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00U -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700U
KR20150003700U KR2020150001255U KR20150001255U KR20150003700U KR 20150003700 U KR20150003700 U KR 20150003700U KR 2020150001255 U KR2020150001255 U KR 2020150001255U KR 20150001255 U KR20150001255 U KR 20150001255U KR 20150003700 U KR20150003700 U KR 201500037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debris
cutting debris
shoe
sho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아카이
요시히로 마츠모토
마사시 요코야마
토시아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디엠지 모리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엠지 모리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디엠지 모리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3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3Devices for removing chips using the gravit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32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 B23B2200/328Details of chip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0Chip guiding or remo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72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Turning (AREA)

Abstract

절삭 부스러기가 쌓이기 어렵고, 청소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워크의 기계 가공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를 기 외로 배출하는 절삭 부스러기 회수 상자에 인도하는 절삭 부스러기 슈터(21)를, 상기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가 도입되는 도입 개구(21a)와 이 절삭 부스러기를 상기 절삭 부스러기 회수 상자를 향하여 배출하는 배출 개구(21b)를 안내 벽면으로 접속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 벽면은 연직 벽면(21d~21f)과, 이 연직 벽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의 경사 벽면(21g~21i)을 포함하고, 적어도 경사 벽면끼리의 경계부(d, e) 및 경사 벽면과 연직 벽면과의 경계부(a, b, c)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했다.

Description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CHIP DISCHARGE DEVICE FOR MACHINE TOOL}
본 고안은 워크의 기계 가공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切屑)를 기 외(機外)로 배출하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절삭 부스러기를 절삭 부스러기 회수 상자 또는 칩 컨베이어로 인도하는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로서, 종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는 복수의 평판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위 부재와, 횡단면 ㄷ자 형상의 홈부를 가지고, 상기 포위 부재의 하방에 배치된 절삭 부스러기 배출 홈통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31642호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는 복수의 평판을 조합한 포위 부재와 ㄷ자 형상의 홈을 가지는 홈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많은 코너부를 가지고, 이 코너부에 절삭 부스러기가 쌓이기 쉽고, 이 코너부에 쌓인 절삭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청소 작업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절삭 부스러기가 쌓이기 어렵고, 청소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고안은, 워크의 기계 가공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를 기 외로 배출하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와, 이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에 상기 절삭 부스러기를 인도하는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구비한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상기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가 도입되는 도입 개구와 이 절삭 부스러기를 상기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를 향하여 배출하는 배출 개구를 안내 벽면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이 안내 벽면은 연직 벽면과, 이 연직 벽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의 경사 벽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경사 벽면끼리의 경계부 및 경사 벽면과 연직 벽면과의 경계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 베드의 워크 가공부 하방 부분에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설치하는 슈터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상기 슈터 설치부에 상기 베드의 외측방으로부터 기계 중심측을 향하여 삽입되고, 상기 슈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고안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슈터 설치부에는 걸음 자리(係止座)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이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외표면에 형성된 걸음편(係止片)을 상기 걸음 자리에 검음으로써 상기 슈터 설치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고안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는 기계 중심의 좌, 우에 배열설치된 워크 가공부와, 이 각 워크 가공부의 하방에 배열설치된 좌, 우의 슈터 설치부를 가지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상기 좌, 우의 슈터 