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066B1 - 의약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066B1
KR101902066B1 KR1020160121875A KR20160121875A KR101902066B1 KR 101902066 B1 KR101902066 B1 KR 101902066B1 KR 1020160121875 A KR1020160121875 A KR 1020160121875A KR 20160121875 A KR20160121875 A KR 20160121875A KR 101902066 B1 KR101902066 B1 KR 10190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s
medicine
space
mov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332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6012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066B1/ko
Priority to US15/676,553 priority patent/US20180085287A1/en
Priority to CN201710853936.2A priority patent/CN107871365B/zh
Priority to EP17192294.1A priority patent/EP3300044B1/en
Priority to US15/718,361 priority patent/US10445970B2/en
Publication of KR2018003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2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different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walking beam convey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복수의 의약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불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약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의약품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의약품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의약품이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의약품은 각각의 의약품이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의약품이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의약품을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의약품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의약품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의약품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 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의약품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의약품의 수집을 의약품이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의약품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한 의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복수의 의약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는, 각각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구획부 각각에 대한 복수의 구획유닛이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1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복수의 의약품 중 제1 공간에 위치한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공간의 하류측인 제2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된 상기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상기 제2 공간의 하류측인 제3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구획부 및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한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했을 당시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동력에 의한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불출시키되,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 각각은, 의약품가압부의 계속적인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과 소정 시간 동안의 정지가 반복되면서 하나씩 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정지가 되는 소정 시간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 시간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내부공간으로 은닉되고, 상기 정지가 되는 소정 시간이 지나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최하류측에 위치한 구획부는, 다른 구획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의약품가압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연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회전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연동부 중 맞물리는 연동부가 달라지게 하여 상기 의약품가압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회전부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의약품가압부가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진라인과 후퇴라인, 상기 전진라인과 상기 후퇴라인을 연결하는 은닉라인과 노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가압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의약품가압부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주행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주행안내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주행안내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은닉라인 또는 상기 노출라인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이상적인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복수의 의약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동력에 의한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불출시키되,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 각각은, 상기 의약품가압부의 계속적인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과 소정 시간 동안의 정지가 반복되면서 하나씩 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복수의 의약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1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복수의 의약품 중 제1 공간에 위치한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공간의 하류측인 제2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된 상기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상기 제2 공간의 하류측인 제3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의약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저장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컴팩트한 의약품 불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설비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저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의약품이동부로 의약품이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이동부에 의해 의약품이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로부터의 의약품의 불출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설비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설비(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을 수용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10),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가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1)에 장착되도록 하는 카트리지(2),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에 수용된 상기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3) 및 상기 구동력제공부(3)를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1) 내에서 층별 이동시키는 층별이동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설비(1)는 카트리지(2) 상에 복수의 의약품 불출 장치(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2)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1)의 층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1)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카트리지(2)에 장착될 수 있는 의약품 불출 장치(10)의 수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1)는 구동력제공부(3)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을 수용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10)의 불출부(12, 도 2 참조)를 구동, 즉, 회전시킴으로써 의약품의 불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상기 카트리지(2)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구동력제공부(3)에 의해 의약품 불출 장치(10)로부터 외부로 불출된 의약품은 컨베이어부(5)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부(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동력제공부(3)의 층별 이동은 층별이동부(4)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층별이동부(4)는 외부신호에 의해 필요로 하는 의약품이 수용된 의약품 불출 장치(10)가 배치된 층으로 상기 구동력제공부(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설비(1)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층별이동부(4)가 상기 구동력제공부(3)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는 상기 구동력제공부(3)에 의한 의약품 불출 장치(10)의 불출부(12)의 회전에 의해 의약품 불출 장치(10)로부터 필요로 하는 의약품을 불출시킬 수 있다.
