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573A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573A
KR20140117573A KR1020147023104A KR20147023104A KR20140117573A KR 20140117573 A KR20140117573 A KR 20140117573A KR 1020147023104 A KR1020147023104 A KR 1020147023104A KR 20147023104 A KR20147023104 A KR 20147023104A KR 20140117573 A KR20140117573 A KR 2014011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connector housing
cam plat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카미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5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감합 레버(fitting lever, 30)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외면들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판들(housing coupling substrates, 31),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의 중심부들에 결합되는 캠판들(cam plates, 32), 및 상기 캠판들(32)을 회동시키는 조작부인 레버 본체(33)를 포함한다. 상기 캠판들(3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회동에 수반해 서로 감합되는 캠홈들(cam grooves, 322a, 322b), 및 상기 캠판들(32)이 회동 최종위치(N2)로 이동할 때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개구홈들(32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 {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도 15는 종래의 레버 커넥터들의 예를 나타낸다.
아래 PTL1(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레버 커넥터(100)는 제1 커넥터 하우징(1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 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121)(후드부)를 갖는다.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에 감합/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재(member)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측면들로부터 돌출된 축들(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나듯이,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한 쌍의 외측면들이 개재(sandwiched)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 하나의 종단측에서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과 접속하는 결합 부재(132), 상기 레버 본체들(131)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외측면들 상에서 상기 축들(111)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지점구들(pivot fulcrum holes, 133),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에 감합 조작이 개시될 때 상기 외장벽부(121)의 상기 외측면들에 형성되는 레버 고정구들(lever retaining holes, 122)과 체결되는 동작점 돌기부들(action point protruding parts, 134)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132)는, 상기 레버 본체들(131)이 상기 축들(111) 주위로 회동될 때의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로 쓰일 수도 있다.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에 대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다음 단계들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에 감합 접속된다.
먼저, 상기 도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조작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후, 도 15의 화살표 X1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전단(front end)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외장벽부(12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감합 레버(130)의 상기 동작점 돌기부들(134)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상기 레버 고정구들(122)에 체결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130)의 상기 결합 부재(132)가 아래로 눌려지고, 도 15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가 회동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감합 조작레버(130)의 회동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을 향하여 당겨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이 완료된다.
서로 감합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분리되려 할 때, 상기 결합 부재(132)는 도 15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분리된다.
일본 특허 번호 3442661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되면 상기 감합 레버(130)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된 후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실제로 사용될 때조차, 상기 커넥터의 중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130)의 중량이 더해진다.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레버 커넥터(100)는 상기 감합 레버(130)가 수반되어야 하고, 구성요소 수의 증가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비용을 절감시키고 사용상태에서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과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결정하는 레버 안내부들(lever guiding parts),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제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동작 수신축들(first action receiving shafts), 및 상기 외장벽부의 개구 모서리들(opening edges)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을 향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상기 외장벽부의 한 쌍의 대립되는 외벽들을 잘라 형성되는 축 삽입컷들(shaft insertion cuts)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제2 동작 수신축들의 중심축이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과 대치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려 할 때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에 접근하도록 상기 축 삽입컷들을 통해 삽입되는 제2 동작 수신축들을 포함한다.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삽입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들에 결합되도록 상기 레버 안내부들과 체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 결합판들(housing coupling substrates), 회동 초기위치로부터 회동 최종위치까지 기결정된 회동각도 범위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캠판들(cam plates), 및 상기 캠판들에 고정되고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부터 상기 회동 최종위치까지 회동될 때의 조작부가 되는 레버 본체(lever body)를 포함한다. 상기 캠판들은,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에 대립되는 외부 모서리들에 개구(open)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과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을 체결하는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로부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캠판들의 회동에 수반해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 내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캠판들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각각 당겨지는 동안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제각기 위치하고 있는 그 최종단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대치하는 한 쌍의 캠홈들(cam grooves), 및 상기 한 쌍의 캠홈들의 상기 최종단을 통과하고 상기 캠판들의 하나의 종단 모서리들에 개구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들의 반대되는 측(side reverse)으로 상기 캠판들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상기 캠판들의 외부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 개구홈들(engagement opening grooves)을 포함한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먼저,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N1)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레버 안내부들과 체결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제1 수신축들은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캠판들이 장비된 상기 초기 체결부들과 체결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다. 그 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캠판들이 장비된 상기 초기 체결부들과 체결한다.
