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666B1 -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666B1
KR101979666B1 KR1020120051323A KR20120051323A KR101979666B1 KR 101979666 B1 KR101979666 B1 KR 101979666B1 KR 1020120051323 A KR1020120051323 A KR 1020120051323A KR 20120051323 A KR20120051323 A KR 20120051323A KR 101979666 B1 KR101979666 B1 KR 10197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put module
input
ha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649A (ko
Inventor
박은영
이충규
송필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5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66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3263610A priority patent/AU2013263610B2/en
Priority to CN201380024672.XA priority patent/CN104380239B/zh
Priority to BR112014028300-1A priority patent/BR112014028300B1/pt
Priority to CA2872512A priority patent/CA2872512C/en
Priority to EP13790327.4A priority patent/EP2850507B1/en
Priority to US13/891,419 priority patent/US9606726B2/en
Priority to RU2014145865A priority patent/RU2666236C2/ru
Priority to EP24166549.6A priority patent/EP4372537A2/en
Priority to EP19173137.1A priority patent/EP3557387A1/en
Priority to PCT/KR2013/004187 priority patent/WO2013172607A1/en
Priority to CN201710915677.1A priority patent/CN107704082B/zh
Publication of KR2013012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649A/ko
Priority to US15/460,540 priority patent/US1040208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666B1/ko
Priority to US16/546,682 priority patent/US10817174B2/en
Priority to US17/067,962 priority patent/US1146100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모듈 출력에 따른 한손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시, 표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키 맵 영역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 표시되는 제1 입력 모듈을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Operation Method For plural Touch Panel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영역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이 사용자의 터치가 용이한 지점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해당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소비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표시부의 크기 확장을 위하여 터치 패널을 단말기의 전면 전체에 채용하는 풀터치스크린 형태의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 기술은 크게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터치 방식과, 터치 시 압력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이 있다.
그런데 표시부의 크기가 확장되면서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을 이용한 신호 생성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들어 대화면 기술이 채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공되는 표시부 영역은 한손으로 파지와 함께 입력 영역을 제어하는 것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입력 영역은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하기 부담스러운 위치까지도 포함하는 표시부의 영역을 할당받아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 영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손의 이동이나 두 손 파지 등이 요구된다. 여기서 한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의 이동은 사용자의 활용성을 떨어트리게 되며,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 이용 시 한손으로 파지해야 하는 환경이 두 손 파지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환경에서 두 손 파지 역시 단말기의 사용성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한손 제어 기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영역을 한손 제어가 가능한 영역으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시, 표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키 맵 영역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 표시되는 제1 입력 모듈을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 맵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확인하고, 상기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시, 표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키 맵 영역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친 제1 입력 모듈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한손 파지를 기반으로 단말기의 운용 능력을 극대화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보다 용이한 단말기 운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터치가 가능한 범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4 키패드의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다이얼러 운용에 관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계산기 기능 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쿼티 키 운용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제어키 맵 운용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한 범위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변환을 지원하며,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변환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스위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양한 입력 모듈을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입력 모듈은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되며,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표시부(140)에 사전 정의된 특정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 모듈은 단말기(100)를 특정 방향의 손으로 파지한 경우에 최적화된 표시부(140)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40)의 특정 위치에 출력된 입력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력 신호 생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40) 상에 출력된 입력 모듈의 특정 방향의 손에 최적화된 위치는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표시부(140) 상에 입력 모듈이 출력된 상태에서 해당 입력 모듈을 운용 가능한 영역은 각 사용자의 엄지 길이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경우,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단말기(100)의 측면과 배면을 파지하고, 엄지를 이용하여 표시부(140)에 출력된 입력 모듈의 특정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단말기(100)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엄지의 길이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입력 모듈의 특정 위치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엄지의 길이에 따라 입력 모듈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입력 모듈의 다양한 위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미국 여성의 95%의 엄지 길이는 5.58CM 정도가 된다. 이에 따라 엄지손가락이 연결된 관절 등의 신축성을 고려할 경우 한손으로 터치가 가능한 영역의 범위는 5~6cm 정도의 범위로 인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5~6cm 이상의 표시부 크기를 가지는 단말기(100)의 경우 한손으로 표시부 전체를 다룰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적절한 입력 모듈의 배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입력 모듈의 배치를 상술한 한손으로 터치가 가능한 영역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 모듈을 이용하여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손으로 단말기(100)를 운용할 경우 단말기(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엄지손가락 운용 범위를 가지게 된다. 즉 오른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경우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가능 운용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왼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경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가능 운용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입력 모듈을 상술한 터치 가능 운용 범위 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두 손 파지로의 변경이나 무리한 한손의 형태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입력 신호 생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때 통신부(110) 제어를 위한 다양한 키 맵, 제어맵 등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타 단말기 전화번호 입력을 위하여 제어부(160) 지원에 따라 다양한 입력 모듈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 운용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숫자 입력을 위한 키 맵으로 구성된 입력 모듈을 출력하되, 특정 방향의 손에 치우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치우친 정보는 해당 방향의 손 중 엄지손가락의 길이에 의하여 터치가 가능한 범위 내로 입력 모듈의 일정 비율 이상이 배치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 운용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폰 북 정보로 구성된 항목 선택 가능한 리스트 영역을 입력 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 영역으로 구성된 입력 모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를 파지한손 방향의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정해지는 범위내의 크기로 리사이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신부(110) 운용을 위한 폰 북 정보 호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표시부(140) 전체에 출력되도록 설정된 폰 북 리스트 화면의 크기를 리사이징하고, 리사이징된 폰 북 리스트 화면을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리사이징되는 비율은 사전 설정된 한손 운용 모드에 따른 위치 및 크기에 맞도록 정의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입력모듈 지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3*4 키 맵, 5*4 키 맵, 쿼티 키 맵, 드보락 키 맵 등 다양한 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음악 재생을 위한 제어키 맵, 동영상 재생을 위한 제어키 맵, 방송 수신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 등 다양한 제어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키 맵들은 특정 방향의 한손 운용 지원을 위한 형태의 크기 및 각 키들의 배치 구조와, 한손 운용 모드 이외의 운용 지원을 위한 형태의 크기 및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키 맵들은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여부에 따라 특정 크기 및 배치 구조로서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키 맵들은 왼손 파지 지원을 위한 한손 운용 모드의 크기와 각 키들의 배치 구조 및 오른손 파지 지원을 위한 한손 운용 모드의 크기와 각 키들의 배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입력 모듈 운용에 따른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30)는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 모듈이 적용되는 특정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입력 모듈이 한손 운용 모드에 따른 것임을 안내하는 안내음, 해당 입력 모듈이 특정 방향의 손에 해당하는 입력 모듈임을 안내하는 안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방향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즉 왼손 운용 모드에서 오른손 운용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 발생에 따른 효과음, 입력 모듈 변경에 따른 효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각 입력 모듈 제어를 위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입력 모듈에 포함된 특정 키가 선택되는 경우 키 선택에 따른 효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143)과 표시 패널(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43)은 표시 패널(141) 화면 전체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형성되어 표시 패널(141)을 기준으로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운용될 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는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한손 운용 모드 연습을 위한 튜토리얼 화면, 산호 운용에 따른 다양한 입력 모듈이 특정 방향 손에 최적화되는 위치에 출력된 화면, 입력 제어에 따라 입력 모듈의 위치가 변경된 화면, 가로 또는 세로 모드 변경에 다라 입력 모듈의 위치가 변경되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각 화면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 운영체제 및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을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모듈(151)과, 입력 모듈(151) 출력과 운용을 지원하는 입력 지원 프로그램(151)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1)은 단말기(100)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키 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51)은 숫자 입력을 위한 키 맵,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맵,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을 포함할 수 있다. 