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540A - 약제 카세트 - Google Patents

약제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540A
KR20140133540A KR1020147024599A KR20147024599A KR20140133540A KR 20140133540 A KR20140133540 A KR 20140133540A KR 1020147024599 A KR1020147024599 A KR 1020147024599A KR 20147024599 A KR20147024599 A KR 20147024599A KR 20140133540 A KR20140133540 A KR 2014013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rotating body
guide
tubular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373B1 (ko
Inventor
나오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3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65B37/1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of centrifug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horizontal 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되는 약제의 잔량에 따라 원활하게 자동 인출이 가능한 데다가, 약제의 결품이나 잼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약제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약제가 수용되는 통형상체(110)와, 통형상체(110) 안을, 그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제1 회전체(111)와, 통형상체(110)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2 회전체(112)와, 제2 회전체(112)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반송 약제 검출 수단(179)과, 반송 약제 검출 수단(179)으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제1 회전체(11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8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약제 카세트{MEDICATION CASSETTE}
본 발명은 약제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품(물품)을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제1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와, 제2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원고리형의 제2 회전체를 구비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고, 수용 가능한 물품의 수량이 제한되어 있다. 수용하는 물품이 약제인 경우, 충전 작업을 빈번히 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수용 개수를 가능한 한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구성의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평1-51403호 공보
본 발명은, 대량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되는 약제의 잔량에 따라 원활하게 자동 인출이 가능한 약제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카세트를,
약제가 수용되는 통형상체와,
상기 통형상체 안을, 그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제1 회전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반송 약제 검출 수단과,
상기 반송 약제 검출 수단으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회전체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의 일단측으로 이동시켜, 약제 수용부를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수용부로부터 약제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체를 서서히 축심 방향의 타단측으로 이동시켜, 제2 회전체로의 이송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그 외측으로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배출 약제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 약제 검출 수단으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약제 검출 수단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고 있지 않을 때, 약제의 결품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 약제 검출 수단으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약제 검출 수단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고 있을 때, 에러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제1 회전체를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또한, 둘레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회전체를, 그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통형상체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를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승강 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을 차단 가능한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의 막힘 등이 원인으로 제1 회전체나 통형상체의 회전이 방해되는 경우에는, 클러치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기 때문에, 회전 구동 기구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여 소손(燒損)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상기 제1 회전체를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축방향으로 치수를 변경 가능한 치수 가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1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제2 회전체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반송되는 약제의 높이를 제한하는 규제편(片)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편은, 승강 가능하고, 강하시에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돌출되는 보조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통과 가능한 약제의 높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높이를 낮게 설정한 경우에도, 보조편에 의해 상측에 형성되는 간극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그 간극으로부터 다른 약제가 통과해 버리거나, 막힘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문제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은,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 축심 방향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형상체 내에서, 제1 회전체를 왕복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의 일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제 수용부의 용적을 증대시켜 대량의 약제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회전체를 서서히 통형상체의 타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제의 잔량에 따라 원활하게 자동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약제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제 충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제 충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약제 충전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바이알병 공급 유닛, 라벨링 유닛 및 바이알병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라벨링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승강대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바이알병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승강대가 상승중인 상태를 도시한 바이알병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핀의 가동 블록과 핀 개폐 막대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카세트 장착부로부터 약제 카세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0의 카세트 장착부의 확대 사시도, (b)는 (a)의 제2 가이드 레일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덮개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약제 카세트의 카세트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약제 카세트를 하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로부터 카세트 본체의 본체부나 베이스부 등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카세트 본체의 커버부를 제거하고, 제1 회전체를 가장 낮은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도 12의 본체부와, 그곳에 장착되는 높이 규제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규제편의 근방 부분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2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커버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2의 약제 카세트의 제1 회전체와 승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1 회전체를 하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제1 회전체와 승강 기구를 일체화하여 하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4의 아암 유닛으로부터 한쪽의 가이드 블록을 제거한 상태로서, 척 부재를 최대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유닛 본체, 척 본체 및 가이드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4의 아암 유닛으로부터 한쪽의 가이드 블록을 제거한 상태로서, 척 부재를 경사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2를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4의 배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약제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약제 충전 장치에서의 약제의 인출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 「측」, 「단」을 포함하는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1.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가 채용되는 약제 충전 장치(1)를 도시한다. 약제 충전 장치(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알병 공급 유닛(2), 라벨링 유닛(3), 바이알병 리프터(4), 약제 공급 유닛(5), 반송 유닛(6), 배출 유닛(7) 및 제어 유닛(80)(도 27 참조)을 구비한다. 또, 이 약제 충전 장치(1)의 장치 본체(8)에 있어서, 바이알병(9)의 배출창(10A, 10B, 10C)이 마련된 면을 정면으로 한다.
장치 본체(8)의 정면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정면 도어(11)에는, 수직 방향 3개소에 개구되는 배출창(10A, 10B, 10C) 외에, 상단과 중단의 배출창(10A, 10B) 사이에 조작 패널(1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12)의 우측에는, 바코드 리더(13)가 마련되고, 그 하측에는 약제의 충전 또는 복귀 작업용의 보조 장착대(14)가 마련되어 있다. 하단의 배출창(10C)의 하측에는, 라벨링 유닛(3)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도어(15)가 마련되어 있다.
(1-1. 바이알병 공급 유닛(2))
바이알병 공급 유닛(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8)의 정면에서 볼 때 안쪽의 하부 양측에 직사각형 상자형의 스토커(21)를 구비하고 있다. 각 스토커(21)에는, 사이즈가 상이한 바이알병(9)이 랜덤으로 수용되어 있다. 바이알병(9)은, 장치 본체(8)의 좌우 측면에 설치한 도어(22)(도 1 참조)를 개방하여 보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토커(21)의 내부 바닥에는, 장치 본체(8)의 정면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는 주행 구동 가능한 무단(無端) 벨트(23a)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23)가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23)는, 스토커(21)에 수용된 바이알병(9)을 정면측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커(21)의 정면측의 내벽을 따라, 취출 장치(24)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취출 장치(24)는, 주행 구동 가능한 무단 벨트(24a)에 패들(25)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각 패들(25)에 바이알병(9)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바이알병(9)을 무단 벨트(24a)의 상승에 따라 취출할 수 있다. 컨베이어(23)의 전단과 취출 장치(24)의 하단 사이에는 컨베이어(23)에 의해 반송되어 온 바이알병(9)을 취출 장치(24)의 패들(25)로 안내하는 가이드판(26)이 마련되어 있다.
스토커(21)의 정면측의 외벽에는, 취출 장치(24)에 의해 스토커(21)로부터 취출된 바이알병(9)을 미끄러 떨어트리는 슈트(27)와, 이 슈트(27)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져 온 바이알병(9)을 받아내어 지지하는 포크(28)가 마련되어 있다. 포크(28)는, 랙 & 피니언 기구 등의 공지된 기구에 의해, 사이즈가 상이한 바이알병(9)을 어느것이나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폭을 변경 가능하다. 또, 바이알병(9)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부의 외주에 플랜지(9a)와, 도시하지 않은 캡을 로크하는 기구를 갖는 돌기(9b)를 갖는 것이다.
