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172B1 - 의약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2172B1 KR101652172B1 KR1020140126905A KR20140126905A KR101652172B1 KR 101652172 B1 KR101652172 B1 KR 101652172B1 KR 1020140126905 A KR1020140126905 A KR 1020140126905A KR 20140126905 A KR20140126905 A KR 20140126905A KR 101652172 B1 KR101652172 B1 KR 101652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ine
- dispensing
- medicines
- medicament
-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의약품안착부;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이 수취되는 수취위치와 수취된 의약품이 불출되기 위한 불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불출부; 및 상기 불출부에 의약품이 수취되는 경우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동차단부;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의약품이 상기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공간을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진입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약품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 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불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의약품안착부;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이 수취되는 수취위치와 수취된 의약품이 불출되기 위한 불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불출부; 및 상기 불출부에 의약품이 수취되는 경우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동차단부;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의약품이 상기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공간을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진입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기준가이드부, 상기 기준가이드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가이드부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기준가이드부 및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접촉회전부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축 및 가변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기준축과 상기 가변축의 거리는, 상기 진입공간의 크기와 반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진입공간은, 상기 기준가이드부와 상기 가변가이드부가 서로 겹치는 영역에 기초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기준가이드부 및 상기 가변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변가이드부를 상기 기준가이드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수용부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진입공간의 크기 조절 단위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접촉회전부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접촉된 의약품을 상기 진입공간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부로부터 복수개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접촉회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연동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상기 접촉회전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기초하여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진입공간에 진입한 의약품을 상기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에 수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는, 상기 진입공간에 진입한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상기 수취위치에서 수취한 후 상기 불출위치에 도달하는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수취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불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는, 상기 진입공간에 진입한 의약품을 직립된 상태로 상기 수취위치에서 수취한 후 회전에 의해 상기 불출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직립된 상태의 의약품을 눕혀진 상태로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차단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이 상기 진입공간을 통과하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진입공간과 상기 불출부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며, 상기 진입공간을 통과한 의약품이 상기 불출부의 이동에 의해 불출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진입공간과 상기 불출부 사이의 연통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불출부에 의해 불출된 의약품의 외부로의 반출 여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반출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출조절부는, 상기 불출부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되는 의약품의 수를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변화 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변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정렬부는, 외력에 의해서만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변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의약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불출 시 의약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공간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의약품의 수를 극대화하여 해당 의약품의 보충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또한, 크기가 다양한 의약품의 불출을 구현토록 하여 불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안착부 및 접촉회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불출부 및 반출조절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위치이동차단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정렬부의 위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진입공간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안착부 및 접촉회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불출부 및 반출조절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위치이동차단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정렬부의 위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진입공간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200)는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의약품안착부(210), 수취위치와 불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불출부(220), 