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996A -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996A
KR20140137996A KR1020130096788A KR20130096788A KR20140137996A KR 20140137996 A KR20140137996 A KR 20140137996A KR 1020130096788 A KR1020130096788 A KR 1020130096788A KR 20130096788 A KR20130096788 A KR 20130096788A KR 20140137996 A KR20140137996 A KR 2014013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mage
touch
mode
ke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830B1 (ko
Inventor
배대웅
고광현
박용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272,98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91291B2/en
Priority to EP18205376.9A priority patent/EP3511806B1/en
Priority to ES14169394T priority patent/ES2712203T3/es
Priority to EP14169394.5A priority patent/EP2806339B1/en
Priority to PL14169394T priority patent/PL2806339T3/pl
Priority to US29/491,787 priority patent/USD720360S1/en
Priority to US29/491,792 priority patent/USD720365S1/en
Priority to US29/491,791 priority patent/USD735217S1/en
Priority to CN201910956235.0A priority patent/CN110716687B/zh
Priority to CN201480029937.XA priority patent/CN105283830B/zh
Priority to AU2014269244A priority patent/AU2014269244B2/en
Priority to PCT/KR2014/004681 priority patent/WO2014189346A1/en
Priority to CN201910956276.XA priority patent/CN110658970B/zh
Priority to US29/495,214 priority patent/USD732552S1/en
Publication of KR2014013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996A/ko
Priority to US29/685,259 priority patent/USD905731S1/en
Priority to AU2020202870A priority patent/AU2020202870B2/en
Priority to US16/908,224 priority patent/US202003197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는 한 손만으로 단말기 조작을 쉽게 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본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니모드에 진입하여, 상기 원본이미지와 동일하면서 상기 원본이미지보다 작은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러이미지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미러이미지를 통하여 한 손만으로 큰 화면을 조작하도록 하므로 보다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손만으로 단말기 조작을 쉽게 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행 및 송수신, 웹 서핑, 커뮤니케이션 기능, 금융 거래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활동이 휴대 단말기에서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대형 화면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커질수록,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 크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기도 한다. 사용자는 대형 화면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한 손으로 쥐고 조작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통 두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후에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을 하게 된다. 혹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양손 모두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그뿐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 사용이 어려운 경우, 큰 화면을 갖는 휴대 단말기는 다른 한 손만으로 화면 끝을 터치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의 표시에 있어 크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반투명한 미러이미지를 제공하여, 화면이 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은 원본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니모드에 진입하여, 상기 원본이미지와 동일하면서 상기 원본이미지보다 작은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러이미지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며, 상기 미니모드에서 기능 수행을 위해 발생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상기 미니모드에서 미러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미니모드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미니모드의 실행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미러이미지를 통하여 한 손만으로 큰 화면을 조작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미니 모드의 실행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에서의 미러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 진입을 위한 터치 제스처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및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 진입을 위한 모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이미지 설정 변경 과정을 자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투명한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투명한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에서의 기능 수행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지원하는 화면에 대해 풀모드와 미니모드와 같이 두 가지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풀모드(Full mode)'는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실행이미지가 전체화면으로 제공되는 모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풀 모드'는 휴대 단말기의 전체 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반적인 표시 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풀 모드'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원본이미지'로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니모드(Mini mode)'는 상기 원본이미지가 축소되어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모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때 미니모드에서 축소되어 표시되는 이미지를 '미러이미지'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미러이미지'는 단독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원본이미지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는 원본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 반투명한 창에 원본이미지와 겹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니모드'에서 미러이미지가 단독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미러이미지는 불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오버레이(Overlay)란 원본이미지 위에 미러이미지를 반투명하게 겹쳐 표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 (110), 무선 통신부(120), 터치 스크린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센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부(130)는 터치 패널(131)과 표시 패널(132)를 포함한다.
