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050A - Z형강 시트 파일,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 - Google Patents

Z형강 시트 파일,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050A
KR20140139050A KR1020147029683A KR20147029683A KR20140139050A KR 20140139050 A KR20140139050 A KR 20140139050A KR 1020147029683 A KR1020147029683 A KR 1020147029683A KR 20147029683 A KR20147029683 A KR 20147029683A KR 20140139050 A KR20140139050 A KR 2014013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heet pile
joint portion
joint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케 우사미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Z형강 시트 파일(z-shaped steel sheet pile)은, Z형강 시트 파일(1)을 구성하는 제1 플랜지(flange)부(3)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조인트부(5)와, 제2 플랜지부(7)의 선단에 형성된 제2 조인트부(9)를 갖고, Z형강 시트 파일(1)을 인접 배치하여,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걸어맞춤시켜 연결함으로써 강 시트 파일벽(27)을 형성할 수 있는 Z형강 시트 파일(1)로서, 제1 조인트부(5)는, 선단에 팽출부(protruding portion; 11)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main claw; 13)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sub-claw; 15)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제2 조인트부(9)는, 선단에 팽출부(11)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13)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15)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Z형강 시트 파일,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Z-SHAPED STEEL SHEET PILE, AND STEEL SHEET PILE WALL FORMED FROM SAID Z-SHAPED STEEL SHEET PILE}
본 발명은, 토목 건축 분야에서 항만·하천 호안, 흙막이, 물막이(coffering) 공사에 사용되는 Z형강 시트 파일(z-shaped steel sheet pile) 및,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Z형강 시트 파일이란, 비스듬하게 배치된 웨브(web)의 양 단(端)에 당해 웨브에 연속하여 플랜지(flange)가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대략 Z형으로 된 강 시트 파일을 말한다.
토목 건축 분야에서 항만·하천 호안, 흙막이,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강 시트 파일로서는, U형강 시트 파일, Z형강 시트 파일 혹은 해트(hat)형강 시트 파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직선형 강 시트 파일은 주로 강 시트 파일 셀 공법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강 시트 파일은 조인트부를 연결시킴으로써 강제(steel) 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U형강 시트 파일, 해트형강 시트 파일 및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는 일반적으로 라르센(Larsen)형이라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직선형 강 시트 파일에는 일반적으로는 2중 클로우형으로 불리는 것이 이용되고 있고, 특수한 예로서 라르센형이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특허공보 제345810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211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70703호
U형강 시트 파일끼리를 연결시켜 강 시트 파일벽을 구축하는 경우, 조인트부가 구축 후의 강 시트 파일벽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U형강 시트 파일 단일체의 무게 중심과 강 시트 파일벽의 무게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 시트 파일벽이 토압 등의 작용 하중에 의해 굽힘을 받으면, 조인트부에 어긋남이 발생하고, 강 시트 파일벽의 강성(rigidity)이나 단면 계수(section modulus)가 저하되기 때문에, 조인트 효율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해트형강 시트 파일끼리나 Z형강 시트 파일끼리를 연결시켜 강 시트 파일벽을 구축하는 경우, 조인트부는 구축 후의 강 시트 파일벽 최외연(最外緣)에 위치하기 때문에, 강 시트 파일 단일체의 무게 중심과 강 시트 파일벽의 무게 중심이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강 시트 파일벽이 토압 등의 작용 하중에 의해 굽힘을 받아도, 조인트부에 어긋남이 발생할 일은 없어, 조인트 효율을 저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U형강 시트 파일에 비하여, 해트형강 시트 파일이나 Z형강 시트 파일은, 단위 벽면적당의 중량에 대한 단면 성능이 좋아, 경제성이 우수한 강 시트 파일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해트형강 시트 파일은 단위 벽면적당의 중량에 대한 단면 성능이 우수하다고는 해도, 제조상의 제약으로부터, 벽폭 1m당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종류로서, 현재 제품화되어 있는 것은 2종류뿐이다.
그에 비하여, Z형강 시트 파일은 벽폭 1m당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종류가 많고, 그 단면 2차 모멘트의 최대인 것은 해트형강 시트 파일의 10배 정도인 것도 있다. 또한, Z형강 시트 파일을 연결하면 해트 형상이 되는 점에서, Z형강 시트 파일을 사용하면, 필요 성능에 따라서 경제성, 단면 성능이 우수한 강 시트 파일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Z형강 시트 파일은 경제성, 단면 성능이 우수한 강 시트 파일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조인트부에 대해서는, 종래, U형강 시트 파일, 해트형강 시트 파일과 동일하게 라르센형이 이용되고 있다. 라르센형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2중 클로우형과 비교하여 제조하기 쉽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로서 라르센형이 최적인지 어떤지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검토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상이다.