바이알병 공급 유닛(2)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커(21)의 내부의 하측에 결품 센서(29a), 상측에 오버필 센서(29b), 최상 위치의 패들(25)에 지지된 바이알병(9)을 검출하는 준비 상태 검출 센서(29c), 슈트(27)에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정지시켜진 바이알병을 검출하는 바이알병 대기 센서(29d)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1-2. 라벨링 유닛(3))
라벨링 유닛(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 프린터(31)와 푸셔(32)로 이루어져 있다. 라벨 프린터(3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알병(9)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라벨(33)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한 라벨 테이프(34)를 사용한다. 라벨 프린터(31)는, 라벨 테이프(34)를 권취한 테이프 릴(35)과, 이 테이프 릴(35)로부터 공급된 라벨 테이프(34)의 라벨(33)에 처방 번호, 환자명, 약제명 등의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36)와, 라벨(33)이 박리된 라벨 테이프(34)를 권취하는 권취 릴(37)과, 바이알병(9)을 회전시키는 구동 롤러(38)를 구비한 공지된 것이다. 푸셔(3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9)에 의해 구동되는 볼나사(40)에 의해 포크(28)와 평행하게 가이드 로드(41)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푸셔(32)에는, 상기 바이알병 공급 유닛(2)의 포크(28)에 지지된 바이알병(9)을 라벨 프린터(31)의 구동 롤러(38)에 가압하는 3개의 롤러(42a, 42b, 42c)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8)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고 작은 바이알병(9)의 돌기(9b)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43)가 마련되어 있다.
(1-3. 바이알병 리프터(4))
바이알병 리프터(4)는, 도 7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알병(9)을 적재하는 승강대(51)와, 상기 승강대(51)에 적재되는 지지판(52)과, 상기 승강대(51)와 지지판(52)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53)와, 핀 개폐 막대(54)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대(51)는, 상면에 바이알병(9)의 외주를 지지하는 4개의 핀(55)이 돌출 되어 있다. 대향하는 2개의 핀(55)의 기초부는 가동 블록(56)에 고정되어 있다. 2개의 가동 블록(56)은 가이드 로드(57)를 따라 서로 접촉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접근하는 방향으로 스프링(58)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지지판(52)은, 상기 4개의 핀(55)이 진입하는 긴 절결(59)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52)은, 외주에 복수의 귀부(60)를 갖고, 상기 귀부(60)에 의해 장치 본체(8)에 고정된 브래킷(61)에 적재되도록 되어 있다. 승강 기구(53)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 구동 장치에 의해 가이드 로드(62)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블록(63)을 갖고, 상기 승강 블록(63)에 설치한 아암(64)의 선단에 상기 승강대(51)가 고정되어 있다. 핀 개폐 막대(54)는, 상기 승강대(51)의 하측에 있고, 장치 본체(8)에 고정되어 있다. 이 핀 개폐 막대(54)는, 승강대(51)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대(51)의 2개의 가동 블록(56) 사이에 걸리거나 이탈하여, 가동 블록(56)을 이동하여, 4개의 핀(55)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바이알병 리프터(4)의 승강 기구(53)의 구동에 의해 승강대(51)가 하강하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핀(55)은 승강대(51)의 하측에 설치한 핀 개폐 막대(54)에 억지로 넓혀져 스프링(5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바이알병(9)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대(51)의 하강 도중에, 지지판(52)은 브래킷(61)에 지지되어 정지하지만, 승강대(51)는 그대로 하강을 계속하여 최하 위치에서 정지한다. 최하 위치로부터 승강대(51)가 상승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61)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판(52)을 적재하는 한편, 4개의 핀(55)이 핀 개폐 막대(54)로부터 해방되어 스프링(58)의 압박력에 의해 지지판(52) 상의 바이알병(9)을 가압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 기구(53)는, 승강대(51)에 적재된 바이알병(9)을 라벨링 위치로부터 후술하는 반송 유닛(6)의 주고받음 위치까지 반송한다.
(1-4.약제 공급 유닛(5))
약제 공급 유닛(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8)의 양측의 지지 패널(101)에 복수의 카세트 장착부(102)를 형성하고(도 10에서는 1개소만 도시), 각 카세트 장착부(102)에 약제 카세트(103)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다.
(1-4-1. 카세트 장착부(102))
카세트 장착부(102)는, 지지 패널(101)에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고, 그곳에는 약제 출구(1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카세트 장착부(102)는, 지지 패널(101)의 외면에, 이 지지 패널(1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레일부(105) 및 제2 가이드 레일부(106)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 레일부(105)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상기 약제 카세트(103)의 카세트 본체(109)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체부(114)에 형성한 측벽부(120a)의 하단부를 가이드하는 홈부(105a)를 구비한다. 홈부(105a)의 한쪽 측면은 평탄하지만, 다른쪽 측면에는, 선단으로부터 소정 치수 안쪽에 걸림 받이부(105b)가 형성되고, 선단으로부터 걸림 받이부(105b)에 이르는 상부 가장자리 부분은 대향면측으로 밀어낸 가이드 가장자리(105c)로 되어 있다.
제2 가이드 레일부(106)는, 레일부(107)와, 이것에 연속하는 수용부(108)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부(107)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부(105)와 마찬가지로, 상면에 가이드 가장자리(107b)를 갖는 홈부(107a)를 구비하고, 그곳에는 걸림 받이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08)로부터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08a)의 일단부에 일체화된 구동 기어(108b)가 돌출되어 있다. 구동 기어(108b)는, 스프링(108c)에 의해 압박되어 밀어넣음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103)의 승강 기구(153)에 설치한 종동 기어(159a)에 맞물린다.
또한, 수용부(108)에는, 축부(108a) 중간에 설치한 베벨 기어(108d)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 부재(108e)의 베벨 기어(108f)와, 이 중간 기어 부재(108e)의 피니언 기어(108g)에 맞물리는 웜 기어(108h)가 수용되어 있다. 웜 기어(108h)의 회전축의 선단에는 상기 구동 기어(108b)와 동일한 구성의 종동 기어(108i)가 일체화되고, 그곳에는 후술하는 제1 구동 모터(174)의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한 구동 기어(174a)가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 모터(174)를 구동하면, 웜 기어(108h), 중간 기어 부재(108e)를 통해 구동 기어(108b)에 동력이 전달되어, 약제 카세트(103)의 승강 기구(153)가 구동한다. 또, 웜 기어(108h)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구동 모터(174)로부터의 동력이 차단되었다 하더라도, 구동 기어(108b)가 제멋대로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수용부(108)에는, 제2 회전체(112)의 종동 기어(112b)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108j)가, 그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구동 기어(108j)의 회전축에는, 베벨 기어(108k)가 고정되고, 그곳에는 종동 기어 부재(108l)에 설치한 베벨 기어(108m)가 맞물려 있다. 종동 기어 부재(108l)의 선단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종동 기어(108n)가 일체화되고, 후술하는 제2 구동 모터(175)의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한 제2 구동 기어(175a)가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모터(175)를 구동하면, 종동 기어(108n), 구동 기어(108j)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제2 회전체(112)가 회전한다.
