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713A -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713A
KR20140009713A KR1020120076216A KR20120076216A KR20140009713A KR 20140009713 A KR20140009713 A KR 20140009713A KR 1020120076216 A KR1020120076216 A KR 1020120076216A KR 20120076216 A KR20120076216 A KR 20120076216A KR 20140009713 A KR20140009713 A KR 2014000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input window
size
window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9713A/ko
Priority to US13/939,752 priority patent/US20140015781A1/en
Priority to CN201310292473.9A priority patent/CN103543907A/zh
Priority to EP13176287.4A priority patent/EP2685369A3/en
Publication of KR2014000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모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된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IZE OF TOUCH INPUT WINDOW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의 입력창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휴대 단말의 보급 및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항시 휴대하며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 단말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휴대성을 유지하면서도 그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터치 패널을 단말기의 전면 전체에 채용하는 풀 터치스크린 형태의 기술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에 주로 출력되는 컨텐츠는 표시부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되며, 입력은 표시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 사용자의 그 사용 목적 및 취향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 단말이 수요자에게 공급되고 있으며 수요자의 표시부 크기의 확장에 대한 요구로 풀터치 스크린 형태의 기술이 도입되어 있는 것은 물론, 휴대단말의 사이즈 자체가 확장된 휴대 단말도 그 보급 및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이즈가 확장된 휴대단말에 있어서 메시지 입력 등 터치 입력 작업 수행 시에 터치 입력 영역은 표시부 양측면에 걸쳐 넓게 할당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터치 입력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반드시 양 손으로 휴대 단말을 파지한 채 양 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작업을 수행해야 하거나,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을 무리하게 움직여 터치 입력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휴대 단말 사이즈의 확장은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에 있어 불편을 야기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이즈가 큰 휴대 단말의 제조사 입장에서 휴대 단말 사이즈의 확장으로 큰 출력 화면을 통해 양질의 출력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에도, 터치 입력에 대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수요자들이 구입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터치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표시되는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원하는 사이즈로 조절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조절에 있어 모션 입력에 의해 보다 손쉽게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은 제1 터치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모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된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창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은 제1 터치입력창 또는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모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모션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및 장치는 모션 입력을 감지하여 제1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제2 터치 입력창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의 터치 입력창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 화면 양측면에 걸쳐 디스플레이되는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에 대한 예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일 측면에 사이즈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입력창에 대한 예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일 측면에 사이즈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입력창에 대한 예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방향의 기울임 입력과 이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방향의 기울임 입력과 이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울임 각도의 증감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입력과 이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입력에 의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입력에 의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창을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으로 복귀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터치 입력창이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이즈가 조절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 조작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터치 입력 대상으로 정의된다.(제1 정의) 예를 들어 터치 입력창은 휴대 단말 사용에 있어 문자 메시지, SNS, 메신저, E-MAIL 작성에 있어서의 입력창, 인터넷 검색창, 메모 앱, 전자 사전에서의 입력창, 워드 프로그램에서의 키보드 창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력창은 다양한 형태와 구성, 언어, 숫자, 기호, 이모티콘 등을 구비한 소프트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입력창은 소프트 키보드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화면일 수 있다. 즉, 패턴 락(Lock)에 의한 해제, 밀어서 잠금 해제 등 다양한 터치 입력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악, 영상 등을 재생하거나 게임을 조작하는데 있어 터치 입력이 사용되는 모든 경우의 터치 입력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입력창은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본 운영체계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대로 표시부 상에 사전 정의된 특정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의 터치 입력창이란 휴대 단말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든 터치 입력 반응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제2 정의) 즉, 상기 모든 터치 입력 대상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출력,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도 있다. 