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645A -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645A
KR20110051645A KR1020090108331A KR20090108331A KR20110051645A KR 20110051645 A KR20110051645 A KR 20110051645A KR 1020090108331 A KR1020090108331 A KR 1020090108331A KR 20090108331 A KR20090108331 A KR 20090108331A KR 20110051645 A KR20110051645 A KR 20110051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creen
input keys
screen de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현
Original Assignee
강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현 filed Critical 강대현
Priority to KR102009010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1645A/ko
Publication of KR2011005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 다수의 입력키를 가지는 휴대 전화 및 컴퓨터 등 정보 통신기기에 있어서 입력키들의 모임인 키패드를 화면의 왼쪽과 오른쪽에 분리하여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으로 번갈아 입력하기 편리한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화면 왼쪽에 배치된 왼쪽키패드; 및 화면 오른쪽에 배치된 오른쪽키패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해당 문자 정보를 상기 정보통신기기의 제어부에 전달한다.
컴퓨터, 입력장치, 터치 센서, 휴대폰, 입력키, 인터페이스, 모발,

Description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 Key Pad Apparatus Located on Two-Facing Sides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rranging Input Keys }
본 발명은 다수의 입력키를 가지는 키패드를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주보는 양측 측면에 일렬로 배치된 키패드로 구성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등 휴대용 전자 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는 화면 영역의 일부 또는 화면 영역과 별도의 영역에 입력키를 배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영역은 본래 좁은 영역에 입력키를 배치할 수 밖에 없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입력할 때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결할 수 있도록 휴대용 장치의 화면 영역의 마주보는 양쪽 측면에 입력키를 따로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력하도록 한다.
휴대용 기기의 사용자는 보통 양손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제한된 영역에 한꺼번에 모아서 배치된 입력키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입력하는데 불편함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입력키; 입력키가 일렬로 화면장치의 왼쪽에 배치된 왼쪽키패드; 및 입력키가 일렬로 화면장치의 오른쪽에 배치된 오른쪽키패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양손 입력에 대한 키입력을 받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자음을 주로 왼쪽키패드에 배열하고 모음을 주로 오른쪽키패드에 배열하여 양손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는 키배열을 선택한다. 또한 숫자의 경우에도 양쪽 키패드에 숫자를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양손을 번갈아 수행할 가능성을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양손으로 쥐고 사용하면서 각각 왼쪽키패드와 오른쪽키패드를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자음과 모음 등 번갈아 나오기 쉬운 자소를 각각 서로 다른쪽 키패드에 배치함으로써 양손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자 입력장치의 화면의 왼쪽 측면 영역과 오른쪽 측면 영역에 각각 키패드를 균등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번갈아 사용하여 입력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숫자, 영어 입력키들을 화면장치의 양측면에 배치한 모습을 도시한 예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의 화면장치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입력키(130), 왼쪽키패드(110), 오른쪽키패드(120), 화면장치1(210) 또는 화면장치2(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하나 이상 복수의 입력키(13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키들중 일부를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화면장치1(210)상의 왼쪽 측면 영역에 표시된 왼쪽키패드(110), 상기 입력키들중 또 다른 일부를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화면장치1(210)상의 오른쪽 측면 영역에 표시된 오른쪽키패드(120)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장치1(210)은 화면장치상에 화면영역에 상기 왼쪽키패드(110), 상기 오른쪽키패드(120)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화면에 입력키(130)들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를 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화면장치1(210)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화면에 입력키(130)들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를 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화면장치1(210)로서 포함하고 있는 휴대기기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하나 이상 복수의 입력키(13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키들 중 일부를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화면장치2(220)의 왼쪽 측면에 장착한 왼쪽키패드(110), 상기 입력키들 중 또 다른 일 부를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화면장치2(220)의 오른쪽 측면에 장착한 오른쪽키패드(120)를 포함한다.
상기 왼쪽키패드(110)와 상기 오른쪽키패드(120)는 화면장치2(220)의 양쪽 측면에 별도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는 화면의 양쪽에 입력키(130)들이 장착되어 사용자 입력를 받을 수 있는 휴대기기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왼쪽키패드(110)과 오른쪽키패드(120)은 하나 이상의 입력키 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한쌍의 키패드는 상기 화면장치1(210) 또는 화면장치2(220)의 대응하는 양 측면에 위치하여 화면 중심선(310)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 서로 인접하여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의 특정 언어에 대한 자소 배치 방법에 있어서, 왼쪽키패드(110)와 오른쪽키패드(120) 중 한쪽 키패드가 자음만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 키패드는 모든 모음을 포함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왼쪽키패드(110)은 한글의 자음만을 포함하고 오른쪽키패드(120)은 한글의 모음을 모두 포함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오른쪽키패드(110)은 한글의 자음만을 포함하고 왼쪽키패드(120)은 한글의 모음을 모두 포함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왼쪽키패드(110)은 영어의 자음만을 포함하고 오른쪽키패드(120)은 영어의 모음을 모두 포함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른쪽키패드(110)은 영어의 자음만을 포함하고 왼쪽키패드(120)은 영어의 모음을 모두 포함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숫자 배치 방법에 있어서 왼쪽키패드(110)와 오른쪽키패드(120)가 번갈아 가면서 증가하는 형태로 숫자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화면장치의 양측면에 입력키를 배치한 실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배치 영역 및 화면장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왼쪽키패드
120: 오른쪽키패드
130: 개별입력키
210: 화면장치1 (키패드가 화면장치상에 표시된 경우)
220: 화면장치2 (키패드와 화면장치가 분리된 경우)
310: 화면 중심선