(1-4-2. 약제 카세트(103))
약제 카세트(103)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109) 내에 통형상체(110)를 수용하고, 이 통형상체(110) 내에 제1 회전체(111)를 수용하고, 또한 통형상체(110)의 상단 개구부 외주에 제2 회전체(112)를 배치한 것으로, 카세트 본체(109)의 상측 개구부는 덮개(11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제1 회전체(111)의 회전 축심 방향은, 통형상체(110)의 축심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카세트 본체(109)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4)의 상측에 커버부(115)를 고정하고, 본체부(114)의 하측에 베이스부(116)를 고정한 것이다.
본체부(114)는, 대략 통형상이고, 전면 중앙부에는 손잡이(117)(하단 부분을 제외함)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4)의 배면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118)가 마련되고, 그곳에는 기어 부재(119)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부(118)의 하측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후술하는 나사축(159)의 일단부에 설치한 종동 기어(159a)가 노출되어 있다.
기어 부재(119)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제1 기어부(119a)와, 이 제1 기어부(119a)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의 선단에 기어가 형성된 제2 기어부(119b)를 구비한다. 제1 기어부(119a)는 제1 통형상부(144)의 종동 기어(146a)에 맞물리고, 제2 기어부(119b)는, 카세트 장착부(102)의 구동 기어(108b)에 맞물린다.
본체부(114)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부분과는 분리된 측벽부(120a, 120b)가 각각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부(120a, 120b)에는, 걸림편(121)이 2개씩 부착되어 있다. 걸림편(121)은, 단면이 대략 C자형을 하고 있고, 각 측벽부(120a, 120b)의 내측면으로부터 일부를 노출시키고 있다. 걸림편(121)의 노출 부분은 내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으로 밀림으로써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측벽부(120a 및 120b)를 카세트 장착부(102)의 제1 가이드 레일부(105) 및 제2 가이드 레일부(106)의 각 홈부(105a, 107a)에서 각각 슬라이드시키면, 가이드 가장자리(105c, 107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걸림편(121)의 한변이 걸림 받이부(105b)(제2 가이드 레일부(106)측은 도시하지 않음)를 타고 넘어 형상 복귀됨으로써 약제 카세트(103)가 카세트 장착부(102)에 장착된다.
본체부(114)의 상면 4 귀퉁이에는,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15)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부(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4 귀퉁이 중의 1개소에는, 높이 규제 부재(124)의 통형상부(127)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 축부(123)가 돌출되어 있다. 유지용 축부(123)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여기서는 4개소)의 홈(123a)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높이 규제 부재(124)는, 가이드편부(125)와, 다이얼부(126)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편부(125)는, 상기 유지용 축부(123)에 외장되는 통형상부(127)와, 이 통형상부(127)로부터 연장되고, 제2 회전체(112) 상에서 반송되는 약제의 높이를 규제하는 규제편(128)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부(127)는, 내주면에 유지용 축부(123)의 홈에 합치되는 복수의 돌출조부(127a)가 형성되고, 유지용 축부(123)에, 승강 가능하지만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통형상부(127)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127b)가 형성되어 있다(도 17의 A에서는, 돌기(127b)는 4개만 도시되어 있고, 다른 4개는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편(128)은, 통형상부(127)로부터 제2 회전체(112)의 바깥 둘레를 따라, 계속해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하면이 제2 회전체(112)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지지축(129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조편(129)이 부착되어 있다. 보조편(129)은,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측에 옆쪽으로 돌출되는 가이드축(129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축(129b)은, 커버부(115)의 가이드벽(114a)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편부(125)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보조편(129)은 지지축(129a)을 중심으로 하여 기립 각도가 작아지도록 회전 이동한다. 다이얼부(126)는, 외주면에 형성한 복수의 세로홈(126a)에 의해 손가락으로 회전 조작할 때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다이얼부(126)의 내주면에는 나선홈(126b)이 형성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통형상부(127)의 상하 방향의 각 돌기(127b)로 걸어맞춤 위치를 변경시켜, 가이드편부(125)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가이드편부(125)는, 상측 부분이 회전 이동 가능한 보조편(1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약제의 사이즈에 따라, 가이드편부(125)를 강하시킨 상태에서는, 보조편(129)이 기립하여, 덮개(113)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가이드편부(12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보조편(129)이 덮개(113)에 접촉하여 규제편(128)측으로 절첩된다. 따라서, 약제 카세트(103)의 상방향으로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 가이드편부(125)와 제2 회전체(112) 사이에, 약제의 사이즈에 따른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14)의 상면은, 둘레벽(130)에 의해 둘러싸이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 3개소에는 거의 균등하게 제1 가이드 롤러(131)(1개소는 도시하지 않음)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롤러(131)는, 후술하는 제2 회전체(112)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이 제2 회전체(1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제1 통형상부(144)의 상면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부재(132)가 위치하고 있다. 링 부재(132)에는, 둘레 방향으로 거의 3등분으로, 외경 방향을 향하여 제2 설편(舌片)(133)이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각 제2 설편(133)은, 본체부(114)에 나사 고정되는 것 외에, 제2 가이드 롤러(134)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각 제2 가이드 롤러(134)는, 제2 설편(133)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2개소의 돌출조에 의해 형성된 홈형상부를 갖는다. 각 제2 가이드 롤러(134)의 홈형상부는, 제1 통형상부(144)의 고리형 플랜지부(146)의 외주면을 가이드한다. 즉, 링 부재(132)는, 제1 통형상부(144)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커버부(115)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35)와, 그 상측을 덮는 커버체(136)를 구비한다. 커버부(115)의 일부는, 원통면의 절반을 넘는 부분을 구성하는 제1 가이드면(1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면(137)을 따라, 후술하는 제2 회전체(112)의 바깥 둘레가 위치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135)의 일부는, 제1 가이드면(137)과 원통면을 구성하는 제2 가이드면(138)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35)에는, 2개소에 긴 홈(135a)이 형성되고, 이 긴 홈(135a)을 이용하여 본체부(114)에 대하여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35)는, 그 내면이 제1 가이드면(137)이 위치하는 동일 원주면으로부터 서서히 중심측으로 밀어내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135)에 의해 제2 회전체(112)가 반송 가능한 약제의 사이즈(폭 치수)가 제한되고, 약제가 1개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135)의 타단측(약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배출부(139)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부(139)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 형상인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139)의 상측 부분에는, 제2 회전체(112)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수용 가능한 절결부(140)가 형성되고, 한쪽의 측벽(제1 측벽(141a))의 선단 부분에는 배출 가이드편(142)이 부착되고, 다른쪽의 측벽(제2 측벽(141b))의 선단은 가이드 부재(135)의 단부면에 접촉하고 있다. 배출 가이드편(142)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통형으로 형성된 제1 측벽(141a)에 끼워 맞춰지는 부착부와, 제1 측벽(141a)을 따라 돌출되는 가이드부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의 선단부에는, 그 선단을 향함에 따라 가이드 부재(135)의 내면과의 거리를 크게 하며, 또한, 높이 치수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가이드편(142)은, 이러한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회전체(112)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원활하게 배출부(139)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5)의 측면에는 관통 구멍(115a)(도 12 참조)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115a)을 통해, 후술하는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에 의해 제2 회전체(112) 상에서 반송되는 약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부(116)의 전면측에는 손잡이(117)의 하단부가 일체화된 전면 커버(143)(도 13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통형상체(11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한 제1 통형상부(144)와, 그 상측에 배치되는, 축심 둘레로 회전 불가능한 제2 통형상부(14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통형상부(144)의 상측 외주면에는 고리형 플랜지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플랜지부(146)의 하면에는 종동 기어(146a)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 기어(146a)에는, 본체부(114)의 베어링부(118)에 유지한 기어 부재(119)의 제1 기어부(119a)가 맞물려 있다. 제1 통형상부(144)의 내주면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4개소 등분으로,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조부(1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돌출조부(147)에는, 후술하는 제1 회전체(111)의 가이드 롤러(151)가 각각 가이드되면서 회전하고, 제1 통형상부(144) 안을 제1 회전체(111)가 축심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통형상부(144)는, 카세트 장착부(102)에 약제 카세트(103)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축심 방향이 경사져 있다.