불출된 의약품은 컨베이어부(5)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의약품이 안착된 컨베이어부(5)는 상기 층별이동부(4)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안착된 의약품을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컨베이어부(5)의 회전 이동은 상기 컨베이어부(5)가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이후에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컨베이어부(5)가 상기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이 각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의약품 불출 장치(10) 및 여러층에 배치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10)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동력제공부(3)는 층별이동부(4)에 의해 어느 한 층에 위치한 후 위치된 층에 배치된 복수의 의약품 불출 장치(10)로부터 순차적 또는 동시에 의약품을 불출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한 층으로부터의 불출이 완료되면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 재차 의약품의 불출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의약품 불출 장치(10)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의 불출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복수의 상기 의약품이 안착된 컨베이어부(5)는 상기 층별이동부(4)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안착된 복수의 의약품을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의약품 불출 장치(10)로부터의 의약품의 불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3)는 의약품 불출 장치(10)의 특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며, 다시 말해서,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에 수용된 의약품의 불출이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구동력제공부(3)는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의약품 불출 장치(10)로부터의 의약품의 불출을 위해 구동력제공부(3)가 필요한 경우, 상기 구동력제공부(3)에 의한 불출부(12)의 구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로부터의 의약품의 불출이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의약품의 불출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의약품을 수용하며, 복수의 층으로 배치되는 의약품저장부(100), 상기 의약품저장부(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동된 의약품을 불출구(S1)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은 정제, 포장된 산제, 파우치형 의약품,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라스틱 앰플을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복수의 층으로 배치되는 의약품저장부(100)은 구체적으로 제1 의약품저장부(110) 내지 제N(N은 자연수) 의약품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의약품저장부(110) 내지 제N(N은 자연수) 의약품저장부는 의약품 불출 장치(10) 내에서 최하층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은 3일 수 있으나, N은 의약품 불출 장치(10)의 전체 크기,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 내에 수용되는 의약품의 크기,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이 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제1 의약품(M1)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의약품저장부(110), 제2 의약품(M2)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2 의약품저장부(120), 제3 의약품(M3)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3 의약품저장부(130) 및 상기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1 의약품(M1)가 안착되며, 상기 이동된 제1 의약품(M1)를 불출구(S1)로 이동시키도록 상태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의약품이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의약품저장부(110) 내지 제3 의약품저장부(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은 일예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하우징 본체(14) 및 커버부(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14)의 전면에는 의약품이동부(200)에 의해 이동된 제1 의약품(M1)이 배출되는 불출구(S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4)의 전면에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구동력제공부(3)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불출부(12)가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불출부(12)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의약품의 불출이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구비되어 의약품이동부(200)를 구동시키는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커버부(16)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 본체(14)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의약품저장부(110) 내지 제3 의약품저장부(130)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의약품(M1) 내지 제3 의약품(M3)를 보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6)의 회동 여부는 잠금장치의 해제 여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저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의약품이동부로 의약품이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복수의 의약품(M1, M2, M3)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100)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10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M1, M2, M3)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약품저장부(100)는 제1 의약품(M1)를 각각 분리되도록 저장하는 제1 의약품저장부(110), 제2 의약품(M2)을 각각 분리되도록 저장하는 제2 의약품저장부(120) 및 제3 의약품(M3)을 각각 분리되도록 저장하는 제3 의약품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이동부(200)는 상기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상기 제1 의약품(M1)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상기 제1 의약품(M1)을 불출구(S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의약품(M1), 상기 제2 의약품(M2) 및 상기 제3 의약품(M3)은 동일한 의약품일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의약품이어도 무방하며, 상기 제1 의약품(M1)이 서로 다른 의약품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의약품저장부(110), 상기 제2 의약품저장부(120) 및 상기 제3 의약품저장부(130)는 순차적으로 하우징(11) 내부에서 