그 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회동 최종위치까지 회동하게 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레버 본체가 회동된다. 이 때 상기 캠판들의 상기 회동으로, 상기 캠판들의 상기 한 쌍의 캠홈들은 각자 상기 초기 체결부들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상기 캠판들의 상기 회동 중심을 향하여 끌어당긴다. 이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각자 상기 캠판들의 상기 회동 중심을 향하여 끌어당겨질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이 깊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한 쌍의 캠홈들의 최종단에 도달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캠판들의 상기 회동 중심을 향하여 최대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 완료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회동 조작에 의해 서로 감합 접속 완료되는 동안, 각자 상기 한 쌍의 캠홈들의 최종단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상기 체결 개구홈들에 대향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의 역방향으로 끌어올려질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각자 상기 체결 개구홈들을 통해 상기 캠판들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감합 레버가 서로 감합 접속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재설치될 때, 상기 감합 레버의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분리되면,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레버 본체의 회동으로 상기 캠판들을 상기 회동 초기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로 되돌려질 때, 상기 캠판들의 회동으로, 상기 캠홈들의 최종단에 각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캠홈들에 의한 상기 캠판들의 상기 회동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분리된다.
즉,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된 후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1)의 구성에 대해, 상기 캠판들에 상기 회동 중심을 개재하도록 제공되는 상기 한 쌍의 캠홈들로 상기 캠판들의 상기 회동 중심을 향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캠판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캠판들의 상기 회동 중심을 개재하는 양 측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이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오직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이 하나의 캠홈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캠판이 소형화될 수 있고, 상기 캠판들의 회동 범위의 감소에 의해 상기 감합 레버가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간략히 설명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세는 아래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하 "실시예들"로 언급됨)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해된 후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감합 레버에 장비된 한 쌍의 결합판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감합 레버의 캠판들과 레버 본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캠판들이 회동 초기위치에 임시적으로 고정된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감합 레버의 전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 내에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감합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나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나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회동 최종위치로 회동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 접속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 레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감합 레버(fitting lever)에 장비된 한 쌍의 결합판들(coupling substrates)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감합 레버의 캠판들(cam plates)과 레버 본체(lever body)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캠판들이 회동 초기위치에 임시적으로 고정된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감합 레버의 전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레버 커넥터(1)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 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삽입되는 사각 파이프형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11)(후드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도 1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결정하는 레버 안내부들(lever guiding parts, 12), 각자 한 쌍의 외면들(10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동작 수신축들(first action receiving shafts, 13), 및 상기 외장벽부(11)의 한 쌍의 대립되는 외벽들(11a)을 잘라 형성되는 축 삽입컷들(shaft insertion cuts, 14)을 포함한다.
도 1 및 2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안내부들(1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리브들(ribs)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안내부들(12)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한 쌍의 외면들(10a)로부터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면들(10a)은 상기 외장벽부(11)의 상기 한 쌍의 외벽들(11a)의 외면들이다. 상기 레버 안내부들(12)은 상기 외면들(10a) 상에 상기 커넥터의 가로길이 방향(도 1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격된 두 장소들에 제공된다.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은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될 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제거되기 위한 힘을 상기 감합 레버(30)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외면들(10a)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축들(보스부들)이다.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가로길이 방향(도 1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대략 중심 위치들에 장비된다.
상기 축 삽입컷들(14)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도 1의 화살표 X2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축 삽입컷들(14)은 상기 외장벽부(11)의 개구 모서리들(11b)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은 도 2에 나타나듯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L1상에 형성된다.
상기 축 삽입컷들(14)의 내경은 아래 기재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제2 동작 수신축들(21)이 상기 축 삽입컷들(14) 내에 삽입되도록 설정된다.
도 1 및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각자 한 쌍의 외면들(20a) 상에서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에 대치하도록 상기 외면들(20a)로부터 각자 돌출된다.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의 중심 축은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의 것과 평행하다.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과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 돌기들이다.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될 때,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은 상기 축 삽입컷들(14)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에 접근한다.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감합/분리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재(member)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감합 레버(30)는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한 쌍의 하우징 결합판들(31), 한 쌍의 캠판들(32) 및 레버 본체(3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 결합판들(3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한 쌍의 외면들(10a)을 개재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열된다.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에는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각자 안내 체결부들(guiding engaging parts, 31)과 회동 지점구들(pivoting fulcrum holes, 31b)이 장비된다.