제2 통형상부(145)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형상부(144)의 상측에 배치되지만, 그 상단 개구부는 축심과의 직교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수평면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통형상부(145)의 내주면은, 축심 방향을 따른 치수가 가장 짧은 위치(최단 위치)로부터, 배출부(139)가 배치되는 위치의 근방 부분(축심 방향을 따른 치수가 가장 긴 위치 : 최장 위치)을 향하여 서서히 내경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형상부(145)의 내주면은,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최단 위치로부터 최장 위치를 향하는 도중부터 서서히 내측으로 팽출하고(즉, 제2 통형상부(145)의 내주면은,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그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최장 위치에서 가장 팽출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이하, 이 영역을 제1 팽출 영역(148)으로 함). 제1 팽출 영역(148)에서는, 상측 개구 내면이 만곡면(148a)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장 위치로부터 앞의 제2 팽출 영역(149)은, 외경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상측에는 만곡면(149a)과, 상기 배출 가이드편(142)이 위치하는 평탄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체(111)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 외주부의 4개소에 등분으로 가이드 롤러(151)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151)는, 외주부에 홈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홈형상부에는, 상기 제1 통형상부(144)의 내주면에 형성한 제1 돌출조부(147)(도 18 참조)가 위치함으로써, 가이드 롤러(151)가 제1 돌출조부(147)를 따라 전동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11)는, 제1 통형상부(144)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통형상부(144)가 축심 둘레로 회전하면, 제1 돌출조부(147)가 가이드 롤러(151)의 홈형상부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통형상부(144)와 함께, 제1 회전체(111)가, 그 축심(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회전체(111)의 중심 부분은 원추형으로 팽출하고, 그 중심에는 걸림 부재(152)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회전체(111)의 상면에는, 회전 중심에 대하여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조(1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약제는 제1 회전체(111)의 회전력을 받음과 동시에, 돌출조(111a)의 나선 형상의 영향을 받아, 회전 방향 및 외경 방향으로 반송된다.
걸림 부재(152)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1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2a)와, 하측으로 돌출되고, 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기어부(152b)와, 기어부(152b)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다리부(152c)로 이루어진다. 기어부(152b)는, 후술하는 베어링 부재(157)의 기어부(163a)에 맞물린다. 다리부(152c)는, 후술하는 베어링 부재(157)의 축 부재(163)의 중심 구멍을 삽입 관통하고, 그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 갈고리(152d)를 갖는다.
(1-4-3. 승강 기구(153))
제1 회전체(111)의 중앙부 하측에는,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기구(153)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 기구(153)는, 직사각형 프레임(154) 내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하는 한쌍의 슬라이드 블록(155)을 설치하고, 이들 슬라이드 블록(155)에 의해 링크 부재(156)(치수 가변 부재)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베어링 부재(157)를 통해 제1 회전체(111)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직사각형 프레임(154)의 하면 양단측 중앙부에는 스프링(158a)에 의해 양단측으로 돌출되도록 압박된 걸림편(158)이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155)은, 직사각형 프레임(154) 내에 배치되고, 그 중심선을 따라 접촉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블록(155)의 중앙부에는 나사축(159)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축(159)은 직사각형 프레임(154)의 양단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159)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나선홈)는, 한쪽의 슬라이드 블록(155)과 다른쪽의 슬라이드 블록(155)으로 형성되는 나선홈의 나선 방향이 상이하다(나사축(159)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나선홈의 방향이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볼 때 시계 방향이면, 타단측에 형성되는 나선홈의 방향은 타단측에서 일단측을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사축(159)을 정역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블록(155)이 접촉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나사축(159)의 일단부에는 종동 기어(159a)가 설치되고, 이 종동 기어(159a)를 통해 제1 구동 모터(174)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나사축(159)에는 스프링(159b)이 외장되어, 각 슬라이드 블록(155)이 양단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링크 부재(156)는, 중앙부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직사각형 프레임(154)의 양측부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링크 부재(156)의 일단부는, 각 슬라이드 블록(155)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링크 부재(156)의 타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축부(156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157)는, 원통부(160)와, 이 원통부(160)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아암부(161)로 이루어진다. 원통부(160) 내에는 베어링(162)을 통해 원통형의 축 부재(163)가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부재(163)의 상측 개구단은, 원주 방향으로 산형 형상의 기어부(163a)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61)에는 긴 구멍(161a)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상기 링크 부재(156)의 타단부에 설치한 축부(156a)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성의 제1 회전체(111)는, 제1 구동 모터(174)를 구동하여 나사축(159)을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블록(155)이 접촉 분리되고, 링크 부재(156)가 회전 이동함으로써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1 회전체(111)의 상측 이동 위치는, 제1 회전체(111)의 일부가 도시하지 않은 접촉편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되고, 제1 회전체(111)의 일부가 제2 회전체(112)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된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155)이 가장 떨어진 위치에서, 제1 회전체(111)는 가장 하측으로 이동하고, 약제 수용부(164)(도 12 참조)의 약제 수용 용적은 최대가 된다.
또, 약제 카세트(103)를 카세트 장착부(102)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제1 회전체(111)는, 주로, 그 자신의 자체 중량에 의해, 링크 부재(156)를 회전 이동시켜, 제1 통형상부(144)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약제 카세트(103) 내에는, 약제를 수용 가능한 충분한 공간이, 별도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얻어진다.
제2 회전체(112)는, 소정 폭으로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통형상부(145)의 상단 개구부의 대략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회전체(112)의 외주면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 홈(112a)과, 그 하측에 위치하는 종동 기어(11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홈(112a)에는, 카세트 본체(109)의 본체부(114)에 부착한 제1 가이드 롤러(131)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제2 회전체(1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 기어(112b)에는, 후술하는 카세트 장착부(102)에 설치한 구동 기어(108j)가 맞물리고, 제2 회전체(11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회전체(112)는, 상기 제1 회전체(111)보다 고속 회전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11)로부터 제2 회전체(112)로 이송되는 각 약제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 약제의 인출수를 오검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1-5. 반송 유닛(6))
반송 유닛(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약제 공급 유닛(5) 사이에 설치되고, 장치 본체(8)의 상하에 고정한 제1 수평 레일(91)과, 이 제1 수평 레일(9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수직 레일(92)과, 이 수직 레일(9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제2 수평 레일(93)과, 이 제2 수평 레일(93)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아암 유닛(165)으로 이루어진다.
아암 유닛(165)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본체(166)에 슬라이더(167)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슬라이더(167)에 척 부재(168)를 부착한 구성이다.