숫자 입력을 위한 키 맵의 경우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 맵, 수학 또는 공학 계산을 위한 계산기 키 맵, 날짜 입력을 위한 키 맵 등 숫자와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키 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맵은 영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맵, 한글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맵, 중국어나 일본어 등 다양한 국가의 언어에 해당하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맵, 특수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의 경우 음악 재생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 동영상 재생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 방송 수신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 등 다양한 제어키 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51)은 상술한 키 맵들이 표시부(140)에 사전 정의된 일정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출력되는 기본 형태와, 본 발명의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한 왼손 모드 지원 형태 및 오른손 모드 지원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은 표시부(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키들의 배열 형태를 가지거나, 표시부(140)의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키들이 배치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 모듈(151)은 기본 형태에 해당하는 키 맵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 요청이 발생하면 한손 모드 운용, 왼손 또는 오른손 운용에 따른 구분을 설정 정보 등을 확인하고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 크기 및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거나 키들의 배치를 다르게 조정하여 오른손 입력 모듈 및 왼손 입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오른손 입력 모듈 및 왼손 입력 모듈을 제공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해당 요청이 발생한 시점에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을 기반으로 오른손 입력 모듈 및 왼손 입력 모듈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지원하는 루틴,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된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 해당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입력 모듈(151)을 호출하는 루틴, 호출된 입력 모듈(151)을 표시부(140) 상에서 사전 정의된 일정 방향으로 치우쳐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입력 모듈(151)의 출력 방향을 변경하도록 지원하는 루틴, 입력 모듈(151)의 출력 방향 변경 시 키들의 배치 구조를 조정하거나 크기를 조정하는 루틴, 해당 입력 모듈(151)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특정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입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제공되는 입력 모듈(151)의 크기 및 키 들의 배치 조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한손 운용 가능 범위를 수집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을 위해 요구되는 신호 전달과 처리 및 전원의 공급과 분배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입력 영역 출력 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입력 모듈(151)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지원하며, 입력 모듈(151)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이벤트 수집부(161), 입력 모듈 운용부(163), 기능 수행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수집부(161)는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이벤트 중 특정 이벤트를 입력 모듈 운용부(163)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벤트 수집부(161)는 표시 영역에 입력 영역 출력이 요구되는 특정 사용자 기능 호출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종류의 입력 모듈 선택 정보와,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여부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 모듈 운용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수집부(16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51) 출력이 요구되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모듈 선택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벤트 수집부(161)는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 저장된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특정 사용자 기능에 대하여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이벤트 수집부(161)로부터 입력 모듈 선택 정보와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입력 모듈의 출력을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입력 모듈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양한 입력 모듈(151)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한 입력 모듈(151)을 호출하고, 호출된 입력 모듈(151)을 사전 정의된 위치의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기존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 모듈을 한손 운용 모드 설정에 따라 리사이징한 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입력 모듈의 위치 변경을 지원하는 변경 항목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해당 변경 항목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출력된 입력 모듈(151)의 형태를 왼손 모드에서 오른손 모드로, 오른손 모드에서 왼손 모드로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단말기(100)의 회전을 감지하고, 단말기(100) 회전에 따라 출력되는 입력 모듈(151)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단말기(100)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특정 방향 손 모드로 출력된 입력 모듈(151)을 해당 회전 변경에 따른 표시부(140) 영역에 맞도록 리사이징하거나 각 키들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입력 모듈(151)이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형태 까지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입력 모듈 운용부(163)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변경에 따라 특정 방향 손 모드에 해당하는 입력 모듈(151)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능 수행부(165)는 입력 모듈 운용부(163)에 의하여 출력된 입력 모듈(151)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입력 및 전화 걸기 기능을 가지는 입력 모듈(151)이 표시부(140)에 출력된 후, 특정 전화번호 입력과 함께 전화 걸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기능 수행부(165)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위한 신호 처리와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수행부(165)는 입력 모듈(151)이 출력된 일정 영역에 해당 입력 모듈(151) 운용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기능 수행부(165)는 입력 모듈(151)에 포함된 키들이 표시되지 않는 여백 영역에 부가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수행부(165)는 문자나 숫자 입력을 통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고 그에 대응하는 입력 모듈(151)이 출력되면, 입력 모듈(151)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표시부(140)의 출력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기능 수행부(165)는 추가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메시지를 타 단말기 등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수행부(165)는 제어키 맵에 해당하는 입력 모듈(151)이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된 상태에서, 해당 제어키 맵에 의해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수행에 따라 채널 선택을 위한 제어키 맵이 입력 모듈(151)로서 표시부(140)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입력 모듈(151)로부터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기능 수행부(165)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의 채널 변경을 지원하거나, 방송 수신 기능을 종료하거나, 방송을 녹화하는 등의 사용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 기능에 따른 다양한 입력 모듈(151)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한손 모드 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입력 모듈(151)의 형태가 표시부(140)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치우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모듈(151)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가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한손으로도 다양한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단말기(100)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왼손, 오른손, 양손 등의 파지 변경에 대응하여 해당 환경에 따른 입력 모듈을 바로 호출할 수 있는 변경 항목을 제공함으로써 입력 모듈 선택을 위한 메뉴 선택 등의 번거로움 없이도 단말기(100) 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예를 들면 대기 화면 기능, 슬립 상태 지원 기능, 특정 단말기 기능 운용 상태 등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상태 지원을 위하여 501 단계에서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배터리나 어댑터 등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단말기(100)의 특정 구성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503 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듈(151) 제공이 필요한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발생한 입력 신호가 입력 모듈(151) 제공이 필요한 사용자 기능이 아닌 경우 5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사용자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메뉴 화면 검색 기능과 같이 특정 키 맵이 요구되지 않는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503 단계에서 입력 모듈(151) 제공이 요구되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507 단계로 분기하여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511 단계로 분기하여 기본 형태에 해당하는 입력 모듈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형태는 일정 크기와 면적을 가지며 표시부(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본 형태는 왼손 또는 오른손에 의한 한손 운용 여부에 관계없이 특정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하여 사전 정의된 형태의 키 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507 단계에서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509 단계로 분기하여 특정 방향 손에 해당하는 입력 모듈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오른손에 의한 한손 운용이 가능하도록 키 맵이 우측으로 치우쳐진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입력 모듈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왼손 운용을 지원하는 입력 모듈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른손 또는 왼손 운용을 지원하는 입력 모듈은 사전 설정된 디폴트 정보에 의하여 정의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해당 사용자 기능 운용 시 마지막으로 선택되어 운용된 방향의 손 지원을 위한 입력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현재 단말기(100)의 배치 형태 즉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배치에 따라, 출력되는 입력 모듈의 형태를 