상기 안내 체결부들(31a)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안내부들(12)과 체결될 때 도 1의 화살표 Y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단차부들(stepped parts)이다. 상기 안내 체결부들(31a)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안내부들(12)과 체결될 때, 상기 한 쌍의 하우징 결합판들(3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삽입가능/제거가능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외면들(10a)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에 장비되는 상기 회동 지점구들(31b)은 상기 캠판들(32)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주위에서 상기 캠판들(32)이 회동되는 구멍들이다.
상기 캠판들(32)은 도 7에 나타나는 회동 초기위치(N1)로부터 상기 회동 최종위치(N2)로 기결정된 회동 각도범위 θ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의 중심부들(회동 지점구들(31b))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 초기위치(N1)은,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설치될 때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에 임시적으로 고정되는 위치(방향)이다. 상기 회동 최종위치(N2)는, 상기 캠판들(32)이 후술될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감합 접속하도록 기결정된 각도 θ로 회동된 후 상기 캠판들(32)이 도달하는 위치(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 초기위치(N1)로부터 상기 회동 최종위치(N2)로의 상기 각도 θ는 90°이다.
도 5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본체(33)는 상기 캠판들(32)에 고정되고,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언급된 회동 초기위치(N1)에서 상기 회동 최종위치(N2)로의 범위로 회동될 때의 조작 부재이다. 도 1 및 5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본체(33)는 그 기저 종단들(base ends)이 상기 캠판들(32)의 중심부들에 고착되는 한 쌍의 암부들(arm parts, 33a)과, 상기 한 쌍의 암부들(33a)의 말단들(distal ends)과 결합하는 회동부(33b)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33b)는 상기 캠판들(32)을 회동시키도록 조작력을 적용하는 부분이다.
상기 한 쌍의 캠판들(32)은, 상기 언급된 회동 초기위치(N1) 또는 상기 회동 최종위치(N2)에서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에 임시적으로 고정되도록 도시되지 않은 임시적 고정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하우징 결합판들(31)에 부착된다.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캠판(32)은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321a, 321b),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 및 체결 개구홈(323)을 포함한다.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a, 321b)은,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N1)에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에 대립되는 상하 외부 모서리들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들이다.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a)은, 상기 캠판들(32)이 후에 기재될 도 8 및 9에 나타나는 상기 회동 초기위치(N1)에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 설치될 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이 감합 체결하는 홈들이다.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a)은,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을 후술될 상기 캠홈들(322a)의 초기 종단들에 위치결정한다.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b)은, 상기 캠판들(32)이 후에 기재될 도 10 및 11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회동 초기위치(N1)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이 감합 체결하는 홈들이다.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b)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을 후술될 상기 캠홈들(322b)의 초기 종단들에 위치결정한다.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은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321a, 321b)로부터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매끄럽고 굽은 궤도를 그리도록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a, 321b)의 최종단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홈들이다.
도 10 내지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캠홈들(322a)은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a)의 최종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을 상기 캠판들(32)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끌어당기기 위한 홈들이다.
도 10 내지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캠홈들(322b)은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b)의 최종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을 상기 캠판들(32)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끌어당기기 위한 홈들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은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321a, 321b)에서 각각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을 상기 캠판들(32)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끌어당긴다.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의 길이는,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의 최종단들(322c, 322d)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도 13의 화살표 X3 방향)으로 대치하는 상기 회동 최종위치(N2)에 상기 캠판들(32)이 도달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체결 개구홈(323)은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의 상기 최종단들(322c, 322d)을 통과하고 상기 캠판(32)의 하나의 종단 모서리에서 개구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홈이다. 상기 체결 개구홈(323)은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N2)로 회동될 때, 개구(323a)가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직선 L2 상에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 개구홈들(323)은, 상기 캠판들(32)이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323a)에 대립되는 측(도 13의 화살표 Y3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을 상기 캠판들(32)의 외부로 분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접속 방법 및 상기 레버 커넥터(1)에서의 감합 접속 후 상기 감합 레버(30)의 분리 방법이 도 1과 도 8 내지 14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될 때, 먼저,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N1)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도 1의 화살표 Y4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된다. 그 후, 도 8 및 9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안내부들(12)과 체결하고,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은 도 9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캠판들(32)에 장비된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a)과 체결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도 8의 화살표 Y5로 나타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다.
그 후, 도 10 및 11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도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캠판들(32)에 장비된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b)과 체결한다.
