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857A - 레버 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857A
KR20150004857A KR1020147032240A KR20147032240A KR20150004857A KR 20150004857 A KR20150004857 A KR 20150004857A KR 1020147032240 A KR1020147032240 A KR 1020147032240A KR 20147032240 A KR20147032240 A KR 20147032240A KR 20150004857 A KR20150004857 A KR 20150004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lever
engagement
connector
engagem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카미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6Single camming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2Pair of camm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레버 본체(31)는,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커넥터 하우징(10)상에 장착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10) 상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를 제1장착 시작 위치(P1)로 안내하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와, 감합 제어 레버를 인출할 때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놓인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슬라이딩하는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제2커넥터 하우징 상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를 제2장착 시작 위치(P2)로 안내하는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 및 감합 제어 레버가 제2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2장착 시작 위치(P2)에 놓인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는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버 타입 커넥터{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레버 타입 커넥터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레버 타입 커넥터(100)는 하기의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고, 제1커넥터 하우징(110),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함께 감합 및 접속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120), 및 제1커넥터 하우징(110)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감합 제어 레버(130)를 포함한다.
제2커넥터 하우징(120)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후드부, 121)를 갖는다.
감합 제어 레버(130)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2커넥터 하우징(120)이 함께 감합되거나 감합 상태로부터 해제될 때의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로서,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제공된 보스부(11)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제어 레버(130)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한 쌍의 외면을 유지하도록 대항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131), 한 쌍의 레버 본체(131)의 단부에 함께 접속되는 접속 부재(132),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외면 상에 제공되는 보스부(111)와 회동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레버 본체(131)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회동 받침점 또는 피봇 홀(133),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2커넥터 하우징(120)이 함께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되는 감합 시작 단계에서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121)의 외면에 형성된 레버 계지 홀(122)와 결합하게 되는 작용점으로 기능하는 돌출부(134)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의 경우, 접속 부재(132)는, 레버 본체(131)가 보스부(1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힘이 가해지는 힘 작용점으로도 기능한다.
특허문헌 1의 레버 타입 커넥터(100)에서,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2커넥터 하우징(120)은 이하의 과정에 따라 함께 감합 및 접속된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제어 레버(130)가 제1커넥터 하우징(110)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어서, 도 12의 화살표 X1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전단부가 제2커넥터 하우징(120)의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121)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2커넥터 하우징(120)이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다. 계속하여, 작용점으로 기능하는, 감합 제어 레버(130)의 돌출부(134)는 제2커넥터 하우징(120)의 레버 계지 홀(122)과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감합 제어 레버(130)의 접속 부재(132)가, 도면에서 화살표 R1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감합 제어 레버(130)를 회전시키도록 아래로 눌려진다. 감합 제어 레버(130)의 회전 동작은 제2커넥터 하우징(120)을 제1커넥터 하우징(110)쪽으로 당겨, 제1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함께 완전히 감합된다.
함께 감합된 제1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상태로부터 해제될 때, 커넥터 부재(132)가 도면에서 화살표 R1으로 지시된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분리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도록 삽입되는 감합 제어 레버(특허문헌 2에서는 슬라이드(14)라고 함)에 의해 함께 감합 및 접속되는 구성을 갖는 레버 타입 커넥터를 도시한다.
특허문헌 2의 감합 제어 레버는 커넥터 하우징들이 함께 감합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1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이 감합 제어 레버에서는, 가이드 그루브가 경사 상태로 형성되어, 제2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제공된 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그 가이드 그루브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이어서,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들이,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는 방향의 경사진 가이드 그루브를 따라 레버 결합 샤프트부로 끌어당겨, 서로 감합된다.
