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049A - 조합 강제 벽 - Google Patents

조합 강제 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049A
KR20140139049A KR1020147029682A KR20147029682A KR20140139049A KR 20140139049 A KR20140139049 A KR 20140139049A KR 1020147029682 A KR1020147029682 A KR 1020147029682A KR 20147029682 A KR20147029682 A KR 20147029682A KR 20140139049 A KR20140139049 A KR 2014013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haped steel
joint portion
claw
sheet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케 우사미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합 강제(steel) 벽(1)은, 웨브(web)부(16)의 양단에 제1, 제2 플랜지(flange)부(3, 7)를 갖고, 제1, 제2 플랜지부(3, 7)의 각 단부에 제1, 제2 조인트부(5, 9)를 갖는 Z형강 시트 파일(z-shaped steel sheet pile; 2)과, H형강(4)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조합 강제 벽(1)으로서,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제2 플랜지부(3, 7)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H형강(4)의 플랜지부(37)가 배치되고,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Z형강 시트 파일(2)이 배치되고,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제2 조인트부(5, 9)와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의 순으로 배치된 조합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합 강제 벽{COMBINED STEEL WALL}
본 발명은, 토목 건축 분야에서 항만·하천 호안, 흙막이, 물막이(coffering) 공사에 사용되는 조합 강제(steel) 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Z형강 시트 파일(z-shaped steel sheet pile)이란, 비스듬하게 배치된 웨브(web)의 양단에 당해 웨브에 연속하여 플랜지(flange)가 형성되어, 전체 형상이 대략 Z형이 된 강 시트 파일을 말한다.
토목 건축 분야에서 항만·하천 호안, 흙막이,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강제 벽으로서, U형강 시트 파일과 H형강을 조합한 조합 강제 벽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합 강 시트 파일은, 「웨브부와 이 웨브부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의 일단에 형성된 아암부로부터, 단면이 거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된 U형강 시트 파일과, 이 U형강 시트 파일의 일측면에 한쪽의 플랜지를 상기 웨브부에 고정하여 설치된 H형강으로 형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청구항 1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12943호
특허문헌 1의 조합 강제 벽은, U형강 시트 파일의 웨브부와 H형강의 플랜지를 미리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고, 이것을 지반에 순차 타설(打設)한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U형강 시트 파일과 H형강을 미리 고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수고가 있다. 또한, U형강 시트 파일과 H형강을 미리 고정한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단면이 크기 때문에 지반 저항도 크고, 타설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U형강 시트 파일의 웨브부에 H형강의 플랜지를 고정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단위 길이당의 강중(steel weight)이 크고, 재료비가 비싸진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U형강 시트 파일, 해트(hat)형강 시트 파일, 혹은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와 조인트부의 사이에 H형강을 병렬시켜 연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현상(現狀)의 상기 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는 라르센(Larsen)형이라고 불리는 것이며, H형강과 같은 다른 강제 부재와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바와 같은 형상은 아니다.
그 때문에, 종래의 Z형강 시트 파일 등과 H형강을 병렬 접속시켜 조합 강제 벽을 구축하려면, Z형강 시트 파일 등과 H형강을 접속하기 위해 Z형강 시트 파일 등과 H형강과의 사이에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커넥터를 별도로 설치한다고 하면, 커넥터분의 재료 비용이 부가되게 되어, 경제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커넥터를 부착하는 시간이 여분으로 필요해져, 조합 강제 벽을 구축하기 위한 전체 공기(工期)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형상에도 의하지만, 라르센형 조인트부와 H형강을 연결한다고 하면, 커넥터 부분이 Z형강 시트 파일의 플랜지부의 외측으로 장출하게 되어, 당해 부위의 평면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띠장(waling) 부재를 설치할 때에 여분의 되메우기(backfill) 콘크리트가 필요해지는 등, 시공 수고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Z형강 시트 파일과 H형강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조합 강제 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조합 강제 벽은, 웨브부의 양단에 플랜지부를 갖고, 당해 플랜지부의 각 단부에 조인트부를 갖는 Z형강 시트 파일과, H형강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조합 강제 벽으로서,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플랜지부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H형강의 플랜지부가 배치되고, 당해 H형강의 플랜지부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Z형강 시트 파일이 배치되고,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와 상기 H형강의 플랜지부의 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Z형강 시트 파일·H형강·Z형강 시트 파일의 순으로 배치된 조합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는, Z형강 시트 파일을 구성하는 한쪽의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조인트부와, 다른 한쪽의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2 