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310A - 휴대형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310A
KR20140138310A KR1020147029195A KR20147029195A KR20140138310A KR 20140138310 A KR20140138310 A KR 20140138310A KR 1020147029195 A KR1020147029195 A KR 1020147029195A KR 20147029195 A KR20147029195 A KR 20147029195A KR 20140138310 A KR20140138310 A KR 20140138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e
display
hand
m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이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패널(21)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 기기(1)에 설치된 표시부(10)는 표시 모드로서, 표시면(13)의 전체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전체 화면 표시 모드, 표시면(13)의 우변(13C) 및 하변(13B)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을 상사형으로 축소 표시하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표시면(13)의 좌변(13D) 및 하변(13B)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을 상사형으로 축소 표시하는 왼손용 표시 모드를 갖는다. 제어부(2)는, 입력부(20)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았을 때, 표시부(10)의 표시 모드를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전자 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터치 패널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 기기를 한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오른손으로 보유 지지하여 오른손 엄지로 조작하는 경우와 왼손으로 보유 지지하여 왼손 엄지로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어느 쪽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쥐더라도 무리 없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982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는, 하우징의 우측 테두리부 상측에 설치한 우측 터치 센서부 또는 하우징의 좌측 테두리 상측에 설치한 좌측 터치 센서부로부터의 검지 결과와, 터치 패널의 터치 위치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오른손으로의 한 손 조작인지 왼손으로의 한 손 조작인지, 또는 양손으로의 조작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한 손으로의 조작인 경우에는, 한 손으로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터치 패널부에 있어서의 조작 버튼(아이콘)의 배치를 변경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3278호 공보(특허문헌 2)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도,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부분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한다. 이 휴대 단말기에서는, 복수의 아이콘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부분에 근접하는 제1 변부의 하단부에 있는 제1 코너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와, 이 원호로부터 제1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현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46032호 공보(특허문헌 3)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 패널의 가압 영역의 형상에 기초하여, 조작하고 있는 손가락의 근원의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이 근원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대상의 표시 위치를 변경한다.
상기에 관련한 문헌으로서, 변형이 가능한 하우징과 터치 패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3356호 공보(특허문헌 4)가 알려져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이면에 슬라이드 수납 가능한 키보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키보드의 위치에 따라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조작 버튼(아이콘)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조작 버튼과 키보드의 조작 버튼의 양쪽을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하게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98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32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460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3356호 공보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패널이 대형화되고 있다. 화면 크기가 4인치 정도까지는 한 손으로 보유 지지하여 한 손으로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러나, 4 내지 5인치 정도의 화면 크기로 되면 한 손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지만, 보유 지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로 터치 패널의 전체 영역을 터치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각 문헌과 같이 터치 패널에 표시하는 버튼류(아이콘)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이 종종 행해진다. 그러나, 모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대응하도록 버튼류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 화면 크기가 대형화되었을 경우에도 한 손으로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입력부는, 표시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표시면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부는 표시 모드로서, 표시면의 전체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전체 화면 표시 모드, 표시면의 우변 및 하변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을 상사형(相似刑)으로 축소 표시하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표시면의 좌변 및 하변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을 상사형으로 축소 표시하는 왼손용 표시 모드를 갖는다. 제어부는, 입력부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았을 때,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형 전자 기기는, 중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자기(自機)의 자세를 검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상술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의 자기의 자세에 따라,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왼손용 표시 모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술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 표시면의 우변의 하단부가 표시면의 좌변의 하단부보다 낮아지도록 자기의 자세가 경사져 있을 경우에,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는, 상술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 표시면의 좌변의 하단부가 표시면의 우변의 하단부보다 낮아지도록 자기의 자세가 경사져 있을 경우에,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형 전자 기기는 전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이며,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착신을 음성 대신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표시부는, 입력부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는 조건 외에,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조건이 더 충족되었을 때,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부는 하우징부에 설치된 복수의 하드웨어 키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소정의 입력 조작은 복수의 하드웨어 키 중 소정의 키를 누르는 조작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일 때, 터치 패널의 터치 위치가, 축소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좌측 테두리부로부터 표시면의 좌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는 왼손용 표시 모드일 때, 터치 패널의 터치 위치가, 축소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우측 테두리부로부터 표시면의 우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왼손용 표시 모드일 때, 표시면 중에서 축소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 이외의 주변 영역에, 전체 화면 표시 모드일 때 주변 영역에 표시되는 부분의 화상을,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면 크기가 대형화되었을 경우에도 한 손으로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1)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형 전자 기기(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오른손용 표시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왼손용 표시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부터 왼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표시 모드의 전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오른손용 표시 모드의 경우의 화면 표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왼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표시 모드의 전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표시 모드의 전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휴대형 전자 기기(1)의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1)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휴대형 전자 기기(1)로서, 소위 스마트폰이라고 불리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 1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1)는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도 휴대형 전자 기기(1)에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휴대형 전자 기기(1)는, 대략 평판형 하우징(30)과, 하우징(30)의 정면(30A)에 직사각형의 표시면(13)이 형성된 표시부(10)와, 표시부(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터치 패널(21)과, 하우징(30)에 설치된 하드웨어 키(하드웨어의 조작 버튼)(22A 내지 22F)(총칭하는 경우, 하드웨어 키(22)라고 기재함)를 포함한다.
