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973B1 -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 Google Patents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973B1
KR101301973B1 KR1020110099799A KR20110099799A KR101301973B1 KR 101301973 B1 KR101301973 B1 KR 101301973B1 KR 1020110099799 A KR1020110099799 A KR 1020110099799A KR 20110099799 A KR20110099799 A KR 20110099799A KR 101301973 B1 KR101301973 B1 KR 10130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illing machine
storage unit
workpiece
transfer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480A (ko
Inventor
사재호
Original Assignee
사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재호 filed Critical 사재호
Priority to KR102011009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9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03Holders for drill b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각 공구의 정리. 보관이 용이하고, 공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며, 공구의 원활한 교체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와, 공구가 결합되는 주축헤드어셈블리와, 가공물을 고정하는 이송테이블과, 공구를 보관하는 공구박스가 구비된 밀링머신에 있어서, 상기 공구박스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구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을 갖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가 형성된 공구보관부와, 상기 공구보관부의 상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의 삽입공과 일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공구보관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각 공구삽입고정부의 삽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칩이 공구박스의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structure for tool box in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밀링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각 공구의 정리 및 보관이 용이하고, 상기 공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공구의 원활한 교체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머신은 밀링커터나 엔드밀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평면이나 곡면 및 홈 등을 절삭 가공하는 공작기계로서, 상기 밀링머신은 니형(knee type)과 베드형(bed type) 등이 있다.
상기의 밀링머신은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밀링커터 등과 같은 공구를 주축헤드어셈블리에 결합 설치함과 함께 상기 밀링머신의 이송테이블의 상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을 고정하고 나서 상기의 가공물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밀링머신의 콘트롤부에서 설정값을 입력함은 물론 상기 가공물을 가공위치에 놓이도록 각종 핸들들을 조작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밀링머신의 작동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주축헤드어셈블리에 결합된 공구가 회전됨과 동시에 설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의 가공물과 공구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가공물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공구의 절삭날부에 의해 가공물이 절삭되면서 가공된다.
여기서, 가공물의 가공방법이나 가공형태 등에 따라서 상기 공구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상기의 공구를 정리 및 보관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5364호 '공구용 스탠드'가 개재되어 있는 바, 상기 공구용 스탠드에 다양한 형태의 여러 공구를 꽂아 놓음에 따라 가공물의 가공에 따른 필요한 공구를 빼내어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구용 스탠드는 밀링머신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음으로 상기 공구의 교체를 위해 작업자는 공구용 스탠드가 위치한 곳까지 왔다갔다함에 따라 공구 교체에 따른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공구 교체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작업자는 가공물을 절삭 가공할 때 필요한 공구를 상기 밀링머신의 이송테이블 측면에 형성된 수납함 즉,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3784호 '수직형 CNC밀링머신'에 개재된 밀링머신의 이송테이블 측면에 형성된 수납함에 작업자는 필요한 여러 개의 공구를 놓아두었다가 상기 공구를 교체할 때 바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밀링머신에서 이송테이블의 수납함에 공구를 놓을 경우 상기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과정에서 이송되는 이송테이블에 의하여 수납함에 있는 여러 개의 공구가 이리저리로 흔들리면서 상기의 공구와 공구가 서로 부딪힘은 물론 상기 서로 부딪히는 각 공구의 절삭날이 손상이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공구의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해 새로운 공구를 구입하는 등 공구의 구입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등 상기 공구의 보관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5364호(1999.09.06.)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3784호(2002.03.2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이 고정 설치되는 이송테이블의 측면에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여러 형태의 여러 공구를 각각 꽂을 수 있도록 한 밀링머신용 공구박스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공구박스에 의해 각 공구의 정리 및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 이송테이블의 이송에도 각 공구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각 공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물의 가공방법에 따라 밀링머신에서 공구의 교체작업이 매우 손쉽고 원활함에 따라 상기 밀링머신에서의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공구가 결합되는 주축헤드어셈블리와, 상기 주축헤드어셈블리의 하방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고정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측면에 결합되어 공구를 정리 및 보관하는 공구박스가 구비된 밀링머신에 있어서, 상기 공구박스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구를 꽂아 보관하도록 상기 공구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을 갖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가 형성된 공구보관부와, 상기 공구보관부의 상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의 