유닛 본체(166)는, 상하 방향으로 톱 플레이트(169)와 베이스 플레이트(170)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그 양측부끼리를 가이드 블록(171)(도 23에서는, 한쪽은 도시하지 않음)으로 각각 연결한 대략 직사각형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톱 플레이트(169)의 상면에는 제1 제어 기판(172)이 배치되고, 또한 그 상측은 커버 플레이트(173)에 의해 덮여 있다.
유닛 본체(166)의 옆쪽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모터(174), 제2 구동 모터(175), 및 제3 구동 모터(176)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모터(174)는, 그 회전축의 선단에 구동 기어(174a)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 구동 기어(174a)는, 상술한 지지 패널(101)에 설치한 카세트 장착부(102)의 종동 기어(108i)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제1 구동 모터(174)를 구동하면, 구동 기어(174a) 및 종동 기어(159a)를 통해 나사축(159)이 회전하고, 슬라이드 블록(155)이 왕복 이동한다. 이 결과, 링크 부재(156)가 회전 이동하고, 베어링 부재(157)를 통해 제1 회전체(111)가 승강한다. 또, 제1 구동 모터(174)의 회전축의 중간에는 마그넷식의 클러치(177)가 설치되고, 제1 회전체(111)측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작용하면, 클러치(177)에서 차단된다.
제2 구동 모터(175)는, 그 회전축의 선단에 일체화된 제2 구동 기어(175a)가 카세트 장착부(102)의 종동 기어 부재(108l)에 설치한 종동 기어(108n)에 맞물려 있다. 종동 기어 부재(108l)는, 베벨 기어(108m)를 구비하고, 이 베벨 기어(108m)가 베벨 기어(108k)에 맞물림으로써 구동 기어(108j)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어(108j)는, 약제 카세트(103)의 종동 기어(112b)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제2 구동 모터(175)를 구동하면, 종동 기어(112b)를 통해 제2 회전체(112)가 회전한다.
제3 구동 모터(176)는, 그 회전축의 선단에 일체화된 구동 기어(176a)가 기어 부재(119)의 제2 기어부(119b)에 맞물리고, 그 제1 기어부(119a)가 제1 통형상부(144)의 종동 기어(146a)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제3 구동 모터(176)를 구동하면, 제1 통형상부(144)가 회전한다.
톱 플레이트(169)의 전단측에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카세트(103)로부터 인출되는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약제 검출 센서(178)와, 제2 회전체(112)의 상면에서 반송되는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약제 검출 센서(179)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약제 검출 센서(178)는, 직사각형 프레임(178a)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고, 중심 구멍을 통과하는 약제(수)를 검출한다. 제2 약제 검출 센서(179)는, 약제 카세트(103)의 커버부(115)에 형성한 관통 구멍(115a)(도 12 참조)을 통해 제2 회전체(112)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검출한다. 이것은, 제1 약제 검출 센서(178)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약제가 결품되어 있지 않은, 예컨대, 잼(약제의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톱 플레이트(169)의 후단측에는, 유닛 본체(166)의 후단 개구로 연장되는 부착 플레이트(180)가 설치되고, 그 외면에는 제2 제어 기판(181)이 부착되어 있다. 각 가이드 블록(171)의 대향면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8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82)은, 유닛 본체(166)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을 향하는 제1 수평부(182a)와, 그곳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82b)와, 또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182c)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70)의 양측부에는, 각 가이드 블록(171)의 내측 부분에, 슬라이더 가이드(18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67)는, 바닥면부 및 양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부착 플레이트(184)의 양측부에,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183)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슬라이드 레일(185)을 각각 고정한 것이다. 슬라이더(167)에는, 링크 기구를 통해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링크 기구는, 제1 링크 부재(186)와, 이 제1 링크 부재(18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제2 링크 부재(187)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186)는, 일단부를 양측의 가이드 블록(17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지지축(188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축(188a)에는, 한쪽의 제1 링크 부재(186)측에 종동 기어(186a)가 설치되고, 구동 모터(189)의 회전축에 설치한 구동 기어(189a)가 사용되고 있다. 각 제1 링크 부재(186)의 타단부는, 제2 링크 부재(187)의 일단부에 제2 지지축(188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제2 링크 부재(187)의 타단부는, 부착 플레이트(184)의 각 측면부에 제3 지지축(188c)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189)를 정역 회전 구동하면, 기어(189a, 186a)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86) 및 제2 링크 부재(187)가 회전 이동하고, 부착 플레이트(184)가, 그 슬라이드 레일(185)을 슬라이드 가이드(183)에 가이드되면서 왕복 이동한다.
척 부재(168)는, 판형체를 직사각 형상으로 조립한 척 본체(190)와, 이 척 본체(190)에 한쌍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 가능에 부착한 한쌍의 협지편(191)과, 이 협지편(191)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92)를 구비한다.
척 본체(190)는, 부착 플레이트(184)의 각 측면부에 회전축(19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 가능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90a)의 양단부에는, 아암부(193)가 일체화되고, 그 선단 부분에는 가이드 롤러(194)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94)는, 가이드 블록(171)에 형성한 가이드 홈(182) 안을 전동한다. 각 협지편(191)은, 병설한 각 회전체(19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회전체끼리는, 상단부(기어로 구성해도 좋음)끼리가 맞물림으로써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회전체(195)로부터의 연장 부분에는 스프링(196)이 걸리고, 협지편끼리는 선단 부분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연장 설치 부분의 한쪽에는 바이알병(9)을 검출하기 위한 병 검출 센서(197)가 부착되어 있다. 한쪽의 회전축체(195)로부터 연장되고, 척 본체(19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가압 받이부(198)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모터(192)는, 회전축에 편심 캠(199)이 일체화되어 있다. 편심 캠(199)이 가압 받이부(198)에 압접하고, 한쪽의 회전체(195)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것과 동기하여 다른쪽의 회전체(195)를 회전시킴으로써 협지편(191)이 개폐된다.
또한, 척 부재(168)는, 슬라이더(167)와 함께 왕복 이동할 때, 뒤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롤러(194)가 가이드 블록(171)의 가이드 홈(182)을 제1 수평부(182a)로부터 경사부(182b)로 이동한다. 이 결과, 척 부재(168)는 서서히 경사져, 협지한 바이알병을 경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194)가 제2 수평부(182c)에 이름으로써 척 부재(168)의 경사 상태가 안정되고, 이 위치에서, 약제 카세트(103)로부터 인출되고, 약제가 제1 약제 검출 센서(178)를 통과한 약제를, 척 부재(168)에 의해 협지한 바이알병에 회수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200은, 약제 카세트(103)의 걸어맞춤 받이부(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춰 아암 유닛(165)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돌기이고, 201은, 아암 유닛(165)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로드이다. 또한, 유닛 본체(166)는 회전축(202)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1-6. 배출 유닛(7))
배출 유닛(7)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유지 부재(71)를 3개의 배출창(10A, 10B, 10C)의 각각에 대하여 3개, 합계 9개 설치한 것이다. 한쌍의 유지 부재(71)에는 상하 2개의 경사면(72a, 72b)이 마련되고, 그 상단은 장치 본체(8)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배출창(10A, 10B, 10C)에 위치하여, 배출구(73)를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72a, 72b)의 상단에는 또한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74)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5)의 상면은 유지 부재(71)의 경사면과 연속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72a, 72b)의 하단에는 스토퍼(7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스토퍼(75)는, 통상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압박력으로 돌출되어 있어 경사면(72a, 72b)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바이알병(9)을 받아내고, 오퍼레이터가 바이알병(9)을 취출할 때에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퇴하여 바이알병(9)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 유지 부재(71)에 유지된 바이알병(9)은 병 검출 센서(76)에 의해 검출된다.
