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59A -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59A
KR20090120759A KR1020080046718A KR20080046718A KR20090120759A KR 20090120759 A KR20090120759 A KR 20090120759A KR 1020080046718 A KR1020080046718 A KR 1020080046718A KR 20080046718 A KR20080046718 A KR 20080046718A KR 20090120759 A KR20090120759 A KR 2009012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ange
steel sheet
cold
ho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7250B1 (ko
Inventor
진영훈
진광근
이승복
곽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4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250B1/ko
Priority to US12/993,271 priority patent/US9109273B2/en
Priority to JP2011510406A priority patent/JP5470375B2/ja
Priority to PCT/KR2008/005132 priority patent/WO2009142362A1/en
Publication of KR2009012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980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28%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고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용 보강재 및 충격흡수재 등의 굽힘 가공 특성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수준의 드로잉 가공 특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냉연강판에 용융아연도금층 또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층을 포함하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형소성유기(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AUSTENITE),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내지연파괴(DELAYED FRACTURE RESISTANCE),

Description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성품 중 범퍼 보강재 또는 도어내의 충격흡수재에 주로 사용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에 있어서, 기존의 개발 강종 대비 성분 변경과 열처리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연성과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연성 초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용 강판은 자동창 성형폼의 복잡화, 일체화 경향으로 더욱 높은 수준의 성형성을 갖는 강판이 요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범퍼 보강재 또는 도어내의 충격흡수재는 차체가 충돌시 승객의 안전과 밀접한 관계가 되는 부품으로 인장강도 780MPa, 연신율 30% 이상의 초고강도 성형성이 우수한 강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요구된다. 최근에는 자동차 배가가스에 의한 환경오염문제가 대두되면서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의 방향으로 초고강도강을 사용하여 자동차 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고 강도, 고연신율화가 되면서 잔류오스테나이트 분율이 높아짐으로써 상대적으로 내지연파괴현상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장강도 980MPa, 연신율 28% 이상을 갖는 고강도,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판재의 제조에 목적이 있다. 강도와 연신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다량 함유하는 강판은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가공에 의하여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면서 연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균일 연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드로잉과 같은 국부압축압력을 받는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면서 네킹저항성이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냉연강판과 같이 (222)집합조직이 발달하지 않아도 드로잉 가공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연성이 우수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다량 함유하는 강판을 드로잉용 가공품에 적용할 수 있으면 그 활용분야는 상당히 넓어질 것이다.
종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다량 함유하는 강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저탄소강에 Si, Mn 을 다량 첨가하여 소 둔시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한 후 냉각과정에서 베이나이트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오스탬퍼링 방법이 있다. 이렇게 생성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소성변형 중에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도록 해서 강도 증가와 함께 소성유기변태에 의해 응력집중을 완화시킴으로써 연성을 증가시키는데 이를 변태유기소성강(TRIP: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이라고 부르며, 높은 강도와 연성을 갖는 고강도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첫번째 제조방법은 발명조성을 이용하여 상기의 연속소둔법을 사용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Mn 저탄소강을 열간압연 후 특정온도에서 재소둔하여 마르텐사이트를 오스테나이트로 역변태시키는 역변태법이라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Mn을 다량 첨가한 강을 이용해서 열연 후 얻어진 마르텐사이트와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냉연 후 상소둔하여 전조직의 레스(lath)경계에 오스테나이트를 형성시킨 다음 냉각 후 상온에 잔류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다량 함유한 강판은 드로잉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 소위 지연파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CAMP-ISIJ Vol.5(1992), 1841). 지연파괴는 주로 1.2GPa급 고장력 볼트와 같은 초고강도강이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잔류응력이 높은 상태에서 수소가 분자형태나 원자형태로 확산 침투하여 균열로 발전한다(Materi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0(2004), 940).
한편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다량 함유한 강판의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드로잉 가공에 의해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면서 유발된 체적팽창에 의해 계면에서의 내부응력과 수소의 침입에 의한 농도증가에 의해 지연파괴가 발생한다(Material Science and Egineering A 438-440(2006), 262-266). 특히 마르텐사이트 조직에서 는 수소의 확산속도가 매우 빠르고 용해도가 적기 때문에 침입한 수소는 마르텐사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경계에 용이하게 응집되어 지연파괴가 발생한다.
