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255A -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 Google Patents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255A
KR20140138255A KR1020147027768A KR20147027768A KR20140138255A KR 20140138255 A KR20140138255 A KR 20140138255A KR 1020147027768 A KR1020147027768 A KR 1020147027768A KR 20147027768 A KR20147027768 A KR 20147027768A KR 20140138255 A KR20140138255 A KR 2014013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plating
hot
dip galva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129B1 (ko
Inventor
유스케 후시와키
요시야스 가와사키
야스노부 나가타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1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7/00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Abstract

Si, Mn 을 함유하는 강판을 모재로 하고, 도금 외관, 내식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제공한다. 질량% 로, C : 0.03 ∼ 0.35 %, Si : 0.01 ∼ 0.50 %, Mn : 3.6 ∼ 8.0 %, Al : 0.001 ∼ 1.000 %, P ≤ 0.10 %, S ≤ 0.01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에 대해 어닐링 및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할 때,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는 600 ℃ 이상 700 ℃ 이하이고,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은 30 초 이상 10 분 이내, 분위기 중의 노점은 -45 ℃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은, Si 및 Mn 을 함유하는 고강도 강판을 모재로 하는 도금 외관, 내식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가전, 건재 등의 분야에 있어서, 소재 강판에 방청성을 부여한 표면 처리 강판, 그 중에서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자동차의 연비 향상 및 자동차의 충돌 안전성 향상의 관점에서 차체 재료의 고강도화에 의해 박육화를 도모하여, 차체 그 자체를 경량화하고 또한 고강도화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고강도 강판의 자동차에 대한 적용이 촉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슬래브를 열간 압연이나 냉간 압연한 박강판을 모재로서 사용하고, 모재 강판을 연속식 용융 아연 도금 라인 (이하, CGL 이라고 칭한다) 의 어닐링로에서 재결정 어닐링 및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하여 제조된다.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경우에는,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추가로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CGL 의 어닐링로의 가열로 타입으로는, DFF 형 (직화형), NOF 형 (무산화형), 올 라디언트 튜브형 등이 있고, 최근에는, 조업의 용이함이나 픽업이 잘 발생하지 않거나 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도금 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등의 이유로부터 올 라디언트 튜브형의 가열로를 구비하는 CGL 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DFF 형 (직화형), NOF 형 (무산화형) 과 달리, 올 라디언트 튜브형의 가열로는 어닐링 직전에 산화 공정이 없기 때문에, Si, Mn 등의 산화 용이성 원소를 함유하는 강에 대해서는 도금성 확보의 점에서 불리하다.
Si, Mn 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강도 강판을 모재로 한 용융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 에는 재결정 온도 ∼ 900 ℃ 에서 어닐링하고 도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750 ∼ 900 ℃ 에서 어닐링하고 도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800 ∼ 850 ℃ 에서 어닐링하고 도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Si, Mn 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강도 강판의 경우, 750 ℃ 를 초과하는 높은 온도에서 어닐링을 한 경우, 강 중 Si, Mn 이 선택 산화되어 강판 표면에 산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도금 밀착성을 열화시켜 부도금 등의 결함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 에는, 환원로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를 수증기 분압으로 나타내는 식으로 규정하고 노점을 올림으로써, 지철 표층을 내부 산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노점을 제어하는 에어리어가 노 내 전체를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노점의 제어가 곤란하고 안정 조업이 곤란하다. 또, 불안정한 노점 제어하에서의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는, 하지 강판에 형성되는 내부 산화물의 분포 상태에 편차가 확인되고, 강대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에서 도금 젖음성이나 합금화 불균일 등의 결함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6 에는, 산화성 가스인 H2O 나 O2 뿐만 아니라, CO2 농도도 동시에 규정함으로써, 도금 직전의 지철 표층을 내부 산화시키고 외부 산화를 억제하여 도금 외관을 개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6 에서는, 내부 산화물의 존재에 의해 가공시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져, 내도금박리성이 열화된다. 또, 내식성의 열화도 확인된다. 또한 CO2 는 노 내 오염이나 강판 표면에 대한 침탄 등이 일어나 기계 특성이 변화하는 등의 문제가 염려된다.