그 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a)의 상기 레버 본체(33)는 도 11 및 12의 화살표 R3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감합 레버(30) 내의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N1)로부터 상기 회동 최종위치(N2)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캠판들(32)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캠판들(32) 상의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이 상기 초기 체결부들(321a, 321b)에 각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을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끌어당긴다. 이에 따라,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각자 끌어당겨질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이 깊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N2)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의 상기 최종단들(322c, 322d)에 도달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최대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완전히 감합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 조작에 수반하여 서로 감합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의 최종단들(322c, 322d)에 각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상기 체결 개구홈들(323)에 대향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도 13 및 14의 화살표 Y3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방향에 역방향으로 끌어올려질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도 14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체결 개구홈들(323)을 통해 상기 캠판들(32)로부터 각자 빠져나가기 때문에,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서로 감합 접속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재설치될 때, 상기 감합 레버(30) 내의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N2)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분리되면,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레버 본체(33)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회동 초기위치(N1)로 상기 캠판들(32)을 되돌릴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캠판들(32)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N1)으로 되돌려질 때, 상기 캠홈들(322a, 322b)의 최종단들(322c, 322d)에 각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상기 캠홈들(322a, 322b)에 의해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분리된다.
즉, 상기 실시예의 상기 기재된 레버 커넥터(1)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30)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기재된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회동 중심을 개재하도록 상기 캠판들(32)에 제공되는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을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을 서로 감합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캠판들(32)의 상기 회동 중심을 개재하는 양 측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이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오직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이 하나의 캠홈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캠판들(32)이 소형화될 수 있고,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범위의 감소에 의해 상기 감합 레버(30)가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도중에(즉,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 도중에), 상기 캠판들(32) 상의 상기 캠홈들(322a, 322b) 내에 체결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상기 체결 개구홈들(323)로부터 멀어지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은 감합 도중(반감합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감합 레버(30)의 분리 조작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불량을 간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수정, 개선 등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재료, 형상, 치수, 수, 설치 위치 등은 본 발명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임의적으로 설정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 없이 다양한 수정과 보정을 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이 출원은 2012년 2월 20일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12-034172에 기초하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특징들이 다음 [1]에 간략하고 총괄적으로 열거된다.
[1] 레버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과 감합/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삽입되는 외장벽부(11),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결정하는 레버 안내부들(12),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각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동작 수신축들(13), 및 상기 외장벽부(11)의 개구 모서리들(11b)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을 향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상기 외장벽부(11)의 한 쌍의 대립되는 외벽들(11a)을 잘라 형성되는 축 삽입컷들(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제2 동작 수신축들(21)의 중심축이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과 대치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외면들(20a)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려 할 때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에 접근하도록 상기 축 삽입컷들(14)을 통해 삽입되는 제2 동작 수신축들(21)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삽입가능/분리가능하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들(10a)에 결합되도록 상기 레버 안내부들(12)과 체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 결합판들(31), 회동 초기위치로부터 회동 최종위치까지 기결정된 회동각도 범위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31)의 중심부들에 결합되는 한 쌍의 캠판들(32), 및 상기 캠판들(32)에 고정되고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부터 상기 회동 최종위치까지 회동될 때의 조작부가 되는 레버 본체(33)를 포함하고, 및
상기 캠판들(32)은,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에 대립되는 외부 모서리들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13)과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21)을 체결하는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321a, 321b),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321a, 321b)로부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캠판들(32)의 회동에 수반해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321a, 321b) 내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상기 캠판들(32)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각각 당겨지는 동안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이 각자 위치하고 있는 그 최종단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대치하는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 및 상기 한 쌍의 캠홈들(322a, 322b)의 상기 최종단들을 통과하고 상기 캠판들(32)의 하나의 종단 모서리들에 개구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판들(32)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들의 반대되는 측으로 상기 캠판들(32)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동작 수신축들(13, 21)을 상기 캠판들(32)의 외부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 개구홈들(323)을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후에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 분야에서 유용하다.