일본 공개특허 JP1993-070886호에서는 C:0.05~0.3%, Si:2.0%이하, Mn:0.5~4.0%, P:0.1%이하, S:0.1%이하, Ni:5.0%이하, Al:0.1~2.0%, N:0.01%이하에서, 또한 Si(%)+Al(%)≥0.5, Mn(%)+1/3Ni(%)≥1.0의 성분계를 만족하고, 5%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한 조직을 갖고 이루어지는 구성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조성의 슬래브를 열간압연 후 300~720℃로 권취하고, 압하율:30~80%로 냉간 압연하고, 그 후의 연속 소둔 공정에 있어Ac1 변태점 이상 Ac3 변태점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 가열하고, 또한 냉각의 도중에 550~350℃의 온도 영역에 30초 이상 유지하든지 400℃/min 이하의 냉각속도로 서냉한 것에 의하고 상기 강판을 얻는다. 이 기술은 발명의 첫번째 제조방법인 연속소둔열처리 방법의 부류에는 속하나 조성 측면에서 Mn, Ti, B, Sb 등의 첨가원소에서 다른 기술이며 본 발명에서 얻은 기계적 특성에 크게 미달되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JP2003-138345에서는 C:0.06~0.2%, Si:2.0%이하, Mn:3.0~7.0% 및 잔부 Fe를 성분으로 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체적율로 10%이상, 20%미만이고,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링 베이나이트가 면적률로 30%이상으로 간다. 상기 성분의 강괴는 열간 압연 후 또는 압하율 20% 이하의 냉간 압연 후, 700~(A1점-50)℃로 20초 이상 지지한 템퍼링 열처리를 통해서 제조해서 인장강도는 800MPa에 약 30% 연신율을 가지는 것이다. 이 공지기술은 본 발명가 비교할 때 Al의 미첨가로 인한 내지연특성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와 냉간 압하율 및 소둔열처리 유지시간에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차이가 있으며 요구하는 기게적 특성에 미치지 못한다.
또한 일본 특개평 7-188834호에는 Mn:2~6%를 함유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20% 이상 가지는 고강도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강판은 C:0.1~0.4%, Si:0.5%이하, Mn:2~6%, Al:0.005~0.1%의 성분게를 가지는 열연강판 또는 냉연강판을 800~950℃로 열처리 한 뒤, 공기냉각 또는 그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고, 뒤이어 소둔온도 650~750℃로 1분이상 실시를 2회 행한 것 또는 열연 후 200~500℃로 권취하고 열연 또는 냉연판에 대해 소둔온도 650~750℃로 1분이상 실시를 2회 행한 것에 의해 오스테나이트 중에의 합금원소의 농축을 촉진하고 20%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생성한 것이다. 이 기술은 20%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함으로써 드로잉 시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로 인한 지연파괴 현상이 발생하며, 조성 중 내지연파괴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Al의 첨가가 없다는 것이 본 발명과의 차이점이다. 그리고 소둔 열처리 공정에서도 이 기술은 2회 소둔을 행하였지만 1회 소둔 열처리 공정을 가지는 본 발명과는 공정구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
상기의 타 기술들은 주로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증가하기 위해 잔류 오스테나이트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었으나, 잔류 오스테나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파괴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는데 대해서는 대처방법이 없었다. 그러므로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증가시키기 위해 잔류 오스테나이트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지연파괴에 대한 저항성(내지연파괴 특성)을 높이기 위한 합금조성 및 제조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고강도 고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강판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성분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과 지연파괴의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Al을 적정량 첨가하여 내지연파괴 특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980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28%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냉연강판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980MPa이상의 인장강도와 28% 이상의 연신율을 갖고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5~0.25%,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고강도 냉연강판 및 융용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조성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냉간압하율이 30~60%의 범위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670~780℃의 온도범위에서 60초 이상 유지하여 연속소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냉연강판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조성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냉간압하율이 30~60%의 범위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620~720℃의 온도범위에서 1~24시간 상소둔 역변태 처리하는 단계; 및
10~2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동 냉연강판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성분구성과 제조조건을 가지고 980MPa이상의 인장강도와 28%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면서, 특히 Al성분을 첨가하여 내지연파괴 특성을 개선한 강을 제조함으로써, 이러한 강판은 자동차용 보강재 및 충격흡수재 등의 굽힘 가공용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이 수준의 드로잉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500MPa급 수준의 강판이 사용되는 일부 부품에 대체 사용될 경우 자동차 차체의 안정성 및 경량 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와 연신율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성분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이하, 중량%).
탄소(C)의 함량은 0.05~0.3%로 한다. C는 철강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강도 및 연성 등 모든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강판에서는 열연 후 레쓰(lath)조직을 가지는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형성과 역변태 상소둔시 형성되는 오스테나이트양 및 안정화에 영향을 미치는데 탄소의 양이 0.05% 미만이면 레쓰조직의 형성이 불안정하고 소둔 후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도 감소하게 되어 연성과 강도가 저하되고 탄소양이 0.3% 초과하면 냉간압연 하중이 증가하고 용접성이 저하되며, 가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C의 범위를 0.05~0.3%로 제한하였다.
규소(Si)의 함량은 0.3~1.6%로 한다. 탄화물 형성을 억제하여 변태유기소성(TRIP)을 유도하는데 필수적인 고용 탄소량을 확보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Si는 제강시 개재물의 부상분리를 원활하게 하고 용접시 용접금속의 유동성 증가를 위하여 첨가하였다. Si의 양이 0.3% 미만에서는 제강시 개재물 및 MnS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없고, 1.6%를 초과하게 되면 열연 스케일을 유발시키며, 도금성이 나빠지고 용접성도 열화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0.3~1.6%로 제한하였다.
