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979A -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979A
KR20130025979A KR20100128991A KR20100128991A KR20130025979A KR 20130025979 A KR20130025979 A KR 20130025979A KR 20100128991 A KR20100128991 A KR 20100128991A KR 20100128991 A KR20100128991 A KR 20100128991A KR 20130025979 A KR20130025979 A KR 2013002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housing
portable terminal
touch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550B1 (ko
Inventor
윤치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550B1/ko
Priority to US13/279,872 priority patent/US9134768B2/en
Publication of KR2013002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하우징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터치 스크린을 배치하고 배면에는 광학식 터치 패드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물리적인 키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동일한 크기의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장할 수 있게 하거나,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가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단말기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고, 검지 또는 다른 손가락으로 하우징 배면의 터치 패드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PORTABLE TERMINAL WITH OPTICAL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학식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광학식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각종 정보의 저장, 게임,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는 전자 수첩,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휴대용 게임기, 동영상/음악파일 재생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노트북 PC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셀룰러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자 수첩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 음성 통화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소액 결재와 같은 금융 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 음성 통화나 단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집적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금융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기능, 게임/동영상 등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이나 메일의 송수신을 포함하는 간단한 사무처리 기능 등이 탑재되고 있는 것이다.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 입력을 위한 키들과, 통화/종료 키, 메뉴 호출 및 이동 키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만으로도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작성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었으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장할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확장됨에 따라, 소형, 경량화의 문제가 대두하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입력 장치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키패드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지 않기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는 대체로 바형 단말기의 형태이며, 주로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입력이나 메뉴 탐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라 하더라도, 물리적인 키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배치하여, 주메뉴로 이동하거나,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 가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키가 배치되며, 제품에 따라서는 이러한 키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에 인터넷 검색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활성화하는 핫 키들을 추가로 배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물리적인 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장애가 된다. 즉, 터치 스크린이나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의 물리적인 키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키는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돔 스위치 등을 활용한 물리적인 키는 단순히 주메뉴로 이동하거나,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 가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키를 광학식 터치 패드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그러나 광학식 터치 패드의 기능은 대체로 터치 스크린의 기능과 중복되고, 터치 스크린과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특히,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를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서 입력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다양화할 수 있는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구비된 광학식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된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터치 패드의 광학 센서의 감지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 부재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이며,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 패드는,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의 일부분으로서 배치되는 전면부 케이스;
상기 전면부 케이스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후면부 케이스; 및
상기 후면부 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전면부 케이스의 내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광학 센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후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센서의 감지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 부재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이며,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후면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드가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 돌기가 상기 스위치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배면에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가 조작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모드가 대기 모드 일 때,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배경화면 변경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화상통화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볼륨 또는 밝기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인터넷 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특정 모드일 때, 데이터 스크롤 기능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은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 및 단일 터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배경화면은 아이콘과 별도 분리된 레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기능은 홈 (home)키 기능 또는 백(Back)키 기능 및 엔터(enter)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와 상관없이 상기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하우징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터치 스크린을 배치하고 배면에는 광학식 터치 패드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물리적인 키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동일한 크기의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장할 수 있게 하거나,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가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단말기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고, 검지 또는 다른 손가락으로 하우징 배면의 터치 패드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나아가서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입력 장치를 다양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광학식 터치 패드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일정 정도 직선 왕복운동 가능한 상태로 광학식 터치 패드를 설치한다면, 별도의 스위치 부재를 부가함으로써 물리적인 키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광학식 터치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학식 터치 패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학식 터치 패드의 후면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광학식 터치 패드가 단말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광학식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에 도시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바형 단말기로서, 하우징(101)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101a)에는 입력 장치로서 광학식 터치 패드(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 패드(103)가 종래의 물리적인 키를 대체함으로써, 물리적인 키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2)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 전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01) 측면이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는 전원 키, 볼륨 조절 키, 메모리 슬롯, 충전이나 외부 기기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 등이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터치 패드(103)는 상기 하우징(101)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드(103)는 물리적인 키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터치 패드(103)는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101a)에만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단면과 하단면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들 중 하나와 상기 배면(101a)에 걸쳐서 설치된 구성이 예시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01)을 쥐고 사용하는 때, 상기 터치 패드(103)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대체로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101a)에서 상단측에 위치될 것이므로, 상기 터치 패드(103)는 상기 배면(101a)과 상단면(101b)에 걸쳐서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 패드(103)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터치 패드(103)는 전면부 케이스(133), 센서 모듈(131) 및 후면부 케이스(135)를 구비한다.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는 그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101)의 외측면의 일부분으로서 배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101)에는 그 배면(101a)과 상단면(101b)에 걸쳐 개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가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하우징(101)의 외측면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센서 모듈(131)은 몸체부(131a)의 외측면에 광학 센서(131b)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 모듈(131)을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몸체부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광학 센서(131b)에 전원과 신호를 전달할 전송 선로를 상기 광학 센서(131b)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131a)에 상기 광학 센서(131b)를 배치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로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c)이 이용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c)은 상기 광학 센서(131b)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31a)를 관통하여 배선된다.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는 상기 센서 모듈(131),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학 센서(131b)를 수용하여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에는 상기 센서 모듈(13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35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35a)에는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의 외측으로 관통하는 슬릿(13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 모듈(131)이 상기 수용홈(135a)에 수용되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c)은 상기 슬릿(135b)을 통해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의 외측으로 배선된다.