Claims (6)

  1. 화면 장치;
    하나 이상 복수의 입력키;
    상기 복수의 입력키중 일부를 인접하여 배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화면장치 상의 왼쪽 측면에 표시된 왼쪽키패드; 및
    상기 복수의 입력키중 또다른 일부를 인접하여 배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화면장치 상의 오른쪽 측면에 표시된 오른쪽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키패드가 상기 화면 장치의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서로 분리되어 화면상에 표시된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2. 화면 장치;
    하나 이상 복수의 입력키;
    상기 복수의 입력키중 일부를 인접하여 배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화면장치의 왼쪽 측면에 장착된 왼쪽키패드; 및
    상기 복수의 입력키중 또 다른 일부를 인접하여 배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화면장치의 오른쪽 측면에 장착된 오른쪽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키패드가 상기 화면 장치의 폭만큼 서로 분리되어 화면장치 양쪽에 장착된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특정 언어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왼쪽키패드와 오른쪽키패드 중 한쪽 키패드가 자음만을 입력받고 다른 한쪽 키패드는 모든 모음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키패드와 오른쪽키패드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차례로 입력할 경우 왼쪽키패드와 오른쪽키패드로부터 번갈아 숫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키패드와 오른쪽키패드 중 한쪽 키패드가 모두 한글의 자음을 입력 받도록 구성하고 다른 한쪽 키패드는 한글의 모든 모음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키패드와 오른쪽키패드 중 한쪽 키패드가 모두 영어의 자음을 입력 받도록 구성하고 다른 한쪽 키패드는 영어의 모든 모음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KR1020090108331A 2009-11-10 2009-11-10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KR20110051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331A KR20110051645A (ko) 2009-11-10 2009-11-10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331A KR20110051645A (ko) 2009-11-10 2009-11-10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645A true KR20110051645A (ko) 2011-05-18

Family

ID=4436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331A KR20110051645A (ko) 2009-11-10 2009-11-10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16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703B1 (ko) * 2011-11-25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WO2015002420A1 (ko) * 2013-07-02 2015-01-08 (주) 리얼밸류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US10402088B2 (en) 2012-05-15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703B1 (ko) * 2011-11-25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US10146325B2 (en) 2011-11-25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0379624B2 (en) 2011-11-25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0649543B2 (en) 2011-11-25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1204652B2 (en) 2011-11-25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0402088B2 (en) 2012-05-15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0817174B2 (en) 2012-05-15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461004B2 (en) 2012-05-15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WO2015002420A1 (ko) * 2013-07-02 2015-01-08 (주) 리얼밸류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253B2 (en) Keyboard having keys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alphabetical order of the english language
KR20110051645A (ko) 화면 양측 배치형 키패드 장치 및 입력키 배치 방법
US10025391B2 (en) Ergonomic keyboard
KR20110083293A (ko) 문자 키패드
CN103235648A (zh) 用于触屏电子设备的中文输入方法
WO2023075565A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US20120154284A1 (en) Keyboard input device
KR20110105227A (ko) 한글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1368718B1 (ko) 터치스크린용 한글 입력패드
KR100404752B1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KR20130012590A (ko) 스마트폰에서 한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80131509A (ko)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에서 빠른 속도로 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방법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KR20180075029A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방식
KR20140083206A (ko) 한글 문자 입력 자판 배열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KR100562332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101400073B1 (ko) 후보 단어 또는 후보 한자가 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101139955B1 (ko) 한글 자음 배열 및 입력 방법
KR10090171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KR20110112007A (ko) 터치 방식의 핸드폰 및 모바일 기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US20190155500A1 (en) English input keyboard and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WO2009072852A2 (en) Keypa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