의약품(M)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동차단부(230)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이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220)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공간(S)을 규정하는 가이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M)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Vial)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약품(앰플, 보틀, 정제, 산제, 파우치형 약제 등)이나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200)는 카트리지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가 의약품 불출 설비의 층별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복수의 층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200)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의약품 불출 요청, 즉,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의약품(M)을 보관하고 있다가 불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의약품안착부(210), 불출부(220), 위치이동차단부(230) 및 가이드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안착부(210)는 본체부(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면에 의약품(M)이 직립된 상태로 정렬된 채 안착될 수 있고, 불출이 요구되는 경우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의약품(M)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일종의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전방측은 의약품(M)이 불출부(22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방측은 상기 전방측과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250)는 의약품안착부(210)를 외부로 노출시켜 의약품(M)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2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2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5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덮개부(260)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상기 본체부(250)의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불출부(220)는 의약품안착부(210)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M)이 수취되는 수취위치와 수취된 의약품(M)이 불출되기 위한 불출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취위치는 상기 불출부(220)가 이동하기 전,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불출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출부(220)로부터 의약품(M)이 불출되는 위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불출위치는 상기 불출부(220)로부터 상기 의약품(M)이 불출되고 위치 이동이 더 진행된 후 최종적으로 위치 이동이 완료된 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불출부(220)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M)을 수취한 후 위치 이동, 즉,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의약품(M)의 수취방향과 불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출부(220)는 가이드부(240)에 의해 규정되는 진입공간(S)에 진입한 의약품(M)을 직립된 상태로 상기 수취위치에서 수취한 후 상기 불출위치에 도달하는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수취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불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불출부(220)는 직립상태의 의약품(M)을 직립상태로 수취한 후 회전에 의해 불출위치로 이동하여 직립된 상태의 의약품(M)을 눕혀진 상태로 불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불출부(220)는 수취위치에서 의약품안착부(210)로부터 이동된 의약품(M)이 직립상태를 유지한 채 안착되는 받침부(222) 및 상기 받침부(222)에 안착된 의약품(M)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받침부(222)와 연결되는 차단부(2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270, 도 8 내지 도 10) 에 의해 상기 받침부(222)가 회전축(272)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받침부(222)에 안착된 의약품(M)이 자동적으로 중력에 의해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불출부(220)의 위치 이동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10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200)는 상기 불출부(220)에 의해 불출된 의약품(M)의 외부로부의 반출 여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반출조절부(2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출조절부(280)는 본체부(250)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반출조절부(280)는 상기 불출부(22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불출부(220)가 불출위치로 이동되면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이동되어 불출된 의약품(M)의 반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위치이동차단부(230)의 상기 불출부(220)에 의약품(M)이 수취되는 경우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M)이 단일개씩 상기 불출부(220)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차단부(230)는 의해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이 진입공간(S)을 통과하면 제2 구동부(290, 도 11 및 도 12 참조)의 구동력에 위치 이동되어 상기 진입공간(S)과 상기 불출부(2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220)에는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M)의 수취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입공간(S)을 통과한 의약품(M)이 상기 불출부(220)의 이동에 의해 불출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진입공간(S)과 상기 불출부(220) 사이의 연통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220)에는 차회 불출될 의약품(M)이 수취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차단부(230)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이드부(24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의약품(M)이 상기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220)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공간(S)을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M)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진입공간(S)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요소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되는 의약품(M)의 크기에 대응하여 의약품(M)이 상기 불출부(220)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공간(S)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M)의 크기가 달라진 경우에도 진입공간(S)의 크기를 달라진 의약품(M)의 크기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40)는 본체부(250)에 고정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기준가이드부(242), 