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038B1 -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038B1
KR101452038B1 KR1020120043983A KR20120043983A KR101452038B1 KR 101452038 B1 KR101452038 B1 KR 101452038B1 KR 1020120043983 A KR1020120043983 A KR 1020120043983A KR 20120043983 A KR20120043983 A KR 20120043983A KR 101452038 B1 KR101452038 B1 KR 10145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input
display unit
displayed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817A (ko
Inventor
심상현
김지훈
서보일
오윤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038B1/ko
Priority to US13/535,595 priority patent/US8982072B2/en
Priority to DE102012013368.5A priority patent/DE102012013368B4/de
Publication of KR2013012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을 표시하는 유효 표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상기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MOBILE DEVICE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정의 제스처 형태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만 화면을 축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 개발 및 출시되는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점차 대형 화면을 적용하는 추세이다. 대형 디스플레이부를 적용함으로써 동영상 감상 및 텍스트 가독성 등을 높일 수 있어, 최근에는 타블렛 PC는 물론 스마트폰 등에도 큰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되는 추세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은 대부분 4.5인치 이상, 일부는 5인치 이상의 대형 화면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큰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휴대성이 나빠지는 문제점도 있으나, 한 화면에서 많은 텍스트와 이미지 등을 볼 수 있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이 좀 더 편리해지는 측면 등의 장점에 힘입어 스마트폰의 화면 증가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휴대성이 나빠지는 것은 물론 조작성도 나빠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즉, 4인치 내외의 화면 크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경우, 한 손으로 모바일 기기를 들고 엄지 손가락으로만 조작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화면 크기가 4인치 후반, 또는 5인치까지 증가함에 따라 한 손으로는 조작할 수 없는 사용 환경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 화면을 통해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경우에 따라서는 한 손으로도 모든 입력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에서, 특허문헌 1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 장치를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의해 제어하는 내용에 관한 것이며, 특허문헌 2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한 화면의 특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내용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KR 10-2011-0035724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8/009436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큰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 입력에 따라 화면 전체를 소정의 비율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만 표시함으로써, 화면의 크기에 무관하게 한 손으로도 화면 전체에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화면을 표시하는 유효 표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상기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율로 축소한 화면이 표시되는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감지 전극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모바일 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스처 입력과 다르고, 미리 설정된 제2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제1 비율과 다른 제2 비율로 상기 화면의 크기가 변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2 비율로 변환된 상기 화면의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표시 영역 전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과 상기 제2 제스처 입력은 각각의 고유한 방향 정보 및 길이 정보를 스와이프(swipe) 제스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의 방향 정보와 상기 제2 제스처 입력의 방향 정보는 서로 반대인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은 시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스처 입력은 반시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소정 비율로 축소된 화면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정보,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지점의 좌표, 및 종료되는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제1 비율을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 단계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상기 일부 영역에만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의 상기 감지 전극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정보,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지점의 좌표, 및 종료되는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제1 비율을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과 다른 제2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비율과 다른 제2 비율로 상기 화면의 크기를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 전체를 소정의 비율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부 유효 표시 영역의 일부에만 표시한다. 따라서,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대형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손으로 화면 전체에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출력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식 버튼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로 제공되는 터치스크린 장치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평판 디스플레이부(Flat Panel Display)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액정 디스플레이부(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은 모바일 기기(100)에 포함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컨트롤되며,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가 화면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각형 형태의 화면을 제공하며, 특히 단축 방향에 해당하는 폭과 장축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자체를 의미하며,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유효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모든 이미지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일반적인 경우에 모바일 기기(100)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유효 표시 영역에 화면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입력부(220), 오디오 출력부(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센서부(260), 메모리부(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며, 제어부(240)는 모바일 기기(200)에 포함된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의 하우징 외관에 노출되는 기계식 버튼과, 디스플레이부(210)에 일체로 마련되는 터치스크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240)는 모바일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30)는 음악, 음성 출력 등을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통신부(25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위해 모바일 기기(200)에 구비되는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GPS 모듈, USB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주변의 통신 환경에 따라서 통신부(250)에 포함된 각 통신 모듈의 온/오프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부(270)는 데이터를 저장 및 인출할 수 있는 모듈로서, 제어부(240)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여 모바일 기기(200)의 동작에 활용할 수 있다.