터치 입력창이 상기 두 정의 중 어느 것으로 결정될 것인지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 제1 터치 입력창이란 사용자가 상기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전에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터치 입력창으로 정의되며, 제2 터치 입력창이란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사이즈가 조절된 터치 입력창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터치 입력창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이즈가 축소되기 전의 터치 입력창으로서 표시부의 양 측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되며(이러한 경우를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이라 부를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창은 제1 터치 입력창이 축소된 형태로서 표시부의 특정 측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에 대하여 정의 내린 바와 같이 제1 터치 입력창이란 모션입력에 의한 사이즈 조절 이전의 터치 입력창이므로, 제1 터치 입력창은 반드시 표시부의 화면 양 측면에 걸쳐 디스플레이되어 있거나 사이즈가 축소되기 이전의 터치 입력창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이미 사이즈가 축소되어 표시부의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터치 입력창 역시 반드시 사이즈가 축소된 형태의 터치 입력창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제2 터치 입력창은 제1 터치 입력창을 본 발명 실시에 의해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입력창이거나 최대한 확대되어 표시부 양 측면에 걸쳐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입력창(이러한 경우를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이라 부를 수 있다.)일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창이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일지, 사이즈가 축소된 형태일 지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제2 터치 입력창도 마찬가지로 사이즈가 축소된 형태일지, 기본 제공 터치 입력 창일지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에 대하여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감지부(160) 및 제어부(1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단말기(100)의 감지부(160)는 모션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 예를 들면 지자기 센서(161), 가속도 센서(163) 및 자이로 센서(16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기 센서(161), 가속도 센서(163) 및 자이로 센서(165)는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모션 즉, 휴대 단말기의 이동과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165)는 6축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즉, 3축(X(상하), Y(좌우) 및 Z(전후)) 방향으로의 휴대 단말기의 기울임과 각 축에서의 회전 운동을 감지한다. 여기서,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 방향을 롤링(rolling), Y축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 방향을 피칭(pitching) 그리고 Z축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 방향을 요잉(yawing)이라 한다. 가속도 센서(163)는 이동하는 휴대 단말기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지자기 센서(161)는 동서남북의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또한, 지자기 센서(161)는 자이로 센서(165)의 방향 오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163)를 보조하여 회전 가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때 통신부(110) 제어를 위한 다양한 키 맵, 제어키 맵 등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터치 입력창 지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3*4 키 맵, 5*4 키 맵, 쿼티 키 맵, 드보락 키 맵 등 다양한 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창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음악 재생을 위한 제어키 맵, 동영상 재생을 위한 제어키 맵, 방송 수신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 해제를 위한 제어키 맵 등 다양한 제어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창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터치 입력창들은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터치 입력창 상의 각 키들의 위치, 구조 등이 변경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입력 모듈 운용에 따른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30)는 모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것임을 안내하는 안내음, 해당 제2 터치 입력창이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할 것임을 안내하는 안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으로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확대, 축소 등의 경우에도 이에 따른 효과음, 터치 입력창의 종류 변화에 따른 효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터치 입력창에 터치 입력 작업 수행에 따라 터치 입력창에 포함된 특정 키가 선택되는 경우 키 선택에 따른 효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143)과 표시 패널(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43)은 표시 패널(141) 화면 전체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표시 패널(141)을 기준으로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운용될 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는 기본제공 터치 입력창, 제1 터치 입력창 또는 제2 입력창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각 화면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 운영체제 및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다양한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을 상기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션 입력에 의해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제2 터치 입력창을 표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모션 입력의 운용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모션 입력에 따라 사이즈가 조절되는 상기 터치 입력창에 대한 제1 및 제2 정의가 제조자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 환경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두 가지 정의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입력의 종류에 따라 터치 입력창 조절 방식이 매칭 되어 있으며, 모션입력이 기울임 입력의 경우 기울임 정도에 따라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모션 입력이 가속도 입력의 경우 감지부(160)를 통해 가속도를 감지하고, 제어부(170)가 감지된 가속도에 부합하는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매칭 정보인 기 설정값, 가속도와 비교하여 제1 터치 입력창을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로 확장하기 위한 임계값, 이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있을 수 있다. 