망간(Mn)의 함량은 4.0~7.0%로 한다. 본 발명에서 Mn은 열연 권취 이후 냉각조건에서도 레쓰조직을 얻기 위하여 소입성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역변태 상소둔시 레쓰조직에서 오스테나이트가 형성되는 온도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첨가하였다. 마르텐사이트를 얻기 위한 냉각속도는 망간 당량(= Mn% + 0.45*Si% + 2.67*Mo%)에 의하여 log(임계 냉각속도, 단위 ℃/s)=3.95-1.73*Mn 당량의 관계식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권취 후 냉각속도가 0.005℃/s 이상이므로 최소한 Mn 당량으로 3.6%가 최소한 필요하다. 또한 Mn은 경화능을 크게하여 침상형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와 같은 저온 변태상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며 강도를 증가시키고,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 시키는 성분이므로 소둔시 형성된 오스테나이트를 쉽게 잔류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원소이다. 그러나 Mn이 7% 초과하면 용접성이 저하되고 제강시 슬래그의 조성이 변화하여 내화물 침식이 증가하고 열간압연 전에 가열단계에서 강괴의 표면층 부근에서 입계에 망간산화물을 형성하여 열간압연 후 표면결함을 유발한다. 그리고 열간 압연시 판재의 중앙에 편석대를 형성하며 개재물 형성으로 수소취성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적정 범위를 4.0~7.0%로 제한하였다.
알루미늄(Al)의 함량은 0.5~2.0%로 한다. 본 발명에서 Al의 첨가는 Si 성분과 유사하게 지연파괴를 방지하고 오스테나이트내 고용 탄소량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지연파괴의 주원인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시 계면에서 생기는 내부변형에 의한 잔류응력과 전위밀도의 증가로 인한 수소의 흡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고망간 첨가의 경우 내부의 적층결함에너지(stacking fault energy)가 매우 낮아지므로 엉클어진 전위들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서 전위의 핵(core) 부위에 수소가 흡착시 수소가 빠져나가기 힘들게 되므로 경계면에서 수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Al은 적층결함에너지를 높여주는 원소 중 가장 효과가 좋은 성분으로 내부의 적층결함에너지를 높여서 상대적으로 전위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여 그에 따라 수소가 탈착되기가 용이해서 경계면에서 수소의 농도가 저하되게 된다. Al의 함량이 0.5% 미만에서는 상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 초과하게 되면 수소의 탈착은 용이하지만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이 저하되면서 연성이 상대적으로 저하가 되며 도금 후 표면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니켈(Ni)의 함량은 0.02~0.1%로 한다. Ni는 Mn과 유사한 거동을 하며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성분이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며 분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0.1% 초과하게 되면 강의 연성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0.02~0.1%로 제한한다.
크롬(Cr)의 함량은 0.01~0.1%로 한다. 본 발명에서 Cr의 첨가는 소입성 및 강도상승을 목적으로 한다. 0.1% 초과해서는 담금질 향상의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0.01~0.1%로 제한한다.
티타늄(Ti)의 함량은 0.005~0.03%로 한다. Ti는 Al 및 B 가 본연의 작용을 할 수 있게 두 원소를 고갈시키는 반응(AlN, BN 형성반응)에 필요한 N을 TiN으로 면저 형성시켜 고갈시키는 성분으로, 0.005% 미만에서는 그러한 역활을 하기 힘들며, 0.03%초과에서는 그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0.005~0.03%로 제한한다.
보론(B)의 함량은 5~30ppm으로 한다. B는 강 중에 소량을 첨가해도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 5ppm 이상을 첨가하면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되어 페라이트 형성을 억제하여 경화능 향상에 기여를 하지만 30ppm 초과해서 첨가하면 재결정 온도를 상승시켜서 용접성을 열화시킨다.
안티몬(Sb)의 함량은 0.01~0.03%로 한다. Sb는 적절한 양인 0.01~0.03%를 첨가하면 표면특성을 개선시키나, 0.03%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표면에 농화가 발생하여 표면특성이 오히려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0.01~0.03%로 한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을 만족하는 강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행한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범위를 만족하는 강 슬라브의 가열로 온도의 범위에 해당한다.
상기 열간 마무리 압연 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한다. 550℃ 미만의 권취온도에서는 판형상이 나빠지고 열연판의 강도가 증가되어 냉연시 작업서이 저하되고, 650℃ 초과의 권취온도에서는 밴드상의 베이나이트 조직이 조대하게 형성되어 소둔조직을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가공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권취온도는 550~650℃로 제한하였다.
상기 권취한 다음 염산으로 산세 후 냉간압하율이 30~60%의 범위로 냉간압연한다. 30% 미만에서는 냉간압연에 의한 두께 감소효과가 작고, 60% 초과에서는 압연부하가 증가하여 압연이 어렵기 때문에 냉간압하율을 30~60%로 제한하였다.
상기 냉간압연 이후에 본 발명은 2가지 제조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첫번째 제조방법은 연속소둔 공정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냉간압연 후 670~750℃의 온도범위에서 60초 이상 유지하여 연속소둔한다. 연속소둔에 적용할 수 있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3분 정도로서 상소둔 대비 빠른 C, Mn의 분배반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C, Mn의 확산속도가 빠른 670~750℃ 온도역을 소둔온도로 설정한다. 소둔 중에는 레쓰조직에서 오스테나이트가 형성되어야 하는 온도이므로, 670℃ 미만에서는 강도 및 연성 증대를 위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에 필요한 탄소량의 확보가 어렵고, 750℃ 초과에서는 Si, Al성분원소의 확산이 촉진되기 때문에 탄화물 석출을 억제하지 못하여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소둔온도를 670~750℃로 한정하였으며 소둔시간은 소둔온도에서 평형상태를 얻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60초 이상 유지하면 그 온도범위에서 오스테나이트가 평형상태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연속소둔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냉각한다. 바람직하게는 5~50℃/s의 속도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제조방법은 상소둔 역변태에 의한 제조방법을 다음과 같다.