다르게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배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작성된 입력 모듈을 저장하거나,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맞도록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는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 조정을 위하여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배치 상태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운용을 위한 입력 모듈의 위치 및 키들의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50)에 사전 저장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손 운용을 위한 특정 배치 상태의 입력 모듈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513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왼손 또는 오른손의 손 방향을 위한 방향 변경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왼손 또는 오른손 손 방향 변경을 위해 할당한 방향 변경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방향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51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모듈의 방향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왼손 운용 지원을 위한 입력 모듈이 출력된 상태에서, 방향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오른손 운용 지원을 위한 입력 모듈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전 정의된 오른손 운용 지원을 위한 입력 모듈을 저장부(150)에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하거나, 기본 형태의 크기와 각 키들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여 오른손 운용 지원을 위한 입력 모듈을 생성한 뒤,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513 단계에서 방향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현재 입력 모듈 출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517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517 단계에서 단말기의 회전을 위한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단말기(100)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또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됨에 따른 센서 신호 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단말기의 배치 변경을 위한 신호가 발생한 경우 519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의 회전에 따른 입력 모듈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현재 입력 모듈이 세로 모드로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치 변경을 위한 회전 센싱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의 표시부(140) 환경을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하고, 가로 모드에 해당하는 해당 사용자 기능의 입력 모듈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사전 저장된 해당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입력 모듈을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기본 형태를 가로 모드의 한손 운용에 맞도록 리사이징하거나 키 맵의 키 배치를 조정하여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513 단계 및 517 단계에서 별다른 변경 또는 회전에 해당하는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다음 단계를 스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521 단계에서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별도의 기능 종료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507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입력 모듈 운용 방법은 입력 모듈이 필요한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한손 운용 모드 설정여부에 따라 왼손 또는 오른손에 의한 한손 운용이 가능한 입력 모듈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방법은 단말기의 배치 상태에 따라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적용되는 각각의 입력 모듈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왼손에서 오른손 또는 오른손에서 왼손의 방향 전환 요청에 따라 입력 모듈의 위치 및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상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또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의 단말기(100) 배치 변경에 따라 입력 모듈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부(120) 또는 터치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단말기(100)의 기능 설정과 관련된 "세팅" 화면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1 화면에서와 같이 "세팅"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항목(61)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601 화면에서 사용자는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항목(61)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603 단계로 분기하여 한손 운용 모드 설정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한손 운용 모드 설정 화면 인터페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입력 모듈과 관련된 항목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항목들은 다이얼러, 키패드, 계산기 등이 될 수 있다. 한손 운용 모드 설정에 의하여 특정 입력 모듈이 한손 운용 모드로 운용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 모듈을 이용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들은 한손 운용 모드로 일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항목들은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항목들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항목들은 메시지 작성 기능, 채팅 기능, 이메일 작성 기능, 통화 기능, 계산기 기능, 가계부 기능 등 단말기가 지원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입력 모듈 또는 사용자 기능 항목에 대하여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크 박스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한손 운용 모드 설정 화면 인터페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손 운용 모드 수행을 위한 "튜토리얼(Tutorial)"항목(63)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튜토리얼 항목(63)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605 화면 및 607 화면에서와 같이 한손 운용 모드에 따른 입력 모듈의 위치 변경을 지원하는 정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4 키패드의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이 없는 경우 단말기(100)는 701 화면에서와 같이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에 해당하는 3*4 키 맵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701 화면에 출력된 화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이메일 작성화면, 채팅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710)은 표시부(140)의 일정 영역에 사전 정의된 크기와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부(14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상기 701 화면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710) 영역 이외에 해당 입력 모듈 제어에 의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문자 등이 출력되는 출력 영역(72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701 화면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출력 영역(720) 이외에 부가적인 영역 예를 들면, 해당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특정 기능 항목들이 출력되는 기능 항목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항목 영역(730)은 펜 기능으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기능 항목, 작성된 메시지를 송부하기 위한 기능 항목, 전체 작성 가능한 메시지량 및 현재 작성된 메시지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701 화면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타 단말기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영역(740), 타 단말기 선택을 위한 폰 북 호출을 지원하는 폰 북 호출 영역(7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701 화면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메시지 작성과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수행한 경우, 단말기(100)는 703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방향의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한 입력 모듈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오른손 기반의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한 오른손 입력 모듈(760)을 출력할 수 있다. 오른손 입력 모듈(760)은 오른손 키 맵 영역(761), 제1 변경 항목 영역(762), 제1 여백 영역(7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703 화면에 제공된 오른손 입력 모듈(760)은 단말기(100)의 배치가 세로 모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가상키 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은 701 화면에 도시된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710)과 동일한 키들의 배치를 가지되, 각 키들이 오른쪽 가장자리에 치우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은 사각형 형태를 유지하면서, 우측으로 치우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이 출력되는 위치와 영역의 크기, 키들의 배치 위치는 사용자의 한손 운용이 가능한 거리 범위 이내로 조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디폴트로 제공되는 사용자 엄지손가락 길이를 기반으로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을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엄지손가락 길이를 기반으로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엄지손가락 길이 제공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변경 항목 영역(762)은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왼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경우, 제1 변경 항목 영역(762)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변경 항목 영역(762) 선택의 경우 단말기(100)는 705 화면에서와 같이 왼손 키 맵 영역(771)을 포함하는 왼손 입력 모듈(770)이 출력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여백 영역(763)은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의 우측 및 하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오른손 키 맵 영역(761)에 포함된 각 키들을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영역이다. 실험적으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경우,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의 키들을 선택하게 되며, 이때 엄지손가락의 구부림 각도에 의하여 우측 가장자리에 근접한 영역은 엄지손가락 선택이 어려운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손바닥이 단말기(100)의 바닥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 단말기(10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이 단말기(100)의 하단 일정 부분을 선택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여백 영역(763)은 엄지손가락이 선택 불가능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단말기(100)의 오른손 키 맵 영역(761)이 엄지손가락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여백 영역(763)은 실험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정 엄지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100)는 보편적으로 평균적인 엄지손가락 길이에 맞는 제1 여백 영역(763)을 실험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길이 측정 또는 입력에 따라 제1 여백 영역(763)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03 화면 인터페이스는 출력 영역(720), 기능 항목 영역(730), 정보 입력 영역(740), 폰 북 호출 영역(750) 등은 이전 화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703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변경 항목 영역(762)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705 화면에서와 같은 화면 인터페이스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705 화면 인터페이스의 경우 실질적으로 703 화면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화면 구조를 가지되, 입력 모듈 영역만이 왼손에 특화된 형태의 왼손 입력 모듈(770)을 출력할 수 있다. 왼손 입력 모듈(7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키 맵 영역(771), 제2 변경 항목 영역(772), 제2 여백 영역(773)을 포함할 수 있다.
