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785A - 의약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785A
KR20170049785A KR1020150150473A KR20150150473A KR20170049785A KR 20170049785 A KR20170049785 A KR 20170049785A KR 1020150150473 A KR1020150150473 A KR 1020150150473A KR 20150150473 A KR20150150473 A KR 20150150473A KR 20170049785 A KR20170049785 A KR 2017004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unit
medicament
dispensing
medic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5015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785A/ko
Publication of KR2017004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제1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 수용되는 제1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도록 하는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및 제2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내부공간 상에 수용되는 제2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는 제2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2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2 의약품을 상기 제2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2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도록 하는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주사제 등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 또는 의사 등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 또는 의사 등에게 전달되어 환자가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거나 환자 또는 의사가 환자의 신체에 주입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불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제1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 수용되는 제1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도록 하는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및 제2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내부공간 상에 수용되는 제2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는 제2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2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2 의약품을 상기 제2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2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도록 하는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및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은,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의약품 및 상기 제2 의약품을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불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및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에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의약품 및 상기 제2 의약품을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불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2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연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위치 이동에 의한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서로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모두 불출되면, 위치 이동에 의해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불출되는 상기 제1 의약품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한 위치 이동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불출구를 연결하는 제1 불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불출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이 자유낙하되어 상기 제1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불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불출부를 지나가는 제1 의약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불출구를 연결하는 제1 불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불출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안착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제1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직립된 상태로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 및 상기 제2 의약품을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구획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제1 벨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제2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불출구로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상기 제1 의약품이 불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가 회전하는 경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면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가 회전하는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의 일측과 상기 제1 가이드면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 안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불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의약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불출 시 의약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다양한 의약품의 불출을 구현토록 하여 불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과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개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의 내부 구성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해 제1 의약품 및 제2 의약품이 불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1 의약품이 불출된 후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에 수용되는 제1 의약품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제1 가이드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과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개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의약품 불출 유닛(100, 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복수의 의약품 불출 유닛(100, 200)이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 및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 및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 각각에는 제1 의약품(M1) 및 제2 의약품(M2)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의약품(M1) 및 상기 제2 의약품(M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Vial)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약품(앰플, 보틀, 정제, 산제, 파우치형 약제 등)이나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카트리지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가 의약품 불출 설비의 층별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복수의 층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의약품 불출 요청, 즉,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제1 의약품(M1) 및 제2 의약품(M2)을 보관하고 있다가 불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구동력인가부(F, 도 6 참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과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은 의약품 불출 설비의 카트리지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의 측벽에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부(102)가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의 측벽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피삽입부(202)에 삽입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과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을 연결하는 방식은 전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체결 구조에 의한 슬라이딩 또는 억지끼움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은 외관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본체부(110)는 소정 크기의 제1 내부공간(S1)을 제공할 수 있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은 제1 내부공간(S1)에 제1 의약품(M1)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부공간(S1)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커버부(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버부(112)는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상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은 제2 본체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본체부(210)는 소정 크기의 제2 내부공간(S2)을 제공할 수 있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은 제2 내부공간(S2)에 제2 의약품(M2)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S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커버부(2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커버부(212)는 상기 제2 본체부(210)의 상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과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은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은 소정의 제1 내부공간(S1)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110) 및 상기 제1 본체부(110) 내에 위치하는 제1 안착부(120) 및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110)는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에 수용되는 제1 의약품(M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일종의 외관 프레임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안착부(120)는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에 수용되는 제1 의약품(M1)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지지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의약품 위치 이동부(130)는,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M1)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1 