그래서,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에 대해서, 종래 이용되고 있는 라르센형의 것이 최적인지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강 시트 파일 타설시의 문제>
강 시트 파일끼리를 연결하여 강 시트 파일벽을 형성할 때, 통상, 선행하여 타설된 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에 후속의 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를 끼워맞춤시켜 타설한다. 이 경우, 후속의 강 시트 파일과 선행하는 강 시트 파일을 완전하게 평행을 유지하여 타설할 수 있으면, 조인트부끼리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강 시트 파일은 타설 중에 지반 저항을 받기 때문에, 선행하는 강 시트 파일과 후속의 강 시트 파일의 평행을 유지하여 타설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강 시트 파일이 기울어, 조인트부끼리가 접촉함으로써 마찰 저항이 발생하고, 조인트부에는 여러 가지의 힘이 작용한다.
도 6은 라르센형 조인트를 갖는 종래형 Z형강 시트 파일(29)의 조인트부(31)에 작용하는 여러 가지의 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31)에 작용하는 힘에는, 플랜지부(33)의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 압축력, 또한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 나아가서는 플랜지부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 등이 있다.
라르센형의 조인트부는 인장력이나 회전력이 작용하면 변형되기 쉽다. 조인트부(31)에 작용하는 상기의 힘에 의해, 조인트부(31)의 개구부 폭이 닫히거나, 열리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조인트부(31)의 개구부 폭이 지나치게 열리면, 강 시트 파일끼리가 어긋날 수도 있고, 반대로 조인트부(31)의 개구부 폭이 지나치게 닫히면 후속의 강 시트 파일을 타설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이에 대해, U형강 시트 파일이나 해트형강 시트 파일에서는, 웨브부와 플랜지부로 둘러싸이는 공간에서 흙을 구속하는 점에서, Z형강 시트 파일과 비교하면 시트 파일의 타설시에 회전력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인트부에 발생하는 상기의 문제가 적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Z형강 시트 파일에서는, 그 형상으로부터 U형강 시트 파일이나 해트형강 시트 파일과 같이 흙을 구속하는 바와 같은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타설시에 지반 저항에 의해 Z형강 시트 파일이 회전 등 하기 쉽고, 그 때문에 조인트부에 발생하는 힘이 크다. 라르센형의 조인트부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력이나 회전력에 대하여 약하고, 그 한편으로 자유도가 낮기 때문에, 조인트부가 변형되기 쉬워, 상기와 같은 문제가 현저하게 나타난다는 문제가 있다.
<강 시트 파일 타설 후의 문제>
강 시트 파일 타설 후에 있어서도, 강 시트 파일은 지반으로부터의 힘을 받고, 특히 지진이 발생한 바와 같은 경우, 인장력에 대하여 약하고, 구속력이 강한 라르센형의 조인트부에서는, 조인트부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조인트부에 변형이 발생하면, 지수효과(water-stopping effect)가 저감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Z형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에는, 강 시트 파일의 타설시 및 타설 후에 있어서 조인트부에 힘이 작용하기 쉽고, 그 때문에 조인트부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조인트부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조인트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판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강재(steel material) 중량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제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강재 중량이 증가하는 일 없이, 강 시트 파일의 타설시나 타설 후에 있어서 조인트부에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밀도의 강 시트 파일벽을 구축할 수 있는 Z형강 시트 파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밀도의 강 시트 파일벽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Z형강 시트 파일은, Z형강 시트 파일을 구성하는 한쪽의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조인트부와, 다른 한쪽의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2 조인트부를 갖고, Z형강 시트 파일을 인접 배치하여, 상기 제1 조인트부와 상기 제2 조인트부를 걸어맞춤시켜 연결함으로써 강 시트 파일벽을 형성할 수 있는 Z형강 시트 파일로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protruding portion)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main claw)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sub-claw)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1 구부러짐부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부클로우의 외면이 플랜지부의 외면보다도 강 시트 파일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2 구부러짐부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클로우의 외면이 상기 부클로우의 두께분 이상의 거리만큼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 본 발명에 따른 강 시트 파일벽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Z형강 시트 파일을 연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Z형강 시트 파일에 있어서는, 제1 조인트부와 제2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인 것에 의하여, 강재 중량이 증가하는 일 없이, 타설시나 타설 후에 있어서 조인트부에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밀도의 강 시트 파일 강제 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Z형강 시트 파일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으로 둘러싼 A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으로 둘러싼 B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Z형강 시트 파일을 2매 연결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Z형강 시트 파일을 연결하여 형성한 강 시트 파일벽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형 Z형강 시트 파일의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Z형강 시트 파일(1)은, Z형강 시트 파일(1)을 구성하는 제1 플랜지부(3)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조인트부(5)와, 제2 플랜지부(7)의 선단에 형성된 제2 조인트부(9)를 갖고, Z형강 시트 파일(1)을 인접 배치하여,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걸어맞춤시켜 연결함으로써 강 시트 파일벽(27)(도 5 참조)을 형성할 수 있는 Z형강 시트 파일이다.
