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569A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569A
KR20140117569A KR1020147023089A KR20147023089A KR20140117569A KR 20140117569 A KR20140117569 A KR 20140117569A KR 1020147023089 A KR1020147023089 A KR 1020147023089A KR 20147023089 A KR20147023089 A KR 20147023089A KR 20140117569 A KR20140117569 A KR 20140117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housing
connector
shafts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카미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 11)이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안내슬롯들(shaft guiding slots, 22)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감합되는 외장 벽부(outer sheath wall part, 1)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21a)에서의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 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에 형성되고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모두가 박히도록 직선 형태를 가지는 축 체결구들(32), 및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를 회동할 때의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 3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 {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5는 종래 레버 커넥터의 예를 나타낸다.
아래 특허문헌 1(PTL 1)에 개시되는 레버 커넥터(100)는 제1 커넥터 하우징(1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외장 벽부(outer sheath wall part, 121)(후드부)를 가진다.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에 감합하거나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operation force)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재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측면들로부터 돌출되는 축들(shafts, 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한 쌍의 외측면들이 개재(sandwiched)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을 한쪽 단측(end side)에서 접속하는 연결 부재(joint member, 132), 상기 레버 본체들(131)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측면들 상의 상기 축들(111)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지점 구멍들(pivot fulcrum holes, 133),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 감합 조작이 시작될 때 상기 외장 벽부(121)의 외측면들에 형성되는 레버 보유구들(lever retaining holes, 122)과 체결되는 동작점 돌기부들(134)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32)는 상기 레버 본체들(131)이 상기 축들(111) 주위를 회동할 때 상기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로서도 쓰일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에 대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과 다음 단계들로 감합 접속된다.
먼저, 도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후, 도 15의 화살표 X1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전단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외장 벽부(12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감합 조작 레버(130)의 상기 동작점 돌기부들(134)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상기 레버 보유구들(122)과 체결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130)의 상기 연결 부재(132)가 아래로 눌리고, 도 15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가 회동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감합 조작 레버(130)의 회동 움직임으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을 향해 이끌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상호간의 감합이 완료된다.
서로 감합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분리될 때, 상기 연결 부재(132)는 도 15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분리된다.
일본 특허 번호 3442661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면 상기 감합 레버(1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실제로 사용되는 때조차, 상기 감합 레버(130)의 중량이 더해져 상기 커넥터의 중량이 증가한다.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레버 커넥터(100)는 상기 감합 레버(130)가 부수되어야 하고, 구성요소 수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을 감소시키고 사용상태에서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목적은 다음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operation force)을 감소시키기 위한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감합 레버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각자 돌출되는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둘레에 감합되는 외장 벽부(sheath wall part),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벽부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을 잘라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안내슬롯들(shaft guiding slots), 및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상기 측벽들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을 포함한다.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부 표면들을 개재(sandwich)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축 체결구들 내에 박히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내면들 상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축 체결구들(shaft engaging slots), 및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축 체결구들에 체결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한다.
(2) (1)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삽입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 본체들의 내면들 상에 삽입 규제돌기들(insertion regulating protrusion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에 제1 삽입 안내면들, 제2 삽입 안내면들, 및 안내 변환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될 때 및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방향이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축 안내슬롯들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종료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될 때 및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방향이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축 안내슬롯들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이 구비되고, 및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축 체결구들에 박히는 동안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을 통과한 제1 안내 종단 위치와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을 통과한 제2 안내 종단 위치 사이에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변환부들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의 종단과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의 종단을 연결한다.
(3) (2)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안내 변환부들은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인접해 있는 돌기 미끄럼면들(protrusion sliding surfaces)을 가진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감합 레버에 대해, 상기 레버 본체들에 형성되고 직선 형상을 갖는 상기 축 체결구들에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할 때,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레버 지지축들 주위를 회동하므로, 상기 동작 수신축들과 접촉하는 상기 축 체결구들의 일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힘을 생성하는 레버의 동작점들로서 기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방향으로의 상기 힘은 상기 동작 수신축들에 작용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감합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감합 레버에 대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는 감합 시작상태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되는 감합 종료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축 체결구들의 연장 방향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축 안내슬롯들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연결하는 직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감합 레버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체결되는 설치 상태가 쉽게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감합 시작상태와 상기 감합 종료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감합 레버를 상기 축 체결구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뽑아내는 것에 의해,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쉽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을 감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통의 레버 커넥터의 부품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부품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상태 또는 상기 감합 종료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감합 레버에 구비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 또는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을 미끄러지기 때문에,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방향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고, 상기 레버 본체들의 진동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감합 레버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원활하고 쉽게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도중에, 상기 감합 레버에 구비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안내 변환부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상기 돌기 미끄럼면들에 대해 인접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레버가 분리될 수 없게 하기 위해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즉,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조작이 완료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감합 도중(반감합 상태)에 있고, 상기 감합 레버의 분리 조작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불량을 간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후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을 감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통의 레버 커넥터의 부품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부품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간략히 설명되었다. 나아가, 아래 기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하, "실시예들"이라 함)이 수반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해된 후 본 발명의 상세가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감합 레버가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감합 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감합 레버가 도 7에 나타나는 상태로부터 도 7의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감합 레버의 회동으로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서 감합 종료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감합 레버의 삽입 규제돌기들(insertion regulating protrusions)의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감합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상기 감합 레버를 뽑아내는 조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감합 레버가 감합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재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감합 레버가 도 12에 나타나는 상태로부터 도 12의 화살표 X4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재설치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재설치되는 상기 감합 레버가 도 13의 화살표 R3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로 되돌려지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종래 레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은 상기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레버 커넥터(1)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를 포함한다.