의약품(M1)을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내부공간(S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불출구(S3)를 통해 불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불출구(S3)는 제1 본체부(110)의 전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종의 홀로, 상기 전방벽의 일측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는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위치한 상기 제1 의약품(M1)을 미리 정해진 조건에 기초하여 직립된 상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1 의약품(M1)을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불출구(S3)를 통해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는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위치한 상기 제1 의약품(M1)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X1)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한 일종의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구획부(132)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를 연결하는 제1 벨트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획부(132)는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M1)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도록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벨트부(134)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회전축(X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를 위치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X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벨트부(134)가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도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는 직립된 상태로 제1 안착부(120)에 안착된 제1 의약품(M1)의 측면을 가압하여 제1 불출구(S3)를 향하여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직립된 상태로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M1)은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에 의해 상기 제1 안착부(120)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 불출구(S3)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는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안착된 제1 의약품(M1)의 사이즈와 관련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기초하여 이격 거리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 각각은 상기 제1 벨트부(134)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벨트부(134)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가 상기 제1 벨트부(134)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제1 구획부(132) 간의 이격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를 준비한 후 제1 의약품(M1)의 사이즈에 맞는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회전축(X1)에 장착시킴으로써 제1 의약품(M1) 사이즈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란 제1 구획부(132) 간의 사이 간격에 배치되는 제1 의약품(M1)의 사이즈와 관련된 것으로, 제1 구획부(132) 간의 사이 간격은 제1 의약품(M1)의 사이즈 이상일 수 있으며, 만약, 제1 구획부(132) 간의 사이에 2개의 제1 의약품(M1)이 배치되도록 세팅하는 경우, 제1 구획부(132) 간의 간격은 제1 의약품(M1)의 사이즈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는 상기 제1 안착부(120) 상에 배치된 후, 상기 제1 회전축(X1)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140)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140)가 1차로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제1 가이드부(160)와 제1 불출구(S3)를 구비하는 전방벽에 삽입되고 제1 체결부(150)가 상기 제1 고정부(140)의 상측에서 상기 제1 회전축(X1)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는 상기 제1 안착부(120) 상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해 제1 의약품 및 제2 의약품이 불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 및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은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 및 상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23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의약품(M1) 및 상기 제2 의약품(M2)을 제1 내부공간(S1) 및 제2 내부공간(S2)으로부터 외부로 불출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에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의약품(M1) 및 상기 제2 의약품(M2)을 상기 제1 내부공간(S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2)으로부터 외부로 불출시킬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의약품(M1)은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의 제1 안착부(120) 상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제1 구획부(132)에 의해 각각이 구획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의약품(M2)은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의 제2 안착부(220) 상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230)의 제2 구획부(232)에 의해 각각이 구획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의약품(M1) 및 상기 제2 의약품(M2)은 크기가 상이한 의약품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동일한 종류 및 크기의 의약품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 및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의약품(M1) 및 제2 의약품의 수는 의약품의 크기 및 그에 따른 구획부(132, 232) 간의 간격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각각 8개의 제1 의약품(M1) 및 8개의 제2 의약품(M2)이 수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의약품 불출 요청에 의해 총 12개의 의약품, 즉, 8개의 제1 의약품(M1) 및 4개의 제2 의약품(M2)이 불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구획부(132) 간의 공간 중 제1 안착부(120)와 제1 불출구(S3)를 연결하는 제1 불출부(170) 상에 위치하는 공간(S4)에는 제1 의약품(M1)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공간(S4)이 제1 의약품(M1)이 자유낙하되어 상기 제1 불출구(S3)를 통과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2 구획부(232) 간의 공간 중 제2 안착부(220)와 제2 불출구(S5)를 연결하는 제2 불출부(270) 상에 위치하는 공간(S6)에는 제2 의약품(M2)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공간(S6)이 제2 의약품(M2)이 자유낙하되어 상기 제2 불출구(S5)를 통과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안착부(120) 상에 제1 의약품(M1)이 복수의 제1 구획부(132)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서로 구획되어 위치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의약품 불출 설비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력인가부(F)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력인가부(F)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제1 회전축(X1)이 회전되어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는 위치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위치 이동에 의한 복수의 제1 구획부(13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1 의약품(M1) 중 최전방에 위치한 제1 의약품(M1)은 직립된 상태로 제1 불출부(170) 상에 위치하게 되고, 결국, 상기 제1 불출부(170)를 따라 자유낙하되어 상기 제1 불출구(S3)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불출부(170)는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제1 의약품(M1)이 자유낙하되어 상기 제1 불출구(S3)를 통과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1 불출구(S3)를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불출부(170)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불출구(S3)를 향한 방향으로 하향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불출부(170)는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제1 의약품(M1)이 상기 제1 안착부(1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제1 불출구(S3)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불출부(170)를 따라 자유낙하되는 제1 의약품(M1)은 제1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180)는 상기 제1 불출부(170)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불출부(170)를 지나가는 제1 의약품(M1)의 개수를 카운팅하도록 하는 일종의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지부(180)에 의한 감지 결과는 제어부가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의약품 불출 설비에 구비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1 감지부(18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개수(여기서는 8개의 제1 의약품(M1))의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구동력인가부(F)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제1 의약품(M1)이 계속적으로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의약품 불출 요청에 의해 불출해야 하는 의약품이 제1 의약품(M1) 만을 포함하고, 개수가 예를 들어 5개라면, 상기 제1 감지부(180)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여기서는 5개)의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었다는 감지 결과를 획득하면 제어부는 더 이상의 구동력인가부(F)의 구동을 정지시켜 추가적인 제1 의약품(M1)의 불출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최후방에 위치한 제1 의약품(M1)은 직립된 상태로 제1 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1 가이드부(160)의 가이드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0)는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일구성요소로 상기 제1 회전축(X1)을 따라 상기 제1 구획부(132)가 회전하는 경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획부(13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의약품(M1)이 상기 제1 구획부(132)가 회전하는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0)는 제1 안착부(120)를 기준으로 제1 불출구(S3)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위치 이동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구동력인가부(F)가 제1-1 평기어(G1)와 맞물리도록 위치 이동시키고, 구동시켜 상기 제1-1 평기어(G1)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력인가부(F)는 상기 제1-1 평기어(G1)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1 평기어(G1)가 상기 구동력인가부(F)에 의해 회전되면, 제1-2 평기어(G2), 제1-3 평기어(G3) 및 제1-4 평기어(G4)도 회전하게 된다.
