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571A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571A
KR20140117571A KR1020147023092A KR20147023092A KR20140117571A KR 20140117571 A KR20140117571 A KR 20140117571A KR 1020147023092 A KR1020147023092 A KR 1020147023092A KR 20147023092 A KR20147023092 A KR 20147023092A KR 20140117571 A KR20140117571 A KR 2014011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afts
pair
bodies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카미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57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5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감합 레버(fitting lever, 30)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의 대립되는 내면(31a) 상에 형성되고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 11)이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감합구들(shaft fitting holes, 32),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측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종단 모서리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회동으로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 23) 상에서 감합 방향으로 이동력을 작용시키는 캠 홈들(cam grooves, 34)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되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을 최대 간극 위치(maximum separation position)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 {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도 19는 종래의 레버 커넥터들의 예를 나타낸다.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레버 케넉터(lever connector, 100)는 제1 커넥터 하우징(1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 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121)(후드부)를 가진다.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에 감합/분리되기 위한 조작력(operation force)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재(member)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측면들로부터 돌출되는 축들(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한 쌍의 외측면들이 개재(sandwiched)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 하나의 종단측에서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에 접속하는 연결 부재(joint member, 132), 상기 레버 본체들(131)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외측면들 상에서 상기 축들(111)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지점 구멍들(pivoting fulcrum holes, 133),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 감합 조작이 개시될 때, 상기 외장벽부(121)의 외측면들에 형성되어 레버 고정구들(lever retaining holes, 122)에 체결되는 동작점 돌기부들(action point protruding parts, 134)을 포함한다.
상기 도시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32)는 상기 레버 본체들(131)이 상기 축들(111) 주위를 회동할 때 상기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로서 쓰일 수도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에 대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은 다음 단계들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에 감합 접속된다.
먼저, 상기 도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조작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후, 도 19의 화살표 X1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전단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외장벽부(121)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감합 레버(130)의 상기 동작점 돌기부들(action point protruding parts, 134)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상기 레버 고정구들(122)에 체결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130)의 상기 연결 부재(132)가 아래로 눌려지고, 도 19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가 회동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감합 조작 레버(130)의 회동 움직임으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을 향하여 끌려오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된다.
서로 감합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분리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분리되도록 도 19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132)가 회동한다.
일본 특허 번호 3442661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된 후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실제로 사용될 때, 상기 커넥터의 중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130)의 중량이 더해진다.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레버 커넥터(100)는 상기 감합 레버(130)에 의해 수반되어야 하고, 상기 구성요소 수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한 비용의 절감과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레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한 목적은 다음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operation force)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lever member)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각자 돌출되고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에 감합되는 외장벽(outer sheath wall),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외면들에 대향하는 상기 외장벽의 한 쌍의 측벽들을 잘라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측벽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지점축 안내 슬롯들(fulcrum shaft guiding slots), 및 상기 지점축 안내 슬롯들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병렬로 줄지어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어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의 말단들이 상기 지점축 안내 슬롯들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말단들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축들의 말단들의 둘레로부터 바깥쪽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플랜지들(retaining flanges)을 포함한다. 상기 감합 레버는 그 내면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외부로부터 상기 축들의 내부로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가 획득되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외부로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상기 중심 축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분리되는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가 획득되도록 상기 레버 본체들의 상기 내면들 상의 오목부(recesses)로서 형성되는 축 감합구들(shaft fitting holes),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감합한 상기 레버 본체들이 회동 개시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의 종단 모서리들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체결되는 초기 감합 체결홈들(initial fitting engaging grooves),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에 이어지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회동 개시위치로부터 회동 최종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의 회동으로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 내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 상의 감합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작용시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을 깊게 하는 캠 홈들(cam grooves),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고정 플랜지들의 내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도달하는 상기 캠 홈들의 최종단 영역을 제외한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과 상기 캠 홈들의 개구 모서리 상에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그 결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의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이 상기 최종단 영역 이외에서 규제되고 상기 최종단 영역에서는 허용되는, 레버 고정 플랜지들(lever retaining flanges),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에 대응하는 최소 간극 위치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에 대응하는 최대 간극 위치까지 대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을 결합하는 결합 기구(coupling mechanism);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 사이의 상기 간극 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을 압박하는 탄력 부재들(resilient members)를 포함한다.
