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859A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859A
KR20150145859A KR1020140075108A KR20140075108A KR20150145859A KR 20150145859 A KR20150145859 A KR 20150145859A KR 1020140075108 A KR1020140075108 A KR 1020140075108A KR 20140075108 A KR20140075108 A KR 20140075108A KR 20150145859 A KR20150145859 A KR 20150145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ment
medicine
changing
unit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4007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859A/ko
Publication of KR2015014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제1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약제수용부; 제2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제2 약제를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불출시키는 제2 약제수용부; 및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불출된 상기 제1 약제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제1 약제를 불출구로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약제수용부는, 상기 약제이동부로의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여부가 조절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약제수용부는,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의 상기 제2 약제의 불출 여부가 조절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가 위치의 변화를 구현하기 위한 동작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 불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 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약제를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불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제1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약제수용부; 제2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제2 약제를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불출시키는 제2 약제수용부; 및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불출된 상기 제1 약제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제1 약제를 불출구로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약제수용부는, 상기 약제이동부로의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여부가 조절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약제수용부는,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의 상기 제2 약제의 불출 여부가 조절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가 위치의 변화를 구현하기 위한 동작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시작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의 변화의 완료에 의해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의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완료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시작 시점 내지 상기 동작의 완료 시점 이내의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의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제1 약제수용부에 안착되는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 변화를 구현하기 위한 구동력과 상이한 구동력에 의해 위치 변화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약제가 통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의 범위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규정부는,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기 전 상기 제2 약제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조절부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시간차를 두고 위치 변화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약제이동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약제이동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약제가 상기 불출구를 통해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약제이동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멈춘 후 상기 약제이동부로의 상기 제2 약제를 불출시키기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제1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약제수용부; 제2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제2 약제를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불출시키는 제2 약제수용부; 및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불출된 상기 제1 약제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제1 약제를 불출구로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불출되기 이전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제2 약제수용부로부터 불출되어 상기 제1 약제수용부에 안착되기 이전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하면, 약제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약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불출 대기를 위한 약제의 이동과 불출을 위한 약제의 이동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약제 불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약제의 이동 시 약제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불출 시의 약제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설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제1 약제가 약제이동부로 불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약제이동부로 불출된 제1 약제가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2 약제수용부로부터 제1 약제수용부로 제2 약제가 불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설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설비(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불출 장치(10),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가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에 장착되도록 하는 카트리지(2),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에 수용된 상기 약제를 불출시키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3) 및 상기 구동력제공부(3)를 상기 약제 불출 설비(1) 내에서 층별 이동시키는 층별이동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설비(1)는 카트리지(2) 상에 복수의 약제 불출 장치(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2)는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의 층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는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카트리지(2)에 