일본특허공보 제3442661호 일본특허공개공보 평07-135046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의 레버 타입 커넥터의 경우,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및 접속된 상태에서, 감합 제어 레버가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레버 타입 커넥터의 경우,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된 후에도 감합 조작 레버의 무게가 커넥터에 계속적으로 가해져, 커넥터의 무게가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2의 레버 타입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는 어떤 경우에도 감합 제어 레버를 동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구성 부품의 수의 증가에 기인한 제조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종래의 레버 타입 커넥터에 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함되는 구성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 비용 및 사용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얻어진다.
(1) 레버 타입 커넥터로,
제1커넥터 하우징;
제1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및 접속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 및
감합 보조 부재로서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감합 제어 레버를 포함하고,
제1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단자 삽입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본체; 및
하우징 본체의 한 쌍의 외측벽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제공된 한 쌍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제2커넥터 하우징은:
제1커넥터 하우징의 외주에 감합되는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
제1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외측벽과 대항하여 접하는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의 한 쌍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제공되고,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할 때 양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하는 방향에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에 대항하는 기결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 및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결정된 경사 각도로 설정된 제1경사 각도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내측면 상에 각각 제공되는 가이드 리브들을 포함하고,
감합 제어 레버는:
제1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외측벽과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의 한 쌍의 내면 사이에 규정된 간극으로 삽입되도록 서로 대항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본체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제1보스 도입 그루브들로, 한 쌍의 레버 본체가 한 쌍의 외측벽 상에 위치될 때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를 제1장착 시작 위치로 안내하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들;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가 제1경사 각도로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1장착 시작 위치에 놓인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는 제1감합 제어 그루브들로, 제1장착 시작 위치로부터 이간된 제1감합 제어 그루브의 일부가 제1경사 각도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의 연장부와 교차하는 제2경사 각도에서 제1보스 도입 그루브와 통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감합 제어 그루브들;
양 커넥터 하우징이 함께 감합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버 본체의 외면 상에 각각 형성된 제2보스 도입 그루브들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1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감합 제어 레버가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고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를 제2장착 시작 위치로 안내하는 제2보스 도입 그루브들; 및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2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가 제1경사 각도로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2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는 제2감합 제어 그루브들로, 제1경사 각도에서 제2보스 도입 그루브와 통신하도록 형성된 제2감합 제어 그루브들을 포함하고,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되고,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1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되고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2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감합 제어 레버를 양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에 의해 양 커넥터 하우징은 함께 감합 및 접속된다.
감합 조작 레버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함께 감합되고 감합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조작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은,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함께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하우징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제2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게 되어, 접속된 상태에서 양 커넥터 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 계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 하우징은,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함께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고정 계지부와 결합하게 되어 접속된 상태에서 양 커넥터 하우징을 고정하는 계지 보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합 제어 레버는,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2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가이드 리브와 결합하게 되어, 양 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해체되도록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감합 제어 레버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되는, 임시 계지 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구성 (1)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에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와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3) 구성 (1) 또는 (2)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에서, 제1커넥터 하우징은 양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는 임시 레버 계지부를 포함하고, 감합 제어 레버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에 감합되는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1장착 시작 위치에 도달할 때 임시 레버 계지부와 결합하게 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한다.
(4)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에서, 제1감합 제어 그루브와 제2감합 제어 그루브는 곡선 구성으로 형성되어, 감합 제어 레버가 인출될 때 생성된 감합 제어 레버의 이동 경로가 곡선이 된다.
상기 구성 (1)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호 감합 및 접속하는 조작 절차로서, 먼저, 감합 조작 레버가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 상의 한 쌍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감합 제어 레버 상의 한 쌍의 제1보스 도입 그루브에 감합되고,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1장착 시작 위치에 도달한 임시 계지 상태로 감합 조작 레버가 제1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어서, 감합 제어 레버가 임시로 계지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이 양 커넥터 하우징이 상호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 내로 삽입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다.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제2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감합 제어 레버의 제2보스 도입 그루브로 감합하고 제2보스 도입 그루브 상의 제2장착 시작 위치에 도달한다.