최하층으로부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의약품이동부(200)의 상태 변화에 의해 의약품(M1, M2, M3)이 불출구(S1)를 통해 불출되는 바, 제1 의약품저장부(110), 제2 의약품저장부(120) 및 제3 의약품저장부(130)는 상기 의약품이동부(200)에 의해 불출되는 의약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불출대기공간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의약품저장부(110), 상기 제2 의약품저장부(120) 및 상기 제3 의약품저장부(130) 각각에 제1 의약품(M1), 제2 의약품(M2) 및 제3 의약품(M3)가 분리되도록 저장된 채 의약품 불출 장치(10)가 카트리지(도 1 참조)에 장착되어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의약품이 불출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제1 의약품저장부(110)에 수용된 제1 의약품(M1)이 의약품이동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에는, 제2 의약품저장부(120)에 저장된 제2 의약품(M2)이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 이동되고, 제3 의약품저장부(130)에 수용된 제3 의약품(M3)가 제2 의약품저장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제1 의약품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의약품(M1)이 의약품이동부(200)에 의해 불출구(S1)를 통해 불출되는 도중 또는 불출 완료 후에 제2 의약품(M2) 및 제3 의약품(M3)가 순차적으로 상기 의약품이동부(200)에 의해 외부로 불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부터 제1 의약품(M1)의 의약품이동부(200)로의 이동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부(114)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제2 의약품저장부(120)로부터 제2 의약품(M2)의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의 이동은 제2 저장부본체(122)를 기준으로 한 제2 조절부(124)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제3 의약품저장부(130)로부터 제3 의약품(M3)의 제2 의약품저장부(120)로의 이동은 제3 저장부본체(132)를 기준으로 한 제3 조절부(134)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의약품저장부(110), 상기 제2 의약품저장부(120), 상기 제3 의약품저장부(130)는 모두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의약품저장부(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제2 의약품저장부(120) 및 상기 제3 의약품저장부(130)에 대해서는 제1 의약품저장부(11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의약품저장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본체(112) 및 제1 조절부(11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저장부본체(112)는 제1 저장공간(A1)에 제1 의약품(M1)이 각각 분리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저장공간(A1)을 구획하는 제1 측벽(112a), 상기 제1 측벽(112a)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벽(112b)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측벽(112a)에는 후술할 스프링의 일종인 탄성부(E)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11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벽(112b)의 하측에는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조절부(1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부(114)는 상기 제1 저장공간(A1)에 저장되는 제1 의약품(M1)이 통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통과부(B1) 및 상기 제1 통과부(B1)의 범위를 규정하는 제1 규정부(114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규정부(114a)의 일측에는 탄성부(E)가 수용 또는 고정될 수 있는 고정대응부(114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규정부(114a)는 상기 제1 의약품(M1)이 상기 제1 통과부(A1)를 통과하기 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의약품(M1)을 지지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절부(114)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규정부(114a)가 상기 제1 측벽(112a)의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저장공간(A1)에 저장된 제1 의약품(M1)은 상기 제1 통과부(B1)를 통과한 후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어 의약품이동부(200)에 안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조절부(114)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은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부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절부(114)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은 구동모터(140), 상기 구동모터(14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42) 및 상기 회전축(142)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타격부(14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은 구동기어(G)에 의해 상기 회전축(142)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42)이 회전하면, 순차적으로, 제1 타격부(144a), 제2 타격부(144b) 및 제3 타격부(144c)는 각각 제1 조절부(114), 제2 조절부(124) 및 제3 조절부(134)에 접촉되어 각각을 위치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42)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1 의약품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의약품(M1)이 의약품이동부(200)로 이동되고, 다음에 제2 의약품저장부(120)에 저장된 제2 의약품(M2)가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 이동되며, 그 다음에 제3 의약품저장부(130)에 저장된 제3 의약품(M3)가 제2 의약품저장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타격부(144a)가 상기 제1 조절부(114)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조절부(114)는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제1 의약품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의약품(M1)은 의약품이동부(200)로 이동되고, 상기 제1 타격부(144a)가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조절부(114)는 탄성부(E)의 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에는 제2 타격부(144b)가 제2 조절부(124)에 접촉되어 제2 조절부(124)는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의약품(M2)은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 이동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조절부(114) 및 상기 제2 조절부(124)는 구동모터(140)라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한 회전축(142)의 회전에 의해 시간차를 두고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회전축(14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타격부(144a)에 