(2) (1)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 상기 레버 본체들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는 안내축들(guiding shafts), 상기 레버 본체들에 대향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종단 표면 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안내축들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상기 대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감합되는 안내구들(guiding holes),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할 때 분리 방향으로의 상기 안내구들 내에 감합된 상기 안내축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들(stoppers)을 포함하고, 상기 탄력 부재들은 상기 안내구들 내에 설치된 상기 안내축들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도록 누르는 스프링들이다.
(3) (2)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들은 상기 레버 본체들이 형성된 나사 관통구들(screw through holes)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 나사로 조여진 나사 부재들이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라,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서로 접근하도록 하는 외력을 수신하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탄력 부재로부터의 상기 압박력에 의해 상기 최대 간극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은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사이에 놓여져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상기 축 감합구들의 위치가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위치로 정렬될 때,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최소 간극 위치로 서로 접근하게 이동하도록 눌려지고,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레버 본체들의 상기 축 감합구들 내에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가 획득된다.
그 후,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에서의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회동 개시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레버 본체들의 초기 감합체결 홈들에 체결된다.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의 개구 모서리에 장비된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은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을 상기 동작 수신축들의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규제하도록 상기 동작 수신축들의 상기 고정 플랜지들의 내면들과 체결한다. 즉,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서로 접근하도록 압박하는 부하(조작력)가 해지되는 경우조차,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최소 간극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유지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회동 최종 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의 회동으로, 상기 캠 홈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을 깊게 하기 위해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 상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력을 작용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의 회동으로,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캠 홈들의 최종단에 도달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된다.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이 상기 캠 홈들의 상기 최종단 영역에 장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캠 홈들의 상기 최종 단에 도달할 때, 상기 탄력 부재들의 상기 압박력으로 인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의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이동은 허용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뽑아내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서로 감합 접속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상기 감합 레버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재설치될 때, 상기 감합 레버는 서로 감합 접속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삽입되고, 상기 감합 레버의 위치는 상기 레버 본체들의 회동이 완료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후,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서로 접근하게 하는 부하(조작력)가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을 상기 최소 간극 위치로 되돌리도록 적용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서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에 체결된 상태가 획득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이 상태로부터 상기 회동 개시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즉,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된 후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감합 레버가 다른 레버 커넥터들을 감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오직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탄력 부재들의 압박력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레버 본체들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그런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도중에(즉, 상기 감합 레버의 회동 도중에), 상기 레버 본체들에 장비된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이 상기 고정 플랜지들의 내면들에 인접하여 상기 동작 수신축들의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1)의 구성에 대해,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감합 도중(반감합 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불륭이 간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2)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안내축들이 상기 레버 본체들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성요소들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 간극 위치까지 상기 대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을 결합하는 상기 결합 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들로 실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나사 부재들이 상기 스토퍼들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들의 조달이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나사 부재들이 상기 스토퍼들로 사용된다면, 예를 들어, 상기 나사 부재들의 나삿니가 있는 체결 깊이를 상기 결합 부재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대립 방향으로의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이동가능한 범위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이동가능한 범위의 설계 변화가 쉽게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후에,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 상기 감합 레버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을 감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오직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간략히 설명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세는 아래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하 "실시예들"이라 언급됨)이 수반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해된 후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화살표도(arrow view)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의 전면도(도 1의 B 화살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요부들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에 있어서 한 쌍의 레버 본체들과 결합 부재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상기 감합 레버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본체들과 상기 결합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 시작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회동 시작위치에서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 화살표도이다.
도 15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하우징들과 체결되는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 최종위치까지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주요부들의 G 화살표도이다.
도 18은 상기 감합 레버가 도 16에 나타나는 상태로부터 위로 세워질 때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종래 레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레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화살표도(arrow view)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의 전면도(도 1의 B 화살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요부들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에 있어서 한 쌍의 레버 본체들과 결합 부재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상기 감합 레버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본체들과 상기 결합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레버 커넥터(1)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를 포함한다.
도 1 및 2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 11, 11)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11, 11)은 각자 한 쌍의 외면들(10a, 10a)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11, 11)은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들(보스부들)이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도 1, 3, 및 4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외주가 감합되는 사각 파이프형 외장벽(outer sheath wall, 21)(후드부), 한 쌍의 지점축 안내슬롯들(fulcrum shaft guiding slots, 22, 22), 및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 23, 23)을 포함한다.