센서부(260)는 모바일 기기(200)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위치를 감지하는 GPS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40)는 자이로 센서가 감지한 중력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어부(240)는 자이로 센서가 감지한 중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10)가 출력하는 화면의 표시 방법을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사용자(320)가 한 손으로 모바일 기기(300)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310)의 유효 표시 영역 전체는, 유효한 터치 입력을 감지, 검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유효 입력 영역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320)가 모바일 기기(300)를 무리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모두 터치 입력으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화면의 크기가 4인치 후반 및 5인치급까지 증가하는 경우, 한 손으로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화면의 모든 아이콘을 터치하기는 극히 곤란하다. 또한, 화면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손이 작은 어린 아이 또는 여성 사용자(320)의 경우에는 한 손으로 모바일 기기(300)를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320)가 모바일 기기(300)를 왼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사용자(320)가 모바일 기기(300)를 왼손으로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화면에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330)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화면의 하단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호(arc)를 그리는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제1 제스처(330)로 정의한다. 디스플레이부(310)와 일체로 제공되는 터치스크린 장치는 사용자(320)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이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320)의 터치 입력 감지 및 제1 제스처(330)와의 비교 동작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터치 컨트롤러 IC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300)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컨트롤러 IC에서 사용자(320)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어부가 감지된 터치 입력을 제1 제스처(330)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320)가 인가한 터치 입력이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기기(300)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화면을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1 비율로 축소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310)의 일부 영역에만 국한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좌측 도면은 일반적인 동작 상태에서의 모바일 기기(300)를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310)는 그 유효 표시 영역 전체에 제1 화면(313)을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사용자(320)에 의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제1 화면(313)은 도 5의 우측과 같이 변환된다.
도 5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10)의 유효 표시 영역 전체 가운데 일부에만 제2 화면(315)이 출력된다. 제2 화면(315)을 제1 화면(313)과 비교하면, 그 내용은 동일하며 단지 크기만 다르다. 즉,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사용자(320)로부터 인가됨에 따라, 유효 표시 영역 전체에 출력되던 제1 화면(313)을 제1 비율로 축소한 제2 화면(315)이 디스플레이부(310)의 일부 영역에 출력된다. 이때, 제2 화면(315)이 출력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310)의 나머지 영역(317)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슬립 모드로 유지되거나 선택적으로 그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어 제1 화면(313)이 제2 화면(315)으로 변환, 표시되면, 사용자(320)는 왼손으로 모바일 기기(300)를 잡은 상태에서 왼손 엄지 손가락만으로 제2 화면(315)에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출력 및 터치 입력 감지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영역(317)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10)의 픽셀과, 터치스크린 장치의 전극은 그 동작이 정지되거나 슬립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한 손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320)가 모바일 기기(300)를 오른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사용자(320)가 모바일 기기(300)를 오른손으로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화면에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330)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한다. 도 4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화면의 하단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호(arc)를 그리는 것을 제1 제스처(330)로 정의한다. 디스플레이부(310)와 일체로 제공되는 터치스크린 장치는 사용자(320)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이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320)가 인가한 터치 입력이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기기(300)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화면을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1 비율로 축소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310)의 일부 영역에만 국한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좌측 도면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동작 상태에서의 모바일 기기(300)를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310)는 그 유효 표시 영역 전체에 제1 화면(313)을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사용자(320)에 의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310)가 출력하는 제1 화면(313)은 도 7의 우측과 같이 변환된다.
도 7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310)의 유효 표시 영역 전체 가운데 일부에만 제2 화면(315)이 출력된다. 즉,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사용자(320)로부터 인가됨에 따라, 유효 표시 영역 전체에 출력되던 제1 화면(313)을 제1 비율로 축소한 제2 화면(315)이 디스플레이부(310)의 일부 영역에 출력된다. 이때, 제2 화면(315)이 출력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310)의 나머지 영역(317)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슬립 모드로 유지되거나 선택적으로 그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7 각각의 우측 도면을 서로 비교하면, 제1 화면(313)을 제2 화면(315)으로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은 동일하나, 제1 제스처(330)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 즉, 도 5에서는 반 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으로 제1 제스처(330)가 입력되며, 도 7에서는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제1 제스처(330)가 입력된다. 모바일 기기(200)의 제어부는 사용자(320)가 디스플레이부(310)의 하단에서부터 터치 입력을 시작하여 호(arc)를 그리는 경우, 이를 제1 제스처(330)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10)에서 제1 비율로 축소된 제2 화면(315)이 표시되는 영역 역시 제1 제스처(3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5와 도 7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호(arc) 형상을 갖는 제1 제스처(330)의 터치 입력 시작 지점과 터치 입력 종료 지점을 각각 꼭지점으로 갖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 제2 화면(315)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스처(330)는 사용자(320)가 한 손으로 모바일 기기(30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그릴 수 있는 호(arc)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제스처(330)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제2 화면(315)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320)가 제2 화면(315) 내의 모든 영역에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제1 비율로 축소, 표시되는 제2 화면(315)을 제2 비율로 변환하여 다시 제1 화면(313)으로 원상 복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320)가 한 손으로 모바일 기기(300)를 든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제스처(330)와 반대되는 제2 제스처(340)를 입력한다. 즉, 제2 제스처(340)는 제1 제스처(330)와 달리 디스플레이부(310)의 화면 상단부에서 화면 하단부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성을 갖는다.