장착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10)의 수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 불출 설비(1)는 구동력제공부(3)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불출 장치(10)의 불출부(18)를 구동, 즉,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의 불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는 상기 카트리지(2)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구동력제공부(3)에 의해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 외부로 불출된 약제는 컨베이어부(5)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부(5)의 밸트 회전이동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동력제공부(3)의 층별 이동은 층별이동부(4)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층별이동부(4)는 외부신호에 의해 필요로 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불출 장치(10)가 배치된 층으로 상기 구동력제공부(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설비(1)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층별이동부(4)가 상기 구동력제공부(3)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는 상기 구동력제공부(3)에 의한 약제 불출 장치(10)의 불출부(18)의 회전에 의해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 필요로 하는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불출된 약제는 컨베이어부(5)에 안착될 수 있으며, 약제가 안착된 컨베이어부(5)는 상기 층별이동부(4)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5)의 밸트 회전이동에 의해 안착된 약제를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컨베이어부(5)의 밸트 회전이동은 상기 컨베이어부(5)가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이후에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컨베이어부(5)가 상기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각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약제 불출 장치(10) 및 여러층에 배치되는 약제 불출 장치(10)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동력제공부(3)는 층별이동부(4)에 의해 어느 한 층에 위치한 후 위치된 층에 배치된 복수의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 순차적 또는 동시에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한 층으로부터의 불출이 완료되면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 재차 약제의 불출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복수의 상기 약제가 안착된 컨베이어부(5)는 상기 층별이동부(4)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5)의 밸트 회전이동에 의해 안착된 복수의 약제를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의 약제의 불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3)는 약제 불출 장치(10)의 특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며, 다시 말해서,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에 수용된 약제의 불출이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구동력제공부(3)는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의 약제의 불출을 위해 구동력제공부(3)가 필요한 경우, 상기 구동력제공부(3)에 의한 불출부(18)의 구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의 약제의 불출이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약제의 불출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약제를 수용하며, 복수의 층으로 배치되는 약제수용부들(100), 상기 약제수용부들(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불출구(16)로 이동시키는 약제이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는 정제, 포장된 산제, 파우치형 약제,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앰플을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복수의 층으로 배치되는 약제수용부들(100)은 구체적으로 제1 약제수용부(110) 내지 제N(N은 자연수) 약제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약제수용부(110) 내지 제N(N은 자연수) 약제수용부는 약제 불출 장치(10) 내에서 순서대로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은 3일 수 있으나, N은 약제 불출 장치(10)의 전체 크기,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 내에 수용되는 약제의 크기,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이 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는, 제1 약제(M1)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약제수용부(110), 제2 약제(M2)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2 약제수용부, 제3 약제(M3)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3 약제수용부(130) 및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 불출된 상기 제1 약제(M1)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제1 약제(M1)를 불출구(16)로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이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 내지 제3 약제수용부(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은 일예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하우징 본체(15) 및 커버부(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15)의 전면에는 약제이동부(200)에 의해 이동된 제1 약제(M1)가 배출되는 불출구(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5)의 전면에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구동력제공부(3)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불출부(18)가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불출부(18)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의 약제의 불출이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구비되어 약제이동부(200)를 구동시키는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커버부(14)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 본체(15)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약제수용부(110) 내지 제3 약제수용부(130)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으며, 노출의 경우 제1 약제(M1) 내지 제3 약제(M3)를 보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4)의 회동 여부는 잠금장치의 해제 여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제1 약제가 약제이동부로 불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는, 제1 약제(M1)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약제수용부(110), 제2 약제(M2)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2 약제수용부, 제3 약제(M3)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3 약제수용부(130) 및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 불출된 상기 제1 약제(M1)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제1 약제(M1)를 불출구(16)로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이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약제(M1), 