상기 설정값과 임계값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며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창을 표시부에 출력하기 위해 요구되는 신호 전달과 처리 및 전원의 공급과 분배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하며, 터치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70)는 감지부(160)의 모션 입력 감지를 통해 제1 터치 입력창을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한 사이즈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사용 의도에 따라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표시부(140)가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조절된 사이즈로 출력된 제2 터치 입력창을 이용하여 다양한 터치 입력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는 휴대 단말(100)이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양한 종류의 터치 입력창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도2A는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 상태화면(210), 문자메시지 입력화면(220), 메신저 메시지 입력화면(230)에 해당한다. 또한 도2B는 인터넷 검색화면(240), 메모 앱(App)(250)의 화면, 호 신호 발생을 위한 발신화면(260)에 해당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휴대 단말(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함에 따라 표시부(14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에 해당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들 도면들은 모션 입력을 감지하기 전의 상태로서, 제1 터치 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도면은 축소된 형태로 표시부의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 된 터치 입력창이 제1 터치 입력창에 해당하는 때에, 휴대 단말(100)이 모션입력을 받아 본 발명이 실시되어 제1 터치 입력창이 표시부의 반대 측면 방향으로 최대한 확대된 상태, 즉 표시부 양 측면에 걸쳐 표시된 형태(제2 터치 입력창)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서, 터치 입력창에 대한 제1 정의에 의하면 터치 입력창은 잠금 상태화면(210)에서는 패턴 입력부(213), 문자메시지 입력화면(220)에서는 문자 입력창(223), 메신저 메시지 입력화면(230)에서는 메신저 메시지 입력창(235), 인터넷 검색화면(240)에서는 인터넷 검색창(245), 메모 앱(App)화면(250) 에서는 메모 입력창(255), 호 신호 발생을 위한 발신화면(260)에서는 발신번호 입력창(265)에 해당한다. 한편 터치 입력창에 대한 제2 정의에 의하면, 터치 입력창은 키 맵, 소프트 키보드 등 터치 입력 대상뿐만 아니라 모든 터치 입력 반응 영역으로서,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 된 전체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잠금 상태화면(210), 문자메시지 입력화면(220), 메신저 입력화면(230), 인터넷 검색화면(240), 메모 앱(App)화면(250), 호 신호 발생을 위한 발신화면(260) 자체가 터치 입력창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터치 입력창의 정의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존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는 상기 터치 입력창에 대한 정의 중 제1 정의에 관련한 도면으로서, 터치 입력 대상(313, 323, 333, 343, 353, 363)만이 축소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은 또한 그 외의 휴대 단말이 제공하는 기본 정보(311),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출력(321),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정보(331),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343) 등의 다양한 터치 입력 반응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도 3A는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 상태화면(310), 문자메시지 입력화면(320), 메신저 입력화면(330)에 해당한다. 또한 도 3B는 인터넷 검색화면(340), 메모 앱(App)(350)의 화면, 호 신호 발생을 위한 발신화면(360)에 해당한다. 이러한 도 3A 및 도 3B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터치 입력창(313, 323, 333, 343, 353, 363)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즉, 상기 도 3A 및 도 3B는 제1 터치 입력창(예를 들면 도 2A및 도 2B에 해당하는 도면)이 모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그 사이즈가 축소되어 표시부의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된 터치 입력창인 제2 터치 입력창(313, 323, 333, 343, 353, 363)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A 및 도 3B는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축소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제1 터치 입력창을 포함하는 도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추후 모션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한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최대한 확대된 제2 터치 입력창은 도 2A 및 도 2B에 해당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 및 도 4B는 상기 터치 입력창에 대한 제2 정의에 관련한 도면으로서, 모든 터치 입력 반응 영역이 축소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터치 입력창은 터치 입력대상(413, 423, 433, 443, 453, 463)외에 다양한 터치 입력 반응 영역 부분(411, 421, 431, 441, 451, 461)을 포함하고 있다. 도 4A는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 상태화면(410), 문자메시지 입력화면(420), 메신저 메시지 입력화면(430)에 해당한다. 또한 도 4B는 인터넷 검색화면(440), 메모 앱(App)(450)의 화면, 호 신호 발생을 위한 발신화면(460)에 해당한다. 이러한 도 4A 및 도 4B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된 제1 터치 입력창(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에 해당하는 도면)이 모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그 사이즈가 축소되어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된 제2 터치 입력창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축소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제1 터치 입력창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추후 모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한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최대한 확대된 제2 터치 입력창은 도 2A 및 도 2B에 해당한다.