조인트부를 갖고, Z형강 시트 파일이 인접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조인트부와 상기 제2 조인트부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Z형강 시트 파일·H형강·Z형강 시트 파일의 조합 부위의 단(end)에 위치하는 Z형강 시트 파일끼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 또한, 상기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protruding portion)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main claw)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sub-claw)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H형강의 플랜지부는, 그 단부에 플랜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또한, 상기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H형강의 플랜지부는, 그 단부에 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5) 또한,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1 구부러짐부(curved portion)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부클로우의 외면이 플랜지부의 외면보다도 강 시트 파일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2 구부러짐부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클로우의 외면이 상기 부클로우의 두께분 이상의 거리만큼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합 강제 벽에 있어서는,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플랜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르도록 H형강의 플랜지부가 배치되고, 당해 H형강의 플랜지부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Z형강 시트 파일이 배치되고,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와 상기 H형강의 플랜지부의 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Z형강 시트 파일·H형강·Z형강 시트 파일의 조합 부위를 갖는다. 그 때문에, Z형강 시트 파일과 H형강을 미리 고정할 필요가 없고, 각 부재마다 지반에 타설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에 H형강의 플랜지부의 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Z형강 시트 파일과 H형강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로 커넥터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우수함과 함께 재료비의 삭감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합 강제 벽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으로 둘러싼 A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합 강제 벽을 구성하는 Z형강 시트 파일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으로 둘러싼 C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원으로 둘러싼 D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합 강제 벽을 구성하는 H형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합 강제 벽을 구성하는 H형강의 다른 태양(態樣)의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합 강제 벽(1)은, 웨브부의 양단에 플랜지부를 갖고, 당해 플랜지부의 각 단부에 조인트부를 갖는 Z형강 시트 파일(2)과, H형강(4)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조합 강제 벽(1)으로서, Z형강 시트 파일(2)의 플랜지부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H형강(4)의 플랜지부가 배치되고, H형강(4)의 플랜지부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Z형강 시트 파일(2)이 배치되고, Z형강 시트 파일(2)의 조인트부와 H형강(4)의 플랜지부의 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의 순으로 배치된 조합 부위를 갖고 있고, 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의 조합 부위의 단에 위치하는 Z형강 시트 파일(2)끼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조합 강제 벽(1)을 구성하는 Z형강 시트 파일(2)과 H형강(4)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Z형강 시트 파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Z형강 시트 파일(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형강 시트 파일(2)을 구성하는 제1 플랜지부(3)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조인트부(5)와, 제2 플랜지부(7)의 선단에 형성된 제2 조인트부(9)를 가지며, Z형강 시트 파일(2)을 인접 배치하여,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걸어맞춤시켜 연결할 수 있는 Z형강 시트 파일이다.
제1 조인트부(5)는, 선단에 팽출부(11)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13)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15)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다(도 4 참조).
또한, 제2 조인트부(9)는, 선단에 팽출부(11)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13)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15)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다(도 5 참조).
이하, Z형강 시트 파일(2)의 상세를, 전체 형상, 조인트부로 나누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형상>
Z형강 시트 파일(2)는, 비스듬하게 배치된 웨브부(16)의 일단측에 제1 플랜지부(3)를 갖고, 제1 플랜지부(3)의 선단에 제1 조인트부(5)가 형성되고, 웨브부(16)의 타단측에 제2 플랜지부(7)를 갖고, 제2 플랜지부(7)의 선단에 제2 조인트부(9)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Z형으로 되어 있다.
<조인트부>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의 기본 형상은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을 도 4,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의 선단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조인트 본체부(17)와, 당해 조인트 본체부(17)로부터 양갈래로 나누어져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를 갖고 있다.
