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또한, 상기 조작 위치에 있어서의 과거의 선택 빈도에 따라, 상기 선택 빈도가 높을수록 상위로 되도록 상기 편집 대상에 대한 편집 메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메뉴의 선택에 따라 커서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대상의 위치와 유저의 조작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자동적으로 커서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메뉴를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메뉴를 팝업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 경과후에 상기 편집 메뉴의 표시를 비표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 경과후에 상기 편집 메뉴의 표시를 비표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조작 위치는, 커서 위치 혹은 터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조작 위치는, 커서 위치 혹은 터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조작 위치는, 커서 위치 혹은 터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은, 음성신호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은, 음성신호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은, 음성신호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장치.
  14.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편집 대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편집 대상의 위치와 상기 유저의 조작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또한, 상기 조작 위치에 있어서의 과거의 선택 빈도를 기억장치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선택 빈도가 높을수록 상위로 되도록 상기 편집 대상에 대한 편집 메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메뉴의 선택에 따라 커서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위치와 유저의 조작 위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자동적으로 커서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40070583A 2013-07-04 2014-06-11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575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0336A JP6171635B2 (ja) 2013-07-04 2013-07-04 編集処理装置及び編集処理プログラム
JPJP-P-2013-140336 2013-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36A true KR20150005436A (ko) 2015-01-14
KR101575762B1 KR101575762B1 (ko) 2015-12-21

Family

ID=5213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583A KR101575762B1 (ko) 2013-07-04 2014-06-11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19134B2 (ko)
JP (1) JP6171635B2 (ko)
KR (1) KR101575762B1 (ko)
CN (1) CN10428136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799A (ko) * 2016-03-10 2018-10-04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안면 모델 편집 방법 및 장치
US11182054B2 (en) 2020-03-27 2021-11-23 Coupang Corp. Web-browser plugin for consolidating requested disaggregated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9348B (zh) * 2016-01-14 2019-10-29 深圳市柯达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音视频播放器及方法
JP6767799B2 (ja) * 2016-07-12 2020-10-1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903380B2 (ja) * 2017-10-25 2021-07-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端末装置
US10884769B2 (en) * 2018-02-17 2021-01-05 Adobe Inc. Photo-editing application recommendations
US11036811B2 (en) 2018-03-16 2021-06-15 Adobe Inc. Categorical data transformation and clustering for machine learning using data repository systems
JP7363069B2 (ja) * 2019-03-20 2023-10-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412971B2 (ja) 2019-11-18 2024-01-15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端末装置、決済用プログラム、決済用口座の登録処理方法、及び振分サーバ
WO2023152899A1 (ja) * 2022-02-10 2023-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設定装置及び表示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2881A (ja) 1988-01-14 1989-07-20 Toshiba Corp マウスカーソル表示方式
JPH02216193A (ja) 1989-02-17 1990-08-29 Hitachi Ltd 表示画面制御方式
JPH06181790A (ja) 1992-12-17 1994-07-05 Tokuyama Soda Co Ltd 組換えタンパクの製造方法
JPH0916314A (ja) 1995-06-27 1997-01-17 Casio Comput Co Ltd 編集処理方法
JPH09274627A (ja) 1996-04-05 1997-10-21 Ee I Soft Kk 日程管理表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2297187A (ja) * 2001-03-30 2002-10-11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Yokyo Inc 音声編集装置及び音声編集プログラム
KR20110013766A (ko) * 2009-08-03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JP2011107823A (ja) * 2009-11-13 2011-06-02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20103075A (ko) * 2011-03-09 2012-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커서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790A (ja) 1984-02-29 1985-09-17 富士通株式会社 カ−ソル表示制御方式
JPH087656B2 (ja) * 1986-11-06 1996-0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メニユ−表示装置
JPH05173750A (ja) * 1991-12-26 1993-07-13 Toshiba Corp 図形処理装置
US5729673A (en) 1995-04-07 1998-03-17 Avid Technology, Inc. Direct manipulation of two-dimensional moving picture streams in three-dimensional space
JPH0981322A (ja) 1995-09-12 1997-03-28 Casio Comput Co Ltd 表示制御装置
JPH10222340A (ja) * 1997-02-13 1998-08-21 Xing:Kk 情報端末装置
US6160539A (en) 1998-06-08 2000-12-12 Wacom Co., Ltd. Digitizer system with cursor shape changing as a function of pointer location on menu strip
WO1999066394A1 (en) 1998-06-17 1999-12-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adapting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historical usage