또한 최근에는, 가공이 어려운 지점에 대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고강도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적용이 진행되고 있고,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 특성이 중요시되도록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금 강판에 90 °를 초과하는 굽힘 가공을 실시하여 보다 예각으로 굽혔을 때나 충격이 가해져 강판이 가공을 받은 경우의 가공부의 도금 박리의 억제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강 중에 다량으로 Si 를 첨가하여 원하는 강판 조직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고가공시의 균열 등의 기점이 될 가능성이 있는 도금층 바로 아래의 지철 표층의 조직, 구조의 보다 고도의 제어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그와 같은 제어는 곤란하여, 어닐링로에 올 라디언트 튜브형의 가열로를 구비하는 CGL 에서 Si 함유 고강도 강판을 모재로 하여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 특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제조할 수 없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871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9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506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239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159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33333호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Si, Mn 을 함유하는 강판을 모재로 하고, 도금 외관, 내식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에는, 도금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Fe 를 산화시키거나 내부 산화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내식성이나 가공성이 열화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생각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방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어닐링 공정의 분위기와 온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도금층 바로 아래의 강판 표층부에 있어서 내부 산화의 형성을 억제하고, 우수한 도금 외관과, 보다 높은 내식성과 고가공시의 양호한 내도금박리성이 얻어지는 것을 지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를 600 ℃ 이상 700 ℃ 이하,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을 30 초 이상 10 분 이내, 분위기 중의 노점을 -45 ℃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여 어닐링,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한다.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를 600 ℃ 이상 700 ℃ 이하로 하고,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서의 분위기 중의 노점을 -45 ℃ 이하로 함으로써, 강판과 분위기의 계면의 산소 포텐셜을 저하시켜 내부 산화가 최대한 일어나지 않고, Si, Mn 등의 선택적 표면 확산, 산화 (이후, 표면 농화라고 부른다) 를 억제한다.
이와 같이 어닐링 온도나 분위기 중의 노점을 제어함으로써, 내부 산화시키지 않고, 표면 농화를 최대한 억제하고, 부도금이 없는 도금 외관, 내식성 및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도금 외관이 우수하다란, 부도금이나 합금화 불균일이 확인되지 않는 외관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아연 도금층의 바로 아래의 하지 강판 표면으로부터 100 ㎛ 이내의 강판 표층부에 있어서, Fe, Si, Mn, Al, P, 나아가서는 B, Nb, Ti, Cr, Mo, Cu, Ni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Fe 만을 제외한다) 의 산화물의 형성이 억제되고, 그 형성량은 합계로 편면당 0.030 g/㎡ 미만으로 억제된다. 이로써, 도금 외관이 우수하고, 내식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지철 표층에 있어서의 굽힘 가공시의 균열 방지를 실현시키고,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는 것으로, 특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 로, C : 0.03 ∼ 0.35 %, Si : 0.01 ∼ 0.50 %, Mn : 3.6 ∼ 8.0 %, Al : 0.001 ∼ 1.000 %, P ≤ 0.10 %, S ≤ 0.01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의 표면에 편면당의 도금 부착량이 20 ∼ 120 g/㎡ 인 아연 도금층을 갖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강판을 연속식 용융 아연 도금 설비에 있어서 어닐링 및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할 때,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는 600 ℃ 이상 700 ℃ 이하이고,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은 30 초 이상 10 분 이내, 분위기 중의 노점은 -45 ℃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2] [1] 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성분 조성으로서 질량% 로, 추가로 B : 0.001 ∼ 0.005 %, Nb : 0.005 ∼ 0.050 %, Ti : 0.005 ∼ 0.050 %, Cr : 0.001 ∼ 1.000 %, Mo : 0.05 ∼ 1.00 %, Cu : 0.05 ∼ 1.00 %, Ni : 0.05 ∼ 1.0 %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3] [1] 또는 [2] 에 있어서,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추가로 450 ℃ 이상 600 ℃ 이하의 온도로 강판을 가열하여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고, 도금층의 Fe 함유량을 8 ∼ 14 질량% 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4] [1] ∼ [3] 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아연 도금층 바로 아래의 하지 강판 표면으로부터 100 ㎛ 이내의 강판 표층부에 생성된 Fe, Si, Mn, Al, P, B, Nb, Ti, Cr, Mo, Cu, Ni 의 산화물이 편면당 0.030 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란, 인장 강도 TS 가 590 ㎫ 이상인 강판이다. 