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187A -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계수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187A
KR20140138187A KR1020147026237A KR20147026237A KR20140138187A KR 20140138187 A KR20140138187 A KR 20140138187A KR 1020147026237 A KR1020147026237 A KR 1020147026237A KR 20147026237 A KR20147026237 A KR 20147026237A KR 20140138187 A KR20140138187 A KR 20140138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rotating body
shape
dru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고이케
미츠히로 미타니
마사오 후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3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2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to be made while the machine is 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4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by shape or form, e.g. by using shap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4Customised on demand packaging by determining a specific characteristic, e.g. shape or height,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and selecting, creating or adapting a packaging accordingly, e.g. making a carton starting from web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는,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35)와,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기 위한 약제 형상 특정부(84)와, 약제의 형상과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회전체(35)를 회전시키는 제어부(8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계수 장치{DRUG-SUPPLYING DEVICE AND DRUG-COUNTING DEVICE}
본 발명은,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정제나 캡슐제 등의 약제를 1개씩 공급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 및 이 약제 공급 장치를 갖춘 약제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은 물건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공급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공급 장치는, 제1 구동 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와, 제2 구동 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환형의 제2 회전체를 갖는다. 제1 회전체의 제1 회전축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제2 회전체의 제2 회전축은 수직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체는, 경사에 의해서 상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2 회전체의 내주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회전체의 내주부에는, 제1 회전체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벽(frame wall)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급 장치에서는,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공급물이 상단부에서 제2 회전체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회전체 상에 설치한 규제체에 의해, 소정 자세로 되어 있는 공급물만을 하류 측으로 통과시키고, 다른 자세의 공급물은 제2 회전체의 내주부에서 제1 회전체 상으로 낙하된다. 그 때문에, 공급하는 공급물끼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급 장치에서는, 약제의 공급에 사용한 경우, 2 이상의 공급물이 동시에 규제체를 통과하여, 직경 방향으로 2열 나란한 상태에서 배출구로의 안내부에 공급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안내부의 입구에서 막힘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고 평1-51403호 공보
본 발명은, 약제를 하나씩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기 위한 약제 형상 특정부와,
상기 약제의 형상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약제의 형상 차이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 속도가 동일했다고 해도, 불출부에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도 있고, 아무리 해도 배출되지 않는 것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약제의 형상 차이에 따른 회전체에 의한 반송 상태의 차이를 고려하여, 그 형상 차이에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약제를 하나씩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약제가 배출되는 간격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과, 그 약제의 간격을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약제의 간격 차이에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형상 등이 다른 어느 약제라도 일정 간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약제를 하나씩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계수 장치를,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기 위한 약제 형상 특정부와,
상기 약제의 형상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배출수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를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약제를 하나씩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결과, 검출부에 의한 계수의 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거나, 반대로 짧아서 적절히 계수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계수 장치를,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약제의 간격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배출수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를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에 기초하여, 직접적으로 약제의 간격이 적절하게 되도록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의 형상 등의 조건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원하는 간격으로 검출부에서의 검출을 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인 계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는, 약제의 평면 형상과 측면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약제 형상을, 평면 및 측면의 2 방향에서 파악하는 것만으로 기계적으로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약제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약제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 이상이라면 약제의 배출수가 1이라고 하여 계수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와 약제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드 테이블에 의해 결정한 회전 속도로부터 특정되는 약제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을 초과하면 약제의 배출수가 1이라고 하여 계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기준 체적이란, 어떤 약제에 관해서, 공지된 여러 가지 수법에 의해 측정한 체적이나, 제약 메이커로부터 제시된 체적을 의미한다. 회전체를 회전시켜 약제를 불출하고,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체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산출한 체적은 2회 이후의 처방의 불출 시에 사용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약제의 형상 혹은 회전체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약제의 배출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잘못하여 배출 과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이물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이물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을 초과하면 계수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와 이물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드 테이블에 의해 결정한 회전 속도로부터 특정되는 이물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을 초과하면 계수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약제의 형상 혹은 회전체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약제의 배출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잘못하여 배출 부족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가 저하하기 시작하는 약제의 배출 잔여수를 연관시키는 슬로우다운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서 약제의 배출수를 뺀 수가,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배출 잔여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마지막 정제를 배출하기 전단계에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회전체의 정지 후에 잘못하여 약제가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 잔여수는 상기 약제의 형상에 따라서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 잔여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이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약제의 반송 상태에 알맞은 배출 잔여수로 회전체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한층 더 적절하게, 회전체의 정지 후에 잘못해서 약제가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의 저하를 다단계로 행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다 섬세하고 치밀하게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배출 과잉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인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배출수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를 역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히, 회전체의 정지 후에 이동하기 쉬운 약제라도, 확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의 위쪽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높이 규제 부재와,
상기 약제의 기준 높이를 특정하기 위한 약제 높이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높이 보정 계수를 연관시키는 높이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높이 보정 계수와, 상기 약제 높이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되는 기준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높이 규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높이 규제 부재에 의해서 회전체로 반송할 수 있는 약제의 높이 치수를 제한하면서 간극 치수를 보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약제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상기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폭 규제 부재와,
상기 약제의 기준 폭을 특정하기 위한 약제 폭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폭 보정 계수를 연관시키는 폭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폭 보정 계수와, 상기 약제 폭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되는 기준 폭에 기초하여, 상기 폭 규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폭 규제 부재에 의해서 회전체로 반송할 수 있는 약제의 폭 치수를 제한하면서 폭 치수를 보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약제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된 약제의 형상 차이에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그 형상에 따른 적절한 속도로 반송할 수 있어, 배출되는 약제를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계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를 이용한 약제 계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각 회전체 및 각 규제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약제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약제 공급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a는 약제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약제 공급 장치의 각 부재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약제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폭 규제체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약제 계수 장치의 전환 밸브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의 개념도이다.
도 9B는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약 용기로의 불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b는 불출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c는 회수 용기로의 회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a는 감사대를 병설한 약제 계수 장치의 변형예를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b는 감사대를 병설한 약제 계수 장치의 변형예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a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약 용기의 내부로 불출된 약제의 화상이다.
도 12b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약 용기 측면의 처방 데이터의 화상이다.
도 12c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3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불출 도중의 약제의 촬상 화상이다.
도 12d는 약제를 약 용기에 회수한 후, 보존용으로 촬상한 화상을 도시한다.
도 13은 약제 계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초기 작동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조작 패널에 각종 약제를 위에서 본 형상(평면 형상)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서 평면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표시되는 확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에서 OK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표시되는 각종 약제를 측방에서 본 형상(측면 형상)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도 13의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약제 배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a는 도 13의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자동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B는 도 13의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자동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카운트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a는 약제인 정제의 공급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단면도이다.
도 22a는 약제인 캡슐제의 공급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의 단면도이다.
도 23a는 리브를 설치한 제2 회전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c는 리브를 갖는 제2 회전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체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잔류 약제 검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잔류 약제 검출 처리에서의 인터럽트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약제 배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약제 배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결품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약병 이탈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회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약제 계수 장치에 있어서의 제2 회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계수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계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약제 계수 장치의 검출부에 있어서의 약제의 검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약제 계수 장치의 사이드 카메라에 의한 약제의 촬영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38은 도 25 및 도 26의 잔류 약제 검출 처리에 있어서의 회전체 등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39는 도 27의 촬영 처리에 있어서의 회전체 등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40은 도 28 및 도 29의 약제 배출 처리에 있어서의 회전체 등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41은 도 32의 제1 회수 처리에 있어서의 회전체 등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42는 도 33의 제2 회수 처리에 있어서의 회전체 등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43은 도 36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상 조정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높이 규제체와 제2 회전체 사이를 약제가 통과할 때의 약제의 자세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5는 도 7b의 A-A선 단면도(외측 가이드, 내측 가이드 및 제2 회전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외측 가이드와 내측 가이드 근방의 제2 회전체를 도시하는 평면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 「측」, 「단」을 포함하는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1.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계수 장치를 도시한다. 이 약제 계수 장치는, 약제 공급 장치와, 전환 밸브 유닛(76)(도 8 참조) 및 제어부(83)(도 13 참조)를 구비하며, 약제 공급 장치의 기구를 자동 조정하여,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약제를 1개씩 공급하여 계수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제 공급 장치의 외장체(10)는, 상측에 위치하는 외장체 본체(11)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가대(架臺)(16)를 구비하고 있다. 외장체 본체(11)는, 사방 및 상하를 폐색한 하우징이며, 그 전방 커버(12)는, 가대(16)보다 전방으로 팽출된 형상을 이룬다. 전방 커버(12)에는, 도면 중 좌측에, 환자에게 건네주는 약 용기(1) 및 약제를 보관하는 회수 용기(2)를 부착하기 위한 용기 부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장체 본체(11)의 뒤쪽에는 상부 커버(14)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부 커버(14)에는, 후술하는 프레임체(17) 안을 노출시키기 위한 투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가대(16)는, 외장체 본체(11)가 상부에 배치되는, 상단이 개구된 하우징이다. 가대(16)는, 외장체 본체(11)에 부착한 용기(1, 2)가 탑재면인 책상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외장체 본체(11)를 소정 높이에 배치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다.
(1-1. 약제 공급 장치)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제 공급 장치는, 대략 통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체(17)와, 원판형을 이루는 제1 회전체(23)와, 원환형을 이루는 제2 회전체(35)와, 공급하는 약제 높이를 규제하는 높이 규제체(41)와, 제2 회전체(35)의 이송 폭을 규제하는 폭 규제체(52)를 구비하고 있다. 폭 규제체(52)는 수지 성형품이며, 거기에는 일체적으로 외측 가이드(5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가이드(66)와 폭 규제체(52)의 외측 가이드(57)에 의해 약제 안내부(65)(도 1 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1-1-1. 프레임체)
프레임체(17)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를 덮는 칸막이벽(18)과, 제2 회전체(35)의 외주부를 덮는 외벽(20)을 갖는다. 이들은, 외장체 본체(11)의 상면판에 대하여 위아래에 각각 고정된다. 칸막이벽(18)은,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부터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에 걸쳐서 뻗으며, 이들 사이를 구획하는 대략 원통형의 것이다. 이 칸막이벽(18)의 외주부 하측의 일부에는, 제1 회전체(23)의 제1 구동 모터(28)를 고정하는 회동 브래킷(3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외벽(20)은, 제2 회전체(35) 상의 약제의 탈락을 방지하는 원통형으로 된 것이다. 이 외벽(20)에는, 외주부 상측의 일부에 제1 절결부(21)가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부 하측의 일부에 제2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절결부(21)는, 제2 회전체(35)를 노출시키는 동시에, 폭 규제체(52) 및 약제 안내부(65)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절결부(22)는, 제2 회전체(35)의 기어 부재(38)를 측방에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프레임체(17)는 칸막이벽(18) 및 외벽(20)을 일체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1-1-2. 제1 회전체)
제1 회전체(23)는 원판형을 이루며, 칸막이벽(18)의 바닥을 막도록, 이 칸막이벽(18) 내에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즉,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의 제1 회전축(24)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회전체(23)의 상면에는, 약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저항(회전 억제)이 되는 복수의 돌조부(2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는 사면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사면부(26)는, 상단인 내주연부가 제2 회전체(35)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인 외주연부가 내주연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경사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체(23)에는, 제1 회전축(24)의 하단에 톱니바퀴(27)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톱니바퀴(27)가 제1 구동 모터(28)의 출력축에 연결된 톱니바퀴(29)에 맞물려져, 제1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회전축(24) 및 제1 구동 모터(28)는 회동 브래킷(30)(도 5 참조)에 부착되어 있다. 이 회동 브래킷(30)의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용의 베어링이 배치되고, 이 베어링이, 외장체 본체(11)에 고정한 장착 브래킷(31)(도 2 참조)의 안내 홈에 계착(係着)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동 브래킷(30)의 측면에는, 원호형을 이루는 기어편(32)이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편(32)에는, 각도 조정 수단인 각도 조정 모터(33)의 톱니바퀴(34)가 맞물려져 있다. 이 각도 조정 모터(33)의 구동에 의해, 장착 브래킷(31)에 대하여 회동 브래킷(30)을 회동할 수 있다. 회동 브래킷(30)이 회동되면, 제1 구동 모터(28)와 함께 제1 회전체(23)가 회동되어, 이 제1 회전체(23)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1-1-3. 제2 회전체)
제2 회전체(35)는, 제1 회전체(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칸막이벽(18)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원환형으로 된 것이다.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는, 도시하지 않는 제2 회전축이 수직 방향으로 뻗도록 수평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35)의 제2 회전축은, 제1 회전체(23)의 제1 회전축(24)과는 다른 방향(평행하지 않고, 동일하지 않은 방향)에서 교차하여 뻗어나간다. 이들 회전축의 각도는, 상술한 것과 같이 각도 조정 모터(33)의 구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2 회전체(35)는, 제2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보면, 제1 회전체(23)의 외측에 위치하고, 내주부(36) 내에 제1 회전체(23)가 위치한다. 또한,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와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는, 제1 회전체(23)의 경사에 의해,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 대하여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가 낮아지고, 그 사이에 소정 높이의 단차가 형성된다. 이 단차는, 제1 회전체(23)의 경사에 의해, 도면 중 좌측인 수직 방향 하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장 크고, 도면 중 우측인 수직 방향 상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장 작아진다. 그리고, 이 단차가 가장 작아지는 부분이, 제1 회전체(23)가 회전함으로써, 제1 회전체(23)와 칸막이벽(18)에 의해 구획된 수용 공간에 공급된 약제가, 제1 회전체(23)에서 제2 회전체(35)로 옮겨타는 이동부(37)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동부(37)는,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를,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에 대하여 약제가 탈락하지 않을 정도의 간극을 두면서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단, 이 이동부(37)에서의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 및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의 높이 설정은, 약제가 제1 회전체(23)에서 제2 회전체(35)로 옮겨타는 것이 가능하다면,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를 제1 회전체(23)의 외주부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더라도 좋고, 하측에 위치시키더라도 좋다.