의한 제1 조절부(114)의 위치 이동, 제2 타격부(144b)에 의한 제2 조절부(124)의 위치 이동 및 제3 타격부(144c)에 의한 제3 조절부(134)의 위치 이동은 각각 센서의 일종인 제1 감지부(116), 제2 감지부(126) 및 제3 감지부(13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116), 제2 감지부(126) 및 제3 감지부(136)는 하우징 본체(14)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제1 조절부(11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4d)의 위치, 제2 조절부(12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124d)의 위치 및 제3 조절부(13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돌출부(134d)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부터 의약품이동부(200)로의 제1 의약품(M1)의 이동, 제2 의약품저장부(120)로부터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의 제2 의약품(M2)의 이동 및 제3 의약품저장부(130)로부터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의 제3 의약품(M3)의 이동은, 각각 제1 감지부(116), 제2 감지부(126) 및 제3 감지부(13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1 의약품저장부(110)로부터 의약품이동부(200)로 이동된 제1 의약품(M1)이 불출구(S1)를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외부로 불출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이동부에 의해 의약품이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의약품 불출 장치(10)에 제공되는 의약품이동부(200)는 복수의 의약품(M)이 위치하는 프레임부(210) 및 상기 프레임부(210) 상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210)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M)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가압부(220)는 상기 프레임부(210)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M)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부(210)의 내부공간(S2)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210)는 상기 내부공간(S2)을 제공하는 공간부(212) 및 상기 공간부(212)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220)의 출몰을 위한 경로(215)를 형성하는 경로형성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형성부(214)는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경로(215)는 상기 경로형성부(214) 간의 간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경로형성부(214)는 반드시 복수개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단일 부품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는, 단일 부품에 소정 간격으로 절개하여 상기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프레임부(210)는 상기 의약품가압부(220)가 상기 내부공간(S2)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경로(215)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의약품가압부(220)는 상기 프레임부(210)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M)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2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획부(222)는 제3 방향(D3) - 상기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수직한 방향임 - 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유닛(222u)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획유닛(222u)은 상기 경로(215)로 인해 상기 내부공간(S2)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획부(222)는 연결부(22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의약품(M)을 가압하여 상기 의약품(M)을 불출구(S1)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신호가 의약품 불출 설비(1)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층별이동부(4)가 상기 구동력제공부(3)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후에는 구동력제공부(3)가 의약품 불출 장치(10)의 불출부(12)를 회전시킨다.
상기 불출부(12)가 회전되면, 제1 기어(G1, 도 4 참조), 제2 기어(G2, 도 4 참조), 제3 기어(G3, 도 4 참조) 및 제4 기어(G4, 도 4 참조)가 회전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4 기어(G4)와 공통의 축에 장착된 기어 형상의 회전부(230)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230)는 제4 기어(G4)의 회전, 즉, 특정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의약품가압부(2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가압부(220)는 상기 회전부(230)와 연동되도록 제2 방향(D2) 또는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연동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동부(226)는 의약품가압부(2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30)는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연동부(226) 중 맞물리는 연동부(226)가 달라지게 하여 상기 의약품가압부(220)를 상기 제2 방향(D2) 또는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가압부(220)의 내부공간(S2)을 기준으로 한 출몰은, 상기 회전부(230)의 돌기부(232) 및 의약품가압부(220)의 삽입부(2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32)는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28)는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진라인(228a)과 후퇴라인(228b), 상기 전진라인(228a)과 상기 후퇴라인(228b)을 연결하는 은닉라인(228c)과 노출라인(228d)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은닉라인(228c)과 상기 노출라인(228d)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약품가압부(220)에 의해 의약품(M)이 불출구(S1)로 이동되는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공간(B1)에 위치한 의약품(M)이 하류측인 제2 공간(B2) 및 제3 공간(B3)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1 구획부(222)는 회전부(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230)와 맞물리는 연동부(226)의 변화로 인해 상기 프레임부(210) 상의 제1 공간(B1)에 위치한 의약품(M)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232)는 상기 전진라인(228a)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30)와 맞물리는 연동부(226)의 변화로 인해 상기 제1 구획부(222)는 전진하게 되어 상기 제1 공간(B1)에 위치했던 의약품(M)은 제2 공간(B2)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회전부(23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기부(232)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닉라인(228b)에 삽입되게 된다.