상기 제2 약제(M2) 및 상기 제3 약제(M3)는 동일한 약제일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약제이어도 무방하며, 상기 제1 약제(M1)가 서로 다른 약제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약제(M2) 및 상기 제3 약제(M3)도 각각 서로 다른 약제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 상기 제2 약제수용부(120) 및 상기 제3 약제수용부(130)는 순차적으로 하우징(12) 내부에서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일종의 약제 대기 공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약제이동부(200)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약제가 불출구(16)를 통해 불출되는 바, 제1 약제수용부(110), 상기 제2 약제수용부(120) 및 상기 제3 약제수용부(130)는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의해 불출되는 약제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불출대기공간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 상기 제2 약제수용부(120) 및 상기 제3 약제수용부(130) 각각에 제1 약제(M1), 제2 약제(M2) 및 제3 약제(M3)가 분리되도록 수용된 채 약제 불출 장치(10)가 카트리지(도 1 참조)에 장착되어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약제가 불출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제1 약제수용부(110)에 수용된 제1 약제(M1)가 약제이동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에는, 제2 약제수용부(120)에 수용된 제2 약제(M2)가 제1 약제수용부(110)로 이동되고, 제3 약제수용부(130)에 수용된 제3 약제(M3)가 제2 약제수용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제1 약제수용부(110)에 수용된 제1 약제(M1)가 약제이동부(200)에 의해 불출구(16)를 통해 불출되는 도중 또는 불출 완료 후에 제2 약제(M2) 및 제3 약제(M3)가 순차적으로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의해 외부로 불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 제1 약제(M1)의 약제이동부(200)로의 이동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부(112)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제2 약제수용부(120)로부터 제2 약제(M2)의 제1 약제수용부(110)로의 이동은 제2 조절부(122)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제3 약제수용부(130)로부터 제3 약제(M3)의 제2 약제수용부(120)로의 이동은 제3 조절부(132)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 상기 제2 약제수용부(120), 상기 제3 약제수용부(130)는 모두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약제수용부(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제2 약제수용부(120) 및 상기 제3 약제수용부(130)에 대해서는 제1 약제수용부(11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본체(114) 및 제1 조절부(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부본체(114)는 제1 수용공간(S1)에 제1 약제(M1)가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수용공간(S1)을 구획하는 제1 구획벽(117), 상기 제1 구획벽(117)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벽(116) 및 제1 측벽(115)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구획벽(117)에는 후술할 탄성부재(E)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수용홈(G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벽(116)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조절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부(112)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되는 제1 약제(M1)가 통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통과부(S2) 및 상기 제1 통과부(S2)의 범위를 규정하는 제1 규정부(11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규정부(118)의 일측에는 탄성부재(E)가 수용 또는 고정될 수 있는 수용대응홈(G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규정부(118)는 상기 제1 약제(M1)가 상기 통과부(S2)를 통과하기 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약제(M1)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절부(112)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규정부(118)가 상기 제1 구획벽(117)의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제1 약제(M1)는 상기 통과부(S2)를 통과하여 약제이동부(200)에 불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조절부(112)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은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압실린더 등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캠부(300) 등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조절부(112)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상기 캠부(3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조절부(112)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은 캠구동부(400) 및 상기 캠구동부(40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캠구동부(400)의 구동력은 구동기어(410)에 의해 상기 캠부(3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캠부(300)는 캠축(340), 제1 캠(310), 제2 캠(320) 및 제3 캠(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310), 상기 제2 캠(320) 및 상기 제3 캠(330)은 상기 캠축(340)을 중심으로 장반경과 단반경 부분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캠구동부(40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캠축(340)이 회전하면, 순차적으로, 제1 캠(310), 제2 캠(320) 및 제3 캠(330)은 각각 제1 조절부(112), 제2 조절부(122) 및 제3 조절부(132)에 접촉되어 각각을 위치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축(340)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1 약제수용부(110)에 수용된 제1 약제(M1)가 약제이동부(200)로 이동되고, 다음에 제2 약제수용부(120)에 수용된 제2 약제(M2)가 제1 약제수용부(110)로 이동되며, 그 다음에 제3 약제수용부(130)에 수용된 제3 약제(M3)가 제2 약제수용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캠(310)이 상기 제1 조절부(112)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조절부(112)는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제1 약제수용부(110)에 수용된 제1 약제(M1)는 약제이동부(200)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캠(310)이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조절부(112)는 탄성부재(E)의 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에는 제2 캠(320)이 제2 조절부(122)에 접촉되어 제2 조절부(122)는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약제(M2)는 제1 약제수용부(110)로 불출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조절부(112) 및 상기 제2 조절부(122)는 캠구동부(400)라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한 캠축(340)의 회전에 의해 시간차를 두고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약제이동부(200)는 일종의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일 