설치부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안내 벽면을, 연직 벽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벽면을 가지고, 적어도 경사 벽면끼리의 경계부 및 경사 벽면과 연직 벽면과의 경계부에 대해서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즉 경사 벽면끼리 또는 경사 벽면과 연직 벽면이 절삭 부스러기가 쌓이기 쉬운 코너부를, 바꾸어 말하면 인접하는 벽면끼리가 절곡되어 있는 것 같은 형상을 이루지 않도록 했으므로, 상기 코너부나 절곡부에 절삭 부스러기가 퇴적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연직 벽면끼리의 경계부에 대해서는, 코너부나 절곡부가 있어도 절삭 부스러기는 자중으로 낙하하여 이 코너부 등에 쌓이는 일은 거의 없으므로, 반드시 평면이나 곡면으로 접속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연직면끼리의 경계부라도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하면, 절삭 부스러기의 쌓임을 한층 더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청구항 2의 고안에서는, 상기 공작 기계 베드의 워크 가공부 하방 부분에 슈터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상기 슈터 설치부에 상기 베드의 외측방으로부터 기계 중심측을 향하여 삽입하고, 상기 슈터 설치부에 고정했으므로, 날대(刃物臺)가 베드의 작업자측 부분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부착, 분리 작업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고안에서는, 상기 베드의 슈터 설치부에 걸음 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외표면에 형성된 걸음편을 상기 걸음 자리에 거는 것으로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상기 슈터 설치부에 부착했으므로,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부착, 분리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고안에서는, 좌, 우의 슈터 설치부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동일 형상의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180° 회전시킴으로써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동일 형상의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채용 가능하게 되고, 금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의 형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구비한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선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선반에 있어서의 날대의 날대 설치부로의 조립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베드의 슈터 설치부에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가 탑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베드의 슈터 설치부에 탑재된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단면 정면도(도 2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단면 측면도(도 6의 XI-XI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반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후는 기계 정면에 위치하는 오퍼레이터(M)로부터 보아, 앞측이 전을, 안측이 후를 의미하고, 좌우는 오퍼레이터(M)로부터 보아 좌우를 의미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전후 대향형 선반이다. 이 선반(1)은 좌, 우 한 쌍의 베드(2, 2)와, 이 각 베드(2)의 기부(2a) 상에, 전후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설치된 칼럼(3)과, 이 각 칼럼(3)의 전면에,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머리부(4)와, 상기 오퍼레이터(M)측에 배치된 날대(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베드(2, 2)는 공통 베드(2') 상에 탑재되어 있고, 본 실시예 선반(1)에서는 상기 베드(2, 2)의 경계선이 기계 중심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칼럼(3)은 상기 기부(2a) 상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9a) 상에 슬라이더(9b)를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고, 도시하지 않는 볼나사를 Z축 이송 모터(9c)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Z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각 주축머리부(4)는 상기 칼럼(3)의 전면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0a)에 슬라이더(10b)를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는 볼나사를 Y축 이송 모터(10c)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Y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상기 각 주축머리부(4) 내에는 주축(5)이 축선을 수평을 향하게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배열설치되어 있고, 이 주축(5)의 주축머리부(4)로부터 돌출되는 선단부에는 워크(W)를 파지하기 위한 척(워크 파지부)(6)이 오퍼레이터(M)측을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11은 워크 공급 반출 기구이며, 이것은 미가공 워크(W)를 상기 좌측의 주축(5)의 척(6)에 공급하고, 이 척(6)으로부터 가공 완료 워크를 취출하여 우측의 주축(5)의 척(6)에 공급하고, 또한 이 워크(W)를 척(6)으로부터 기 외로 반출한다.
상기 각 베드(2)는 상기 기부(2a)로부터 오퍼레이터(M)측으로 오버행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날대 설치부(2b)를 가지고, 좌, 우의 날대 설치부(2b, 2b)는 상기 기계 중심을 걸치도록 배열설치된 접속 브래킷(17)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날대 설치부(2b)는 상기 주축(5)의 하방 또한 오퍼레이터(M)측의 빈 스페이스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종벽(2c)과, 이 종벽(2c)과 상기 기부(2a)의 전단부를 접속하는 내측벽(2d) 및 외측벽(2d')을 가진다. 외측벽(2d')에는 후술하는 절삭 부스러기 슈터(21)를 부착하고, 분리할 때의 작업을 용이화하기 위한 절결(2m)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대 설치부(2b)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부분은 슈터 설치부(2g)로 되어 있다.