JP2004062904A (ja) * 2003-07-31 2004-02-26 Hitachi Ltd 複数ディスプレイによる対話型制御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CN100381997C (zh) 2006-04-29 2008-04-16 怡利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触控式按键的菜单选择方法
US7793211B2 (en) * 2006-08-28 2010-09-07 Walter Brenner Method for delivering targeted web advertisements and user annotations to a web page
US7882449B2 (en) * 2007-11-13 2011-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suitable menu position indicators that predict menu placement of menus having variable positions depending on an availability of display space
US8607137B2 (en) * 2008-07-05 2013-12-10 Exceedland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via a global communications network
JP5617375B2 (ja) * 2010-06-22 2014-11-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39319B1 (ko) 2011-07-05 201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EP2490113B1 (en) 2011-02-15 2016-11-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8725133B2 (en) 2011-02-15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055162B2 (en) 2011-02-15 2015-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2638611B (zh) 2011-02-15 2014-10-22 Lg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WO2012128361A1 (ja) * 2011-03-23 2012-09-2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操作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プログラム
US8570339B2 (en) * 2011-05-26 2013-10-29 Xerox Corporation Modifying color adjustment choices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in an image editing system
US9261989B2 (en) * 2012-09-13 2016-02-16 Google Inc. Interacting with radial menus for touchscreens
CN103092471B (zh) 2013-01-04 2016-03-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动态功能菜单的实现方法和终端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2881A (ja) 1988-01-14 1989-07-20 Toshiba Corp マウスカーソル表示方式
JPH02216193A (ja) 1989-02-17 1990-08-29 Hitachi Ltd 表示画面制御方式
JPH06181790A (ja) 1992-12-17 1994-07-05 Tokuyama Soda Co Ltd 組換えタンパクの製造方法
JPH0916314A (ja) 1995-06-27 1997-01-17 Casio Comput Co Ltd 編集処理方法
JPH09274627A (ja) 1996-04-05 1997-10-21 Ee I Soft Kk 日程管理表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2297187A (ja) * 2001-03-30 2002-10-11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Yokyo Inc 音声編集装置及び音声編集プログラム
KR20110013766A (ko) * 2009-08-03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JP2011107823A (ja) * 2009-11-13 2011-06-02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20103075A (ko) * 2011-03-09 2012-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커서 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799A (ko) * 2016-03-10 2018-10-04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안면 모델 편집 방법 및 장치
US10628984B2 (en) 2016-03-10 2020-04-2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Facial model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182054B2 (en) 2020-03-27 2021-11-23 Coupang Corp. Web-browser plugin for consolidating requested disaggregated information
US11861142B2 (en) 2020-03-27 2024-01-02 Coupang Corp. Web-browser plugin for consolidating requested disaggregate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81360A (zh) 2015-01-14
JP6171635B2 (ja) 2017-08-02
JP2015014861A (ja) 2015-01-22
CN104281360B (zh) 2018-06-22
KR101575762B1 (ko) 2015-12-21
US10019134B2 (en) 2018-07-10
US20150012884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62B1 (ko)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6884830B2 (ja) 文書編集における手書きサポートを提供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KR101720849B1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JP4577428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767515C (en)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5658552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346011B2 (en) User interface for the application of image effects to images
US854219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400599B2 (en) Method for changing object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30215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bject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190126267A (ko) 디스플레이 창에 대한 캡쳐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9885222B (zh) 图标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TW201324312A (zh) 具有觸摸屏的電子設備及其頁面處理方法
KR102142328B1 (ko) 상호 작용 모드 선택 방법
US201401155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4860149A (zh) 内容编辑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12010A (ko)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6249851B2 (ja) 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82342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500199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onic document
JP73375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160044194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상의 복수객체에서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6434339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11114A (ko) 사용자 정의 터치 입력 패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415891A (zh) 桌面布局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