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356B1 - 의약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356B1
KR102458356B1 KR1020200062215A KR20200062215A KR102458356B1 KR 102458356 B1 KR102458356 B1 KR 102458356B1 KR 1020200062215 A KR1020200062215 A KR 1020200062215A KR 20200062215 A KR20200062215 A KR 20200062215A KR 102458356 B1 KR102458356 B1 KR 10245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moving
moving unit
medicine
unit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879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20006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3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부; 및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기초하여 불출이 필요한 의약품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주사제 등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 또는 의사 등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 또는 의사 등에게 전달되어 환자가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거나 환자 또는 의사가 환자의 신체에 주입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형태의 밀봉된 의약품 등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하여, 의약품 불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부; 및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이 공간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의 각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제2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약품 불출 요청에 대응되는 의약품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1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2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상기 제1 구획공간 중 상기 불출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상기 의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동작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회전 방향이 변하되, 정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키고, 역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위치이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역회전 시 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시 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제2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제2 구획공간 중 상기 불출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상기 의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각각 상기 제1 구획공간 및 상기 제2 구획공간 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 각각의 간헐적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벨트의 슬립 현상으로 인한 상기 간헐적 회전량의 오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각각 상기 제1 구획공간을 규정하는 제1 구획공간 규정부 및 상기 제2 구획공간을 규정하는 제2 구획공간 규정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간헐적 회전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회전 동작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의 불출이 필요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위치이동부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이동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형태의 밀봉된 의약품 등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하여, 의약품 불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불출 시 의약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가 회동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구획공간을 규정하는 구획공간 규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성에 대한 개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구동모터 등에 의하여 구동력이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이동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제1 불출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제2 불출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가 회동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구획공간을 규정하는 구획공간 규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성에 대한 개략사시도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구동모터 등에 의하여 구동력이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이동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의약품 불출 요청(예를 들어 환자의 처방전 등)에 기초하여 내부공간(S)에 수용된 의약품(M, 도 4 참조)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시키기 위한 일종의 의약품 보관/불출 유닛일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의약품(M)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Vial) 의약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개념은 아니며, 앰플형 의약품, 케이스에 담긴 정제형 또는 산제형 의약품, 파우치형 의약품,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복수개 또는 다른 종류의 의약품을 보관 및 불출시키기 위한 다른 의약품 불출 장치와 함께 미도시된 의약품 불출 설비에 층별로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 이후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불출이 필요한 경우 상기 의약품(M)을 불출시키게 된다.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소정의 내부공간(S)을 제공하기 위한 본체부(120), 상기 본체부(120) 내에 배치되는 의약품(M)을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부(130) 및 상기 위치이동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되는 의약품(M)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의약품 불출 장치(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커버부(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S)이 개방되면 상기 의약품(M)을 보충 또는 교체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이동부(130)는 상기 본체부(120)의 상기 내부공간(S)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M)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의약품(M)을 상기 내부공간(S) 상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30)는 상기 내부공간(S)이 공간구획부(14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내부공간(S1) 및 제2 내부공간(S2) 각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이동부(132) 및 제2 위치이동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는 각각 상기 본체부(120)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M)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벨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B)는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를 구성하는 벨트(B)에는 복수의 제1 구획공간 규정부(1132)가 연결되어 복수의 제1 구획공간(SW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공간(SW1) 각각에는 의약품(M)이 하나씩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획공간(SW1)을 규정하는 상기 제1 구획공간 규정부(1132)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이웃하는 제1 구획공간 규정부과의 상호 정렬을 위해 정렬홈(G) 및 정렬돌기(P)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를 구성하는 벨트에는 복수의 제2 구획공간 규정부(1134)가 연결되어 복수의 제2 구획공간(SW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획공간(SW2) 각각에는 의약품(M)이 하나씩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130)를 동작시켜 상기 의약품(M)이 상기 내부공간(S)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불출구(110)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일종의 컨트롤러로,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MT)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MT)를 제어하여 특정 상황에서는 제1 위치이동부(132)를 위치 이동시키고, 다른 특정 상황에서는 제2 위치이동부(134)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MT)와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연결 및 상기 구동모터(MT)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의 연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G1, G2, G3, G4)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원웨이 베어링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MT)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요소가 변경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가 위치 이동되어야 하는 상기 특정 상황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MT)를 상기 본체부(120)의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MT)가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모터(MT)와 연결된 제1 기어(G1)도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G1)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G2)는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제2 기어(G2)와 맞물려 있는 제3 기어(G3)는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는 위치 이동이 구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어(G1)와 맞물려 있는 제4 기어(G4)는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나, 이 경우 원웨이 베어링의 적용으로 상기 제4 기어(G4)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는 위치 이동이 구현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가 위치 이동되어야 하는 상기 다른 특정 상황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MT)를 상기 본체부(120)의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MT)가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모터(MT)와 연결된 제1 기어(G1)도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G1)와 맞물려 있는 제4 기어(G4)는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는 위치 이동이 구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어(G1)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G2)는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제2 기어(G2)와 맞물려 있는 제3 기어(G3)는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나, 이 경우 원웨이 베어링의 적용으로 상기 제3 기어(G3)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는 위치 이동이 구현되지 않게 된다.