상기 외장벽(21)은 상기 감합된 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면들(10a. 10a)에 대립되는 한 쌍의 측벽들(21a, 21a)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지점축 안내슬롯들(22, 22)은 각자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a, 21a)를 잘라 형성되어, 상기 측벽들(21a)의 말단 모시리들(21b)에서 개구한다. 상기 한 쌍의 지점축 안내 슬롯들(22, 2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슬롯들이고, 그 폭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상기 한 쌍의 지점축 안내슬롯들(22, 2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측벽들(21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추후 설명될 도 1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측벽들(21a)를 관통하는 슬롯들이다. 상기 한 쌍의 지점축 안내슬롯들(22, 2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될 때, 상기 측벽들(21a)을 관통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롯들이다.
상기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23, 23)은 상기 감합 레버(30)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으로의 부하를 수신하는 축들(보스부들)이고,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각자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a, 21a)의 외면들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23, 23)은, 추후 설명될 도 1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지점축 안내 슬롯들(22)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병렬로 줄지어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23, 23)은, 추후 설명될 도 1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23)의 말단들(23a)이 상기 지점축 안내슬롯들(22)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단말들(11a)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길이를 갖도록 설정된다.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축들의 상기 말단들의 외주에서, 바깥쪽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플랜지들(23b)를 가진다.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분리를 위한 조작력이 감소될 수 있는 부재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감합 레버(30)는, 도 1, 7, 및 8에 나타나는 것처럼, 내면들(31a)이 서로 대립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 축 감합구들(shaft fitting holes, 32), 초기 감합체결 홈들(initial fitting engaging grooves, 33), 캠 홈들(cam grooves, 34), 레버 고정 플랜지들(lever retaining flanges, 35), 결합 기구(coupling mechanism, 36) 및 탄력 부재들(resilient members, 37)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본체들(3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에 체결되는 원형판들(circular plates, 31b), 및 상기 원형판들(31b)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막대형 부들(31c)을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원형판들(31b)에는 상기 기재된 축 감합구들(32),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 상기 캠 홈들(34), 및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이 형성된다.
상기 축 감합구들(32)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구멍들이고, 상기 레버 본체들(31) 내의 상기 원형판들(31b)의 상기 내면들(31a) 상에서 오목부들(recesses)로서 형성된다. 상기 축 감합구들(32)은 상기 원형판들(31b)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 11의 화살표 Y2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원형판들(31b)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외부로부터 상기 축들의 내부로 이동될 때, 상기 축 감합구들(32)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도 11 및 13에서 나타나는 상태)로 된다. 도 1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원형판들(31b)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외부로 이동될 때, 상기 축 감합구들(32)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분리되는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도 17에 나타나는 상태)로 된다.
즉, 상기 축 감합구들(32)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을 도 5에 나타나는 화살표 Y4를 따라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레버 지지축들에 삽입/분리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도 12에 나타나는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상기 캠 홈들(34)의 개시 종단들로 안내하는 홈들이다.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회동 개시위치(P1)로 경사질 때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측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종단 모서리들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홈들이다.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회동 개시위치(P1)는 상기 막대기형 부들(31c)의 연장 방향이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θ1만큼 상기 원형판들(31b)의 중심 ○1을 통과하는 수직선 V1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경사지는 위치이다.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개시위치(P1)로 경사질 때,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은 수직으로 아래 방향으로 개구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에 감합된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도 11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회동 개시위치(P1)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에 체결된다.