상기 냉간압연 후 620~720℃의 온도범위에서 1~24시간 소둔한다.
일반적으로 상소둔 역변태의 경우는 소둔온도에서 1시간 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되며 연속소둔의 수십배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소둔온도는 상기의 연속소둔 열처리 범위와 약간 다르다. 상소둔 역변태의 경우는 연속소둔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장시간 유지함으로써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한다. 본 제조방법의 경우 620℃ 미만에서는 탄소분배반응에 필요한 시간확보가 상소둔에서도 상업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리고 720℃이상에서는 성분원소들의 긴 확산시간으로 인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해반응(탄화물 형성반응)으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이 저하 되므로 고연성을 얻지 못한다. 따라서 소둔온도를 620~720℃로 한정하였다.
상소둔 시간은 연속소둔보다는 장시간을 요하며 소둔온도에서 평형상태를 얻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1시간 이하에서는 오스테나이트의 핵생성 및 성장이 불완정하여 다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얻을 수 없고, 24시간은 오스테나이트가 평형상태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상 소둔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한정하였다.
상기 상소둔하고 10~2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한다. 냉간 압연량이 증가하면, 압연에 의하여 도입된 전위가 과다하게 되어, 재결정 거동에 의하여 냉연 전의 레쓰조직이 파괴되고 그 결과 오스테나이트의 형태가 짧은 막대형상의 미세한 조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조직은 연신율을 저하시키므로 상소둔 후 냉각을 일정속도 이상으로 하여 재결정 조직의 형성을 억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속냉각 처리로 레쓰조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냉각속도가 분당 10℃/s 미만에서는 가공성이 저하되고 200℃/s 초과에서는 판형상 및 불균일한 냉각속도에 의한 판형상 불량으로 다량의 냉각공기에 의한 표면산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10~200℃/s로 제한하였다.
상기의 두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냉연강판에 용융아연도금 또는 합금화 아연도금을 한다.
용융아연도금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며, 450~500℃의 온도범위를 갖는 도금욕 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아연도금의 밀착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450℃이상이 바람직하고, 500℃ 초과하는 경우 강판의 합금화가 이루어질 염려가 있어 500℃이하로 제한하였다.
용융아연도금을 하고 필요에 따라 합금화 용융아연도금한다. 합금화 용융아연도금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며, 합금화는 500~600℃의 온도범위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0℃ 미만에서는 합금화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6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재표면에 도금되어 있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층이 증발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60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용융아연도금 또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한 용융아연도금강판은 10㎛이내의 용융아연도금층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조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두가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냉연강판은 거의 동일한 조직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냉연강판의 기지조직은 어닐드마르텐사이트로써 분율은 40~50 % 이고,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20~40 % 이며, 나머지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높은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갖게 하기 위해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범위을 20~40%로 한정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범위를 갖는 강종을 제조하였다. A~H까지 8강종은 본발명의 조성범위에 속하는 강종이고, I~K까지의 3강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강이다.
강종 C Si Mn S Cr Ni Al Ti B(ppm) Sb
A 0.025 0.98 6.69 0.001 0.019 0.054 1.56 0.015 10 0.02
B 0.053 1.00 6.75 0.001 0.020 0.053 1.53 0.018 15 0.02
C 0.109 0.96 6.71 0.001 0.019 0.053 1.57 0.020 10 0.018
D 0.151 0.94 6.74 0.001 0.019 0.053 1.57 0.014 14 0.021
E 0.021 0.45 6.44 0.002 0.018 0.050 1.48 0.018 20 0.022
F 0.045 0.45 6.43 0.002 0.019 0.049 1.48 0.020 18 0.02
G 0.098 0.49 6.57 0.002 0.018 0.051 1.52 0.016 16 0.02
H 0.144 0.50 6.56 0.002 0.019 0.050 1.49 0.015 15 0.016
I 0.025 0.95 6.23 0.001 0.018 0.051 0.04 0.015 17 0.02
J 0.102 0.98 6.54 0.001 0.018 0.053 0.04 0.014 18 0.021
K 0.149 0.56 6.12 0.002 0.019 0.049 0.06 0.106 20 0.02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행한 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산세 후 냉간압하율이 30~60%의 범위로 냉간압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을 표2의 권취온도, 소둔온도 및 소둔시간의 조건으로 연속소둔하였다.