삽입공과 일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ㄷ'자 형상인 상부커버와, 상기 공구보관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각 공구삽입고정부의 삽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칩이 공구박스의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여러 형태의 여러 공구를 각각 꽂아 정리 및 보관하도록 이송테이블 측면에 결합되는 공구박스는 공구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가 형성된 공구보관부와 상기 공구보관부의 상면과 외면을 감싸는 상부커버 및 상기 공구보관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막음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구박스의 각 공구삽입고정부에 공구를 각각 삽입 고정함에 따라 상기 여러 개의 공구를 용이하게 정리 및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이송테이블이 이송할 때에도 각 공구의 흔들림이나 유동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각 공구 간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상기 공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여러 공구를 꽂은 상태로 보관하는 공구박스가 밀링머신의 이송테이블 측면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의 가공방법 및 가공형태 등에 따라서 공구의 교체작업이 매우 빠르면서도 손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공구박스가 구비된 밀링머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밀링머신의 이송테이블에 공구박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밀링머신용 공구박스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밀링머신용 공구박스의 각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밀링머신용 공구박스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밀링머신용 공구박스를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밀링커터나 엔드밀 등과 같은 공구(6)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평면이나 곡면 및 홈 등을 절삭 가공하도록 하는 밀링머신(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밀링머신(1)은 도 1에서와 같이, 밀링머신(1)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콘트롤부와 가공물의 가공에 따라 조작되는 각종 구성들이 결합되는 본체(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2)의 상부에는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공구(6)가 결합되는 주축헤드어셈블리(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축헤드어셈블리(3)의 하방 측인 본체(2)에는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이 상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이송테이블(4)이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는 공구(6)를 꽂아 정리 및 보관하도록 하는 공구박스(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공구박스(5)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는 공구(6)를 꽂아 보관하도록 하는 공구보관부(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공구보관부(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구보관부(10)의 상면과 외면을 감싸는 상부커버(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구보관부(10)의 저면에는 밀링머신(1)에서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이 상기 공구박스(5)의 하방 즉, 후술할 공구보관부(10)의 각 공구삽입고정부(12)에 형성된 삽입공(13)을 통해 공구박스(5) 내로 유입되는 칩을 상기 공구박스(5)의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막음부재(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구보관부(1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보관부본체(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관부본체(11)의 일측면 즉, 이송테이블(4) 측인 보관부본체(11)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상기 공구보관부(10) 및 공구박스(5)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체결공(4a)와 일치됨은 물론 상기 삽입체결공(4a)과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16)은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공구박스(5)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관부본체(11)의 상면에는 공구(6)를 꽂아지도록 즉, 공구(6)의 일측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13)를 갖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로 배열하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공구박스(5)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이나 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 내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공(13)으로 삽입되어 꽂아진 공구(6)가 공구박스(5)의 하방으로 빠져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토퍼(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14)는 일자형 또는 십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14)의 형성 위치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 및,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각기 다른 방향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에는 길이가 긴 공구(6)를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스토퍼(14)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스토퍼(14)가 형성되지 않은 공구삽입고정부(12)는 이송테이블(4)이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140가 형성되지 않은 공구삽입고정부(12)에 꽂아져 고정된 공구(6)와 상기 밀링머신(1)의 본체(2)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구박스(5)에서 이송테이블(4)의 반대 측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부본체(11)의 양측부에는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막음부재(30)의 상면에 놓여지는 칩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부본체(11)의 외부 즉, 공구박스(5)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칩 배출구(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칩 배출구(15)는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2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공구보관부(10)의 상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면에는 상기 공구보관부(10)의 공구삽입고정부(12) 삽입공(13)에 꽂아 삽입되는 공구(6)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과 