상기 센서 모듈(131)을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를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에 결합하면, 상기 터치 패드(103)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완성된다. 이때, 상기 광학 센서(131b)는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의 내주면과 대면하게 위치된다. 상기 터치 패드(103)를 상기 하우징(101)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131b)는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101a)에 대하여 경사지게,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면(101a)과 상단면(101b) 사이의 모서리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광학 센서(131b)의 감지 방향은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101a)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광학 센서(131b)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드(103),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를 조작하는 것을 더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패드(103),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가 상기 하우징(101)의 외측면의 일부로서 배치되며,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에 수용된 센서 모듈(131)과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메인 보드(117)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보드(117)에는 상기 광학 센서(131b),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c)을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17)은 적절한 위치에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커넥터(118)에 접속된다.
이로써, 상기 터치 패드(103)는 상기 하우징(101)에 설치되며, 화면 스크롤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는 상기 터치 패드(103)를 이용하여 음량을 조절하거나 화면 밝기 등을 조절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1) 상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를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면, 물리적인 키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패드(103)를 물리적인 키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작동 돌기(135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1) 내에는 스위치 부재(1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부재(119)로는 상기 메인 모드(117) 상에 고정된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돌기(135c)가 상기 스위치 부재(119)에 대면하게 위치된다.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01) 상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는 상기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드(103)가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 돌기(135c)가 상기 스위치 부재(119)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키를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119)로서 반드시 택트 스위치가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드(103),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부 케이스(133)를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에만 설치하고,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와 상기 메인 보드(117) 사이에 스위치 부재로서 돔 스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보드(117), 돔 스위치 및 상기 터치 패드(103)가 적층된 구성을 이루게 될 것이며, 상기 터치 패드(103)를 상기 하우징(101)의 두께 방향(도 6에서 본다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도, 상기 후면부 케이스(135)와 메인 보드(117)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 사이에 돔 스위치를 배치하여 물리적인 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RF부(223)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광학식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에서 표시 또는 수행되고 있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대기 모드 일 때,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배경화면 변경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때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은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배경화면과 아이콘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경화면 레이어와 상기 아이콘의 레이어가 별도로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배경화면을 다른 배경화면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화상통화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볼륨 또는 밝기조절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은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인터넷 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이때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은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특정 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스크롤 기능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스크롤을 위한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은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은 단일 터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능은 홈 (home)키 기능 또는 백(Back)키 기능 및 엔터(enter)키 기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즉, 가로 모드 및 세 모드와 상관없이, 상기 터치 패드(130)의 조작에 따라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식 터치 패드(103)는 본 발명의 실 시 예에 따라 도 2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 하우징의 배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드(103)는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 및 단일 터치로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에서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250)는 상기 카메라부(2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터치스크린(2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 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250)는 상기 카메라부(2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2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2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2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260)은 표시부 및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로 동작할 때 상기 영상처리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2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로 동작할 때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2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현재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을 통해 제어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광학식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 8과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광학식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에 