계속하여,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감합 제어 레버 상에 제공된 임시 계지 피스가 제2커넥터 하우징 상의 가이드 리브와 결합된다. 이어서, 임시 계지 피스와 가이드 리브의 결합에 의해, 감합 제어 레버가 양 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해체되도록 감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감합 제어 레버가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에 임시로 계지된다.
이어서, 감합 제어 레버가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다. 감합 제어 레버가 인출될 때, 제1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와 통신하도록 형성된 제1감합 제어 그루브 상에 슬라이딩한다. 계속하여, 제2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는 제2보스 도입 그루브와 통신하도록 형성된 제2감합 제어 그루브 상에 슬라이딩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감합 제어 그루브의 경사각이 제1장착 시작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감합 제어 레버 상의 제1감합 제어 그루브의 부분이 제2감합 제어 그루브와 교차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감합 제어 레버가 점진적으로 인출됨에 따라, 제1감합 제어 그루브 상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2감합 제어 그루브 상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를 향해 이동되어, 커넥터 하우징들이 깊게 감합된다.
계속하여, 감합 제어 레버가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인출될 때, 커넥터 하우징은 서로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되고, 동시에 감합 제어 레버가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의 고정 계지부는 제2커넥터 하우징의 계지 보장부와 결합하게 되어,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접속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상기 구성 (1)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제어 레버의 인출에 의해 서로 깊이 감합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감합 제어 레버는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인출되어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문에, 사용할 때 감합 제어 레버의 무게가 커넥터에 가해지지 않아, 사용할 때 커넥터의 무게의 감소를 실현시킬 수 있게 만든다.
이어서,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 감합 조작 레버는 다른 레버 타입 커넥터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합 제어 레버만을 제외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표준 레버 타입 커넥터를 위한 부품들의 세트로 마련되면 되어, 포함된 부품의 수를 줄이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 (2)에 따르면, 감합 제어 레버 상의 제1보스 도입 그루브 및 제2보스 도입 그루브가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레버 본체의 전후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보스 도입 그루브 및 제2보스 도입 그루브는 동일한 참조 평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어, 제1보스 도입 그루브 및 제2보스 도입 그루브의 배치 설계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구성 (3)에 따르면, 감합 제어 레버가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장착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 상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에 의해 제1장착 시작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감합 제어 레버의 위치결정부는 제1커넥터 하우징의 임시 레버 계지부와 접하게 되어, 감합 제어 레버는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임시로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와 위치결정부로서의 두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 하우징에 관한여 감합 제어 레버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제1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감합 제어 레버가 느슨하게 되는 것이 일어나기 어렵게 만든다. 이 때문에,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감합 제어 레버의 의도하지 않은 변이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제1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및 접속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구성 (4)에 따르면, 감합 제어 레버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될 때,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감합 제어 레버의 변이가 감합 제어 레버의 이동 경로가 직선인 경우에 비해 감소된다. 이 때문에, 감합 제어 레버의 인출 조작을 위해 필요한 작업 공간이 감소될 수 있어, 레버 타입 커넥터의 고밀도의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버 타입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된 후에 감합 제어 레버가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므로, 사용 시 커넥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 감합 제어 레버는 다른 레버 타입 커넥터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감합 제어 레버만을 제외한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표준 레버 타입 커넥터를 위한 부품 세트로 마련하면 되어, 포함된 부품의 수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간단히 설명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항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이하의 모드들(이하, "실시예들"이라 함)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커넥터 하우징을 화살표 A로 지시된 방향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라인 B-B를 따른 제2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감합 