도 1 및 2에 나타나는 것처럼,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 1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외면들(10a)로부터 각자 돌출된다.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은 상기 감합 레버(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형 축들(보스부들)이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가 감합되는 사각 파이프형 외장 벽부(outer sheath wall part, 21)(후드부)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장 벽부(21)의 한 쌍의 대립하는 측벽들(21a)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축 안내슬롯들(shaft guiding slots, 22),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 23) 제1 삽입 안내면들(24), 제2 삽입 안내면들(25), 및 안내 변환부들(26)을 포함한다.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은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도 1의 화살표 Y1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측벽들(21a)을 잘라 형성되는 구멍들이다.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구멍들이다.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상기 측벽들(21a)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22)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L1에 위치한다.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것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은 도 3에 나타나는 직선 P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표면들이다. 상기 직선 P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축 안내슬롯들(22)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이 후술할 삽입 규제돌기들(insertion regulating protrusions, 34)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직선 P1의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이 장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한 쌍의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이 제공되고, 그 결과 후술할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직선 P1의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개재(sandwiched)된다. 즉, 한 쌍의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은 후술할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을 상기 직선 P1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홈들(guiding grooves, 27)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은 도 3에 나타나는 직선 P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표면들이다. 상기 직선 P2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감합 종료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축 안내슬롯들(22)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종료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이 후술할 삽입 규제돌기들(34)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직선 P2의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이 장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제2 삽입 안내면들(25)은 상기 언급된 안내 홈들(27)에 형성된 융기들(ridges, 28)의 하단면들이다.
상기 안내 변환부들(26)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후술할 상기 감합 레버(30)의 축 체결구들(shaft engaging slots, 32)에 박아넣어지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가능한 부분들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후술할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축 체결구들(32) 내에 박아넣어져 있는 동안,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을 통과한 제1 안내 종단 위치(Q1)과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을 통과한 제2 안내 종단 위치(Q2) 사이에서 후술할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전후로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 변환부들(26)은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의 종단과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의 종단을 연결하는 부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변환부들(26)은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돌기 미끄럼면들(protrusion sliding surfaces, 26a)을 가진다. 상기 돌기 미끄럼면들(26a)은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돌기 미끄럼면들(26a)에 인접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을 규제한다.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감합하거나 분리되기 위한 조작력(operation force)이 감소될 수 있는 부재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 및 5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상기 감합 레버(30)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축 체결구들(32), 역점부(33), 및 삽입 규제돌기들(34)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은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a)의 외부 표면들을 개재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의 한쪽 단부측들은 상기 대립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접속판(connecting plate, 35)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축 체결구들(32)은 그 구멍 폭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된 구멍들이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의 내면들 상에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a)에 삽입되고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모두가 상기 축 체결구들(32) 내에 박아넣어지도록 상기 축 체결구들(32)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말단들(distal ends)에서 열린다.
상기 역점부(33)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상기 역점부(33)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을 결합하는 상기 접속판(35)의 외면이다.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내면들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동안,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한 삽입 방향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구비된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 또는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 상에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미끄러진다.
본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기 감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축 체결구들(32)에 체결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접속 방법 및 본 발명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서의 감합 접속 후 상기 감합 레버(30)의 분리 방법이 도 6 내지 14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될 때, 초기에는,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장 벽부(2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다. 그 후, 도 6의 화살표 X2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나는 화살표 X2의 방향은 상기 축 안내슬롯들(22)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상기 직선 P1을 따르는 방향이다.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축 체결구들(32)의 종단에 인접할 때까지 상기 감합 레버가 밀어넣어진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축 체결구들(32) 내부에서,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모두가 상기 축 체결구들(32) 내로 박아넣어지게 된다.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한 쌍의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을 갖는 상기 안내 홈들(27) 내로 삽입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30)의 삽입시에,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 상에 미끄러지고, 상기 레버 본체들(31)에서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 방향이 규제되어, 상기 삽입 작업이 쉽게 된다.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축 체결구들(32)의 종단에 인접할 때까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될 때,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을 통과하는 상기 제1 안내 종단 위치(Q1)에 도달한다.