왼손 키 맵 영역(771)은 오른손 키 맵 영역(761)과 비교하여 유사한 크기를 가지되, 키 맵의 표시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추가로 왼손 키 맵 영역(7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키 맵 영역(761)에 표시된 키들의 배치 위치와 방향이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왼손 키 맵 영역(771)은 오른손 키 맵 영역(761)에 표시된 키들의 배치 위치와 동일한 배치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변경 항목 영역(772)은 오른손 입력 모듈(760)이 출력되는 703 화면으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영역이다. 제2 여백 영역(773)은 왼손 키 맵 영역(771)이 사용자의 왼손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도록 왼손 엄지손가락이 선택할 수 없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705 화면 인터페이스 상태에서 사용자가 왼손 키 맵 영역(771)의 키들을 선택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하면, 단말기(100)는 선택에 따른 키들의 문자를 출력 영역(7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기능 항목 영역(730)은 705 화면 인터페이스와 같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타 단말기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영역(740) 및 폰 북 호출 영역(750)은 문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표시부(140)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 영역(740) 및 폰 북 호출 영역(750)은 메시지 작성을 완료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거나 문자 입력이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는 경우 705 화면 인터페이스에서와 같이 다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정보 입력 영역(740) 및 폰 북 호출 영역(750)의 화면에서의 제거 및 출력을 위하여 출력 영역(720) 및 기능 항목 영역(730)의 리사이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왼손 키 맵 영역(771)에 의한 문자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제2 변경 항목 영역(772)을 부가 정보 출력 영역(774)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 출력 영역(774)은 문자 입력과 관련된 사전 저장된 특정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 출력 영역(774)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들과 관련된 단어 추천에 따른 단어 출력이 수행될 수 있다.
703 화면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회전이 발생한 경우, 단말기(100)는 709 화면에서와 같이 가로 모드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가로 모드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709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모드 기반의 오른손 입력 모듈(780)이 출력되며, 가로 모드 기반의 출력 영역(721)과 기능 항목 영역(739), 정보 입력 영역(741), 폰 북 호출 영역(751)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오른손 입력 모듈(780)은 가로 모드 기반의 오른손 키 맵 영역(781), 가로 모드 기반의 제1 여백 영역(783), 가로 모드 기반의 제1 변경 항목 영역(78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 모드 기반의 오른손 키 맵 영역(781)은 상술한 오른손 키 맵 영역(761)과 동일한 키들의 배치를 가지되, 크기와 위치가 조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키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오른쪽 가장자리에 치우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로 모드 기반의 제1 변경 항목 영역(782)은 세로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로 모드 기반의 제1 변경 항목 영역(782)이 선택되면, 711 화면에서와 같이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790)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790)은 상술한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770)과 유사한 형태로 제공되는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791)이 좌측에 치우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모드 기반의 제2 변경 항목 영역(792)은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791)의 우측에 출력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제2 여백 영역(793)은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791)의 좌측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일정 폭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모드 기반의 제2 변경 항목 영역(792)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709 화면에서 설명한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709 화면 인터페이스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로 모드 기반의 오른손 키 맵 영역(781)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71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 영역(721)에 해당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로 모드 기반의 오른손 입력 모듈(780)에서 가로 모드 기반의 제1 변경 항목 영역(782)은 가로 모드 기반의 부가 정보 출력 영역(784)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부가 정보 출력 영역(784)은 입력된 문자와 관련된 단어들을 추천하는 영역이 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 정보 출력 영역 기능은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79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다이얼러 운용에 관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이얼러를 호출하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8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다이얼러와 관련된 키 맵 영역이 우측으로 입력 모듈이 치우친 형태의 오른손 입력 모듈(810)을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803 화면에 나타낸 표시부(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입력 모듈이 치우친 형태의 왼손 입력 모듈(840)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 다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다이얼러가 표시부(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며 출력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801 화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다이얼러 지원 사용자 기능은 통화 기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기능 지원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모드 기반으로 출력되는 오른손 입력 모듈(810), 출력 영역(820), 메뉴 영역(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영역(820)은 오른손 입력 모듈(810)에 포함된 오른손 키 맵 영역(811)에서 선택된 숫자들이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메뉴 영역(830)은 통화 기능과 관련된 항목들이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오른손 입력 모듈(810)은 표시부(14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오른손 키 맵 영역(811), 오른손 키 맵 영역(811)의 좌측에 배치된 제1 변경 항목 영역(812), 오른손 키 맵 영역(811)의 우측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여백 영역(8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1 변경 항목 영역(812)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왼손 입력 모듈(840)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왼손 입력 모듈(840)은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왼손 키 맵 영역(841), 왼손 키 맵 영역(84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변경 항목 영역(842), 왼손 키 맵 영역(841)의 좌측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일정 폭만큼 형성되는 제2 여백 영역(8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803 화면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에서 단말기(100)를 가로 모드로 회전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805 화면에서와 같이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850)이 출력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805 화면 인터페이스는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850)과, 가로 모드 기반의 출력 영역(821) 및 가로 모드 기반의 메뉴 영역(831)이 제공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850)은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851)과 여백 영역(853) 및 가로 모드 기반의 변경 항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851)의 특정 키들을 사용하여 숫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가로 모드 기반의 변경 항목 영역은 가로 모드 기반의 부가 정보 출력 영역(854)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부가 정보 출력 영역(854)은 숫자 입력 시 해당 숫자와 관련된 특정 전화번호를 추천하는 정보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전화번호는 폰 북에 사전 저장된 정보이거나, 통화 이력에 포함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가로 모드 기반의 부가 정보 출력 영역(854)은 적어도 하나의 관련 전화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801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손 키 맵 영역(811)의 특정 키를 선택하여 숫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807 화면에서와 같이 부가 정보 출력 영역(814)을 포함하는 오른손 입력 모듈(810)을 출력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출력 영역(814)에 출력되는 정보는 805 화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폰 북에 저장된 특정 전화번호이거나 통화 이력이 있는 특정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계산기 기능 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계산기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한손 운용 모드 설정에 따라 901 화면에서와 같이 계산기와 관련된 키 맵 영역을 가지는 오른손 입력 모듈(91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901 화면 인터페이스는 계산기 관련 출력 영역(920)과 오른손 입력 모듈(91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른손 입력 모듈(910)은 계산기 관련 키들을 포함하는 오른손 키 맵 영역(911), 오른손 키 맵 영역(911)의 우측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일정 폭으로 형성된 제1 여백 영역(913), 오른손 키 맵 영역(91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변경 항목 영역(9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1 변경 항목 영역(912)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오른손 입력 모듈(910)을 왼손 입력 모듈(930)로서 대체하는 903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왼손 입력 모듈(930)은 표시부(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왼손 키 맵 영역(931), 왼손 키 맵 영역(931)의 좌측 가장 자리 및 하단 가장 자리에서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제2 여백 영역(933), 제2 변경 항목 영역(9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변경 항목 