표시부(10)는 액정 패널 또는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면(13)에 표시되는 화상(40)으로서, 배경 화상 상에 다수의 조작 버튼(아이콘)(41)이 표시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경우, 표시면(13)의 화면 크기(대각선의 길이)는 4 내지 5인치 정도로 한다. 이 크기의 표시부(10)를 갖는 휴대형 전자 기기(1)는, 한 손(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보유 지지할 수는 있지만, 보유 지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로 표시면(13)의 전체 영역을 접촉하는 것은 곤란하다.
터치 패널(21)은 표시부(10)의 표시면(13) 상에 중첩시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터치 패널(21)은 터치 위치(터치 패널 상에서 가압된 위치)의 좌표를 출력한다.
하드웨어 키(22)는 하드웨어의 조작 버튼이며,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하우징(30)의 상측면에 전원 온, 전원 오프를 위한 전원 키(22A)가 설치되고, 우측면에 음량 키(22B, 22C)(음량 업용 키(22B), 음량 다운용 키(22C))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30)의 정면(30A)의 하부에 메뉴 키(22D), 홈 키(22E) 및 백 키(22F)가 설치된다. 메뉴 키(22D)를 누르면 조작 중인 화면의 메뉴가 표시된다. 홈 키(22E)를 누르면 홈 화면이 표시된다. 백 키(22F)를 누르면 이전 화면으로 복귀된다.
이들 하드웨어 키(22)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다른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누르면 다른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키(22E)를 길게 눌렀을 때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일람이 표시되거나, 음량 다운용 키(22C)를 길게 눌렀을 때는 매너 모드로 이행하거나 한다. 매너 모드의 상태에서는, 착신이 음성이 아니라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하드웨어 키(22) 대신에 동일한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 키를 표시부(10) 중에 레이아웃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휴대형 전자 기기(1)에는, 하우징(30)의 정면에 설치된 마이크(15) 및 스피커(16)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휴대형 전자 기기(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여 휴대형 전자 기기(1)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2), RAM(Random Access Memory)(3), ROM(Read Only Memory)(4), 불휘발성 메모리(5), 가속도 센서(6), 바이브레이터(7), 통신 장치(8), 안테나(9), 표시부(10), VDP(Video Display Processor)(11),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12), 마이크(15), 스피커(16), 음성 신호 처리 회로(17) 및 표시부(10)를 포함한다.
CPU(2)는 ROM(4) 및 불휘발성 메모리(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 기기(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RAM(3)은 CPU(2)의 주기억으로서 사용된다.
불휘발성 메모리(5)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으로 구성된다. 불휘발성 메모리 대신 하드 디스크를 설치해도 된다. 불휘발성 메모리(5)는 CPU(2)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거나, CPU(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한다.
가속도 센서(6)는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6)는 빔 구조로 지지된 추체를 가지며, 추체의 변위량을 정전 용량 또는 피에조 저항의 변화로서 검출하여 출력한다. 추체의 변위량은 가속도 센서(6)에 작용하는 가속도에 비례한다. 통상,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기에는, 중력의 방향에 의하여 자기의 자세를 검지하기 위하여 3축의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7)는 CPU(2)의 명령에 기초하여 진동함으로써, 예를 들어 매너 모드일 때 사용자에게 착신을 전달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통신 장치(8)는 CPU(2)의 명령에 기초하여, 안테나(9)를 통하여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VDP(11)는, CPU(2)로부터 명령에 기초하여 표시부(10)에의 화상 출력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이다. VRAM(12)은, VDP(11)의 명령에 기초하여 표시부(10)에 표시하는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도 2의 경우, VRAM(12)은 VDP(11)에 직결된다.