이 경우, 회전부(230)는 최후방측에 위치한 연동부(226)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은닉라인(228b)에 의해 상기 제1 구획부(222)는 내부공간(S2)으로 은닉되게 된다.
이후, 회전부(23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기부(232)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라인(228c)에 삽입되게 된다.
이 경우, 회전부(230)는 맞물리는 연동부(226)의 변화로 인해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 구획부(222)는 내부공간(S2)에 은닉된 상태로 후퇴하게 된다.
이후, 회전부(23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기부(232)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라인(228d)에 삽입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230)는 최전방측에 위치한 연동부(226)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노출라인(228d)에 의해 상기 제1 구획부(222)는 내부공간(S2)으로부터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획부(222)는 최종적으로 도 12(a)의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3(b)의 과정이 반복하게 되면, 제1 구획부(222)의 하류측에 위치한 제2 구획부(222)는 제1 공간(B1)으로부터 제2 공간(B2)으로 이동된 의약품(M)을 가압하여 상기 제2 공간(B2)의 하류측인 제3 공간(B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공간(B1)의 위치한 의약품(M)은 불출구(S1)를 통해 외부로 불출되게 된다.
상기 제1 구획부(222) 및 상기 제2 구획부(222)는 상기 제1 공간(B1)에 위치한 의약품(M)이 제2 공간(B2)으로 이동되면, 상기 의약품(M)이 제1 공간(B1)에 위치했을 당시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210)의 경로형성부(214) 상에 위치한 복수의 의약품(M)은 의약품가압부(220)의 계속적인 이동에도 불구하고, 제2 방향으로의 이동과 소정 시간의 정지가 반복되면서 하나씩 불출될 수 있다.
이는 삽입부(228)의 은닉라인(228c), 후퇴라인(228b) 및 노출라인(228d)으로 인한 것이며, 상기 전진라인(228a)과 상기 후퇴라인(228b)이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어, 상기 은닉라인(228c)과 상기 노출라인(228d)으로 인해 상기 정지가 되는 소정 시간은 상기 제2 방향(D2)의 이동 시간보다 더 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획부(222) 및 상기 제2 구획부(222)는 상기 경로형성부(214) 상에 위치한 복수의 의약품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내부공간(S2)으로 은닉되고, 상기 정지가 되는 소정 시간이 지나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최하류측에 위치한 구획부(222)는 다른 구획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불출구(S1)를 규정하는 경로형성부(214)의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공간(S2)이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최하류측에 위치한 구획부(222)를 다른 구획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본 발명은 의약품이 불출구(S1)를 통과할 때 구획부(222)에 의해 걸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0)의 경로형성부(214)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이상적인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함입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이상적인 이동이란, 구획부(222)가 내부공간(S2)으로 은닉되는 경우, 경로형성부(214) 상의 특정 위치한 의약품이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경로형성부(214)의 적어도 일면이 함입됨으로써, 함입된 부분에 의약품이 위치되도록 하여, 구획부(222)가 내부공간(S2)으로 은닉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의약품(M)의 비이상적인 이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상기 의약품가압부(22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의약품가압부(220)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주행안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안내부(240)는 돌기부(232)가 은닉라인(228c) 또는 노출라인(228d)에 삽입되는 경우, 공간부(212)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부(21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210)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안내부(240)에는 상기 의약품가압부(220)의 주행안내돌출부(229)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의약품가압부(220)가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하는 경우 및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경우,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주행안내부(240)는 의약품가압부(220)가 내부공간(S2)을 기준으로 출몰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의약품가압부(220)가 프레임부(210)의 내부공간(S2)을 기준으로 출몰하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종인 제4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감지부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로부터의 의약품의 불출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의약품이동부(200)의 상태 변화에 의해 의약품(M)이 불출구(S1)를 통과하게 되면, 이는 센서의 일종인 제5 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300)는 발광소자(300a)와 수광소자(3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300a)는 계속적으로 수광소자(300b)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의약품(M)이 불출구(S1)를 통과하게 되면, 수광소자(300b)로 조사되는 광이 순간적으로 끊어지는 것을 통해 의약품(M)의 불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회전부(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 또는 전달하는 수단은 전술한 불출부(12), 제1 기어(G1), 제2 기어(G2)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밸트 또는 자체 동력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1: 의약품 불출 설비
10: 의약품 불출 장치
100: 의약품저장부
200: 의약품이동부

Claims (20)

  1. 복수의 의약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적어도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출몰하여,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 중 하나의 의약품이 불출되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는,