제어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C로 지시된 방향에서 본 감합 제어 레버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D-D를 따른 감합 제어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감합 제어 레버가 임시로 고정된 제1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감합 제어 레버가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감합 제어 레버가 인출되어,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와 감합 제어 레버가 인출되는데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도록 개선된 제2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사이의 비교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종래의 레버 타입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커넥터 하우징을 화살표 A로 지시된 방향을 따라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라인 B-B를 따른 제2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감합 제어 레버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살표 C로 지시된 방향에서 본 감합 제어 레버의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라인 D-D를 따른 감합 제어 레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감합 제어 레버가 임시로 고정된 제1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감합 제어 레버가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은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감합 제어 레버가 인출되어,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레버 타입 커넥터(1)는 제1커넥터 하우징(10), 제1커넥터 하우징(10)와 함께 감합 및 접속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20), 및 감합 제어 레버(3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화살표 Z1은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커넥터 하우징(10)에 배치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도 1에서 화살표 Z2는 설치를 위해 제1커넥터 하우징(10)이 제2커넥터 하우징(20) 내로 감합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 하우징(10)은 복수의 단자 삽입 홀(11a)을 포함하는 하우징 본체(11), 한 쌍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보스부, 12), 고정 계지부(13) 및 한 쌍의 임시 레버 계지부(14)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1)는 외부 형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한 쌍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는 하우징 본체(11)의 한 쌍의 외측벽(11b) 상에 각각 돌출제도록 제공되는 원주형 샤프트이다. 한 쌍의 외측벽(11b)은 도 1에서 화살표 X2로 지시된 방향에서 서로 대항하도록 서 있는 측벽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계지부(13)는 하우징 본체(11)의 측면(11c)에 제공된다. 측면(11c)은 상술한 한 쌍의 외측벽(11b)과 다른 외측벽의 표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 계지부(13)는 측면(11c)의 전단측으로부터 상승하고 측면(11c)의 후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탄성 피스(131)와 탄성 피스(131)로부터 돌출하도록 탄성 피스(131) 상에 마련된 계지 돌기(132)를 포함한다. 고정 계지부(13)는,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완전히 서로 감합 및 접속될 때, 제2커넥터 하우징(20)과 결합하게 되어 양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접속된 상태를 고정한다.
한 쌍의 임시 레버 계지부(14)는 한 쌍의 외측벽(11b) 상에 마련된 돌출부이다. 각 임시 레버 계지부(14)는,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Z2로 지시된 방향)에 수직인 방향(도 1에서 화살표 Y2로 지시된 방향)에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한 쌍의 외측벽(11b) 상에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 하우징(20)은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후드부, 21), 한 쌍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보스부, 22), 가이드 리브(23) 및 계지 보장부(24)를 포함한다.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21)는 제2커넥터 하우징(20)의 전단측 상에 형성된 각진 관형부로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외주 상에 감합한다. 이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21)에서, 한 쌍의 측벽(211)의 내면들이 서로 대항하는 내측면들(211b)은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외측벽들(11b)에 대항하여 위치하는 면들이다.
한 쌍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는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21)의 한 쌍의 내측면(211b)에 각각 제공되는 원주형 샤프트이다. 한 쌍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는,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도 8에서 화살표 Z2로 지시된 방향)에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 맞은편에 기결정된 간격 L1(도 8 참조)으로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와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와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 직선 m1 상에 정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들(23)은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Z2로 지시된 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θ1)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내측면(211b) 상에 각각 제공된다.
계지 보장부(24)는,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접속 상태에서 양 커넥터 하우징을 고정하도록,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고정 계지부(13)와 결합하게 된다.