그 후, 도 8의 화살표 R2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상태로부터 감합 종료상태로 변화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한다. 상기 감합 레버(30)가 도 8에 나타나는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를 회동할 때, 상기 축 체결구들(32)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접촉부가 상기 동작 수신축들(23) 상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하도록 작용점으로서 동작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호 감합이 깊어진다.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에서, 도 10의 화살표 Y4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의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안내 변환부들(26)의 상기 제2 안내 종단 위치(Q2)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제2 안내 종단 위치(Q2)는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이 통과한 위치이다.
도 9 및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동안(즉,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하는 동안),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안내 변환부들(26)의 중간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안내 변환부들(26) 내로 이동할 때,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돌기 미끄럼면들(26a)에 인접한다. 그러므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는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으로 감합되어 있는 동안,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2 안내 종단 위치(Q2)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도 10 및 11의 화살표 X3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직선 P2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끌어질 때,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 상에서 미끄러지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접속된 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는 상기 감합 레버(30)가 재설치될 때, 도 12의 화살표 X4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상기 직선 P2를 따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 방향은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안내 변환부들(26) 내에 미끄러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직선 P2의 방향을 따라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 조작이 쉽게 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재설치된 후에, 도 13의 화살표 R3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가 역으로 회동할 때, 도 14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감합되는 상태를 상기 감합 시작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4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로 되돌려져 있는 동안, 도 14의 화살표 X5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를 상기 직선 P1 방향으로 이끄는 것에 의해, 도 6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기재된 레버 커넥터(1)에서의 상기 감합 레버(30)에 대해서, 상기 레버 본체들(31)에 형성되어 직선 형태를 갖는 상기 축 체결구들(32) 내에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하면,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동작 수신축들(23)과 접촉하는 상기 축 체결구들(32)의 일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는 레버의 동작점들로서 기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방향으로의 힘은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에 작용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감합 접속될 수 있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의 상기 감합 레버(30)에 대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는 상기 감합 시작성태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된 상기 감합 종료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상기 축 체결구들(32)의 연장 방향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축 안내슬롯들(22)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직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감합 레버(30)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체결되는 설치 상태로 되는 것을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합 시작상태와 상기 감합 종료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설치된 상기 감합 레버(30)를 상기 축 체결구들(3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끌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쉽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30)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을 감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통의 레버 커넥터의 부품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부품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상태 또는 상기 감합 종료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감합 레버(30)에 장비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 또는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 상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고,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진동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감합 레버(30)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원활하고 쉽게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을 감합하는 도중에, 상기 감합 레버(30)에 장비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안내 변환부들(26)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은 상기 돌기 미끄럼면들(26a)에 인접하고, 상기 감합 레버(30)가 분리될 수 없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즉,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조작이 완료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감합 도중(반감합 상태)이고, 상기 감합 레버(30)의 분리 조작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불량이 간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수정, 개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재료, 형상, 치수, 수, 설치 위치 등은 본 발명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임의적으로 설정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는 것 없이 다양한 수정과 보정을 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 출원은 2012년 2월 20일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12-034170에 기초하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의 특징들은 다음의 [1] 내지 [3]에 총괄적으로 나열된다.
[1] 레버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상기 감합 레버(30)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각자 돌출되는 레버 지지축들(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둘레에 감합되는 외장 벽부(21),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벽부(21)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21a)을 잘라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안내슬롯들(22), 및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되는 상기 측벽들(21a)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22)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동작 수신축들(23)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a)의 외부 표면들을 개재(sandwich)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a)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축 체결구들(32) 내에 박히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의 내면들 상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축 체결구들(32), 및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축 체결구들(32)에 체결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하는, 레버 커넥터.
[2] 상기 [1]에 기재된 상기 레버 커넥터로서,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의 삽입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내면들 상에 삽입 규제돌기들(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21a)에 제1 삽입 안내면들(24), 제2 삽입 안내면들(25), 및 안내 변환부들(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될 때 및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이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축 안내슬롯들(22)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종료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될 때 및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이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축 안내슬롯들(22)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이 구비되고, 및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축 체결구들(32) 내에 박히는 동안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을 통과한 제1 안내 종단 위치(Q1)와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을 통과한 제2 안내 종단 위치(Q2) 사이에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변환부들(26)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24)의 종단과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25)의 종단을 연결하는, 레버 커넥터.
[3] 상기 [2]에 기재된 상기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안내 변환부들(26)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34)이 인접해 있는 돌기 미끄럼면들(26a)을 가지는, 레버 커넥터.