    각각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구획부 각각에 대한 복수의 구획유닛이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1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복수의 의약품 중 제1 공간에 위치한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공간의 하류측인 제2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된 상기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상기 제2 공간의 하류측인 제3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 및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한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했을 당시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동력에 의한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불출시키되,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 각각은,
    상기 의약품가압부의 계속적인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과 소정 시간 동안의 정지가 반복되면서 하나씩 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가 되는 소정 시간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 시간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내부공간으로 은닉되고, 상기 정지가 되는 소정 시간이 지나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최하류측에 위치한 구획부는,
    다른 구획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의약품가압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연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연동부 중 맞물리는 연동부가 달라지게 하여 상기 의약품가압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의약품가압부가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진라인과 후퇴라인, 상기 전진라인과 상기 후퇴라인을 연결하는 은닉라인과 노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가압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의약품가압부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주행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안내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안내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은닉라인 또는 상기 노출라인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이상적인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9. 복수의 의약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적어도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동력에 의한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불출시키되,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 각각은,
    상기 의약품가압부의 계속적인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과 소정 시간 동안의 정지가 반복되면서 하나씩 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0. 복수의 의약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하는 의약품저장부; 및
    상기 의약품저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의 의약품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복수의 의약품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의약품이 위치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약품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의약품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1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복수의 의약품 중 제1 공간에 위치한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공간의 하류측인 제2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부 중 하나인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된 상기 제1 의약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의약품이상기 제2 공간의 하류측인 제3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KR1020160121875A 2016-09-23 2016-09-23 의약품 불출 장치 KR10190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75A KR101902066B1 (ko) 2016-09-23 2016-09-23 의약품 불출 장치
US15/676,553 US20180085287A1 (en) 2016-09-23 2017-08-14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CN201710853936.2A CN107871365B (zh) 2016-09-23 2017-09-20 药品分发装置
EP17192294.1A EP3300044B1 (en) 2016-09-23 2017-09-21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US15/718,361 US10445970B2 (en) 2016-09-23 2017-09-28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75A KR101902066B1 (ko) 2016-09-23 2016-09-23 의약품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32A KR20180033332A (ko) 2018-04-03
KR101902066B1 true KR101902066B1 (ko) 2018-09-28

Family

ID=5998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875A KR101902066B1 (ko) 2016-09-23 2016-09-23 의약품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85287A1 (ko)
EP (1) EP3300044B1 (ko)
KR (1) KR101902066B1 (ko)
CN (1) CN10787136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902B1 (ko) 2018-12-03 2020-04-02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반출입 및 현재 향정신성의약품의 잔량정보와 같은 정보상태를 안정적이고 빠르고 정확히 실시간 자동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관리장치
KR20200064180A (ko) 2018-11-16 2020-06-08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사물인터넷기술과 하나되어 온습도 기능을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 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6390B2 (en) 2016-11-01 2022-07-12 Mckesson Corporation Central fill facility and associated drug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AU201712819S (en) * 2017-02-16 2017-05-25 Canister Solutions B V Canister for dispensing of medication in tablet form.