(1-7. 제어 유닛(80))
제어 유닛(80)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어 기판(172) 및 상기 제2 제어 기판(181)을 구비하고, 도시하지 않은 서버 등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약제 공급 유닛(5)에서는, 약제 카세트(103)를 특정하고, 상기 각 센서(178, 17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모터(174, 175, 176)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약제를 1개씩 확실하게 인출하여 계수한다.
(2. 동작)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충전 장치의 동작에 관해, 도 2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제어 유닛(60)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서버 등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고(스텝 S1), 그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카세트(103)를 특정한다(스텝 S2). 그리고, 특정된 약제 카세트(103)에서, 제2 구동 모터(175)를 구동하여 제2 회전체(112)의 회전을 개시함과 동시에(스텝 S3), 제3 구동 모터(176)를 구동하여 제1 회전체(111)의 회전을 개시한다(스텝 S4). 이에 따라, 약제 카세트(103) 내에 수용된 약제는, 제1 회전체(1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제1 통형상부(144) 및 제2 통형상부(145)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고, 약제 수용부(164)에 수용된 약제는, 제2 통형상부(145)의 최단 위치에서, 가장 제2 회전체(112)에 접근해 있다. 이 때문에, 외주측으로 이동한 약제는, 주로, 제2 통형상부(145)의 최단 위치의 근방에서, 순차적으로 제2 회전체(112) 상으로 이동한다.
이 때,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이알병의 사이즈를 특정하고, 바이알병(9)이 수용된 스토커(21)의 컨베이어(23) 및 취출 장치(24)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바이알병(9)은 취출 장치(24)의 패들(25)에 의해 취출되고, 슈트(27)를 미끄러져 떨어져 포크(28)에 적재된다. 그리고, 라벨 프린터(31)를 구동하여 바이알병(9)에 소정 사항을 인쇄한 라벨(33)을 점착한다.
반송 유닛(6)을 구동하여, 라벨(33)이 점착된 바이알병(9)을 척 부재(168)의 협지편(191)으로 꽉 쥐고,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카세트(103)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하여 바이알병(9)을 인출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즉, 구동 모터(189)를 구동하여,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189a, 186a)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86)를, 제1 지지축(188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86) 및 제2 링크 부재(187)가 기립하고, 슬라이더(167)가 유닛 본체(166) 내로 인입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67)에 부착한 척 부재(168)의 가이드 롤러(194)가 가이드 블록(171)의 가이드 홈(182)을 제1 수평부(182a)로부터 경사부(182b)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척 부재(168)는 서서히 경사져, 가이드 롤러(194)가 제2 수평부(182c)에 이른 시점에서, 협지한 바이알병(9)이 경사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한편, 제2 회전체(112) 상으로 이동한 약제는, 제2 회전체(112)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면서, 우선, 관통 구멍(115a)을 통해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높이 규제 부재(124)에 의해 겹쳐 쌓인 약제 등이 약제 수용부(164)로 복귀된다. 계속해서, 제2 회전체(112) 상의 남은 약제는, 가이드 부재(135)에 의해 제2 회전체(112)의 노출 부분이 서서히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1개씩밖에 통과할 수 없게 되고, 다른 것은 제2 통형상부(145)에 형성한 만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약제 수용부(164)로 복귀된다. 그리고, 통과한 약제는, 가이드 부재(135)와 배출 가이드편(142)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부(139)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제1 약제 검출 센서(178)에 의해 약제를 검출하여, 인출수를 카운트한다(스텝 S5).
그리고, 인출된 약제는 바이알병(9) 내에 회수되지만, 바이알병(9)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고, 그 경사 각도는, 약제 카세트(103)로부터 인출되는 약제의 인출 방향에 거의 합치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 카세트(103)로부터 인출된 약제는 원활하게 바이알병(9) 내에 수용된다. 바이알병(9) 내에 대한 약제의 충전이 완료되면, 반송 유닛(6)을 구동하여, 척 부재(168)에 의해 유지한 약제 카세트(103)를 장치 본체(8)의 전면에 형성한 어느 배출구(73)로 반출한다. 이 때, 구동 모터(189)를 구동하여,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189a, 186a)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86)를, 제1 지지축(188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86) 및 제2 링크 부재(187)가 신장하고, 슬라이더(167)가 유닛 본체(166)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67)에 부착한 척 부재(168)의 가이드 롤러(194)가 가이드 블록(171)의 가이드 홈(182)을 제2 수평부(182c)로부터 경사부(182b), 또한 제1 수평부(182a)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척 부재(168)는 서서히 기립하고, 가이드 롤러(194)가 제1 수평부(182a)에 이른 시점에서, 협지한 바이알병(9)이 최대 돌출 위치, 즉 배출구(73)에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약제 수용부(164) 내의 약제를 순차적으로 인출해 나가는데, 약제의 인출 상황에 따라 제1 회전체(111)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에 의해 제2 회전체(112) 상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약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혹은, 제1 약제 검출 센서(178)에 의해 배출부(139)로부터 배출되는 약제가 검출되는 간격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등에 의해 약제의 인출 상황이 악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약제의 인출 상황이 악화되어 있으면, 제1 구동 모터(174)를 구동하여(스텝 S7), 각종 기어(174a, 159a), 링크 부재(156) 및 베어링 부재(157)를 통해 제1 통형상부(144) 내에서 제1 회전체(111)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약제 수용부(164) 내의 약제를, 인출 상황에 따라 원활하게 제2 회전체(112)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111)가 가장 높은 위치까지 이동하거나, 그곳에 이르기 전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더라도,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제1 약제 검출 센서(178)여도 좋음)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지 않으면(스텝 S8 : NO), 약제를 충전해야 한다는 취지를 통지(결품 통지)한다(스텝 S9). 또한,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라도, 제1 약제 검출 센서(178)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만, 약제의 결품인 것으로 판단해도 좋다.