일치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버(20)의 양측 저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공구보관부(10)에 상부커버(2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 외측 저면에 물리면서 체결되도록 절곡 가능한 복수 개의 체결편(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막음부재(30)는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 저면을 전부 막도록 상기 보관부본체(1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보관부본체(11)의 외측에 위치하는 공구삽입고정부(12)에 꽂아 고정되는 공구(6)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관부본체(11)의 외측에 위치하는 공구삽입고정부(12)를 제외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 저면에 상기 막음부재(3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부본체(11) 외측부 저면에는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막음부재(30)의 외측부에는 상기 각 체결공(17)과 일치되어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볼트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구박스(5)에서 이송테이블(4)의 반대 쪽인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 외측부 및 상기 상부커버(20)의 외측부는 상기 공구박스(5)의 외측부에 작업자의 신체가 접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상기의 공구보관부(10)와 상부커버(20)와 막음부재(30)는 금속재 및,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비금속재 또는, 일정 강도와 경도를 가지면서도 열에도 강한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공구보관부(10)와 상부커버(20)와 막음부재(30)는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가능한데, 이는 상기 공구박스(5)의 사용목적이나 용도 및 효과 또는, 구매자의 요구조건 등에 따라 여러 형태, 구조 및 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제품 즉, 공구박스(5)를 구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밀링머신(1)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기 위한 밀링커버와 같은 여러 개의 공구(6)를 꽂아서 정리 및 보관하는 공구박스(5)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공구박스(5)는 공구(6)를 꽂아져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13)을 갖는 공구삽입고정부(12)가 복수 개 형성된 공구보관부(10)를 상기 밀링머신(1)의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체결공(4a)과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에 형성된 장공 형상의 결합공(16)을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삽입체결공(4a)과 결합공(16)으로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상기 공구박스(5)의 공구보관부(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공구보관부(10)의 상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상부커버(20)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부커버(20)의 양측 저면에 복수 개가 형성된 체결편(22)을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 양측 저면에 물리도록 체결하는데, 즉 상기 각 체결편(22)는 절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보관부본체(11)의 양측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각 체결편(22)을 상기 보관부본체(11)의 내측면 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보관부본체(11) 저면에 물리도록 체결함에 따라 상기 공구보관부(10)에 상부커버(20)가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공구보관부(10)의 저면에 막음부재(30)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 저면에 복수 개가 형성된 체결공(17)과 사익 막음부재(30)의 볼트공(31)을 일치시키고 나서 상기 일치된 각 체결공(17)과 볼트공(31)으로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공구보관부(10)의 저면에 막음부재(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공구박스(5)를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공구박스(5)의 각 구성 즉, 공구보관부(10)와 상부커버(20) 및 막음부재(30)를 먼저 결합한 다음 상기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인 공구박스(5)를 이송테이블(4)의 측면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밀링머신(1)의 이송테이블(4) 측면에 상기의 공구박스(5)가 결합되면, 상기 공구박스(5)의 공구보관부(10)에 형성된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과 상기 상부커버(20)의 관통공(21)이 일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공구삽입고정부(12)로 밀링머신(1)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에 필요한 여러 개의 공구(6)를 꽂아 삽입 고정한다.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 내에는 스토퍼(14)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에 꽂아지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구(6)는 상기 스토퍼(14)에 의해 상기 공구박스(5)의 하방으로 빠져나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 다음, 상기 밀링머신(1)의 이송테이블(4) 상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밀링머신(1)의 주축헤드어셈블리(3)에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기 위한 공구(6)를 결합 설치하고 나서 상기 밀링머신의 콘트롤부에 설정값을 입력 및 밀링머신(1)의 각종 핸들들을 조작하여 상기의 가공물을 가공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밀링머신(1)의 작동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주축헤드어셈블리(3)에 결합된 공구(6)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테이블(4)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의 가공물과 공구(6)가 접촉되고, 상기의 가공물은 회전하는 공구(6)의 절삭날부에 의해 절삭 가공된다.
상기 이송테이블(4)의 높이와 상기 공구박스(5)의 높이를 동일하게 제작하거나 또는 공구박스(5)의 높이를 이송테이블(4)의 높이보다 작게 제작함에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4)이 이송되어 상기 이송테이블(4)의 측면 즉, 공구박스(5)가 결합된 이송테이블(4)의 측면이 상기 이송테이블(4)를 지지하는 프레임 측에 위치하여도 상기의 프레임과 공구박스(5)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밀링머신(1)의 주축헤드어셈블리(3)에 결합된 공구(6)가 회전됨과 동시에 이송테이블(4)이 이동하면서 가공물이 절삭 가공될 때 상기 절삭 가공되는 가공물에서 떨어져 나오는 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생된 칩은 밀링머신(1)의 일측에 형성된 칩모음통으로 보내지거나 또는, 밀링머신의 외측으로 비산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비산되는 칩은 물론 오일이나 기름 및 각종 이물질 등도 상기 공구박스(5)으로 비산 및 보내진다.