이하 터치 입력창에 대한 제1 정의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방향의 기울임 입력과 이에 따라 표시부의 일 측면으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서의 기울임 입력의 반대 방향의 기울임 입력이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의 좌측 도면은 휴대단말(100)의 감지부(160)가 기울임 입력(517)을 감지하기 전인 제1 터치 입력창(510)을 도시하고, 우측 도면은 기울임 입력(517)을 감지한 후 터치 입력창이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축소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제2 터치 입력창(520)을 도시하고 있다. 좌측 도면에서 제1 터치 입력창(510)의 경우 기울임이 없이 사용자에게 파지 된 상태,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기울임 각도 θ1(511)은 0 도의 값을 가질 것이다.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1(515)은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우측 도면을 보면, 기울임 입력(517)이 있으면 θ1(511)에서 θ2(521)로 기울임 각도 변화가 발생한다. 여기서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휴대단말(100) 본체의 일 측면이 아래로 내려가는 상태를 기울임으로 보며, 상기 기울임이 발생한 방향을 기울임 방향이라고 하고, 이와 같은 기울임 방향으로 기울임이 증가하면 기울임 각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상태 θ1(511)에서 θ2(521)의 기울임 각도 증가가 있으면, 휴대단말(100)의 감지부(160)는 이러한 기울임 각도 증가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표시부(140)로 하여금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1(515)보다 축소된 사이즈 X2(525)로 제2 터치 입력창(520)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2 터치 입력창은 기울임 방향에 따라 표시부(140)의 오른쪽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5B는 도 5A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기울임 방향으로 기울임이 계속되어 기울임이 증가(517)하면, 이에 따라 기울임 각도 θ2(521)가 점점 증가하게 되고, 제2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2(525)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기울임 각도의 증가에 따른 제2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변화에 대하여는 도 7의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의 좌측 도면은 휴대단말(100)의 감지부(160)가 기울임 입력(617)을 감지하기 전인 제1 터치 입력창(610)을 도시하고, 우측 도면은 기울임 입력(617)을 감지한 후 터치 입력창이 표시부의 일 측면에 축소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제2 터치 입력창(620)을 도시하고 있다. 좌측 도면에서 제1 터치 입력 창(610)의 경우 기울임이 없이 사용자에게 파지 된 상태,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기울임 각도 θ1(611)은 0 도의 값을 가질 것이다.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1(615)은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우측 도면을 보면, 기울임 입력(513)이 있으면 θ1(611)에서 θ2(621)로 기울임 각도 변화가 발생한다. 여기서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기울임이 발생하는 방향을 기울임 방향이라고 하고, 이와 같은 기울임 방향으로 기울임이 증가하면 기울임 각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상태 θ1(611)에서 θ2(621)의 기울임 각도 증가가 있으면, 휴대단말(100)의 감지부(160)는 이러한 기울임 각도 증가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표시부(140)로 하여금 제1 터치 입려 창의 사이즈 X1(615)보다 축소된 사이즈 X2(625)로 제2 터치 입력창(620)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2 터치 입력창은 기울임 방향에 따라 표시부의 왼 쪽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6B는 도 6A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기울임 방향으로 기울임이 계속되어 기울임이 증가(617)하면, 이에 따라 기울임 각도 θ2(621)가 점점 증가하게 되고, 제2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2(625)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상기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에 대한 설명은 상기 기울임 방향으로 기울임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고, 상기 기울임 방향에 대하여 기울임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이와 반대이다. 즉,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서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된 제1 터치 입력창이 기울임 각도 감소에 따라 표시부(140)의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으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하여 표시하게 된다. 상기 기울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임 입력이 있는 경우, 기울임 각도 θ2(521, 621)가 점점 감소하게 되고 제2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2(525, 625)가 점점 확대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울임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임 각도의 증감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기울임 각도가 일정 기울임 입력에 의해 기울임 각도 θ2(521)인 상태에서 기울임이 증가하여 기울임 각도가 θ3(721)로 증가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θ2(521)의 각도는 수평상태(0 도) 보다 큰 값이며, θ3(721)의 각도는 θ2(521) 보다 큰 값에 해당한다. 도 7에서 좌측 도면에서 우측 도면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도 5A 경우에 이어서 진행되는 과정으로 기울임 각도가 θ2(521)에서 θ3(721)로 증가함에 따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는 X2(525)에서 X3(725)로 더욱 축소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기울임 입력을 변화시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크기만큼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 시킬 수 있다. 반대로 θ3(721)에서 θ2(521)로 기울임 각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X3(725)에서 X2(525)로 확대되게 된다. 이때 θ2(521)의 값이 0으로 수렴하면, 즉 기울임 입력이 없이 수평상태에 도달할 때, 터치 입력창은 도 5A의 좌측 도면과 같이 터치 입력창이 최대한 확대되어 표시부의 양 측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축소된 터치 입력창 보다 사이즈를 확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존의 기울임 방향에 대하여 반대로 기울여 원하는 사이즈의 터치 입력창에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A, 8B, 8C 및 8D는 가속도 입력에 의하여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8A 및 도 8B의 경우 회전 가속도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C 및 도 8D의 경우 직선 가속도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 8A의 좌측 도면은 휴대 단말(100)에 회전 가속도 입력(817)이 입력되기 전의 수평 상태로서 θ1(811)은 0 도의 값을 가지고,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1(815)는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갖는다. 