상기 캠 홈들(34)은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33)에 이어지는 홈들이다. 상기 캠 홈들(34)의 폭은 상기 고정 플랜지들(23b)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캠 홈들(34)은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로부터 상기 원형판들(31b)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형상에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개시위치(P1)로부터 회동 최종위치(P2)로 회동할 때, 상기 캠 홈들(34)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회동으로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상에 상기 감합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을 깊게 하는 홈들이다.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회동 최종위치(P2)는 상기 막대기형 부들(31c)의 연장 방향이 도 16에 나타나는 것처럼, θ2만큼 상기 원형판들(31b)의 중심 ○1을 통과하는 수직선 V1으로부터 시계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위치이다.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P2)로 회동될 때, 도 1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캠 홈들(34)에 체결된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상기 캠 홈들(34)의 최종단들에 도달한다.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P2)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도달하는 상기 캠 홈들(34)의 상기 최종단 영역(도 7 및 16의 범위 L1)을 제외한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과 상기 캠 홈들(34)의 개구 모서리에 장비되는 테두리형(brim-shaped) 구조들이다.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은 상기 홈들의 개구 모서리들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이 상기 캠 홈들(34)에 감합된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상기 고정 플랜지들(23b)의 내면들에 인접한다.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고정 플랜지들(23b)의 내면에 인접한다.
즉,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이 장비되는 영역은 상기 최종단 영역(L1)을 제외한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과 상기 캠 홈들(34)의 연장 영역에서 상기 캠 홈들(34)의 상기 최종단 영역(L1)을 제외한 영역이기 때문에,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축 방향으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이 규제되지만, 상기 최종단 영역(L1)에서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이 허용된다.
상기 결합 기구(36)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을 상기 언급된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에 대응하는 최소 간극 위치로부터 상기 언급된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에 대응하는 최대 간극 위치까지 상기 대립 방향(도 5의 화살표 Y4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기구이다.
도 8 내지 9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결합 기구(36)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361), 안내축들(362), 안내구들(363), 및 스토퍼들(364)을 포함한다.
도 5 및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결합 부재(361)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의 상기 막대기형 부들(31c)의 종단들 사이에 배치된 블록형 부재이다. 상기 결합 부재(361)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회동될 때 조작력을 더하는 조작부(상기 레버의 역점부)로서도 쓰일 수 있다.
상기 안내축들(362)은 도 9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본체들(3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축들(362)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막대기형 부들(31c)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361)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안내축들(362)은 탄력 부재 수용공간들(362a)이 상기 결합 부재(361)의 측에 형성되는 파이프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안내구들(363)은 상기 안내축들(362)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의 대립 방향(도 9의 화살표 Y5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감합되는 구멍들이고, 상기 레버 본체들(31)에 대향하는 상기 결합 부재(361)의 종단 표면들 상에 오목부들로서 형성된다.
상기 안내구들(363)의 바닥과 상기 안내축들(362)의 상기 탄력 부재 수용공간들(362a)로 정의되는 공간은 추후 설명될 상기 탄력 부재들(37)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상기 스토퍼들(364)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구들(363)에 체결되는 상기 안내축들(362)의 상기 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부재들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스토퍼들(364)은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막대기형 부들(31c)에 형성되는 나사 관통구들(screw through holes, 311)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361)에 나사로 조여지는 나사 부재들이다. 상기 나사 부재들의 머리들(364a)은 상기 막대기형 부들(31c)의 외부로의 이동(도 10의 화살표 Y6 방향)을 규제한다.
도 10은 상기 스토퍼들(364)(나사 부재들)의 상기 머리들(364a)이 상기 막대기형 부들(31c)에 인접해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스토퍼들(364)의 축들(364b) 상을 이동할 때,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최대 간극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은 도 10에 나타나는 틈새 C1의 범위에서 상기 결합 부재(36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간극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틈새 C1의 범위에서 상기 대향 방향으로 안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막대기형 부들(31c)이 상기 결합 부재(361)의 위치결정 표면들(361a)에 인접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은 상기 최소 간극 위치에서 서로 대립되게 된다.
상기 탄력 부재들(37)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사이의 상기 간극 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을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들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탄력 부재들(37)은 도 8 및 9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안내구들(363)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축들(362)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도록 누르는 코일된 압축 스프링들(coiled compression springs)이다. 앞서 기재된 것처럼, 상기 안내구들(363)의 바닥과 상기 안내축들(362)의 상기 탄력 부재 수용공간(362a)으로 정의되는 공간은 상기 탄력 부재들(37)이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언급된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서로 접근하게 하는 외력을 수신하지 않는 무부하 상태(도 1에 나타나는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탄력 부재들(37)로부터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11, 11)은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 사이에 놓일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11, 11)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 사이에 놓여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의 상기 축 감합구들(32)의 위치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위치로 정렬되고, 도 11의 화살표 Y2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은 상기 최소 간극 위치에 서로 접근하게끔 이동하도록 눌려질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축 감합구들(32)에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상태인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가 획득된다.