또는, 도 4에서 반 시계 방향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 제1 제스처(330)와 달리 시계 방향을 갖는 제2 제스처(340)를 정의할 수도 있다. 즉, 왼손으로 모바일 기기(300)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반 시계 방향을 가지며 호(arc) 형상을 따라가는 스와이프 제스처가 입력되면, 화면을 축소시켜 표시하는 제1 제스처(330)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시계 방향을 갖는 스와이프 제스처가 입력되면 축소 표시된 화면을 원상 복귀 시키는 제2 제스처(340)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오른손으로 모바일 기기(3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 시계 방향을 따라가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제2 제스처(340)로 판단하고, 시계 방향을 따라가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제1 제스처(330)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비율은, 제2 화면(315)을 제1 화면(313)으로 원상 복귀시키는 비율이거나, 또는 제2 화면(315)을 제1 화면(313)이 아닌 다른 크기의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비율일 수도 있다. 즉, 제1 화면(313)이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제스처(330)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2 화면(315)을 표시하고, 제2 화면(315)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제스처(340)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1 화면(313) 및 제2 화면(315)과 다른 제3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300)의 화면 제어 방법은, 모바일 기기(300)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900).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310)와 일체로 제공되는 터치스크린 패널 등을 통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에 연결된 터치 컨트롤러 IC 등은 S900 단계에서 감지한 터치 입력이 제1 제스처(330)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10).
감지한 터치 입력이 제1 제스처(330) 입력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310)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1 비율로 축소하고(S920), 축소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10)의 일부 영역에만 표시한다. 제1 제스처(330) 입력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의 유효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되는 제1 화면(313)을 제1 비율로 축소한 제2 화면(315)을 디스플레이부(310)의 일부 영역에만 표시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화면(315)이 표시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317)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10)의 픽셀 및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은 그 동작이 정지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율로 축소된 제2 화면(315)이 표시되는 일부 영역은, 제1 제스처(33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비율로 축소한 제2 화면(315)이 표시된 상태에서, 축소된 화면의 각 아이콘 및 객체에 대한 터치동작에 대한 처리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제어부는 제2 제스처(340)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40). S940 단계에서 제2 제스처(340)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지속적으로 제2 화면(315)을 출력한다.
반면, S940 단계에서 제2 제스처(340)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2 화면(315)을 제2 비율로 변환하여 표시한다(S950). 이때 제2 비율은, 제2 화면(315)을 다시 제1 화면(313)으로 되돌리기 위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화면(315) 및 제1 화면(313)과 다른 제3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값으로 제2 비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 모바일 기기
110, 210,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사용자
330 : 제1 제스처 입력
340 : 제2 제스처 입력

Claims (15)

  1. 화면을 표시하는 유효 표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상기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스처 입력과 다르고, 미리 설정된 제2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제1 비율과 다른 제2 비율로 상기 화면의 크기가 변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비율로 축소한 화면이 표시되는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감지 전극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모바일 기기.
  2. 화면을 표시하는 유효 표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상기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비율로 축소한 화면이 표시되는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감지 전극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모바일 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율로 변환된 상기 화면의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표시 영역 전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모바일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과 상기 제2 제스처 입력은 각각의 고유한 방향 정보 및 길이 정보를 스와이프(swipe) 제스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의 방향 정보와 상기 제2 제스처 입력의 방향 정보는 서로 반대인 모바일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로 축소된 화면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모바일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정보,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지점의 좌표, 및 종료되는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제1 비율을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
  10.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스처 입력과 다른 제2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비율과 다른 제2 비율로 상기 화면의 크기를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상기 일부 영역에만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
  12.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
  13. 복수의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제1 비율로 축소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의 상기 감지 전극의 동작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정보,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지점의 좌표, 및 종료되는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제1 비율을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제어 방법.