제1 조인트부(5)는, 선단에 팽출부(11)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13)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15)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다.
또한, 제2 조인트부(9)는, 선단에 팽출부(11)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13)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15)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형상>
Z형강 시트 파일(1)은, 비스듬하게 배치된 웨브부(16)의 일단측에 제1 플랜지부(3)를 갖고, 제1 플랜지부(3)의 선단에 제1 조인트부(5)가 형성되고, 웨브부(16)의 타단측에 제2 플랜지부(7)를 갖고, 제2 플랜지부(7)의 선단에 제2 조인트부(9)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Z형으로 되어 있다.
<조인트부>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의 기본 형상은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을 도 2,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는, 플랜지부의 선단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조인트 본체부(17)와, 당해 조인트 본체부(17)로부터 두 갈래로 나누어져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를 갖고 있다.
주클로우(13)는, 근원(proximal end)이 가늘고 선단에 팽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클로우(13)의 팽출부(11)는 대략 직사각형을 하고 있고, 주클로우(13) 전체의 형상이 T자 형상을 하고 있다. 팽출부(11)는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주클로우(13)에 있어서의 T자의 횡편과 종편과의 연결부(19)는, 외측의 굴곡 각도 쪽이 내측의 굴곡 각도보다도 날카롭게 되어 있다. 내측의 굴곡 각도가 매끄럽게 되어 있다는 점에서, 조인트부에 있어서의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로 둘러싸이는 조인트 내부(21)가 매끄러운 원호 형상이 되어 있다. 조인트 내부(21)가 매끄러운 원호 형상이 되어 있는 점에서, 조인트부를 연결했을 때에, Z형강 시트 파일(1) 전체의 회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부클로우(15)는, 근원의 두께가 크고, 선단이 될수록 두께가 얇아져 있고,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만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로 둘러싸이는 조인트 내부(21)에, 이것에 연결되는 다른 조인트부의 주클로우(13)가 삽입된다. 주클로우(13)에 팽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와의 간극으로부터 주클로우(13)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는, 전술한 주클로우(13)와 부클로우(15)를 갖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공통되어 있지만, 상이한 점도 있다. 그 때문에, 이하, 도 1 중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조인트부(5)와, 도 1 중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조인트부(9)를 각각 따로 설명한다.
(제1 조인트부)
제1 조인트부(5)는,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연결하여 강 시트 파일벽(27)(도 5 참조)을 형성할 때에, 연결된 조인트부에 있어서 부클로우(15)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강 시트 파일 외측이란, 제1 플랜지부(3)의 축선에 대하여 웨브부(16)가 있는 측과 반대측을 말하며, 강 시트 파일 내측과는 그 반대측, 즉 제1 플랜지부(3)의 중심축에 대하여 웨브부(16)가 있는 측을 말한다.