음성 신호 처리 회로(17)는 마이크(15)에서 검출한 음성 신호를 AD(Analog-to-Digital) 변환하고, 변환 후의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하여 부호화 및 노이즈 제거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음성 신호 처리 회로(17)는, 음향 출력해야 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더 행하여 스피커(16)에 출력한다. 또한 도 2의 경우와 달리, 음성 신호 처리 회로(17)를 설치하지 않고 음성 신호 처리 회로(17)의 기능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2)가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것이며, 도 1에서 설명한 터치 패널(21) 및 하드웨어 키(2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21)은 패널 상의 터치 위치의 좌표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복수의 아이콘(41)이 표시부(10)의 표시면(13)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CPU(2)는 터치 패널(21)로부터 출력된 터치 위치의 좌표에 기초하여 VRAM(12)을 액세스함으로써, 어느 아이콘(41)이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표시 모드의 전환에 대하여]
다음으로,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전자 기기(1)의 특징인 표시 모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0)는 표시 모드로서, 전체 화면 표시 모드,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왼손용 표시 모드를 갖는다. 전체 화면 표시 모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면(13)의 전체면에 화상(40)이 표시된다.
도 3은, 오른손용 표시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오른손용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13)의 하변(13B) 및 우변(13C)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40)을 상사형으로 축소한 화상(40R)이 표시된다. 도 3의 경우, 표시면(13) 상에서 축소 화상(40R)이 표시되지 않는 주변 영역(도 3에서 도트가 부여된 영역)은, 흑색 또는 청색 등의 단색이 표시된다.
도 3에 있어서 축소 화상(40R)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는, 오른손(50R)으로 휴대형 전자 기기(1)를 보유 지지했을 경우에, 축소 화상(40R)이 표시되는 전체 영역을 오른손 엄지(51R)로 터치 가능해지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축소 화상(40R)의 크기(대각선의 길이)는 3 내지 4인치 정도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오른손으로 휴대형 전자 기기(1)를 보유 지지하면서, 오른손 엄지를 사용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4는, 왼손용 표시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왼손용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13)의 하변(13B) 및 좌변(13D)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40)을 상사형으로 축소한 화상(40L)이 표시된다. 도 4의 경우, 표시면(13) 상에서 축소 화상(40L)이 표시되지 않는 주변 영역(도 4에서 도트가 부여된 영역)은, 흑색 또는 청색 등의 단색이 표시된다.
도 4에 있어서 축소 화상(40L)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는, 왼손(50L)으로 휴대형 전자 기기(1)를 보유 지지했을 경우에, 축소 화상(40L)이 표시되는 전체 영역을 왼손 엄지(51L)로 터치 가능해지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축소 화상(40L)의 크기(대각선의 길이)는 3 내지 4인치 정도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왼손으로 휴대형 전자 기기(1)를 보유 지지하면서, 왼손 엄지를 사용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경우,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왼손용 표시 모드(한 손용 표시 모드라고 총칭함)로의 전환은, 사용자가 소정의 하드웨어 키를 누름으로써 행해진다. 예를 들어 백 키(22F)를 길게 누르거나 음량 업용 키(22B)를 길게 누르거나 하는 등, 다른 기능이 아직 할당되어 있지 않은 입력 조작에 대하여 표시 모드의 전환이 설정된다. 한 손용 표시 모드에서 다시 소정의 입력 조작(소정의 하드웨어 키 가압)이 행해지면, 표시 모드는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또는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한 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은, 하드웨어 키의 가압 대신에,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특정한 제스처 입력에 의하여 실현해도 된다.
소정의 입력 조작에 대하여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왼손용 표시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전환될지는 미리 설정 가능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 사용자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를 미리 설정하고, 왼손잡이 사용자는 왼손용 표시 모드를 미리 설정한다.