도시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 시 예를 도 7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가 대기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210)는 8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을 판단한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 발생 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8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스크린(260)에 표시 중인 배경화면을 다른 배경화면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8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될 때마다,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영상들을 순서대로 배경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9a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될 때마다, 상기 터치스크린(260)의 배경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배경화면과 아이콘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경화면 레이어와 상기 아이콘의 레이어가 별도로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에 따라 배경화면을 다른 배경화면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현재 모드가 화상통화모드이면, 상기 제어부(210)는 8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을 판단한다. 상기 화상통화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8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볼륨 조절 또는 화면의 밝기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8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설정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되면 볼륨 업 또는 다운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패드(103)에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되면 화면의 밝기조절을 설정된 값에 따라 밝게 또는 어둡게 표시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10)는 설정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되면 상기 볼륨 업 또는 다운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되면 상기 화면의 밝기조절을 설정된 값에 따라 밝게 또는 어둡게 표시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상기 화상통화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될 때마다, 볼륨의 업 /다운이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c는 상기 화상통화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될 때마다, 화면의 밝기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는 상기 현재 모드가 인터넷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210)는 8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을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8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마우스기능을 수행하는 8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 터치 이동을 통해, 활성화된 배너의 기능을 이동하거나 또는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해당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현재 모드가 특정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210)는 8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패드(103)의 조작을 판단한다. 상기 특정 모드가 데이터를 표시고 있을 때,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이 발생 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8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이동된 해당방향으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812단계를 진행한다.
도 9d는 특정 모드에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터치 패드(103)에 상하좌우 4방향 중 상측방향과 하측방향 터치이동이 발생 될 때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영상데이터가 스크롤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는 상기 특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단일 터치가 발생 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8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특정 기능은 홈 (home)키 기능 또는 백(Back)키 기능 및 엔터(enter)키 기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특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103)에 단일 터치가 발생 될 때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특정 모드는 상기 대기 모드, 화상통화모드 및 인터넷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은 동작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즉, 가로 모드 및 세 모드와 상관없이, 상기 터치 패드(130)의 조작에 따라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01: 하우징
102: 디스플레이 장치 103: 광학식 터치 패드
119: 스위치 부재 135c: 작동 돌기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된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터치 패드의 광학 센서의 감지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이며,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의 일부분으로서 배치되는 전면부 케이스;
    상기 전면부 케이스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후면부 케이스; 및
    상기 후면부 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전면부 케이스의 내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광학 센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후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의 감지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이며,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후면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드가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 돌기가 상기 스위치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하우징의 배면에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가 조작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모드가 대기 모드 일 때,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배경화면 변경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화상통화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볼륨 또는 밝기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인터넷 모드일 때,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라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특정 모드일 때, 데이터 스크롤 기능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은 상하좌우 4방향 중 해당방향으로의 터치이동 및 단일 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배경화면은 아이콘과 별도 분리된 레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홈 (home)키 기능 또는 백(Back)키 기능 및 엔터(enter)키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와 상관없이 상기 현재 모드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20100128991A 2010-12-16 2010-12-16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172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91A KR101725550B1 (ko) 2010-12-16 2010-12-16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US13/279,872 US9134768B2 (en) 2010-12-16 2011-10-24 Portable terminal with optical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91A KR101725550B1 (ko) 2010-12-16 2010-12-16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979A true KR20130025979A (ko) 2013-03-13