상기 키 입력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측면에 전원 온/오프, 볼륨 조절, 취소 기능을 지원하는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110)는 미니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특정 기능 키를 구비하고(예컨대, 미니모드 키), 그 특정 기능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110)는 미니모드 진입을 위한 몇몇 기능 키 조합(예컨대, 홈 키 + 볼륨 키)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20)는 이동통신모듈, 디지털 방송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미니 모드 상태에서 일어나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부(130)는 터치 패널(131)과 표시 패널(1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치 스크린부(130)는 표시 패널(132) 전면에 터치 패널(131)이 배치된 구조이거나,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부(130)는 상기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1)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터치 패널(131)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방식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방식이 상기 터치 패널(13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1)은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 받고, 터치가 일어난 지점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 패널(1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니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의 발생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터치 발생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131)은 미러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 조정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예컨대 롱 터치(long touch), 드래그(drag))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131)은 미러이미지상에서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터치 입력(예컨대, 탭(tap))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미니 모드 진입을 위한 이벤트의 종류는 키 입력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터치 패널(131)은 미니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패널(131)은 화면의 일측에서 시작되어 반원형으로 그려지는 터치 제스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32)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13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풀 모드와 미니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 패널(132)은 풀모드에서 원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미니모드에서 화면의 일부 영역에 원본이미지가 축소된 모양의 미러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는 원본이미지상에서 표시되는 모든 내용을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니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표시 패널(132)은 미러이미지의 일측에 볼륨 키, 홈 키, 취소 키 그리고 메뉴 키와 같은 키 입력부(110)에 속하는 외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132)은 미러이미지의 또 다른 일측에 미니모드 해제 키, 위치 이동 키 및 크기 변경 키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32)은 미니 모드 상에서 사용자의 특정 입력 이벤트에 해당하는 기능 동작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부(140)에는 부팅 프로그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고, CPU, GPU, 메인메모리 및 저장부(140)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과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140)는 미니 모드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미니 모드 설정 정보(141)를 저장한다. 상기 미니 모드 설정 정보(141)는 미니모드 진입 및 종료와 관련된 설정 정보(예컨대, 미니 모드 진입/종료를 요청하는 터치 제스처 종류)와 기타 미니모드의 설정 정보(예컨대, 미러이미지의 크기, 위치, 투명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저장부(140)는 미니 모드 상에서 기능 수행 및 표시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상기 터치 패널(131) 및 키 입력부(110)을 이용한 입력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을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메인메모리(main memory unit) 예컨대, 램(RAM)을 포함한다. 메인메모리는 저장부(140)로부터 로딩된 각종 프로그램 예컨대,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부(14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캐시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미니모드 진입과 관련된 특정 이벤트의 입력을 식별하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해당하는 풀 모드 또는 미니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터치 이벤트나 키 입력이 될 수도 있고 혹은 휴대 단말기(1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등의 모션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미니모드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풀 모드 또는 미니모드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다른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50)는 화면이 세로로 놓여진 미니모드상태에서 화면을 가로로 전환하면 미니모드를 종료하고 풀 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패널(13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특정 이벤트의 입력에 따라 미니모드를 종료하고 풀 모드로 진입하도록 표시 패널(13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미니모드의 종료를 요청하는 특정 이벤트는 미니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이벤트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미니모드일 경우에, 화면 내에 보여지는 미러이미지의 위치, 크기와 같은 설정을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50)는 위치 및 크기와 같은 설정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미러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패널(132)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기능 실행(예컨대 시스템 설정)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 상에서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무선 통신부(12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모션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 예를 들면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모션 즉 휴대 단말기의 이동과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는 6축 방향(X축(상하), Y축(좌우), Z축(전후))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는 이동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의 방향 오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를 보정하여 회전 가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부(160)는 미니모드 진입 혹은 미니모드 해제를 위해 지정된 특정 모션(예컨대, 기울임, 회전, 흔들림 등)의 발생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니모드의 실행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미니 모드가 실행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미니 모드의 실행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 스크린부에 풀모드 상태의 원본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205단계에서 미니모드 실행을 위해 지정된 이벤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미니모드 실행을 위해 지정된 이벤트는 예컨대, 미니모드 실행만을 위해 따로 구비된 특정 키(미니모드 키)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다. 혹은 기존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 키를 조합(홈 키 + 볼륨 키)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상기 미니모드를 실행하는 이벤트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모드 실행을 위한 이벤트로 터치 제스처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터치 제스처는 미니모드 실행을 요청하지 않는 다른 터치 제스처와 구분되기 위해 화면의 모서리에서 시작된 터치의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일정 기준 이상을 만족하는 터치 제스처(예컨대 드래그)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모션이 미니모드 실행을 위해 지정된 이벤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205단계에서 미니모드 실행을 위해 지정된 이벤트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206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키 입력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볼륨 키에 해당하는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150)는 205단계에서 미니모드 실행을 위해 지정된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208단계에서 미니모드로 진입하여 미러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패널(132)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미러이미지에는 풀 모드에서의 원본이미지와 같은 내용이 원본이미지보다 작은 사이즈로 표시된다.
미니모드 진입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210단계에서 미러이미지상에서 기능 수행(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미러이미지상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터치 입력이 검출된 경우, 2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된 터치의 위치와 종류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되는 동작을 터치스크린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의 종류에는 탭(Tap), 롱 터치(Long touch), 드래그(Drag), 스크롤(Scroll) 등 풀 모드에서 처리하는 모든 터치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230단계에서 미니모드 해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미니모드 해제는 미니모드 해제를 위한 특정 이벤트(예컨대, 미니 모드 키 입력, 홈 키 + 볼륨 키 입력 등)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미니모드 해제는 미러이미지의 측면에 표시된 종료 아이콘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니모드의 해제 명령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50)는 210단계로 돌아가 이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미니모드의 해제 명령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미러이미지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추가 검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해당 기능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미러이미지상에서 기능수행을 위한 터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215단계에서 미러이미지 설정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 설정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부(150)는 225단계에서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 사항이 적용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패널(13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투명도 등이 추가로 미러이미지의 설정 항목에 해당될 수 있다.