구분 강종 권취온도(℃) 소둔온도(℃) 소둔시간(sec)
1-1 A 600 670 30
1-2 600 670 63
1-3 600 670 180
1-4 600 670 1200
1-5 610 770 60
2-1 B 630 720 30
2-2 630 720 60
2-3 630 720 180
2-4 630 720 1200
2-5 628 640 60
3-1 C 578 740 30
3-2 578 740 60
3-3 578 740 180
3-4 578 740 1200
3-5 590 600 60
4-1 D 580 680 60
4-2 583 610 60
5-1 E 620 690 60
5-2 610 780 60
6-1 F 600 700 60
6-2 624 760 60
7-1 G 634 680 60
7-2 627 600 60
8-1 H 583 670 60
8-2 692 600 60
9-1 I 610 700 60
9-2 602 780 60
10-1 J 605 680 60
10-2 595 600 60
11-1 k 630 710 60
11-2 638 630 60
상기 표 2의 조건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에 대하여 인장강도, 연신율 및 지연파괴 균열길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3에서 지연파괴 균열길이의 평가는 95mm 직경의 원판을 가공하여 45mm 직경의 머리부분이 평평한 펀치로 컵모양으로 드로잉한 다음 에틸알콜에 3일간과 7일간 침적하여 균열의 평균길이를 조사하였다.
표 3에서 발명재는 발명강의 조성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비교재는 발명재의 성분에서 Al성분이 미첨가된 조성과 동일 조성을 가진 강을 열연 후 서로 다른 소둔온도에서 처리를 하였다.
구분 강종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총연신율 (%) 지연파괴균열길이(mm) 비고
3일 7일
1-1 A 830 920 21.3 0 0 비교재1
1-2 836 1082 29.6 0 0 발명재1
1-3 831 1080 29.1 0 0 발명재2
1-4 843 1092 30.2 0 1 발명재3
1-5 989 1280 16.3 0 2 비교재2
2-1 B 842 940 20.2 0 0 비교재3
2-2 841 1087 30.8 0 0 발명재4
2-3 852 1190 29.9 0 0 발명재5
2-4 849 1098 30.2 0 2 발명재6
2-5 819 992 15.1 0 1 비교재4
3-1 C 851 966 22.4 0 0 비교재5
3-2 867 1196 30.6 0 2 발명재7
3-3 878 1112 30.1 0 0 발명재8
3-4 879 1098 29.8 0 0 발명재9
3-5 810 922 17.9 0 2 비교재6
4-1 D 882 1109 30.7 0 2 발명재10
4-2 824 1056 20.4 0 0 비교재7
5-1 E 828 1089 29.7 0 0 발명재11
5-2 938 1162 16.9 0 0 비교재8
6-1 F 839 1097 30.6 0 2 발명재12
6-2 953 1124 15.7 0 1 비교재9
7-1 G 842 1053 28.9 0 3 발명재13
7-2 792 929 17.5 0 3 비교재10
8-1 H 898 1032 30.2 0 0 발명재14
8-2 804 952 18.9 0 0 비교재11
9-1 I 922 1199 28.9 20 21 비교재12
9-2 983 1223 14.4 19 19 비교재12
10-1 J 889 1103 30.9 23 25 비교재14
10-2 852 972 19.8 14 16 비교재15
11-1 K 897 1174 29.2 21 21 비교재16
11-2 912 1053 22.9 18 19 비교재17
또한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행한 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산세 후 냉간압하율이 30~60%의 범위로 냉간압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을 표 4의 권취온도, 소둔온도, 소둔시간 및 냉각속도로 상소둔 역변태하였다.
구분 강종 권취온도(℃) 소둔온도(℃) 소둔시간(hr) 냉각속도(℃/min)
1-1 A 600 650 0.5 50
1-2 600 650 1 50
1-3 600 650 5 50
1-4 600 650 12 50
1-5 610 750 1 50
2-1 B 630 670 0.5 50
2-2 630 670 1 50
2-3 630 670 5 50
2-4 630 670 12 50
2-5 628 600 1 50
3-1 C 578 680 0.5 50
3-2 578 680 1 50
3-3 578 680 5 50
3-4 578 680 12 50
3-5 590 740 1 50
4-1 D 580 660 5 50
4-2 583 610 5 50
5-1 E 620 690 5 50
5-2 610 750 5 50
6-1 F 600 700 5 50
6-2 624 760 5 50
7-1 G 634 640 5 노냉
7-2 627 600 5 노냉
8-1 H 583 630 5 노냉
8-2 692 600 5 노냉
9-1 I 610 650 5 50
9-2 602 750 5 50
10-1 J 605 630 5 50
10-2 595 600 5 50
11-1 K 630 700 5 노냉
11-2 628 640 5 노냉
표 5는 본 발명재와 비교재의 상소둔 역변태 소둔열처리 후 인장강도, 연신율 및 지연파괴길이를 조사하여 나타내었다. 지연파괴길이의 특성평가는 상기와 동일하게 조사하였다.