CA174817S (en) * 2017-02-16 2018-05-31 Canister Solutions B V Canister for dispensing medication
CN109645706B (zh) * 2019-01-10 2021-01-29 德州学院 一种用于图书馆的取书装置
US11345544B2 (en) 2019-03-29 2022-05-31 Mckesson Corpor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utomated retrieval and dispensing of articles
CN111297121B (zh) * 2020-03-03 2021-03-26 滨州医学院烟台附属医院 一种自动发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7372A (ja) * 2008-07-11 2010-01-28 Tosho Inc 薬品類カセット及び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96969A (en) * 1956-01-24 1958-06-25 Baker Perkins Ltd An improved apparatus for stacking biscuits
US4741432A (en) * 1986-07-23 1988-05-03 Lyall Electric, Inc. Conveyor belt
JP4136683B2 (ja) * 2003-01-29 2008-08-20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往復移動機構および商品搬出装置
EP2394626A1 (en) * 2010-06-09 2011-12-14 JVM Co., Ltd. Medicine dispenser, method of discharging medicin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ispenser
JP2013014335A (ja) * 2011-06-30 2013-01-24 Panasonic Healthcare Co Ltd 薬剤包装装置
JP6167907B2 (ja) * 2012-02-10 2017-07-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
EP2840547A4 (en) * 2012-04-18 2016-08-03 Jvm Co Lt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KR20140049433A (ko) * 2012-10-17 2014-04-25 (주)제이브이엠 블리스터 포장 약제 불출 박스
JP2015037466A (ja) * 2013-04-08 2015-02-26 ニップファーマ株式会社 薬剤吸入デバイス
FR3004173B1 (fr) * 2013-04-09 2017-12-15 Sidel Participations Convoyeur permettant la formation d'au moins un lot de produits
US9539179B2 (en) * 2014-07-21 2017-01-10 Qualanex, Llc Interactive kiosk for counting, labeling, and shipping of recalled medication capsu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7372A (ja) * 2008-07-11 2010-01-28 Tosho Inc 薬品類カセット及び払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180A (ko) 2018-11-16 2020-06-08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사물인터넷기술과 하나되어 온습도 기능을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 관리장치
KR102095902B1 (ko) 2018-12-03 2020-04-02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반출입 및 현재 향정신성의약품의 잔량정보와 같은 정보상태를 안정적이고 빠르고 정확히 실시간 자동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71365A (zh) 2018-04-03
US20180085287A1 (en) 2018-03-29
CN107871365B (zh) 2020-09-04
KR20180033332A (ko) 2018-04-03
EP3300044A1 (en) 2018-03-28
EP3300044B1 (en)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066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CA2987217C (en) Modular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KR101724164B1 (ko) 카트리지 및 고체 의약 분량용 의약 분배기
KR20150014269A (ko)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US10065788B2 (en) Pill dispenser with cylindrical package holder for array-type packages
KR102049273B1 (ko)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20190036810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101685717B1 (ko) 고체 의약 분량용 의약 분배기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150042398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101994626B1 (ko) 약제 포장장치
KR20170081677A (ko) 로봇 기술을 통하여 제약품을 포장하기 위한 분배 캐니스터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KR20150030458A (ko) 의약품 보관 장치
KR20150042397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CA3077941C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JP6096149B2 (ja) 払出装置
US11096869B2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KR20140055806A (ko) 파우치형 약제 불출 박스
JP7361443B1 (ja) 錠剤カセット、錠剤払出装置及び錠剤充填装置
KR101652172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40112680A (ko) 약제불출장치
KR101896911B1 (ko) 약제 포장장치
KR20160074042A (ko) 의약품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