이때 표시부(140)는 제1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8A의 우측 도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속도 입력(817)이 입력된 경우로서, 회전각도 θ2(821)가 발생하고 표시부의 우측에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 X1(815)가 사이즈 X2(825)로 축소된 제2 터치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8B는 도 8A와 반대방향인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속도 입력(837)이 입력된 경우로서, 제1 터치 입력창(좌측 도면)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표시부(140)의 좌측에 제2 터치 입력창이 디스플레이(우측 도면)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도 8C의 좌측 도면은 제1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 한 도면이고 이때 오른쪽 방향의 가속도(851)가 입력되면 표시부(140)의 우측에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2 터치 입력창이 우측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도 8D는 도 8C와 반대방향인 왼쪽 방향의 가속도(871)가 입력되면 표시부(140)의 좌측에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2 터치 입력창이 우측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입력에 의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제1 터치 입력창을 표시한다. 제1 터치 입력창은 상기 정의 내린 바와 같이 모션 입력에 의하여 사이즈가 조절되기 이전의 터치 입력창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3A 또는 도 3B일 수 있다. 단계 920에서 휴대 단말(100)에 기울임, 회전 가속도, 직선 가속도 등의 모션이 입력되면 감지부(160)는 이를 감지하여 모션 입력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모션 입력의 종류, 강도 ,방향 등의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모션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70)는 단계 930에서 표시부(140)가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제2 터치 입력창은 상기 정의 내린 바와 같이 모션 입력에 의하여 사이즈가 조절된 이후의 터치 입력창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3A 또는 도 3B일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창과 제2터치 입력창 간의 관계를 예로 들면 제1 터치 입력창이 도 2A 일 때 제2 터치 입력창은 도 3A일 수 있고, 제1 터치 입력창이 도 3A 일 때 제2 터치 입력창은 도 2A일 수 있다. 한편, 단계 920에서 감지부(160)가 모션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표시부(140)는 계속하여 제1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입력에 의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 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1010에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제1 터치 입력창을 표시한다. 제1 터치 입력창은 상기 정의 내린 바와 같이 모션 입력에 의하여 사이즈가 조절되기 이전의 터치 입력창에 해당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입력창은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으로서 표시부(140)의 양 측면에 걸쳐 표시된 터치 입력창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제1 터치 입력창은 도 2A, 도 2B일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휴대 단말(100)에 모션이 입력되면 감지부(160)는 이를 감지하여 모션 입력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단계 1030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인지 판단한다.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에 해당하는 경우, 단계 1140에서 제어부(170)는 기울임 방향을 감지한다. 감지부(160)는 수평 상태를 기준으로 휴대단말(100)의 본체의 일 측면이 아래로 내려가는 방향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170)는 기울임 방향을 판단한다. 단계 1050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된 기울임 방향을 고려하여 표시부(140)의 양 측면 중 기울임이 발생한 방향에 해당하는 일 측면에 제1 터치 입력창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된 터치 입력창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2 터치 입력창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도 3A 또는 도 3B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설명한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계 1060에서 상기 기울임 각도가 증가하는지, 즉 단계 1040에서의 기울임 방향을 기준으로 휴대 단말(100)의 본체의 일 측면이 더욱 내려가는 지를 감지부(160)가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60)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기울임 각도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70)가 기울임 각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1070에서 기울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더욱 축소하여 표시한다. 기울임 각도 크기와 축소되는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는 특정 상수 값에 따라 비율적인 관계일 수 있다. 즉,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기울임 각도가 증가할수록 일정한 비율로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가 기울임 각도를 특정 각도 구간으로 세분하여 구간별 매칭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험을 통해 구체적이고 최적화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들은 예시에 불과하여 그 외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단계 1060에서 상기 기울임 각도가 증가하지 않으면 단계 1080에서 휴대 제어부(170)는 해당동작을 수행한다. 기울임 각도가 증가하지 않는 경우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사이즈의 터치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일 수 있으므로 이때의 해당 동작은 입력부(120)가 터치 입력을 받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너무 작은 사이즈의 터치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일 수 있으므로 이때의 해당 동작은 감지부(160)가 사용자로부터 기울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터치 기울임 입력을 받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단계 1030에서 감지된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이 아닌 경우, 단계 1035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모션 입력이 가속도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170)가 감지된 모션 입력을 가속도 입력으로 판단하지 않거나 혹은 단계 1020에서 감지부(160)가 모션 입력을 감지하지 않으면 단계 1010에서 표시부(140)는 제1 터치 입력창을 표시한다. 반면에 제어부(170)가 감지된 모션 입력을 가속도 입력으로 판단하면 단계 1045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가속도입력의 크기와 방향을 판단한다. 단계 1055에서 감지된 가속도의 방향으로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축소 사이즈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가속도 크기에 매칭 되어 있는 사이즈로 결정된다. 