터치 패널(21) 상의 소정 개소의 터치 입력 조작에 의해서도,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한 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따라서는 당해 터치 입력 조작에 이미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모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동일한 입력 조작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하드웨어 키를 표시 모드의 전환에 할당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손용 표시 모드로부터 원래의 화상(40)의 축소 화상(40R, 40L)을 표시하는 것은, Android(등록 상표)라고 불리는 모바일용 OS에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Android(등록 상표)에서는 화면 상의 버튼이나 텍스트의 크기를, dip(device-independent pixel)이라고 불리는 단말기의 해상도에 의존하지 않는 단위로 표기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기의 해상도(dpi: dots per inch)에 의하여 화면 상의 버튼이나 텍스트의 크기를 불변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해상도(dpi)를 의사적으로 변경하면, 축소 표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체 화면 표시 모드와 한 손 표시 모드에서, 터치 패널(21)을 사용한 입력 조작은 공통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한 손용 표시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화면 상의 조작 버튼(아이콘)(41)을 터치했을 경우, 터치 패널(21)은 터치 위치의 좌표를 출력한다. CPU(2)는,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응하는 조작 버튼을 도 2의 VRAM(12)를 참조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부터 왼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른손용 표시 모드와 왼손용 표시 모드 사이의 전환은, 터치 패널(21)에의 입력 조작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오른손 표시 모드의 경우가 도시된다. 이때, 터치 패널(21)의 터치 위치가, 축소 화상(40R)이 표시되는 영역의 좌측 테두리부(43D)로부터 표시면(13)의 좌변(13D)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 것(소위 「플릭 입력」이라고 칭해짐)이 검출되면, 표시 모드를 왼손 표시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형 전자 기기(1)를 오른손에서 왼손으로 바꾸어 쥐었을 경우에, 왼손 엄지를 사용하여 상술한 터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부터 왼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왼손용 표시용 모드의 경우에는, 터치 패널(21)의 터치 위치가, 축소 화상(40L)이 표시되는 영역의 우측 테두리부(43C)로부터 표시면(13)의 우변(13C)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 것이 검출되면, 표시 모드를 오른손 표시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표시 모드의 전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도 6을 참조하여, 표시 모드의 전환 수순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설명을 총괄한다.
초기 상태(전원 구동 시 또는 슬립 모드로부터의 재기동 시 등)에 있어서, 표시부(10)의 표시 모드는 전체 화면 표시 모드이다(스텝 S10). 전체 화면 표시 모드에 있어서 CPU(2)는, 입력부(20)에 대하여 소정의 입력 조작이 있었음을 검출하면(스텝 S20에서 "예"), 표시부(10)의 표시 모드를 한 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이 경우, 한 손용 표시 모드로서 오른손용 표시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30에서 "예"), CPU(2)는 표시 모드를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40). 한 손용 표시 모드로서 왼손용 표시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30에서 "아니오"), CPU(2)는 표시 모드를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50).
오른손용 표시 모드일 때 CPU(2)는, 축소 화상(40R)(도 5을 참조)이 표시되는 영역의 좌측 테두리부(43D)로부터 표시면(13)의 좌변(13D)의 방향으로 플릭 입력을 검출하면(스텝 S60에서 "예"), 표시부(10)의 표시 모드를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50).
왼손용 표시 모드일 때 CPU(2)는, 축소 화상(40L)(도 4를 참조)이 표시되는 영역의 우측 테두리부(43C)로부터 표시면(13)의 우변(13C)의 방향으로 플릭 입력을 검출하면(스텝 S70에서 "예"), 표시부(10)의 표시 모드를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40).
한 손용 표시 모드일 때 CPU(2)는, 소정의 입력 조작을 검출하면(스텝 S80 또는 S90에서 "예"), 표시부(10)의 표시 모드를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10). 이후, 상술한 각 스텝이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전자 기기(1)에 의하면, 원래의 화상을 상사형으로 축소 표시하는 한 손용 표시 모드가 설정되는 것에 의하여, 화면 크기가 대형화되었을 경우에도 한 손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변형예]
도 7은, 오른손용 표시 모드의 경우의 화면 표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표시부(10)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일 때, 표시면(13) 중 축소 화상(40R)이 표시되는 영역 이외의 주변 영역(42)에, 전체 화면 표시 모드일 때 이 주변 영역(42)에 표시되는 부분의 화상을,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원래의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흑백 화상)로 변환하거나 단색 컬러 스케일로 변환하거나 하여 표시하거나 한다.