KR101725550B1 KR101725550B1 (ko) 2017-04-10

Family

ID=4623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991A KR101725550B1 (ko) 2010-12-16 2010-12-16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4768B2 (ko)
KR (1) KR101725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8924B2 (en) 2016-03-0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thereof
US10659886B2 (en) 2016-03-25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1200S1 (en) * 2016-07-25 2017-10-31 Tile, Inc. Tracking device
USD804971S1 (en) * 2016-07-29 2017-12-12 Haltian Products Oy Locating and tracking tool
USD790996S1 (en) * 2016-09-07 2017-07-04 Tile, Inc. Tracking device
USD837671S1 (en) * 2017-08-03 2019-01-08 Tile, Inc. Tracking device
USD837073S1 (en) * 2017-08-03 2019-01-01 Tile, Inc. Tracking device
CN107506121A (zh) * 2017-08-17 2017-12-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控制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08234738B (zh) * 2017-08-18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量调节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D866371S1 (en) 2018-07-11 2019-11-12 Tile, Inc. Tracking device
USD866370S1 (en) * 2018-07-11 2019-11-12 Tile, Inc. Tracking device
USD918072S1 (en) * 2019-05-30 2021-05-04 Tile, Inc. Tracking device
USD923496S1 (en) 2019-06-18 2021-06-29 Tile, Inc. Track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8838A1 (en) * 2001-04-30 2002-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dge touchpad input device
KR20060051265A (ko) * 2004-09-13 2006-05-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플릭 제스쳐
KR20060081405A (ko) * 2003-08-18 2006-07-12 애플 컴퓨터,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구비한 연산 시스템
JP2007527045A (ja) * 2003-07-08 2007-09-20 ボルクヴァルト、グレン ロルス 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のための入力装置、および多機能マウスを有する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
US20080024441A1 (en) * 2006-07-25 2008-01-31 Jonah Harley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359A (en) * 1980-12-05 1983-04-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instrument panel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US5818956A (en) * 1995-10-23 1998-10-06 Tuli; Raja Singh Extended fingerprint reading apparatus
US5729219A (en) * 1996-08-02 1998-03-17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adio with contraposed touchpad
CN1217130C (zh) * 1997-06-30 2005-08-31 株式会社丰臣 操作机器用面板
US6043809A (en) * 1997-09-23 2000-03-2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mputer keyboard scroll bar control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7227526B2 (en) * 2000-07-24 2007-06-05 Gesturetek, Inc. Video-based image control system
US20020086711A1 (en) * 2000-12-29 2002-07-04 Gateway, Inc. Portable phone with auxiliary display
US6724366B2 (en) * 2001-04-03 2004-04-20 Peter James Crawford Thumb actuated x-y input device
US6690365B2 (en) * 2001-08-29 2004-02-10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scrolling
US20030063071A1 (en) * 2001-09-28 2003-04-03 Wyatt David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er initiated hot-key switch control
US9213443B2 (en) * 2009-02-15 2015-12-15 Neonode Inc.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reflected light
JP2003296022A (ja) * 2002-04-01 2003-10-17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EP2254025A3 (en) * 2002-05-16 2016-03-30 Sony Corporation Input method and input apparatus
US6791072B1 (en) * 2002-05-22 2004-09-1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urved image sensor module
TW576088B (en) * 2002-07-12 2004-02-11 Veutron Corp Optical sensor device for receiving light signal
WO2004068582A1 (ja) * 2003-01-08 2004-08-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4334247B2 (ja) * 2003-03-07 2009-09-30 ビットワレット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電子マネーサーバ
US8020096B2 (en) * 2003-06-24 2011-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hot key configuration
WO2005008444A2 (en) * 2003-07-14 2005-01-27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bale multimedia client
US7161587B2 (en) * 2003-08-14 2007-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keyboard assistance to a software application user
US20060181517A1 (en) * 2005-02-11 2006-08-17 Apple Computer, Inc. Display actuator
CA2538008A1 (en) * 2003-09-16 2005-03-31 Toudai Tlo, Ltd. Optical tactile sensor and method of reconstructing force vector distribution using the sensor
US7285771B2 (en) * 2004-01-20 2007-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sensor
EP1745456A2 (en) * 2004-04-23 2007-01-24 Cirque Corporation An improved method for scrolling and edge motion on a touchpad
US20060031465A1 (en) * 2004-05-26 2006-02-0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of arranging configurable options in a user interface
US7737953B2 (en) * 2004-08-19 2010-06-15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having varying depth sensing elements
US7428142B1 (en) * 2004-08-25 2008-09-23 Apple Inc. Lid-closed detector
ATE532330T1 (de) * 2004-09-21 2011-11-15 Nikon Corp Projektoreinrichtung, mobiltelefon und kamera
KR100959572B1 (ko) * 2005-06-10 2010-05-27 노키아 코포레이션 전자 장치의 대기 화면 재구성
US20070063969A1 (en) * 2005-09-15 2007-03-22 Christopher Wright Single finger micro controller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757185B2 (en) * 2006-01-06 2010-07-13 Apple Inc. Enabling and disabling hotkeys