반면, 상기 215단계에서 미러이미지 설정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이 검출되지 못했거나, 225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150)는 230단계에서 미니모드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니모드는 예컨대, 미니모드 수행을 위해 지정된 터치 제스처를 미러이미지상에서 다시 입력하는 경우 해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니모드는 미러이미지 일측에 위치한 종료 키를 선택하는 경우나, 휴대 단말기(1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모션을 취하는 경우에도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니모드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미니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210단계에서부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미니모드 해제를 위한 이벤트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를 해제하고 도 2의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미니모드는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풀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미니모드의 일시적 해제를 위한 이벤트로는 예컨대, 기기를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시키는 모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동영상, 이미지 등의 특정 미디어 실행 시 상기 미니모드가 일시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모드의 일시적 해제를 위한 이벤트의 시행이 종료되면(예컨대, 가로로 회전된 기기가 세로로 다시 회전된 경우, 특정 미디어 실행이 종료된 경우), 풀모드에서 미니모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에서의 미러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3a의 300은 풀 모드에서 원본이미지(307)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풀 모드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이벤트의 입력을 검출하게 된 경우, 305와 같이 미러이미지(310)를 표시하는 미니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30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배경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화면의 일부분에 불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일측에 외부키 아이콘(311)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외부키 아이콘(311)은 30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볼륨 키, 메뉴 키, 홈 키, 취소 키가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키 아이콘(311)들은 미니모드로 진입 시, 사용자가 외부 기능 키의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러이미지(310)의 일측(예컨대 미러이미지의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305에는 미러이미지(310)의 상단에는 미러이미지(310)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 아이콘(312)가 표시되어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일측(예컨대 미러이미지의 상단)에 미러이미지의 이동을 실행하는 위치 이동 키와,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변경하는 크기 변경 키와, 미니모드를 해제하는 미니모드 해제 키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미러이미지(310)의 일측에 표시되는 설정 변경 아이콘(312)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추가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미러이미지(310)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키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05와 같이 미러이미지(310)가 불투명하게 표시되고 원본이미지(307)가 겹쳐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미러이미지(310)의 배경 영역에는 특정 아이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아이콘은 예컨대,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될 수도 있다.
도 3b는 미러이미지(310)가 반투명한 상태로 원본이미지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도 3b와 같이 반투명한 상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원본이미지(307)가 그대로 미러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미니 모드 진입을 위한 이벤트 발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4a 내지 4c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 진입을 위한 터치 제스처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및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 진입을 위한 모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a에 도시된 미니 모드 진입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터치 제스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미니 모드 진입을 위한 터치 제스처로 설정될 수 있다. 미니 모드 진입을 위한 터치 제스처는 기능 수행을 위한 터치 제스처와 구분을 위해 미러이미지(310)의 테두리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되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되는 동작에 한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스처에 대한 몇 가지 예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401은 미러이미지(310)의 왼쪽 테두리 영역의 일 지점에서 발생된 터치가 시계 방향으로 반원을 그리며 이동되는 드래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402는 왼쪽 테두리 영역의 일 지점에서 발생된 터치가 일정 거리 이상을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했다 다시 터치 발생 지점을 향해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403은 왼쪽 테두리 영역의 일 지점에서 발생된 터치가 아래로 이동한 후 오른쪽으로 꺾여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404는 오른쪽 테두리 영역의 일 지점에서 발생된 터치가 시계방향으로 반원을 그리며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405는 오른쪽 테두리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가 왼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했다 다시 터치 발생 지점을 향해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406은 오른쪽 테두리 영역에서 발생된 터치가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한 후 왼쪽으로 꺾여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앞서 제시된 다양한 터치 제스처들이 모두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터치 제스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에 제시된 다양한 터치 제스처들 중 특정 제스처만이 선택되어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터치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니모드 진입을 위한 이벤트로는 터치 제스처뿐 아니라 모션이 해당될 수도 있다. 상기 모션에 대한 예시가 도 4b에 나타나있다. 먼저 도 4b의z축의 방향은 지면을 향한다고 가정한다. 도 4b의 420은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이 원본이미지(307)만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센서부(160)는 휴대 단말기(100) 본체가 430과 같이 한쪽 면이 지면을 향해 기울게 되면 기울임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정 모션을 통해서도 제어부(150)는 미니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특정 모션은 예컨대, 흔들기 모션(휴대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 등이 더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울임 모션이 수행된 결과로 제어부(150)는 미니모드에 진입하여, 44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미러이미지(3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c는 휴대 단말기의 기울임 모션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화면이 천장을 향하여 놓인 경우의 휴대 단말기(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x축은 지면과 평행하고, y축은 지면에 수직하며 지면의 반대방향을 향한다고 할 때, 450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일 측면이 지면을 향해 기울었다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100)의 모션이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미니모드 진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미니모드 진입을 위해 지정된 모션의 예는 앞서 제시된 기울임 