상기 기준가이드부(242)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가이드부(244)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2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변가이드부(244)가 상기 기준가이드부(242)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진입공간(S)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준가이드부(242) 및 상기 가변가이드부(244)는 각각 상기 접촉회전부(245)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축(X1) 및 가변축(X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가이드부(244)가 상기 기준가이드부(242)에 장착되는 위치에 상기 기준축(X1)과 상기 가변축(X2)의 거리는 달라지게 되며, 상기 거리는 상기 진입공간(S)의 크기와 반비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로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20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되는 의약품(M)의 수를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 변화 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 변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정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300)는 외력에 의해서만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 변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의약품안착부(210)에 복수의 의약품(M)이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면, 외력인가부(F)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의약품안착부(210) 및 가이드부(240)는 연동되어 위치 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은 의약품안착부(210) 및 가이드부(240)의 접촉회전부(245)의 회전에 의해 하나씩 가이드부(240)의 일측단과 본체부(250) 사이에 제공되는 진입공간(S)을 통과하게 되며, 위치이동차단부(230)는 상기 진입공간(S)과 상기 불출부(220) 사이의 연통을 허용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진입공간(S)은 상기 의약품(M)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부(2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안착부(210)는 상기 진입공간(S)에 진입한 의약품(M)을 상기 수취위치 상태의 불출부(220)에 수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의약품(M)이 진입공간(S)을 통과하게 되면, 수취위치에 위치하는 불출부(220)에 수취될 수 있으며, 위치이동차단부(230)는 차회 불출될 의약품(M)이 상기 진입공간(S)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진입공간(S)과 상기 불출부(2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의약품안착부(210)로부터 직립된 상태로 이동된 의약품(M)이 수취위치 상태인 불출부(220)의 받침부(222)에 안착되면, 제1 구동부(27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불출부(220)는 불출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불출부(220)의 위치 이동과 함께 반출조절부(280)도 연동되어 위치 이동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불출부(220)는 의약품(M)을 직립된 상태로 상기 수취위치에서 수취한 후 상기 불출위치에 도달하는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수취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불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의약품(M)이 반출되고 나면,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의약품(M)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안착부 및 접촉회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약품안착부(210) 및 가이드부(240)의 접촉회전부(245)는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을 수취위치 상태인 불출부(220)에 수취되도록 하기 위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안착부(210) 및 상기 접촉회전부(245)의 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은 외력인가부(F)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F)는 제1 평기어(G1)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평기어(G1)어 맞물린 후 회전되어 상기 제1 평기어(G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평기어(G1)가 회전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평기어(G2), 제3 평기어(G3), 제4 평기어(G4), 제5 평기어(G5), 제6 평기어(G6) 및 제7 평기어(G7)도 회전되게 되며, 상기 제4 평기어(G4)의 회전에 의해 의약품안착부(210)는 무한궤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6 평기어(G6)가 회전되면, 상기 제6 평기어(G6)의 회전에 의해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피니언 기어(P)도 회전되게 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P)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R)도 기준축(X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P)와 상기 링기어(R)는 베벨기어일 수 있으며, 상기 링기어(R)의 회전에 의해 접촉회전부(245)은 기준축(X1) 및 가변축(X2)을 회전축으로 하여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약품안착부(210) 및 접촉회전부(245)는 외력인가부(F)에 의해 제공되는 동일한 구동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이동에 의해 의약품(M)은 진입공간(S)을 통과하여 수취위치 상태의 불출부(220)에 수취되게 된다.
다만, 상기 의약품안착부(210) 및 접촉회전부(245)의 위치 이동은 반드시 앞서 언급한 기어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기어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불출부 및 반출조절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수취위치 상태의 불출부(220)에 직립된 상태로 의약품(M)이 수취되면, 제1 구동부(27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8 평기어(G8)가 회전되고, 상기 제8 평기어(G8)의 회전에 의해 제9 평기어(G9), 제10 평기어(G10) 및 제11 평기어(G11)도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제9 평기어(G9)가 회전되면, 상기 제9 평기어(G9)에 장착되는 불출돌기(P1)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불출돌기(P1)는 불출부(220)의 받침부(222)와 접촉되어 상기 받침부(222)를 회전축(272)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222)는 상기 불출돌기(P1)와 접촉되는 라운드진 라운드면(22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불출돌기(P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 평기어(G9)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라운드면(22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불출돌기(P1)는 회전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라운드면(223)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 상기 받침부(222)를 회전축(272)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반출조절부(280)는 제1 구동부(27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8 평기어(G8)가 회전되고, 상기 제8 평기어(G8)의 회전에 의해 제11 평기어(G11)가 회전되면, 상기 제11 평기어(G11)에 장착되는 반출돌기(P2)도 회전되게 된다.