JP2007243268A (ja) * 2006-03-06 2007-09-20 Sony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プログラム
WO2007137111A2 (en) * 2006-05-17 2007-11-29 Erick Lips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ata entry and/or navigation controls on the reverse side of the display
MX2009000791A (es) * 2006-07-26 2009-04-27 Eui-Jin Oh Dispositivo de introduccion de caracteres y su metodo.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8022942B2 (en) * 2007-01-25 2011-09-20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projected user interface
KR101344463B1 (ko) * 2007-02-28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CN101636720A (zh) * 2007-03-20 2010-01-27 株式会社爱可信 具备应用程序更新管理功能的终端、应用程序更新管理程序以及系统
US20080273017A1 (en) * 2007-05-04 2008-11-06 Woolley Richard D Touchpad using a combination of touchdown and radial movements to provide control signals
JP4897596B2 (ja) * 2007-07-12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記憶媒体、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US20090058820A1 (en) * 2007-09-04 2009-03-05 Microsoft Corporation Flick-based in situ search from ink, text, or an empty selection region
US20110057889A1 (en) * 2007-09-05 2011-03-10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115162B2 (ja) * 2007-11-30 2013-01-09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383053B2 (ja) * 2008-01-29 2014-01-08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DE102008028977A1 (de) * 2008-06-18 2009-12-24 Leopold Kostal Gmbh & Co. Kg Sensoranordnung
KR101436608B1 (ko) * 2008-07-28 2014-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커서 표시 방법
US8604364B2 (en) * 2008-08-15 2013-12-10 Lester F. Ludwig Sensor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for a high dimensional touchpad
JP5066055B2 (ja) * 2008-10-28 2012-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08054113A1 (de) * 2008-10-31 2010-05-06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Anpassung des Hintergrundbildes auf einem Bildschirm
US9213450B2 (en) * 2008-11-17 2015-12-15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sensor
KR101544475B1 (ko) * 2008-11-28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JP2010157038A (ja) * 2008-12-26 2010-07-15 Toshiba Corp 電子機器、入力制御方法
US8289287B2 (en) * 2008-12-30 2012-10-1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personalizable user interface
US8149224B1 (en) * 2009-04-28 2012-04-0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Computing system with detachable touch screen device
US8493364B2 (en) * 2009-04-30 2013-07-23 Motorola Mobility Ll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8667423B2 (en) * 2009-08-04 2014-03-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touch wallpaper management
KR101633329B1 (ko) * 2009-08-19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3335B1 (ko) * 2009-12-07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8125449B2 (en) * 2009-12-16 2012-02-28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rmaments Bureau, M.N.D. Movable touchpad with high sensitivity
US8249627B2 (en) * 2009-12-21 2012-08-21 Julia Olincy “I am driving/busy”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mobile phones
EP2341414A1 (en) * 2009-12-31 2011-07-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8838A1 (en) * 2001-04-30 2002-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dge touchpad input device
JP2007527045A (ja) * 2003-07-08 2007-09-20 ボルクヴァルト、グレン ロルス 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のための入力装置、および多機能マウスを有する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
KR20060081405A (ko) * 2003-08-18 2006-07-12 애플 컴퓨터,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구비한 연산 시스템
KR20060051265A (ko) * 2004-09-13 2006-05-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플릭 제스쳐
US20080024441A1 (en) * 2006-07-25 2008-01-31 Jonah Harley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8924B2 (en) 2016-03-0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thereof
US10659886B2 (en) 2016-03-25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4304A1 (en) 2012-06-21
KR101725550B1 (ko) 2017-04-10
US9134768B2 (en)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550B1 (ko)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0753397B1 (ko)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5359536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表示方向制御プログラム
US8825113B2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4262712B2 (ja) 携帯端末装置、マウス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をワイヤレスマウス装置として用いる方法
KR101179890B1 (ko) 휴대단말의 디지털 이미지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753041B1 (ko) 가상 모드다이얼을 구비한 휴대단말 및 그 작동방법
KR1005940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JP2021525430A (ja) 表示制御方法及び端末
KR20140138310A (ko) 휴대형 전자 기기
KR20070111592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JP2009020759A (ja) 入力装置、記憶媒体、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EP26933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tour creation in mobile device
KR101571538B1 (ko) 전면 터치 휴대단말기의 콜 발신 방법
KR20180055351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4777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4082352B2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080080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WO2020134903A1 (zh) 显示屏操控方法和移动终端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782075B1 (ko) 휴대 단말에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90006460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7000026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593988B1 (ko) 캐릭터의 다방 이동 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방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