  15. 삭제
KR1020120043983A 2012-04-26 2012-04-26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KR10145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983A KR101452038B1 (ko) 2012-04-26 2012-04-26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US13/535,595 US8982072B2 (en) 2012-04-26 2012-06-28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thereof
DE102012013368.5A DE102012013368B4 (de) 2012-04-26 2012-07-03 Mobilgerät und Verfahren zum Steuern von dessen Bildschi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983A KR101452038B1 (ko) 2012-04-26 2012-04-26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17A KR20130120817A (ko) 2013-11-05
KR101452038B1 true KR101452038B1 (ko) 2014-10-22

Family

ID=4932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983A KR101452038B1 (ko) 2012-04-26 2012-04-26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82072B2 (ko)
KR (1) KR101452038B1 (ko)
DE (1) DE10201201336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447B1 (ko) * 2011-12-08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9101165A (zh) 2012-06-28 2018-12-28 汉阳大学校产学协力团 用户界面调节方法
US9268457B2 (en) * 2012-07-13 2016-02-23 Google Inc. Touch-based fluid window management
JP6125811B2 (ja) * 2012-11-22 2017-05-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760150B2 (en) 2012-11-27 2017-09-12 Nvidia Corporation Low-power states for a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baseband
CN103857019B (zh) 2012-11-30 2018-01-02 辉达公司 一种在移动终端中用于省电的方法
US8769431B1 (en) * 2013-02-28 2014-07-01 Roy Varada Prasad Method of single-handed software operation of large form factor mobile electronic devices
JP2014178990A (ja) * 2013-03-15 2014-09-25 Kyocera Corp 携帯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073827B1 (ko) * 2013-05-31 2020-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68423A1 (en) * 2013-06-17 2014-12-18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w power gesture recognition for waking up mobile devices
US9823728B2 (en) 2013-09-04 2017-11-21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ed rate touch scanning on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37014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US9881592B2 (en) 2013-10-08 2018-01-30 Nvidia Corporation Hardware overlay assignment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0021B1 (ko) 2013-12-19 2015-04-16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5093667A1 (ko)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540864B1 (ko) * 2013-12-19 2015-07-31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50099297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CN105518605B (zh) * 2014-05-26 2019-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的触摸操作方法及装置
US10671275B2 (en) * 2014-09-04 2020-06-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improving single-handed operation of devices
CN105528169A (zh) * 2014-10-23 2016-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设备和对触摸屏设备进行操作的方法
US9684405B2 (en) * 2014-11-12 2017-06-20 Rakuten Kobo, Inc. System and method for cyclic motion gesture
KR101634007B1 (ko) * 2014-11-26 2016-06-28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983411B1 (ko) * 2014-11-26 2019-05-29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US10168895B2 (en) 2015-08-04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control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11567621B2 (en) 2015-08-04 2023-01-3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CN105183273B (zh) * 2015-08-04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控制方法
WO2017031355A1 (en) * 2015-08-19 2017-02-23 Oviatt Sharon L Adapting computer functionality based on handwriting energy expenditure
CN105892897A (zh) * 2015-11-02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及设备
CN107025052A (zh) * 2016-01-29 2017-08-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儿童模式处理方法和智能终端
KR20170100951A (ko) 2016-02-26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KR102375950B1 (ko) * 2016-12-02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90056857A1 (en) * 2017-08-18 2019-0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izing an active region of a user interface
US10417991B2 (en) 2017-08-18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11301124B2 (en) 2017-08-18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ing preview panel
US11237699B2 (en) 2017-08-18 2022-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al menu generation
US10852901B2 (en) * 2019-01-21 2020-12-01 Promethea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face adjustment, customization, and plac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637A (ko) * 2008-08-22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00124440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26970A (ko) * 2009-09-09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20006403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0187B2 (en) 2004-07-30 2010-07-20 Apple Inc. Visual expander
US8479122B2 (en)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7864163B2 (en) 2006-09-06 2011-01-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tructured electronic documents
TW201017487A (en) 2008-10-17 2010-05-01 Asustek Comp Inc Method for operating displayed page and electronic device
JP5093080B2 (ja) 2008-12-05 2012-12-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US8159465B2 (en) * 2008-12-19 2012-04-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Zooming techniques for touch screens
JP5326802B2 (ja) * 2009-05-19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拡大縮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00315439A1 (en) 2009-06-15 2010-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motion detection to process pan and zoom function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1043944B1 (ko) 2009-09-30 2011-06-24 주식회사 팬택 가상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8988367B2 (en) * 2010-02-05 2015-03-24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touch sensing
US8451994B2 (en) 2010-04-07 2013-05-28 Apple Inc. Switching cameras during a video conference of a multi-camera mobile device
JP5659586B2 (ja) 2010-07-09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311514B2 (en) * 2010-09-16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KR20120043983A (ko) 2010-10-27 2012-05-07 주식회사 나파스 포도밭용 조명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637A (ko) * 2008-08-22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00124440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26970A (ko) * 2009-09-09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20006403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85933A1 (en) 2013-10-31
DE102012013368B4 (de) 2014-11-13
DE102012013368A1 (de) 2013-10-31
KR20130120817A (ko) 2013-11-05
US8982072B2 (en)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038B1 (ko)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US9519350B2 (en)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KR10206395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JP5304577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98981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a screen in a display apparatus
EP26107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91286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40204063A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3150998A1 (ja) 携帯型電子機器
US9684403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hanging size of touch permissible region of touch screen
JP4741983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JP6157885B2 (ja) 携帯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2011076233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7007682A1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20110041915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KR20140137996A (ko)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1625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displays
US9019315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JP5628991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20130321469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KR2011006654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JP2005100132A (ja) 表示制御装置
JP2014149653A (ja) ユーザ操作制御プログラム、携帯装置及びユーザ操作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