주클로우(13)는, 근원이 가늘고 선단에 팽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클로우(13)의 팽출부(11)은 대략 직사각형을 하고 있고, 주클로우(13) 전체의 형상이 T자 형상을 하고 있다. 팽출부(11)는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타원형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주클로우(13)에 있어서의 T자의 횡편(橫片)과 종편(縱片)과의 연결부(19)는, 외측의 굴곡 각도의 쪽이 내측의 굴곡 각도보다도 예리하게 되어 있다. 내측의 굴곡 각도가 매끄럽게 되어 있는 점에서, 조인트부에 있어서의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로 둘러싸이는 조인트 내부(21)가 매끄러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인트 내부(21)가 매끄러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조인트부를 연결했을 때에, Z형강 시트 파일(2) 전체의 회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부클로우(15)는, 근원의 두께가 크고, 선단이 될수록 두께가 얇아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만곡한 형상을 하고 있다.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로 둘러싸이는 조인트 내부(21)에, 이것에 연결되는 조인트부의 주클로우(13)가 삽입된다. 주클로우(13)에 팽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와의 간극으로부터 주클로우(13)가 발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는, 전술한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를 갖고 있는 점에 있어서, 공통되어 있지만, 상이한 점도 있기 때문에, 이하, 도 3 중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조인트부(5)와, 도 3 중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조인트부(9)를 각각 설명한다.
(제1 조인트부)
제1 조인트부(5)는,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연결하여 조합 강제 벽(1)(도 1 참조)을 형성할 때에, 연결된 조인트부에 있어서 부클로우(15)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강 시트 파일 외측이란, 제1 플랜지부(3)의 축선에 대하여 웨브부(16)가 있는 측과 반대측을 말하고, 강 시트 파일 내측이란 그 반대측, 즉 제1 플랜지부(3)의 중심축에 대하여 웨브부(16)가 있는 측을 말한다.
제1 조인트부(5)는, 부클로우(15)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고, 주클로우(13)가 부클로우(15)에 대향하도록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5)는, 제1 플랜지부(3)로부터 강 시트 파일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제1 구부러짐부(23)를 개재하여 제1 플랜지부(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5)는, 제1 구부러짐부(23)을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클로우(15)의 외면에 있어서의 강 시트 파일의 가장 외측의 부위가, 제1 플랜지부(3)의 외면과 면일(flush)해지게 되어 있다(도 2, 도 4 참조).
(제2 조인트부)
제2 조인트부(9)는,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연결하여 조합 강제 벽(1)을 형성할 때에, 연결된 조인트부에 있어서 주클로우(13)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2 조인트부(9)는, 주클로우(13)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고, 부클로우(15)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조인트부(9)는, 제2 플랜지부(7)로부터 강 시트 파일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제2 구부러짐부(25)를 개재하여 제2 플랜지부(7)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구부러짐부(25)는, 제1 조인트부(5)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구부러짐부(23)보다도, 강 시트 파일 내측으로의 연출 거리(extension)가 커지게 되어 있다.
제2 조인트부(9)는, 제2 구부러짐부(25)를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주클로우(13)의 외면에 있어서의 강 시트 파일의 가장 외측의 부위가, 제2 플랜지부(7)의 외면보다도, 거리 S만큼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거리 S는, 부클로우(15)의 두께 이상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H형강>
H형강(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브부(35)와 플랜지부(37)를 갖고, 플랜지부(37)의 선단에 외측(플랜지부(37)의 축선에 대하여 웨브부(35)와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39)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3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조인트부(5) 또는 제2 조인트부(9)에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선단을 삽입했을 때에 제1 조인트부(5) 또는 제2 조인트부(9)에 걸어맞춤한다. 이 때문에, H형강(4)에 대하여, 플랜지부(37)의 축선 방향으로 인장력 작용해도 H형강(4)의 플랜지부(37)가 제1 조인트부(5) 또는 제2 조인트부(9)로부터 발출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39)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외측(플랜지부(37)의 축선에 대하여 웨브부(35)와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의 외에, 외측과 내측(플랜지부(37)의 축선에 대하여 웨브부(35)와 동일한 측)의 양쪽에 돌출하는 것, 혹은 내측에만 돌출하는 것이라도 좋다.
다음으로, 조합 강제 벽(1)의 구축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면 중 좌측의 Z형강 시트 파일(2)을 타설하고, 다음으로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조인트부(5)의 조인트 내부에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선단(도면 중 좌측의 선단)을 삽입하도록 하고, H형강(4)을 타설한다.
다음으로,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다른 한쪽의 선단(도면 중 우측의 선단)이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조인트부(5)의 조인트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Z형강 시트 파일(2)를 타설한다. 다음으로, 타설된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2 조인트부(9)와 다른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조인트부(5)가 걸어맞춤하도록 하고 Z형강 시트 파일(2)을 타설한다. 다음으로, 타설된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2 조인트부(9)의 조인트 내부에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선단(도면 중 좌측의 선단)을 삽입하도록 하고, H형강(4)을 타설한다. 다음으로,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다른 한쪽의 선단(도면 중 우측의 선단)이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2 조인트부(9)의 조인트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Z형강 시트 파일(2)을 타설한다.