모션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에도 흔들기 모션(휴대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 등이 추가로 해당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이미지 설정 변경 과정을 자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225단계를 더욱 세분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215단계가 수행된 경우, 제어부(150)는 501단계에서 입력된 터치가 미러이미지(310)의 크기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크기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은 예컨대, 미러이미지(310)의 꼭지점을 터치하여 대각선 성분을 드래그 하여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혹은 제어부(150)는 미러이미지(310)의 일측에 표시된 크기 변경 키가 선택된 경우,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미러이미지(310)의 일측에 표시된 크기 변경 키의 선택이 확인되면, 크기 변경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크기 변경 모드에서 제어부(150)는 미러이미지(310)의 테두리에 이미지 조절 박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미지 조절 박스에서 표시된 조절점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크기를 축소/확대 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터치 동작(예컨대 드래그)을 수행할 수 있다. 미러이미지(310)의 크기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505단계에서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크기의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입력된 터치가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경우 제어부(150)는 510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미러이미지(310)의 위치 이동을 위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 이동을 위한 터치 입력은 예컨대, 미러이미지(310)의 일측에 표시된 위치 이동 키를 터치(또는 롱 터치) 하는 방법 혹은 미러이미지(310)의 테두리 영역을 터치(또는 롱 터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515단계에서 미러이미지(310)의 위치를 이동하고 변경된 사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를 이동하는 과정은 제어부(150)가 위치 이동을 위한 터치 입력(예컨대, 특정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 및 이동 제스처)을 확인한 경우, 위치 이동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 모드 진입 시 특정 효과(예컨대,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모드 실행을 알릴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이동 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제스처에 따라 미러이미지(310)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패널(1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도 2의 225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미러이미지(310)의 위치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520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미러이미지(310)의 투명도 조절과 같은 설정 변경 기능이 상기 520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크기 변경 및 위치 이동과 같은 설정 변경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6a 내지 7b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투명한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투명한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후술하는 미러이미지의 설정 변경 방법은 미러이미지의 투명도와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불투명한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이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하는 방법을 따를 수도 있다.
도 6a의 610은 휴대 단말기(100)가 미니모드에 진입하여 미러이미지(310)가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불투명하며, 까맣게 표시된 배경 화면과 함께 표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하단에 외부 키 아이콘(311)들이 표시되어 있고, 상단에는 설정 변경 아이콘(312)들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변경 아이콘(312)으로는 미러이미지(3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이동 키(611)와,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 변경 키(612)와 미니모드를 해제하고 원본이미지만이 표시되도록 하는 미니모드 해제 키(613)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610에서 크기 변경 키(612)가 선택되면, 620과 같이 미러이미지(310)의 테두리에 이미지 조절 박스(62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조절 박스(621)에는 각 변의 중간과 꼭지점 영역에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점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630은 이미지 조절 박스(621)에 함께 표시된 조절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이미지 조절 박스(621)의 크기 조절을 통해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이미지 조절 박스(621)의 크기 축소를 통해 미러이미지(31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도 6b는 미러이미지의 위치의 이동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640은 미러이미지(310)가 전체 화면의 우측 하단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상단 메뉴의 가장 왼쪽에 위치 이동 키(611)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b의 650 은 사용자가 상기 위치 이동 키 (611)을 선택한 후, 전체 화면의 상단을 향해 터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 이동 키(611)가 표시된 지점에서 터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660은 사용자가 위치 이동 키(611)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채 전체 화면의 왼쪽 방향으로 터치를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670과 같이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는 사용자의 터치 이동방향에 따라 왼쪽 상단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미러이미지(310)의 하단에 보이는 외부 키 아이콘(311)들은 미러이미지(310)의 화면상의 위치(왼쪽 혹은 오른쪽)에 따라 배열순서가 바뀔 수 있다. 상기 외부 키 아이콘(311)들의 배열 순서는 비교적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키, 홈 키, 취소 키를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가깝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미러이미지가 640내지 6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오른쪽에 표시된 경우, 상기 외부 키 아이콘(311)들은 왼쪽 순서대로 볼륨 키, 메뉴 키, 홈 키, 취소키 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670과 같이 상기 미러이미지(310)가 화면의 왼쪽에 표시된 경우, 상기 외부 키 아이콘(311)들은 왼쪽 순서대로 취소 키, 홈 키, 메뉴 키, 볼륨 키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a는 상기 미러이미지(310)가 반투명상태이며, 원본이미지(307)에 오버레이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원본이미지(307)와 겹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a의 710는 꼭지점(711)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미러이미지(310)상에 크기 축소를 위한 터치를 입력한 경우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그 크기가 감소되어 표시된다.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크기 축소를 위한 터치 제스처는 변경 전 미러이미지의 꼭지점(711)에서 터치가 입력된 후, 그 상태에서 미러이미지(310)의 대각선성분을 화면의 중심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이미지(310)의 축소된 크기는 사용자가 드래그를 해제함과 동시에 고정된다. 이 때 미러이미지(310)가 축소되는 정도는 변경 전 미러이미지의 꼭지점(711)에서 변경 후 미러이미지의 꼭지점(722)까지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미러이미지(310)의 축소 방식과 마찬가지로, 미러이미지(310)의 크기 확대는 미러이미지(310)의 꼭지점을 드래그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때의 크기 확대를 위한 터치 제스처는, 미러이미지(310)의 꼭지점에서 터치가 입력된 후, 그 상태에서 미러이미지(310)의 대각선 성분을 화면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이미지(310)의 확대된 크기는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함과 동시에 고정된다.