상기 날대 설치부(2b)의 종벽(2c)에는 상기 날대(8)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오목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e)는 상방으로 개구하고 있고, 그 종변부에는 좌, 우의 지지 플랜지부(2f, 2f)가 이 오목부(2e)의 내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지지 플랜지부(2f)에는 나사 구멍(2h) 및 위치 결정 구멍(2i)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대(8)는 외주면에 복수의 날(T)을 구비한 원반 형상의 터릿(회전 부재)(13)과, 이 터릿(13)을 상기 주축(5)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 둘레에 분할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할 기구(14)와, 이 분할 기구(14)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5)와, 이 지지 플레이트(15)에 장착되고, 상기 분할 기구(14)를 회전 구동하는 분할 모터(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5)는 직사각형판 형상의 것으로, 상기 오목부(2e)에 끼워맞춰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부착 플랜지부(15a)를 가진다. 이 부착 플랜지부(15a)의, 상기 오목부(2e)측의 나사 구멍(2h), 위치 결정 구멍(2i)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볼트 구멍(15b), 위치 결정 구멍(15c)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대(8)는 미리 위치 결정 구멍(2i, 2i)에 압입에 의해 식설(植設)되어 있는 위치 결정 핀(19a, 19a)이 위치 결정 구멍(15c, 15c)에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19b)에 의해 상기 날대 설치부(2b)의 종벽(2c)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 선반(1)은 상기 워크(W)의 선삭 가공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를 배출하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7)는 상기 공구(T)에 의한 워크(W)의 가공 포인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기내 커버(20)와, 상기 각 베드(2)의 상기 각 슈터 설치부(2g)에 배열설치된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와, 이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하방에 배치된 절삭 부스러기 회수 상자(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좌, 우의 슈터 설치부(2g, 2g)는 상기 기계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있고, 이 좌우 대칭형의 슈터 설치부(2g, 2g)에 배치된 각 금속 슈터(21, 21)도 상기 기계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21)는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 성형한 소위 라운드셰이프 형상의 것이다. 이 절삭 부스러기 슈터(21)는 상기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가 낙하 도입되는 도입 개구(21a)와, 이 도입 개구(21a)보다 소직경이며, 상기 낙하 도입된 절삭 부스러기를 상기 절삭 부스러기 회수 상자를 향하여 낙하 배출하는 배출 개구(21b)와, 이하 상세히 서술하는 다수의 벽면을 일체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 개구(21b)와 상기 도입 개구(21a)를 접속하는 안내 벽면을 가진다.
상기 안내 벽면은 연직 방향으로 넓어지는 연직 벽면(21d, 21e, 21f)과, 이 연직 벽면에 대하여 상기 소직경의 배출 개구(21b)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 벽면(21g, 21h, 21i)을 가진다. 상기 연직 벽면(21d~21f) 및 상기 경사 벽면(21g~21i)의 서로 인접하는 벽면끼리의 경계부는 모두 평면 또는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계부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연직 벽면(21d)과, 연직 벽면(21f)과의 경계부(a), 경사 벽면(21i)과의 경계부(b), 경사 벽면(21i)과, 연직 벽면(21f)과의 경계부(c), 경사 벽면(21h)과의 경계부(d), 또는 이 경사 벽면(21h)과 경사 벽면(21g)과의 경계부(e) 등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들 경계부(a~e)는 모두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벽면끼리의 경계부도 코너부(각부)를, 또는 절곡부를 형성하지 않는 연속면에 의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절삭 부스러기 슈터(21, 21)는 상기 베드(2)의 워크 가공부 하방에 형성된 슈터 설치부(2g, 2g)에 상기 베드(2)의 좌, 우 외측방으로부터 상기 절결(2m, 2m)을 통과하여 기계 중심측을 향하여 삽입되고, 상기 슈터 설치부(2g, 2g)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드(2)의 슈터 설치부(2g)의 외측벽면(2d')의 내면에는 걸음 자리(2p)가, 내측 벽면(2d)의 내면에는 걸음 자리(2n)가 복수 세트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연직 벽면(21d)의 외면에는 걸음편(21j)이, 경사 벽면(21g)의 외면에는 걸음편(21k)이 복수 세트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21)는 이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외표면의 걸음편(21j, 21k)을 상기 걸음 자리(2n, 2p)에 거는 것으로 이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슈터 설치부(2g)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구(T)에 의해 워크(W)를 선삭 가공함으로써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는 기내 가이드(20)에 안내되면서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도입구(21a)로부터 이 절삭 부스러기 슈터(21) 내에 낙하 도입되고, 안내 벽면에 의해 배출구(21b)로 안내되어, 하방으로 낙하 배출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안내 벽면은 복수의 연직 벽면(21d~21f)과 복수의 경사 벽면(21g~21i)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든 인접하는 벽면끼리의 경계부(a~e)가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코너부 또는 절곡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절삭 부스러기는 안내 벽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낙하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안내 벽면을 구성하는 연직 벽면(21d~21f) 및 경사 벽면(21g~21i)의 모든 경계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했으므로, 즉 벽면끼리가 절삭 부스러기가 쌓이기 쉬운 코너부나 절곡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했으므로, 벽면의 코너부나 절곡부에 절삭 부스러기가 퇴적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연직 벽면끼리의 경계부에 대해서도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했으므로, 절삭 부스러기가 쌓이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베드(2)의 워크 가공부 하방 부분에 슈터 설치부(2g)를 형성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21)를 상기 슈터 설치부(2g)에 상기 베드의 외측방으로부터 절결(2m)을 통과시켜 기계 중심측을 향하여 삽입하고, 상기 슈터 설치부(2g)에 설치했으므로, 날대(8)가 베드(2)의 작업자(M)측 부분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부착,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2)의 슈터 설치부(2g)의 외측, 내측측벽(2d', 2d)에 걸음 자리(2p, 2n)를 형성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기계 폭 방향 외측면, 내측면인 연직 벽면(21d), 경사 벽면(21g)의 외표면에 형성된 걸음편(21j, 21k)을 상기 걸음 자리(2n, 2p)에 거는 것으로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자중을 이용하여 슈터 설치부(2g)에 부착했으므로, 절삭 부스러기 슈터(21)의 부착, 분리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절삭 부스러기 슈트(21)를 슈터 설치부(2g)에 부착했으므로, 오퍼레이터(M)측에 설치된 날대 설치부(2b)에 형성된 오목부(2e)에, 날대(8)를 상기 오퍼레이터측으로부터 삽입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트(21)가 날대의 부착, 분리 작업의 방해가 되지도 않는다.