그 후,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에서의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도 11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회동 개시위치(P1)에 위치한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외장벽(21)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23, 23)은 도 12 내지 14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에 체결된다.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의 상기 개구 모서리에 장비되는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은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상기 고정 플랜지들(23b)의 내면들과 체결하여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상기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서로 접근하도록 압박하는 부하(조작력)가 해지되는 경우조차,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상기 최소 간극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유지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도 13의 화살표 R2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회동 최종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회동으로, 상기 캠 홈들(34)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이 깊어지도록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 내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상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력 H(도 13 참조)을 작용시킨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으로, 도 15 및 1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P2)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캠 홈들(34)의 상기 최종단에 도달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 접속된다.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이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캠 홈들(34)의 상기 최종단 영역(L1)에 장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캠 홈들(34)의 상기 최종단에 도달할 때, 상기 탄력 부재들(37)의 압박력으로 인해 상기 최대 간극 위치측으로의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의 이동이 허용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도 1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도 18의 화살표 X4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끌어내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감합 접속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상기 감합 레버(3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에 재설치되려 할 때, 먼저, 감합 접속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삽입되고, 상기 감합 레버(30)의 위치는 도 15 및 1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회동이 완료되는 위치로 돌아간다.
그 후,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서로 접근하도록 하는 부하(조작력)가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을 상기 최소 간극 위치로 돌아가도록 적용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P2)에서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에 체결되는 상태가 획득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이러한 상태로부터 상기 회동 개시위치(P1)로 회동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로 되돌려질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 접속된 후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된 상기 감합 레버(30)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을 감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1)의 구성요소 세트는 오직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1)의 구성에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탄력 부재들(37)의 압박력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되므로, 상기 레버 본체들(31)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도중(즉,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 도중)에, 상기 레버 본체들(31)에 장비되는 상기 레버 고정 플랜지들(35)이 상기 고정 플랜지들(23b)의 내면들에 인접하여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상기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은 감합 도중(반감합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불량이 간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1)의 구성에 따라, 상기 안내축들(362)이 상기 레버 본체들(31)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성요소들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을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 간극 위치까지 대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상기 결합 기구(36)가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들로 실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1)의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나사 부재들이 상기 스토퍼들(364)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들(364)의 조달이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나사 부재들이 상기 스토퍼들(364)로 사용된다면, 예를 들어, 상기 나사 부재들의 나삿니가 있는 체결 깊이를 상기 결합 부재(361)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대립 방향으로의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의 이동가능한 범위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31)의 이동가능한 범위의 설계 변화가 쉽게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수정, 개선 등이 행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재료, 형상, 치수, 수, 설치 위치 등이 본 발명이 수행될 수 있는 한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과 보정이 행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2년 2월 20일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12-034171에 기초하고,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의 특징들이 다음의 [1] 내지 [3]에 각자 간략하고, 총괄적으로 열거된다.
[1] 레버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를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한 쌍의 외면들(10a)로부터 각자 돌출되고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외주에 감합되는 외장벽(21),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측벽들(21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외면들(10a)에 대향하는 상기 외장벽(21)의 한 쌍의 측벽들(21a)을 잘라 형성되는 한 쌍의 지점축 안내 슬롯들(22), 및
상기 지점축 안내 슬롯들(22)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병렬로 줄지어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a)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어 말단들이 상기 지점축 안내 슬롯들(22)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말단들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23)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상기 축들의 말단들의 둘레로부터 바깥쪽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플랜지들(23b)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그 내면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외부로부터 상기 축들의 내부로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가 획득되고, 상기 레버 본체들(1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상기 중심 축을 따라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분리되는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가 획득되도록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내면들 상의 오목부(recesses)로서 형성되는 축 감합구들(32),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측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종단 모서리들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에 감합된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회동 개시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체결되는, 초기 감합 체결홈들(33),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33)에 이어지고,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개시위치로부터 회동 최종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회동으로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33) 내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상의 감합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작용시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을 깊게 하는 캠 홈들(34),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도달하는 상기 캠 홈(34)의 최종단 영역을 제외한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33)과 상기 캠 홈들(34)의 개구 모서리에 상기 고정 플랜지들(23b)의 내면들이 인접하게 하는 방식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결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이 상기 최종단 영역 이외에서 규제되고 상기 최종단 영역에서는 허용되는, 레버 고정 플랜지들(35),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에 대응하는 최소 간극 위치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에 대응하는 최대 간극 위치까지 대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을 결합하는 결합 기구(36),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사이의 상기 간극 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을 압박하는 탄력 부재들(37)를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2] 상기 [1]에 기재된 레버 커넥터로서, 상기 결합 기구(36)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361), 상기 레버 본체들(31)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361)를 향하여 돌출하는 안내축들(362), 상기 레버 본체들(31)에 대향하는 상기 결합 부재(361)의 종단 표면 상에서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안내축들(362)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대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감합되는 안내구들(363),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할 때 분리 방향으로의 상기 안내구들(363) 내에 감합된 상기 안내축들(362)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들(364)을 포함하고,
상기 탄력 부재들(37)은 상기 안내구들(363) 내에 설치된 상기 안내축들(362)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도록 누르는 스프링들인, 레버 커넥터.