제1-3 평기어(G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3 평기어(G3)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제1 피니언기어(P1)도 회전되게 되며, 상기 제1 피니언기어(P1)의 회전에 의해 제1 링기어(R1)도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1 링기어(R1)의 회전에 의해 결국 제1 회전축(X1)도 회전되게 되어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가 회전되게 된다.
다만,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위치 이동은 전술한 기어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1 피니언기어(P1)는 제1 연동부(C1)와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동부(C1)은 제2 회전축(X2)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연동부(C2)와 위치 이동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력제공부(F)의 계속적인 구동력에 의한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회전에 의해 제1 의약품(M1)은 순차적으로 제1 불출부(170)를 따라 제1 불출구(S3)를 통과하게 되며, 결국, 총 8개의 제1 의약품(M1)이 순차적으로 외부로 불출되게 된다.
총 8개의 제1 의약품(M1)이 외부로 불출되고 나면, 의약품 불출 요청에 따른 4개의 제2 의약품(M2)이 외부로 불출되어야 하며, 이는 구동력제공부(F)의 계속적인 구동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동력제공부(F)는 제1-1 평기어(G1)와 맞물린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력은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의 제2 피니언기어(P2, 도 7 참조)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의약품 불출 요청에 따라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으로부터 8개의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고 나면, 제1 내부공간(S1) 상에 제1 의약품(M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감지부(180)는 감지할 대상이 더 이상 없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18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 결과를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에 제1 의약품(M1)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연동부(C1) 및 제2 연동부(C2) 중 적어도 하나를 위치 이동 시키게 된다.
다만,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제1 연동부(C1)의 위치 이동 제어는 반드시 상기 제1 감지부(18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할 필요는 없으며, 구동력인가부(F)의 구동 시간, 회전수, 제1 회전축(X1)의 회전 수 등 다양한 요소에 기초하여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회전축(X2)은 제1 연동부(C1) 및 제2 연동부(C2)에 의해 제1 회전축(X1)과 선택적으로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동부(C1) 및 상기 제2 연동부(C2)는 각각 제1 회전축(X1) 및 제2 회전축(X2)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동부(C1)는 제1 피니언기어(P1)의 회전축(O1)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동부(C2)는 제2 피니언기어(P2)의 회전축(O2)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동부(C1) 및 상기 제2 연동부(C2)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동부(C1)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동부(C1)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연동부(C1)와 상기 제2 연동부(C2)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제1 회전축(X1)과 상기 제2 회전축(X2)은 서로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X2)의 회전 결과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230)가 위치 이동되어 제2 내부공간(S2)으로부터 외부로 제2 의약품(M2)이 불출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연동부(C1)의 위치 이동은 상기 제1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M1)이 상기 제1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외부로 모두 불출이 되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를 제어부가 제1 감지부(18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 결과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다면, 제1 내부공간(S1)으로부터 마지막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이후에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이러한 상태를 제어부가 제1 감지부(180)의 카운팅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한다면, 제1 내부공간(S1)으로부터 마지막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고 이를 제1 감지부(180)가 감지하면 바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제1 연동부(C1)의 위치 이동은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에 제1 의약품(M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연동부(C1)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연동부(C1)와 상기 제2 연동부(C2)가 서로 접촉하고, 이로 인해 제2 회전축(X2)의 회전에 의해 제2 의약품(M2)이 제2 내부공간(S2)으로부터 외부로 불출되는 경우, 상기 제2 의약품(M2)의 불출은 제3 감지부(280, 도 5 참조)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3 감지부(28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4개의 제2 의약품(M2)이 불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제1 연동부(C1) 및 구동력제공부(F)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더 이상의 제2 의약품(M2) 불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의약품 불출 요청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1 의약품(M1) 및 제2 의약품(M2)이 불출되고 난 뒤,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구동력인가부(F)의 구동 정지 시의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230)의 상태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의약품 불출 요청에 따라 불출되어야 하는 의약품이 제1 의약품(M1) 만을 포함하고, 이 경우, 구동력인가부(F)의 구동 정지 시의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상태와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1 의약품이 불출된 후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에 따라 불출되어야 하는 의약품이 제1 의약품(M1) 만을 포함하고, 이 경우, 구동력인가부(F)의 구동 정지 시의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위치 상태는 임의의 제1 구획부(132)가 전방측을 향한 방향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의 위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은 제2 감지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190)는 일종의 센서로, 복수의 제1 구획부(132)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 회전축(X1)의 회전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력인가부(F)가 구동 정지 시점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190)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132)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불출구(S3)로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0)의 전방벽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의약품 불출 설비 또는 의약품 불출 장치 상에 장착되는 제어부는 제1 감지부(18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미리 정해진 개수 제1 의약품(M1)이 불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제2 감지부(190)에 의해 감지되는 제1 구획부(132)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최종적으로 구동력인가부(F)의 구동을 정지하여 감지된 제1 구획부(132)가 전방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130)가 정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1 불출부(170) 상에는 제1 구획부(132)가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제1 의약품(M1)이 비정상적으로 불출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에 수용되는 제1 의약품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제1 가이드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본체부(110)의 제1 가이드부(160)는 제1 구획부(132)의 일측과 가이드면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1 안착부(120)를 기준으로 제1 불출구(S3)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제1 구획부(132) 간의 사이 간격에 위치하는 제1 의약품(M1)의 크기, 