즉, 가속도가 크기 값에 따라 저장부(150)에 기 설정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표시부(140)가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창을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으로 복귀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1110에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제1 터치 입력창을 표시한다. 제1 터치 입력창은 상기 정의 내린 바와 같이 모션 입력에 의하여 사이즈가 조절되기 이전의 터치 입력창에 해당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입력창은 표시부(140)의 일 측면에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된 형태의 터치 입력창이다. 예를 들면 제1 터치 입력창은 도 3A, 도 3B일 수 있다. 단계 1120에서 휴대 단말(100)에 모션이 입력되면 감지부(160)는 이를 감지하여 모션 입력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단계 1130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인지 판단한다.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에 해당하는 경우, 단계 1140에서 감지부(160)는 기울임 입력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170)는 기울임 방향을 판단한다. 기울임 방향이란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휴대단말(100)의 본체의 일 측면이 아래로 내려가는 방향을 말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170)는 기울임 각도가 감소하여 0도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70)는 기울임 입력이 없어져 휴대단말(100)이 수평상태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단계 115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이 수평상태에 도달하면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최대한 확대하여 표시부의 양 측면에 걸쳐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의 형태에 해당하며, 이와 같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 터치 입력창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2 터치 입력창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도 2A 또는 도 2B일 수 있다. 단계 1145에서 휴대 단말(100)이 수평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기울임 각도가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70)가 기울임 각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하면, 기울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더욱 확대하여 표시한다. 기울임 각도 크기와 확대되는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는 특정 상수 값에 따라 비율적인 관계일 수 있다. 즉,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기울임 각도가 감소할수록 일정한 비율로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가 기울임 각도를 특정 각도 구간으로 세분하여 구간별 매칭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험을 통해 구체적이고 최적화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들은 예시에 불과하여 그 외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단계 1155에서 제2 터치 입력창을 표시한 후에 제어부(170)는 해당동작을 수행한다. 입력창의 사이즈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된 경우 사용자의 기울임 입력에 따라 제어부(170)가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다시 감소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가 터치 입력을 받는 것이 해당 동작 수행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130에서 감지된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이 아닌 경우, 단계 1135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모션 입력이 가속도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170)가 감지된 모션 입력을 가속도 입력으로 판단하지 않거나 혹은 단계 1120에서 감지부(160)가 모션 입력을 감지하지 않으면 단계 1110에서 표시부(140)는 제1 터치 입력창을 표시한다. 반면에 제어부(170)가 감지된 모션 입력을 가속도 입력으로 판단하면 단계 1141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가속도입력의 크기와 방향을 판단한다. 이때 감지된 가속도 크기가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단계 1150에서 표시부(140)는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최대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표시부(140)는 기본 제공 터치 입력창의 형태로서, 터치 입력창이 표시부(140)의 양 측면에 걸쳐 디스플레이된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단계 1141에서 감지된 가속도 크기가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단계 1147에서 제어부(170)는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표시부(140)가 가속도의 방향을 따라서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확대 사이즈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가속도 크기에 매칭 되어 있는 사이즈로 결정된다. 즉, 가속도가 크기 값에 따라 저장부(150)에 기 설정된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표시부(140)가 표시한다. 한편, 단계 1157에서 제2 터치 입력창을 표시한 후에 제어부(170)는 해당동작을 수행한다. 입력창의 사이즈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된 경우 사용자의 가속도 입력에 따라 제어부(170)가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다시 감소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가 터치 입력을 받는 것이 해당 동작 수행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1)

  1.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에 있어서,
    제1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모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가 조절된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인 경우,
    상기 기울임 입력의 기울임 각도 증가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표시부의 일 측면을 상기 기울임 입력의 기울임 방향에 의해 결정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입력이 가속도 입력인 경우,
    상기 가속도 입력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즈로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표시부의 일 측면을 상기 가속도 입력의 방향에 의해 결정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표시부의 반대 측면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인 경우,
    상기 기울임 입력의 기울임 각도 감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 각도가 수평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을 상기 표시부의 반대 측면까지 확대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입력이 가속도 입력인 경우
    상기 가속도 입력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즈로 상기 제1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입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을 상기 표시부의 반대 측면까지 확대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단말의 터치 입력창 사이즈 조절 방법.