수 있으며, 약제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불출 시의 약제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격벽(2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약제이동부로 불출된 제1 약제가 불출구를 통해 불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제2 약제수용부로부터 제1 약제수용부로 제2 약제가 불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 상기 제2 약제수용부(120) 및 상기 제3 약제수용부(130) 각각에 제1 약제(M1), 제2 약제(M2) 및 제3 약제(M3)가 분리되도록 수용된 채 약제 불출 장치(10)가 카트리지(도 1 참조)에 장착되어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른 신호가 약제 불출 설비(1)에 인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1 약제수용부(110)에 수용된 제1 약제(M1)가 약제이동부(20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약제(M1)의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의 약제이동부(200)로의 이동은 캠구동부(400)의 구동력에 의해 캠축(340)이 회전되어 제1 캠(310)이 제1 조절부(112)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캠구동부(400)의 구동 제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약제 불출 설비(1)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캠구동부(400)의 구동에 의해 제1 약제(M1)가 약제이동부(200)로 불출되고 나면, 상기 제1 약제(M1)는 약제이동부(200)의 위치 변화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나씩 외부로 불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 불출되어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안착된 제1 약제(M1)를 불출구(16)를 통해 외부로 불출시키기 위해, 상기 약제이동부(200)는 제2 조절부(122)의 위치의 변화를 구현하기 위한 동작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이동부(200)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력은 상기 제2 조절부(122)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동작를 구현하기 위한 구동력과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구동력제공부(3)이고, 후자는 캠구동부(400)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자와 상기 후자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하나의 구동원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모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약제이동부(200)는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 불출되어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안착된 제1 약제(M1)를 불출구(16)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조절부(122)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동작의 시작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안착된 제1 약제(M1)의 이동 시점은 캠축(340)이 회전되어 제2 캠(320)이 제1 조절부(112)에 접촉되는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이동부(200)는 상기 제2 조절부(122)의 위치의 변화의 완료에 의해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로의 상기 제2 약제(M2)의 불출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 조절부(122)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완료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M1)의 상기 불출구(16)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안착된 제1 약제(M1)의 이동 시점은 캠축(340)이 회전되어 제2 캠(320)이 제1 조절부(112)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최대로 위치가 변화되는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이동부(200)는 상기 제2 조절부(122)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시작 시점 내지 상기 동작의 완료 시점 이내의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로의 상기 제2 약제(M2)의 불출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M1)의 상기 불출구(16)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안착된 제1 약제(M1)의 이동 시점은 캠축(340)이 회전되어 제2 캠(320)이 제1 조절부(112)에 접촉되는 시점 내지 접촉되는 과정에서 최대로 위치 변화되는 시점 이내의 임의의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약제이동부(200)의 위치 변화 시점은 모두 제2 약제(M2)가 제2 약제수용부(120)에서 제1 약제수용부(110)로 불출되기 이전의 시점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조절부(122)가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조절부(122)의 제2 통과부의 크기와 제2 약제(M2)의 크기와의 관계에 의해 제2 약제(M2)가 불출되는 시점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약제이동부(200)는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 불출되어 상기 약제이동부(200)에 안착된 제1 약제(M1)를 불출구(16)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조절부(122)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약제(M2)가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에 안착되는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제1 약제수용부(110)로부터 불출된 제1 약제(M1)가 약제이동부(200)에 안착되면, 상기 약제이동부(20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위치 변화됨으로써 안착된 제1 약제(M1)를 불출구(16)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2 약제(M2)가 제2 약제수용부(120)로부터 제1 약제수용부(110)로 불출되기 이전 또는 상기 제2 약제(M2)가 제2 약제수용부(120)로부터 불출되고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에 안착되기 이전에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약제이동부(200)에 의해 제1 약제(M1)가 불출구(16)로 이동되는 도중 제2 약제수용부(120)에 수용된 제2 약제(M2)는 제1 약제수용부(110)로 불출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캠(320)이 제2 조절부(122)에 접촉되어 제2 조절부(122)의 위치 변화에 의해 구현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상기 제2 약제수용부(120)에 수용된 제2 약제(M2)는 상기 약제이동부(200)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된 이후, 즉, 제1 약제(M1)가 상기 불출구(16)를 통해 모두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로 불출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조절부(122)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약제수용부(110)에 안착된 상기 제2 약제(M2)는 상기 약제이동부(200)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멈춘 후 상기 제1 조절부(112)의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약제이동부(200)로 불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불출을 위한 약제의 이동, 즉, 약제이동부(200)의 위치 변화에 의한 제1 약제(M1)의 이동과 불출 대기를 위한 약제의 이동, 즉, 제2 약제수용부(120)로부터 제1 약제수용부(110)로의 제2 약제(M2)의 이동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약제 불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참고로, 제2 조절부(122)를 구성하는 제2 통과부 및 제2 규정부에 대하여, 특허청구범위에서는 특정의 편의를 위해 통과부 및 규정부로 기재하였음을 밝혀둔다.