구분 강종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총연신율 (%) 지연파괴균열길이(mm) 비고
3일 7일
1-1 A 830 920 25.3 0 1 비교재1
1-2 736 982 35.2 0 0 발명재1
1-3 731 980 37.1 0 1 발명재2
1-4 743 992 36.2 0 0 발명재3
1-5 789 880 24.3 0 0 비교재2
2-1 B 842 940 24.2 0 0 비교재3
2-2 741 987 36.8 0 0 발명재4
2-3 752 990 35.9 0 0 발명재5
2-4 749 1001 35.3 0 1 발명재6
2-5 798 852 25.1 0 2 비교재4
3-1 C 851 966 22.4 0 0 비교재5
3-2 767 996 37.6 0 1 발명재7
3-3 781 1012 36.1 0 0 발명재8
3-4 779 998 36.4 0 1 발명재9
3-5 780 882 24.9 0 0 비교재6
4-1 D 782 1009 39.9 0 2 발명재10
4-2 764 956 29.4 0 0 비교재7
5-1 E 728 989 34.5 0 0 발명재11
5-2 778 962 26.9 0 0 비교재8
6-1 F 739 991 35.6 0 1 발명재12
6-2 753 953 27.8 0 1 비교재9
7-1 G 842 943 26.4 0 0 비교재10
7-2 792 919 28.5 0 0 비교재11
8-1 H 798 932 25.7 0 0 비교재12
8-2 834 952 27.9 0 2 비교재13
9-1 I 752 999 27.3 22 24 비교재14
9-2 783 923 26.4 18 19 비교재15
10-1 J 789 1003 36.9 21 23 비교재16
10-2 852 972 27.8 15 18 비교재17
11-1 K 797 934 25.8 24 27 비교재18
11-2 812 951 24.9 16 17 비교재19
본 발명의 두가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명재의 경우 모두 동일 성분계에서 소둔온도를 발명범위 내에서 처리하였을 때 비교재 대비 연신율은 약 8~10% 증가하는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재는 Al성분이 미첨가된 비교재와 동일 제조방법으로 처리하더라도 인장강도, 연신율은 유사한 특성을 가졌지만, 지연파괴 균열길이가 상당히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명재의 경우 지연파괴 균열길이가 3일, 7일 후에도 거의 0mm(내지연파괴특성 양호)였지만, 비교재의 경우 15~20mm여서 본 발명재의 조성 중 Al첨가는 내지연파괴 특성을 개선시킴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재는 발명조성으로 2가지 제조방법으로 발명을 하였는데 발명재는 모두 980MPa 이상의 인장강도, 28% 이상의 연신율 및 우수한 내지연파괴 특성을 가지므로 기존의 고강도 강판에 비하여 연성이 매우 우수하고 동시에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높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가지는 고강도 강판의 단점인 지연파괴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드로잉용으로도 사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냉연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의 분율은 기지조직인 어닐드마르텐사이트가 40~50%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20~40%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고강도 냉연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980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28%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냉연강판.
  4.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고, 용융아연도금층 또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5.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30~60%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670~750℃의 온도범위에서 60초 이상 유지하여 연속소둔하고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6.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30~60%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620~720℃의 온도범위에서 1~24시간 상소둔 역변태 처리하는 단계; 및
    10~2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7.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30~60%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670~750℃의 온도범위에서 60초 이상 유지하여 연속소둔하고 냉각하는 단계; 및
    450~50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아연도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8.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30~60%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670~750℃의 온도범위에서 60초 이상 유지하여 연속소둔하고 냉각하는 단계;
    450~50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아연도금하는 단계; 및
    500~600℃에서 합금화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9.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30~60%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620~720℃의 온도범위에서 1~24시간 상소둔 역변태 처리하는 단계;
    10~2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및
    450~50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아연도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10. 중량%로 C: 0.05~0.3%, Si: 0.3~1.6%, Mn: 4.0~7.0%, Al: 0.5~2.0%, Cr: 0.01~0.1%, Ni: 0.02~0.1%, Ti: 0.005~0.03%, B: 5~30ppm, Sb: 0.01~0.03%, S:0.008% 이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880~92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하는 단계;
    550~6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염산으로 산세 후 30~60%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620~720℃의 온도범위에서 1~24시간 상소둔 역변태 처리하는 단계;
    10~2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450~50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아연도금하는 단계; 및
    500~600℃에서 합금화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80046718A 2008-05-20 2008-05-20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18A KR101027250B1 (ko) 2008-05-20 2008-05-20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2/993,271 US9109273B2 (en) 2008-05-20 2008-09-01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510406A JP5470375B2 (ja) 2008-05-20 2008-09-01 高延性及び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溶融亜鉛メッキ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08/005132 WO2009142362A1 (en) 2008-05-20 2008-09-01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18A KR101027250B1 (ko) 2008-05-20 2008-05-20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59A true KR20090120759A (ko) 2009-11-25
KR101027250B1 KR101027250B1 (ko) 2011-04-06

Family

ID=4134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18A KR101027250B1 (ko) 2008-05-20 2008-05-20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9273B2 (ko)
JP (1) JP5470375B2 (ko)
KR (1) KR101027250B1 (ko)
WO (1) WO2009142362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8255A (ko) * 2012-03-19 2014-12-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KR20160006166A (ko) * 2013-03-15 2016-01-18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향상된 내마모성 강철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65311A (ko) 2014-11-28 2016-06-09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시 크랙 발생이 저감된 고연성 고강도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2898A (ko) 2014-12-15 2016-06-24 주식회사 포스코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05115A1 (ko) * 2014-12-23 2016-06-3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도금밀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7483A (ko) *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인산염처리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7571A (ko) *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9440A (ko) * 2013-11-22 2016-07-2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19616A (ko) * 2016-03-29 2018-11-0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핫 프레스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핫 프레스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10174411B2 (en) 2013-03-04 2019-01-08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s amended)