도 7b는 미러이미지(310)가 반투명한 이미지로 원본이미지(307)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원본이미지(307)와 겹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7b의 730에서 사용자가 미러이미지(310)상에 위치 이동을 위한 터치를 입력한 경우 상기 미러이미지(310)는 위치가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 변경을 위한 터치 제스처는 예컨대 드래그가 있다. 상기 드래그는 미러이미지(310)상에서의 기능 수행을 위한 터치 제스처(예컨대, 화면 이동을 유도하는 드래그)와 구분하기 위해, 미러이미지의 테두리(731)에서 발생하는 터치 제스처에 한정할 수 있다.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 이동을 위한 터치 제스처는 미러이미지의 테두리(731)를 터치한 후, 그 상태에서 미러이미지(310)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7b의 740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오른쪽 측면에 위치한 미러이미지(310)의 테두리를 터치한 후 왼쪽으로 드래그하여, 상기 미러이미지(310)의 위치를 왼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나타나있다. 그리고 미러이미지(310)의 변경된 위치는 사용자가 드래그를 해제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이미지(310)가 반투명하게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화면에서 기능 수행하는 모습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8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모드에서의 기능 수행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850은 미니모드가 실행되었을 경우 반투명한 미러이미지(310)가 터치스크린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미러이미지(3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본이미지(307)의 어플리케이션 및 위젯의 배열과 일치를 이루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미러이미지(310)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터치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850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화 어플리케이션(851)이 선택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의 86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본이미지(307)와 미러이미지(310)는 동일하게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뿐 아니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문자, 숫자, 기호의 입력 또한 미러이미지(310)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860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150)는 실제 화면의 다이얼을 축소하여 미러이미지(310)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미러이미지(310)에 축소되어 표시된 다이얼상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다이얼의 입력을 검출하고 원본이미지(307)와 미러이미지(310)의 표시창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60에서 사용자가 미러이미지의 1번(853)을 터치 입력한 경우, 제어부(150)는 원본이미지의 1번(852)이 입력된 것과 같이 표시창에 1을 표시한다. 지금까지 미러이미지(310)에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실행되고 그 기능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미러이미지(310)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뿐 아니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아이콘 위치 변경, 화면 이동 등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키 입력부
120: 무선 통신부
130: 터치 스크린부
131: 터치패널
132: 표시패널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60: 센서부

Claims (30)

  1.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니모드에 진입하여, 상기 원본이미지와 동일하면서 상기 원본이미지보다 작은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러이미지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터치 제스처,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키 입력 및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모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터치 제스처는
    터치의 이동 속도 혹은 상기 터치의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일정 기준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모션은
    휴대 단말기의 기울임 혹은 흔들림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를 원본이미지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혹은 상기 미러이미지만을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일측에 외부키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외부키 아이콘의 배열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일측에 미러이미지의 설정 변경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아이콘은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 변경 모드를 요청하는 크기 변경 키, 상기 미러이미지의 위치 이동 모드를 요청하는 위치 이동 키, 및 미니모드 해제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미러이미지 설정 변경을 위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설정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 변경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및
    입력된 터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꼭지점에서 시작되어 이동되는 터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터치 이동의 방향에 따라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일측에 표시된 크기 변경 키에 대한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크기 변경 키의 선택이 확인되면, 상기 미러이미지의 테두리에 이미지 조절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및
    상기 이미지 조절 박스의 크기 조절을 통해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에서 검출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테두리영역 혹은 위치 이동 키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검출에 따라 미러이미지의 위치 이동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미러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16.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며, 상기 미니모드에서 기능 수행을 위해 발생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상기 미니모드에서 미러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미니모드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미니모드의 실행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키 입력을 검출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제스처가 터치의 이동 속도 혹은 상기 터치의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일정 기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터치 제스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임 혹은 흔들림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동작에 대하여 상기 미니모드를 요청하도록 기 설정된 모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미러이미지를 원본이미지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방법 혹은 상기 미러이미지만을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미러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미러이미지의 일측에 외부키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미러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외부키 아이콘의 배열을 가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미러이미지의 일측에 미러이미지의 설정 변경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설정 변경 아이콘에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 변경 모드를 요청하는 크기 변경 키, 상기 미러이미지의 위치 이동 모드를 요청하는 위치 이동 키 및 미니모드 해제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5.