감합 제어 레버(30)는,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서로 감합하거나 감합 상태로부터 해제될 때의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감합 보조 부재로서, 제1커넥터 하우징(10) 상에 장착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제어 레버(30)는 한 쌍의 레버 본체(31),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 임시 계지 피스(36) 및 위치결정부(37)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버 본체(31)는,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외측벽(11b)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의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21)의 한 쌍의 내측벽(211b) 사이에 각각 규정된 대응하는 틈 내에 삽입되도록 서로 대항하여 위치하는 두꺼운 판형 부재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버 본체(31)의 근위단(proximal ends)은 핸들부(handle portion, 38)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핸들부(38)는 감합 제어 레버(30)가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인출될 때 움켜쥐게 되는 부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는 직선 m2를 따라 연장되도록 한 쌍의 레버 본체(31) 각각의 내면 상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직선 m2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다. 즉,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는, 한 쌍의 레버 본체(3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외측벽(11b)에 위치될 때,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를 제1장착 시작 위치(P1)로 안내한다. 제1장착 시작 위치(P1)는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정지되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의 종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는 직선 m4를 따라 연장되도록 한 쌍의 레버 본체(31) 각각의 내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이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의 종단과 통신하도록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m4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Z2로 지시된 방향)에 대해 제2경사각(θ2)으로 연장되는 직선이다. 제2경사각(θ2)은 제1경사각(θ1)보다 큰 각도로 설정된다. 다시 말해, 제2경사각(θ2)은 제1장착 시작 위치(P1)로부터 이간된 직선 m4의 단부(도 4에서 우단부)가 제1경사각(θ1)으로 기울어진 가이드 리브(23)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경사각이다. 결과적으로, 직선 m4는 제1장착 시작 위치(P1)로부터 이간된 직선 m4의 단부에서 제1경사각(θ1)으로 기울어진 가이드 리브(23)의 연장선과 교차한다.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는, 제1커넥터 하우징(10) 상에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30)가 도 7에서 화살표 X3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각(θ1)을 따라 제1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놓인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슬라이딩하는 그루브이다.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m3를 따라 연장되도록 한 쌍의 레버 본체(31)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다. 직선 m3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Z2로 지시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이다. 또한, 직선 m3는 도 6에 도시된 직선 m2 상에 겹쳐지는 직선이다. 즉,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Z2로 지시된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버 본체(31)의 외면 상에 형성된다.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는,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놓인 상태에서 감합 제어 레버(30)가 장착된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를 제2장착 시작 위치(P2)로 안내한다. 이 제2장착 시작 위치(P2)는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의 종단과 일치하고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가 정지되는 위치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가 직선 m5를 따라 연장되도록 한 쌍의 레버 본체(31)의 외면 상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가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의 종단과 통신하도록 형성된다.
직선 m5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Z2로 지시된 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θ1)(가이드 리브(23)의 경사각)으로 연장하는 직선이다.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는,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가 제2장착 시작 위치(P2)에 놓인 상태에서 제1커넥터 하우징(10) 상에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30)가 도 8의 화살표 X4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각(θ1)으로 제2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2장착 시작 위치(P2)에 놓인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가 슬라이딩하는 그루브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계지 피스(36)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을 따라 레버 본체(31)의 상부 가장자리측으로부터 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연장하는 탄성 피스(36a)와 탄성 피스(36a)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계지 연장 돌기(36b)를 포함한다. 계지 연장 돌기(36b)는, 제2커넥터 하우징(20) 상의 가이드 리브(23)이 연장하는 제1경사각(θ1)으로 연장하는 립(rib) 형상 돌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계지 피스(36)는,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가 제2장착 시작 위치(P2)에 위치하게 될 때, 가이드 리브(23)과 결합하게 되어, 양 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감합 제어 레버(30)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37)는 레버 본체(31)의 전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레버 본체(3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 피스(37a, 37b)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37)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에 감합되는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도달할 때, 한 쌍의 돌출 피스(37a, 37b)가 레버 본체(31)의 전단부에서 제1커넥터 하우징(10)에 위치하도록 임시 레버 계지부(14)를 그 상하로부터 협지하는 방식으로 임시 레버 계지부(14)와 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레버 타입 커넥터(1)에서는,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놓인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와 제2장착 시작 위치(P2)에 놓인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가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감합 제어 레버(30)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및 접속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레버 타입 커넥터(1)의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및 접속되는 조작 절차 및 그 작업 효과를 도 7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먼저,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커넥터 하우징(10) 상에 장착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감합 제어 레버(30) 상의 한 쌍의 보스 도입 그루브(32)에 감합된다. 이어서,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도달하는 임시 계지 상태로, 제1커넥터 하우징(10)에 고정된다.