[3] 상기 [2]에 기재된 레버 커넥터로서, 상기 스토퍼들(364)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형성된 나사 관통구들(311)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361)에 나사로 조여진 나사 부재들인, 레버 커넥터.
본 발명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후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 분야에서 유용하다.
1: 레버 커넥터
10: 제1 커넥터 하우징
10a: 외면
11: 레버 지지축
20: 제2 커넥터 하우징
21: 외장벽
21a: 측벽
22: 지점축 안내슬롯
23: 동작 수신축
23b: 고정 플랜지
30: 감합 레버
31: 레버 본체
31a: 내면
32: 축 감합구
33: 초기 감합체결 홈
34: 캠 홈
35: 레버 고정 플랜지
36: 결합 기구
37: 탄력 부재
311: 나사 관통구
361: 결합 부재
362: 안내축
363: 안내구
364: 스토퍼
L1: 최종단 영역
P1: 회동 개시위치
P2: 회동 최종위치

Claims (3)

  1.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operating force)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lever member)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제각기 돌출되어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한 쌍의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에 감합되는 외장벽(outer sheath wall);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외면들에 대향하는 상기 외장벽의 한 쌍의 측벽들을 잘라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측벽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지점축 안내 슬롯들(fulcrum shaft guiding slots); 및
    상기 지점축 안내 슬롯들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병렬로 줄지어지고,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의 말단들이 상기 지점축 안내 슬롯들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말단들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동작 수신축들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축들의 상기 말단들의 둘레로부터 바깥쪽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플랜지들(retaining flanges)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내면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상기 레버 본체들의 상기 내면들 상의 오목부(recesses)로서 형성되어,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외부로부터 상기 축들의 내부로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는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가 획득되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상기 중심 축을 따라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분리되는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가 획득되는, 축 감합구들(shaft fitting holes);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의 종단 모서리들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에 감합된 상기 레버 본체들이 회동 개시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체결되는, 초기 감합 체결홈들(initial fitting engaging grooves);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에 이어지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회동 개시위치로부터 회동 최종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의 상기 회동으로 상기 초기 감합 체결홈들 내에 위치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 상에서 감합 방향으로 이동력을 작용시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을 깊게 하는 캠 홈들(cam grooves);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고정 플랜지들의 내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도달하는 상기 캠 홈의 최종단 영역(final end areas)을 제외한 상기 초기 감합체결 홈들과 상기 캠 홈들의 개구 모서리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동작 수신축들의 축 방향에서 바깥쪽으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이 상기 최종단 영역 이외에서는 규제되고 상기 최종단 영역에서는 허용되는, 레버 고정 플랜지들(lever retaining flanges);
    상기 레버 지지축들 감합 상태에 대응하는 최소 간극 위치(minimum separation position)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 분리 상태에 대응하는 최대 간극 위치(maximum separation position)까지 대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을 결합하는 결합 기구(coupling mechanism);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사이의 상기 간극 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을 압박하는 탄력 부재들(resilient members)를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coupling member);
    상기 레버 본체들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는 안내축들(guiding shafts);
    상기 레버 본체들에 대향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종단 표면 상에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안내축들이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상기 대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감합되는 안내구들(guiding holes);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최대 간극 위치로 이동할 때 분리 방향으로의 상기 안내구들 내에 감합된 상기 안내축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들(stoppers)을 포함하고,
    상기 탄력 부재들은 상기 안내구들 내에 설치된 상기 안내축들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도록 누르는 스프링들인, 레버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들은 상기 레버 본체들이 형성된 나사 관통구들(screw through holes)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 나사로 조여진 나사 부재들인, 레버 커넥터.