US10301701B2 (en) 2014-02-18 2019-05-28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9007678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195761A (zh) * 2018-12-11 2021-07-30 日本制铁株式会社 成形性及耐冲击性优异的高强度钢板以及成形性及耐冲击性优异的高强度钢板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2830B4 (de) * 2010-03-25 2017-06-0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raftfahrzeugkomponente und Karosseriebauteil
EP2383353B1 (de) 2010-04-30 2019-11-06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Höherfester, Mn-haltiger Stahl, Stahlflachprodukt aus einem solchen Stah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5825119B2 (ja) * 2011-04-25 2015-1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と材質安定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534372B (zh) * 2011-06-30 2016-02-10 现代制铁株式会社 耐撞性优良的热硬化钢及使用其制造热硬化部件的方法
JP5440672B2 (ja) 2011-09-16 2014-03-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2981B1 (ko) * 2011-11-07 2014-04-09 주식회사 포스코 온간프레스 성형용 강판, 온간프레스 성형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5982906B2 (ja) * 2012-03-19 2016-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888267B2 (ja) * 2012-06-15 2016-03-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5962540B2 (ja) * 2012-07-23 2016-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5962541B2 (ja) * 2012-07-23 2016-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KR101449119B1 (ko) * 2012-09-04 2014-10-08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강성 및 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215525B (zh) * 2013-05-10 2015-05-20 江苏永昊高强度螺栓有限公司 螺栓用合金钢
WO2015001367A1 (en) 2013-07-04 2015-01-08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Cold rolled steel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and vehicle
WO2015011510A1 (en) * 2013-07-25 2015-01-29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Spot welded joint using high strength and high forming and its production method
WO2016001703A1 (en) 2014-07-03 2016-01-07 Arcelormitt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sheet obtained by the method
WO2016001705A1 (en) 2014-07-03 2016-01-07 Arcelormitt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formability and ductility and sheet obtained
WO2016001699A1 (en) * 2014-07-03 2016-01-07 Arcelormitt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formability and sheet obtained
JP7053267B2 (ja) * 2015-05-21 2022-04-12 クリーブランド-クリフス スティール プロパティーズ、インク. 高マンガン第3世代先進高張力鋼
DE102015111866A1 (de) 2015-07-22 2017-01-26 Salzgitter Flachstahl Gmbh Umformbarer Leichtbaustahl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bzeug aus diesem Stahl
KR101677396B1 (ko) * 2015-11-02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 및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14695B2 (en) * 2015-11-26 2023-11-14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US11414720B2 (en) 2016-01-29 2022-08-16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for warm wor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252709B2 (ja) * 2016-01-29 2017-1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温間加工用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98771B1 (ko) 2016-06-21 2017-11-17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01569B1 (ko) * 2016-08-23 2022-05-23 잘쯔기터 플래시슈탈 게엠베하 추가 처리를 위한 향상된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 유형의 강 스트립
KR102043524B1 (ko) 2017-12-26 2019-11-12 주식회사 포스코 초고강도 열연 강판, 강관,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TW202006154A (zh) * 2018-07-18 2020-02-01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鋼板
WO2021105489A1 (en) * 2019-11-27 2021-06-03 Tata Steel Ijmuiden B.V. Method of making a cold formable high strength steel strip and steel strip
KR20240056534A (ko) * 2021-08-31 2024-04-30 아르셀러미탈 열간 압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A3229396A1 (en) * 2021-08-31 2023-03-09 Arcelormittal Hot rolled an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7303B2 (ja) * 1991-09-17 2002-08-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局部延性の優れた高張力薄鋼板とその製造法
JPH07138345A (ja) 1993-11-16 1995-05-30 Toshiba Chem Corp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半導体封止装置
KR100276308B1 (ko) * 1996-12-10 2000-12-15 이구택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제조방법
KR20000043762A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연성이 향상된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FR2796083B1 (fr) * 1999-07-07 2001-08-31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s en alliage fer-carbone-manganese, et bandes ainsi produites
JP4060997B2 (ja) 1999-08-27 2008-03-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曲げ性と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と高強度亜鉛めっき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88550A (ja) 2000-01-31 2001-10-19 Kobe Steel Ltd 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4299451B2 (ja) 2000-11-14 2009-07-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55317A (ja) 2000-11-16 2002-05-31 Kawasaki Steel Corp 深絞り性および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552314B2 (ja) 2000-12-04 2010-09-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高延性冷延鋼板
JP3809074B2 (ja) 2001-03-30 2006-08-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めっき密着性および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2055751A1 (fr) 2000-12-29 2002-07-18 Nippon Steel Corporation Plaque d'acier a placage en zinc moule a haute resistance possedant une excellente adhesion en depot et parfaitement adaptee au formage a la press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BR0210265B1 (pt) 2001-06-06 2013-04-09 folha de aÇo galvanizado ou galvanelado com imersço a quente.