제2 회전체(35)의 하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환형을 이루는 기어 부재(38)가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 부재(38)에는, 제2 구동 수단인 제2구동 모터(39)의 톱니바퀴(40)가, 외벽(20)의 제2 절결부(22)를 통해서 맞물려져 있다. 또한, 기어 부재(38)는, 외주부가 도시하지 않는 지지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측 회전 부재는, 제2 회전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일없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1-1-4. 높이 규제체)
높이 규제체(41)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 부재(42)와, 가설(架設) 부재(44)와, 작동 받음 부재(45)를 구비하고, 제2 회전체(35)의 이동부(37)에 대하여 회전(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이며,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높이 규제 부재(42)는, 제2 회전체(35)의 외주부에서부터 내주부(36)에 걸쳐서 뻗는 동시에, 약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가이드면(43)을 갖추고 있다. 가설 부재(44)는, 높이 규제 부재(42)에 연결되어, 이 높이 규제 부재(42)를 폭 규제체(52)를 걸쳐서 제2 회전체(35) 상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작동 받음 부재(45)는, 가설 부재(44)에 연결되어, 이 가설 부재(44)를 통해 높이 규제 부재(42)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받는 것이다. 이 작동 받음 부재(45)에는, 동력을 받기 위한 나사 구멍(46)(도 3 참조)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높이 규제체(41)의 나사 구멍(46)에는 나사 부재(47)가 관통되어 있다. 나사 부재(47)는, 외장체 본체(11)의 상면판에 고정된 브래킷에 의해, 회전 가능하면서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나사 부재(47)의 하단에는 톱니바퀴(48)가 연결되어 있다. 톱니바퀴(48)에는, 높이 조정 수단인 높이 조정 모터(49)의 톱니바퀴(50)에 맞물려져 있다. 높이 조정 모터(49)의 구동에 의해 나사 부재(47)를 회전시켜, 높이 규제체(41)와 제2 회전체(35)의 상면의 간격이, 약제 높이와 대략 동일 간격을 두고서 위치하도록 높이 조정된다. 또한, 높이 규제체(41)의 하류 측에는, 이 높이 규제체(41)의 하부를 통과한 약제를 검출하는 약제 검출 센서(51)가 배치되어 있다.
(1-1-5. 폭 규제체)
폭 규제체(52)는, 높이 규제체(41)의 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에서, 제2 회전체(35) 상에 배치되어 있다. 폭 규제체(52)는, 제2 회전체(35)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는 직사각형부(53)를 갖추고 있다. 직사각형부(53)는, 높이 규제체(41)의 가설 부재(44)가 우회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설 부재(44)에 간섭하는 일없이,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폭 규제체(52)는, 직사각형부(53)의 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에 폭 규제부(54)가 연속되어 있다. 폭 규제부(54)는,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1 만곡면부(55)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와의 간격은, 둘레 방향의 일부만이 가장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부터 제1 만곡면부(55)까지의 약제가 통과 가능한 폭(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와 제1 만곡면부(55)와의 가장 좁은 폭)을 이송 폭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폭 규제체(52)는, 제1 만곡면부(55)의 폭 규제부(54)의 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에, 약제 안내부(65)를 구성하는 외측 가이드(57)가 연속되어 있다. 외측 가이드(57)는, 제1 만곡면부(55)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동시에, 직사각형부(53)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만곡면부(55)는, 약제 이송 방향의 상류측 부분과 하류측 부분에서 곡률 반경을 다르게 하여도 좋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상류측 부분의 곡률 반경은, 하류측 부분의 곡율 반경보다도 작으면서, 제1 회전체(23)의 외주연부의 곡율 반경보다도 크게 하면 된다. 또한, 도 7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선분 A1(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부터 제1 만곡면부(55)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부분(Q)과 제2 회전체의 회전 중심(T)을 연결하는 선분)과, 선분 A2(제1 만곡면부(55)의 약제 이송 방향의 하류 측의 단부(R)와 상기 회전 중심(T)을 연결하는 선분)이 이루는 각도는, 20°~70°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약제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폭 규제체(52)의 폭 규제부(54)에는, 직사각형부(53)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도록 연결 부재(58)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58)에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와 마찬가지로 작동 받음 부재(59)가 연결되어 있다. 작동 받음 부재(59)의 나사 구멍(60)에는 나사 부재(61)가 관통되어 있다. 나사 부재(61)는, 외장체 본체(11)의 상면판에 고정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나사 부재(47)의 바깥단에는 톱니바퀴(62)가 연결되어 있다. 톱니바퀴(62)에는, 폭 규제체(5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 조정 모터(63)의 톱니바퀴(64)가 맞물려져 있다. 폭 조정 모터(63)에 의해서 폭 규제체(52)가 제2 회전체(35)에 대하여 외측으로 이동되면, 폭 규제부(54)와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 사이의 이송 폭 및 외측 가이드(57)와 후술하는 내측 가이드(66) 사이의 간격을 넓일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체(35)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동되면, 제2 회전체(35)의 이송 폭 및 각 가이드(57, 66)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규제부(54)의 제1 만곡면부(55)의 직경(곡율 반경)은,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와의 사이의 이송 폭(W)에 대하여, 외측 가이드(57)와 내측 가이드(66) 사이의 폭이 약 2배(2W)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송 폭(W)을, 이송하는 약제 폭의 1/2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평면에서 봤을 때 타원형이나 평면에서 봤을 때 장원형인 약제에 있어서, 약제 폭이란 짧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송 폭(W)은, 약제 폭의 1/2에 한정되지 않고, 약제 폭의 1/2 이상 약제 폭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안내부(65)는, 폭 규제체(52)의 폭 규제부(54)를 통과한 약제를, 약제 배출구인 후술하는 약제 불출 부재(73)로 안내하는 것이다. 약제 안내부(65)는, 도 3 및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규제체(52)의 폭 규제부(54)보다 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제2 회전체(35)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약제 안내부(65)를 구성하는 내측 가이드(66)는, 외측 가이드(57)에 대하여 제2 회전체(35)의 직경 방향 내측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동시에,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가이드(66)는 약제 불출 부재(73)에 걸쳐서 뻗으며, 그 단부에 외장체 본체(11)의 상판부에 고정하는 브래킷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약제 안내부(65)를 구성하는 가이드(57, 66)의 간격은, 폭 조정 모터(63)의 구동에 의해 약제 폭과 대략 동일 간격으로 조정된다. 또한, 내측 가이드(66)에는, 제1 회전체(23)와 제2 회전체(35)의 단차 상에 위치하는 부분에, 소정 각도로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가장자리(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 가장자리(68)의 내면 측은,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9)(경사 가장자리(68)의 제2 회전체(35)의 회전축 측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면(69))으로 되어 있다.
약제 계수 장치는, 약제 안내부(65)의 출구에 배치된 약제 불출 부재(73)의 하부에,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제를 검출하는 약제 검출 유닛(70)과, 이 약제 검출 유닛(70)으로의 약제의 배출을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셔터(74)와, 약제 검출 유닛(70)을 통과한 약제를 배분하는 전환 밸브 유닛(76)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약제 불출 부재(73)는, 제2 회전체(35)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약제 배출구를 구성하여, 약제 안내부(65)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약제 검출 유닛(70)에 안내하는 것이다.
제2 약제 검출 수단인 약제 검출 유닛(70)은, 도 9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정사각의 통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하우징(70A, 70B)을 갖는다. 상측 하우징(70A)에는, 인접면에 한 쌍의 발광부(71A, 71B)가 배치되고, 그 대향면에 한 쌍의 수광부(72A, 72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70B)에는, 인접면에 한 쌍의 발광부(71C, 71D)가 배치되고, 그 대향면에 한 쌍의 수광부(72C, 72D)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 대향면인 발광부(71A)와 수광부(72A), 발광부(71B)와 수광부(72B), 발광부(71C)와 수광부(72C), 발광부(71D)와 수광부(72D)는, 한 쌍으로 1조의 광 센서(라인 센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하우징(70A, 70B)에 배치한 각 2조(합계 4조)의 광 센서는,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위치한다. 또한, 각 하우징(70A, 70B)은, 상호 45도의 위상 각도로 배치함으로써, 검출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한 약제 검출 유닛(70)은, 4조의 광 센서를 모두 배치할 수 있는 정팔각 형상의 하우징(도 9(A) 참조)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점유 면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셔터(74)는 약제 불출 부재(73)의 출구 측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74)는, 구동 모터(75)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뻗은 배출 정지 위치에서 하향으로 경사진 배출 허용 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다. 배출 정지 위치에서는, 약제 불출 부재(73)의 출구를 폐색하여, 약제 검출 유닛(70) 안으로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출 허용 위치에서는, 약제 불출 부재(73)의 출구를 개방하여, 약제 검출 유닛(70) 안으로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1-2. 전환 밸브 유닛)
전환 밸브 유닛(76)은, 도 10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장체 본체(11)의 용기 부착부(13)에 위치하도록 약제 검출 유닛(7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전환 밸브 유닛(76)의 케이싱에는, 제1 통로부인 불출부(78)와 제2 통로부인 회수부(79)로 분기된 역Y자 형상의 약제 통로(77)가 형성되어 있다. 약제 통로(77) 내에는, 불출부(78) 또는 회수부(79)로 배출처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환 밸브는, 약제 통로(77)의 입구에서 불출부(78) 및 회수부(79)를 향해서 뻗도록 배치한 한 쌍의 요동 부재(80A, 80B)를 갖는다. 도면 중 좌측의 제1 요동 부재(80A)는 불출부(78)를 개폐하는 것이고, 도면 중 우측의 제2 요동 부재(80B)는 회수부(79)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들 요동 부재(80A, 80B)에는, 서로의 대향면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부(8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요동 부재(80A, 80B)는, 각각의 구동 수단인 구동 모터(82A, 82B)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요동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약제 불출 위치(제1 작동 위치), 도 10b에 도시하는 일시 정지 위치(제2 작동 위치), 도 10c에 도시하는 약제 회수 위치(제3 작동 위치)의 세 곳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중, 일시 정지 위치에서는, 각 요동 부재(80A, 80B)는, 서로의 탄성부(81, 81)가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각도로 회동된다. 한편, 요동 부재(80A, 80B)를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약제 계수 장치에는, 도 11a, 도 11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감사대가 병설되어 있다. 감사대에는, 모니터(88)와, 약제가 불출된 약 용기(1)의 개구부의 상측으로부터 내부의 약제를 촬상하는 제1 카메라(89a)와, 약 용기(1)의 측방의 라벨을 촬상하는 제2 카메라(89b)가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8)는, 제1 카메라(89a), 제2 카메라(89b) 및 약제 계수 장치의 약제 투입구 근방에 설치되어 제1 회전체(23)에서 제2 회전체(35)로의 이동부(37) 또는 높이 규제체(41)의 주위를 촬상하는 제3 카메라(89c)로부터의 촬상 화상을 표시한다. 한편, 제1 카메라(89a)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제1 카메라(89a)가 제3 카메라(89c)의 기능을 겸하도록 하면, 제3 카메라(89c)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1-3. 제어부)
약제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계수 장치는,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어부(83)의 지령에 의해서 작동한다. 제어부(83)는, 조작 패널(84)(여기서는 터치 패널을 사용)로부터의 입력, 약제 검출 센서(51)나 약제 검출 유닛(70)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87)에 기억시킨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불러내어 실행하고, 전환 밸브 유닛(82A, 82B)이나 각종 모터(28, 33, 39, 49, 63, 75)를 구동 제어하여,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필요한 수의 약제를 계수하여 공급한다. 한편, 조작 패널(84)은 모니터(88)를 터치 패널로 구성함으로써 겸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겸용하도록 하고 있다.
메모리(87)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의사에 의해 발행된 처방 데이터 외에, 약제 데이터(약제명, 약제 ID, 효능 등), 환자 데이터(환자명, 환자 ID 등), 각종 데이터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각종 데이터 테이블에는, 보정 테이블, SP(Speed: 스피드) 테이블, SD(Slow Down: 슬로우다운) 테이블,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이 포함된다. 한편, 전술한 각종 데이터는, 메모리(87)가 아니라, 약제 공급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어느 장치의 기억 수단(하드디스크, 메모리, 그 밖의 기억 매체)에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다.
보정 테이블은, 후술하는 자동 조정 처리로, 가상의 높이 규제 위치 및 가상의 폭 규제 위치에 대한 보정 비율을 결정한 테이블이다. 가상의 높이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높이 규제체(41)와 제2 회전체(35) 사이의 간극과, 가상의 폭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폭 규제체(5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측 가이드(57)와 내측 가이드(66) 사이의 간극을, 약제 치수에 대하여 일정 비율로 증대시켜, 간극에 여유를 갖게 하여, 약제의 통과를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한편, 상기 보정 테이블에서 규정한 보정 비율은, 또한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은, 폭, 높이가 동일한 약제라도, 형상에 따라서 최적의 간극이 다르기 때문이다. 높이 규제체(41)와 제2 회전체(35) 사이의 간극, 또는 외측 가이드(57)와 내측 가이드(66) 사이의 간극의 여유가 큰 경우, 도 44(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전 타원체의 약제는, 약제의 자세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간극을 통과하고 있을 때에 기울기 쉽다. 예컨대, 도 44(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약제가 간극을 통과하고 있을 때에, 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의 약제(Z1)가 기울면, 이 약제(Z1)의 하측으로 약제 이송 방향 상류 측의 약제(Z2)가 들어가, 약제(Z1)가 더욱 기울어, 약제(Z1)가 제2 회전체(35)와 높이 규제체(41)에 접촉하여, 움직임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 4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직방체의 약제(Z3, Z4)는, 자세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의 여유가 크더라도, 약제의 기울기가 생기지 않고, 약제의 움직임은 늦어지기 어렵다. 이 때문에, 예컨대, 회전 타원체 등의 자세가 불안정한 형상의 약제는, 간극의 여유가 작아지는 보정 비율을 보정 테이블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 테이블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 마련되는 것이며,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 테이블에서는,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순차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이 어느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에 따라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가 각각 설정(연관)되어 있다. 어떤 형상의 약제에 대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설정은, 예컨대, 미리 실험 등으로 약제의 간격이 원하는 값으로 거의 같아지도록 결정하면 된다. 한편, 약제의 형상이 다르면,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이 동일하여도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는 상이하여도 된다.