또, 본 발명의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도금 강판 (이하, GI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는 도금 강판 (이하, GA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 외관, 내식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강 성분 조성의 각 원소의 함유량, 도금층 성분 조성의 각 원소의 함유량의 단위는 모두「질량%」이며,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간단히「%」로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인 도금층 바로 아래의 하지 강판 표면의 구조를 결정하는 어닐링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강 중에 다량의 Si 및 Mn 이 첨가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있어서, 내식성 및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부식이나 고가공시의 균열 등의 기점이 될 가능성이 있는 도금층 바로 아래의 지철 표층의 내부 산화를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Fe 를 산화시키거나 Si 나 Mn 의 내부 산화를 촉진시킴으로써 도금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기는 하다. 그러나, 이것은 반대로 내식성이나 가공성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 때문에, Si 나 Mn 의 내부 산화를 촉진시키는 방법 이외이고, 양호한 도금성을 유지하면서, 내부 산화를 억제하여 내식성, 가공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서는, 도금성을 확보하기 위해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 산소 포텐셜을 저하시켜 산화 용이성 원소인 Si 나 Mn 등의 지철 표층부에 있어서의 활량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활량의 저하에 의해 이들 원소의 외부 산화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도금성을 개선한다. 또, 지철 표층부에 형성하는 내부 산화도 억제되어, 내식성 및 가공성이 개선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연속식 용융 아연 도금 설비에 있어서 어닐링 및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할 때,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를 600 ℃ 이상 700 ℃ 이하,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을 30 초 이상 10 분 이내, 분위기 중의 노점을 -45 ℃ 이하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강판과 분위기의 계면의 산소 포텐셜을 저하시켜 내부 산화시키지 않고, Si, Mn 등의 선택적 표면 확산, 표면 농화를 억제한다. 이로써, 부도금이 없는 보다 높은 내식성과 고가공시의 양호한 내도금박리성이 얻어지게 된다.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를 600 ℃ 이상 700 ℃ 이하로 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600 ℃ 를 하회하는 온도역에서는, 부도금 발생, 내식성의 열화, 내도금박리성의 열화 등이 문제가 될 정도의 표면 농화나 내부 산화는 일어나지 않지만, 600 ℃ 미만에서는 양호한 재질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가 발현되는 온도역은 600 ℃ 이상으로 한다. 한편, 700 ℃ 를 상회하는 온도역에서는, 표면 농화가 현저해지고, 부도금 발생, 내식성의 열화, 내도금박리성의 열화 등이 심해진다. 또한, 재질의 관점에서는 TS, El 모두 700 ℃ 를 상회하는 온도역에서는 강도와 연성의 밸런스의 효과가 포화된다. 이상으로부터 강판 최고 도달 온도는 600 ℃ 이상 700 ℃ 이하로 한다.
다음으로,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을 30 초 이상 10 분 이내로 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30 초를 하회하면 목표로 하는 재질 (TS, El) 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10 분을 상회하면 강도와 연성의 밸런스의 효과가 포화된다.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노점을 -45 ℃ 이하로 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표면 농화의 억제 효과가 확인되는 것이 노점 : -45 ℃ 이하이다. 노점의 하한은 특별히 두지 않지만, -80 ℃ 이하는 효과가 포화되고, 비용적으로 불리해지기 때문에, -80 ℃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강 성분 조성에 대해 설명한다.
C : 0.03 ∼ 0.35 %
C 는 강 조직으로서 마르텐사이트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그러기 위해서는 0.03 % 이상 필요하다. 한편, 0.35 % 를 초과하면 용접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C 량은 0.03 % 이상 0.35 % 이하로 한다.
Si : 0.01 ∼ 0.50 %
Si 는 강을 강화하여 양호한 재질을 얻는 데에 유효한 원소이지만, 산화 용이성 원소이기 때문에 도금성에는 불리하여, 최대한 첨가하는 것은 피해야 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0.01 % 정도는 불가피적으로 강 중에 함유되고, 이 이하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0.01 % 를 하한으로 한다. 한편, 0.50 % 를 초과하면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의 개선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Si 량은 0.01 % 이상 0.50 % 이하로 한다.
Mn : 3.6 ∼ 8.0 %
Mn 은 강의 고강도화에 유효한 원소이다. 기계 특성이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3.6 %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8.0 % 를 초과하면 용접성이나 도금 밀착성의 확보, 강도와 연성의 밸런스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Mn 량은 3.6 % 이상 8.0 % 이하로 한다.
Al : 0.001 ∼ 1.000 %
Al 은 용강의 탈산을 목적으로 첨가되지만, 그 함유량이 0.001 % 미만인 경우, 그 목적이 달성되지 않는다. 용강의 탈산의 효과는 0.001 % 이상에서 얻어진다. 한편, 1.000 % 를 초과하면 비용 상승이 된다. 따라서, Al 량은 0.001 % 이상 1.000 % 이하로 한다.
P ≤ 0.10 %
P 는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원소 중 하나로서, 0.005 %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비용의 증대가 염려되기 때문에, 0.005 %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P 가 0.10 % 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용접성이 열화된다. 또한 표면 품질이 열화된다. 또, 비합금화 처리시에는 도금 밀착성이 열화되고, 합금화 처리시에는 합금화 처리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으면 원하는 합금화도로 할 수 없다. 또 원하는 합금화도로 하기 위해 합금화 처리 온도를 상승시키면 연성이 열화됨과 동시에 합금화 도금 피막의 밀착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원하는 합금화도와 양호한 연성, 합금화 도금 피막을 양립시킬 수 없다. 따라서, P 량은 0.10 % 이하로 하고, 하한으로는 0.005 % 이상이 바람직하다.