또,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에서 약제를 검출할 수 없으면, 제1 회전체(111)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제1 구동 모터(174)를 구동시키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제1 구동 모터(174)를 소정 시간 이상 회전시켜도,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에서 약제를 검출할 수 없으면, 약제를 충전해야 한다는 취지를 통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구동 모터(179)의 구동중에, 제1 회전체(111)가 상한 위치에 이르고, 그 이상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었다 하더라도, 제1 구동 모터(179)의 구동력이 클러치(177)로 차단되어, 제1 회전체(111)측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구동 모터(174)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걸리지 않아, 소손 등에 이르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 스텝 S8에서는, 제1 구동 모터(174)를 소정 시간 이상 회전시켜도, 제1 약제 검출 센서(178)에서 약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약제가 없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약제 수용부(164) 내에 약제를 충전해야 한다는 취지가 통지되면, 카세트 장착부(102)로부터 약제 카세트(103)를 떼어내어 충전하면 된다. 이 경우, 나사축(159)은, 카세트 장착부측의 구동 기어(108b)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제1 회전체(111)는,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최하 위치로 이동하고, 약제 수용부(164)의 용적을 최대로 하여 약제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약제의 인출 처리에서, 제1 약제 검출 센서(178)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지 않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있어서, 제2 약제 검출 센서(179)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고 있을 때, 에러인 것으로 판단해도 좋다. 에러로는, 예컨대, 잼(약제의 막힘 등)이 원인으로, 약제 카세트(103) 내에는 약제가 남아 있지만, 바이알병에는 약제를 인출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되어 있는 에러를 생각할 수 있다. 제1 약제 검출 센서(178)로부터의 검출 신호만으로 제1 회전체(111)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고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제1 회전체(111)의 상승 동작을 속행하여, 약제가 흘러넘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2 약제 검출 센서(179)를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에러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에러의 발생을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통지로는, 소리에 의한 통지, 약제 충전 장치에 설치한 램프, 모니터 등을 이용한 시각적인 통지를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체(110)의 축심 방향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만, 수직 방향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1 : 약제 충전 장치, 2 : 바이알병 공급 유닛, 3 : 라벨링 유닛, 4 : 바이알병 리프터, 5 : 약제 공급 유닛, 6 : 반송 유닛, 7 : 배출 유닛, 8 : 장치 본체, 9 : 바이알병, 10A, 10B, 10C : 배출창, 11 : 정면 도어, 12 : 조작 패널, 13 : 바코드 리더, 14 : 보조 장착대, 21 : 스토커, 22 : 도어, 23 : 컨베이어, 23a : 무단 벨트, 24 : 취출 장치, 25 : 패들, 26 : 가이드판, 27 : 슈트, 28 : 포크, 29a : 결품 센서, 29b : 오버필 센서, 29c : 준비 상태 검출 센서, 29d : 바이알병 대기 센서, 31 : 라벨 프린터, 32 : 푸셔, 33 : 라벨, 34 : 라벨 테이프, 35 : 테이프 릴, 36 : 프린트 헤드, 37 : 권취 릴, 38 : 구동 롤러, 39 : 모터, 40 : 볼나사, 41 : 가이드 로드, 42a, 42b, 42c : 롤러, 43 : 센서, 51 : 승강대, 52 : 지지판, 53 : 승강 기구, 54 : 핀 개폐 막대, 55 : 핀, 56 : 가동 블록, 57 : 가이드 로드, 58 : 스프링, 59 : 절결, 60 : 귀부, 61 : 브래킷, 62 : 가이드 로드, 63 : 승강 블록, 64 : 아암, 71 : 유지 부재, 72a, 72b : 경사면, 73 : 배출구, 74 : 가이드 부재, 75 : 스토퍼, 80 : 제어 유닛, 101 : 지지 패널, 102 : 카세트 장착부, 103 : 약제 카세트, 104 : 약제 출구, 105 : 제1 가이드 레일부, 106 : 제2 가이드 레일부, 107 : 레일부, 108 : 수용부, 109 : 카세트 본체, 110 : 통형상체, 111 : 제1 회전체, 112 : 제2 회전체, 113 : 덮개, 114 : 본체부, 115 : 커버부, 116 : 베이스부, 117 : 손잡이, 118 : 베어링부, 119 : 기어 부재, 120 : 측벽부, 121 : 걸림편, 122 : 암나사부, 123 : 유지용 축부, 124 : 높이 규제 부재, 125 : 가이드편부, 126 : 다이얼부, 127 : 통형상부, 128 : 규제편, 129 : 보조편, 130 : 둘레벽, 131 : 제1 가이드 롤러, 132 : 링 부재, 133 : 제2 설편, 134 : 제2 가이드 롤러, 135 : 가이드 부재, 136 : 커버체, 137 : 제1 가이드면, 138 : 제2 가이드면, 139 : 배출부, 140 : 절결부, 141a : 제1 측벽, 141b : 제2 측벽, 142 : 배출 가이드편, 143 : 전면 커버, 144 : 제1 통형상부, 145 : 제2 통형상부, 146 : 고리형 플랜지부, 147 : 제1 돌출조부, 148 : 제1 팽출 영역, 149 : 제2 팽출 영역, 150 : 평탄부, 151 : 가이드 롤러, 152 : 걸림 부재, 153 : 승강 기구, 154 : 직사각형 프레임, 155 : 슬라이드 블록, 156 : 링크 부재, 157 : 베어링 부재, 158 : 걸림편, 159 : 나사축, 160 : 원통부, 161 : 아암부, 162 : 베어링, 163 : 축 부재, 164 : 약제 수용부, 165 : 아암 유닛, 166 : 유닛 본체, 167 : 슬라이더, 168 : 척 부재, 169 : 톱 플레이트, 170 : 베이스 플레이트, 171 : 가이드 블록, 172 : 제1 제어 기판, 173 : 커버 플레이트, 174 : 제1 구동 모터, 175 : 제2 구동 모터, 176 : 제3 구동 모터, 177 : 클러치, 178 : 제1 약제 검출 센서(배출 약제 검출 수단), 179 : 제2 약제 검출 센서(반송 약제 검출 수단), 180 : 부착 플레이트, 181 : 제2 제어 기판, 182 : 가이드 홈, 183 : 슬라이더 가이드, 184 : 부착 플레이트, 185 : 슬라이드 레일, 186 : 제1 링크 부재, 187 : 제2 링크 부재, 188a : 제1 지지축, 188b : 제2 지지축, 188c : 제3 지지축, 189 : 구동 모터, 190 : 척 본체, 191 : 협지편, 192 : 구동 모터, 193 : 아암부, 194 : 가이드 롤러, 195 : 회전체, 196 : 스프링, 197 : 병 검출 센서, 198 : 가압 받이부, 199 : 편심 캠, 200 : 돌기, 201 : 검출 로드, 202 : 회전축

Claims (9)

  1. 약제가 수용되는 통형상체와,
    상기 통형상체 안을, 그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제1 회전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반송 약제 검출 수단과,
    상기 반송 약제 검출 수단으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회전체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그 외측으로 배출되는 약제를 검출하는 배출 약제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 약제 검출 수단으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약제 검출 수단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고 있지 않을 때, 약제의 결품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 약제 검출 수단으로부터 약제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약제 검출 수단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고 있을 때, 에러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제1 회전체를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또한, 둘레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를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승강 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을 차단 가능한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를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축방향으로 치수를 변경 가능한 치수 가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마련되는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1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체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반송되는 약제의 높이를 제한하는 규제편(片)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편은, 승강 가능하고, 강하시에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돌출되는 보조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은,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 축심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KR1020147024599A 2012-02-10 2013-02-07 약제 카세트 KR101968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7340 2012-02-10
JP2012027340 2012-02-10
PCT/JP2013/052921 WO2013118838A1 (ja) 2012-02-10 2013-02-07 薬剤カ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540A true KR20140133540A (ko) 2014-11-19
KR101968373B1 KR101968373B1 (ko) 2019-04-11

Family

ID=4894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599A KR101968373B1 (ko) 2012-02-10 2013-02-07 약제 카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365308B2 (ko)