Figure pct00001
Ka(a=1, 2, …): 약제의 간격
Sb(b=1, 2, …):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예컨대, S1과 S2에서는 다른 회전 속도)
한편, 상기 SP 테이블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도록 했지만,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의 차이에 기초하여, 그 간격이 원하는 값(범위)으로 되도록,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약제의 간격이 커지면 커질수록,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크게 하고, 그 회전 속도로 제2 회전체(35)를 회전시키면, 약제의 간격(검출부(70)에서, 어떤 약제를 검출하고 나서 다음 약제를 검출할 때까지 드는 시간)이 원하는 값(범위)으로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각 값(범위)은, 미리 실험 등으로 결정해 두면 좋다. 이에 따르면, 직접 약제의 간격을 원하는 값(범위)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SD 테이블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 마련(연관)되는 것이며, 각 SD 테이블에서는,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순차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이 어느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에 따라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기 시작하는 배출 잔여수가 설정되어 있다. 표 2는,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2 단계로 느리게 하기 위한 SD 테이블을 나타낸다. 또한, SD 테이블에는, 소정의 배출 잔여수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배출된 약제수(예컨대, 약 용기(1)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연산하거나, 혹은 약제 검출 유닛(70)에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직접 얻도록 하거나 하면 됨)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처방수를 초과한 경우, 다음번부터 사용하는 배출 잔여수도 포함되어 있다. 즉, 1회째는 표 2의 N(1)을 사용하고, 1회째의 배출에서 처방수와 실제의 배출수가 합치하지 않으면, N(2)을 사용하고, 2회째의 배출에서 처방수와 실제의 배출수가 합치하지 않으면, N(3)을 사용한다(이하, 마찬가지).
Figure pct00002
Dx1(x1=1, 2, …): 약제의 간격(x1의 값이 클수록 간격이 넓음)을 나타낸다. 각 행이 각각의 간격보다도 큰 값의 범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D1에서는, D1 이하의 범위, D2에서는 D1부터 D2의 범위가 된다.
N(x2)x3-1, x3-2(x2, x3=1, 2, …): 약제 잔여수(x2, x3의 값이 클수록 약제 잔여수가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x3과 하이픈으로 이어져 있는 숫자 1, 2는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2 단계로 느리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x3-1에 비해서 x3-2가 느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SD 테이블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 설정하도록 했지만,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은, 표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 마련(연관)되는 것으로, 약제 검출 유닛(70)을 통과하는 약제를 검출할 때, 그 실측치(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체적)와, 실제의 약제의 체적 사이에 격차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수정하기 위한 약제 체적 계수가 설정되어 있다(표 3에서, 좌측 표와 우측 표는 형상이 다른 약제의 약제 체적 계수의 일람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후술하는 약제의 기준 체적에,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설정된 약제 체적 계수를 곱하여 얻어진 체적(연산치)이, 1정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최대치이다. 예컨대, 약제 검출 유닛(70)을 통과하는 약제의 간격이 작으면 작을수록, 1정인지 2정인지의 판단은 어렵기 때문에, 약제 체적 계수에는 작은 값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실측치가 기준 체적에 약제 체적 계수를 곱한 연산치를 넘으면, 2정이라고 판단되게 된다.
한편, 기준 체적에는, 약제의 체적으로서 기억부(메모리(87))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처음으로 취급하는 약제라면,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측정한 값이 사용되는 한편, 기억부(메모리(87))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값이 사용된다. 약제의 체적에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측정한 약제의 체적을 사용하는 경우, 이 약제 검출 유닛(70)과, 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의 체적을 산출하는 제어부(83)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체적 특정부를 구성한다. 또한, 약제의 체적에는,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서 측정한 값뿐만 아니라, 미리 공지된 다른 검출 수단에 의해서 측정해 둔 약제의 체적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약 메이커로부터 제공되는 약제의 체적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약제의 체적을 기억하는 기억부(메모리(87))나, 이 기억부로부터 해당하는 데이터를 불러내는 제어부(83)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체적 특정부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에는, 약제 체적 계수를,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연관시키도록 했지만,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연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Figure pct00003
Sy1-y2(y1, y2=1, 2, …): 제2 회전체의 회전 속도(y1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의존한다. y2의 값이 커질수록 회전 속도가 커진다)
DCy3-y4(y3, y4=1, 2, …): 약제 체적 계수(y3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의존한다)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은, 표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 마련(연관)되는 것으로, 약제 검출 유닛(70)을 통과하는 약제를 검출할 때, 외란이나 부족한 약제를 1정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제의 약제의 체적에 곱해지는 이물 체적 계수가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이물 체적 계수는, 알 형태에서 최대가 되고, 변형 정, 캡슐제, 타원형 정 등의 순으로 작게 설정되어 있다. 단, 타원형 정에서는,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가 큰 경우와, 그 이외의 경우에서 이물 체적 계수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Figure pct00004
Sz1-z2(z1, z2=1, 2, …): 제2 회전체의 회전 속도(z1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의존한다. z2의 값이 커질수록 회전 속도가 커진다)
ECz3-z4(z3, z4=1, 2, …): 약제 체적 계수(z3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의존한다)
한편, 상기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에서는, 이물 체적 계수를,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연관시키도록 했지만, 상기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연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2. 작동)
이어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계수 장치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2-1. 초기 작동)
초기 작동은, 도 14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제를 투입하기 전에,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약병에 인쇄된 약종 ID(바코드)가 바코드 리더(96)에 의해 읽혀지면(단계 S1), 이 약종 ID가 처방 데이터에 표시된 약제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일치하면, 올바른 약제라고 인정하여, 약제의 투입을 허가한다(단계 S3). 이에 따라, 잘못된 약제의 불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약제를 받아들이는 약 용기(1)의 라벨에 인쇄된 처방 ID(바코드)가 읽혀지면(단계 S4), 이 처방 ID가 처방 데이터에 표시된 처방 ID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일치하면, 약제의 불출을 허가한다(단계 S6). 이에 따라, 약 용기(1)를 잘못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패널(84)의 조작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처방하는 약제의 형상을 특정한다. 즉, 우선, 조작 패널(84)에 각종 약제를 위에서 본 형상(평면 형상)을 표시하게 한다(단계 S7). 도 15에서는, 긴 동그라미, 타원, 동그라미 및 기타 4개로 분류한 것이 표시되어 있다. 어느 한 분류가 선택되면(단계 S8), 도 16에 도시하는 확인 화면을 표시하게 하고, OK 버튼이 클릭되면, 이어서, 단계 S8에서 선택된 평면 형상의 약제를 측방에서 본 형상(측면 형상)을 표시하게 한다(단계 S9). 도 17에서는, 동그라미, 직사각형 등의 5개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한 측면 형상이 선택되면(단계 S10), 이 측면 형상과 상기 단계 S8에서 선택한 평면 형상에 의해 약제의 형상이 특정된다. 한편, 3차원 화상 등을 표시하게 하여 한 번에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술한 것과 같이 2 단계로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형상이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의 판단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3차원 화상과 같이, 약제를 보는 방향에 따라서는 형상이 상이하다고 하는 일이 없고, 평면 및 측면으로 정해진 방향으로부터의 형상이기 때문에, 형상의 선택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자동 조정 처리에서의 보정 처리 등을 적확하게 행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약제의 형상이 특정되어, 제1 회전체(23)와 칸막이벽(18)으로 구획된 약제 투입용 공간에 약제가 투입되고, 처방하는 약제수가 입력되면, 약제 배출 처리를 시작한다.
이 경우, 미리 약제를 투입한 시점에서, 각 회전체(23, 35)를 약제 검출 센서(51)에 의해서 맨 처음의 약제가 검출될 때까지 회전시켜 놓는다. 이에 따라, 약제의 투입 직후부터 약제를 불출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불출부(78)의 앞쪽 근방에 별도로 약제 검출 센서를 설치하여, 약제를, 미리 반송 방향에 대하여 약제 안내부(65)의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 사이에 이르는 앞쪽의 위치까지 반송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2-2. 약제 배출 처리)
약제 배출 처리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의 각도 조정 처리를 하여(단계 S11), 제어부(83)가 약제에 따라서 각 규제체(41, 52)의 자동 조정(오토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단계 S12), 실제로 약제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3). 한편, 약제 배출 처리는, 자동 조정 처리 중이라도 실행함으로써, 자동 조정 처리 중에 약제 검출 유닛(70)을 통과하는 약제를 계수하여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2-2-1. 제1 회전체의 각도 조정 처리)
제1 회전체(23)의 각도 조정은, 투입하는 약제의 양 및 약제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처리한다. 즉, 약제의 양이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약제가 제1 회전체(23)에서 제2 회전체(35)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투입하는 약제량이 많은 경우, 칸막이벽(18)과 제1 회전체(23)와 제2 회전체(35)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이 넓어지도록, 제1 회전체(23)의 경사 각도를 급경사로(수직에 가깝게) 한다. 또한, 제1 회전체(23)를 회전시키더라도 상면에서 회전(자전)하여 제2 회전체(35)로 이동하지 않는 공 모양 약제 등인 경우, 제1 회전체(23)의 경사 각도를 완경사로(수평에 가깝게) 한다.
한편, 각도 조정 처리는, 제2 회전체(35)의 이동부(37) 위 등에 약제 검출 수단을 배치하여, 자동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도 조정 처리는, 자동 조정 처리의 제1 단계에서 실행하면 된다. 또한, 제2 회전체(35) 상에 약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경사 각도를 작게 하는 조정을 하여도 좋다.
(2-2-2. 자동 조정 처리)
자동 조정 처리에서는, 신약 등 처음으로 계수하는 약제인 경우, 메모리(87)에는 그 약제에 관한 체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하여 약제의 체적을 측정한다. 또한, 약제 검출 유닛(70)을 통과하는 약제의 간격을 측정하고,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나 제어 방법을 결정하여, 그 약제에 관한 데이터(여기서는 약제 ID)에 연관시켜 메모리(87)에 기억하게 한다.
도 19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를 원점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21). 즉, 높이 규제체(41)를 가장 낮은 위치로 강하시킨다. 또한, 폭 규제체(52)를 안쪽으로 향해 이동시키고, 제2 회전체(35)의 상면의 약제를 반송하는 부분의 폭 치수를 거의 0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 회전체(23, 35)를 회동시키더라도 약제가 배출되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환 밸브 유닛(76)의 요동 부재(80A, 80B)를 각각 불출부(78) 측으로 회동시키고, 불출부(78)를 개방하는 동시에 회수부(79)를 폐색하여, 각 회전체(23, 35)를 회전시키는 초기 작동을 실행한다(단계 S22). 제1 회전체(23)의 회전 속도는 속도가 다른 2 단계,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는 속도가 다른 7 단계로 각각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는, 속도 3의 일정 속도(기준 속도)로 회전시키고 있다.
그리고, 높이 규제체(41)를 서서히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3). 약제 검출 센서(51)에 의해서 높이 규제체(41)를 통과한 약제가 검출되면(단계 S24), 높이 규제체(41)의 이동을 정지하고(단계 S25), 이 위치를 가상의 높이 규제 위치(규제 높이)로 한다. 그리고, 이 가상의 높이 규제 위치를 메모리(87)에 기억시킨다(단계 S26). 또한 동시에, 제3 카메라(89c)로 높이 규제체(41) 부근의 약제를 촬상한다(단계 S27).
이어서, 폭 규제체(52)를 서서히 넓히는 식으로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8). 폭 규제체(52)의 하류 측에 설치한 센서 또는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서 약제가 검출되면(단계 S29), 폭 규제체(52)의 이동을 정지하고(단계 S30), 이 위치를 가상의 폭 규제 위치(가상의 이송 폭)로 한다. 그리고, 이 가상의 폭 규제 위치를 메모리(87)에 기억시킨다(단계 S31). 이 경우, 높이 규제체(41)의 가상의 높이 규제 위치와, 폭 규제체(52)의 가상의 폭 규제 위치를, 상기 바코드 리더로 읽어들인 약제 ID와 연관시켜 기억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초기 작동으로 특정된 약제의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 테이블에 따라서 가상의 높이 규제 위치 및 가상의 폭 규제 위치에 대한 보정치를 결정한다(단계 S32). 그리고, 결정한 보정치에 기초하여 가상의 높이 규제 위치 및 가상의 폭 규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높이 규제 위치 및 폭 규제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S33). 이에 따라, 약제가 통과하는 간격에 약간의 여유를 갖게 함으로써, 약제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의 위치가 결정되면, 도 19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상술한 대로 일정 속도로 유지한 채로,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 순차 불출되는 약제의 체적을 측정한다(단계 S34).