계속하여, 감합 제어 레버(30)가 임시로 계지된 제1커넥터 하우징(10)이 도 7의 화살표 Z2로 지시된 바와 같이 양 커넥터 하우징이 함께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21) 내로 삽입된다. 그 후,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가 감합 제어 레버(30) 상의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에 감합되고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 상의 제2장착 시작 위치(P2)에 도달한다.
또한,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감합 제어 레버(30) 상에 제공된 임시 계지 피스(36)가 제2커넥터 하우징(20) 상의 상응하는 가이드 리브(23)과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임시 계지 피스(36)와 가이드 리브(23)의 결합에 의해, 감합 제어 레버(30)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감합하는 방향을 따른 이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제어 레버(30)와 제1커넥터 하우징(10)이 제2하우징(20)에 임시로 계지된다.
이어서,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된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X4로 지시된 방향으로 인출된다. 계속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감합 제어 레버(30)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놓인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와 통신하도록 형성된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에 걸쳐 슬라이딩한다. 이어서, 제2장착 시작 위치(P2)에 놓인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가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와 통신하도록 형성된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에 걸쳐 슬라이딩한다.
한 쌍의 감합 제어 그루브의 각각이 감합 제어 레버(30)의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가 제1장착 시작 위치(P1)로부터 이간된 단부에서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와 교차하는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감합 제어 레버(30)가 점진적으로 인출됨에 따라,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 상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 상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22)를 향해 이동하여,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깊게 감합하게 된다.
이어서, 감합 제어 레버(3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인출될 때,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완전히 감합되고, 동시에 감합 제어 레버(30)가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계속하여,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서로 감합 및 접속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고정 계지부(13)가 제2커넥터 하우징(20)의 계지 보장부(24)와 결합하게 되어, 양 커넥터 하우징들이 접속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의 레버 타입 커넥터(1)는, 감합 제어 레버(30)가 인출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들이 점진적인 방식으로 깊게 서로 감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어서,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감합 제어 레버(30)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고 양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를 사용할 때, 감합 제어 레버(30)의 무게가 커넥터 하우징에 가해지지 않아, 사용 시 커넥터(1)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감합 제어 레버(30)는 다른 레버 타입 커넥터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합 제어 레버(30)가 표준 레버 타입 커넥터의 구성부품의 세트로부터 제외될 수 있어,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만 마련되면 되어, 포함되는 부품의 수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레버 타입 커넥터(1)의 경우, 감합 제어 레버(30) 상의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와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가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레버 본체(31)의 전후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와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가 동일 참조 평면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어,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와 제2보스 도입 그루브(34)의 배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레버 타입 커넥터(1)의 경우,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커넥터 하우징(10) 상에 장착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12)가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에 의해 제1장착 시작 위치(P1)에 위치된다. 또한, 감합 제어 레버(30)의 위치결정부(37)가 제1커넥터 하우징(10)의 임시 레버 계지부(14)와 접촉하게 되어,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커넥터 하우징(10)에 임시로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제1커넥터 하우징(10) 상에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30)가 제1보스 도입 그루브(32)와 위치결정부(37)와 같은 두 지점에 위치되기 때문에, 감합 제어 레버(30)가 느슨해지는 것이 발생하기 어려운 감합 제어 레버(30)의 안정적인 위치결정이 보장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감합 제어 레버(30)가 부주의하게 변이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 하우징(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0)의 감합 및 접속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1A)와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1) 사이의 비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1A)의 감합 제어 레버(30A)는, 제1실시예의 감합 제어 레버(30)의 감합 제어 그루브(33)와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가 각각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A)와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A)로 변경된다. 제2실시예의 제1감합 제어 그루브(33A)와 제2감합 제어 그루브(35A)는, 감합 제어 레버(30A)가 인출될 때 형성되는 감합 제어 레버(30A)의 이동 경로가 도 11의 화살표 R로 지시된 바와 같은 곡선으로 만들어도록, 이러한 곡선 그루브 구성을 갖는다.