EP (1) EP2813436A4 (ko)
JP (1) JP6167907B2 (ko)
KR (1) KR101968373B1 (ko)
CN (1) CN104144857B (ko)
TW (1) TWI573742B (ko)
WO (1) WO2013118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7810B2 (ja) * 2008-09-18 2010-08-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CN104144857B (zh) 2012-02-10 2016-11-02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盒
WO2015041220A1 (ja) * 2013-09-18 2015-03-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包装装置
WO2015119055A1 (ja) * 2014-02-06 2015-08-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撮影装置、薬品形状測定装置、薬品払出装置
CN103832760B (zh) * 2014-03-14 2016-03-09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全自动发药机及其发药方法
FR3021306B1 (fr) * 2014-05-21 2017-07-07 Thales Sa Dispositif de collecte et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objets, et systeme de distribution automatique contenant un tel dispositif
KR102543406B1 (ko) * 2015-04-11 2023-06-1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카세트
US10490016B2 (en) * 2015-05-13 2019-11-26 Carefusion Germany 326 Gmbh Device for packaging medication portions
CN105109722A (zh) * 2015-08-27 2015-12-02 苏州捷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分药和供药系统及固体药物自动分离方法
JP6875065B2 (ja) 2015-11-25 2021-05-19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供給装置
CN108366909B (zh) * 2015-11-30 2021-06-1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盒、药剂配给装置和药剂包装装置
KR101902066B1 (ko) * 2016-09-23 2018-09-28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CN106384441A (zh) * 2016-11-21 2017-02-08 宁翰 一种颗粒剂调配设备
CN106742098B (zh) * 2017-01-09 2023-09-26 成都宇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下药机机架
CN107256416A (zh) * 2017-08-05 2017-10-17 广州明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定位存取智能卡的卡盒
JPWO2020004423A1 (ja) 2018-06-26 2021-07-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CN111481445A (zh) * 2020-05-26 2020-08-04 北京石油化工学院 关爱老人智能辅助取药装置
TWI773016B (zh) * 2020-12-14 2022-08-01 郝榮華 取藥機構
CN113299008B (zh) * 2021-03-30 2022-03-15 青岛市中医医院 一种妇科一次性用品自助领取装置
CN115676235B (zh) * 2021-07-30 2023-09-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送料装置及电池生产设备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414A (ja) * 1983-08-22 1985-08-17 Daifuku Co Ltd コンベヤに於けるデジタル式同期制御方法
JPS6451403A (en) 1987-08-12 1989-02-27 Desoto Inc Curing process by active energy ray
US5369940A (en) * 1993-01-27 1994-12-06 Pfizer Inc Automatic filling system
JP2000203525A (ja) * 1999-01-11 2000-07-25 Dainippon Printing Co Ltd 錠剤供給ホッパ―
JP2002338033A (ja) * 2001-05-16 2002-11-27 F I T:Kk 回転式整列供給機
JP2007082622A (ja) * 2005-09-20 2007-04-0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供給装置
US20070240968A1 (en) * 2006-04-17 2007-10-18 Haumiller Engineering Company Rotary feeder
KR20090097419A (ko) * 2008-03-11 2009-09-16 주식회사 에스디티 캡슐정렬반송장치
WO2013035692A1 (ja) * 2011-09-06 2013-03-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13A (ja) 1981-06-25 1983-01-07 F I T:Kk 供給機
IT1259447B (it) * 1992-10-30 1996-03-18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Dispositivo ordinatore di prodotti, in particolare prodotti dolciari, alimentati alla rinfusa.
DE19856102C2 (de) * 1998-12-04 2003-11-20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Transportsystem für Kleinbauteile
CA2404418A1 (en) * 2000-03-28 2001-10-04 Takahiro Kitakura Injection drug feeding device
JP5259907B2 (ja) * 2000-09-01 2013-08-07 クロッシング オートメ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加工ツール、加工物を位置合わせする方法、及び加工物を次々に加工する方法
US7305092B2 (en) * 2000-12-19 2007-1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to accelerate cryptographic functions for secure e-commerce applications
JP2004281475A (ja) * 2003-03-12 2004-10-07 Seiko Epson Corp 枚葉搬送装置および枚葉搬送方法
KR101183013B1 (ko) * 2004-10-08 2012-09-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JP4821130B2 (ja) * 2005-02-16 2011-11-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2006230763A (ja) * 2005-02-25 2006-09-0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JP4910341B2 (ja) * 2005-09-12 2012-04-0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US7510099B2 (en) * 2005-12-23 2009-03-31 Qem, Inc. Cassette for dispensing pills
JP4940752B2 (ja) * 2006-05-11 2012-05-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バイアル瓶供給装置
JP4527810B2 (ja) * 2008-09-18 2010-08-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TWM406441U (en) * 2011-01-20 2011-07-01 Fang-Zhu Lin Drug-bag shaft structure of drug packaging machine
CN103501752B (zh) * 2011-01-20 2015-11-25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供给装置及使用药剂供给装置的药剂计数装置
CN104144857B (zh) * 2012-02-10 2016-11-02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盒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414A (ja) * 1983-08-22 1985-08-17 Daifuku Co Ltd コンベヤに於けるデジタル式同期制御方法
JPS6451403A (en) 1987-08-12 1989-02-27 Desoto Inc Curing process by active energy ray
US5369940A (en) * 1993-01-27 1994-12-06 Pfizer Inc Automatic filling system
JP2000203525A (ja) * 1999-01-11 2000-07-25 Dainippon Printing Co Ltd 錠剤供給ホッパ―
JP2002338033A (ja) * 2001-05-16 2002-11-27 F I T:Kk 回転式整列供給機
JP2007082622A (ja) * 2005-09-20 2007-04-0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供給装置
US20070240968A1 (en) * 2006-04-17 2007-10-18 Haumiller Engineering Company Rotary feeder
KR20090097419A (ko) * 2008-03-11 2009-09-16 주식회사 에스디티 캡슐정렬반송장치
WO2013035692A1 (ja) * 2011-09-06 2013-03-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4343A1 (en) 2015-01-15
EP2813436A1 (en) 2014-12-17
EP2813436A4 (en) 2015-10-07
KR101968373B1 (ko) 2019-04-11
US9687418B2 (en) 2017-06-27
US20170252267A1 (en) 2017-09-07
JP6167907B2 (ja) 2017-07-26
CN104144857B (zh) 2016-11-02
US9877897B2 (en) 2018-01-30
JPWO2013118838A1 (ja) 2015-05-11
US20160250104A1 (en) 2016-09-01
TW201339064A (zh) 2013-10-01
CN104144857A (zh) 2014-11-12
US9365308B2 (en) 2016-06-14
TWI573742B (zh) 2017-03-11
WO2013118838A1 (ja)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373B1 (ko) 약제 카세트
US7562791B2 (en) Tablet filling device
KR101411802B1 (ko) 정제 충전 장치
KR101704068B1 (ko) 약제 불출 장치
JP5950876B2 (ja) 薬剤フィーダ
US7770357B2 (en) Tablet filling device
KR101703365B1 (ko) 약품 트레이 공급 장치
CN109310577B (zh) 用于自动配药装置的给药罐
US20100147868A1 (en) Apparatus for releasing drugs
US10926901B2 (en) Blister packing device and blister pack packing method
JP2006224980A (ja) 錠剤充填装置
JP2009000290A (ja) 錠剤充填装置
JP2009000291A5 (ko)
WO2012008393A1 (ja) 分注装置
JP4782170B2 (ja) 錠剤充填装置
WO2011108447A1 (ja) 薬剤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