영역(932)이 활성화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901 화면으로 복귀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가 903 화면의 세로 배치 방향에서 가로 모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905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기(100)는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940)과 가로 모드 기반의 출력 영역(921)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입력 모듈(940)은 가로 모드로 배치된 표시부(140) 상태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941)과, 왼손 키 맵 영역(941)의 좌측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서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가로 모드 기반의 여백 영역(943),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941)의 우측에 배치되는 변경 항목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로 모드 기반의 왼손 키 맵 영역(941)을 이용하여 특정 숫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변경 항목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모드 기반의 부가 정보 출력 영역(944)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가로 모드 기반의 부가 정보 출력 영역(944)은 계산기 관련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으로서, 이전 계산된 또는 이전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결과 값이나 입력 값이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903 화면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회전없이 사용자가 왼손 키 맵 영역(931)을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907화면에서와 같이 세로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출력 영역(920)에 입력된 숫자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왼손 입력 모듈(930)은 왼손 키 맵 영역(931) 및 제2 여백 영역(933)을 포함하며, 제2 변경 항목 영역(932)은 부가 정보 출력 영역(934)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 출력 영역(934)은 계산기 기능에 의하여 이전 입력된 입력 값 또는 이전 수행된 계산에 따른 결과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쿼티 키 운용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해당 사용자 기능 수행을 위하여 1001 화면에서와 같이 쿼티 키와 관련된 입력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한손 운용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폴트로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입력 모듈(1010)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1001 화면 인터페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입력 모듈(1010), 메시지 출력 영역(1020), 정보 입력 영역(1040), 기능 항목 영역(1030), 폰 북 호출 영역(10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왼손 입력 모듈(10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왼손 키 맵 영역(1011), 제1 여백 영역(1013), 제1 변경 항목 영역(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왼손 키 맵 영역(1011)은 다수의 키들이 쿼티 키 맵을 구성하되,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영역으로서, 표시부(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기본 형태의 입력 모듈에 비하여 각 키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키들의 배치 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다. 특히 왼손 키 맵 영역(1011)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가 가능한 범위 내에 각 키들이 배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설계자가 실험적으로 정의한 엄지손가락 길이를 기준으로 작성된 범위 내에 왼손 키 맵 영역(1011)을 출력하게 된다. 추가로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새롭게 정의되는 엄지손가락 길이 값을 기준으로 왼손 키 맵 영역(1011)의 범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제1 여백 영역(1013)은 사용자가 왼손 키 맵 영역(1011)에 포함된 쿼티 키 맵을 운용함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의 구부림 등에 의하여 도달하지 못하는 실험적 통계에 의해 획득된 단말기(100)의 가장자리 일정 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여백 영역(1013)은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구부려 터치하기 불가능하거나 터치하기 곤란한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험적 통계에 의하여 일정 폭과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변경 항목 영역(1012)은 선택 시, 오른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한손 운용을 지원하도록 입력 모듈의 배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항목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제1 변경 항목 영역(1012)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왼손 입력 모듈(1010)과 대칭되는 오른손 입력 모듈(1060)을 100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1003 화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001 화면에서 제1 변경 항목 영역(1012)이 선택되거나, 최초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 설정에 의하여 한손 운용 모드를 위해 오른손을 디폴트로 설정된 경우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1003 화면 인터페이스는 1001 화면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화면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왼손 입력 모듈(1010)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른손 입력 모듈(1060)이 출력될 수 있다.
오른손 입력 모듈(1060)은 표시부(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오른손 키 맵 영역(1061), 제2 여백 영역(1063) 및 제2 변경 항목(106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른손 키 맵 영역(1061)은 쿼티 키 맵을 구성하는 키들로 구성되며, 왼손 키 맵 영역(1011)과 동일한 키 배열을 가지되, 배치되는 위치가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오른손 키 맵 영역(1061)의 쿼티 키 맵은 왼손 키 맵 영역(1011)의 쿼티 키 맵과 표시부(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배열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여백 영역(1063)은 오른손 키 맵 영역(1061)의 우측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 일정 폭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변경 항목(1062)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1001 화면으로 복귀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쿼티 키 맵을 포함하는 입력 모듈은 단말기(100)의 회전에 따라 가로 모드로의 변환을 지원하며, 이때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쿼티 키 맵들이 가로 모드 화면 구조에 맞도록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가로 모드에서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쿼티 키 맵 영역들을 가지는 왼손 입력 모듈 및 오른손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출력 영역(1020), 기능 항목 영역(1030), 정보 입력 영역(1040) 및 폰 북 호출 영역(1050)은 도 7에서 설명한 각 영역들과 유사한 영역들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 중 제어키 맵 운용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어키 맵 운용이 요구되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사용자는 방송 수신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방송 수신 기능 활성화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호하여 11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복호에 따른 화면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단말기(100) 지원 여부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방송 신호 화면을 가로 모드를 기준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단말기(100) 회전에 따라 세로 모드 또는 가로 모드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가로 모드를 기준으로 화면을 제공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화면의 우측 일정 영역 상에서 제어 키 맵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즉, "A"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1103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의 우측에 치우쳐 배치되는 오른손 제어키 맵 영역(1110)을 출력할 수 있다. 오른손 제어키 맵 영역(1110)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들이 일정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단말기(100)의 우측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폭만큼 이격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오른손 제어키 맵 영역(1110)은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각 제어키들을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움직여 터치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시킨 영역이 될 수 있다. 한편 오른손 제어키 맵 영역(1110)에서 특정 제어키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특정 채널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복호하고, 복호 신호에 따른 화면을 1105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1101 화면에서, 사용자가 "B"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1107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의 좌측에 치우쳐 배치되는 왼손 제어키 맵 영역(1120)을 출력할 수 있다. 왼손 제어키 맵 영역(1120)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들이 일정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단말기(100)의 좌측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폭만큼 이격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왼손 제어키 맵 영역(1120)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각 제어키들을 왼손 엄지손가락을 움직여 터치할 수 있는 범위의 영역 내에 배치시킨 영역이 될 수 있다. 