상기 본체부(120)는 배출구(110)의 일부를 폐쇄하는 차단벽(11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벽(112)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한 외부로부터의 의약품(M) 강제 인출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는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위치 이동이 구현되면서 의약품(M)의 배출이 완료된 후, 대기 상태 - 상기 대기 상태는, 의약품(M)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는 모든 상황을 포함하는 개념임 - 에서 비이상적인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이동저지부(190)에 의해 강제적인 위치 이동이 저지되어 비이상적인 의약품(M)의 배출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저지부(190)는 상기 대기 상태에서는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제1 상태를 유지하여 제1 구획공간 규정부(1132) 및 제2 구획공간 규정부(1134)와 간섭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저지부(190)는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의약품(M)의 배출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제1 구획공간 규정부(1132) 및 제2 구획공간 규정부(1134)와 간섭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제1 불출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제1 불출동작에 대해 정의하면, 상기 제1 불출동작은 의사 또는 약사 등의 사용자가 제1 구획공간(SW1) 및 제2 구획공간(SW2) 모두에 의약품(M)을 수용시킨 상태에서의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0)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 - 상기 의약품 불출 요청은 25개의 의약품이 불출되어야 하는 요청임 - 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구동모터(MT)를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하 정회전이라 함)시켜 제1 위치이동부(132)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이동부(132)의 회전 원리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가 제1 구획공간(SW1) 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MT)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체부(120)에 설치되는 제1 감지부(150, 도 3 참조)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MT)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간헐적 회전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MT)의 간헐적 회전량을 일정하게 하여, 다시 말하면, 상기 구동모터(MT)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간헐적 회전을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를 구성하는 벨트(B)의 슬립 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간헐적 회전량을 일정하게 제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벨트(B)의 상기 간헐적 회전량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접촉 센서의 일종인 상기 제1 감지부(150)에 의한 감지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부(150)는 상기 제1 구획공간(SW1)을 규정하는 제1 구획공간 규정부(1132)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150)에 의해 상기 제1 구획공간 규정부(1132)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가 상기 제1 구획공간(SW1) 단위로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일시적으로 상기 구동모터(MT)를 정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한 후 상기 구동모터(MT)를 다시 동작 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지부(15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간헐적 회전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구획공간(SW1)에 위치한 의약품(M)이 배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의약품(M)의 배출은 배출구(110)의 근처에 설치된 접촉 센서의 일종인 제3 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지부(17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의약품(M)이 배출되었다는 것을 판단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부(15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한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간헐적 회전 및 상기 제3 감지부(17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한 의약품(M)의 배출 여부에 대한 판단 등에 의해 상기 제1 구획공간(SW1)에 위치한 20개의 의약품(M)이 모두 배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이후에도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구획공간(SW1)에는 의약품(M)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3 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되는 의약품(M)의 배출은 없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MT)가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이하 역회전이라 함)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MT)를 제어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MT)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가 회전되어 제2 구획공간(SW2)에 위치한 의약품(M)이 하나씩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의 간헐적 회전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간헐적 회전과 마찬가지로 제2 감지부(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16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한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의 간헐적 회전 원리는 상기 제1 감지부(15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한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의 간헐적 회전 원리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5개의 의약품(M)이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구동모터(MT)가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MT)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의 회전 동작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획공간(SW2)에 배치된 의약품(M)의 불출 여부는 제4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의약품 불출 요청에 대응되는 의약품(M)이 외부로 불출되도록 구동모터(MT)를 정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1 위치이동부(132)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에 의해 구획된 제1 구획공간(SW1)에 위치한 의약품(M)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를 정지시키고,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정지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에 의해 구획된 제2 구획공간(SW2)에 위치한 의약품(M)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획공간(SW1) 중 불출구(1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의약품(M)이 존재하지 않아 제3 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되는 의약품(M)의 배출이 없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제1 위치이동부(132)의 회전 이동에도 불구하고 의약품(M)의 배출이 구현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제2 불출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제2 불출동작에 대해 정의하면, 상기 제2 불출동작은 의사 또는 약사 등의 사용자가 제1 구획공간(SW1) 및 제2 구획공간(SW2) 중 일부에 의약품(M)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0)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공간(SW1) 및 상기 제2 구획공간(SW2) 중 일부에 의약품(M)이 수용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편의에 맞게 자의적으로 의약품(M)을 수용시킨 상황으로, 도면에 도시된 경우와 달리 다양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의약품(M)에 대해 다른 해칭으로 구분하였음).
도 9를 참조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 - 상기 의약품 불출 요청은 5개의 의약품이 불출되어야 하는 요청임 - 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구동모터(MT)를 정회전시켜 제1 위치이동부(132)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1 구획공간(SW1) 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구획공간(SW1) 중 상기 불출구(1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M)이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되게 된다.