즉,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 구획부(132)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면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제1 구획부(132)간의 사이 간격에 비해 제1 의약품(M1)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제1 구획부(132)의 일측과 가이드면의 사이 간격(S7)은 상기 제1 의약품(M1)의 사이즈보다 클 수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이 간격(S7)에 제1 구획부(132)의 위치 이동에 의한 제1 의약품(M1)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부(160)를 상기 제1 불출구(S3)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사이 간격(S7)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사이 간격(S7)으로 제1 의약품(M1)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0)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162)가 제1 안착부(120)에 절개되어 형성된 제1 수용부(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1 불출구(S3)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60)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164)가 제1 본체부(110)의 측벽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2 수용부(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1 불출구(S3)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구성은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가 별도로 제조된 제1 의약품 불출 유닛(100)과 제2 의약품 불출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고 제1 내부공간(S1)과 제2 내부공간(S2)이 서로 구획될 수 있는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10: 의약품 불출 장치
100: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200: 제2 의약품 불출 유닛
110: 제1 본체부
120: 제1 안착부
130: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
210: 제2 본체부
220: 제2 안착부

Claims (15)

  1. 제1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 수용되는 제1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도록 하는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및
    제2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내부공간 상에 수용되는 제2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는 제2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2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제2 의약품을 상기 제2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2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도록 하는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및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은,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의약품 및 상기 제2 의약품을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불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 및 상기 제2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에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의약품 및 상기 제2 의약품을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불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불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2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연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위치 이동에 의한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서로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모두 불출되면, 위치 이동에 의해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6. 제4항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불출되는 상기 제1 의약품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동부 및 상기 제2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한 위치 이동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불출구를 연결하는 제1 불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불출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이 자유낙하되어 상기 제1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불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불출부를 지나가는 제1 의약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불출구를 연결하는 제1 불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불출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제1 안착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제1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직립된 상태로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 및 상기 제2 의약품을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구획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제1 벨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제2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불출구로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상기 제1 의약품이 불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약품 불출 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가 회전하는 경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면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의약품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가 회전하는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부의 일측과 상기 제1 가이드면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 안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불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KR1020150150473A 2015-10-28 2015-10-28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70049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73A KR20170049785A (ko) 2015-10-28 2015-10-28 의약품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73A KR20170049785A (ko) 2015-10-28 2015-10-28 의약품 불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85A true KR20170049785A (ko) 2017-05-11

Family

ID=5874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73A KR20170049785A (ko) 2015-10-28 2015-10-28 의약품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879A (ko) * 2020-05-25 2021-12-03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879A (ko) * 2020-05-25 2021-12-03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3457B1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CA2533265C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EP2855281B1 (en) Pharmacy packaging system
EP3300044B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EP2722828B1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KR20140102006A (ko)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7823748B2 (en) Drug dispenser and drug fill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6310932B2 (ja) 薬剤充填装置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JP6295264B2 (ja) 薬剤充填装置
KR20150042398A (ko) 의약품 불출 장치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2458354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90036810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40112680A (ko) 약제불출장치
KR20160074041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50042397A (ko) 의약품 불출 장치
JPH09239003A (ja) 薬品庫
KR20160074042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60065375A (ko) 약제조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