제1 조인트부(5)는, 부클로우(15)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고, 주클로우(13)가 부클로우(15)에 대향하도록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5)는, 제1 플랜지부(3)로부터 강 시트 파일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제1 구부러짐부(23)를 개재하여 제1 플랜지부(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5)는, 제1 구부러짐부(23)를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클로우(15)의 외면에 있어서의 가장 강 시트 파일 외측의 부위가, 제1 플랜지부(3)의 외면과 면일(flush)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제2 조인트부)
제2 조인트부(9)는,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연결하여 강 시트 파일벽(27)을 형성할 때에, 연결된 조인트부에 있어서 주클로우(13)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2 조인트부(9)는, 주클로우(13)가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고, 부클로우(15)가 주클로우(13)에 대향하도록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조인트부(9)는, 제2 플랜지부(7)로부터 강 시트 파일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제2 구부러짐부(25)를 개재하여 제2 플랜지부(7)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구부러짐부(25)는, 제1 조인트부(5)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구부러짐부(23)보다도, 강 시트 파일 내측으로의 연출(extension) 거리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
제2 조인트부(9)는, 제2 구부러짐부(25)를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주클로우(13)의 외면에 있어서의 가장 강 시트 파일 외측의 부위가, 제2 플랜지부(7)의 외면보다도, 거리 S만큼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거리 S는, 부클로우(15)의 두께 이상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Z형강 시트 파일(1)을 타설할 때에는, 선행하여 타설된 Z형강 시트 파일(1)의 조인트부(예를 들면 제2 조인트부(9))에, 후에 이어서 타설되는 Z형강 시트 파일(1)의 조인트부(예를 들면 제1 조인트부(5))를 걸어맞춤시켜 타설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조인트부(9)의 조인트 내부(21)에 왼쪽 조인트의 주클로우(13)가 삽입되고, 제1 조인트부(5)의 조인트 내부(21)에 제2 조인트부(9)의 주클로우(13)가 삽입되도록 걸어맞춤시킨다.
타설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Z형강 시트 파일(1)은 지반력을 받아 회전하기 쉽다. 그러나, 그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는, 회전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조인트부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고, 타설시에 조인트부가 변형하는 등의 일이 없다. 또한,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변형도 적다. 그 때문에, 고정밀도의 강 시트 파일벽(27)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Z형강 시트 파일(1)의 연결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Z형강 시트 파일(1)의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연결함으로써 강 시트 파일벽(27)이 형성된다(도 5 참조). 제1 조인트부(5)와 제2 조인트부(9)를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도 4, 도 5 참조), 제1 조인트부(5)의 부클로우(15)는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조인트부(9)측의 제2 플랜지부(7)의 외면보다도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연결된 2매의 Z형강 시트 파일(1)의 제1 플랜지부(3)와 제2 플랜지부(7)의 외면이 면일하게 되어 있다.
연결된 2매의 Z형강 시트 파일(1)의 제1 플랜지부(3) 및 제2 플랜지부(7)의 외면이 면일하게 됨으로써, 당해 부위에 직접 띠장재(waling material)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령, 연결부(19)에 있어서 조인트부가 돌출되어 있으면, 당해 부위에 예를 들면 뒤메우기(backfill) 콘크리트 등을 개재시켜 띠장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것에서는 그러한 수고가 없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조인트부는 회전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지진력 등이 작용한 경우에도, 조인트부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조인트부가 변형하는 등의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는, 인장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그 의미에서도 Z형강 시트 파일(1)이 인장력을 받았을 때에 조인트부가 변형 등을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인트부의 지수성이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Z형강 시트 파일(1)은, 강재 중량이 증가하는 일 없이, 타설시나 타설 후에 있어서 조인트부에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밀도의 강 시트 파일 강제 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조인트부(5)는 제1 구부러짐부(23)를 개재하여 제1 플랜지부(3)의 선단에 형성되고, 제2 조인트부(9)는 제2 구부러짐부(25)를 개재하여 제2 플랜지부(7)의 선단에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들 제1 구부러짐부(23)나 제2 구부러짐부(25)를 형성하는 일 없이 제1 조인트부(5)를 제1 플랜지부(3)의 선단에, 제2 조인트부(9)를 제2 플랜지부(7)의 선단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1 : Z형강 시트 파일
3 : 제1 플랜지부
5 : 제1 조인트부
7 : 제2 플랜지부
9 : 제2 조인트부
11 : 팽출부
13 : 주클로우
15 : 부클로우
16 : 웨브부
17 : 조인트 본체부
19 : 연결부
21 : 조인트 내부
23 : 제1 구부러짐부
25 : 제2 구부러짐부
27 : 강 시트 파일벽
29 : 종래형 Z형강 시트 파일
31 : 조인트부
33 : 플랜지부

Claims (3)

  1. Z형강 시트 파일(z-shaped steel sheet pile)을 구성하는 한쪽의 플랜지(flange)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조인트부와, 다른 한쪽의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2 조인트부를 갖고, Z형강 시트 파일을 인접 배치하여, 상기 제1 조인트부와 상기 제2 조인트부를 걸어맞춤시켜 연결함으로써 강 시트 파일벽을 형성할 수 있는 Z형강 시트 파일로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protruding portion)를 갖고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main claw)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sub-claw)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이며,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선단에 팽출부를 갖고 강 시트 파일 외측에 배치되는 주클로우와, 당해 주클로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는 부클로우를 갖는 2중 클로우형의 조인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Z형강 시트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1 구부러짐부(curved portion)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부클로우의 외면이 플랜지부의 외면보다도 강 시트 파일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조인트부는, 강 시트 파일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제2 구부러짐부를 개재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부러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클로우의 외면이 상기 부클로우의 두께분 이상의 거리만큼 강 시트 파일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Z형강 시트 파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Z형강 시트 파일을 연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시트 파일벽.