상기 반출돌기(P2)가 회전되면, 상기 반출돌기(P2)는 반출조절부(280)와 연결되는 연결부(282)의 관통홀(H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관통홀(H1)로 인해 상기 연결부(282)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82)의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에 의해 상기 반출조절부(28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의약품(M)의 반출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불출부(220) 및 상기 반출조절부(280)의 위치 이동은 반드시 앞서 언급한 기어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기어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위치이동차단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수취위치 상태의 불출부(220)에 직립 상태로 의약품(M)이 수취되고 나면, 위치이동차단부(230)는 제2 구동부(290)의 구동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차회 수취될 의약품(M)의 위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구동부(29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구동부(290)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23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링크부(232)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링크부(232)와 연결된 제2 링크부(234)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링크부(234)가 회전하면, 상기 제2 링크부(234)와 연결된 위치이동차단부(230)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진입공간(S)과 불출부(2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입공간(S)을 통과한 의약품(M)이 상기 불출부(220)의 이동에 의해 불출되면, 상기 제1 링크부(2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차단부(230)는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진입공간(S)과 상기 불출부(220)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여 수취위치 상태의 상기 불출부(220)에 차회 불출될 의약품(M)이 수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정렬부의 위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정렬부(300)는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되는 의약품(M)의 수를 규정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의약품안착부(210) 중 상기 의약품(M)이 안착되는 공간(A)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30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 변화 시 관성의 영향 없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의약품(M)을 지지하고 의약품안착부(210)와 접촉되는 지지부(310), 본체부(250)의 내면에 형성된 피걸림부(252)에 접촉되면서 상기 지지부(310)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310)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걸림부(320) 및 걸림부이동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 변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나, 외력 없이는 상기 의약품(M)의 위치 변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걸림부(252)는 경사면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진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 변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는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는 상기 피걸림부(252)의 턱에 걸리게 되어 이동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이 모두 불출부(220)를 통해 불출되고 나면, 상기 정렬부(300)는 가이드부(240)와 이웃한 위치에 배치되게 되며, 새로운 의약품(M)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걸림부이동부(330)에 외력을 인가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320)의 양측단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걸림부(252)와의 접촉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이동부(330)를 통해 상기 걸림부(320)를 상기 피걸림부(252)와 이격되도록 한 채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새로운 의약품이 안착될 공간을 다시 확보할 수 있으며,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피걸림부(252)에 다시 접촉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진입공간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40)는 본체부(250)에 고정되는 기준가이드부(242), 상기 기준가이드부(242)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가이드부(244)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210)에 안착된 의약품(M)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24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가이드부(242) 및 상기 가변가이드부(244)는 각각 상기 접촉회전부(245)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축(X1) 및 가변축(X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축(X1) 및 상기 가변축(X2)은 각각 기준롤러(R1) 및 가변롤러(R2)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접촉회전부(245)는 상기 기준롤러(R1) 및 상기 가변롤러(R2)와 접촉될 수 있으며, 링기어(R)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준축(X1) 및 상기 기준롤러(R1)가 회전되면, 연동되어 무한궤도롤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접촉회전부(245)는 탄성을 구비하는 벨트 일종인 이동부(246) 및 상기 이동부(246)에 접촉된 의약품(M)을 진입공간(S)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부(246)로부터 복수개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247)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가이드부(242) 및 상기 가변가이드부(244) 중 어느 하나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248)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수용부(248)에 삽입되어 상기 가변가이드부(244)를 상기 기준가이드부(242)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249)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48) 및 상기 삽입부(249)는 각각 기준가이드부(242) 및 가변가이드부(24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48)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진입공간(S)의 크기 조절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상태의 가이드부(240)에서 제1 가변가이드부(244)와 제2 가변가이드부(244)를 분리하여 도 16에 도시된 상태로 한 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가변가이드부(244)와 상기 제2 가변가이드부(244)를 결합시키면 도 18에 도시된 상태의 가이드부(240)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41)를 매개로 하여 본체부(2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진입공간(S')의 크기는 도 17에 도시된 상태보다 클 수 있으며, 도 17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큰 의약품(M')의 경우에도 불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변가이드부(244)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킬수록 기준축(X1)과 가변축(X2)의 거리는 가까워지는 반면, 진입공간(S)의 크기는 커지게 되며, 양자는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공간(S)의 크기는 상기 기준가이드부(242)와 상기 가변가이드부(244)가 서로 겹치는 영역에 기초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으며,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200: 의약품 불출 장치
210: 의약품안착부
220: 불출부
230: 위치이동차단부
240: 가이드부
210: 의약품안착부
220: 불출부
230: 위치이동차단부
240: 가이드부
Claims (17)