동일한 것을 반복함으로써, 조합 강제 벽(1)이 구축된다.
타설시에 있어서, Z형강 시트 파일(2)은 지반력을 받아 회전하기 쉽지만, 그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는, 회전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조인트부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고, 타설시에 조인트부가 변형하는 등의 일이 없다. 또한,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변형도 적다. 그렇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조합 강제 벽(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조인트부(5)의 사이에 H형강(4)을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3)보다도 강 시트 파일 외측으로 장출하는 일이 없고, 이 예에서는, H형강(4)을 사이에 끼워 배치된 2매의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플랜지부(3)의 외면이 면일하게 되어 있다.
2매의 Z형강 시트 파일(2)의 제1 플랜지부(3)의 외면이 면일하게 됨으로써, 당해 부위에 직접 띠장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령, 커넥터 등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커넥터가 강 시트 파일 외측으로 장출하면, 당해 부위에 예를 들면 콘크리트 등을 개재하여 띠장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는 그러한 수고가 없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조인트부는 회전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지진력 등이 작용한 경우에도, 조인트부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조인트부가 변형하는 등의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는, 인장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그 의미에서도 Z형강 시트 파일(2)이 인장력을 받았을 때에 조인트부가 변형 등을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조인트부의 지수성(water-stopping performance)이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조합 강제 벽(1)은, 커넥터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Z형강 시트 파일(2)과 H형강(4)을 직접 접속하여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Z형강 시트 파일(2)과 H형강(4)의 배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과 같은 배치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배치라도 좋다.
(a) 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과 같이 Z형강 시트 파일(2)과 H형강(4)을 교대로 배치한다.
(b) 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의 순으로 배치된 조합 부위의 옆에 복수매의 Z형강 시트 파일(2)을 배치하고, 그 다음에 재차 Z형강 시트 파일(2)·H형강(4)·Z형강 시트 파일(2)의 순으로 배치된 조합 부위가 있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선단에 돌기(39)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형강(4)의 플랜지부(37)의 선단에 제1 조인트부(5) 또는 제2 조인트부(9)에 걸어맞춤하는 홈부(40)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홈부(4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플랜지부(37)의 축선에 대하여 웨브부(35)와 반대측)에 형성해도 좋고, 혹은 외측과 내측(플랜지부(37)의 축선에 대하여 웨브부(35)와 동일한 측)의 양쪽에 형성해도 좋고, 또한 혹은 내측에만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1 : 조합 강제 벽
2 : Z형강 시트 파일
3 : 제1 플랜지부
4 : H형강
5 : 제1 조인트부
7 : 제2 플랜지부
9 : 제2 조인트부
11 : 팽출부
13 : 주클로우
15 : 부클로우
16 : 웨브부
17 : 조인트 본체부
19 : 연결부
21 : 조인트 내부
23 : 제1 구부러짐부
25 : 제2 구부러짐부
27 : 강 시트 파일벽
35 : 웨브부
37 : 플랜지부
39 : 돌기
40 : 홈부

Claims (5)

  1. 웨브(web)부의 양단에 플랜지(flange)부를 갖고, 당해 플랜지부의 각 단부에 조인트부를 갖는 Z형강 시트 파일(sheet pile)과, H형강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조합 강제(steel) 벽으로서,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플랜지부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H형강의 플랜지부가 배치되고, 당해 H형강의 플랜지부의 축선 방향을 따르도록 Z형강 시트 파일이 배치되고,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와 상기 H형강의 플랜지부의 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Z형강 시트 파일·H형강·Z형강 시트 파일의 순으로 배치된 조합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강제 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는, Z형강 시트 파일을 구성하는 한쪽의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조인트부와, 다른 한쪽의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2 조인트부를 갖고, Z형강 시트 파일이 인접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조인트부와 상기 제2 조인트부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Z형강 시트 파일·H형강·Z형강 시트 파일의 조합 부위의 단(end)에 위치하는 Z형강 시트 파일끼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강제 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protruding portion)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main claw)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sub-claw)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H형강의 플랜지부는, 그 단부에 플랜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강제 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이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H형강의 플랜지부는, 그 단부에 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강제 벽.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1 구부러짐부(curved portion)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부클로우의 외면이 플랜지부의 외면보다도 강 시트 파일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2 구부러짐부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클로우의 외면이 상기 부클로우의 두께분 이상의 거리만큼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강제 벽.
