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010A -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010A
KR20150012010A KR1020130087293A KR20130087293A KR20150012010A KR 20150012010 A KR20150012010 A KR 20150012010A KR 1020130087293 A KR1020130087293 A KR 1020130087293A KR 20130087293 A KR20130087293 A KR 20130087293A KR 20150012010 A KR20150012010 A KR 20150012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grouping
displayed
par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보
류철
Original Assignee
조용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보 filed Critical 조용보
Priority to KR102013008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010A/ko
Publication of KR2015001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아이콘을 간이한 방식으로 그룹핑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콘 중 임의의 아이콘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의 임의의 아이콘을 모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 아이콘으로 설정된 아이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 아이콘 및 상기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ICONS DISPLAYED ON USER TERMIANL,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아이콘을 간이한 방식으로 그룹핑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대중화로 인해서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등의 사용자 단말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특히,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은 휴대성이라는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기본적으로 탑재되거나 사용자가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카메라, MP3, 문서작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은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수행이 되는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실행 아이콘으로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실행 아이콘에 대한 키 입력,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기술 발전으로 사용자 단말이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게 되고, 다양한 사업자에 의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화면에 출력할 실행 아이콘의 개수도 늘어나게 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실행 아이콘을 적절히 편집하여 추가, 삭제, 그룹화 하는 방법이 요구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은 휴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한정된 출력 장치를 구비되기 때문에, 아이콘을 간편하게 그룹화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메뉴 키를 선택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한 이후, 그룹 폴더를 생성하고 그룹핑을 요구하는 각각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추가하는 함으로써, 아이콘 그룹핑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아이콘 그룹핑 방법은 그룹핑을 요하는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수회 반복해서 드래그하여 추가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간편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그룹핑 하고자 하는 아이콘이 서로 다른 페이지에 표시되는 경우, 아이콘 그룹핑 수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자 아이콘을 동시에 선택하여 모 아이콘의 위치에 그룹핑 되게 함으로써, 개별 선택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보다 용이하게 아이콘의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콘 중 임의의 아이콘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의 임의의 아이콘을 모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 아이콘으로 설정된 아이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 아이콘 및 상기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 아이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 아이콘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 아이콘이 상기 모 아이콘으로 끌려가서 상기 모 아이콘에 부착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 아이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모 아이콘에 부가된 이미지를 드래그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부가된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상 중첩되는 아이콘을 상기 자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아이콘을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된 아이콘 중 임의의 아이콘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임의의 아이콘을 모 아이콘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 아이콘으로 설정된 아이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상기 모 아이콘 및 상기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 아이콘 설정 시, 상기 모 아이콘을 변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 아이콘 및 상기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 생성 시, 상기 자 아이콘이 상기 모 아이콘으로 끌려가서 부착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모 아이콘에 부가된 이미지를 드래그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부가된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상 중첩되는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페이지에서 복수의 아이콘을 동시에 자 아이콘으로 선택함으로써,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그룹 폴더에 추가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아이콘 그룹핑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콘 그룹핑 수행 시, 자 아이콘이 모 아이콘으로 끌려가서 모 아이콘에 부착되는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석이 물체를 끌어들여 부착시키는 것과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고, 모 아이콘과 자 아이콘의 그룹핑 수행과정을 보다 직관적으로 표현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에 있어서, 모 아이콘을 설정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에 있어서, 자 아이콘을 설정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에 있어서, 그룹 폴더의 생성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단말의 메뉴, 입력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1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일련의 아이콘 그룹핑 수행 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으로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실행 아이콘을 터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 편집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삭제, 추가하거나 아이콘의 이미지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장치가 구비된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경우,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아이콘 그룹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 그룹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임의의 아이콘에 대한 그룹핑 입력, 임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경우,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력부(120)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아이콘 그룹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는 동작(멀티 터치 포함), 드래그(Drag) 하는 동작, 탭(Tab)하는 동작 등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로 전송되는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입력하면, 입력부(120)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입력부(120)를 통해 아이콘 그룹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아이콘을 그룹핑 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임의의 아이콘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이 수신되면, 그룹핑 입력이 발생된 아이콘을 모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고, 모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에 그룹 폴더를 생성하여, 모 아이콘과 자 아이콘을 그룹핑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모 아이콘과 자 아이콘의 그룹핑 수행 시, 소정의 효과 이미지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보다 아이콘 그룹핑 수행과정을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수행방법은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100)는 메모리부 및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미도시)는 본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아이콘 그룹핑 수행과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비롯한, 사용자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하고,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TCP/IP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 WiFi(Wireless Fidelity)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100)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전자책(e-book) 등 다양한 사용자 단말에 적어도 일부로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아이콘 그룹핑 장치(10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을 도시한다.