S ≤ 0.010 %
S 는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원소 중 하나이다. 하한은 규정하지 않지만, 다량으로 함유되면 용접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0.0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강도와 연성의 밸런스를 제어하기 위해, B : 0.001 ∼ 0.005 %, Nb : 0.005 ∼ 0.050 %, Ti : 0.005 ∼ 0.050 %, Cr : 0.001 ∼ 1.000 %, Mo : 0.05 ∼ 1.00 %, Cu : 0.05 ∼ 1.00 %, Ni : 0.05 ∼ 1.00 %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원소를 필요에 따라 첨가해도 된다.
이들 원소를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적정 첨가량의 한정 이유는 이하와 같다.
B : 0.001 ∼ 0.005 %
B 는 0.001 % 미만에서는 담금질 (hardenability) 촉진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0.005 % 초과에서는 도금 밀착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함유하는 경우, B 량은 0.001 % 이상 0.005 % 이하로 한다.
Nb : 0.005 ∼ 0.050 %
Nb 는 0.005 % 미만에서는 강도 조정의 효과나 Mo 와의 복합 첨가시에 있어서의 도금 밀착성 개선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0.050 % 초과에서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함유하는 경우, Nb 량은 0.005 % 이상 0.050 % 이하로 한다.
Ti : 0.005 ∼ 0.050 %
Ti 는 0.005 % 미만에서는 강도 조정의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0.050 % 초과에서는 도금 밀착성의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함유하는 경우, Ti 량은 0.005 % 이상 0.050 % 이하로 한다.
Cr : 0.001 ∼ 1.000 %
Cr 은 0.001 % 미만에서는 담금질성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1.000 % 초과에서는 Cr 이 표면 농화되기 때문에, 도금 밀착성이나 용접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함유하는 경우, Cr 량은 0.001 % 이상 1.000 % 이하로 한다.
Mo : 0.05 ∼ 1.00 %
Mo 는 0.05 % 미만에서는 강도 조정의 효과나 Nb, 또는 Ni 나 Cu 와의 복합 첨가시에 있어서의 도금 밀착성 개선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1.00 % 초과에서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함유하는 경우, Mo 량은 0.05 % 이상 1.00 % 이하로 한다.
Cu : 0.05 ∼ 1.00 %
Cu 는 0.05 % 미만에서는 잔류 γ 상 형성 촉진 효과나 Ni 나 Mo 와의 복합 첨가시에 있어서의 도금 밀착성 개선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1.00 % 초과에서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함유하는 경우, Cu 량은 0.05 % 이상 1.00 % 이하로 한다.
Ni : 0.05 ∼ 1.00 %
Ni 는 0.05 % 미만에서는 잔류 γ 상 형성 촉진 효과나 Cu 와 Mo 와의 복합 첨가시에 있어서의 도금 밀착성 개선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1.00 % 초과에서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함유하는 경우, Ni 량은 0.05 % 이상 1.00 % 이하로 한다.
상기 이외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과 그 한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화학 성분을 갖는 강을 열간 압연한 후, 냉간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고, 이어서 연속식 용융 아연 도금 설비에 있어서 어닐링 및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이 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는 600 ℃ 이상 700 ℃ 이하이고,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은 30 초 이상 10 분 이내, 분위기 중의 노점은 -45 ℃ 이하로 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열간 압연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산세
열간 압연 후에는 산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세 공정에서 표면에 생성된 흑피 스케일을 제거하고, 그리고 나서 냉간 압연한다. 또한, 산세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냉간 압연
40 % 이상 80 % 이하의 압하율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하율이 40 % 미만에서는 재결정 온도가 저온화되기 때문에, 기계 특성이 열화되기 쉽다. 한편, 압하율이 80 % 초과에서는 고강도 강판이기 때문에, 압연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어닐링시의 표면 농화가 증가하기 때문에, 도금 특성이 열화된다.
냉간 압연한 강판에 대해 어닐링한 후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한다.
어닐링로에서는, 전단의 가열대에서 강판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실시하고, 후단의 균열대에서 소정 온도로 소정 시간 유지하는 균열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는 600 ℃ 이상 700 ℃ 이하이고,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은 30 초 이상 10 분 이내, 분위기 중의 노점은 -45 ℃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여 어닐링,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분위기 중의 H2 의 체적 분율이 1 % 미만에서는 환원에 의한 활성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내도금박리성이 열화된다.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지만, 75 % 초과에서는 비용이 상승하고, 또한 효과가 포화한다. 따라서, H2 의 체적 분율은 1 % 이상 75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잔부는 N2 및 불가피 불순물 기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면 H2O, CO2, CO 등의 다른 기체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용융 아연 도금 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 합금화 처리를 실시한다.