본 발명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후에, 상기 커넥터의 사용 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 분야에서 유용하다.
1: 레버 커넥터
10: 제1 커넥터 하우징
10a: 외부 표면
11: 레버 지지축
20: 제2 커넥터 하우징
21: 외장 벽부
21a: 측벽
22: 축 안내슬롯
23: 동작 수신축
24: 제1 삽입 안내면
25: 제2 삽입 안내면
26: 안내 변환부
26a: 돌기 미끄럼면
30: 감합 레버
31: 레버 본체
32: 축 체결구
33: 역점부
34: 삽입 규제돌기
Q1: 제1 안내 종단 위치
Q2: 제2 안내 종단 위치

Claims (3)

  1.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operation force)을 감소시키기 위한 레버 부재(lever member)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감합 레버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각자 돌출되는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둘레에 감합되는 외장 벽부(sheath wall part),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벽부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을 잘라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안내슬롯들(shaft guiding slots), 및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상기 측벽들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부 표면들을 개재(sandwich)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축 체결구들 내에 박히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의 내면들 상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축 체결구들(shaft engaging slots), 및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이동하도록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축 체결구들에 체결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하는, 레버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삽입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 본체들의 내면들 상에 삽입 규제돌기들(insertion regulating protrusion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에 제1 삽입 안내면들, 제2 삽입 안내면들, 및 안내 변환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될 때 및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방향이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축 안내슬롯들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종료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될 때 및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방향이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해 상기 축 안내슬롯들 내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이 구비되고, 및
    상기 레버 지지축들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축 체결구들에 박히는 동안,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을 통과한 제1 안내 종단 위치와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을 통과한 제2 안내 종단 위치 사이에서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변환부들이 상기 제1 삽입 안내면들의 종단과 상기 제2 삽입 안내면들의 종단을 연결하는, 레버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변환부들은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삽입 규제돌기들이 인접해 있는 돌기 미끄럼면들(protrusion sliding surfaces)을 가지는, 레버 커넥터.
KR1020147023089A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KR20140117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4170 2012-02-20
JP2012034170A JP5830405B2 (ja) 2012-02-20 2012-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PCT/JP2013/054189 WO2013125582A1 (ja) 2012-02-20 2013-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569A true KR20140117569A (ko) 2014-10-07

Family

ID=4900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089A KR20140117569A (ko)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11105A1 (ko)
JP (1) JP5830405B2 (ko)
KR (1) KR20140117569A (ko)
CN (1) CN104126254A (ko)
DE (1) DE112013001048T5 (ko)
WO (1) WO2013125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9242A (zh) * 2017-06-28 2019-01-04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组件及其连接器
JP2020027783A (ja) * 2018-08-17 2020-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9111880A1 (de) * 2019-05-07 2020-11-12 Lenze Drives Gmbh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353A (ja) * 1993-04-19 1994-10-28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JPH08162211A (ja) * 1994-11-30 1996-06-21 Amp Japan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1076811A (ja) * 1999-09-09 2001-03-2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240685B2 (ja) * 1999-09-29 2009-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61228B2 (ja) * 2001-03-28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851840B2 (ja) * 2002-04-26 2006-1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US6638085B1 (en) * 2002-05-09 2003-10-28 Tyco Elec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rack mate assist
JP4492493B2 (ja) * 2004-11-05 2010-06-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78180B2 (ja) * 2009-06-09 2013-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源回路接続装置
JP5466025B2 (ja) * 2010-01-22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1238407A (ja) * 2010-05-07 2011-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71665A (ja) 2013-09-02
CN104126254A (zh) 2014-10-29
US20150011105A1 (en) 2015-01-08
WO2013125582A1 (ja) 2013-08-29
DE112013001048T5 (de) 2014-12-04
JP5830405B2 (ja)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1941B (zh) 具有可移動插頭之連接器組合體
JP4927867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cpa)部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5707252B2 (ja) コネクタ
WO2013118833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40117569A (ko) 레버식 커넥터
CN113296194A (zh) 光学连接器与光学连接器模块及其操作方法
JP5097068B2 (ja) 光レセプタクル
JP5721473B2 (ja) コネクタ
US20150011106A1 (en) Lever Type Connector
JP5885597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40117571A (ko) 레버식 커넥터
KR201500048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EP2654134A1 (en) Lever structure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11099336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9172184B2 (en) Lever connector
JP4570211B2 (ja) 光コネクタ
JP5006460B2 (ja) コネクタ組立体
CN112130259A (zh) 连接器
JP201208930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026048A (ja) 電線カバー
JP584901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6712521B1 (en) Optical connector enabling multicore structure by efficiently utilizing space
KR20140117572A (ko) 레버식 커넥터
JP526547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809747B2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