1: 약제 불출 설비
2: 카트리지
3: 구동력제공부
4: 층별이동부
5: 컨베이어부
10: 약제 불출 장치
110: 제1 약제수용부
120: 제2 약제수용부
130: 제3 약제수용부
200: 약제이동부
300: 캠부
400: 캠구동부

Claims (13)

  1. 제1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약제수용부;
    제2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제2 약제를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불출시키는 제2 약제수용부; 및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불출된 상기 제1 약제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제1 약제를 불출구로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약제수용부는, 상기 약제이동부로의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여부가 조절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약제수용부는,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의 상기 제2 약제의 불출 여부가 조절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가 위치의 변화를 구현하기 위한 동작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시작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의 변화의 완료에 의해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의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완료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의 시작 시점 내지 상기 동작의 완료 시점 이내의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의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시점과 동일하거나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제1 약제수용부에 안착되는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조절부의 위치 변화를 구현하기 위한 구동력과 상이한 구동력에 의해 위치 변화가 구현되는 약제 불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약제가 통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의 범위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규정부는,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기 전 상기 제2 약제를 지지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조절부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시간차를 두고 위치 변화가 구현되는 약제 불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약제이동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약제이동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약제가 상기 불출구를 통해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약제이동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이 멈춘 후 상기 약제이동부로의 상기 제2 약제를 불출시키기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12. 제1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는 제1 약제수용부;
    제2 약제를 각각 분리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제2 약제를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불출시키는 제2 약제수용부; 및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부터 불출된 상기 제1 약제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제1 약제를 불출구로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변화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제1 약제수용부로 불출되기 이전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동부는,
    상기 제2 약제가 상기 제2 약제수용부로부터 불출되어 상기 제1 약제수용부에 안착되기 이전에 상기 안착된 제1 약제의 상기 불출구로의 이동을 위해 위치가 변화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140075108A 2014-06-19 2014-06-19 약제 불출 장치 KR20150145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08A KR20150145859A (ko) 2014-06-19 2014-06-19 약제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08A KR20150145859A (ko) 2014-06-19 2014-06-19 약제 불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859A true KR20150145859A (ko) 2015-12-31

Family

ID=5512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108A KR20150145859A (ko) 2014-06-19 2014-06-19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8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5089A (zh) * 2017-03-28 2017-06-20 李志蜀 一种半圆柱形错层结构储药柜及全自动发药装置
CN110615216A (zh) * 2018-06-19 2019-12-27 杭州东程科技有限公司 一种发药机及其投药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5089A (zh) * 2017-03-28 2017-06-20 李志蜀 一种半圆柱形错层结构储药柜及全自动发药装置
CN110615216A (zh) * 2018-06-19 2019-12-27 杭州东程科技有限公司 一种发药机及其投药机构
CN110615216B (zh) * 2018-06-19 2021-10-19 杭州东程科技有限公司 一种发药机及其投药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461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medication from packaging
EP3300044B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US20030019881A1 (en) Assistance tray for manual distribution used in medicine sharing and packing device
EP2722828B1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TW201708046A (zh) 用於自動化藥物施配機的藥物饋入罐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US20150069080A1 (en) Dispensing cartridge insert
CN107969114B (zh) 药物分配器卸药机构
CN106999344B (zh) 用于经由机器人技术包装药物的分配罐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150042398A (ko) 의약품 불출 장치
US20170199982A1 (en) Automated dispenser and regulator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WO2015011764A1 (ja) 薬剤充填装置
KR20160074042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40112680A (ko) 약제불출장치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40055806A (ko) 파우치형 약제 불출 박스
US11096869B2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KR20160074041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90036810A (ko) 의약품 불출 장치
CA3077941C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KR102458356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50042397A (ko) 의약품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