제2실시예의 감합 제어 레버(30A)의 경우에, 감합 제어 레버(30A)가 양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될 때, 양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서 감합 제어 레버(30A)의 변이가, 감합 제어 레버(30)의 이동 경로가 직선이 되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도 11에 도시된 거리 L2로 짧아진다. 이 때문에, 감합 제어 레버(30A)를 인출하는데 필요한 작업 공간이 감소될 수 있어, 레버 타입 커넥터의 고밀도 실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형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의 재료,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열은 임의적이고 본 발명이 얻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일의 고정 계지부(13) 및 단일의 계지 보장부(24)가 상술한 실시예에 마련되었으나, 고정 계지부(13) 및 계지 보장부(24)가 복수의 위치에 각각 제공되어 양 커넥터 하우징이 복수의 계지부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벋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만들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12년 5월 23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2-117826호에 기초한 것으로, 이 특허출원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포함되는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사용시 무게와 제조비용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1, 1A: 레버 타입 커넥터
10: 제1커넥터 하우징
11: 하우징 본체
11a: 단자 삽입 홀
11b: 외측벽
12: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
13: 고정 계지부
14: 임시 레버 계지부
20: 제2커넥터 하우징
21: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
22: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
23: 가이드 리브
24: 계지 보장부
30, 30A: 감합 제어 레버
31: 레버 본체
32: 제1보스 도입 그루브
33, 33A: 제1감합 제어 그루브
34: 제2보스 도입 그루브
35, 35A: 제2감합 제어 그루브
36: 임시 계지 피스
37: 위치결정부
211b: 내측면
P1: 제1장착 시작 위치
P2: 제2장착 시작 위치
θ1: 제1경사각
θ2: 제2경사각

Claims (5)

  1. 제1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및 접속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 및
    감합 보조 부재로서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감합 제어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단자 삽입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한 쌍의 외측벽 상에 각각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외주 상에 감합되는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외측벽에 대항하도록 접하는 상기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의 한 쌍의 내측면 상에 각각 돌출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에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에 대항하는 기결정된 간격으로 위치되는 한 쌍의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 및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에 대해 기결정된 경사각으로 설정되는 제1경사각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내측면 상에 각각 제공되는 가이드 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제어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외측벽과 상기 외부의 각진 관형벽부의 한 쌍의 내면 사이에 규정된 간극 내로 삽입되도록 서로 대항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레버 본체;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본체의 내면 상에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레버 본체가 한 쌍의 외측벽 상에 놓일 때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를 제1장착 시작 위치로 안내하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가 제1경사각으로 제1커넥터 하우징을 인출할 때 제1장착 시작 위치에 놓인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고, 제1장착 시작 위치로부터 이간된 제1감합 제어 그루브의 부분이 제1경사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리브의 연장부와 교차하는 제2경사각으로 제1보스 도입 그루브와 통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감합 제어 그루브;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버 본체의 외면 상에 각각 형성되고,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1장착 시작 위치에 놓인 상태로 감합 제어 레버가 장착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를 제2장착 시작 위치로 안내하는 제2보스 도입 그루브; 및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2장착 시작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장착된 감합 제어 레버가 제1경사각으로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2장착 시작 위치에 놓인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고 제1경사각으로 제2보스 도입 그루브와 통신하도록 형성되는 제2감합 제어 그루브를 포함하고,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그 감합 시작 위치에 위치되고,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1장착 시작 위치에 놓이고,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2장착 시작 위치에 놓인 상태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감합 제어 레버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 및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제어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하고 감합된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조작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의 측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게 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 계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완전히 감합 및 접속될 때 상기 고정 계지부와 결합하게 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는 계지 보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합 제어 레버는,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2장착 시작 위치에 놓일 때 가이드 리브와 결합하게 되어, 감합 제어 레버가,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임시 계지 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 및 상기 제2레버 결합 샤프트부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각각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로부터 이간되어 위치되는 임시 레버 계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합 제어 레버는, 제1보스 도입 그루브와 감합하는 제1레버 결합 샤프트부가 제1장착 시작 위치에 도달할 때 임시 레버 계지부와 결합하게 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합 제어 그루브 및 상기 제2감합 제어 그루브는 곡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감합 제어 레버가 인출될 때 생성되는 감합 제어 레버의 이동 경로가 곡선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KR1020147032240A 2012-05-23 2013-05-15 레버 타입 커넥터 KR20150004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7826 2012-05-23