즉, 약제 검출 유닛(70)에서는, 배출에 의해서 자신의 중량(정속)으로 낙하하는 약제가, 각 라인 센서(71A, 72A)~(71D, 72D)에 의해 다른 4 방향에서 검출된다. 그리고, 수광부(72A~72D)로부터의 입력치에 따라, 통과한 약제의 폭 및 높이 등의 형상을 포함하는 체적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수광부(72A~72D)의 각 수광 소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다른 4 방향으로부터의 약제의 폭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측 하우징(70A)의 수광부(72A, 72B)와 하측 하우징(70B)의 수광부(72C, 72D)는 수직 방향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낙하에 의한 검출 시간차를 고려하여 각 수광부(72A~72D)에서 판단한 폭에 기초하여, 낙하하고 있는 약제의 수평 단면 형상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판단을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시간마다의 수평 단면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마다의 모든 수평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낙하 중인 약제의 형상을 포함하는 체적(3차원 형상)을 산출한다.
이 경우, 제2 회전체(35)를 천천히 돌게 한 속도 3의 일정 속도(기준 속도)로 회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약제가 겹쳐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것과 같은 오류 검출 방지를 위한 처리는 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 약제가 불출되면, 측정된 약제의 체적(실측치)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이것을 약제의 기준 체적으로서 약제 ID에 연관시켜 메모리(87)에 기억하게 한다. 단, 기준 체적으로서 메모리(87)에 기억시키는 것은, 약제의 불출수가 일정치(예컨대, 30정)를 넘는 경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출수가 적으면 검출 오차의 영향이 나오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약제의 불출수가 일정치(예컨대, 30정)를 넘는 경우, 실측치의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검출 오차를 억제하여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산출된 체적 중, 가장 큰 값에 약제 체적 계수를 곱하여 임계치를 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약제 검출 유닛(70)을 순차 통과하는 약제의 간격을 구한다(단계 S35).
즉,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낙하하는 약제가 검출되지 않게 되고 나서, 다음 약제의 검출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약제의 체적과 간격이 산출되면, 상기 초기 작동에서 결정한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른 SP 테이블을 선택한다(단계 S36). 그리고, 선택한 SP 테이블에 의해, 산출된 약제의 간격에 기초하여,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결정한다(단계 S37). 약제 검출 유닛(70)을 통과하는 약제의 간격이, 미리 설정한 기준 범위(실험 등에 의해 구할 수 있음)보다도 크면, 약제의 계수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회전 속도를 큰 값으로 결정한다. 한편, 작으면, 약제가 잘못 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 속도를 작은 값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회전 속도는, 약제 ID에 연관시켜 메모리(87)에 기억하게 한다.
또한, 상기 초기 작동에서 결정한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을 선택한다(단계 S38). 이 경우,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이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약제 체적 계수를 설정하도록 한 것이라면, 변경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을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선택한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에 의해,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1정이라고 판단하는 약제 체적 계수를 결정한다(단계 S39). 이와 같이 하여 약제 체적 계수가 결정되면, 약제의 기준 체적에 곱하여 1정이라고 판단하는 체적(약제 연산치)을 구하고(단계 S40), 이것을 약제 ID와 연관시켜 메모리(87)에 기억하게 한다.
또한, 상기 초기 작동에서 결정한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을 선택한다(단계 S41). 이 경우,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이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이물 체적 계수를 설정하도록 한 것이라면, 변경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을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선택한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에 의해, 산출된 약제의 간격에 기초하여, 먼지 등의 이물이라고 판단하는 이물 체적 계수를 결정한다(단계 S42). 이와 같이 하여 이물 체적 계수가 결정되면, 약제의 기준 체적에 곱하여 이물이라고 판단하는 체적(이물 연산치)을 구하고, 이것을 약제 ID와 연관시켜 메모리(87)에 기억하게 한다(단계 S43).
또한, 상기 초기 작동에서 결정한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SD 테이블을 선택한다(단계 S44). 이 경우, SD 테이블을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한 것이라면, 변경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SD 테이블을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선택한 SD 테이블에 의해, 검출된 약제의 간격에 기초하여,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기 시작하는 약제수(배출 잔여수)를 2 단계(제1 잔여수 및 제2 잔여수)로 결정하고, 약제 ID에 연관시켜 메모리(87)에 기억하게 한다(단계 S45). 즉, 약제 안내부(65)로부터의 약제의 배출 속도를, 배출 잔여수가 결정된 제1 잔여수로 됨으로써 제1 속도로 한다. 그 후, 또 제2 잔여수로 됨으로써, 제1 속도보다도 더욱 느린 제2 속도로 한다.
한편, 이미 계수한 적이 있는 약제인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메모리(87)에는 그 약제에 관한 체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그래서, 약병에 인쇄된 약 종류의 ID(바코드)를 바코드 리더(88)로 읽어들이고, 메모리(87)로부터, 이 ID에 대응하는 약제와 연관시켜진 높이 규제체(41)의 규제 높이와 폭 규제체(52)의 이송 폭을 불러낸다. 그리고,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의 위치를 이 값으로 조정한다.
한편, 규제 높이와 이송 폭의 기억 정보는, 모니터(89)에 표시하여 오퍼레이터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미세 조정하여, 미세 조정 후의 규제 높이와 이송 폭을 덮어쓰기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2-2-3. 카운트 처리)
신약 등 처음으로 계수하는 약제인 경우 및 이미 계수한 적이 있는 약제인 경우, 도 20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약제 검출 유닛(70)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의 체적(실측치)을 산출한다(단계 S51). 그리고, 이 실측치와, 메모리(87)에 기억시켜 둔 약제 연산치를 비교한다(단계 S52). 그 결과, 실측치가 약제 연산치 이상이라면(단계 S52: 아니오), 잘못하여 2정이 배출되었다고 판단하여, 2를 계수한다(단계 S53).
또한, 실측치가 약제 연산치보다도 작으면(단계 S52: 예), 실측치와 메모리(87)에 기억시켜 둔 이물 연산치를 비교한다(단계 S54). 그 결과, 실측치가 이물 연산치 이하라면(단계 S54: 아니오), 검출된 것이 이물이라고 판단하여, 계수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란이나 이물(약제가 부족한 경우 등도 포함됨)에 의한 오류 검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측치가 이물 연산치보다도 크면(단계 S54: 예), 약제 검출 유닛(70)을 1정의 약제가 통과했다고 판단하여, 약제의 배출수에 1을 계수한다(단계 S55).
그리고, 약제 잔여수가 메모리(87)에 기억시켜 놓은 제1 잔여수로 되면(단계 S56), 약제 안내부(65)로부터의 배출 속도, 즉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까지 저하시킨다(단계 S57). 그 후, 또 제2 잔여수로 되면(단계 S58), 제1 속도보다도 더욱 느린 제2 속도까지 저하시킨다(단계 S59). 이것은, 약제의 형상의 차이에 기초하는, 제2 회전체(35)를 정지시킨 경우의 약제의 구름 등의 이동량의 차이를 고려한 것이다. 예컨대, 약제가 둥근 형태라면, 제2 회전체(35)의 회전 정지 직후의 이동량이 커, 배출 예정이 없는 약제가 잘못 배출될 우려가 있지만, 재빨리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기 시작함으로써, 그와 같이 오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제가 직방체 형상이라면, 제2 회전체(35)의 회전 정지 직후의 이동량이 작기 때문에,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기 시작하는 시기를 늦춤으로써, 약제의 효율적인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2 단계로 배출 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마지막 정 직전까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약제를 반송할 수 있어, 보다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식으로 하여, 회전 속도의 저하에 동반하여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에 따라서 1정이라고 판단하는 체적을 변경하면, 항상 고정밀도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출 속도는 2 단계로 저하시키도록 했지만, 1 단계만이라도 좋고, 3 단계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제의 약제의 배출수가 처방수보다도 많으면, SD 테이블에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기 시작하는 약제수(약제 잔여수)를 변경한다. 즉, 당초 N(0)1-1,1-2로 행하고 있었던 것을, 다음번부터는 N(1)1-1,1-2로 행하도록 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실제의 배출수가 처방수에 합치하도록 순차 약제 잔여수를 변경하면 된다. 이에 따라, 카운트 처리를 실행하면 할수록, 다음번부터(처방수보다도 많이) 오배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약제 계수 장치의 차이를 고려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약제 계수 장치는, 동일 기종이라도, 각 부품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에서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 등, 약간의 변동이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 경우,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각 약제 계수 장치로, 전술한 각 데이터 테이블의 값을 정해 놓고서, 그 값을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어떤 약제 계수 장치에 대하여 결정한 각 데이터 테이블의 값을 기준 데이터로 하고, 다른 약제 계수 장치에서는, 이 기준 데이터에 대한 어긋남량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처방하는 약제의 잔여수가 소정치가 된 시점에서, 높이 규제체(41)에 의해 규제하고 있었던 높이 치수와, 폭 규제체(52)에 의해 규제하고 있었던 이송 폭을 약간 넓히도록 하면 된다. 높이 치수와 이송 폭의 변경은,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의 저하에 맞춰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35)의 회전이 늦어져 약제의 배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단, 높이 치수와 이송 폭을 넓히는 비율은, 약제의 형상 차이에 의한 2정 동시 불출의 용이성에 따라서, 2정 동시 불출하기 쉬우면 쉬울수록 작게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둥근 형태 등의 굴러가기 쉬운 약제라면(굴러가기 쉬운 약제인지 여부는 선택한 약제의 형상으로 판단하면 된다), 처방하는 약제수(처방수)가 카운트된 시점에서, 제2 회전체(35)를 소정 시간만큼 역회전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약제의 오배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역회전은, 처방수에 달하기 전(예컨대, 처방수보다 n정 적은 수의 약제를 불출한 시점)부터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약제의 배출 도중에, 약제 끼워넣기 등으로, 약제 검출 센서(51)와 약제 검출 유닛(70)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어진 경우, 검출 신호의 입력이 회복될 때까지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일단 제2 회전체(35)를 역회전시킨 후, 재차 정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 후, 약제가 처방수만큼 배출되었음이 계수되면(단계 S60), 다음과 같이 하여 배출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1).
즉, 도 10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불출부(78) 측에 위치하는 요동 부재(80A)를 회수부(79) 측으로 회동시켜, 불출부(78) 및 회수부(79) 양쪽을 폐색한다. 일시 정지 위치에서는, 서로의 탄성부(81, 81)가 접촉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 압접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한 쌍의 요동 부재(80A, 80B)의 상류 측에는, 불출된 약제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수부(79) 측에 위치하는 요동 부재(80B)를 요동부 측으로 회동시켜, 회수부(79) 측을 개방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요동 부재(80A, 80B)의 상류 측에 일시적으로 머물렀던 약제는, 불출부(78) 측의 탄성부(81)가 탄성적으로 복원함으로써, 회수부(79) 측으로 밀려나온다. 따라서, 불출부(78) 측으로 과잉의 약제가 불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회전체(23, 35)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프레임체(17) 내의 전체 약제를 회수 용기(2)에 배출한다.
또한, 약제의 불출이 종료되면, 약 용기(1)를 감사대에 얹어 놓는다. 이때, 도 12a, 도 1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 용기(1)의 개구부를 제1 카메라(89a)로 향하게 하고, 측면의 라벨을 제2 카메라(89b)로 향하게 하여 위치 결정하여, 각 카메라(89a 및 89b)로 촬상한다. 그리고, 약 용기(1) 내에 불출된 약제(도 12a 참조)와, 약 용기(1)의 측면에 점착된 라벨(라벨에 인쇄된 처방 ID: 도 12b 참조)과, 제3 카메라로 촬상한 불출 도중 약제의 촬상 화상(도 12c 참조)을, 모니터(88)에 동시에 표시하게 하여, 처방 데이터에 따른 약제가 불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12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제를 수용한 환자용 약 용기(1) 전체를, 라벨이 보이는 상태에서, 처방전과 함께 촬상하고, 이것을 위조할 수 없도록 전자 워터마크 등을 부가하여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에 적절히 처방되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 모니터(88)에 표시되는 계수 결과도 합쳐서 합성 화상으로 해 놓으면, 더한층 신뢰성 높은 데이터로 할 수 있게 된다.
(2-2-4. 원판형 정제(X)의 약제 이송 작동)
이어서, 약제 공급 장치에 의해서 약제의 하나인 원판형 정제(X)의 약제를 이송하는 작동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원판형 정제(X)의 이송 작동은 공 모양의 약제라도 마찬가지이다.
도 21a, 도 21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가 회전되면, 정제(X)는 그 상면에 실려 회전하는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제1 회전체(23) 상의 정제(X)는, 제2 회전체(35)와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이동부(37)에서 제2 회전체(35) 위로 갈아탄다.
제2 회전체(35)로 옮겨탄 정제(X)는, 약제 안내부(65) 측으로 이동되어, 높이 규제체(41)에 의해서 하류 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예컨대, 위아래로 겹쳐 쌓인 상태로 이동하고 있는 정제(X)는, 상측에 위치하는 정제(X)가 높이 규제체(41)의 가이드면(43)에 접촉함으로써, 제2 회전체(35) 위로 떨어지거나,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위로 낙하되거나 한다.
높이 규제체(41)를 통과한 정제(X)는, 이송 폭을 규제한 폭 규제체(52)의 제1 만곡면부(55)에 접촉함으로써,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 회전체(35)에 의한 이송 폭은, 폭 규제체(52)의 제1 만곡면부(55)에 의해서 약제 폭의 1/2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폭 규제체(52)의 하류 쪽으로는, 폭 규제체(52)에 접하는 정제(X)밖에 통과할 수 없다. 즉, 정제(X)가 직경 방향으로 나란하게 2열로 이송되고 있는 경우, 내측의 정제(X)는, 폭 규제체(52)에 접하는 외측의 정제(X)에 눌리어,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된다. 또한, 정제(X)가 직경 방향으로 나란하게 있지 않더라도, 무게 중심이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정제(X)도,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한다. 그 때문에, 폭 규제체(52)에 접하지 않는 다른 정제(X)는 하류 쪽으로 이송되지 않는다.