- 직립된 상태로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의약품안착부;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이 눕혀진 상태로 불출되도록 하는 불출부;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이 상기 불출부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공간을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안착된 의약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진입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이 상기 진입공간을 통과하면, 차회에 불출될 의약품이 상기 진입공간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차회에 불출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동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상기 진입공간을 통과한 의약품은,
상기 불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 변화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해 눕혀진 상태로 변화되어 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기준가이드부, 상기 기준가이드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가이드부 및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상기 진입공간으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가이드부 및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접촉회전부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축 및 가변축을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과 상기 가변축의 거리는,
상기 진입공간의 크기와 반비례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간은,
상기 기준가이드부와 상기 가변가이드부가 서로 겹치는 영역에 기초하여 크기가 결정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가이드부 및 상기 가변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변가이드부를 상기 기준가이드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진입공간의 크기 조절 단위가 결정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회전부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접촉된 의약품을 상기 진입공간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부로부터 복수개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회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연동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상기 접촉회전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기초하여 위치 이동이 구현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진입공간에 진입한 의약품을 상기 불출부와 접촉되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차단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이 상기 진입공간을 통과하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진입공간과 상기 불출부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며, 상기 진입공간을 통과한 의약품이 상기 불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불출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진입공간과 상기 불출부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불출된 의약품의 외부로의 반출 여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반출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되는 의약품의 수를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변화 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변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외력에 의해서만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변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6905A KR101652172B1 (ko) | 2014-09-23 | 2014-09-23 | 의약품 불출 장치 |
EP20140187963 EP2860711A1 (en) | 2013-10-11 | 2014-10-07 | Medicine dispensing device |
US14/511,300 US9598222B2 (en) | 2013-10-11 | 2014-10-10 | Medicine dispensing device |
JP2014209403A JP2015073908A (ja) | 2013-10-11 | 2014-10-10 | 薬品払出デバイス |
CA 2866906 CA2866906A1 (en) | 2013-10-11 | 2014-10-10 | Medicine dispensing device |
CN201410533008.4A CN104555209B (zh) | 2013-10-11 | 2014-10-10 | 药剂发放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6905A KR101652172B1 (ko) | 2014-09-23 | 2014-09-23 | 의약품 불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5673A KR20160035673A (ko) | 2016-04-01 |
KR101652172B1 true KR101652172B1 (ko) | 2016-08-30 |
Family
ID=5579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6905A KR101652172B1 (ko) | 2013-10-11 | 2014-09-23 | 의약품 불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217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0711A (ja) * | 1999-06-28 | 2001-01-16 | Naohito Miyashita | 伸縮可能なベルトコンベアー |
JP2010006555A (ja) * | 2008-06-27 | 2010-01-14 | Shibuya Kogyo Co Ltd | 容器送出装置 |
JP2013119463A (ja) * | 2011-12-07 | 2013-06-17 | Ntn Corp | 搬送装置 |
JP2013150754A (ja) * | 2012-01-26 | 2013-08-08 | Tosho Inc | 複連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切離装置 |
-
2014
- 2014-09-23 KR KR1020140126905A patent/KR101652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0711A (ja) * | 1999-06-28 | 2001-01-16 | Naohito Miyashita | 伸縮可能なベルトコンベアー |
JP2010006555A (ja) * | 2008-06-27 | 2010-01-14 | Shibuya Kogyo Co Ltd | 容器送出装置 |
JP2013119463A (ja) * | 2011-12-07 | 2013-06-17 | Ntn Corp | 搬送装置 |
JP2013150754A (ja) * | 2012-01-26 | 2013-08-08 | Tosho Inc | 複連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切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5673A (ko) | 2016-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98222B2 (en) | Medicine dispensing device | |
US879878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 |
EP3300044B1 (en) |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 |
WO2012070643A1 (ja) | 錠剤分包装置 | |
EP1852351A1 (en) | Tablet filling device | |
DK1783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dosing and filling of pills, in multi-compartment trays, intended for medicine dispensers or pill boxes | |
KR102049273B1 (ko) |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 |
EP2722828B1 (en) |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 |
KR101652172B1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US1059314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edicine using a manual fill tray apparatus | |
KR102458354B1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KR20150042398A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WO2017043430A1 (ja) | 錠剤分包装置 | |
KR20150145859A (ko) | 약제 불출 장치 | |
KR20140049432A (ko) | 블리스터 포장 약제 불출 박스 | |
KR20160074041A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KR102147197B1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KR20150030458A (ko) | 의약품 보관 장치 | |
US20180089924A1 (en) |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 |
CA3077941C (en) |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 |
KR20190036810A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KR20170134835A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KR20170049785A (ko) | 의약품 불출 장치 | |
US20200330329A1 (en) |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 |
KR20140112680A (ko) | 약제불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