용융 아연 도금 처리에 계속해서 합금화 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용융 아연 도금 처리한 후, 450 ℃ 이상 600 ℃ 이하로 강판을 가열하여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고, 도금층의 Fe 함유량이 8 ∼ 14 % 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 미만에서는 합금화 불균일 발생이나 플레이킹성이 열화된다. 한편, 14 % 초과는 내도금박리성이 열화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강판의 표면에 편면당의 도금 부착량이 20 ∼ 120 g/㎡ 인 아연 도금층을 갖는다. 20 g/㎡ 미만에서는 내식성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한편, 120 g/㎡ 를 초과하면 내도금박리성이 열화된다.
이하와 같이, 도금층 바로 아래의 하지 강판 표면의 구조에 특징을 갖게 된다.
아연 도금층의 바로 아래의 하지 강판 표면으로부터 100 ㎛ 이내의 강판 표층부에서는, Fe, Si, Mn, Al, P, 나아가서는 B, Nb, Ti, Cr, Mo, Cu, Ni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산화물의 형성이 합계로 편면당 0.030 g/㎡ 미만으로 억제된다.
강 중에 Si 및 다량의 Mn 이 첨가된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있어서, 내식성 및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부식이나 고가공시의 균열 등의 기점이 될 가능성이 있는 도금층 바로 아래의 지철 표층의 내부 산화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도금성을 확보하기 위해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 산소 포텐셜을 저하시킴으로써 산화 용이성 원소인 Si 나 Mn 등의 지철 표층부에 있어서의 활량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활량의 저하에 의해 이들 원소의 외부 산화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도금성을 개선한다. 또한, 지철 표층부에 형성하는 내부 산화도 억제되어, 내식성 및 고가공성이 개선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하지 강판 표면으로부터 100 ㎛ 이내의 강판 표층부에 Fe, Si, Mn, Al, P, 나아가서는 B, Nb, Ti, Cr, Mo, Cu, Ni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의 형성량을 합계로 0.030 g/㎡ 미만으로 억제함으로써 확인된다. 산화물 형성량의 합계 (이하, 내부 산화량이라고 칭한다) 가 0.030 g/㎡ 이상에서는 내식성 및 고가공성이 열화된다. 또, 내부 산화량을 0.0001 g/㎡ 미만으로 억제해도 내식성 및 고가공성 향상 효과는 포화되기 때문에, 내부 산화량의 하한은 0.0001 g/㎡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도금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i, Mn 계 복합 산화물이 성장하는 지철 조직은 연질이고 가공성이 풍부한 페라이트상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 에 나타내는 강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연 강판을 산세하여 흑피 스케일 제거한 후,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냉간 압연하여 두께 1.0 ㎜ 의 냉연 강판을 얻었다.
Figure pct00001
이어서, 상기에서 얻은 냉연 강판을 어닐링로에 올 라디언트 튜브형의 가열로를 구비하는 CGL 에 장입하였다. CGL 에서는,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닐링로 내의 강판 온도가 600 ℃ ∼ 700 ℃ 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노점 및 강판 통과 시간, 강판 최고 도달 온도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하여 통판하고, 어닐링한 후, 460 ℃ 의 Al 함유 Zn 욕에서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위기 중의 노점의 제어에 대해서는, N2 중에 설치한 물탱크를 가열하여 가습한 N2 가스가 흐르는 배관을 미리 별도 설치하고, 가습된 N2 가스 중에 H2 가스를 도입하여 혼합하고, 이것을 노 내에 도입함으로써 분위기 중의 노점을 제어하였다.
또, GA 는 0.14 % Al 함유 Zn 욕을, GI 는 0.18 % Al 함유 Zn 욕을 사용하였다. 부착량은 가스 와이핑에 의해 조절하고, GA 는 합금화 처리하였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GA 및 GI) 에 대해, 외관성 (도금 외관), 내식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 가공성을 조사하였다. 또, 도금층 바로 아래의 100 ㎛ 까지의 지철 강판 표층부에 존재하는 산화물의 양 (내부 산화량) 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 및 평가 기준을 하기에 나타낸다.
<외관성 (도금 외관)>
외관성은, 부도금이나 합금화 불균일 등의 외관 불량이 없는 경우에는 외관 양호 (기호 ○), 있는 경우에는 외관 불량 (기호 ×) 으로 판정하였다.