1: 레버 커넥터
10: 제1 커넥터 하우징
10a: 외면
11: 외장벽부
11a: 외측벽
12: 레버 안내부
13: 제1 동작 수신축
14: 축 삽입컷
20: 제2 커넥터 하우징
21: 제2 동작 수신축
30: 감합 레버
31: 하우징 결합판
32: 캠판
33: 레버 본체
321a, 321b: 초기 체결부들
322c, 322d: 홈 최종단들
322a, 322b: 캠홈
323: 체결 개구홈
N1: 회동 초기위치
N2: 회동 최종위치

Claims (1)

  1.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과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결정하는 레버 안내부들(lever guiding parts);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각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동작 수신축들(first action receiving shafts); 및
    상기 외장벽부의 개구 모서리들(opening edges)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을 향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외장벽부의 한 쌍의 대립되는 외벽들을 잘라 형성되는 축 삽입컷들(shaft insertion cut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제2 동작 수신축들의 중심축이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과 대치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될 때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에 접근하도록 상기 축 삽입컷들을 통해 삽입되는 제2 동작 수신축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삽입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들에 결합되도록 상기 레버 안내부들과 체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 결합판들(housing coupling substrates);
    회동 초기위치로부터 회동 최종위치까지 기결정된 회동각도 범위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판들의 중심부들에 결합되는 한 쌍의 캠판들(cam plates); 및
    상기 캠판들에 고정되고,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부터 상기 회동 최종위치까지 회동될 때의 조작부가 되는 레버 본체(lever body)를 포함하고, 및
    상기 캠판들은,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초기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에 대립되는 외부 모서리들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1 동작 수신축들과 상기 제2 동작 수신축들을 체결하는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initial engaging parts);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로부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캠판들의 회동에 수반해 상기 한 쌍의 초기 체결부들 내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캠판들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각각 당겨지는 동안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각자 위치하고 있는 최종단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으로 대치하는 한 쌍의 캠홈들(cam grooves); 및
    상기 한 쌍의 캠홈들의 상기 최종단을 통과하고 상기 캠판들의 하나의 종단 모서리들에 개구하는 직선 형상들로 형성되고, 상기 캠판들이 상기 회동 최종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개구들의 반대되는 측(side reverse)으로 상기 캠판들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상기 캠판들의 외부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 개구홈들(engagement opening grooves)을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KR1020147023104A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KR20140117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4172A JP5830407B2 (ja) 2012-02-20 2012-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2-034172 2012-02-20
PCT/JP2013/054200 WO2013125590A1 (ja) 2012-02-20 2013-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573A true KR20140117573A (ko) 2014-10-07

Family

ID=4900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104A KR20140117573A (ko)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72184B2 (ko)
JP (1) JP5830407B2 (ko)
KR (1) KR20140117573A (ko)
CN (1) CN104145381A (ko)
DE (1) DE112013001049T5 (ko)
WO (1) WO2013125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8501A (ja) * 2016-06-24 2017-12-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7346846B (zh) * 2017-06-02 2019-03-19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基于双共轭凸轮助力原理的在轨维护快接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240Y2 (ja) * 1991-01-11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2926672B2 (ja) * 1993-02-16 1999-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JPH09219248A (ja) * 1996-02-13 1997-08-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442661B2 (ja) 1998-08-10 2003-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961228B2 (ja) * 2001-03-28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5466025B2 (ja) 2010-01-22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830406B2 (ja) * 2012-02-20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71667A (ja) 2013-09-02
WO2013125590A1 (ja) 2013-08-29
JP5830407B2 (ja) 2015-12-09
DE112013001049T5 (de) 2014-12-04
US20150043964A1 (en) 2015-02-12
CN104145381A (zh) 2014-11-12
US9172184B2 (en) 201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1247Y1 (ko) 레버형 전기 커넥터
EP2149938B1 (en) Lever type connector
US1027697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7481661B2 (en) Connector
CN107026365B (zh) 具有方便连接的杆锁定的连接器
JP2009301926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23103930A1 (zh) 内窥镜
EP3193418B1 (en) Draw out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US9048578B2 (en) Lever-fitting-type connector
KR20140117573A (ko) 레버식 커넥터
US9160108B2 (en) Lever connector
WO2012118146A1 (ja) コネクタ
KR10150850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40117569A (ko) 레버식 커넥터
JP5791727B2 (ja) 差込み式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用のロック装置
KR20047958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417704B1 (ko)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KR201500048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101415440B1 (ko) 커넥터 정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KR20140117572A (ko) 레버식 커넥터
JP2004103557A (ja) レバー式嵌合コネクタ
EP2362974A1 (en) Mate-assist with an off-centre lever
GB2442845A (en) Connector with lever and fulcrum boss
KR100956541B1 (ko) 커넥터용 결합 및 분리장치
KR100955053B1 (ko)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