마찬가지로 표시부(10)는 왼손용 표시 모드일 때, 표시면(13) 중 축소 화상(40L)이 표시되는 영역 이외의 주변 영역에, 전체 화면 표시 모드일 때 이 주변 영역에 표시되는 부분의 화상을,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축소 표시가 화면 표시의 에러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한 손용 표시 모드에 의하여 표시되고 있음이 사용자에게 있어 명확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한 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왼손용 표시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전환될지가 미리 설정되어 있었다. 실시 형태 2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서는, 도 2의 가속도 센서(6)에 의하여 검출한 중력의 방향을 이용함으로써,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자세에 따라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왼손용 표시 모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같으므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표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 조작(예를 들어 도 1의 음량 업용 키(22B)의 길게 누름)을 받고 있을 때, 표시면(13)의 우변(13C)의 하단부가 좌변(13D)의 하단부보다 낮아지도록 자기의 자세가 경사져 있는 경우, 표시부(10)의 표시 모드가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왼손용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는, 표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 표시면(13)의 좌변(13D)의 하단부가 우변(13C)의 하단부보다 낮아지도록 자기의 자세가 경사져 있는 경우, 표시부(10)의 표시 모드가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자기의 자세의 검지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하 방향(표시면(13)의 우변(13C)을 따른 방향), 좌우 방향(표시면(13)의 상변(13A)을 따른 방향) 및 전후 방향(표시면(13)에 수직인 방향)의 중력 가속도의 성분이 검출 가능하다고 하자. 이 경우, 중력 가속도의 상하 방향 성분이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방향이며, 또한 좌우 방향의 성분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 표시면(13)의 우변(13C)의 하단부가 좌변(13D)의 하단부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표시 모드의 전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흐름도는, 도 6의 스텝 S30 대신 스텝 S31이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도 6의 흐름도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는 경우(스텝 S20에서 "예")에 있어서, 자기의 자세가 표시면(13)의 우변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때, 즉 우변(13C)의 하단부가 좌변(13D)의 하단부보다 낮을 때(스텝 S31에서 "예"), 도 2의 CPU(2)는 표시 모드를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40). 반대로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는 경우(스텝 S20에서 "예")에 있어서, 자기의 자세가 표시면(13)의 좌변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때, 즉 좌변(13D)의 하단부가 우변(13C)의 하단부보다 낮을 때(스텝 S31에서 "아니오"), 도 2의 CPU(2)는 표시 모드를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50).
도 10의 그 외의 점은 도 6의 경우와 같으므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스텝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자기의 자세가 좌우 방향 중 어느 쪽으로 경사져 있는지에 따라,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왼손용 표시 모드 중 어느 한쪽으로 표시 모드를 전환했지만, 반드시 이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기의 자세가 전후 방향 중 어느 쪽으로 경사져 있는지에 따라, 표시 모드를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왼손용 표시 모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 2에서는 소정의 입력 조작(예를 들어, 도 1의 음량 업용 키(22B)의 길게 누름)을 받고 있을 때, 표시부(10)의 표시 모드가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한 손용 표시 모드(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였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입력부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는 조건 외에,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조건이 더 충족되었을 때, 표시부(10)의 표시 모드가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한 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전철을 타고 있을 경우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를 한 손으로 조작할 필요성이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스마트폰은 통상,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표시 모드의 전환 조건에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조건을 추가하도록 한다. 단순히 사용자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한 것만으로는, 표시 모드가 한 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지 않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 3의 휴대형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 등 전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한정된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한 표시 모드의 전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흐름도는,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S11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10의 흐름도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매너 모드로 설정되고(스텝 S11에서 "예"), 또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스텝 S20에서 "예"), 도 2의 CPU(2)는 표시부(10)의 표시 모드를 한 손용 표시 모드(스텝 S40 또는 S41)로 전환한다. 도 11의 그 외의 점은 도 10의 경우와 같으므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스텝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금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휴대형 전자 기기
2: CPU
6: 가속도 센서
10: 표시부
11: VDP
12: VRAM
13: 표시면
13A: 상변
13B: 하변
13C: 우변
13D: 좌변
20: 입력부
21: 터치 패널
22: 하드웨어 키
30: 하우징
30A: 정면
40: 화상(전체 화면 표시 모드)
40R: 축소 화상(오른손용 표시 모드)
40L: 축소 화상(왼손용 표시 모드)
42: 주변 영역
43C: 우측 테두리부
43D: 좌측 테두리부

Claims (7)