폭 규제체(52)의 제1 만곡면부(55)를 통과한 정제(X)는, 이송 폭이 넓어진 제2 만곡면부(56)의 영역을 안정 상태로 이송된다. 그리고, 약제 안내부(65)의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 사이로 이송되고, 1개씩 정렬된 상태에서 출구 측으로 이동되어, 약제 검출 유닛(70)에 배출된다. 이때,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는 정제(X1)는, 내측 가이드(66)의 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외측 가이드(57)와의 사이로 유도되거나,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되거나 한다. 그리고, 약제 안내부(65)를 통과한 정제(X)만이, 약제 배출구인 약제 불출 부재(73)를 지나 약제 검출 유닛(70)에 공급된다.
(2-2-5. 캡슐제(Y)의 약제 이송 작동)
이어서, 원판형 정제(X)와는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캡슐제(Y)의 약제 이송 작동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캡슐제(Y)의 이송 작동은 타원형 등의 비원형의 정제라도 마찬가지이다.
도 22a, 도 2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가 회전되면, 캡슐제(Y)는 그 상면에 실려 회전하는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제1 회전체(23) 상의 캡슐제(Y)는, 제2 회전체(35)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이동부(37)에서 제2 회전체(35) 위로 갈아탄다.
제2 회전체(35)로 옮겨탄 캡슐제(Y)는, 약제 안내부(65) 측으로 이동되어, 높이 규제체(41)에 의해서 하류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위아래로 겹쳐 쌓인 상태로 이동하고 있는 캡슐제(Y)는, 제2 회전체(35) 위로 떨어지거나,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되거나 한다.
높이 규제체(41)를 통과한 캡슐제(Y)는, 이송 폭을 규제한 폭 규제체(52)의 제1 만곡면부(55)에 접촉함으로써,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 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방향성(자세)이 약제 반송 방향을 따라서 뻗도록 보정된다. 그리고, 폭 규제체(52)의 하류 쪽으로는, 폭 규제체(52)에 접하는 캡슐제(Y)밖에 통과하지 않고, 폭 규제체(52)에 접하지 않은 캡슐제(Y)는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된다. 또한, 제1 만곡면부(55)와의 접촉에 의해서 자세를 보정할 수 없었던 캡슐제(Y1)는, 제2 회전체(35)에 의한 이송 폭이 캡슐제(Y1)의 약 1/2로 되고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보다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밸런스를 유지할 수 없어,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된다.
폭 규제체(52)의 제1 만곡면부(55)를 통과한 캡슐제(Y)는, 이송 폭이 넓어진 제2 만곡면부(56)의 영역을 안정 상태에서 이송된다. 그리고, 약제 안내부(65)의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 사이로 이송되어, 1개씩 정렬된 상태에서 출구 측으로 이동되어, 약제 검출 유닛(70)에 배출된다. 이때, 완전하게는 자세를 보정할 수 없었던 캡슐제(Y2)는, 내측 가이드(66)의 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자세가 보정되어 외측 가이드(57)와의 사이로 유도되거나, 내주부(36)에서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되거나 한다. 그리고, 약제 안내부(65)를 통과한 캡슐제(Y)만이, 약제 배출구인 약제 불출 부재(73)를 지나 약제 검출 유닛(70)에 공급된다.
캡슐제(Y)는, 원판형 정제(X)와 같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제2 회전체(35)와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하여, 제2 회전체(35) 위를 이동할 때에 회전하기 쉽다. 따라서, 캡슐제(Y)와 같이 평평하지 않은 정제는, 폭 규제체(52)를 통과한 후, 정제 안내부(65)에 도달할 때까지, 제2 회전체(35) 상에서 방향이 변하여, 제1 회전체(23) 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23a~도 23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 상의 내주연부에, 위쪽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리브(35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35a)는, 도 23a와 같이, 내주면이 제2 회전체(35)의 내주면과 동일면이며, 상단이 뾰족하고, 외주면이 직선적으로 경사진 삼각형상의 반경 방향 단면을 갖는 것, 도 23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주면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경사진 것, 도 23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주면이 제2 회전체(35)의 내주면과 동일면이며, 상단이 평탄하고, 외주면이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반경 방향 단면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리브(35a)를 설치함으로써, 평평하지 않은 정제는, 도 2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의 상면과 리브(35a)의 2점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제2 회전체(35) 상에서 회전하기 어렵게 되어, 제1 회전체(23) 위로 떨어트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에서는,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에 의해서 약제를 1개씩 정렬시켜 약제 안내부(65)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막힘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1개씩 약제 안내부(65)를 통과시켜 약제 불출 부재(73)로부터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송하는 다수의 약제는, 각 규제체(41, 52) 및 약제 안내부(65)로 가로막는 것이 아니라, 제1 회전체(23) 상에 떨어뜨리는 구성이기 때문에, 규제체(41, 52)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데다, 다수의 약제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가 깨지고 이지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폭 규제체(52)에 의해서 제2 회전체(35)의 이송 폭을 약제 폭의 1/2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봤을 때 비원형인 약제는, 길이 방향이 약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뻗은 상태가 아니면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약제 안내부(65)의 입구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규제체(41)에 의한 규제 높이 및 폭 규제체(52)에 의한 제2 회전체(35)의 이송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다종의 약제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폭 규제체(52)와 약제 안내부(65)의 외측 가이드(57)를 일체로 설치하여, 이들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조정에 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체(41, 52)를 자동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아무런 조정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약제 안내부(65)의 내측 가이드(66)에는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가장자리(68)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제2 회전체(35)의 내주부(36)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이송된 약제가, 약제 안내부(65)의 입구에서 막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평면에서 봤을 때 비원형인 약제가 약간 기울어 이송되었을 때에, 자세를 보정하거나, 제1 회전체(23) 상으로 낙하시키거나 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효하다. 더욱이 제1 회전체(23)의 제1 회전축(24)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1 회전체(23)의 회전에 의해 약제를 이동부(37)로 확실하게 이송하여, 제2 회전체(35)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약제 공급 장치를 이용한 약제 계수 장치는,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약제를 1개씩 확실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그 약제를 약제 검출 유닛(70)으로 검출하여, 제어부(83)로 확실하게 계수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하게 소정수의 약제를 불출하여 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부착부(13)에 배치한 전환 밸브 유닛(76)은, 환자에게 건네는 약 용기(1)를 배치하는 불출부(78)와, 회수 용기(2)를 배치하는 회수부(79)를 갖기 때문에, 처방에 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전환 밸브인 요동 부재(80A, 80B)는, 처방하는 약제수를 계수하면, 불출부(78) 및 회수부(79) 양쪽을 폐색한 일시 정지 위치로 작동시키기 때문에, 소정의 수를 넘은 약제가 약 용기(1)로 불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에 회수 용기(2)로의 회수 위치로 했을 때에는, 탄성부(81)가 탄성적으로 복원함으로써, 한 쌍의 요동 부재(80A, 80B)의 상류 측에 유지한 약제를 회수부(79)로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불출부(78)를 통과시킨 약 용기(1)에 과잉 불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카메라(89c)는, 높이 규제체(41)와 함께 외장체(10)에 설치하면, 높이 규제체(41)의 이동이 방해된다. 이 때문에, 제3 카메라는, 외장체(10)가 아니라, 도 1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부 커버(14)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높이 규제체(41)를 외장체(10)가 아니라, 상부 커버(14)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 위를 청소하기 위해서, 외장체(10)에 대하여 상부 커버(14)를 개방하면, 이 상부 커버(14)와 같이 높이 규제체(41)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폭 규제체(52)를 제2 회전체(3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켰다고 해도, 높이 규제체(41)와 간섭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폭 규제체(52)가 높이 규제체(41)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일도 없다. 또한, 높이 규제체(41)는, 제2 회전체(35) 측에, 고무 등의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장체 본체(11)에 대하여 상부 커버(14)를 폐쇄한 경우, 높이 규제체(41)와 제2 회전체(35)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있거나 혹은 제2 회전체(35) 상에 약제가 있었다고 해도, 높이 규제체(41)가 사용자의 손에 닿아 부상을 입히거나 혹은 약제를 손상시키거나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검출 유닛(70)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했지만, 약제의 체적은, 미리 다른 공지된 측정 수단에 의해서 측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제약 메이커로부터 제시된 체적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규제체(41)를 통과한 약제를 검출하는 약제 검출 센서(51)나, 불출부(78)의 앞쪽 근방에서 약제를 검출하는 약제 검출 센서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들 약제 검출 센서는 다음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폭 규제체(52)에 의해서 규제되는 제2 회전체(35) 상의 제1 위치, 높이 규제체(41)에 대하여 제2 회전체(35)의 회전 방향 하류측 근방의 제2 위치, 및 제2 위치보다도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상류 측의 제3 위치에, 각각 약제 검출 센서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1 위치의 약제 검출 센서를 제1 센서(101), 제2 위치의 약제 검출 센서를 제2 센서(102), 제3 위치의 약제 검출 센서를 제3 센서(103)라고 기재한다(도 38 참조).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83)에 의해서 각 부재의 구동 제어를 하도록 했지만, 이 제어부(83)는, 도 3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제어부(104)와 제2 제어부(105)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다른 기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경우에는, 제1 제어부(104)로, 그 통신을 하고, 또한 제2 제어부(105)에 명령을 출력하거나, 검출치를 수신하거나 하면 된다. 또한, 제2 제어부(105)로, 약제 검출 유닛(70), 제1~제3 센서(101~103)에서의 검출 데이터의 취득이나, 각 구동 부재(제1 회전체(23), 제2 회전체(35) 등)를 구동 제어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초기 작동을 한 후, 자동 조정 처리나 카운트 처리 등을 포함하는 약제 배출 처리를 실행하도록 했지만,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추가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처리를 더욱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잔류 약제 검출 처리(단계 S101)를 실행하고, 상기 초기 작동(단계 S102)을 실행한 후, 약제 배출 처리(단계 S103)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약제 배출 처리에서는, 자동 조정 처리(단계 S104)나 카운트 처리(단계 S106) 이외에, 촬상 처리(단계 S105), 결품 판정 처리(단계 S107) 혹은 약병 이탈 처리(단계 S108)를 실행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자동 조정 처리와 촬상 처리는 순서가 바뀌더라도 좋다. 또한, 약제 배출 처리 후에는, 제1 회수 처리(단계 S109) 또는 제2 회수 처리(단계 S110) 중 어느 것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잔류 약제 검출 처리)
잔류 약제 검출 처리는 초기 작동 전에 실행하면 된다. 이하, 잔류 약제 검출 처리에 관해서 도 25 및 도 26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잔류 약제 검출 처리에서는, 전원이 투입되어 약제 계수 장치가 기동된 경우 등에, 도 38(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를 화살표 a, b 방향(단, 도면에서, 화살표 a 방향은 상향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지면에 직교하는 앞쪽 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동시켜, 최대 개방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11). 이하, 최대 개방 위치는, 높이 규제체(41) 또는 폭 규제체(5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회전체(35) 상에서 약제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 치수 또는 폭 치수(제2 회전체(35)의 상측의 간극 또는 제2 회전체(35) 상의 직경 방향의 간극)가 가장 커지는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기재한다. 그리고,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를 최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1.5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12). 이에 따라, 제2 회전체(35) 상에 잔류하는 약제를 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38(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규제체(52)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폐쇄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13). 이하, 폐쇄 위치는, 높이 규제체(41) 또는 폭 규제체(5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회전체(35) 상에서 약제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 치수 또는 폭 치수(제2 회전체(35)의 상면의 상측의 간극 또는 제2 회전체(35) 상의 직경 방향의 간극)가 「0」이 되는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기재한다. 그리고, 도 38(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0.3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정회전시키는 동시에(단계 S114), 제1 회전체(23)를 최대 속도로 화살표 d'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15). 이에 따라, 제1 회전체(23) 상에 잔류하는 약제를 제2 회전체(35)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리피트 카운터의 카운트치 C를 클리어하고(단계 S116), 제2 회전체(35)가 정지하면, 카운트치 C가 3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7). 카운트치가 3이 아니면, 도 38(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0.3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18). 그리고, 제2 회전체(35)가 정지하면, 카운트치 C에 1을 가산하고(단계 S119), 도 38(c)로 되돌아가,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0.3초) 화살표 c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20). 이 사이에, 제1 회전체(23)의 회전이 유지되고, 제1 회전체(23) 상에 약제가 있으면, 이 약제는 제2 회전체(35) 상으로 반송된다.
또한, 제2 회전체(35)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약제를 제2 회전체(35)의 내주연부의 리브(35a)(도 23a~23c 참조) 측에 체류시키는 일없이, 외주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센서(102)나 제3 센서(103)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범위를, 제2 회전체(35)의 내주 측까지 크게 넓힐 필요가 없어져, 외주 측으로 할 수 있다. 제2 센서(102)와 제3 센서(103)의 검출 가능한 범위를 넓히면, 제2 회전체(35)의 리브(35a)를 잘못하여 약제라고 검출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럴 걱정은 없다.
그 후, 카운트치 C가 3이 되면(단계 S117: 예), 도 38(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1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21). 그리고, 제2 회전체(35)가 정지하면, 도 38(f)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앞으로는,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3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22). 제2 회전체(35)가 정지하면, 이어서 제1 회전체(23)를 정지한다(단계 S123). 이때, 도 38(g)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35)를 화살표 a' 방향(도면에서 하향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지면에 직교하는 앞쪽 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동시켜, 폐쇄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단계 S118~S123 사이의 각 처리 중에는, 항상 제2 센서(102)에 의해서 약제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4).