KR1020147023092A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Withdrawn KR20140117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4171A JP5830406B2 (ja) 2012-02-20 2012-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2-034171 2012-02-20
PCT/JP2013/054194 WO2013125585A1 (ja) 2012-02-20 2013-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571A true KR20140117571A (ko) 2014-10-07

Family

ID=4900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092A Withdrawn KR20140117571A (ko)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0108B2 (ko)
JP (1) JP5830406B2 (ko)
KR (1) KR20140117571A (ko)
CN (1) CN104137348A (ko)
DE (1) DE112013001037T5 (ko)
WO (1) WO2013125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0407B2 (ja) * 2012-02-20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668950B2 (ja) * 2016-05-30 2020-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24190B2 (ja) * 2016-09-07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8942132B (zh) * 2017-05-17 2020-03-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组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240Y2 (ja) * 1991-01-11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US5551885A (en) * 1992-05-01 1996-09-03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requiring small force by use of operation lever
JP2583261Y2 (ja) * 1992-12-24 1998-10-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253032B2 (ja) * 1993-02-03 2002-02-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JP3075451B2 (ja) * 1993-05-19 2000-08-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734982B2 (ja) * 1993-12-17 199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69411688T2 (de) 1993-12-17 1999-02-1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Mie Steckverbinder mit Hebel und Kupplungsmechanismus zur Haltung des Verriegelungshebels in der verriegelten Stellung
JP2815090B2 (ja) * 1994-09-06 1998-10-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操作レバー装着方法及び操作レバー装着機構
JP3243999B2 (ja) * 1996-05-24 2002-01-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442661B2 (ja) 1998-08-10 2003-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412562B2 (ja) * 1999-06-14 2003-06-0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67500B2 (ja) 2001-02-01 2007-01-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272037B2 (ja) * 2003-11-10 2009-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6324227A (ja) * 2005-04-18 2006-11-30 Yazaki Corp コネクタ
JP4678227B2 (ja) * 2005-04-22 2011-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344473A (ja) * 2005-06-08 2006-1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395784B2 (ja) * 2006-03-03 2010-0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01618B2 (ja) * 2007-07-17 2012-03-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252488A (ja) * 2008-04-04 2009-10-29 Tyco Electronics Amp Kk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20290B2 (ja) * 2012-02-08 201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585A1 (ja) 2013-08-29
JP5830406B2 (ja) 2015-12-09
CN104137348A (zh) 2014-11-05
DE112013001037T5 (de) 2015-02-05
US20150037089A1 (en) 2015-02-05
US9160108B2 (en) 2015-10-13
JP2013171666A (ja)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155B2 (en) Latchable module housin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2419081B1 (ko) 케이블용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08130244A (ja) コネクタ
EP1079473B1 (en) Lever type connector
CN100514765C (zh) 杆安装型连接器
KR20140117571A (ko) 레버식 커넥터
US7661887B2 (en) Shutter assembly
CN102986089B (zh) 杠杆式连接器
CA2427793C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rack mate assist
US20170247907A1 (en) Top connecting apparatus for a shelter frame
JP2017524242A (ja) 保持フレーム及び該保持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20150011106A1 (en) Lever Type Connector
CN107026365A (zh) 具有方便连接的杆锁定的连接器
KR20140117569A (ko) 레버식 커넥터
WO2012118146A1 (ja) コネクタ
EP2654134B1 (en) Lever structures for electrical connectors
JP447517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3281847A (zh) 光学连接器插座与模块以及其光学连接器模块
KR101417704B1 (ko)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KR201500048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JP5313041B2 (ja) ヒンジ
KR20140117573A (ko) 레버식 커넥터
CN101180770A (zh) 插入式铰链
CN115437077A (zh) 一种连接器、适配器及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51021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