또, 좌, 우의 슈터 설치부(2g, 2g)에, 기계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는 좌, 우의 절삭 부스러기 슈터(21, 21)를 기계의 좌, 우 외측방으로부터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했으므로, 절삭 부스러기 슈터(21, 21)를 180° 회전시켜 대향하도록 기계 외측방으로부터 삽입 배치함으로써 동일 형상의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채용 가능하게 되어, 금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의 형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직 벽면 및 경사 벽면의 모든 접속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했지만, 본 고안에서는 연직 벽면끼리의 접속부에 대해서는 반드시 평면 또는 곡면에 의해 접속하지 않아도 되고, 이 연직 벽면끼리의 접속부에 코너부 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연직 벽면끼리로 형성되는 코너부나 절곡부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되므로 절삭 부스러기는 자중으로 낙하하기 쉽고, 코너부나 절곡부여도 그다지 많이 쌓이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가 절삭 부스러기 회수 상자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고안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는 절삭 부스러기를 컨베이어에 의해 기 외로 배출하는 칩 콘베이어여도 된다.
1…선반(공작 기계)
2…베드
2g…슈터 설치부
2n, 2p…걸음 자리
7…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21…절삭 부스러기 슈터
21a…도입 개구
21b…배출 개구
21d~21f…연직 벽면(안내 벽면)
21g~21i…경사 벽면(안내 벽면)
21j, 21k…걸음편
a, b, c…경사 벽면과 연직 벽면과의 경계부
d, e…경사 벽면끼리의 경계부
W…워크

Claims (4)

  1. 워크의 기계 가공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를 기 외로 배출하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와, 이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에 상기 절삭 부스러기를 인도하는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구비한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상기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가 도입되는 도입 개구와 이 절삭 부스러기를 상기 절삭 부스러기 배출 부재를 향하여 배출하는 배출 개구를 안내 벽면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이 안내 벽면은 연직 벽면과, 이 연직 벽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의 경사 벽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경사 벽면끼리의 경계부 및 경사 벽면과 연직 벽면과의 경계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 베드의 워크 가공부 하방 부분에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를 설치하는 슈터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상기 슈터 설치부에 상기 베드의 외측방으로부터 기계 중심측을 향하여 삽입되고, 상기 슈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슈터 설치부에는 걸음 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이 절삭 부스러기 슈터의 외표면에 형성된 걸음편을 상기 걸음 자리에 걸음으로써 상기 슈터 설치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는 기계 중심의 좌, 우에 배열설치된 워크 가공부와, 이 각 워크 가공부의 하방에 배열설치된 좌, 우의 슈터 설치부를 가지고, 상기 절삭 부스러기 슈터는 상기 좌, 우의 슈터 설치부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KR2020150001255U 2014-03-31 2015-02-26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KR2015000370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2999 2014-03-31
JP2014072999A JP6391967B2 (ja) 2014-03-31 2014-03-31 工作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00U true KR20150003700U (ko) 2015-10-08

Family

ID=5305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55U KR20150003700U (ko) 2014-03-31 2015-02-26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1609B2 (ko)
JP (1) JP6391967B2 (ko)
KR (1) KR20150003700U (ko)
CN (1) CN204603938U (ko)
DE (1) DE202015101630U1 (ko)
TW (1) TWM50838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1637B1 (en) * 2016-05-03 2021-12-22 Danobat, S. Coop. Threading method and machine
CN106965034A (zh) * 2017-04-18 2017-07-21 苏州亚思科精密数控有限公司 一种数控机床工作台
JP7364870B2 (ja) * 2019-08-22 2023-10-19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旋盤、及び、その切粉排出方法