약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잔류 약 없음), 상기 단계 S118~S123을 속행하여, 단계 S123을 종료하면,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 후(단계 S125), 제1 제어부(104)에 「잔류 약 없음」을 송신한다(단계 S126). 또한, 후술하는 도 3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동 표시부(107)의 불출 표시 LED(107a) 및 회수 표시 LED(107b)를 점등시킴으로써(단계 S127), 잔류 약제 검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약제가 검출된 경우(잔류 약 있음), 도 38(h)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0.75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키고(단계 S128), 그 회전이 정지한 후, 제1 제어부에 「잔류 약 있음」을 송신하고(단계 S129), 잔류 약제 검출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잔류 약제 검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의 특징은 다음의 점에 있다. 즉,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정회전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향 및 외경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 측에 위치하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정역회전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형으로 반송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외경 측에 배치되어, 반송된 약제를 배출하는 불출부와,
상기 불출부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체의 상면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높이 규제체와,
상기 불출부와 상기 높이 규제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체의 내주연부와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폭 규제체와,
카운트 처리 전에, 상기 높이 규제체와 상기 폭 규제체를 최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회전체를 역회전시켜, 폭 규제체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정회전시키는 잔류 약제 검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약제의 막힘 등이 발생하면, 높이 규제체 및 폭 규제체를 최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 회전체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체를 정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폭 규제체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켜, 잔류하는 약제를 검출할 수 있다.
(촬상 처리)
제2 제어부(105)에서는, 상기 자동 조정 처리 후, 약제용 카메라(106)(상기 실시형태에 기재한 제3 카메라(89c)에 상당함)에 의해서 약제의 외관을 촬상하여, 그 화상을 기억시키는 촬상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촬상 처리에서는, 도 27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실제로 약제용 카메라(106)에 의한 촬상을 시작하기 전에,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전처리가 있는 경우(단계 S131: 예), 도 39(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규제체(52) 및 높이 규제체(41)를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시켜, 최대 개방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32). 그리고,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1.5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33). 또한, 전처리가 없는 경우(단계 S131: 아니오), 단계 S132 및 S133을 실행하지 않고, 단계 S134로 이행한다.
이어서, 촬상 영역에서의 촬상 조건(후술하지만, 복수의 조명 부재 중 어느 것에 의해 조명하는지, 혹은 카메라의 초점 조정)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4). 촬상 조건이 설정되면, 도 39(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규제체(52) 및 높이 규제체(41)를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시켜, 폐쇄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35).
그 후, 제2 센서(102)에 의해서 약제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6). 약제가 검출되지 않으면(단계 S136: 아니오), 정상적인 상태라고 판단하여, 도 39(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속도 5(7 단계로 설정된 속도의 5, 최대 속도가 7)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1.2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37). 또한 동시에, 제1 회전체(23)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1.2초간) 화살표 d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38). 이 경우, 제1 회전체(23)는, 제3 센서(103)에 의해 소정 시간 약제가 검출되지 않으면 고속으로 정회전시키고, 검출되면 저속으로 정회전시키도록 하면 된다.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의 정회전에 의해, 제1 회전체(23) 상의 약제는 제2 회전체(35) 상으로, 제2 회전체(35) 상의 약제는, 높이 규제체(41)에 대하여 제2 회전체(35)의 회전 방향 상류 측의 소정 영역(촬상 영역)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39(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와 제2 회전체(35)를 정지하여, 약제용 카메라(106)에 의한 촬상을 한다(단계 S140). 촬상한 결과는, 도 4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모니터(88)에 표시하게 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36에서 제2 센서(102)에 의해서 약제가 검출된 경우, 원래, 위치하지 말아야 하는 영역에 약제가 위치하는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여, 도 39(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141). 그리고, 도 39(f)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 최대 개방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42). 또한, 도 39(g)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0.75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43). 카운트치에 1을 가산하고(단계 S144),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여기서는 3회)에 도달할 때까지(단계 S145), 상기 단계 S136으로 되돌아가 상기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상기 처리를 반복했다고 해도, 제2 센서(102)에 의해서 약제가 검출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에러를 통지하게 한다(단계 S146).
한편, 상기 단계 S134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촬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약제용 카메라(106)에 의해서 촬상할 수 있는 영역(촬상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 부재(예컨대, LED: 도시하지 않음) 중 어느 것에 의해 조명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행한다. 복수의 조명 부재는, 외벽(20) 중, 높이 규제체(41)에 대하여 제2 회전체(35)의 회전 방향 상류측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촬영 조건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는, 모니터(88)에, 도 4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약제용 카메라(106)로 촬상한 화상(121)을 포함하는 화상 조정 화면을 표시하게 하고, 그 「light」 버튼(122)을 조작함으로써, 「top」, 「middle」, 「bottom」, 「off」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상위의 조명 부재로 조명, 중위의 조명 부재로 조명, 하위의 조명 부재로 조명, 조명하지 않음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약제의 형상이나, 촬상 영역에서의 약제의 방향이나 수 등의 차이에 따른 촬상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약제를 조명할 수 있다. 한편, 조명 부재는 하나만 설치되어도 좋다. 하나인 경우는, 촬상 조건은, 조명을 하는지 하지 않는지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약제용 카메라(106)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춘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 약제의 두께 치수의 영향을 고려하여, 약제마다 초점을 맞추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초점 거리는, 어떤 약제에 관해서 1번째의 촬상에서만 수동으로 설정하고, 그 이후에는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번 설정한 초점 거리는, 그 약제에 연관시켜 기억시켜 놓고서, 다음번 촬상시에 그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는, 상기 화상 특정 화면에서, 「focus」 버튼(123)을 조작함으로써, 「high」, 「low」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초점을 맞추는 위치를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쪽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촬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의 특징은 다음의 점에 있다.
즉,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정회전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향 및 외경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 측에 위치하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정회전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외경 측에 배치되어, 반송된 약제를 배출하는 불출부와,
상기 불출부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체의 정회전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어, 상기 약제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체와,
상기 규제체의 상기 제2 회전체의 정회전 방향 상류 측의 촬상 영역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와,
상기 규제체에 의해 약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제2 회전체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촬상 영역에 약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 영역을 촬상하게 하는 촬상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촬상 영역에 약제를 위치시켜, 촬상부에 의해 약제를 확실하게 촬상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규제체를 최대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켜, 상기 제2 회전체를 역회전시키는 막힘 해소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촬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막힘 해소 처리를 여러 번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약제의 막힘을 해소한 후, 약제의 촬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절한 상태에서의 약제의 촬상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음번 약제의 불출 처리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촬상 영역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사부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어느 것으로 조사하게 할지에 따라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한 조사 조건 중 어느 것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사부에서, 약제의 촬상에 알맞은 조사 조건에 의해 촬상 영역을 조사하여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게 할 수 있다.
(촬상 불필요 모드)
또한, 상기 촬상 처리는, 법률에 의해 의무로 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시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운트 처리)
상기 카운트 처리는 다음과 같은 복수의 모드를 갖춘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28 및 도 29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어느 쪽 모드에 의해서 약제를 불출하고 또 계수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51). 예컨대, 처방전, 약 용기(1) 또는 약병 중 어느 바코드가 바코드 리더로 판독됨으로써, 서버에 조회하여, 이하의 (1)~(3)의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면 된다(구체적으로는, 처방전의 바코드가 판독되면(1), 약 용기(1)의 바코드가 판독되면(2), 약병의 바코드가 판독되면(3)의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하면 된다).
(1) 약병에서 약제 계수 장치로 공급된 약제로부터, 처방전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수량만큼 환자에게 건네는 약 용기(1)로 불출하기 위한 통상 불출 카운트 모드
(2) 통상 불출 카운트 모드에서, 다른 약제 계수 장치로 약 용기(1)에 불출한 약제의 수량을 재차 확인하기 위한 재카운트 모드
(3) 약병에서 약제 계수 장치로 공급된 모든 약제를 계수하여, 약병에 수용되어 있는 재고량을 확인하기 위한 재고량 카운트 모드
이하, 통상 불출 카운트 모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통상 불출 카운트 모드에서는, 우선, 작동 표시부의 불출 표시 LED(107a)를 점멸시킨다(단계 S152). 그리고,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시가 있는 경우(단계 S153: 예), 도 40(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0.3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54). 이어서, 도 40(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를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지정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55). 여기서, 제1 지정 위치란, 상기 자동 조정 처리에서 정해진 위치, 즉, 측정된 약제의 사이즈에 맞춘 정확하게 해당하는 약제가 통과할 수 있는 위치(높이 규제 위치 및 폭 규제 위치)를 의미한다.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시가 없는 경우(단계 S153: 아니오), 단계 S154를 실행하지 않고, 직접 단계 S155를 실행한다. 한편, 전술한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시란, 예컨대, 전술한 회수 처리가 이루어진 직후에, 잔류 약제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단계 S154에서 행한 약제의 막힘 해소 처리를 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지시를 의미한다.
도 40(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40(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화살표 c, d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56). 그리고, 제1 센서(101)에 의해서 약제가 검출되면(단계 S157),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의 정회전을 정지시킨다(단계 S158). 이에 따라, 약제의 불출 준비가 완료된다. 배출구 직전 위치까지 약제를 이동시켜 놓음으로써,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정회전시키면, 타임래그 없이 즉시 약제의 불출을 시작할 수 있다.
이어서, 약 용기(1)가 약제의 불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단계 S159), 배치되어 있으면, 도 40(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화살표 c, d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60). 제1 회전체(23)는 미리 설정된 일정 속도로 정회전시키고, 제2 회전체(35)는 제1 제어부(104)에서 설정된 지정 속도로 정회전시킨다. 지정 속도는 약제의 종류마다 설정한 값이다. 이에 따라,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약제가 검출되어 약제의 카운트가 시작된다. 그리고, 약제의 카운트치가, 미리 설정한 제1 설정치가 되면, 상기 실시형태의 단계 S56부터 S59와 같은 식으로 하여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슬로우다운 처리를 실행한다.
즉, 약제 잔여수가 메모리(87)에 기억시켜 놓은 제1 잔여수로 되면(단계 S161), 약제 안내부(65)로부터의 배출 속도(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까지 저하시킨다(단계 S162). 그 후, 또 제2 잔여수로 되면(단계 S163), 제1 속도보다 더욱 느린 제2 속도까지 저하시킨다(단계 S164).
불출 예정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수로 되면(단계 S165), 도 40(f)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지정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66). 제2 지정 위치는, 제1 제어부(104)로부터 지정되며, 상기 단계 S155의 제1 지정 위치보다도 넓힘으로써 잔류하는 약제를 통과하기 쉽게 한다.
여기서, 특수 약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7). 즉, 공 모양 등의 굴러가기 쉬운 형상의 약제라면, 도 40(g)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를 정지하고(단계 S168), 제2 회전체(35)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1,5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69). 이에 따라, 특수 정제가 필요수를 넘어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도 40(h)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의 역회전을 정지시킨다.
재카운트 모드에서는, 상기 단계 S161~S164에서 행한 제2 회전체(35)의 슬로우다운 처리를 하지 않고, 마지막까지 일정 속도로 정회전시킨다. 이것은, 이미 계수가 끝난 약제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해 재차 다시 카운트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통상 불출 카운트 모드와 같이, 마지막 약제의 불출시에 쓸데없이 불출될 우려도 없기 때문에, 계수 시간의 단축화를 우선하고 있다.
재고량 카운트 모드에서도, 재카운트 모드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계 S161~S164에서 행한 제2 회전체(35)의 슬로우다운 처리를 하지 않고, 마지막까지 일정 속도로 정회전시킨다. 단, 이 재고량 카운트 모드에서는, 후술하는 결품 판정 처리는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술한 세 가지 중 어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의 특징은 다음의 점에 있다. 즉,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정회전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경 측에 배치되는 불출부와,
상기 불출부로부터 불출되는 약제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부와,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를 정회전시켜, 상기 계수부에서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고, 상기 처방 데이터의 처방 수량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의 정회전을 정지하는 통상 불출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처방 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고 있기 때문에, 처방 수량을 넘어 불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회전체를 일정 속도로 정회전시켜, 상기 불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모든 약제를, 상기 계수부에서 계수하게 하여,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 수량과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재카운트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음으로써, 불출된 약제의 수량을 고속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회전체를 일정 속도로 정회전시켜, 상기 불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모든 약제를, 상기 계수부에서 계수하게 하는 재고 카운트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제를 수용한 약액 병을 기립시킨 상태에서, 처방전와 함께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와,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을, 상기 액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액제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약액 병을 기립시킨 상태로 촬상하기 때문에, 액제의 수위도 화상 데이터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처방전도 함께 촬상하기 때문에, 양자를 화상 상에서 연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운트 처리에서는, 맨 처음에 약제 검출 유닛(70)의 카운트 센서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운트 센서의 최대 A/D치를 검출하여, 이 최대 A/D치가 오염 검출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최대 A/D치가 오염 검출 레벨을 넘었으면, 카운트 센서가 더러워졌다고 판단하여, 제1 제어부(104)에 경고 통지한다. 카운트 센서의 청소 후, 해제 처리(예컨대, 해제 버튼이 조작되는 등)가 실행되어, 제1 제어부(104)로부터 해제 커맨드를 수신하면, 재차 카운트 센서의 최대 A/D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최대 A/D치가, 상기 오염 검출 레벨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한 오염 해제 레벨을 밑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대 A/D치가 오염 해제 레벨을 밑돌고 있지 않으면, 재차 경고 통지를 하고, 밑돌고 있으면, 경고 해제를 실행한다. 오염 검출 레벨과 오염 해제 레벨에 차를 둠으로써, 경고 통지와 경고 해제가 빈번히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운트 처리에서는, 약제의 체적을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서 검출하도록 하고 있는데, 그때, 예컨대, 도 3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2개의 약제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약제 마스터에게, 약제마다, 그 치수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는 센서(70a)의 수(센서 그룹)를 연관시켜 등록해 두고서, 이 수를 넘는 센서(70a)에서 동시에 약제가 검출된 경우, 2개 이상이라고 판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마스터에게, 약제마다, 약제가 통과함으로써 센서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연관시켜 등록해 두고서, 이 시간을 넘어 센서가 온 상태를 유지한 경우, 2개 이상이라고 판단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잘못하여 2 이상의 약제가 불출되었음을 검출하여, 오불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품 판정 처리)
결품 판정 처리는, 도 30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통상 불출 카운트 모드나 재카운트 모드 도중에,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약제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3초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단계 S171),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지 않은 것이 2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72).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지 않은 것이 2회 이상이 아니면, 폭 규제체(52)를 이동시켜, 폭 치수를 증대(여기서는 현상의 1.2배)시킨다(단계 S173). 그리고, 제1 회전체(23)를 정지하는 동시에, 제2 회전체(35)를 최대 속도로 소정 시간(여기서는 1초간) 역회전시킨다(단계 S174). 또한,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정 속도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175). 이에 따라, 약제가 잔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막힘 등이 원인이 되어 배출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지 않은 것은 2회 이상이라면(단계 S172: 예), 결품이라고 판단하여,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정지시킨다(단계 S176). 이 경우,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면 좋다.