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이미지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이 상기 미러이미지의 설정 변경을 위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이미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 변경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입력된 터치의 이동에 따라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꼭지점에서 시작되어 이동되는 터치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 이동의 방향에 따라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일측에 표시된 크기 변경 키에 대한 선택을 확인하고, 상기 크기 변경 키의 선택이 확인되면, 상기 미러이미지의 테두리에 이미지 조절 박스를 표시하며, 상기 이미지 조절 박스의 크기 조절을 통해 상기 미러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이동을 요청하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이미지의 테두리영역 혹은 위치 이동 키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한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의 검출에 따라 미러이미지의 이동 모드를 실행하며, 상기 검출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미러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KR1020130096788A 2013-05-24 2013-08-14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72,986 US10691291B2 (en) 2013-05-24 2014-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EP18205376.9A EP3511806B1 (en) 2013-05-24 2014-05-2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icture on a portable device
ES14169394T ES2712203T3 (es) 2013-05-24 2014-05-22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visualizar una imagen en un dispositivo portátil
EP14169394.5A EP2806339B1 (en) 2013-05-24 2014-05-2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icture on a portable device
PL14169394T PL2806339T3 (pl) 2013-05-24 2014-05-22 Sposób i urządzenie do wyświetlania obrazu na urządzeniu przenośnym
US29/491,792 USD720365S1 (en) 2013-05-24 2014-05-23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9/491,791 USD735217S1 (en) 2013-05-24 2014-05-23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9/491,787 USD720360S1 (en) 2013-05-24 2014-05-23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201910956235.0A CN110716687B (zh) 2013-05-24 2014-05-26 在便携设备上显示画面的方法和装置
CN201480029937.XA CN105283830B (zh) 2013-05-24 2014-05-26 在便携设备上显示画面的方法和装置
AU2014269244A AU2014269244B2 (en) 2013-05-24 2014-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PCT/KR2014/004681 WO2014189346A1 (en) 2013-05-24 2014-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CN201910956276.XA CN110658970B (zh) 2013-05-24 2014-05-26 在便携设备上显示画面的方法和装置
US29/495,214 USD732552S1 (en) 2013-05-24 2014-06-27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9/685,259 USD905731S1 (en) 2013-05-24 2019-03-27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AU2020202870A AU2020202870B2 (en) 2013-05-24 2020-04-3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US16/908,224 US20200319774A1 (en) 2013-05-24 2020-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106 2013-05-24
KR1020130059106 2013-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96A true KR20140137996A (ko) 2014-12-03
KR102212830B1 KR102212830B1 (ko) 2021-02-08

Family

ID=5245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788A KR102212830B1 (ko) 2013-05-24 2013-08-14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D905731S1 (ko)
EP (1) EP3511806B1 (ko)
KR (1) KR102212830B1 (ko)
CN (3) CN110716687B (ko)
AU (2) AU2014269244B2 (ko)
ES (1) ES2712203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79A (ko) * 2017-01-03 201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60191B2 (en) 2016-12-02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siz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934602B2 (en) 2021-12-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one handed operation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2263A (zh) * 2016-06-07 2016-08-3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单手操作方法、系统
EP3333688B1 (en) * 2016-12-08 2020-09-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193469B (zh) * 2017-04-25 2020-03-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桌面处理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7454321A (zh) * 2017-07-28 2017-1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31998B (zh) * 2017-10-31 2020-12-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移动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928830S1 (en) * 2018-08-29 2021-08-24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743610A (zh) * 2018-11-30 2019-05-10 新视家科技(北京)有限公司 视频流的显示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介质
USD926781S1 (en) * 2019-05-28 2021-08-0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621A (ko) * 2011-05-20 2012-11-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50821B1 (ko) * 2012-10-24 2013-04-05 (주)지란지교소프트 휴대전자기기에서의 입력 모드에 따른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51801S (en) 1993-07-01 1994-10-25 Ferra Michael J Calculator attachment for a tape measurer
JP3595579B2 (ja) 1994-08-26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5977973A (en) 1997-05-14 1999-11-02 Microsoft Corporation Window linking
IL130972A0 (en) 1999-07-15 2001-01-28 Hotbar Com Israel Ltd Method for the dynamic improvement of internet browser appearance and connectivity
USD433057S (en) 1999-10-26 2000-10-31 Limax Electronics Co., Ltd. Calculator
USD468748S1 (en) 2001-10-10 2003-01-14 Sony Corporation Computer generated image for display panel or screen
EP1652310A4 (en) 2003-07-17 2007-11-14 Xrgomics Pte Ltd METHOD FOR ENTERING TEXT BY CHOOSING LETTERS AND WORDS FOR REDUCED KEYBOARDS AND KEYBOARD SYSTEMS
USD554656S1 (en) 2004-12-24 2007-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DA display panel with icons
CN101142617B (zh) * 2005-02-23 2012-06-20 杰龙公司 数据输入方法和装置
USD537084S1 (en) 2005-04-22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Image for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USD566125S1 (en) 2005-05-11 2008-04-08 Microsoft Corporation Image for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US7836410B2 (en) * 2006-01-06 2010-11-16 Sap Ag Window positioner/sizer
USD577736S1 (en) 2006-01-17 2008-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p-up window and user interface for display on a television receiver
USD551241S1 (en) 2006-03-22 2007-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cellular phone
USD550685S1 (en) 2006-03-22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cellular phone