<내식성>
치수 70 ㎜ × 150 ㎜ 의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대해, JIS Z 2371 (2000년) 에 기초하는 염수 분무 시험을 3 일간 실시하고, 부식 생성물을 크롬산 (농도 200 g/ℓ, 80 ℃) 을 사용하여 1 분간 세정 제거하고, 편면당의 시험 전후의 도금 부식 감량 (g/㎡·일) 을 중량법으로 측정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양호) : 20 g/㎡·일 미만
× (불량) : 20 g/㎡·일 이상
<내도금박리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은, GA 에서는 도금 강판으로는, 90 °를 초과하여 예각으로 굽혔을 때의 굽힘 가공부의 도금 박리의 억제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20 °굽힌 경우의 굽힘 가공부에 셀로판 테이프 (등록상표) 를 대고 밀어 박리물을 셀로판 테이프 (등록상표) 에 전이시키고, 셀로판 테이프 (등록상표) 상의 박리물량을 Zn 카운트수로 하여 형광 X 선법으로 구하였다. 또한, 이 때의 마스크 직경은 30 ㎜, 형광 X 선의 가속 전압은 50 ㎸, 가속 전류는 50 ㎃, 측정 시간은 20 초이다. 하기의 기준에 비추어, 랭크 1, 2 의 것을 내도금박리성이 양호 (기호 ○), 3 이상의 것을 내도금박리성이 불량 (기호 ×) 으로 평가하였다.
형광 X 선 Zn 카운트수 랭크
0 - 500 미만 : 1 (양호)
500 이상 - 1000 미만 : 2
1000 이상 - 2000 미만 : 3
2000 이상 - 3000 미만 : 4
3000 이상 : 5 (열등)
GI 에서는, 충격 시험시의 내도금박리성이 요구된다. 볼 임펙트 시험을 실시하고, 가공부를 테이프 박리하여 도금층의 박리 유무를 육안 판정하였다. 볼 임펙트 조건은, 볼 중량 1000 g, 낙하 높이 100 ㎝ 이다.
○ : 도금층의 박리 없음
× : 도금층이 박리
<가공성>
가공성은, 시료로부터 압연 방향에 대해 90 °방향으로 JIS 5 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고, JIS Z 2241 의 규정에 준거하여 크로스 헤드 속도 10 ㎜/min 일정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인장 강도 (TS/㎫) 와 연신율 (El %) 을 측정하여, TS × El ≥ 24000 인 것을 양호, TS × El < 24000 인 것을 불량으로 하였다.
<도금층 바로 아래 100 ㎛ 까지의 영역에 있어서의 내부 산화량>
내부 산화량은「임펄스로 용융 - 적외선 흡수법」에 의해 측정한다. 단, 소재 (즉 어닐링을 실시하기 전의 고장력 강판) 에 함유되는 산소량을 뺄 필요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연속 어닐링 후의 고장력 강판의 양면의 표층부를 100 ㎛ 이상 연마하여 강 중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소재에 함유되는 산소량 OH 로 하고, 또 연속 어닐링 후의 고장력 강판의 판두께 방향 전체에서의 강 중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내부 산화 후의 산소량 OI 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고장력 강판의 내부 산화 후의 산소량 OI 와, 소재에 함유되는 산소량 OH 를 사용하여, OI 와 OH 의 차 (= OI - OH) 를 산출하고, 다시 편면 단위 면적 (즉 1 ㎡) 당의 양으로 환산한 값 (g/㎡) 을 내부 산화량으로 하였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제조 조건과 함께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법으로 제조된 GI, GA (본 발명예) 는, Si, Mn 등의 산화 용이성 원소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강도 강판임에도 불구하고, 내식성, 가공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 및 도금 외관도 양호하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도금 외관, 내식성, 가공성,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중 어느 하나 이상이 떨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도금 외관, 내식성, 가공성 및 고가공시의 내도금박리성이 우수하고, 자동차의 차체 그 자체를 경량화 또한 고강도화하기 위한 표면 처리 강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자동차 이외에도, 소재 강판에 방청성을 부여한 표면 처리 강판으로 하여, 가전, 건재 분야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질량% 로, C : 0.03 ∼ 0.35 %, Si : 0.01 ∼ 0.50 %, Mn : 3.6 ∼ 8.0 %, Al : 0.001 ∼ 1.000 %, P ≤ 0.10 %, S ≤ 0.01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의 표면에 편면당의 도금 부착량이 20 ∼ 120 g/㎡ 인 아연 도금층을 갖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강판을 연속식 용융 아연 도금 설비에 있어서 어닐링 및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할 때, 어닐링로 내에서의 강판 최고 도달 온도는 600 ℃ 이상 700 ℃ 이하이고,
    강판 온도가 600 ℃ 이상 700 ℃ 이하인 온도역에 있어서의 강판 통과 시간은 30 초 이상 10 분 이내, 분위기 중의 노점은 -45 ℃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성분 조성으로서 질량% 로, 추가로 B : 0.001 ∼ 0.005 %, Nb : 0.005 ∼ 0.050 %, Ti : 0.005 ∼ 0.050 %, Cr : 0.001 ∼ 1.000 %, Mo : 0.05 ∼ 1.00 %, Cu : 0.05 ∼ 1.00 %, Ni : 0.05 ∼ 1.00 %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추가로 450 ℃ 이상 600 ℃ 이하의 온도로 강판을 가열하여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고, 도금층의 Fe 함유량을 8 ∼ 14 질량% 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아연 도금층 바로 아래의 하지 강판 표면으로부터 100 ㎛ 이내의 강판 표층부에 생성된 Fe, Si, Mn, Al, P, B, Nb, Ti, Cr, Mo, Cu, Ni 의 산화물이 편면당 0.030 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KR1020147027768A 2012-03-19 2013-03-07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KR101692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1313 2012-03-19
JP2012061313A JP5982905B2 (ja) 2012-03-19 2012-03-19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PCT/JP2013/001458 WO2013140729A1 (ja) 2012-03-19 2013-03-07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255A true KR20140138255A (ko) 2014-12-03
KR101692129B1 KR101692129B1 (ko) 2017-01-02

Family

ID=4922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768A KR101692129B1 (ko) 2012-03-19 2013-03-07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37074B2 (ko)
EP (1) EP2829627B1 (ko)
JP (1) JP5982905B2 (ko)
KR (1) KR101692129B1 (ko)
CN (1) CN104220628B (ko)
TW (1) TWI473888B (ko)