S21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사용자 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이거나, 사용자가 추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 일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제어부(1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아이콘 중 임의의 아이콘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그룹핑 입력은 아이콘 그룹핑 수행을 위한 그룹핑 모드로의 변환을 명하는 사용자 입력으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임의의 아이콘을 임계시간 이상 터치하면, 명령 메뉴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활성화 되어 터치된 아이콘 주변에 표시되고, 명령 메뉴 중에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외에도, 그룹핑 입력은 그룹핑 모드 진입을 위한 소프트 키 입력, 임의의 아이콘에 대한 멀티 터치, 임의의 영역을 일정시간 이상 터치하는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임의의 아이콘에 대한 그룹핑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그룹핑 입력이 발생한 아이콘을 모 아이콘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모 아이콘은 아이콘 그룹핑 수행 시 그룹 폴더가 생성되는 위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 아이콘 설정 시, 다른 아이콘과 시각적으로 구분이 되도록 모 아이콘을 일정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모 아이콘의 변형은 모 아이콘에 자석 이미지를 부가하는 것,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는 것 및 아이콘이 떨리는 효과를 부과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모 아이콘으로 설정된 아이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자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은, 아이콘 상단에 활성화되어 표시된 체크 박스를 체크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모 아이콘 또는 모 아이콘에 부가된 이미지를 드래그하면, 드래그에 따라 이동되는 모 아이콘 또는 부가된 이미지가 임의의 아이콘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상 중첩되는 경우, 해당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선택하는 방법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이지에 표시된 아이콘뿐만 아니라, 다른 페이지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아이콘을 동시에 자 아이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여러 페이지에서 복수의 아이콘을 동시에 자 아이콘으로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그룹 폴더에 추가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아이콘 그룹핑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모 아이콘이 변형되어 표시되는 것에 대응하여, 자 아이콘도 일정한 방식으로 변형 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이미지가 부가되거나, 하이라이트 효과가 부가 등으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모 아이콘에 표시된 위치에 모 아이콘 및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모 아이콘과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의 생성 과정은 사용자가 별도의 터치 입력을 가함으로써 수행되거나, 별도의 터치 입력 없이 자 아이콘의 설정이 종료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모 아이콘과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 생성 시, 자 아이콘이 모 아이콘으로 끌려가서 모 아이콘에 부착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의 표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석(모 아이콘)이 물체(자 아이콘)을 끌어들여 부착시키는 것과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모 아이콘과 자 아이콘의 그룹핑 수행과정을 보다 직관적으로 표현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에 있어서, 모 아이콘을 설정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다수의 아이콘(310, 320)이 표시되고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임의의 아이콘(320)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아이콘(320)을 임계시간 이상 터치하면, 명령 메뉴(330)가 활성화 되어 아이콘(320) 주변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명령 메뉴(330) 중에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을 선택함으로써, 그룹핑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아이콘(320)에 대해 그룹핑 입력을 발생시키면, 그룹핑 입력이 발생된 아이콘(320)은 모 아이콘(340)으로 설정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 아이콘(340) 설정 시, 다른 아이콘과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모 아이콘(340)에 자석 이미지(350)와 같은 추가적인 이미지가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 아이콘(340)에 하이라이트 효과나 아이콘이 떨리는 효과를 부가하는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에 있어서, 자 아이콘을 설정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자 아이콘(410, 420)은 아이콘 상단에 활성화된 체크 박스(430)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 아이콘(340)이 설정된 이 후, 모 아이콘(340)을 제외한 아이콘 상단에 체크 박스(430)가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사용자는 그룹핑을 원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체크 박스(430)를 체크함으로써, 자 아이콘(410, 420)을 선택할 수 있다. 체크 박스(430)를 통해 자 아이콘(410, 420)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아이콘이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뿐만 아니라, 다른 페이지에 표시되는 아이콘에 대해서도 아이콘 상단에 활성화 된 체크 박스(430)를 이용하여 선택 가능하며, 복수의 아이콘을 동시에 자 아이콘(410, 420)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자 아이콘(410, 420)을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 아이콘(340)에 부가된 자석 이미지(350)를 터치 후 드래그 하면, 드래그에 따라 자석 아이콘(350)이 이동하게 되고, 자석 아이콘(350)이 이동하면서 특정한 아이콘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상 중첩되면 해당 아이콘이 자 아이콘(410, 420)으로 선택되게 된다.