한편,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는,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정 속도로 정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지정 속도가 저속인 경우,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지 않게 되고 나서, 제2 회전체(35)를 역회전시킬 때까지의 시간(역회전 시간)이나, 결품이라고 판단할 때까지의 시간(판정 시간)은 길게 설정하도록 하면 좋다. 예컨대, 최저 속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역회전 시간은, 3초간에서 6초간으로 하고, 판정 시간은, 6초간에서 11초간으로 하면 좋다.
(약병 이탈 처리)
불출처인 약병(또는 약 용기(1), 이하 동일)이 불출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다음과 같이 하여 약병 이탈 처리로 대응한다.
불출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는 약병 검출 센서에 의해서 적절한 위치에 약병이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기 검출되고 있다. 그래서, 약병 이탈 처리에서는, 도 31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병 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불출 위치에 약병이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1). 검출 신호가 오프라면, 불출 위치에서 약병이 벗어났다고 판단한다. 이때, 약제의 카운트 처리가 완료되지 않고,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가 회전 중이라면, 그 정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한다(단계 S182). 이에 따라, 약제의 누출이 방지된다.
여기서, 약제 계수 장치 내에 잔류되어 있는 약제의 회수가 지시되었는지 여부(약제 회수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3). 여기서, 약제 회수 지시란, 제1 제어부(104)로부터 제2 제어부(105)에 송신되는, 약제 계수 장치 내에 잔류하는 약제가 있어, 그 약제를 전부 회수한다는 취지의 지시를 의미한다.
약제 회수 지시가 있으면(단계 S183: 예), 잔류하는 약제에 관한 정보(여기서는 약제의 체적)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4). 약제 정보는, 계수 시작에서부터 설정수가 계수될 때까지 측정되는 체적의 평균치이며, 설정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약제 정보로서 확정되지 않는다. 즉, 이 경우에는 약제 정보가 없는 상태가 된다.
약제 정보가 있는 경우(단계 S184: 예), 소정 시간(여기서는 1초간) 경과하기를 기다려(단계 S185), 그 사이에 약병이 검출되지 않으면, 약제 정보를 제1 제어부(104)에 송신하여(단계 S186), 약병 이탈 처리를 종료한다. 약제 정보가 없는 경우(단계 S183: 아니오), 약병 이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약제 회수 지시가 없으면(단계 S183: 아니오), 소정 시간(여기서는 1초간) 경과하기를 기다려(단계 S187), 그 사이에 약병이 검출되지 않으면, 그때까지의 약제의 계수치를 제1 제어부(104)에 송신하고(단계 S188), 약병 이탈 처리를 종료한다.
(회수 처리)
상기 통상 불출 카운트 모드, 재카운트 모드 혹은 재고량 카운트 모드가 종료되어, 약제 공급 장치 내에 잔류하는 약제를 회수(배출)하는 경우, 잔류하는 약제에 관한 정보가 있으면 제1 회수 처리를 실행하고, 잔류하는 약제에 관한 정보가 없으면 제2 회수 처리를 실행한다.
(제1 회수 처리)
제1 회수 처리에서는, 도 32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역회전 지시가 있으면(단계 S191), 도 4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0.3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192). 그리고, 도 41의 (b) 및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를 작동시켜,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193). 한편, 높이 규제체(41) 및 폭 규제체(52)의 이동 위치는, 잔류하는 약제의 사이즈에 따른 것이다.
약제의 회수 준비가 갖춰지면, 약병 검출 센서로, 불출 위치에 약병이 셋트되었음이 검출됨으로써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단계 S194), 도 41(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정 속도로 화살표 c, d 방향으로 정회전시킴으로써 회수 처리를 시작한다(단계 S195).
그리고,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약제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3초간) 안에 검출할 수 있는 경우(단계 S196: 예), 상기 단계 S195로 되돌아가 회수 처리를 속행한다.
한편,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약제를 소정 시간 내에 검출할 수 없는 경우(단계 S196: 아니오), 약병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97).
약병이 벗어나지 않았으면, 도 41(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규제체(52)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폭 치수를 증대(여기서는 현상의 1.2배)시킨다(단계 S198). 또한, 제1 회전체(23)를 정지하여(단계 S199), 제2 회전체(35)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1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200). 그리고, 단계 S195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도 41(f)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정 속도로 화살표 c, d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
약병이 벗어나 있으면, 제1 회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일련의 제1 회수 처리 동안, 약병 검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항상, 불출 위치에서 약병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어져, 불출 위치로부터 약병이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그 시점에서, 도 41(g)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정지시킨다.
(제2 회수 처리)
제2 회수 처리에서도, 상기 제1 회수 처리와 마찬가지로, 도 33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제어부(104)로부터 역회전 지시가 있으면(단계 S211: 예), 도 4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회전체(35)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0.3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212). 그리고, 도 42의 (b) 및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41)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작동시켜, 최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213). 또한, 폭 규제체(52)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설정한 소정 위치(여기서는 폭 치수가 8 mm가 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단계 S214).
약제의 회수 준비가 갖춰지면, 약병 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약병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는지 여부, 즉 불출 위치에서 약병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5).
약병이 벗어나 있지 않으면, 도 42(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35)를 제1 제어부(104)로부터의 지정 속도로 화살표 c, d 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단계 S216). 회수 처리 중,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약제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4초간) 안에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 상기 단계 S216을 속행한다. 한편, 약제 검출 유닛(70)에서 약제를 소정 시간 내에 검출할 수 없는 경우(단계 S217), 도 42(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회전체(23)를 정지하고(단계 S218), 제2 회전체(35)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1초간) 화살표 c'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단계 S219). 이에 따라, 불출 위치에서 약제가 막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면,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 검출 유닛(70)에 의한 약제의 비검출이 첫 번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0). 첫 번째라면, 단계 S215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도 42의 (e), (f) 참조). 한편, 첫 번째가 아니면, 즉 두 번째라면, 도 42(g)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규제체(52)를 최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후(단계 S221), 상기 단계 S215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약병이 벗어나면, 제2 회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폭 규제체(52)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두 번에 걸쳐 회수 작동을 실행함으로써, 잔류하는 약제를 전부 약병으로 불출할 수 있게 된다.
(청소 모드)
한편, 카운트하는 약제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 등, 특히, 가루가 발생하기 쉬운 약제에서 변경되는 경우에는, 청소 모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액제 모드)
약제가 액제인 경우, 예컨대, 처방전에 액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후술하는 사이드 카메라(108)로, 처방전과 해당하는 액제가 수용된 약액 병을 함께 촬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카메라(108)는, 위쪽에서 앞쪽으로 선회시켜, 처방전과 약액 병을 세운 상태에서 촬상한다. 이에 따라, 약액 병 내의 액제의 수위도 함께 촬상하여, 처방전의 촬상 데이터와 함께 기록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박스 카운트 모드)
약제가 박스 포장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 박스에 부여된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89)로 읽어들인다. 그리고, 읽어들인 바코드로부터 해당하는 약제의 사진 데이터를 불러내어,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한 약제인지 여부를 시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사진 데이터 및 약제 데이터(명칭 등)는, 제1 제어부(104)에 송신하여 기억하게 하면 된다. 한편, 바코드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에 관해서는, 코드 번호 등을 손으로 입력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계수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약제 계수 장치에서는, 약제의 불출 위치가 한 곳에 집약되어 있다. 그리고, 그 불출 위치의 양측에는 작동 표시부(107)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 표시부(107)는, 불출 표시 LED(107a)와 회수 표시 LED(107b)로 구성되어 있다. 각 LED의 표시 패턴은 다음 표와 같다.
Figure pct00005
예컨대, 잔류 약을 체크하는 경우, 불출 표시 LED(107a)와 회수 표시 LED(107b)를 함께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작동 표시부(107)를 보기만 하면, 약제 계수 장치의 작동 모드가 초기 회수 처리 중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출 위치에서는, 약병을 배치하는 관계상,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지만, 불출 표시 LED(107a)와 회수 표시 LED(107b)를 설치했을 뿐인 간단한 구성이며, 그 점등 패턴을 여러 가지로 설정함으로써, 현재의 모드를 사용자가 알기 쉽게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약제 공급 장치에는, 도 3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사이드 카메라(108)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카메라(108)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외장체(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아암(109)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아암(109)을 회동시켜, 사이드 카메라(108)가 위쪽에 위치한 시점에서, 약제 공급 장치의 측방에 배치한 약제 등(액제나 박스를 포함함)을 위쪽에서 촬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109)을 회동시키는 위치를 변경하면, 사이드 카메라(108)에 의해서 여러 가지 각도로 약제 등을 촬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이드 카메라(108)를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촬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촬상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3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약제의 측방에 45도로 경사시킨 거울(110)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1대의 사이드 카메라(108)로, 약제의 상면과 측면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약제를 얹어 놓은 면과, 약제의 측방(거울(110)과는 반대쪽 위치)에 스케일(111)을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약제의 치수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약제 공급 장치의 제2 회전체(35)의 구성은, 상면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직경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출조(또는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제2 회전체(35)의 상면 둘레 방향으로 요철 형상을 연속하게 함으로써, 제2 회전체(35)가 정회전할 때의 약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체(35)는, 그 상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여기서는 0.5~1°, 바람직하게는 1°) 경사져 있다. 그리고, 경사시킴으로써, 제2 회전체(35)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부분을 배출구에 위치하게 한다. 이에 따라, 약제가 잘못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것, 특히, 2정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제 공급 장치의 높이 규제체(41)와 폭 규제체(52)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높이와 폭을 동시에 규제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약제 공급 장치의 제1 제어부(104)는, 네트워크에 의해 다른 약제 공급 장치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여러 대의 약제 공급 장치를 네트워크 접속함으로써, 각 약제 공급 장치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집중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카운트 처리 도중에 얻어진 약제의 체적 등의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집중 관리함으로써, 각 약제 공급 장치마다 적절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4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측 가이드(66)의 외측 가이드(57)와 대향하는 면은, 위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외측 가이드(57)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66a)를 갖더라도 좋다. 경사부(66a)가 없는 경우, 도 4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 사이를 약제가 통과할 때에, 약제가 내측 가이드(66)에 기대어서는 경우가 있다. 약제가 서면, 약제가 2열로 나란히 2개씩 배출되거나, 2열로 나란한 2개의 약제가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 사이에서 막혀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경사부(66a)를 지님으로써 약제가 일어서기 어렵게 되어, 2정씩 배출되거나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45(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측 가이드(57)의 내측 가이드(66)와 대향하는 면은, 위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내측 가이드(66)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57a)를 갖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약제가 외측 가이드(57)에 기대서기 어렵게 되어, 2정씩 배출되거나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46의 화살표 H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 사이에서는, 외측 가이드(57) 측이 회전 방향 상류 측으로, 내측 가이드(66) 측이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되는 방향으로 제2 회전체(35)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약제는 내측 가이드(66)에 기대서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57)가 경사부(57a)를 갖는 것보다도 내측 가이드(66)가 경사부(66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부(57a) 또는 경사부(66a)를 갖는 경우는, 내측 가이드(66)와 외측 가이드(57)의 간격은, 폭이 같은 회전 타원체의 약제에 있어서도, 장경과 단경의 비율에 따라 다르게 하다. 이것은, 비율에 따라, 약제와 내측 가이드(66), 또는 약제와 외측 가이드(57)가 접촉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폭 보정 계수는 상기 비율에 따라서 결정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의 형상에 따라,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4(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전 타원체 등의 선단이 가는 형상의 약제는, 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의 약제(Z1)의 하측으로 약제 이송 방향 하류 측의 약제(Z2)가 들어가, 약제(Z1)의 무게 중심과 약제(Z2)의 무게 중심의 거리(L2)가, 약제의 치수(L1)보다도 짧아지는 경우가 있다. 제2 회전체(35)로부터의 약제는, 약제의 무게 중심이 제2 회전체(35) 상에서 벗어나면 배출된다. 이 때문에, 약제가 다른 약제의 아래쪽에 들어가, 무게 중심 사이의 거리가 줄어드는 형상의 약제에서는, 약제의 배출 간격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약제의 배출 간격이 짧으면, 검출부(70)가 연속하여 배출된 약제를 1정으로서 인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가 생기는 형상의 약제에 관해서는, 제2 회전체(35)의 회전 속도가 늦도록 스피드 테이블에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약제의 무게 중심이 제2 회전체(35) 상에서 벗어나는 간격을 길게 함으로써, 약제의 배출 간격을 길게 하여, 검출부(70)가 연속하여 배출된 약제를 1정으로서 인식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 약 용기, 2: 회수 용기, 18: 칸막이벽, 23: 제1 회전체, 24: 제1 회전축, 28: 제1 구동 모터, 33: 각도 조정 모터, 35: 제2 회전체, 35a: 리브, 36: 내주부, 37: 이동부, 39: 제2 구동 모터, 41: 높이 규제체, 49: 높이 조정 모터, 51: 약제 검출 센서(검출부), 52: 폭 규제체, 57: 외측 가이드, 63: 폭 조정 모터, 65: 약제 안내부, 66: 내측 가이드, 68: 경사 가장자리, 69: 경사면, 70: 약제 검출 유닛, 71A~71D: 발광부, 72A~72D: 수광부, 73: 약제 불출 부재(불출부), 74: 셔터, 75: 구동 모터, 76: 전환 밸브 유닛, 77: 약제 통로, 78: 불출부, 79: 회수부, 80A, 80B: 요동 부재, 81: 탄성부, 82A, 82B: 구동 모터, 83: 제어부(제어부), 85: 조작 패널(약제 형상 특정부), 86: 바코드 리더, 87: 메모리(기억부), 88: 모니터, 89: 바코드 리더, 101: 제1 센서, 102: 제2 센서, 103: 제3 센서, 104: 제1 제어부, 105: 제2 제어부, 106: 약제용 카메라, 107: 작동 표시부, 107a: 불출 표시 LED, 107b: 회수 표시 LED, 108: 사이드 카메라, 109: 아암, 110: 거울, 111: 스케일, X, X1: 정제(약제), Y, Y1, Y2: 캡슐제(약제)

Claims (16)

  1.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기 위한 약제 형상 특정부와,
    상기 약제의 형상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2.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약제가 배출되는 간격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과, 그 약제의 간격을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3.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기 위한 약제 형상 특정부와,
    상기 약제의 형상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배출수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를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4.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외경 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간격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연관시키는 스피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약제의 간격으로부터 특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배출수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를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는, 약제의 평면 형상과 측면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형상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약제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약제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 이상이라면 약제의 배출수가 1이라고 하여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와 약제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약제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드 테이블에 의해 결정한 회전 속도로부터 특정되는 약제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을 초과하면 약제의 배출수가 1이라고 하여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8.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이물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이물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을 초과하면 계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9.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기준 체적을 특정하는 약제 체적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와 이물 체적 계수를 연관시키는 이물 체적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드 테이블에 의해 결정한 회전 속도로부터 특정되는 이물 체적 계수와, 상기 약제 체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체적의 곱이,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약제의 체적을 초과하면 계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가 저하하기 시작하는 약제의 배출 잔여수를 연관시키는 슬로우다운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서 약제의 배출수를 뺀 수가,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배출 잔여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잔여수는, 상기 약제의 형상에 따라서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잔여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의 저하를 다단계로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약제의 배출수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처방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체를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15.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위쪽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높이 규제 부재와,
    상기 약제의 기준 높이를 특정하기 위한 약제 높이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높이 보정 계수를 연관시키는 높이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높이 보정 계수와, 상기 약제 높이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되는 기준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높이 규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16.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상기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폭 규제 부재와,
    상기 약제의 기준 폭을 특정하기 위한 약제 폭 특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형상과 폭 보정 계수를 연관시키는 폭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형상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된 형상으로부터 특정되는 폭 보정 계수와, 상기 약제 폭 특정부에 의해서 특정되는 기준 폭에 기초하여, 상기 폭 규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계수 장치.