CN113478288B (zh) * 2021-07-31 2022-01-28 江苏华脉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产品裁切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0814A (en) * 1972-07-03 1974-11-26 Prab Conveyors Scraper conveyo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US4310417A (en) * 1979-07-31 1982-01-12 Reclamet, Inc. Air inlet material separator for chip centrifuge
JPS6131642A (ja) 1984-07-23 1986-02-14 Japan Electronic Control Syst Co Ltd アイドル制御弁駆動回路
JPH0549692U (ja) * 1991-12-07 1993-06-29 荏原インフィルコ株式会社 ホッパ等の供給装置におけるブリッジング排除装置
JPH11151633A (ja) * 1997-11-19 1999-06-08 Cnk:Kk ベッドに非角形クーラント排出溝を有する工作機械
JPH11347879A (ja) * 1998-06-05 1999-12-21 Fuji Mach Mfg Co Ltd 切屑圧縮装置
DE19861132B4 (de) * 1998-09-15 2005-05-25 Chiron-Werke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mit Abdeckung
DE19859662C2 (de) * 1998-12-23 2003-06-12 Chiron Werke Gmbh Werkzeugmaschine mit von unten arbeitender Werkzeugspindel
US6375841B1 (en) * 2000-02-15 2002-04-23 Inter-Source Recovery Systems, Inc. System for transporting and separating wet chips and delivering dried chips
JP3353083B2 (ja) * 2000-05-10 2002-12-03 ホーコス株式会社 コラム固定形工作機械
JP3942419B2 (ja) * 2001-12-07 2007-07-11 株式会社森精機製作所 工作機械
DE102004044098A1 (de) * 2004-09-08 2006-03-23 Chiron-Werke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mit einem Maschinenfuß
JP4256337B2 (ja) * 2004-12-27 2009-04-22 リックス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貯留槽用液体流動制御部材
US20060207397A1 (en) * 2004-12-28 2006-09-21 Mori Seiki Co., Ltd. Lathe, and Machining System Equipped with the Lathe
JP2006272540A (ja) * 2005-03-30 2006-10-12 Nippei Toyama Corp 工作機械のベッド
JP5282620B2 (ja) * 2009-03-25 2013-09-04 村田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
KR101381891B1 (ko) * 2009-04-07 2014-04-08 트럼프 인크. 가공 헤드, 흡입관, 및 가공 장치 이송용의 구조적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공작물 가공 장치
JP5700991B2 (ja) * 2010-09-24 2015-04-15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集塵ケー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切削加工機
CN103429382B (zh) * 2011-03-24 2016-02-24 村田机械株式会社 机床系统
JP5346117B1 (ja) * 2012-12-26 2013-11-20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児童用手洗いカウン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93066A (ja) 2015-11-05
JP6391967B2 (ja) 2018-09-19
CN204603938U (zh) 2015-09-02
DE202015101630U1 (de) 2015-04-23
US9381609B2 (en) 2016-07-05
TWM508384U (zh) 2015-09-11
US20150273642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700U (ko)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US9457445B2 (en) Machine tool with cover adapted for discharge of chips
EP3357635B1 (en) Machine tool
EP2529881B1 (en) Machine tool
KR20150004030U (ko) 공작 기계
KR20150003699U (ko) 공작 기계
CN108188740B (zh) 一种数控加工中心
CN217045461U (zh) 一种cnc数控机床用便于拆卸的刀座
KR101106714B1 (ko) 수평형 머시닝 센터의 칩 비산방지 장치
EP2529880B1 (en) Machine tool
US9486862B1 (en) Fly cutter cutting tool
JP7178929B2 (ja) 切削油タンク装置及び工作機械
KR200477042Y1 (ko) 공작기계용 칩 비산방지장치
JP5987979B2 (ja) パンチプレス
KR101051599B1 (ko) 슬로터 공구
CN213889251U (zh) 带废料回收的型材切割设备
CN211271275U (zh) 种植体基台用数控车床
JP3139928U (ja) サドルの案内溝を塞ぐことなくコンテナ内に切れ端を落下させる設計を備えた旋盤
CN215147262U (zh) 一种便于清理废屑的数控机床
CN216178899U (zh) 一种带有废料回收功能的数控刨槽机
CN208663279U (zh) 一种便于安装的机床防护罩
CN215035308U (zh) 一种一体式自动化机床
EP3511115A1 (en) Machine tool
CN213730712U (zh) 一种数控加工中心废料回收装置
CN213080878U (zh) 一种卧式加工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