그러면, 상기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은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을 통해 상기 공구박스(5)의 공구보관부(10)와 막음부재(30) 사이에 보내져 상기 막음부재(30)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막음부재(30) 상면에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어느 정도 쌓여지게 되면 상기 공구보관부(10)의 보관부본체(11)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칩 배출구(15) 중 어느 하나의 칩 배출구(15)에서 압축공기를 상기 공구보관부(10)와 막음부재(30) 사이로 분사하여 상기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을 상기 칩 배출구(15) 중 다른 하나의 칩 배출구(15)로 보내어 상기 공구박스(5)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밀링머신(1)에서 다른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거나 또는, 가공방법 및 형태를 달리하기 위하여 주축헤드어셈블리(3)에서 공구(6)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상기 주축헤드어셈블리(3)에 결합된 공구(6)를 분리하고 나서 상기 분리된 공구(6)는 공구박스(5)의 각 공구삽입고정부(12) 중 어느 하나의 공구삽입고정부(12)의 삽입공(13)으로 삽입하여 꽂아 고정한 다음, 상기 원하는 공구(6)를 공구박스(5)의 공구삽입고정부(12)로부터 빼낸 다음 상기 빼낸 공구(6)를 주축헤드어셈블리(3)에 결합하여 상기 교체한 공구(6)에 의해 가공물을 절삭 가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링머신(1)의 이송테이블(3) 측면에 공구보관부(10)와 상부커버(20) 및 막음부재(30)로 구성된 공구박스(5)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공구박스(5)의 공구보관부(10)에 공구(6)를 꽂아 삽입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1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밀링머신(1)에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공구(6)를 유동됨없이 정리,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공구(6)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구(6)의 교체에 따른 작업이 손쉽고 용이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 밀링머신 2: 본체
3: 주축헤드어셈블리 4: 이송테이블
5: 공구박스 6: 공구
10: 공구보관부 11: 보관부본체
12: 공구삽입고정부 13: 삽입공
14: 스토퍼 15: 칩 배출부
16: 결합공 17: 체결공
20: 상부커버 21: 관통공
22: 체결편 23: 명판부
30: 막음부재 31: 볼트공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공구가 결합되는 주축헤드어셈블리와, 상기 주축헤드어셈블리의 하방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고정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측면에 결합되어 공구를 정리 및 보관하는 공구박스가 구비된 밀링머신에 있어서,
    상기 공구박스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구를 꽂아 보관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삽입공을 갖는 공구보관부와,
    상기 공구보관부의 상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삽입공과 일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갖는 'ㄷ'자 형상의 상부커버와,
    상기 공구보관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상기 각 삽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칩이 공구박스의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부재로 구성되되,
    상기의 공구보관부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보관부본체와, 상기 보관부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이송테이블의 측면에 공구박스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장공의 결합공과, 상기 보관부본체에 형성되어 공구가 꽂아지도록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와, 상기 각 공구삽입고정부의 삽입공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공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보관부본체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공구삽입고정부의 삽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칩을 상기 보관부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칩 배출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공구삽입고정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공구삽입고정부의 삽입공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공구보관부에 상부커버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의 양측 저면에는 상기 공구보관부의 저면에 물리면서 체결되는 체결편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KR1020110099799A 2011-09-30 2011-09-30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KR10130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799A KR101301973B1 (ko) 2011-09-30 2011-09-30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799A KR101301973B1 (ko) 2011-09-30 2011-09-30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480A KR20130035480A (ko) 2013-04-09
KR101301973B1 true KR101301973B1 (ko) 2013-09-02

Family

ID=4843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799A KR101301973B1 (ko) 2011-09-30 2011-09-30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3799A (zh) * 2016-12-20 2017-03-22 惠州市格雷戈里科技有限公司 铣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63Y1 (ko) 2019-10-21 2021-02-05 창 남궁 회전 및 적층 조립식의 공구 정리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333A (ja) * 1994-04-20 1995-11-07 O M Ltd 穴明機における自動ドリル交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333A (ja) * 1994-04-20 1995-11-07 O M Ltd 穴明機における自動ドリル交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3799A (zh) * 2016-12-20 2017-03-22 惠州市格雷戈里科技有限公司 铣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480A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2776B2 (ja) ワークピース、特に木製ワークピース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ユニット
CN207534421U (zh) 一种机床加工夹具
KR101301973B1 (ko)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KR101324666B1 (ko) 공작기계
US4352309A (en) Trimming and/or fin cutting tools with interchangeable cutting edges
JP2017013191A (ja) 加工設備
JP6391967B2 (ja) 工作機械
CN109014952A (zh) 一种多功能工作台
CN102476215A (zh) 铣刀
ATE421914T1 (de) Durchlaufschleifmaschine zum bearbeiten einer ebenen werkstückoberfläche
KR20100075796A (ko) 절삭칩 회수장치
KR200488840Y1 (ko) T홈 커버
KR200497149Y1 (ko) 절삭유 제거 공기분사부가 구비되는 공작기계
TWM276644U (en) Vertical lathe with milling machine
EP3233363B1 (en) Cutting system
EP1238739A2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KR100930640B1 (ko) 다양한 작업이 동시 수행되는 멀티 가공기
CN111001871B (zh) 一种机械加工用棒料切断装置
KR100655319B1 (ko) 축이송 리니어 모션 가이드
KR101045553B1 (ko) 목형 가공기
TWM613356U (zh) 用於圓柱形工件加工的複合式工具機
CN211589408U (zh) 一种用于龙门刨床的切屑清理装置
CN108115450A (zh) 一种小型加工中心自动换刀装置
JP6595231B2 (ja) 加工設備
CN215240677U (zh) 一种用于机械制造用加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