KR1020147026237A 2012-03-21 2013-03-14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계수 장치 KR20140138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4100 2012-03-21
JPJP-P-2012-064100 2012-03-21
JPJP-P-2012-211369 2012-09-25
JP2012211369 2012-09-25
PCT/JP2013/057154 WO2013141130A1 (ja) 2012-03-21 2013-03-14 薬剤供給装置及び薬剤計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187A true KR20140138187A (ko) 2014-12-03

Family

ID=4922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237A KR20140138187A (ko) 2012-03-21 2013-03-14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계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233789B2 (ko)
EP (1) EP2829480B1 (ko)
JP (1) JP6213459B2 (ko)
KR (1) KR20140138187A (ko)
CN (1) CN104245515B (ko)
TW (1) TWI605991B (ko)
WO (1) WO201314113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104A1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포장유닛 및 이의 약제 이송 방법
KR20170034383A (ko) * 2014-07-23 2017-03-2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세트
WO2017135654A1 (ko) * 2016-02-01 2017-08-10 박서준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US11033460B2 (en) 2016-02-01 2021-06-15 Kyungdo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9421B2 (ja) * 2013-08-09 2017-04-05 パーセプティメッ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erceptimed, Inc. ピルフィーダ
DE202013105243U1 (de) * 2013-11-20 2015-02-27 Krones Ag Umlenkvorrichtung für einen Folienschlauch und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 Umlenkvorrichtung
US9940439B2 (en) * 2013-11-29 2018-04-10 Atabak Reza Royaee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and/or sorting of medicines
WO2015119055A1 (ja) * 2014-02-06 2015-08-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撮影装置、薬品形状測定装置、薬品払出装置
JP6308050B2 (ja) * 2014-06-26 2018-04-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い出し情報印刷システムおよび薬剤払い出し装置
CN105270688B (zh) * 2015-03-06 2019-01-29 南通恒力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觉监测的电子数粒机
KR102543406B1 (ko) * 2015-04-11 2023-06-1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카세트
CN105109722A (zh) * 2015-08-27 2015-12-02 苏州捷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分药和供药系统及固体药物自动分离方法
CN108366909B (zh) * 2015-11-30 2021-06-1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盒、药剂配给装置和药剂包装装置
CN109195567B (zh) * 2016-08-05 2021-04-06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分包装置
CN107757984B (zh) * 2016-08-17 2020-04-17 诸暨市银生珍珠养殖有限公司 一种珍珠包装流水线定量送料装置
CN109922775B (zh) * 2016-11-15 2021-12-2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包装装置
CN107161429A (zh) * 2017-05-27 2017-09-15 肇庆市端州区图恩斯科技有限公司 晶振自动包装机
US10839635B2 (en) 2017-06-21 2020-11-17 Toly Management Ltd. Sweep bead dispenser
US10526131B2 (en) * 2017-06-21 2020-01-07 Toly Management Ltd. Sweep bead dispenser
CN111787901B (zh) * 2017-10-13 2023-05-23 快而安有限责任公司 用于自动包装机的通用供给机构
JP7029166B2 (ja) * 2018-04-13 2022-03-03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供給装置
JP7029165B2 (ja) * 2018-04-13 2022-03-03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供給装置
JP7227548B2 (ja) 2018-08-09 2023-02-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CN108891894A (zh) * 2018-08-27 2018-11-27 镇江仕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上料装置用自动调节机构
JP6725094B1 (ja) * 2018-12-13 2020-07-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カセット用ロータ及び錠剤カセット
CN109602611A (zh) * 2019-01-17 2019-04-12 台光五金制品(东莞)有限公司 一种用于固态药品的分药机
JP7357327B2 (ja) * 2019-02-04 2023-10-06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供給装置
CN111688956A (zh) * 2019-03-14 2020-09-22 梅特勒-托利多(常州)测量技术有限公司 可连续称重计数及包装的方法
WO2020202031A1 (en) 2019-04-05 2020-10-08 Blue Sky Ventures (Ontario) Inc. Sensor assembly for moving items and related filling machine and methods
CN110147868B (zh) * 2019-05-22 2023-07-11 河南省计量科学研究院 一种用于定量包装商品净含量检验装置
US11759396B2 (en) * 2020-01-29 2023-09-19 Tosho, Inc. Medicine feeder
EP3925590A1 (de) * 2020-06-16 2021-12-22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Vorratsbehälter für eine vorrats- und abgabestation
US11352194B2 (en) 2020-06-16 2022-06-07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Storage container for a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CN113071903A (zh) * 2021-03-31 2021-07-06 锎量(宁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摆药机漏药药盒
EP4323981A1 (en) * 2021-04-16 2024-02-21 Hero Health, Inc. Vacuum-based retrieving and dispensing
CN113142905B (zh) * 2021-04-26 2022-07-22 佳木斯大学 一种药剂发药装置及操作方法
US11273103B1 (en) 2021-06-22 2022-03-15 Vmi Holland B.V.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discrete medicaments
CN113605876B (zh) * 2021-08-11 2023-07-18 沧州格锐特钻头有限公司 一种牙轮钻头状态检测方法
IT202100031082A1 (it) * 2021-12-10 2023-06-10 Antares Vision S P A Carrello per la distribuzione di medicinali
CN114455148B (zh) * 2022-01-27 2023-07-14 西门子(中国)有限公司 理片堆垛机的控制方法及理片堆垛机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289B2 (ja) 1980-07-11 1983-05-14 株式会社 エフアイテイ 適応形部品供給装置
JPS582113A (ja) 1981-06-25 1983-01-07 F I T:Kk 供給機
US5369940A (en) * 1993-01-27 1994-12-06 Pfizer Inc Automatic filling system
US5884408A (en) 1995-04-19 1999-03-23 Simmons; Glenn Graduated measuring device with color coded indicia
US5884806A (en) 1996-12-02 1999-03-23 Innovation Associates, Inc. Device that counts and dispenses pills
JP3673484B2 (ja) * 2001-05-16 2005-07-20 株式会社エフアイテイ 回転式整列供給機
CN2512521Y (zh) * 2001-10-18 2002-09-25 广得利胶囊股份有限公司 圆盘式的胶囊/锭剂自动筛选机
US6997341B2 (en) 2001-12-14 2006-02-14 Pearson Research & Development, L.L.C. Vacuum drum pill counter
US20060213921A1 (en) * 2005-03-23 2006-09-28 Gazi Abdulhay Pill dispensing apparatus
CN1723005A (zh) * 2002-12-09 2006-01-18 斯克瑞特创新有限公司 通用药丸计数装置
CA2533265C (en) * 2005-01-27 2013-07-30 Sanyo Electric Co., Ltd.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US20080179387A1 (en) * 2005-02-08 2008-07-31 Ian James Cantlay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US7412302B2 (en) 2005-04-08 2008-08-12 Jm Smith Corporation Pharmaceutical singulation counting and dispensing system
US7689318B2 (en) * 2005-08-19 2010-03-30 Lonnie Draper Inventory control and prescription dispensing system
US7765776B1 (en) * 2006-10-19 2010-08-03 Medco Health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medical product and branding pharmaceutical/medical containers
WO2008143991A1 (en) * 2007-05-18 2008-11-27 Parata System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olid pharmaceutical articles
CN101795657B (zh) * 2007-09-21 2013-04-24 克里腾株式会社 在药品包装机中自动分发各种形状的药片的分配器及其药片分配方法
JP5154522B2 (ja) * 2008-09-04 2013-02-27 株式会社シンキー 材料充填装置及び材料充填方法
WO2010119949A1 (ja) * 2009-04-17 2010-10-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払出装置
US8281553B2 (en) * 2009-05-29 2012-10-09 Jvm Co., Ltd. Automated medicine storage and medicine introduction/discharge management system
JP4786002B1 (ja) * 2010-03-01 2011-10-0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機の粉除去装置
CN103501752B (zh) * 2011-01-20 2015-11-25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供给装置及使用药剂供给装置的药剂计数装置
GB2486939B (en) * 2011-12-01 2012-11-21 Data Detection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items
KR20150106820A (ko) * 2013-01-18 2015-09-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방법, 약품 불출 프로그램, 기록 매체
JP5950876B2 (ja) * 2013-07-25 2016-07-13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フィー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383A (ko) * 2014-07-23 2017-03-2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세트
WO2016099104A1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포장유닛 및 이의 약제 이송 방법
US10843823B2 (en) 2014-12-15 2020-11-24 Cretem (Co)., Ltd. Drug packaging unit and drug transfer method for same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WO2017135654A1 (ko) * 2016-02-01 2017-08-10 박서준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US11033460B2 (en) 2016-02-01 2021-06-15 Kyungdo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130A1 (ja) 2013-09-26
EP2829480B1 (en) 2021-02-24
US9962317B2 (en) 2018-05-08
US9233789B2 (en) 2016-01-12
US9611084B2 (en) 2017-04-04
TWI605991B (zh) 2017-11-21
CN104245515A (zh) 2014-12-24
US20150129603A1 (en) 2015-05-14
CN104245515B (zh) 2017-04-05
US20170224587A1 (en) 2017-08-10
US20160185507A1 (en) 2016-06-30
EP2829480A4 (en) 2016-03-30
TW201343498A (zh) 2013-11-01
JPWO2013141130A1 (ja) 2015-08-03
EP2829480A1 (en) 2015-01-28
JP6213459B2 (ja)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8187A (ko)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계수 장치
JP7381977B2 (ja) 薬剤供給装置
CA2922451C (en) Object dispenser having a variable orifice and image identification
KR102464180B1 (ko) 약제 감사 지원 장치
CN109152700B (zh) 药剂分发装置
KR20140057945A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20190039068A (ko) 약제 분할 포장 장치
KR20140057944A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