  1. 휴대형 전자 기기로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표시면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표시 모드로서, 상기 표시면의 전체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전체 화면 표시 모드, 상기 표시면의 우변 및 하변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을 상사형(相似刑)으로 축소 표시하는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상기 표시면의 좌변 및 하변을 따르도록 하여 원래의 화상을 상사형으로 축소 표시하는 왼손용 표시 모드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았을 때, 상기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상기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상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상기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는, 중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자기(自機)의 자세를 검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의 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상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및 상기 왼손용 표시 모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 상기 표시면의 우변의 하단부가 상기 표시면의 좌변의 하단부보다 낮아지도록 자기의 자세가 경사져 있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상기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상기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을 때, 상기 표시면의 좌변의 하단부가 상기 표시면의 우변의 하단부보다 낮아지도록 자기의 자세가 경사져 있을 경우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상기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상기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는 전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이며,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착신을 음성 대신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고 있는 조건 외에, 상기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조건이 더 충족되었을 때, 상기 전체 화면 표시 모드로부터 상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상기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된 복수의 하드웨어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입력 조작은 상기 복수의 하드웨어 키 중 소정의 키를 누르는 조작인, 휴대형 전자 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른손용 표시 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위치가, 축소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좌측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표시면의 좌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상기 왼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왼손용 표시 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위치가, 축소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우측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표시면의 우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 모드를 상기 오른손용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오른손용 표시 모드 또는 상기 왼손용 표시 모드일 때, 상기 표시면 중에서 축소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 이외의 주변 영역에, 상기 전체 화면 표시 모드일 때 상기 주변 영역에 표시되는 부분의 화상을,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KR1020147029195A 2012-04-05 2013-04-01 휴대형 전자 기기 KR20140138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6676 2012-04-05
JP2012086676A JP2013218428A (ja) 2012-04-05 2012-04-05 携帯型電子機器
PCT/JP2013/059862 WO2013150998A1 (ja) 2012-04-05 2013-04-01 携帯型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310A true KR20140138310A (ko) 2014-12-03

Family

ID=4930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195A KR20140138310A (ko) 2012-04-05 2013-04-01 휴대형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84885A1 (ko)
EP (1) EP2835728A4 (ko)
JP (1) JP2013218428A (ko)
KR (1) KR20140138310A (ko)
CN (1) CN104185835A (ko)
WO (1) WO2013150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5393B2 (en) 2015-05-29 2018-07-17 Xiaomi Inc.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447B1 (ko) * 2011-12-08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79666B1 (ko) * 2012-05-15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5565450B2 (ja) * 2012-05-22 2014-08-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出力装置
JP2014010780A (ja) * 2012-07-02 2014-01-20 Sharp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40009713A (ko) *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520798B (zh) * 2012-08-08 2018-07-03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程序
JP5679594B2 (ja) * 2013-03-05 2015-03-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91291B2 (en) * 2013-05-24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JP6155869B2 (ja) 2013-06-11 2017-07-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3894737U (zh) * 2013-07-23 2014-10-2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行动装置
KR102156729B1 (ko) * 2013-08-27 202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배율을 조정하는 방법, 전자 장치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JP2015099526A (ja) * 2013-11-20 2015-05-2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3761086A (zh) * 2014-01-02 2014-04-3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的方法和终端
US9851883B2 (en) * 2014-02-17 2017-12-2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d moving a user interface for single handed use on an endpoint device
JP2015158735A (ja) * 2014-02-21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170199662A1 (en) * 2014-05-26 2017-07-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US20220171530A1 (en) * 2014-06-11 2022-06-02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a user input modality
CN104133636A (zh) * 2014-07-25 2014-11-05 黄成飞 一种单手控制触屏移动设备方法
CN104090704B (zh) * 2014-07-28 2019-10-29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160020896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10203858B2 (en) 2014-08-28 2019-02-12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of information
CN104252292B (zh) * 2014-08-29 2020-01-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4281367A (zh) * 2014-09-28 2015-01-14 北京数字天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系统管理方法及装置
CN105528169A (zh) * 2014-10-23 2016-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设备和对触摸屏设备进行操作的方法
US10444977B2 (en) * 2014-12-05 2019-10-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ellphone manager
CN104598123B (zh) * 2014-12-22 2018-07-2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的屏幕显示画面的显示方法和装置
CN115048007B (zh) * 2014-12-31 2024-05-07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调整界面操作图标分布范围的装置、方法及触摸屏设备
JP5955421B2 (ja) * 2015-01-08 2016-07-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615352A (zh) * 2015-01-28 2015-05-13 上海华豚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桌面、移动终端以及移动终端桌面的操作方法
US20180046366A1 (en) * 2015-03-05 2018-0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 of terminal, user interface, and terminal