JP3857939B2 (ja) 2001-08-20 2006-12-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局部延性に優れた高強度高延性鋼および鋼板並びにその鋼板の製造方法
FR2833970B1 (fr) 2001-12-24 2004-10-15 Usinor Demi-produit siderurgique en acier au carbone et ses procedes de realisation, et produit siderurgique obtenu a partir de ce demi-produit, notamment destine a la galvanisation
FR2836930B1 (fr) * 2002-03-11 2005-02-25 Usinor Acier lamine a chaud a tres haute resistance et de faible densite
KR100957993B1 (ko) * 2002-10-31 2010-05-17 주식회사 포스코 저항복비와 우수한 연신율을 갖는 고강도 냉연강판의제조방법
JP4091894B2 (ja) 2003-04-14 2008-05-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水素脆化、溶接性、穴拡げ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35030B2 (ja) 2003-05-21 2009-03-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局部成形性に優れ溶接部の硬さ上昇を抑制した引張強さが780MPa以上の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高強度表面処理鋼板
EP1512760B1 (en) 2003-08-29 2011-09-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processi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08104B1 (ko) * 2003-10-02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120kgf/㎟급 초고강도 강 및 그제조방법
JP4317418B2 (ja) 2003-10-17 2009-08-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
JP4119832B2 (ja) 2003-12-24 2008-07-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プレス成型性、耐食性および二次加工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37201A (ja) 2004-07-29 2006-02-09 Kobe Steel Ltd 耐食性に優れた船舶用鋼材
TWI311163B (en) 2004-10-07 2009-06-21 Jfe Steel Corporatio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40093B2 (ja) * 2004-10-07 2012-10-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4551815B2 (ja) * 2004-12-28 2010-09-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水素脆化特性及び加工性に優れた超高強度薄鋼板
CA2531616A1 (en) 2004-12-28 2006-06-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thin steel sheet having high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ing property and high workability
KR100764253B1 (ko) 2005-01-28 2007-10-05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내수소취화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용 강
EP1960562B1 (en) 2005-12-09 2015-08-26 Posco High strenght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coating property, zinc-based metal plated steel sheet made of it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742833B1 (ko) 2005-12-24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이 우수한 고 망간 용융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882446B2 (ja) * 2006-03-28 2012-0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882447B2 (ja) * 2006-03-28 2012-0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797807B2 (ja) * 2006-05-30 2011-10-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剛性低密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8255A (ko) * 2012-03-19 2014-12-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US10837074B2 (en) 2012-03-19 2020-11-17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and high 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US10174411B2 (en) 2013-03-04 2019-01-08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s amended)
KR20160006166A (ko) * 2013-03-15 2016-01-18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향상된 내마모성 강철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89440A (ko) * 2013-11-22 2016-07-2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10301701B2 (en) 2014-02-18 2019-05-28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60065311A (ko) 2014-11-28 2016-06-09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시 크랙 발생이 저감된 고연성 고강도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2898A (ko) 2014-12-15 2016-06-24 주식회사 포스코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05115A1 (ko) * 2014-12-23 2016-06-3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도금밀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7571A (ko) *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7567A (ko) *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도금밀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0793936B2 (en) 2014-12-23 2020-10-06 Posco High 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ies, plating adhesion, an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60077483A (ko) *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인산염처리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9616A (ko) * 2016-03-29 2018-11-0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핫 프레스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핫 프레스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678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195761A (zh) * 2018-12-11 2021-07-30 日本制铁株式会社 成形性及耐冲击性优异的高强度钢板以及成形性及耐冲击性优异的高强度钢板的制造方法
CN113195761B (zh) * 2018-12-11 2022-08-09 日本制铁株式会社 成形性及耐冲击性优异的高强度钢板以及成形性及耐冲击性优异的高强度钢板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09273B2 (en) 2015-08-18
WO2009142362A1 (en) 2009-11-26
KR101027250B1 (ko) 2011-04-06
JP2011523442A (ja) 2011-08-11
US20110083774A1 (en) 2011-04-14
JP5470375B2 (ja)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250B1 (ko) 고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32972B1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KR100851158B1 (ko) 충돌특성이 우수한 고망간형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522B1 (ko) 항복강도 및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5319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449134B1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1445B1 (ko) 도금밀착성 및 충격특성이 우수한 열간성형 가공용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이 강판을 이용한열간성형부품의 제조방법
JP2011509341A (ja)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亜鉛メッキ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9613B1 (ko) 굽힘 가공성과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117381B2 (ja) 冷間圧延された被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75589A (ko)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4457681B2 (ja) 高加工性超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08099B1 (ko) 연성이 우수하고 에지부 균열이 없는 고강도 강판,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A3141566C (en) Cold rolled and co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115739B1 (ko) 점용접성, 강도 및 연신율이 우수한 자동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BR112021003583A2 (pt) chapa de aço laminada a frio, método de produção, uso e veículo
JP4265152B2 (ja) 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65153B2 (ja) 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1429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15790B1 (ko) 점용접 특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5322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20100137196A (ko) 내충돌특성이 우수한 열간성형 가공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과 고강도 자동차용 구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68051B1 (ko) 연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0720A (ko) 고강도 고가공성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782760B1 (ko) 고 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