한편 왼손 제어키 맵 영역(1120)에서 특정 제어키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특정 채널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복호하고 해당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1105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1103 화면 및 1107 화면에서 각각 B 영역 또는 A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1107 화면 또는 1103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파지 손에 따라 제어키 맵이 출력되도록 지원하되, 한 손으로 운용이 가능한 형태의 여백을 포함하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A 영역 및 B 영역은 우측 가장자리 및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사전 정의된 일정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부가 정보 출력 영역이 변경 항목 영역을 대신하여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부가 정보 출력 영역은 입력 모듈 영역 중 특정 영역을 할당받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변경 항목 영역이 리사이징 되고, 부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이 할당되어 부가 정보 출력 영역과 변경 항목 영역이 표시부 상에 동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한 범위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한손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하여 각 사용자별 엄지손가락의 터치 가능 범위를 입력할 수 있는 세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한손 운용 모드 세팅 항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한손 운용 모드 세팅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1201 화면에서와 같이 운용 범위 설정 항목과 운용 기능 설정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 기능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1201 화면에서 운용 범위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1203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한손 파지에 따른 엄지손가락 터치 가능 범위를 정의하기 위한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방향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표시부(140)의 일측을 터치하되 적어도 두 곳의 지점을 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표시부(140)의 최하단 영역(1201)을 터치하고, 또한 표시부(140)의 최상단 영역(1203)을 터치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우측 가장자리에서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대각선 방향의 최대 가능 영역(1205)을 터치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술한 최하단 영역(1201), 최상단 영역(1203), 최대 가능 영역(1205)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가능한 범위를 산출하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터치 가능 범위에 따른 오른손 키 맵 영역의 크기 및 출력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동일한 방식으로 왼손 엄지손가락에 따른 왼손 키 맵 영역의 크기 및 출력 위치를 정의하거나, 오른손 키 맵 영역을 대칭시켜 외손 키 맵 영역의 크기 및 출력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된 엄지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키 맵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각 키 맵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손 운용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방법은 사용자가 한손으로 단말기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한손 운용이 가능한 크기 및 위치를 가지는 키 맵 영역 출력하도록 지원하며, 손 바뀜에 따라 키 맵 영역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각각의 한손 운용을 위한 키 맵 크기 및 위치를 정의하여 다양한 사용자 기능의 운용 및 환경에서도 한 손으로 단말기의 운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별 엄지손가락에 최적화된 키 맵의 크기 및 위치를 가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말기의 한손 운용을 위하여 가상 키 맵의 영역을 오른손 영역 또는 왼손 영역 중 어느 한 곳에 출력하는 구성만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단말기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터치 조작이 가능한 오른손 키 맵 영역과 왼손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터치 조작이 가능한 왼손 키 맵 영역이 표시부 상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오른손 키 맵 영역 및 왼손 키 맵 영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 터치 가능한 범주 내에 모든 키들이 배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의 표시부 화면이 점진적으로 대화면으로 변해가는 추세에서 안정성 등을 이유로 양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해야 경우, 보다 실용적일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대화면을 양손으로 파지한다 하더라도 키 맵이 화면 전체에 걸쳐 출력되거나, 화면의 일부에 출력되더라도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닿지 않는 중앙 부분에까지도 표시되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된 특정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한손으로는 단말기의 측면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으로 단말기의 다른 측면을 걸치도록 파지하여야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파지 상태를 가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키 맵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단말기의 유지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41 : 표시 패널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51 : 입력 지원 프로그램 160 : 제어부

Claims (20)

  1.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에 있어서,
    한손 운용 모드의 키 맵 영역이 표시될 운용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운용 범위에 기반하여, 제1 입력 모듈을 특정 크기로 표시하고, 및 표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운용 범위는 사용자로부터 최상단(top), 최하단(bottom) 및 최대각(diagonal) 입력을 수신하여 설정되고, 및 상기 키 맵 영역은 상기 설정된 운용 범위 내에서 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맵 영역의 키들과 동일한 키 종류를 가지되 상기 특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치우쳐 표시되는 제2 입력 모듈로 전환하기 위한 변경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 항목을 상기 제1 입력 모듈의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듈이 치우친 특정 방향의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폭만큼 이격된 여백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배치 방향이 가로에서 세로로 또는 세로에서 가로로 변경되는 과정;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제1 입력 모듈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맵 영역을 통하여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특정 입력 신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부가 정보 출력 영역에 표시하는 부가 정보 표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특정 입력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특정 입력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 또는 폰 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특정 위치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입력 모듈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타측 위치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제1 입력 모듈을 제거하고, 상기 타측 위치에 치우친 방향으로 제2 입력 모듈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입력 영역 운용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휴대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 맵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한손 운용 모드의 키 맵 영역이 표시될 운용 범위를 설정하고,
    한손 운용 모드 설정을 확인하고; 및
    상기 한손 운용 모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운용 범위에 기반하여, 제1 입력 모듈을 특정 크기로 표시하고, 및 표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운용 범위는 사용자로부터 최상단(top), 최하단(bottom) 및 최대각(diagonal) 입력을 수신하여 설정되고, 및 상기 키 맵 영역은 상기 설정된 운용 범위 내에서 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키 맵 영역의 키들과 동일한 키 종류를 가지되 상기 특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치우쳐 표시되는 제2 입력 모듈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제1 입력 모듈의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변경 항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입력 모듈이 치우친 특정 방향의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폭만큼 이격된 여백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배치 방향이 가로에서 세로로 또는 세로에서 가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제1 입력 모듈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키 맵 영역을 통하여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입력 신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출력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출력 영역은
    상기 특정 입력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
    상기 특정 입력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 또는 폰 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특정 위치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입력 모듈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의 타측 위치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모듈을 제거한 후 상기 타측 위치에 치우친 방향으로 제2 입력 모듈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51323A 2012-05-15 2012-05-15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97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23A KR101979666B1 (ko) 2012-05-15 2012-05-15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CT/KR2013/004187 WO2013172607A1 (en) 2012-05-15 2013-05-10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BR112014028300-1A BR112014028300B1 (pt) 2012-05-15 2013-05-10 Método de operação de uma unidade de exibição e terminal suportando o mesmo
CA2872512A CA2872512C (en) 2012-05-15 2013-05-10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13790327.4A EP2850507B1 (en) 2012-05-15 2013-05-10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3/891,419 US9606726B2 (en) 2012-05-15 2013-05-10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U2013263610A AU2013263610B2 (en) 2012-05-15 2013-05-10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24166549.6A EP4372537A2 (en) 2012-05-15 2013-05-10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19173137.1A EP3557387A1 (en) 2012-05-15 2013-05-10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201380024672.XA CN104380239B (zh) 2012-05-15 2013-05-10 操作显示单元的方法和支持所述方法的终端
CN201710915677.1A CN107704082B (zh) 2012-05-15 2013-05-10 操作显示单元的方法和支持所述方法的终端