CN104765549A (zh) * 2015-03-27 2015-07-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显示界面缩放的实现方法和装置
KR20160124536A (ko) * 2015-04-20 2016-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CN104850346A (zh) * 2015-04-29 2015-08-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文字输入方法和装置
CN106293351A (zh) * 2015-05-20 2017-0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菜单布局方法及装置
JP2016224523A (ja) 2015-05-27 2016-12-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5187619A (zh) * 2015-06-24 2015-1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通信方法及智能通信终端
KR20170002051A (ko) 2015-06-29 2017-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한 손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6341171B2 (ja) * 2015-09-28 2018-06-13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電子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147830B2 (ja) * 2015-10-28 2017-06-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方法
JP5955446B2 (ja) * 2015-11-24 2016-07-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11678A (zh) * 2015-12-15 2016-04-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界面单手操控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468258B (zh) 2015-12-23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界面的切换方法、装置和终端
US20190018555A1 (en) * 2015-12-31 2019-01-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n user interface and handheld terminal
CN107037965A (zh) * 2016-02-04 2017-08-11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输入的信息展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10514844B2 (en) * 2016-11-16 2019-12-24 Dell Products L.P. Automatically modifying an input area based on a proximity to one or more edges
KR102375950B1 (ko) * 2016-12-02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301124B2 (en) 2017-08-18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ing preview panel
US10417991B2 (en) 2017-08-18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11237699B2 (en) 2017-08-18 2022-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al menu generation
US20190056857A1 (en) * 2017-08-18 2019-0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izing an active region of a user interface
CN108287653A (zh) * 2017-12-28 2018-07-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终端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70037B2 (en) * 2018-03-15 2020-09-0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Mobile terminal device
JP6604400B2 (ja) * 2018-06-19 2019-1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219904A (ja) * 2018-06-20 2019-12-26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認識装置、及び、認識方法
CN112698756A (zh) * 2019-10-23 2021-04-23 华为终端有限公司 用户界面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6684B2 (en) *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JP4699955B2 (ja) * 2006-07-21 2011-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4979600B2 (ja) 2007-09-05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9163278A (ja) 2007-12-21 2009-07-23 Toshiba Corp 携帯型機器
JP4364273B2 (ja) 2007-12-28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1910998A (zh) * 2008-01-07 2010-12-08 株式会社Ntt都科摩 信息处理设备和程序
JP2009169820A (ja) 2008-01-18 2009-07-30 Panasonic Corp 携帯端末
JP5045559B2 (ja) * 2008-06-02 2012-10-1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10039772A (ja) * 2008-08-05 2010-02-18 Sharp Corp 入力操作装置
JP5526789B2 (ja) * 2010-01-08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542097B2 (en) * 2010-01-13 2017-01-10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touchpad for a touch device
JP2011248400A (ja) * 2010-05-21 2011-12-0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5561043B2 (ja) * 2010-09-07 2014-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5393B2 (en) 2015-05-29 2018-07-17 Xiaomi Inc.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4885A1 (en) 2015-03-26
WO2013150998A1 (ja) 2013-10-10
CN104185835A (zh) 2014-12-03
JP2013218428A (ja) 2013-10-24
EP2835728A1 (en) 2015-02-11
EP2835728A4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8310A (ko) 휴대형 전자 기기
JP5722642B2 (ja) 携帯端末装置
US1103638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KR101452038B1 (ko)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JP5869316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9776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518605B (zh) 一种终端的触摸操作方法及装置
JP5743847B2 (ja)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EP3525075A1 (en) Method for lighting up screen of double-screen terminal, and terminal
JP5713180B2 (ja) 検知領域がディスプレイの表示領域よりも小さくても同等時のように動作する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30025979A (ko)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US7961176B2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sensing,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5594652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キー配置変更方法
KR20080084208A (ko)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CN111045628A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电子设备
JP5542975B2 (ja) 電子機器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US913480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storag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3243511A (ja) 携帯端末装置
JP2013168762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20050087597A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JP6431509B2 (ja) 物理キーユニット、及び物理キーユニットが外付けされる電子機器
KR100800816B1 (ko) 휴대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167042A2 (zh) 快捷按钮的生成方法及装置、移动设备
KR101147730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