KR1020147029682A 2012-05-16 2012-05-16 조합 강제 벽 KR20140139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3103 WO2013171909A1 (ja) 2012-05-16 2012-05-16 組合せ鋼製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049A true KR20140139049A (ko) 2014-12-04

Family

ID=4958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682A KR20140139049A (ko) 2012-05-16 2012-05-16 조합 강제 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40139049A (ko)
CN (1) CN104285010B (ko)
SG (1) SG11201406539SA (ko)
WO (1) WO2013171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1023B2 (ja) * 2014-03-03 2016-03-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直線形鋼矢板、該直線形鋼矢板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CN105064379B (zh) * 2015-08-29 2017-02-22 青岛蓝天创先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h型钢基坑支护装置及方法
CN108729450A (zh) * 2018-05-30 2018-11-02 中水电第十工程局(郑州)有限公司 一种管道工程钢板桩支护方法
SG10201909673XA (en) * 2018-10-19 2020-05-28 J D Fields & Company Inc Combined wall pi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232B1 (ja) * 2002-11-15 2004-0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延鋼矢板
DE102004019953B3 (de) * 2004-04-23 2005-12-08 Pilepro Llc Strangförmiges Verbindungsprofil zum Anschließen von Spundbohlen an Trägerelemente
JP4384551B2 (ja) * 2004-06-07 2009-12-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矢板
DE602006016869D1 (de) * 2006-01-17 2010-10-21 Arcelormittal Comm Rps Sarl Spundbohle in doppel-t-form
DE102006041049A1 (de) * 2006-09-01 2008-03-06 Pilepro Llc Barriere aus Spundwandkomponenten
DE102007020747A1 (de) * 2007-05-03 2008-11-13 Pilepro Llc Anordnung aus mehreren Spundwandkomponenten sowie Anschweißprofil hierfür
WO2010082468A1 (ja) * 2009-01-16 2010-07-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組合せ鋼矢板、組合せ鋼矢板により構成される土留め壁、及び組合せ鋼矢板の選定方法
JP5282984B2 (ja) * 2010-03-12 2013-09-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製連続壁の施工方法および鋼製連続壁
CN201915389U (zh) * 2010-12-17 2011-08-03 南京万汇新材料科技有限公司 H形与z形组合钢板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406539SA (en) 2014-11-27
CN104285010A (zh) 2015-01-14
CN104285010B (zh) 2016-01-20
WO2013171909A1 (ja)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4751A1 (en) Connected wall structure consisting of steel pipe sheet piles and steel sheet pi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JP5177603B2 (ja) 組合せ鋼矢板壁
JP4903744B2 (ja) 既設の鋼矢板の補強構造、既設の鋼矢板の補強用部材
KR20140139049A (ko) 조합 강제 벽
JP6728768B2 (ja) 鋼矢板壁
JP5521277B2 (ja) ハット形鋼矢板
JP6536323B2 (ja) 鋼矢板の縦継構造及び鋼矢板壁
JP2011157755A (ja) 鋼製セグメント及び合成セグメント
JP2011074655A (ja) 合成セグメント
JP6714307B2 (ja) 既設鋼矢板壁の補強工法
JP5939622B2 (ja) 土留壁
JP5257470B2 (ja) 組合せ鋼製壁
JP6477586B2 (ja) 鋼矢板壁
JP6489055B2 (ja) 既設鋼矢板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20140139050A (ko) Z형강 시트 파일,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
JP5782729B2 (ja) Z形鋼矢板、該z形鋼矢板で形成された鋼矢板壁
TWI480448B (zh) Combination of steel wall
JP5772659B2 (ja) U型鋼矢板およびu型鋼矢板を用いた構造体
JP2017145595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JP5420377B2 (ja) 杭頭接合構造
JP2010242398A (ja) 補強リブを有する合成セグメントおよびトンネル
JP6590253B2 (ja) 鋼矢板の継手部固定金具
JP5737058B2 (ja) H形鋼矢板
JP5551016B2 (ja) セグメント
TWI516659B (zh) Z-shaped steel sheet pile, the Z-shaped steel sheet pile formed by the steel sheet pile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