  12. 터치 입력창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제1 터치 입력창 또는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모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모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일 측면에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창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인 경우
    상기 기울임 입력의 기울임 각도 증가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표시부의 일 측면을 상기 기울임 입력의 기울임 방향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입력이 가속도 입력인 경우,
    상기 가속도 입력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즈로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표시부의 반대 측면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입력이 기울임 입력인 경우,
    상기 기울임 입력의 기울임 각도 감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 각도가 수평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을 상기 표시부의 반대 측면까지 확대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입력이 가속도 입력인 경우
    상기 가속도 입력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즈로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입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창을 상기 표시부의 반대 측면까지 확대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단말.
KR1020120076216A 2012-07-12 2012-07-12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09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16A KR20140009713A (ko) 2012-07-12 2012-07-12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US13/939,752 US20140015781A1 (en) 2012-07-12 2013-07-11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adjusting size of touch input window
CN201310292473.9A CN103543907A (zh) 2012-07-12 2013-07-12 用于调整触摸输入窗口尺寸的方法和移动设备
EP13176287.4A EP2685369A3 (en) 2012-07-12 2013-07-12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adjusting size of touch input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16A KR20140009713A (ko) 2012-07-12 2012-07-12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13A true KR20140009713A (ko) 2014-01-23

Family

ID=4878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16A KR20140009713A (ko) 2012-07-12 2012-07-12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15781A1 (ko)
EP (1) EP2685369A3 (ko)
KR (1) KR20140009713A (ko)
CN (1) CN1035439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3880A (zh) * 2014-01-16 2015-07-2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界面操作的方法及终端
US20150212610A1 (en) * 2014-01-30 2015-07-3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in-touch display apparatus
CN104049863A (zh) * 2014-06-09 2014-09-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318131B2 (en) * 2014-12-29 2019-06-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caling down effective display area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CN107797723B (zh) * 2016-09-06 2023-03-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显示样式的切换方法及终端
WO2019071486A1 (zh) * 2017-10-11 2019-04-18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屏幕控制方法及屏幕控制系统
CN108776572A (zh) * 2018-05-28 2018-11-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窗口处理方法及装置
CN108897485A (zh) * 2018-06-15 2018-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法界面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1601598B2 (en) * 2020-03-23 2023-03-07 DUBL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multiple video feeds using a single, unified window
CN112306342B (zh) * 2020-10-14 2022-09-02 广州朗国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大屏小屏显示互相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白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3425A4 (en) * 2005-07-08 2010-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SENSITIVE PANE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US9542097B2 (en) * 2010-01-13 2017-01-10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touchpad for a touch device
WO2012077273A1 (ja) * 2010-12-07 2012-06-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740439B1 (ko) * 2010-12-23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718042B2 (ja) * 2010-12-24 2015-05-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タッチ入力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ッチ入力制御方法
KR20120080922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13218428A (ja) * 2012-04-05 2013-10-24 Sharp Corp 携帯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5369A2 (en) 2014-01-15
US20140015781A1 (en) 2014-01-16
EP2685369A3 (en) 2015-07-01
CN103543907A (zh)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713A (ko)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660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223348B2 (en) Split keyboard modification for a pull-out flexible display
CN105980953B (zh) 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EP218067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creen scrolling method thereof
EP26529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presentation attribut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50079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239579A1 (en) Mobile device capable of suitably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recognition of user's face and related method
CN110727318A (zh) 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KR2010008305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S2808074T3 (es) Procedimiento de visualización de interfaz del usuario y aparato para el mismo
KR201300053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342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2099717B (zh) 折叠屏状态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显示系统
KR20110080315A (ko) 이동 단말기
KR10152192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KR1011622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555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0921B1 (ko) 회전 기능의 선택적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00010047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300591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06154A (ko) 화면 방향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242608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413870B2 (e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KR20110087154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