USD554658S1 (en) 2006-03-29 2007-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nerated image for display on a portable telephone
JP3962084B2 (ja) * 2006-05-24 2007-08-22 株式会社 空スペース 情報表示入力装置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7885641B2 (en) 2007-06-18 2011-0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ubjects in instant messaging sessions on a mobile device
USD621849S1 (en) 2007-06-23 2010-08-17 Apple Inc.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USD576634S1 (en) 2007-09-27 2008-09-09 Adobe Systems Incorpor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USD596642S1 (en) 2007-10-02 2009-07-21 Yahoo!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puter screen
USD588153S1 (en) 2007-12-07 2009-03-10 Olympus Imaging Corp. Transitional image for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of a digital camera
JP5223318B2 (ja) 2007-12-07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D594468S1 (en) 2007-12-26 2009-06-16 Htc Corporation Menu design for a portable device display screen
US8229160B2 (en) 2008-01-03 2012-07-2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objects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identified objects
USD624555S1 (en) 2008-05-06 2010-09-28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US20090319947A1 (en) * 2008-06-22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o enable access to portal services
US8860632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D609243S1 (en) 2008-09-08 2010-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tional image display for mobile phone
BRPI0913496A2 (pt) * 2008-09-12 2016-07-2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eletrônico de mão para apresentar e consultar meta metadados, dispositivo de exibição, método para apresentar e consultar metadados em um dispositivo eletrônico de mão e produto de software"
KR101474022B1 (ko) * 2008-10-2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에서 표시부의 축 변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
USD599368S1 (en) 2008-11-24 2009-09-01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ional user interface for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USD599807S1 (en) 2008-11-24 2009-09-08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USD599806S1 (en) 2008-11-24 2009-09-08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ional user interface for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USD618702S1 (en) 2009-01-16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isplay image for mobile phone
JP5428436B2 (ja) * 2009-03-25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D628583S1 (en) 2009-09-01 2010-12-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ransitional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of a mobile telephone
GB2473909A (en) 2009-09-10 2011-03-30 Miniweb Technologies Ltd Programme option presentation
USD624930S1 (en) 2009-10-16 2010-10-05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CN201533333U (zh) * 2009-10-29 2010-07-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9542097B2 (en) * 2010-01-13 2017-01-10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touchpad for a touch device
USD638437S1 (en) 2010-02-13 2011-05-2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 group of icons
USD638434S1 (en) 2010-02-13 2011-05-2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 group of icons
USD633908S1 (en) 2010-04-19 2011-03-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45871S1 (en) 2010-04-13 2011-09-27 Vivotech,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US20110283209A1 (en) 2010-05-13 2011-11-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widgets operating on the same user equipment
US9818072B2 (en) 2010-05-18 2017-11-14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y optimization
US20110289435A1 (en) 2010-05-19 201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web page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US20110288913A1 (en) 2010-05-20 2011-11-24 Google Inc. Interactive Ads
USD665814S1 (en) 2010-06-01 2012-08-21 Kno, Inc. Display screen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4975S1 (en) 2010-06-25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82852S1 (en) 2010-09-17 201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4151S1 (en) 2010-09-17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0310S1 (en) 2010-09-17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80125S1 (en) 2010-11-16 2013-04-1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8667S1 (en) 2010-11-30 2012-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1880S1 (en) 2010-12-28 2014-04-01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73168S1 (en) 2011-01-31 2012-12-2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8261S1 (en) 2011-01-31 2012-10-0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93361S1 (en) 2011-02-03 2013-11-1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9493S1 (en) 2011-02-03 2012-10-2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92913S1 (en) 2011-02-03 2013-11-0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1513S1 (en) 2011-02-12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861593B1 (ko) * 2011-03-15 201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D658201S1 (en) 2011-05-27 2012-04-2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user interface
CN102810039A (zh) * 2011-05-31 2012-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左右手自适应的虚拟键盘显示方法及终端
KR101911740B1 (ko) * 2011-06-14 2018-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US10083047B2 (en) * 2011-06-14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multiple tasks in a mobile device
USD703222S1 (en) 2011-06-16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4729S1 (en) 2011-07-12 2014-05-13 Ebay Inc. Device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parallel icons
USD705250S1 (en) 2011-07-12 2014-05-20 Ebay Inc. Device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cover flow icons
US9746995B2 (en) * 2011-07-14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uncher for context based menus