의약품(M)의 불출 여부는 제3 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되며,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의약품(M)이 불출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의약품(M)이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된 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초)가 경과한 후 구동모터(MT)를 다시 동작시켜 제1 위치이동부(132)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구획공간(SW1) 중 불출구(1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의약품(M)이 존재하지 않아 제3 감지부(170)에 의해 의약품(M)의 배출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게 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MT)가 역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MT)를 제어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MT)가 역회전되면, 제2 위치이동부(134)가 제1 위치이동부(13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구획공간(SW2)에 위치한 의약품(M)이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2 구획공간(SW2) 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제2 구획공간(SW2) 중 상기 불출구(1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M)이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되게 된다.
의약품(M)의 불출 여부는 제4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되며, 제어부는 상기 제4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의약품(M)이 불출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의약품(M)이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된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초)가 경과한 후 구동모터(MT)를 다시 동작시켜 제2 위치이동부(134)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 구획공간(SW2) 중 불출구(1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의약품(M)이 존재하지 않아 제4 감지부(180)에 의해 의약품(M)의 배출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게 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MT)가 정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2 구획공간(SW2)에 위치한 의약품(M)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134)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2)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 구획공간(SW1)에 위치한 의약품(M)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획공간(SW2) 중 상기 불출구(1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상기 의약품(M0이 존재하지 않아 제 4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되는 의약품(M)의 배출이 없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일 수 있다.
즉,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제2 위치이동부(134)의 회전 이동에도 불구하고 의약품(M)의 배출이 구현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가 정회전되면, 제1 위치이동부(132)가 회전 이동되어 제1 구획공간(SW1)에 위치한 의약품(M)이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도 11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MT)를 제어하게 되며, 이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면,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MT)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구동 원리에 기초하여 의약품 불출 요청과 대응되는 5개의 의약품(M)의 배출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의약품 불출 장치
110: 불출구
120: 본체부
130: 커버부
140: 공간구획부
150: 제1 감지부
160: 제2 감지부
170: 제3 감지부
180: 제4 감지부
190: 이동저지부
M: 의약품
MT: 구동모터

Claims (13)

  1.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부; 및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이 공간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의 각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제2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약품 불출 요청에 대응되는 의약품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1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2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상기 제1 구획공간 중 상기 불출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의 차회 구획공간에 상기 의약품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상관 없이, 상기 제1 구획공간 중 상기 불출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상기 의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부; 및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이 공간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의 각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제2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약품 불출 요청에 대응되는 의약품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1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2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동작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회전 방향이 변하되, 정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키고, 역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이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역회전 시 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시 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6.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부; 및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이 공간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의 각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제2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약품 불출 요청에 대응되는 의약품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1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2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2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제2 구획공간 중 상기 불출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획공간에 상기 의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8.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구획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구획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부; 및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이 공간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의 각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제2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약품 불출 요청에 대응되는 의약품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1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되,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상태인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인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의해 구획된 제2 구획공간에 위치한 의약품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의약품의 직립 방향과 평행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각각 상기 제1 구획공간 및 상기 제2 구획공간 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 각각의 간헐적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벨트의 슬립 현상으로 인한 상기 간헐적 회전량의 오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각각 상기 제1 구획공간을 규정하는 제1 구획공간 규정부 및 상기 제2 구획공간을 규정하는 제2 구획공간 규정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간헐적 회전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회전 동작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의 불출이 필요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위치이동부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이동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KR1020200062215A 2020-05-25 2020-05-25 의약품 불출 장치 KR10245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15A KR102458356B1 (ko) 2020-05-25 2020-05-25 의약품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15A KR102458356B1 (ko) 2020-05-25 2020-05-25 의약품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879A KR20210145879A (ko) 2021-12-03
KR102458356B1 true KR102458356B1 (ko) 2022-10-26

Family

ID=7886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215A KR102458356B1 (ko) 2020-05-25 2020-05-25 의약품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3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247A (ja) 2001-05-02 2002-11-15 Asahi Seiko Kk 商品送り出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0343A (ja) * 1998-02-26 1999-09-17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KR20150042398A (ko) * 2013-10-11 2015-04-21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KR102147197B1 (ko) * 2013-10-11 2020-08-25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70049785A (ko) * 2015-10-28 2017-05-11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247A (ja) 2001-05-02 2002-11-15 Asahi Seiko Kk 商品送り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879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3645B1 (en) Portable, personal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085287A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010032551A (ko) 약제 공급 장치
KR20180088844A (ko)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EP2722828B1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US5713648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medication
KR20010032393A (ko) 약제 공급 장치
JP6310932B2 (ja) 薬剤充填装置
KR102458356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US20060243738A1 (en) Medicine delivery device and medicine filling device
JP4401233B2 (ja) 薬剤フィーダ
KR20040086203A (ko) 약제선반의 셔터장치
KR20160068769A (ko) 약제 충전 장치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150042398A (ko) 의약품 불출 장치
JP3880823B2 (ja) 薬剤供給ユニット
KR102000297B1 (ko)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그 제어방법
JP4401234B2 (ja)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フィーダの制御方法
ES2775225T3 (es) Caja dispensadora para ampolla contenedora de medicamento
KR20220077280A (ko) 약제 자동배출장치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JPH10192369A (ja) 薬剤収容払出カセット
KR20150044127A (ko)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CA3077941C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