자 아이콘(410, 420)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410, 420)으로 설정을 하고, 자 아이콘(410, 420)에 소정의 이미지를 부가하거나 하이라이트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에 있어서, 그룹 폴더의 생성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자 아이콘(410, 420)이 모 아이콘(340)에 끌려 들어가 부착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면서 모 아이콘(340)과 자 아이콘(410, 420)이 삽입된 그룹 폴더(510)가 모 아이콘(340)이 표시되던 위치에 생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석이 물체를 끌어들여 부착되게 하는 것과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모 아이콘(340)과 자 아이콘(410, 420)의 그룹핑 수행과정을 보다 직관적으로 표현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자 아이콘(410, 420) 설정 이후, 그룹 폴더(510)의 생성 과정은 사용자가 별도의 터치 입력을 가함으로써 수행되거나, 별도의 터치 입력 없이 자 아이콘(410, 420)의 설정이 종료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310,320 아이콘 330 명령 메뉴
340 모 아이콘 350 자석 이미지
410,420 자 아이콘 430 체크 박스
510 그룹 폴더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그룹핑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콘 중 임의의 아이콘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의 임의의 아이콘을 모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 아이콘으로 설정된 아이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 아이콘 및 상기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 아이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 아이콘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 아이콘이 상기 모 아이콘으로 끌려가서 상기 모 아이콘에 부착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 아이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모 아이콘에 부가된 이미지를 드래그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부가된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상 중첩되는 아이콘을 상기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6.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그룹핑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아이콘을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된 아이콘 중 임의의 아이콘에 대하여 그룹핑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임의의 아이콘을 모 아이콘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 아이콘으로 설정된 아이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상기 모 아이콘 및 상기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 아이콘 설정 시, 상기 모 아이콘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 아이콘 및 상기 자 아이콘이 삽입된 그룹 폴더 생성 시, 상기 자 아이콘이 상기 모 아이콘으로 끌려가서 부착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모 아이콘에 부가된 이미지를 드래그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모 아이콘 또는 상기 부가된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상 중첩되는 아이콘을 자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KR1020130087293A 2013-07-24 2013-07-24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50012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293A KR20150012010A (ko) 2013-07-24 2013-07-24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293A KR20150012010A (ko) 2013-07-24 2013-07-24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010A true KR20150012010A (ko) 2015-02-03

Family

ID=5248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293A KR20150012010A (ko) 2013-07-24 2013-07-24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20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5197A (zh) * 2016-05-26 2016-10-2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展示方法及终端
US10817163B2 (en) 2015-02-26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tem
CN114582377A (zh) * 2019-05-22 2022-06-03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沉浸式环境中对象分组和操纵的方法、系统和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7163B2 (en) 2015-02-26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tem
CN106055197A (zh) * 2016-05-26 2016-10-2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展示方法及终端
CN114582377A (zh) * 2019-05-22 2022-06-03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沉浸式环境中对象分组和操纵的方法、系统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1210458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diting screenshot images
JP6884830B2 (ja) 文書編集における手書きサポートを提供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US1083133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radial menu system
US20210049321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notating text
US9766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10180767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acilitating execu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simultaneously
US107760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nd using a trackpad at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no force sensors
US11112959B2 (en) Linking multiple window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KR2014002838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76313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US116692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nd using a trackpad at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no force sensors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656784B2 (en) Method of arranging ic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40097820A (ko) 전자장치에서 웹페이지 내의 특정 객체의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447626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91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KR20130097266A (ko)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160357381A1 (en) Selecting Content Item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JP2018512676A (ja) テキスト選択制御への向上
KR20150012010A (ko)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핑 수행장치, 수행방법 및 그 기록매체
CN113805737B (zh) 文件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