JP2012117826A JP2013246897A (ja) 2012-05-23 2012-05-23 レバー式コネクタ
PCT/JP2013/064139 WO2013176153A1 (en) 2012-05-23 2013-05-15 Lever-type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857A true KR20150004857A (ko) 2015-01-13

Family

ID=4857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240A KR20150004857A (ko) 2012-05-23 2013-05-15 레버 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79826A1 (ko)
JP (1) JP2013246897A (ko)
KR (1) KR20150004857A (ko)
CN (1) CN104350647A (ko)
DE (1) DE112013002643T5 (ko)
WO (1) WO20131761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4884A1 (en) * 2016-10-25 2018-04-26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4348B2 (ja) * 2012-04-19 2016-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49014B2 (ja) * 2012-05-09 2016-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772B2 (ja) * 1990-11-16 1996-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確認機構付きコネクタ
JP2545291Y2 (ja) * 1991-06-17 1997-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R2705503B1 (fr) 1993-05-21 1995-07-28 Francelco Sa Connecteur électrique à tiroir d'insertion et d'extraction.
JP3011317B2 (ja) * 1994-09-14 2000-02-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DE69603468T2 (de) * 1995-04-12 2000-01-27 Whitaker Corp Modular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5954528A (en) * 1996-02-27 1999-09-21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JP3302619B2 (ja) * 1997-07-01 2002-07-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244028B2 (ja) * 1997-07-30 2002-01-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442661B2 (ja) 1998-08-10 2003-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730449B2 (ja) * 1999-08-05 2006-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本体の形成方法
JP2002025696A (ja) * 2000-07-03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61228B2 (ja) * 2001-03-28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6666697B2 (en) * 2001-10-29 2003-12-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ssembly
JP3887693B2 (ja) * 2001-11-12 2007-02-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001113B2 (ja) * 2004-01-14 2007-10-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229282B2 (ja) * 2004-04-28 2009-02-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558583B2 (ja) * 2005-05-31 2010-10-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4622930B2 (ja) * 2006-04-20 2011-02-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00025378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JP5466025B2 (ja) * 2010-01-22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026130A (ja) * 2011-07-25 2013-02-04 Tyco Electronics Japan Kk コネクタ嵌合補助具、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嵌合・離脱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4884A1 (en) * 2016-10-25 2018-04-26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46897A (ja) 2013-12-09
CN104350647A (zh) 2015-02-11
US20150079826A1 (en) 2015-03-19
WO2013176153A1 (en) 2013-11-28
DE112013002643T5 (de)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085979A (ja) 直接嵌合および嵌合解除のためのcpaデバイス
JP5707252B2 (ja) コネクタ
US8992240B2 (en) Connector
US8979567B2 (en) Lever type connector
US9871322B2 (en) Connector
JP6492029B2 (ja) コネクタ
KR20140117502A (ko) 레버식 커넥터
US20150325950A1 (en) Lever type connector
KR201500048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CN103688421B (zh) 电连接器组件
US9160108B2 (en) Lever connector
US20150011105A1 (en) Lever connector
JP2012235575A (ja) プロテクタ
JP692710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91604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6787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95912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931297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0003526A (ja) 仮嵌合構造を有する一対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691604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101495B2 (ja) レバー付コネクタ
KR10109132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JP2014145431A (ja) 連結機構
JP200607333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