RU2014145865A RU2666236C2 (ru) 2012-05-15 2013-05-10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лок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рминал, его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US15/460,540 US10402088B2 (en) 2012-05-15 2017-03-16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6/546,682 US10817174B2 (en) 2012-05-15 2019-08-21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7/067,962 US11461004B2 (en) 2012-05-15 2020-10-12 User interfa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23A KR101979666B1 (ko) 2012-05-15 2012-05-15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649A KR20130127649A (ko) 2013-11-25
KR101979666B1 true KR101979666B1 (ko) 2019-05-17

Family

ID=4958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323A KR101979666B1 (ko) 2012-05-15 2012-05-15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9606726B2 (ko)
EP (3) EP4372537A2 (ko)
KR (1) KR101979666B1 (ko)
CN (2) CN104380239B (ko)
AU (1) AU2013263610B2 (ko)
BR (1) BR112014028300B1 (ko)
CA (1) CA2872512C (ko)
RU (1) RU2666236C2 (ko)
WO (1) WO2013172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6109B2 (ja) * 2009-04-23 2013-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KR101340703B1 (ko) 2011-11-25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KR101979666B1 (ko) 2012-05-15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117450B1 (ko) * 2013-03-26 202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211720A (ja) * 2013-04-17 2014-11-13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691291B2 (en) * 2013-05-24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JP6155869B2 (ja) 2013-06-11 2017-07-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41944B2 (en) * 2013-10-28 2017-12-12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5102943A (ja) * 2013-11-22 2015-06-0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装置、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面表示方法
CN103761086A (zh) * 2014-01-02 2014-04-3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的方法和终端
US20150212610A1 (en) * 2014-01-30 2015-07-3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in-touch display apparatus
KR20150099297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CN105518605B (zh) * 2014-05-26 2019-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的触摸操作方法及装置
US20220171530A1 (en) * 2014-06-11 2022-06-02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a user input modality
CN105630272A (zh) * 2014-10-30 2016-06-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用户界面位置变动系统及方法
US10503392B2 (en) * 2015-06-25 2019-12-10 Oath Inc. User interface adjustment methods and systems
KR20170002051A (ko) * 2015-06-29 2017-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한 손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5117056B (zh) * 2015-08-17 2019-02-0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操作触摸屏的方法和设备
CN105245720A (zh) * 2015-10-28 2016-01-13 宁波萨瑞通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拨号方法及装置
CN105468946A (zh) * 2015-11-20 2016-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方法及解锁装置
WO2017113379A1 (zh) * 2015-12-31 2017-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菜单显示方法及手持终端
US10628036B2 (en) * 2016-01-18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eyboard customization
US20190026120A1 (en) * 2017-07-21 2019-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stomizing mobile device operation based on touch points
JP6901347B2 (ja) * 2017-08-10 2021-07-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81986A (zh) * 2017-11-28 2018-06-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487425B2 (en) * 2019-01-17 2022-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hand wide-screen smart device management
WO2021187630A1 (ko) 2020-03-17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20220334578A1 (en) * 2021-04-14 2022-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nd Trai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6460A1 (en) * 2006-04-06 2007-10-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adaptation111
US20120075194A1 (en) * 2009-06-16 2012-03-29 Bran Ferre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216B2 (ja) * 1992-02-07 1995-09-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メニュー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3235480B2 (ja) 1996-08-01 2001-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7844914B2 (en) * 2004-07-30 2010-11-30 Apple Inc. Activating virtual keys of a touch-screen virtual keyboard
US6011542A (en) * 1998-02-13 2000-01-04 Sony Corporation Graphical text entry wheel
JP2002354085A (ja) 2001-05-25 2002-12-06 Nec Corp 携帯電話機
GB0201074D0 (en) * 2002-01-18 2002-03-06 3G Lab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data processing device
US7895536B2 (en) * 2003-01-08 2011-02-22 Autodesk, Inc. Layer editor system for a pen-based computer
US20040183834A1 (en) * 2003-03-20 2004-09-23 Chermesino John C. User-configurable soft input applications
US20070009303A1 (en) 2003-03-31 2007-01-11 Kurriss Francis N Keyboard configuration system
US6830396B2 (en) 2003-03-31 2004-12-14 Francis N. Kurriss Keyboard configuration system
US8984440B2 (en) 2010-10-01 2015-03-17 Z124 Managing expose views in du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JP2005100084A (ja) * 2003-09-25 2005-04-14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WO2005076477A1 (en) * 2004-01-31 2005-08-18 Frogpad Kazien,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keyboard
US20060007178A1 (en) * 2004-07-07 2006-01-12 Scott Davis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oroved user interface
US7561145B2 (en) * 2005-03-18 2009-07-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invoking an electronic ink or handwriting interface
US20070073808A1 (en) * 2005-09-23 2007-03-29 Alan Berrey Mobile messaging system
KR20110127248A (ko) * 2006-09-28 2011-11-24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부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AU2007237243B2 (en) * 2006-12-06 2012-08-16 Vertical Business Solutions Pty Ltd Communications system
US8074172B2 (en) * 2007-01-05 2011-12-06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US20090198132A1 (en) * 2007-08-10 2009-08-06 Laurent Pelissier Hand-held ultrasound imaging device having reconfigurable user interface
KR101515064B1 (ko) 2007-09-04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터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0837283B1 (ko) * 2007-09-10 2008-06-11 (주)익스트라스탠다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9110286A (ja) * 2007-10-30 2009-05-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ランチャー起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ランチャー起動制御方法
US8525792B1 (en) * 2007-11-06 2013-09-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justable keyboard or touch screen in a handheld device
CN101159947A (zh) * 2007-11-21 2008-04-09 陈拙夫 一种具有虚屏显示功能的手机、其显示及操作方法
EP2420913B1 (en) 2007-12-03 2017-09-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obile phone
KR101480451B1 (ko) 2007-12-1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키보드 변환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변환방법
JP2009163278A (ja) * 2007-12-21 2009-07-23 Toshiba Corp 携帯型機器
CN101470539B (zh) * 2007-12-27 2011-03-1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应用于按键功能切换的触控方法及应用其电子装置
TWI416399B (zh) * 2007-12-28 2013-11-2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KR101461954B1 (ko) 2008-05-08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11566B1 (ko) 2008-05-23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JP5045559B2 (ja) * 2008-06-02 2012-10-1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GB2462579A (en) 2008-06-10 2010-02-17 Sony Service Ct Touch screen display including proximity sensor
KR101545569B1 (ko) 2008-07-01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101020029B1 (ko) 2008-07-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KR101504201B1 (ko) * 2008-07-02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JP4632102B2 (ja) * 2008-07-1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A2733645A1 (en) 2008-08-12 2010-02-18 Keyless Systems Ltd. Data entry system
US8402391B1 (en) * 2008-09-25 2013-03-19 Apple, Inc. Collaboration system
EP2175344B1 (en) 2008-10-06 2020-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KR20100039194A (ko)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접촉 패턴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KR20100042976A (ko) 2008-10-17 201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368658B2 (en) * 2008-12-02 2013-02-05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soft key adaptation with left-right hand edge sensing