WO (1) WO2013140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2905B2 (ja) 2012-03-19 2016-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962541B2 (ja) * 2012-07-23 2016-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5895873B2 (ja) * 2013-03-04 2016-03-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2015011463A (es) * 2013-03-04 2016-02-03 Jfe Steel Corp Lamin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 misma y lamina de acero galvanizada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 misma.
JP5794284B2 (ja) * 2013-11-22 2015-10-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6094508B2 (ja) * 2014-02-18 2017-03-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84196B2 (ja) 2014-02-18 2016-03-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6032221B2 (ja) * 2014-02-18 2016-11-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CN105483531A (zh) * 2015-12-04 2016-04-13 重庆哈工易成形钢铁科技有限公司 用于冲压成形的钢材及其成形构件与热处理方法
JP6164280B2 (ja) 2015-12-22 2017-07-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外観および曲げ性に優れるMn含有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6119A (ko) * 2017-09-27 2019-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금층 쏠림이 방지된 통전 가열 열간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간성형용 강판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960A (ja) 2003-02-06 2004-11-11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23970A (ja) 2003-04-10 2004-11-18 Nippon Steel Corp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33333A (ja) 2005-01-31 2006-09-07 Nippon Steel Corp 外観が良好な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設備
JP2007046146A (ja) * 2004-11-15 2007-02-22 Nippon Steel Corp 高ヤング率鋼板、それを用い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高ヤング率鋼管、高ヤング率溶融亜鉛めっき鋼管、及び高ヤング率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9024980A (ja) 2007-07-23 2009-02-05 Denso Corp 熱交換器用温度センサ
KR20090120759A (ko) *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9287114A (ja) 2008-05-27 2009-12-10 Posco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低比重高強度鋼板、低比重高強度メッキ鋼板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0150660A (ja) 2008-12-23 2010-07-08 Posco メッキ表面品質に優れた高マンガン鋼の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010255109A (ja) * 2009-03-31 2010-11-11 Jfe Steel Corp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5110A (ja) * 2009-03-31 2010-11-11 Jfe Steel Corp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619B2 (ja) 1979-04-28 1983-11-0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化成処理性にすぐ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726240B2 (ja) 1989-10-27 1995-03-22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鋼板の電解酸洗又は電解脱脂方法
JPH05320952A (ja) 1992-05-25 1993-12-07 Nkk Corp 塗装後の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2951480B2 (ja) 1992-06-24 1999-09-20 川崎製鉄株式会社 化成処理性ならびに成形性に優れる高張力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514837B2 (ja) 1994-09-12 2004-03-31 日新製鋼株式会社 熱延鋼板の溶融めっき方法
JP2001140021A (ja) 1999-11-18 2001-05-22 Kawasaki Steel Corp 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857939B2 (ja) * 2001-08-20 2006-12-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局部延性に優れた高強度高延性鋼および鋼板並びにその鋼板の製造方法
JP3840392B2 (ja) 2001-10-09 2006-11-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りん酸塩処理性に優れた鋼板
JP4319559B2 (ja) 2003-04-10 2009-08-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化成処理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
JP4315844B2 (ja) 2004-03-05 2009-08-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塗膜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4843982B2 (ja) 2004-03-31 2011-12-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剛性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526493C (zh) * 2004-07-27 2009-08-12 新日本制铁株式会社 高杨氏模量钢板、使用了它的热浸镀锌钢板、合金化热浸镀锌钢板、和高杨氏模量钢管以及它们的制造方法
KR100960167B1 (ko) * 2004-07-27 2010-05-26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고영율 강판, 이를 이용한 용융 아연 도금 강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고영율 강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4576921B2 (ja) 2004-08-04 2010-11-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冷延鋼板の製造方法
CN101120114B (zh) 2005-03-31 2013-11-06 株式会社神户制钢所 涂膜附着性、加工性及耐氢脆化特性优异的高强度冷轧钢板和机动车用钢零件
CN104264075B (zh) 2005-12-09 2018-01-30 Posco公司 具有优异成形性和涂覆特性的高强度冷轧钢板,由其制成的锌基金属镀钢板及制造方法
JP4882447B2 (ja) 2006-03-28 2012-0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932363B2 (ja) 2006-07-20 2012-05-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2507B2 (ja) 2007-04-06 2012-12-0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張力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5663833B2 (ja) * 2008-11-27 2015-02-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10126757A (ja) 2008-11-27 2010-06-10 Jfe Steel Corp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70244B2 (ja) 2009-03-31 2013-12-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206705B2 (ja) 2009-03-31 2013-06-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2864B2 (ja) 2009-03-31 2014-07-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415896B1 (en) 2009-03-31 2016-11-16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plate