KR101830653B1 (ko) 2011-07-18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59100B1 (ko) 2011-07-19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953039B2 (en) 2011-07-19 2018-04-24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mpact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lexible filtering of data
KR101786978B1 (ko) 2011-07-22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295328B2 (ja) * 2011-07-29 2013-09-18 Kddi株式会社 スクリーンパッドによる入力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30965B1 (ko) 2011-08-03 2018-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17241A (ko) * 2011-08-10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입출력 방법 및 장치
US20130042197A1 (en) 2011-08-12 2013-02-14 Daniel Amare Chemistry and physics calculator
KR20130052753A (ko) 2011-08-16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D687849S1 (en) 2011-08-31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enerated image
USD703688S1 (en) 2011-09-21 2014-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5834302B2 (ja) * 2011-09-29 2015-12-16 株式会社ユピテル 文字入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D692907S1 (en) 2011-11-11 2013-11-05 Palm, Inc. Computing device with a computer-generated application launch interface
KR20130054071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방법
USD682874S1 (en) 2011-11-18 2013-05-2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82875S1 (en) 2011-11-21 2013-05-2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4206S1 (en) 2011-11-24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1871S1 (en) 2011-11-25 2014-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4207S1 (en) 2011-12-02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90311S1 (en) 2012-01-05 2013-09-24 Nooka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ime keeping
USD701229S1 (en) 2012-01-06 2014-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1228S1 (en) 2012-01-06 2014-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4725S1 (en) 2012-01-09 201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 user interface
USD700192S1 (en) 2012-01-31 2014-02-25 Kp Innovations, Llc Display screen with a transitional computer-generated icon
USD689099S1 (en) 2012-02-07 2013-09-03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4204S1 (en) 2012-02-22 2014-05-06 Blackberry Limited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99257S1 (en) 2012-02-24 2014-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AU344104S (en) 2012-02-24 201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496512B1 (ko) * 2012-03-0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D695786S1 (en) 2012-03-29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portion with icon
USD705252S1 (en) 2012-03-30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5244S1 (en) 2012-06-20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2799359B (zh) * 2012-06-20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和终端操控方法
CN105373313A (zh) * 2012-07-18 2016-03-0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图标管理方法及触控设备
USD697924S1 (en) 2012-08-06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1879S1 (en) 2012-08-17 2014-04-01 Touchstone Media Group Llc Display screen of a sales system toolkit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5811S1 (en) 2012-08-28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5254S1 (en) 2012-08-29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GI and GUI
USD706302S1 (en) 2012-09-12 2014-06-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6297S1 (en) 2012-09-21 2014-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2712S1 (en) 2012-11-09 2014-04-15 Blackberr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801997S1 (en) * 2016-01-22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1664S1 (en) * 2017-05-26 2019-06-18 Open Text Sa U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computer-generated graphical bouncing screen transition
USD848451S1 (en) * 2017-06-30 2019-05-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621A (ko) * 2011-05-20 2012-11-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50821B1 (ko) * 2012-10-24 2013-04-05 (주)지란지교소프트 휴대전자기기에서의 입력 모드에 따른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전자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0191B2 (en) 2016-12-02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siz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80079879A (ko) * 2017-01-03 201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934602B2 (en) 2021-12-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one handed operation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830A (zh) 2016-01-27
KR102212830B1 (ko) 2021-02-08
AU2020202870B2 (en) 2021-06-10
AU2020202870A1 (en) 2020-05-21
CN110716687A (zh) 2020-01-21
CN110658970B (zh) 2023-03-24
EP3511806A1 (en) 2019-07-17
AU2014269244B2 (en) 2020-01-30
USD905731S1 (en) 2020-12-22
EP3511806B1 (en) 2022-03-16
CN110658970A (zh) 2020-01-07
CN105283830B (zh) 2019-11-01
AU2014269244A1 (en) 2015-11-19
CN110716687B (zh) 2023-05-02
ES2712203T3 (es)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9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AU2020202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KR10211984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582188B2 (en)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KR102109617B1 (ko) 지문 인식기를 구비한 단말 및 이 지문 인식기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70387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9449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89866A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2015009554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5924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98258B1 (ko) 콘텐츠 편집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기기
KR20160142258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65334A (ja) 携帯端末装置
KR10242608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6654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KR101165388B1 (ko)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