US9013397B2 (en) * 2008-12-16 2015-04-21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key arrangement control method
WO2010110550A1 (en) * 2009-03-23 2010-09-30 Core Log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keyboard
KR101078380B1 (ko) 2009-03-23 2011-10-31 주식회사 코아로직 가상 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00277414A1 (en) * 2009-04-30 2010-11-04 Qualcomm Incorporated Keyboar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8254957B2 (en) 2009-06-16 2012-08-28 Intel Corporation Context-based limitation of mobile device operation
BRPI0924541A2 (pt) * 2009-06-16 2014-02-04 Intel Corp Aplicações de câmera em um dispositivo portátil
JP4823342B2 (ja) * 2009-08-06 2011-11-2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コンピュータ
EP2498172A4 (en) * 2009-11-04 2015-01-28 Nec Corp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KR20110051645A (ko) 2009-11-10 2011-05-18 강대현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CN102073434A (zh) * 2009-11-19 2011-05-25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与触碰面板的显示方法
JP5448073B2 (ja) * 2010-01-12 2014-03-19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選択対象の選択方法
US20110187647A1 (en) * 2010-02-04 2011-08-04 Charles Howard Woloszynski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keyboard interactions from secondary surfaces
TWI401591B (zh) * 2010-02-11 2013-07-11 Asustek Comp Inc 可攜式電子裝置
US9170709B2 (en) * 2010-02-17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1123204B1 (ko) 2010-02-25 2012-03-20 김준영 사용자 설정 가능한 키 입력방법
US20110242138A1 (en) 2010-03-31 2011-10-06 Tribble Guy L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oncurrent Virtual Keyboards
KR101175348B1 (ko) 2010-04-29 2012-08-2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키보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35610B1 (ko) * 2010-05-06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8384566B2 (en) * 2010-05-19 2013-02-26 Mckesson Financial Holdings Pressure-sensitive keyboard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JP2011248411A (ja) 2010-05-21 2011-12-0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仮想キーボードの表示方法
JP2012003705A (ja) 2010-06-21 2012-01-05 Yoshitoshi Cho 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CN101853136A (zh) * 2010-06-22 2010-10-06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虚拟键盘及其动态调整方法、电子设备
US20110316888A1 (en) * 2010-06-28 2011-12-29 Invensense,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ombining input from motion sensors and other controls
KR101051068B1 (ko) 2010-08-20 2011-07-21 (주)케이넷피 스마트폰에서 게임 화면의 가상키 조절방법
TWI441072B (zh) * 2010-09-21 2014-06-11 Altek Corp 觸控螢幕解鎖方法及其具有攝像功能之電子裝置
US9141285B2 (en) * 2010-11-05 2015-09-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20120127069A1 (en) 2010-11-24 2012-05-24 Soma Sundaram Santhiveeran Input Panel on a Display Device
KR20120067445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162078A1 (en) * 2010-12-28 2012-06-28 Bran Ferre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CN102043474B (zh) * 2011-01-18 2013-07-31 李建平 一种单手输入键盘
US9116616B2 (en) 2011-02-10 2015-08-25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NZ615266A (en) 2011-02-11 2015-06-26 Ideatron Pty Ltd Keypad
US20120274585A1 (en) * 2011-03-16 2012-11-01 Xmg Studio, Inc. Systems and methods of multi-touch interaction with virtual objects
US8719719B2 (en) * 2011-06-17 2014-05-06 Google Inc. Graphical icon presentation
KR101802760B1 (ko) * 2011-06-27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02565A1 (en) 2011-06-28 2013-01-03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portable device orientation and user posture via touch sensors
KR20110088486A (ko) 2011-07-16 2011-08-03 최용신 스마트폰 터치패드 등 개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식
US20130057475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Split keyboard for thumb typing
US8850310B2 (en) * 2011-10-11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Data entry suggestion lists for designated document data entry areas based on data from other document data entry areas
US8730174B2 (en) 2011-10-13 2014-05-20 Blackberry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input
US9658767B2 (en) 2011-10-17 2017-05-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2375691A (zh) * 2011-10-25 2012-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键盘布局方法及键盘
JP2013152395A (ja) * 2012-01-26 2013-08-08 Yamaha Corp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US9035883B2 (en) * 2012-03-07 2015-05-1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US8928593B2 (en) * 2012-03-11 2015-01-06 Beijing Hefengxin Keji Co. Ltd. Selecting and updating location of virtual keyboard in a GUI layout in response to orientation change of a portable device
US20130263039A1 (en) * 2012-03-30 2013-10-03 Nokia Corporation Character string shortcut key
JP2013218428A (ja) * 2012-04-05 2013-10-24 Sharp Corp 携帯型電子機器
CN102681670A (zh) * 2012-04-09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虚拟键盘的设置方法
US8954877B2 (en) * 2012-04-27 2015-02-10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virtual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30300672A1 (en) * 2012-05-11 2013-11-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 screen palm input rejection
KR101979666B1 (ko) 2012-05-15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0338705B2 (en) * 2012-05-21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US9058103B2 (en) * 2012-07-25 2015-06-16 Facebook, Inc. Gestures for keyboard switch
CN104601767A (zh) * 2013-10-31 2015-05-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拨号键盘管理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6460A1 (en) * 2006-04-06 2007-10-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adaptation111
US20120075194A1 (en) * 2009-06-16 2012-03-29 Bran Ferre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0507A1 (en) 2015-03-25
US20200012424A1 (en) 2020-01-09
AU2013263610B2 (en) 2018-03-15
EP4372537A2 (en) 2024-05-22
US20170185291A1 (en) 2017-06-29
CA2872512C (en) 2021-11-02
AU2013263610A1 (en) 2014-10-16
US20130307783A1 (en) 2013-11-21
CN107704082B (zh) 2021-11-30
US10402088B2 (en) 2019-09-03
EP2850507A4 (en) 2015-11-25
US10817174B2 (en) 2020-10-27
WO2013172607A1 (en) 2013-11-21
CA2872512A1 (en) 2013-11-21
RU2666236C2 (ru) 2018-09-06
EP3557387A1 (en) 2019-10-23
BR112014028300A2 (pt) 2017-06-27
EP2850507B1 (en) 2019-05-08
RU2014145865A (ru) 2016-06-10
BR112014028300B1 (pt) 2022-01-11
US11461004B2 (en) 2022-10-04
US20210026532A1 (en) 2021-01-28
CN104380239B (zh) 2017-10-31
CN107704082A (zh) 2018-02-16
US9606726B2 (en) 2017-03-28
CN104380239A (zh) 2015-02-25
KR20130127649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66B1 (ko)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0795574B2 (en) Input method, input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8493338B2 (en) Mobile terminal
CN101241413B (zh) 终端和菜单显示方法
US840568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caling data up/down on touch screen
CN104932809B (zh) 用于控制显示面板的装置和方法
US10705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keypad in a portable terminal
US20100265269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JP6068797B2 (ja) 携帯用端末機の出力画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EP2075681A2 (en) Method of displaying menu items and related touch screen device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20120137258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screen control program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3008420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CN103309593B (zh) 输入法界面显示系统及方法
CN106802754B (zh) 电子设备图标显示方法及装置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JP2017194776A (ja) 携帯端末装置
KR20080078336A (ko) 필기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30081550A (ko) 페이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4875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JP2013125471A (ja) 情報入出力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140024762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60112337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