JP5760361B2 (ja) 2010-09-29 2015-08-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12542B2 (ja) 2010-09-29 2015-05-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23631B1 (en) 2010-09-30 2022-11-02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856002B2 (ja) 2011-05-12 2016-02-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衝突エネルギー吸収能に優れた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34869B2 (ja) 2011-12-14 2015-12-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化成処理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11841B2 (ja) 2011-12-28 2015-11-1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Si含有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505430B2 (ja) 2012-01-17 2014-05-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帯の連続焼鈍炉及び連続焼鈍方法
JP5982905B2 (ja) 2012-03-19 2016-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888268B2 (ja) 2012-06-15 2016-03-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5888267B2 (ja) 2012-06-15 2016-03-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5962541B2 (ja) 2012-07-23 2016-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MX2015011463A (es) 2013-03-04 2016-02-03 Jfe Steel Corp Lamin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 misma y lamina de acero galvanizada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 misma.
JP5794284B2 (ja) * 2013-11-22 2015-10-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960A (ja) 2003-02-06 2004-11-11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23970A (ja) 2003-04-10 2004-11-18 Nippon Steel Corp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46146A (ja) * 2004-11-15 2007-02-22 Nippon Steel Corp 高ヤング率鋼板、それを用い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高ヤング率鋼管、高ヤング率溶融亜鉛めっき鋼管、及び高ヤング率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233333A (ja) 2005-01-31 2006-09-07 Nippon Steel Corp 外観が良好な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設備
JP2009024980A (ja) 2007-07-23 2009-02-05 Denso Corp 熱交換器用温度センサ
KR20090120759A (ko) *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9287114A (ja) 2008-05-27 2009-12-10 Posco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低比重高強度鋼板、低比重高強度メッキ鋼板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0150660A (ja) 2008-12-23 2010-07-08 Posco メッキ表面品質に優れた高マンガン鋼の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010255109A (ja) * 2009-03-31 2010-11-11 Jfe Steel Corp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5110A (ja) * 2009-03-31 2010-11-11 Jfe Steel Corp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9627B1 (en) 2018-06-13
JP2013194270A (ja) 2013-09-30
KR101692129B1 (ko) 2017-01-02
CN104220628A (zh) 2014-12-17
US20150044503A1 (en) 2015-02-12
JP5982905B2 (ja) 2016-08-31
TW201343929A (zh) 2013-11-01
WO2013140729A1 (ja) 2013-09-26
EP2829627A4 (en) 2015-08-05
US10837074B2 (en) 2020-11-17
EP2829627A1 (en) 2015-01-28
CN104220628B (zh) 2016-11-23
TWI473888B (zh) 201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129B1 (ko)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KR101431317B1 (ko)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196B1 (ko)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US899908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alvanized steel sheet
JP5663833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20140128458A (ko)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888267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5552863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89958B1 (ko)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4655B1 (ko)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JP5888268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5552862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72743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25435A1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8014B1 (ko) 고강도 강판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그리고 그것들의 제조 방법
JP5935720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5552860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62544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5552861B2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