KR1020147029683A 2012-05-16 2012-05-16 Z형강 시트 파일,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 KR20140139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3107 WO2013171910A1 (ja) 2012-05-16 2012-05-16 Z形鋼矢板、該z形鋼矢板で形成された鋼矢板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050A true KR20140139050A (ko) 2014-12-04

Family

ID=4958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683A KR20140139050A (ko) 2012-05-16 2012-05-16 Z형강 시트 파일,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40139050A (ko)
CN (1) CN104271842A (ko)
SG (1) SG11201406542RA (ko)
WO (1) WO20131719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333B1 (ko) * 2016-03-14 2016-10-18 손완규 신축 및 확장이 자유로운 시트파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1312B2 (en) 2015-10-13 2020-08-04 Armour Wall Group Pty Ltd Sea walls, retaining walls and like structures using pin pil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78412A (en) * 1930-06-24 1932-08-04 Charles Marie Pierre Costes Improvements relating to sheet-piling units and assemblies composed thereof
JPS5129561B2 (ko) * 1972-06-17 1976-08-26
WO1997013039A1 (fr) * 1995-09-29 1997-04-10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Palplanche metallique asymetr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GB9816698D0 (en) * 1998-07-31 1998-09-30 British Steel Plc Steel sheet piling
US6715964B2 (en) * 2000-07-28 2004-04-06 Peratrovich, Nottingham & Drage, Inc. Earth retaining system such as a sheet pile wall with integral soil anchors
EP1420116B1 (en) * 2002-11-15 2017-05-3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Metal sheet p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333B1 (ko) * 2016-03-14 2016-10-18 손완규 신축 및 확장이 자유로운 시트파일
WO2017159975A1 (ko) * 2016-03-14 2017-09-21 손완규 신축 및 확장이 자유로운 시트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1910A1 (ja) 2013-11-21
CN104271842A (zh) 2015-01-07
SG11201406542RA (en)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4751A1 (en) Connected wall structure consisting of steel pipe sheet piles and steel sheet pi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TR201500976T1 (tr) Eksenel olarak esneyen elasto-plastik histerezis desteği ve titreşim sönümleyici çelik çerçeve yapısı.
JP4498172B2 (ja) 地中連続壁
KR20140139050A (ko) Z형강 시트 파일, 당해 z형강 시트 파일로 형성된 강 시트 파일벽
KR20140139049A (ko) 조합 강제 벽
JP5782729B2 (ja) Z形鋼矢板、該z形鋼矢板で形成された鋼矢板壁
JP6536323B2 (ja) 鋼矢板の縦継構造及び鋼矢板壁
JP5114741B2 (ja) ハット形鋼矢板
JP2011157755A (ja) 鋼製セグメント及び合成セグメント
JP2009235672A (ja) ハット形鋼矢板
JP5194782B2 (ja) ハット形鋼矢板
JP2005264556A (ja) コンクリート中詰め鉄鋼製セグメントおよびトンネルの一次覆工体
JP6714307B2 (ja) 既設鋼矢板壁の補強工法
JP5257470B2 (ja) 組合せ鋼製壁
JP5097734B2 (ja) セグメントの接合構造および該セグメントを製造するための型枠
JP4901586B2 (ja) コンクリート中詰め合成セグメント
TWI516659B (zh) Z-shaped steel sheet pile, the Z-shaped steel sheet pile formed by the steel sheet pile wall
JP3488230B1 (ja) 圧延鋼矢板
JP5737058B2 (ja) H形鋼矢板
RU161409U1 (ru) Шпунтовая стенка
JP5772659B2 (ja) U型鋼矢板およびu型鋼矢板を用いた構造体
TWI480448B (zh) Combination of steel wall
JP2017198035A (ja) 鋼矢板壁
JP6590253B2 (ja) 鋼矢板の継手部固定金具
JP7500418B2 (ja) 土留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9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27

Effective date: 201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